KR20230160273A -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273A
KR20230160273A KR1020237032673A KR20237032673A KR20230160273A KR 20230160273 A KR20230160273 A KR 20230160273A KR 1020237032673 A KR1020237032673 A KR 1020237032673A KR 20237032673 A KR20237032673 A KR 20237032673A KR 20230160273 A KR20230160273 A KR 20230160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ensor
heater
sensor signal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3016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소모품(12)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소모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20); 소켓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소모품이 소켓에 수용될 때 소모품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22); 제1 및 제2 센서(24A, 24B)로서, 제1 및 제2 센서 각각은, 소켓의 제1 부분(20A)과 소켓의 제2 부분(20B) 내의 소모품을 각각 검출하고, 제1 센서 신호(S24A)와 제2 센서 신호(S24B)를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센서; 및 센서 신호 모두에 따라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26)를 포함하고, 각 센서는, 소모품이 소켓의 대응하는 부분에 수용될 때 또는 이 부분으로부터 추출될 때 회전 이동가능한 롤러(40A, 40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일부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담배 물품, 특히 궐련과 같은 소모품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부품을 포함한다. 이 경우,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소모품을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하는 데 맞게 조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비연소 가열" 장치라고 한다. 이들 장치는 일반적으로 소모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소모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은 소모품을 가열함으로써 발생하여 소모품의 입 부분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공지된 장치는, 예를 들어, 가변 기간 동안 트리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가열기 시스템을 활성화함으로써 (에어로졸의 정량과는 대조적으로) 다양한 양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데 맞게 조정될 수 있다. 트리거는, 사용자에 의해 기동되는 데 맞게 조정된 베이핑 버튼 또는 장치 내의 기류를 검출하면 가열기를 활성화하는 압력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가열기를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해 이러한 베이핑 버튼 또는 압력 센서를 사용하면, 일부 사용자에게는 가열기의 동작의 복잡한 제어가 및/또는 베이핑 버튼 또는 압력 센서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가열기에 의한 과도한 전력 소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제어할 수 있게 소모품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모품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 소모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
- 소켓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소모품이 소켓에 수용될 때 소모품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
- 적어도 제1 센서와 제2 센서로서, 제1 센서와 제2 센서 각각은, 소켓의 적어도 제1 부분과 소켓의 제2 부분 내의 소모품을 각각 검출하고,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를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와 제2 센서; 및
- 센서 신호 모두에 따라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각 센서는, 소모품이 소켓의 대응하는 부분에 수용되고 있을 때 또는 이 부분으로부터 추출되고 있을 때 회전 이동가능한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부 덕분에, 소켓 내의 소모품의 위치에 따라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 내의 소모품의 위치는 가열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소켓의 서로 다른 두 개 부분 내의 소모품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소켓의 특정 부분 내의 소모품의 검출 또는 비검출에 기초하여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핑 버튼을 포함하는 기존의 해결책에 비해 사용자가 소켓 내의 소모품의 위치를 시각화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더 직관적이고 쉽다.
또한, 회전 이동가능한 롤러를 포함하는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간단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제한하면서 가열기의 정확한 제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롤러는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에 쉽게 처리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은 소켓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제2 센서 및 제1 센서는 소켓 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특징부 덕분에, 가열기의 동작 제어는 소켓 축을 따른 소모품의 삽입 위치 또는 추출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은 내벽에 의해 획정되고, 각 센서는 내벽에 형성된 애퍼처에 배치되고 이 애퍼처로부터 돌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 센서는 대응하는 롤러의 회전 방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징부 덕분에, 가열기의 동작 제어는 소모품의 삽입 방향 또는 추출 방향에 기초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는 제1 센서 신호 및 제2 센서 신호의 각각에 따른 제어 로직에 따라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징부 덕분에,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가열기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순간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 신호 및 제2 센서 신호의 각각은, 대응하는 롤러의 회전 방향이 소켓의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소모품의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포지티브이고, 대응하는 롤러의 회전 방향이 소켓의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소모품의 추출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네거티브이며 그외에는 널(null)이다.
이러한 특징부 덕분에, 제1 센서 신호 및 제2 센서 신호는 소모품의 소켓 내의 삽입 방향 또는 소모품의 소켓으로부터의 추출 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가열기의 동작 제어는 소모품의 삽입 방향과 추출 방향 중 소모품의 이동 방향에 의존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로직은 제1 센서 신호 및 제2 센서 신호의 각각이 포지티브이면 가열기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부 덕분에, 소모품이 삽입되고 있고 이미 가열기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모두 내에 있을 때만 가열기가 활성화된다. 또한, 제2 센서 및 제1 센서가 소켓 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우, 소켓 내에 소모품이 충분히 삽입되면 가열기가 활성화된다. 이는 가열기가 시의적절하지 않게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특징부는, 또한, 사용자가 소켓 내에 소모품을 부분적으로 삽입한 후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베이핑을 하지 않기로 결정할 때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로직은, 제1 센서 신호가 포지티브이고 제2 신호가 널이거나 또는 제1 센서 신호가 네거티브이고 제2 센서 신호가 네거티브이면 가열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센서 신호가 포지티브이고 제2 센서 신호가 널이면, 소모품은 삽입되고 있고 소켓의 제1 부분 내에서만 검출된다. 이 상황에서, 제어 로직은 소켓의 제2 부분 내에서 소모품이 검출되지 않을 때 가열기의 활성화를 피할 수 있게 한다. 제어 로직의 이 구성에서는, 제어기가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는다. 가열기의 시의적절하지 않은 활성화 및 가열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다.
제1 센서 신호가 네거티브이고 제2 신호가 네거티브일 때, 소모품은 소켓의 제1 및 제2 부분 모두의 내부에서 추출되고 검출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열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로직은, 예를 들어, 소모품이 추출되는 동안 가열기의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어 로직의 이 구성에서는, 제어기가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부 덕분에, 가열기의 시의적절하지 않은 비활성화를 회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로직은, 제1 센서 신호 및 제2 센서 신호의 각각이 포지티브인 후에 널이면 가열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부 덕분에, 소켓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모두에서 소모품이 검출될 때 가열기의 활성화가 유지된다. 제어 로직의 이 구성에서는, 제어기가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로직은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의 각각이 네거티브인 후에 널이면 가열기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부 덕분에, 소켓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모두로부터 소모품이 추출될 때 가열기가 비활성화된다. 또한, 제2 센서와 제1 센서가 소켓 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때, 가열기는 소모품이 소켓으로부터 충분히 추출되면 따라서 비활성화된다. 이러한 특징부는 사용자가 베이핑을 중단할 의향이 있음을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베이핑을 계속할 의향이면서 소모품을 의도하지 않게 추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가열기의 시의적절하지 않은 비활성화를 방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부는, 또한, 가열기의 시의적절하지 않은 비활성화 및 활성화로 인한 가열기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로직은 제1 센서 신호가 네거티브이고 제2 신호가 널이면 가열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부 덕분에, 가열기의 현재 상태는, 소모품이 소켓으로부터 추출되고 있고 소켓의 제1 부분 내에서 검출될 때만 유지된다. 따라서, 소모품이 소켓으로부터 추출되고 있지만 여전히 소켓의 제1 부분 내에서 검출될 때 가열기의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로직은, 제1 센서 신호가 네거티브이고 제2 센서 신호가 널이면 가열기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가열기 동작은, 소모품이 소켓으로부터 추출되고 있고 소켓의 제1 부분 내에서 검출될 때만 비활성화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로직은 제1 센서 신호 및 제2 센서 신호의 각각이 널이면 가열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제1 및 제2 센서의 각 롤러가 회전하지 않을 때(즉, 정지 상태일 때), 제어기는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센서 신호 모두에 따라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이의 장점은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소모품이 장치 내에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소모품이 소켓 내에 삽입되는 동안의 소모품의 상이한 위치를 도시하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소모품이 소켓으로부터 추출되는 동안의 소모품의 상이한 위치를 도시하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로직의 일례를 도시하는 표이다.
도 9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로직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표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하기 설명에서 제시된 구성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개시내용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장치"라는 용어는, 적어도 장치 내에 수용된 소모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 베이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휴대용일 수 있다. "휴대용"은, 사용자가 장치를 들고 있을 때 사용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장치는, 소모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소켓에 수용될 때 소모품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를 활성화함으로써 에어로졸의 양을 발생시키는 데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어기"라는 용어는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가열기의 동작은 가열기의 활성화, 비활성화, 및 현재 상태 유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가열기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또한, 가열기의 온도 및/또는 기화가능 재료의 가열 및/또는 담배 물품의 가열을 특정된 목표 온도로 구동하고 이어서 온도를 에어로졸의 효율적인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목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소모품"이라는 용어는 소모품을 지칭할 수 있으며, 기화가능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 스틱, 또는 기성 담배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기화가능 재료" 또는 "전구체" 또는 "에어로졸 형성 물질" 또는 "물질"이라는 용어는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공기 중에서 기화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기화는 일반적으로 400℃ 미만, 바람직하게는 350℃까지의 온도에서와 같이 기화 재료의 끓는점까지의 온도 증가에 의해 얻어진다. 기화가능 재료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발생 액체, 겔, 왁스, 발포체 또는 유사물, 가공된 담배 재료를 함유할 수 있는 막대 형태일 수 있는 에어로졸-발생 고체,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RTB)의 주름진 시트 또는 배향된 스트립,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화가능 재료는 니코틴, 카페인, 또는 기타 활성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액체일 수 있는 담체와 함께 운반될 수 있다. 담체는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도 존재할 수 있다. 향료는 에틸바닐린(바닐라),멘톨, 이소아밀 아세테이트(바나나 오일)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이라는 용어는 고체 입자; 액체 방울; 기체 중 하나 이상의 현탁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탁액은 공기를 포함하는 기체에 있을 수 있다. 에어로졸은 본원에서 일반적으로 증기를 지칭할 수 있고/있거나 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소모품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소모품의 하나의 성분 또는 여러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소모품의 입 부분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소모품(12)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특정 예에서, 소모품(12)은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원통 형상을 갖는 스틱이다. 스틱은 69 mm 내지 100 mm에 포함된 길이 및 5 mm 내지 8 mm에 포함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변형예로서, 소모품(12)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틱은 기성 담배이다. 다른 예에 따르면, 스틱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평평한 형상의 스틱을 나타낸다. 소모품(12)은 사용자의 입/입술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필터부 및 기화가능 재료를 저장하도록 설계된 저장부를 가질 수 있다. 저장부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장치(10)의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도록 설계된다. 저장부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40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90℃에 포함된다. 유리하게, 가열 온도는 실질적으로 350℃와 동일하다. 보다 일반적으로, 가열 온도는 기화가능 재료를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만 하도록 선택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도 1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이하에서 "장치 축(X)"이라고 칭하는 축(X)을 따라 연장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길이"'라는 용어는 장치 축(X)을 따라 측정된 에어로졸 발생 요소의 치수를 지칭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외부 케이싱(14) 및 외부 케이싱(14)에 배치된 내부 부품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싱(14)은 내부 체적(16)을 획정하고, 장치 축(X)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18)을 포함한다. 측면(18)은, 예를 들어,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내부 부품은, 소모품(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20) 및 소모품(12)이 소켓(20)에 수용될 때 소모품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22)를 포함한다. 내부 부품은, 소켓(20)의 적어도 제1 부분(20A)과 소켓(20)의 제2 부분(20B) 내의 소모품(12)을 각각 검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제1 센서(24A)와 제2 센서(24B), 가열기(2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26), 및 장치(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8)를 더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장치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구성 요소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으며,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배터리(28)는, 예를 들어, 외부 충전기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충전되고 미리 정해진 전압의 직류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공지된 배터리이다. 배터리(28)는, 예를 들어, 가열기(22) 및 제어기(26)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소켓(20)은 소모품(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소켓(20)은 소켓 축을 따라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소켓 축은 장치 축(X)과 일치한다. 소켓 축은 이하 "소켓 축(Y)"이라고 한다. 소켓(20)은 내벽(30)에 의해 획정된다. 내벽(30)은 측면 부분(32)과 바닥 부분(34)을 포함한다. 측면 부분(32)은 환 형상일 수 있다. 바닥 부분(34)은 소켓 축(Y)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내벽(30) 및 바닥 부분(34)은 수용 구멍(36)을 형성한다. 소켓 축(Y)을 따라 소켓(20)의 일 단부에서, 수용 구멍(36)은 삽입 구멍(37)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외부에서 개방되고, 소켓 축(Y)을 따라 소켓(20)의 타단에서 수용 구멍(36)은 바닥 부분(34)에 의해 폐쇄된다. 예를 들어, 소켓 축(Y)은 소켓(20)의 바닥 부분(34)으로부터 삽입 개구(37)로 배향된다. 수용 구멍(36)은 소모품(12)의 형상에 맞게 조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 구멍(36)의 길이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품(12)이 소켓(20) 내로 삽입될 때 소모품(12)의 입 부분이 수용 구멍(36)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소모품(12)의 길이보다 짧다.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 (24B) 각각에 대해, 소켓(20)의 내벽(30)은, 이하에서 각각 "제1 소켓 애퍼처(30A)" 및 "제2 소켓 애퍼처(308)"라고 지칭되는 애퍼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소켓 애퍼처(30A)와 제2 소켓 애퍼처(30B)는 내벽(30)의 측면 부분(32)에 형성된다. 각 소켓 애피처(30A, 30B)는 스루-애퍼처일 수 있다. 제1 소켓 애퍼처(30A)와 제2 소켓 애퍼처(30B)는 소켓 축(Y)을 따라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제1 소켓 애퍼처(30A)는 소켓(20)의 전반부에 형성되고, 제2 소켓 애퍼처(30B)는 소켓(20)의 후반부에 형성된다. 소켓(20)의 전반부와 소켓(20)의 후반부는 소켓(20)의 중앙 평면의 일측과 타측에 있는 것으로 각각 정의된다. 소켓(20)의 중앙 평면은 소켓 축(Y)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소켓(20)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2개의 실질 부분으로 절단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소켓 애퍼처(30A)는 소켓 축(Y)을 따라 제2 소켓 애퍼처(30B) 위에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22)는 소켓(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한다. 특히, 가열기(22)는 소켓(20)을 둘러싼다. 보다 정확하게, 가열기(22)는 소켓(20)의 내벽(3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한다. 가열기(22)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가열기(22)는 독특한 가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가열기(22)는 복수의 가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가열 부분은 수용 구멍(36)을 따라, 즉, 소켓 축(Y)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부분들 또는 각 가열 부분은 환 형상일 수 있다. 소켓 축(Y)에 수직인 단면 평면에서, 가열 부분들 또는 각 가열 부분은 내벽(30)의 형상, 특히, 내벽(30)의 측면 부분(32)의 형상에 맞게 조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가열 부분들 또는 각 가열 부분의 상기 형상은 원형이다. 가열 부분들 또는 각 가열 부분은 열 전달에 적합한 가열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 필름은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가열 부분들 또는 각 가열 부분은 금속 또는 열 전달에 적합한 다른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기(22)는, 소켓(20)의 내벽(30)에, 특히 이 내벽(30)의 측면 부분(32) 및/또는 바닥 부분(3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예에 따르면, 가열기(22)는 컵-형상 가열기이다.
도 1의 예에서,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 각각에 대해, 가열기(22)는 이하에서 "제1 가열기 개구(22A)" 및 "제2 가열기 개구(22B)"라고 칭하는 개구를 정의한다. 각각의 가열기 개구(22A, 22B)는 관통-개구일 수 있다. 제1 가열기 개구(22A) 및 제2 가열기 개구(22B)는 각각 제1 소켓 애퍼처(30A) 및 제2 소켓 애퍼처(30B)와 대면한다.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 각각은 대응하는 가열기 개구(22A, 22B)로부터 돌출된다. 도 1에 도시된 특정 예에서, 가열기(22)는 독특한 가열 부분(38)을 갖는다.
가열기(22)는 가열 온도에서 소모품(12)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는 각각 소켓(20)의 제1 부분(20A) 및 소켓(20)의 제2 부분(20B) 내의 소모품(12)을 검출하고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를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소켓(20)의 제1 부분(20A)은 제1 소켓 애퍼처(30A) 앞에 배치된 수용 구멍(36)의 부분에 대응하고, 소켓(20)의 제2 부분(20B)은 제2 소켓 애퍼처(30B) 앞에 배치된 수용 구멍(36)의 부분에 대응한다. 도 1에 도시된 특정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2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에, 센서의 개수는 2개보다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각 센서는 소켓(20)의 각 부분 내의 소모품(12)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 제2 센서(24B) 및 제1 센서(24A)는 소켓 축(Y)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특히, 제1 센서(24A)는 제2 센서(24B)보다 수용 구멍(36)의 삽입 개구(37)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 각각은 대응하는 소켓 애퍼처(30A, 30B)로부터 돌출된다. 다시 말하면, 제1 센서(24A)는 소켓 축(Y)을 따라 제2 센서(24B) 위에 있다. 따라서, 소켓(20) 내에 소모품(12)이 삽입되면, 제1 센서(24A)는 소모품(12)을 먼저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2 센서(24B)는 제1 센서(24A) 후에 소모품(12)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 각각은 대응하는 소켓 애퍼처(30A, 30B)에 배치되고 이 소켓 애퍼처(30A, 30B)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 각각은 대응하는 가열기 개구(22A, 22B)에 배치되고 이 가열기 개구(22A, 22B)로부터 돌출된다. 제1 센서(24A)는 소켓(20)의 전반부를 가로지르고, 제2 센서(24B)는 소켓(20)의 후반부를 가로지른다.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 각각은, 소모품(12)이 소켓(20)의 대응하는 부분(20A, 20B)에 수용되고 있거나 이 부분(20A, 20B)으로부터 추출되고 있을 때 회전 이동하는 롤러(40A, 40B)를 포함한다. 롤러(40A, 40B)는 이하에서 각각 "제1 롤러(40A)" 및 "제2 롤러(40B)"라고 칭할 것이다. 각 롤러(40A, 40B)는 소켓 축(Y)에 수직인 회전 축을 따라 회전 이동가능하다. 제1 롤러(40A) 및 제2 롤러(40B)는 대응하는 소켓 애퍼처(30A, 30B)에 배치되어, 소모품이 소켓(20)에 삽입되고 있는 동안 그리고 소켓(20)으로부터 추출되고 있는 동안 제1 롤러(40A) 및 제2 롤러(40B) 각각의 접촉 부분이 소모품(12)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 롤러(40A) 및 제2 롤러(40B) 각각은 소모품이 소켓(20)에 삽입되고 있는 동안 또는 소켓으로부터 추출되고 있는 동안 소모품(12)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 각각은 대응하는 롤러(40A, 40B)의 회전 방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 각각은, 대응하는 롤러(40A, 40B)의 회전 방향이 소켓(20)의 대응하는 부분(20A, 20B)에서 소모품(12)의 삽입 방향에 대응할 때 포지티브(+)일 수 있는 전압 신호일 수 있다. 삽입 방향은 소켓 축(Y)에 평행하다. 동일한 예에 따르면,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 각각은, 대응하는 롤러(40A, 40B)의 회전 방향이 소켓(20)의 대응하는 부분(20A, 20B)으로부터의 소모품(12)의 추출 방향에 대응할 때 네거티브(-)일 수 있다. 추출 방향은 소켓 축(Y)에 평행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동일한 예에 따르면,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 각각은 대응하는 롤러(40A, 40B)가 이동하지 않을 때 널(0)이다(즉, 신호 센서가 생성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 내의 소모품(12)의 삽입 방향은 대응하는 롤러(40A, 40B)의 삼각 회전 방향에 대응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으로부터의 소모품(12)의 추출 방향은 대응하는 롤러(40A, 40B)의 역삼각 회전 방향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 각각은, 대응하는 롤러(40A, 40B)가 이동하지 않을 때 미리 결정된 값과 같을 수 있고, 대응하는 롤러(40A, 40B)가 소모품(12)의 삽입 방향으로 또는 소모품의 추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할 때 이 값의 초과 또는 미만이다. 물론, 대응하는 롤러(40A, 40B)의 회전 방향을 인코딩하기 위해 다른 많은 형태 및 유형의 신호가 가능하다.
제어기(26)는,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에 의해 각각 생성되는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 모두에 따라 가열기(22)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맞게 조정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제어기(26)는,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에 의해 각각 생성되는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에 의존하는 제어 로직(39)에 따라 가열기(2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어 로직(39)은 대응하는 센서(24A, 24B)에 의해 생성되는 현재의 제1 센서 신호(S24A) 및 현재의 제2 센서 신호(S24B)에 의존한다. 제어 로직(39)은, 또한, 이전의 제1 센서 신호 및 이전의 제2 센서 신호에 의존할 수 있다. 이전의 제1 센서 신호 및 이전의 제2 센서 신호는 현재의 제1 센서 신호(S24A) 및 현재의 제2 센서 신호(S24B) 직전에 생성된 제1 센서 신호 및 제2 센서 신호에 각각 대응한다.
제어기(26)는 제어 로직(39)에 따라 가열기(22)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가열기(22)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신호는 이하 "활성화 제어 신호(AS)", "비활성화 제어 신호(DS)" 및 "널 제어 신호(NS)"라고 칭한다. 유리하게, 널 제어 신호(NS)는 제어기(26)에 의해 전송된 신호에 대응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26)는 제어 로직(39)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부분(42A)을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로직(39)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서비스 센터에서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조 중에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어 로직(39)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42)는, 시간 경과에 따라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RAM과 같은) 휘발성 부분(4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42)의 이 부분(42B)은, 다시 말하면,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가 포지티브(+), 네거티브(-), 또는 널(0)이면 시간 경과에 따른 제1 센서(24A)와 제2 센서(24B)의 회전 방향을 저장하는 데 맞게 조정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메모리(42)의 휘발성 부분(42B)은, 현재의 제1 센서 신호(S24A) 및 현재의 제2 센서 신호(S24B), 적어도 이전의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적어도 이전의 제2 센서 신호(S24B)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메모리(42)는 이중-버퍼 메모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방법은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 모두에 따라 가열기(22)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초기에는, 소모품(12)이 소켓(20)으로부터 추출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0)가 비활성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가 비활성화되면, 제1 신호 센서(S24A, S24B)는 널(0)이다. 다시 말하면, 제1 및 제2 센서(24A, 24B)에 의해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가 비활성화되면, 제어기(26)는 널 제어 신호(NS)를 가열기(22)에 전송한다(즉, 제어기(26)에 의해 가열기(22)로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다).
이어서,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품(12)을 소켓(20)에 삽입하기 시작한다. 소켓(20)의 제1 부분(20A)에서 소모품(12)을 검출하면, 제어기(26)는 제어 로직(39)에 따라 가열기(22)를 동작시킨다. 도 3 및 도 4는 소모품의 삽입 동안 소모품(12)의 다음 위치를 도시한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소모품(12)은 소켓(20) 내에 삽입되고 있으며 이미 소켓(20)의 제1 부분(20A)을 통과하였다. 삽입 동안, 제1 센서(24A)의 제1 롤러(40A)는 소켓(20) 내의 소모품(12)의 삽입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며, 제2 롤러(40B)는 정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센서(24A)는 소켓(20)의 제1 부분(20A) 내의 소모품(12)을 검출한다. 반대로, 제2 센서(24B)는 소켓(20)의 제2 부분(20B) 내의 소모품(12)을 검출하지 못한다. 생성된 제1 센서 신호(S24A)는 포지티브(+)이고, 제2 센서 신호(S24B)는 널(0)이다. 생성된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는 제어기(26)로 전송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 경우, 제어 로직(39)은, 제1 센서 신호(S24A)가 포지티브(+)이고 제2 센서 신호(S24B)가 널(0)이므로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는 가열기(22)의 비활성화이다. 제어 로직(39)에 따르면, 제어기(26)는 어떠한 제어 신호(즉, 널 제어 신호(NS))도 가열기(22)에 보내지 않으므로, 가열기(22)의 비활성화를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소모품(12)이 소켓(20)에 삽입되고 있고 양측 부분(20A, 20B)을 이미 통과하였다. 삽입 동안, 제1 롤러(40A)와 제2 롤러(40B)는 모두 소켓(20) 내의 소모품(12)의 삽입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따라서, 소모품(12)은 소켓(20)의 제1 부분(20A) 및 제2 부분(20B) 모두 내의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에 의해 검출된다. 생성된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는 모두 포지티브(+)이다. 생성된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는 제어기(26)로 전송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로직(39)은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 각각이 포지티브(+)이므로 가열기(22)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 로직(39)에 따르면, 제어기(26)는 활성화 제어 신호(AS)를 가열기(22)에 전송하여 가열기(22)를 활성화한다.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품(12)이 소켓(20)의 바닥 부분(34)에 맞닿을 때 삽입을 완료한다. 이 위치에서, 소모품(12)은 베이핑에 사용될 수 있다.
베이핑 동안, 소모품(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는 모두 널(0)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 경우, 제어 로직(39)은,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가 각각 포지비트(+) 후에 널(0)이므로,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는 가열기(22)의 활성화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어 로직(39)에 기초하여, 제어기(26)는 어떠한 제어 신호(즉, 널 제어 신호(NS))도 가열기(22)에 보내지 않고, 따라서 가열기(22)의 활성화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으로부터 소모품(12)을 추출하기 시작할 때, 제1 롤러(40A) 및 제2 롤러(40B)는 소켓(20)으로부터 소모품(12)의 추출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따라서, 소모품(12)은 소켓(20)의 제1 부분(20A) 및 제2 부분(20B) 모두 내의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에 의해 검출된다. 제1 센서 신호(S24A)와 제2 센서 신호(S24B)는 네거티브(-)이다. 생성된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는 제어기(26)로 전송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로직(39)은, 제1 센서 신호(S24A)가 네거티브(-)이고 제2 센서 신호(S24B)가 네거티브(-)이므로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는 가열기(22)의 활성화된 상태이다. 제어 로직(39)에 기초하여, 제어기(26)는 어떠한 제어 신호(즉, 널 제어 신호(NS))도 가열기(22)에 보내지 않고 따라서 가열기(22)의 활성화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으로부터 소모품(12)을 계속 추출하면, 제1 롤러(40A)는 소켓(20)으로부터의 소모품(12)의 추출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제2 롤러(40B)는 정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센서(24A)는 소켓(20)의 제1 부분(20A) 내의 소모품(12)을 검출한다. 반대로, 제2 센서(24B)는 소켓(20)의 제2 부분(20B) 내의 소모품(12)을 검출하지 못한다. 제1 센서 신호(S24A)는 널(0)이고 제2 센서 신호(S24B)는 네거티브(-)이다. 생성된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는 제어기(26)로 전송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로직(39)은, 제1 센서 신호(S24A)가 네거티브(-)이고 제2 센서 신호(S24B)가 널(0)이므로,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는 가열기(22)의 활성화된 상태이다. 제어 로직(39)에 기초하여, 제어기(26)는 어떠한 제어 신호(즉, 널 제어 신호(NS))도 가열기(22)에 보내지 않고 따라서 가열기(22)의 활성화를 유지한다.
소모품(12)이 소켓(20)으로부터 추출되어 제1 롤러(40A) 및 제2 롤러(40B)가 정지하면,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는 네거티브(-) 후에 널(0)이다. 제1 센서(24A) 및 제2 센서(24B)는 소켓(20)의 제1 부분(20A) 및 제2 부분(20B) 내의 소모품(12)을 검출하지 않는다. 생성된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는 제어기(26)로 전송된다. 도 8을 참조해 볼 때, 제어 로직(39)은,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 각각이 네거티브(-) 후에 널(0)이므로, 가열기(22)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 로직(39)에 기초하여, 제어기(26)는 비활성화 제어 신호(DS)를 가열기(22)에 전송하여 가열기(22)를 비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와 동일한 내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구성요소들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1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와 제어 로직(39) 및 메모리(42)에서만 차이가 있다.
특히,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부는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할 제어 로직(139)에 따라 이 장치의 가열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로직(139)은, 제1 센서 신호(S24A)가 네거티브(-)이고 제2 센서(S24B) 신호가 널이면 가열기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제어 로직(39)과 상이하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로직(139)은, 제1 센서 신호(S24A)와 제2 센서 신호(S24B) 각각이 널(0)이면 제2 실시예의 제어 로직(139)이 가열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제어 로직(39)과 상이하다. 이러한 제어 로직(139)의 구성은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각 롤러가 회전하지 않는 상황에 해당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비휘발성 부분(42A)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시간 경과에 따라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비휘발성 부분(42B)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실제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2 실시예에서, 제어 로직(139)은 이전의 제1 센서 신호 및/또는 이전의 제2 센서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모품이 소켓으로부터 추출되고 있고 소켓의 제1 부분 내에서만 검출되는 경우 제어 로직(139)이 가열기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제어 방법과 상이하다. 제어 로직(139)에 따르면, 제어기는 비활성화 제어 신호(DS)를 가열기에 보내어 가열기를 비활성화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센서 신호(S24A) 및 제2 센서 신호(S24B)가 널(0)이면, 제어 로직(139)이 가열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제어 방법과 상이하다. 따라서, 현재 상태가 가열기의 활성화된 상태이면, 제어기는 가열기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반대로, 가열기의 현재 상태가 가열기의 비활성화된 상태이면, 제어기는 가열기의 비활성화를 제어한다. 제어 로직(139)에 따르면, 제어기는 어떠한 제어 신호(즉, 널 제어 신호(NS))도 가열기에 보내지 않으므로 가열기를 활성화된 상태 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한다.

Claims (14)

  1. 소모품(12)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로서,
    - 상기 소모품(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20);
    - 상기 소켓(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소모품이 상기 소켓(20)에 수용될 때 상기 소모품(12)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22);
    - 적어도 제1 센서(24A)와 제2 센서(24B)로서, 상기 제1 센서(24A)와 제2 센서(24B) 각각은, 상기 소켓(20)의 적어도 제1 부분(20A)과 상기 소켓(20)의 제2 부분(20B) 내의 상기 소모품(12)을 각각 검출하고, 제1 센서 신호(S24A)와 제2 센서 신호(S24B)를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와 제2 센서; 및
    - 센서 신호(S24A, S24B) 모두에 따라 상기 가열기(2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26)를 포함하고,
    각 센서(24A, 24B)는, 상기 소모품(12)이 상기 소켓(20)의 대응하는 부분(20A, 20B)에 수용되고 있을 때 또는 이 부분(20A, 20B)으로부터 추출되고 있을 때 회전 이동가능한 롤러(40A, 40B)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20)은 소켓 축(Y)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센서(24B)와 상기 제1 센서(24A)는 상기 소켓 축(Y)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20)은 내벽(30)에 의해 획정되고, 각 센서(24A, 24B)는 상기 내벽(30) 상에 형성된 애퍼처(30A, 30B)에 배치되고 이 애퍼처(30A, 30B)로부터 돌출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센서 (24A, 24B)는 대응하는 롤러(40A, 40B)의 회전 방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6)는, 상기 제1 센서 신호(S24A)와 상기 제2 센서 신호(S24B)의 각각에 의존하는 제어 로직(39; 139)에 따라 상기 가열기(2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6. 제4항과 조합되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신호(S24A)와 상기 제2 센서 신호(S24B)의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롤러(40A, 40B)의 회전 방향이 상기 소켓(20)의 대응하는 부분(20A, 20B))에서의 상기 소모품(12)의 삽입 방향에 대응할 때 포지티브(+)이고, 상기 대응하는 롤러(40A, 40B)의 회전 방향이 상기 소켓(20)의 대응하는 부분(20A, 20B))으로부터의 상기 소모품(12)의 추출 방향에 대응할 때 네거티브(-)이고, 그 외에는 널(null; 0)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39; 139)은, 상기 제1 센서 신호(S24A)와 상기 제2 센서 신호(S24B)의 각각이 포지티브(+)이면 상기 가열기(22)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39; 139)은, 상기 제1 센서 신호(S24A)가 포지티브(+)이고 상기 제2 신호(S24B)가 널이면 또는 상기 제1 센서 신호(S24A)가 네거티브(-)이고 상기 제2 센서 신호(S24B)가 네거티브(-)이면 상기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39)은, 상기 제1 센서 신호(S24A)와 상기 제2 센서 신호(S24B)의 각각이 포지티브(+) 후에 널(0)이면 상기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39)은, 상기 제1 센서 신호(S24A)와 상기 제2 센서 신호(S24B)의 각각이 네거티브(-) 후에 널(0)이면 상기 가열기(22)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39)은, 상기 제1 센서 신호(S24A)가 네거티브(-)이고 상기 제2 신호가 널(0)이면 상기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12.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139)은, 상기 제1 센서 신호(S24A)가 네거티브(-)이고 상기 제2 센서 신호(S24B)가 널(0)이면 상기 가열기(22)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139)은, 상기 제1 센서 신호(S24A)와 상기 제2 센서 신호(S24B)의 각각이 널(0)이면 상기 가열기(22)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으로서,
    센서 신호(S24A, S24B) 모두에 따라 상기 가열기(22)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37032673A 2021-03-22 2022-03-22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230160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64024.8 2021-03-22
EP21164024 2021-03-22
PCT/EP2022/057399 WO2022200299A1 (en) 2021-03-22 2022-03-22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273A true KR20230160273A (ko) 2023-11-23

Family

ID=7514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673A KR20230160273A (ko) 2021-03-22 2022-03-22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90584A1 (ko)
EP (1) EP4312631A1 (ko)
JP (1) JP2024510702A (ko)
KR (1) KR20230160273A (ko)
CN (1) CN117098471A (ko)
WO (1) WO20222002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505A (en) * 1992-09-11 1997-03-25 Philip Morris Incorporated Inductive heating systems for smoking articles
SI3076812T1 (en) * 2013-12-03 2018-06-29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producing element and an electrical system having an embedded marking element
JP7045480B2 (ja) * 2018-05-25 2022-03-31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蒸気生成材料によって発生する歪みを測定するためのセンサを有する蒸気生成装置
EP3711542A1 (en) * 2019-03-22 2020-09-23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system
JP7262613B2 (ja) * 2019-04-02 2023-04-2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物品位置検出器を備えたエアロゾル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0702A (ja) 2024-03-11
EP4312631A1 (en) 2024-02-07
CN117098471A (zh) 2023-11-21
US20240090584A1 (en) 2024-03-21
WO2022200299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2418B1 (ko) 재충진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에어로졸 발생 키트 및 시스템
EP3463533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ntegral heater assembly
JP6532883B2 (ja) 電気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US20170360093A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using the venturi effect to deliver substrate to a heating element
US11083220B2 (en) Customizable devices for multiple consumables
KR20230151552A (ko) 히터 관리
KR20170072878A (ko) 연소 가스 검출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7140841B2 (ja) 非燃焼加熱型喫煙装置
JP7264577B2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160273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32351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890530B1 (en)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cartridge with leakage protection
KR102498337B1 (ko) 전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340090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JP2023553404A (ja) 電気化学センサスイッチを備え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WO2022117639A1 (en) Aerosol generation assembly and associated aerosol generation set and activating method
KR102286582B1 (ko) 궐련 및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1009986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3547059A (ja) エアロゾル発生装置、関連アセンブリ、及び制御方法
KR102563351B1 (ko) 카트리지 트레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60980B1 (ko) 액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20240057664A1 (en) Aerosol Generation Set Comprising a Pair of Magnetic Elements, and Associated Operation Method
KR20230059685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6568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103462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