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014A -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014A
KR20230160014A KR1020220059522A KR20220059522A KR20230160014A KR 20230160014 A KR20230160014 A KR 20230160014A KR 1020220059522 A KR1020220059522 A KR 1020220059522A KR 20220059522 A KR20220059522 A KR 20220059522A KR 20230160014 A KR20230160014 A KR 20230160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locking
locking plate
pi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승
박상도
정호석
김무영
이준환
정찬호
윤준영
김동진
황인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014A/ko
Priority to US18/104,862 priority patent/US20230365035A1/en
Publication of KR2023016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33Safety locks for back-rests, e.g. with locking bars activated by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시트에서 시트백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래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락킹상태를 유지하도록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는, 스트라이커(13)가 출납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플레이트(12); 상기 락킹플레이트(12)에 치합되어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락킹플레이트(12)가 상기 스트라이커(13)를 구속하는 락킹상태를 유지하고, 케이블(15)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락킹플레이트(12)와 분리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3)가 상기 락킹플레이트(12)로부터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언락상태가 되도록 하는 폴(14); 및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 사이에는 락킹상태에서는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을 저지하고, 락킹상태로부터 언락되기 시작할 때,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락킹유지부재(1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LATCH ASSEMBLY WITH FUNCTION MAINTAINING LOCKING STATE}
본 발명은 차량에서 시트에서 시트백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래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락킹상태를 유지하도록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는 상기 시트의 상태를 락킹 또는 언락되도록 하기 위하여 래치어셈블리가 적용된다.
상기 래치어셈블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 같이,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에 서로 회전가능하고 락킹플레이트(112)와 폴(114)이 설치된다. 상기 락킹플레이트(112)는 로워마운팅샤프트(112a)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폴(114)은 어퍼마운팅샤프트(114a)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락킹플레이트(112)와 상기 폴(114)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토션스프링(118)에 의해 상기 락킹플레이트(112)와 상기 폴(114)은 서로 치합되도록 탄성지지된다. 상기 락킹플레이트(112)에 형성된 스트라이커홈(112b)에 스트라이커(113)가 구속됨으로써, 상기 시트의 상태가 락킹되도록 한다.
도 1의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폴(114)과 연결된 케이블(115)이 당겨지면, 도 2와 도 3의 상태를 거쳐 상기 폴(114)이 회전하면서 상기 폴(1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12)의 치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113)가 상기 스트라이커홈(112b)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락킹이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래치어셈블리는 탑승자가 상기 케이블(115)을 당기는 경우 이외에도, 상기 차량의 급정차시, 관성이나 시트에 수화물이 충돌로 인한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폴(114)이 회전하여 상기 락킹플레이트(112)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113)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시트백이 앞으로 폴딩되면서 승객에게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케이블핀(114b)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12) 사이에 인장스프링(119)을 추가하여, 앞서 언급한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인장스프링(119)을 추가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115)을 당기는 조작력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2-0033822 A (2010.10.18, 명칭 : 시트 래치 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관성이나 충동에 의해 락킹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조작력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한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는, 스트라이커가 출납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플레이트; 상기 락킹플레이트에 치합되어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락킹플레이트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락킹상태를 유지하고, 케이블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락킹플레이트와 분리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락킹플레이트로부터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언락상태가 되도록 하는 폴; 및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 사이에는 락킹상태에서는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하고, 락킹상태로부터 언락되기 시작할 때,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락킹유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유지부재는, 상기 폴이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유지부재는, 락킹상태에서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만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폴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플레이트에 상기 폴핀을 수용하는 락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폴에 상기 폴핀을 수용하는 폴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락킹상태에서는 상기 폴핀의 일부가 상기 락킹홈에 위치하고, 상기 폴핀의 나머지는 상기 폴가이드홈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언락이 시작될 때, 상기 폴핀은 상기 락킹홈과 상기 폴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핀은,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케이블과 연동하여, 상기 락킹홈과 상기 폴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의 단부는 상기 폴에 정해진 거리만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폴케이블핀에 고정되고, 상기 폴핀은 상기 폴케이블핀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에 장공의 형태로 핀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폴케이블핀은 상기 핀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케이블핀과 상기 폴핀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폴케이블핀과 상기 폴핀이 이격된 거리에서 체결되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홈과 상기 폴가이드홈은 락킹 상태에서는 서로 연통하도록 상기 락킹플레이트과 상기 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는, 스트라이커가 출납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플레이트; 상기 락킹플레이트에 치합되어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락킹플레이트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락킹상태를 유지하고, 케이블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락킹플레이트와 분리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락킹플레이트로부터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언락상태가 되도록 하는 폴; 및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기 전까지 상기 락킹플레이트와 상기 폴에 동시에 치합되고,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락킹플레이트과 상기 폴 중의 어느 하나에만 치합되는 락킹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유지부재는,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만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폴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플레이트와 상기 폴에 상기 폴핀의 일부를 수용하는 락킹홈과 폴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핀은 상기 케이블이 연동하도록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폴케이블핀과 상기 폴핀은 브라켓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케이블핀는 상기 폴에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핀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에 따르면, 락킹상태에서는 폴핀이 락킹플레이트와 폴 사이에 끼워져 락킹플레이트와 폴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언락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래치어셈블리를 해제하기 위해 케이블을 당기면, 상기 폴핀은 케이블의 이동과 함께 상기 폴핀이 상기 락킹플레이트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어셈블리가 해제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케이블을 당기는 조작력이 증가하지 않고도 상기 폴핀을 상기 락킹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어서, 조작력이 증가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래치어셈블리가 락킹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래치어셈블리가 언락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래치어셈블리가 언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래치어셈블리에 인장스프링이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에서 브라켓에 폴케이블핀과 폴핀이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가 락킹된 상태에서 폴과 락킹플레이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에서 케이블이 당겨진 상태에서 폴과 락킹플레이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가 언락된 상태에서 폴과 락킹플레이트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는, 스트라이커(13)가 출납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플레이트(12)와, 상기 락킹플레이트(12)에 치합되어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락킹플레이트(12)가 상기 스트라이커(13)를 구속하는 락킹상태를 유지하고, 케이블(15)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락킹플레이트(12)와 분리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3)가 상기 락킹플레이트(12)로부터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언락상태가 되도록 하는 폴(14)와,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 사이에는 락킹상태에서는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을 저지하고, 락킹상태로부터 언락되기 시작할 때,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락킹유지부재(17)를 포함한다.
락킹플레이트(12)는 베이스(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락킹플레이트(12)는 로워마운팅샤프트(12a)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락킹플레이트(12)는 스트라이커(13)를 구속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홈(12b)이 형성된다. 상기 스트라이커홈(12b)은 상기 락킹플레이트(12)에 상기 스트라이커(13)가 출납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스트라이커(13)가 상기 스트라이커홈(12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플레이트(12)에 일정 각도 회전할 때, 상기 스트라이커(13)는 상기 스트라이커홈(12b)의 내부에 구속되어, 래치어셈블리가 락킹된 상태가 된다.
상기 락킹플레이트(12)가 상기 스트라이커(13)를 구속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스트라이커(13)는 상기 스트라이커홈(12b)으로부터 이탈하여 구속해제됨으로써, 상기 래치어셈블리는 언락 상태가 된다.
폴(14)은 상기 베이스(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폴(14)은 어퍼마운팅샤프트(14a)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폴(14)은 상기 락킹플레이트(12)에 접촉되어 상기 락킹플레이트(12)와 치합됨으로써,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을 저지하여, 락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는 토션스프링(18)과 같은 탄성부재를 통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14)은 탑승자가 상기 래치어셈블리를 언락시키도록 케이블(15)과 연결된다. 상기 탑승자가가 상기 래치어셈블리를 언락시키기 위해 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상기 케이블(15)이 당기면, 상기 폴(14)이 회전하여 상기 락킹플레이트(12)와 치합이 해제되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어셈블리는 언락상태가 된다.
서로 락킹된 상기 락킹플레이트(12)와 상기 폴(14)은 급정차로 인한 관성 또는 수화물의 충돌에 의해서, 락킹이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락킹플레이트(12)와 상기 폴(14) 사이에, 락킹상태에서는 동시에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을 저지하고, 락킹상태로부터 언락되기 시작하여,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락킹유지부재(17)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상기 락킹유지부재(17)는, 상기 케이블(15)이 당겨지기 전까지 상기 락킹플레이트(12)와 상기 폴(14)에 동시에 치합되고, 상기 케이블(15)이 당겨질 때, 상기 락킹플레이트(12)과 상기 폴(14) 중의 어느 하나에만 치합된다.
상기 락킹유지부재(17)는 락킹상태에서는 상기 락킹플레이트(12)와 상기 폴(14)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케이블(15)이 당겨질 때,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 중 어느 하나에만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락킹유지부재(17)의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에 각각 일부가 끼워지거나,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폴핀(17)이 될 수 있다.
상기 폴핀(17)은 상기 케이블(15)과 연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락킹상태에서는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에 각각 일부가 동시에 끼워져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락킹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래치어셈블리의 언락을 위하여, 상기 케이블(15)이 당겨지면, 상기 폴핀(17)은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 중 어느 하나에만 택일적(擇一的)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래치어셈블리가 언락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폴핀(17)이 상기 락킹플레이트(12)과 상기 폴(14)에 끼워지도록 상기 락킹플레이트(12)와 상기 폴(14)에 락킹홈(12c)과 폴가이드홈(14c)이 각각 형성된다(도 10 참조). 상기 락킹홈(12c)은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둘레로부터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락킹홈(12c)을 통하여 상기 폴핀(17)이 출납되도록 한다. 상기 폴가이드홈(14c)도 상기 폴(14)의 둘레로부터 상기 폴(14)의 내측을 향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폴가이드홈(14c)을 통하여 상기 폴핀(17)이 출납될 수 있다.
상기 락킹홈(12c)과 상기 폴가이드홈(14c)은 상기 래치어셈블리가 락킹 상태에서는 서로 연통하도록 상기 락킹플레이트(12)과 상기 폴(14)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핀(17)이 상기 래치어셈블리의 언락이 시작될 때, 상기 폴(14)의 내부에 모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폴핀(17)은 상기 케이블(15)과 연동하여, 상기 케이블(15)이 당겨지면,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상기 폴(14)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폴핀(17)과 상기 케이블(15)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15)은 상기 폴(14)에 연결하는 폴케이블핀(14b)과 상기 폴핀(17)이 하나의 구조체가 되도록 브라켓(16)에 제공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6)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폴케이블핀(14b)과 상기 폴핀(17)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폴케이블핀(14b)과 상기 폴핀(17)이 일체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5)이 당겨질 때, 상기 폴핀(17)이 상기 폴가이드홈(14c)에만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폴케이블핀(14b)이 상기 폴(14)에 연결될 때, 상기 폴핀(17)이 상기 락킹홈(12c)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폴가이드홈(14c)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폴케이블핀(14b)도 상기 폴(14)에 일정거리만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폴(14)에 상기 장공의 형태를 갖는 핀가이드홈(14d)을 형성하고, 상기 핀가이드홈(14d)에 상기 폴케이블핀(14b)이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폴케이블핀(14b)은 상기 핀가이드홈(14d)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한다.
탑승자가 상기 래치어셈블리의 해제를 위하여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케이블(15)은 당겼을 때, 상기 탑승자의 조작력이 손실없이 상기 폴핀(17)을 이동시키고, 상기 폴(14)을 회전킬 수 있도록, 상기 락킹홈(12c), 상기 폴가이드홈(14c), 상기 폴(14) 및 상기 핀가이드홈(14d)을 가상의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래치어셈블리가 락킹된 상태가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폴핀(17)이 상기 폴가이드홈(14c)과 상기 락킹홈(12c)에 각각 일부가 끼워져 있어서, 상기 래치어셈블리에 관성이 작용하거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는 회전하지 못하므로, 락킹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탑승자가 상기 래치어셈블리를 언락시키기 위하여, 레버를 조작할 때, 상기 케이블(15)이 당겨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15)이 당겨지는 초기에는, 상기 케이블(15)의 단부에 위치한 상기 폴케이블(15)이 당겨지고, 이와 일체로 체결된 상기 폴핀(17)도 함께 상기 케이블(15)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폴핀(17)이 상기 케이블(15)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케이블(15)은 상기 락킹홈(12c)으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폴핀(17)은 모두 상기 폴가이드홈(14c)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폴핀(17)이 상기 폴가이드홈(14c)의 내부에 모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는 서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케이블(15)이 계속해서 당겨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블(15)은 상기 폴(14)을 회전시켜 상기 폴(14)과 상기 락킹플레이트(12)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한다(도 12 참조). 상기 폴(14)이 더 이상 상기 락킹플레이트(12)에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락킹플레이트(12)는 상기 스트라이커(13)의 구속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래치어셈블리는 언락상태가 된다.
12 : 락킹플레이트 12a : 로워마운팅샤프트
12b : 스트라이커홈 12c : 락킹홈
13 : 스트라이커 14 : 폴
14a : 어퍼파운팅샤프트 14b : 폴케이블핀
14c : 폴가이드홈 14d : 핀가이드홈
15 : 케이블 16 : 브라켓
17 : 폴핀 18 : 토션스프링
111 : 베이스 112 : 락킹플레이트
112a : 로워마운팅샤프트 112b : 스트라이커홈
113 : 스트라이커 114 : 폴
114a : 어퍼파운팅샤프트 114b : 폴케이블핀
115 : 케이블 118 : 토션스프링
119 : 인장스프링

Claims (15)

  1. 스트라이커가 출납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플레이트;
    상기 락킹플레이트에 치합되어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락킹플레이트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락킹상태를 유지하고, 케이블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락킹플레이트와 분리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락킹플레이트로부터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언락상태가 되도록 하는 폴; 및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 사이에는 락킹상태에서는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하고, 락킹상태로부터 언락되기 시작할 때,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락킹유지부재;
    를 포함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지부재는,
    상기 폴이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지부재는,
    락킹상태에서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만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폴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플레이트에 상기 폴핀을 수용하는 락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폴에 상기 폴핀을 수용하는 폴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락킹상태에서는 상기 폴핀의 일부가 상기 락킹홈에 위치하고, 상기 폴핀의 나머지는 상기 폴가이드홈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언락이 시작될 때, 상기 폴핀은 상기 락킹홈과 상기 폴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핀은,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케이블과 연동하여, 상기 락킹홈과 상기 폴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는 상기 폴에 정해진 거리만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폴케이블핀에 고정되고,
    상기 폴핀은 상기 폴케이블핀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에 장공의 형태로 핀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폴케이블핀은 상기 핀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케이블핀과 상기 폴핀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폴케이블핀과 상기 폴핀이 이격된 거리에서 체결되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홈과 상기 폴가이드홈은 락킹 상태에서는 서로 연통하도록 상기 락킹플레이트과 상기 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11. 스트라이커가 출납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플레이트;
    상기 락킹플레이트에 치합되어 상기 락킹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락킹플레이트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락킹상태를 유지하고, 케이블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락킹플레이트와 분리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락킹플레이트로부터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언락상태가 되도록 하는 폴; 및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기 전까지 상기 락킹플레이트와 상기 폴에 동시에 치합되고,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락킹플레이트과 상기 폴 중의 어느 하나에만 치합되는 락킹유지부재;
    를 포함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지부재는,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폴과 상기 락킹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만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폴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플레이트와 상기 폴에 상기 폴핀의 일부를 수용하는 락킹홈과 폴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핀은 상기 케이블이 연동하도록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폴케이블핀과 상기 폴핀은 브라켓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폴케이블핀는 상기 폴에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핀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KR1020220059522A 2022-05-16 2022-05-16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KR20230160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522A KR20230160014A (ko) 2022-05-16 2022-05-16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US18/104,862 US20230365035A1 (en) 2022-05-16 2023-02-02 Latch assembly capable of maintaining locking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522A KR20230160014A (ko) 2022-05-16 2022-05-16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014A true KR20230160014A (ko) 2023-11-23

Family

ID=8870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522A KR20230160014A (ko) 2022-05-16 2022-05-16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365035A1 (ko)
KR (1) KR202301600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3822A (ko) 2010-09-30 2012-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래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3822A (ko) 2010-09-30 2012-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래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65035A1 (en)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9855A (en) Buckle for seat belt
EP2141312B1 (en) Locking device
US10648201B2 (en) Inertial lock device for release cable assembly
KR101662900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470248B1 (ko)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101643468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20230160014A (ko) 락킹을 유지할 수 있는 래치어셈블리
CN212002747U (zh) 对车门的打开或关闭顺序没有限制的锁定装置及使用该锁定装置的车辆
KR20120043993A (ko) 개량된 차일드락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래치
KR101541251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587816B1 (ko) 안티-잼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3844179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3886087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662903B1 (ko) 차량용 후드래치
JP6950668B2 (ja) グラブボックスロック装置
US6991272B2 (en) Vehicle latch assembly
JP5994151B2 (ja) ドアロック装置のカウンタウェイト取付構造
JP2018021318A (ja) 車両用ロック装置
KR20170021996A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KR100208588B1 (ko) 자동차의 도어 외측 핸들
US20190070987A1 (en) Vehicle seat with walk-in mechanism
RU2634895C2 (ru) Механизм блокировки, система открывания и автомобиль
KR101371257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517025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