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586A - 쌀의 수확량을 개선하고, 벼의 도열병, 문고병 및 이의 조합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쌀의 수확량을 개선하고, 벼의 도열병, 문고병 및 이의 조합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586A
KR20230159586A KR1020237036351A KR20237036351A KR20230159586A KR 20230159586 A KR20230159586 A KR 20230159586A KR 1020237036351 A KR1020237036351 A KR 1020237036351A KR 20237036351 A KR20237036351 A KR 20237036351A KR 20230159586 A KR20230159586 A KR 20230159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elargonate
choline
composition
oryz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한 드 자에거
안드레아 네슬러
안 베르마에떼
요나스 구센스
마리아 카이아파
Original Assignee
비파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파 엔브이 filed Critical 비파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23015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5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3/00Fungic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의 쌀 수확량을 미치료 벼의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쌀의 수확량을 개선하고, 벼의 도열병, 문고병 및 이의 조합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넓게는 농업 분야, 더욱 정확하게는 쌀의 곡물 보호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벼의 쌀 수확량을 미치료 벼의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오늘날 전세계 많은 인구들의 주식인 곡물이다. 미곡에 해를 끼치고,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Pyricularia oryzae)라는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벼 도열병은 전세계 미곡이 경작되는 지역에서 쌀의 생산을 방해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들중 하나이다. 미곡을 공격하는 벼 도열병은 쌀의 수확량을 61%만큼, 즉 1 헥타르당 3.65 톤씩 감소시킬 수 있다(Suganda et al., Jurnal Agrikultura, 2016, 27 (3): 154-159). 곡물농작 실패를 유발할 수 있는 벼 도열병은 잎, 주맥, 목, 원추화서 및 쌀알을 포함하여 벼의 모든 부분을 공격할 수 있다.
미곡의 벼 도열병 증상은 다양하고, 곡물의 내성 수준에 의존한다. 병해를 더욱 입기 쉬운 식물의 경우, 눅눅하고 가장자리가 암녹색을 띠는 녹회색 병반이 나타날 것이다. 반면에, 내성이 더욱 큰 품종의 경우 병반은 그 크기가 1 mm ~ 2 mm로 작고, 갈색 또는 암갈색을 띤다.
벼에 발생하는 또 다른 중증 질병들중 하나는 문고병(잎짚무늬마름병)인데, 이 질병은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에 의해 유발된다. 문고병은 세계적인 몇몇 쌀 생산 국가에서 수확량을 20% ~ 35%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Inagaki, Scl. Rep. Fac. Agric. Meljo Univ., 2001, 37: 57-66). 리족토니아 솔라니 진균 감염은 모든 원추화서상 여문 알곡의 양, 원추화서의 길이, 그리고 알곡이 여문 백분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첫 번째 증상은 수면 근처 잎의 주맥에 발달하는 녹회색 병반이다. 병반은 타원형 또는 달걀형으로서, 길이 1 cm이고, 폭 2 cm ~ 3 cm이며, 서로 융합되기도 한다. 병반의 경계와 색의 변화는 식물의 감염된 부분에 명확한 패턴을 제공한다. 습한 조건에서, 진균 균사체는 하얀색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진균은 불규칙적인 균핵을 형성한다. 습도가 최적일 때, 감염된 이웃 줄기와 접촉하게 된 잎몸도 또한 감염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보통 성숙기 동안 나타나며, 벼의 잎에서 발견될 수 있다.
도열병과 문고병을 억제하기 위한 제안으로서는, 내성을 가지는 품종, 균형을 맞춘 비료, 살진균제 및 경작법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장 두드러진 억제 방법은 내성을 가지는 품종 식물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진균, 예컨대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는 신속한 방식으로 적응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므로, 이 진균은 내성을 가지는 품종에 의해 확립된 내성을 파괴할 수 있다. 따라서 살진균제 사용을 통한 억제는 여전히 가장 믿을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럼에도 불구 살진균제의 지속적 사용은 또한 내성을 가지는 균주의 출현을 촉발할 수 있었다.
상기 언급된 문제들에 비추어 보았을 때, 벼의 도열병과 문고병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적이고/추가적이거나 개선된 방법은 당 분야에 여전히 필요하다.
WO 2020/104645는, 살진균제로서 C8-C10 지방산의 콜린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이나 식물의 일부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C8-C10 지방산, 예컨대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또는 카프르산은, 이러한 지방산의 일반적으로 공지된 접촉성 제초제로서의 용도에도 불구, 지방산의 콜린염으로서 제형될 때 식물독성 영향력을 강력하게 감소시켰거나 심지어 이러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고, 식물에 대해 만족스러운 살진균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WO 2020/104645는, 벼의 도열병 또는 문고병의 예방 또는 억제에 관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및/또는 문고병에 유효한 살진균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벼에서의 도열병에 대하여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로 얻어진 결과들은 예상외로 보리와 같은 기타 곡물에서의 도열병에 대하여 얻어진 결과보다 월등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문고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광범위한 실험적 테스트에 의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사용시 효능 수준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예컨대 Nordox 56 WP, Allied Botanical Corporation, Philippines(도열병의 예방적 치료용); Antracol 70 WP, Bayer CropScience(잎집무늬마름병의 예방적 치료용); 또는 Amistar Top 325 SC, Syngenta Bangladesh(도열병 또는 잎집무늬마름병의 치유적 치료용) 사용시 효능 수준과 유사하거나 그보다 훨씬 더 우수함을 발견하였다. 유리하게,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에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사용되면, 쌀의 손실 감소 및 쌀 수확량 증가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사용후에 얻어진 쌀의 손실 감소 및 쌀 수확량 증가를 훨씬 능가하도록 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벼의 쌀 수확량을 미치료 벼의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측면은 벼의 쌀 수확량을 미치료 벼의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실시예 섹션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치료된 벼에서의 수확량은 미치료 벼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으로 치료된 벼에서의 수확량을 능가하였음과 아울러, 본 조성물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 식물독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게다가 본 발명자들은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에 대한 최고의 효능 수준과 최다 쌀 수확량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에 의한 예방적 치료시, 즉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발현되기 전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벼 또는 이의 일부에 적용될 때 달성되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발현되기 전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예상외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예컨대 식물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농도에서) 치유적으로 처리될 때, 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의 도열병 및 잎집무늬마름병 발달에 완전한 정지 효과(stop-effect)를 제공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도열병과 잎집무늬마름병의 주요 억제 방법이 이행성 살진균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한편, 펠라르곤산은 통상 접촉성(즉 비이행성) 제초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음이 고려될 때, 이러한 발견은 놀라운 것이다. 그러므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치유적 질병 억제를 위한 이행성 살진균제로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발현된 후, 바람직하게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25%에 이르기 전,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게다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문고병 또는 이의 조합에 대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사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 식물독성을 유발하지 않는다.
추가의 측면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함에 있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들과 추가의 측면들, 그리고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이하 섹션들 및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특허 대상은 본원의 발명의 설명에 구체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 형태 "한(a)", "하나의(an)" 및 "본(the)"은 문맥에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의 지시 대상을 모두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을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다(comprise)" 및 "~로 구성된(comprised of)"이라는 용어는 "~을 포함하는(including)", "~을 포함하다(include)" 또는 "~을 함유하는(containing)", "~을 함유하다(contain)"와 동의어로서, 포괄적이거나 개방적이며, 추가적이되 나열되지 않은 구성원, 구성요소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 용어들은 또한 "~으로 이루어진" 및 "본질적으로 ~으로 이루어진"을 포함한다.
한계치들에 의한 수치 범위의 나열에는 각각의 범위 내에 포함된 모든 숫자와 분수뿐만 아니라, 나열된 한계치들이 포함된다.
매개변수, 양, 시간 지속기간 등과 같은 측정 가능한 값이 언급될 때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약"이란 용어는, 특정 값의 변화 및 특정 값으로부터의 변화, 구체적으로 특정 값의 +/- 10% 이하의 변화, 바람직하게는 +/- 5% 이하의 변화, 더욱 바람직하게는 +/- 1% 이하의 변화,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 0.1% 이하만큼의 변화 및 이러한 만큼으로부터의 변화를 포함하되, 이러한 변화는 개시된 발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수식어 "약"이 지칭하는 값 자체도 또한 구체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 개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원 군중 1개 이상의 구성원과 같은 "1개 이상"이라는 용어는 그 자체로 분명하지만, 이 용어는 추가 예시를 통해 특히 상기 구성원들중 임의의 것 1개 또는 상기 두 구성원들중 임의의 것 2개 이상, 예컨대 상기 구성원들중 임의의 것 3개 이상, 4개 이상, 5개 이상, 6개 이상 또는 7개 이상의 언급과, 상기 구성원 모두에 이르기까지의 언급을 포함한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그 전체가 참고문헌으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용어 정의는, 추가 지침을 통해 본 발명의 교시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광범위한 실험 테스트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에 대한 예방적 및 치유적 질병 억제 둘 다에 유효한 살진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방법은 농업적 방법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농업적"이란 용어는, 쌀을 포함하는 곡물을 생육하는 활동 또는 사업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바와 같은 "치료"란 용어는 질병, 예컨대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측정 가능한 증상 또는 마커 1개 이상을 완화 또는 측정 가능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측정 가능한 감소는 측정 가능한 증상 또는 마커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임의의 감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 용어는, 치유적 치료와, 질병의 증상을 감소시키고/감소시키거나 그 진행을 늦추는 것에 관한 치료 둘 다를 포함한다. 이 용어들은 그 목적이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예방하거나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 발병한 질병의 치유적 치료뿐 아니라, 예방학적 또는 예방적 수단이나 치료 둘 다를 포함한다. 구현예들에서, 치료는 치유적 치료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치료는 예방적 치료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적용이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달을 (예컨대 식물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투여량일 때) 높은 효능 수준으로 억압하였고, 쌀의 수확량 증가를 허용하였으며, 심지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에 의한 예방적 치료 및 치유적 치료 후 얻어진 벼 수확량을 능가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예방적 치료", "보호적 치료" 또는 "보호제 치료"란 용어는, 예컨대 도열병, 문고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생, 발달 및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 도열병, 문고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생 가능성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치유적 치료"란 용어는, 이미 발달한 도열병, 문고병 또는 이의 조합을 치료하는 것, 예컨대 이미 발달한 도열병, 문고병 또는 이의 조합을 감소, 안정화, 억압 및 치유하는 것을 지칭한다.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하는 것" 및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치료하는 것"이란 어구들은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목적이 도열병, 문고병 또는 이의 조합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방 또는 줄이기 위함, 예컨대 그 목적이 도열병, 문고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생, 발달 및 진행을 예방하기 위함인, 이미 발달한 도열병, 문고병 또는 이의 조합을 실제 치료하는 것, 예컨대 이미 발달한 도열병, 문고병 또는 이의 조합을 감소, 안정화, 억압 및 치유하는 것뿐 아니라, 예방학적 또는 예방적 수단 둘 다를 포함한다.
"도열병", "벼의 도열(병)", "벼의 도열병" 또는 "병충해"란 용어들은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에 의해 유발되는 벼의 질병을 지칭한다.
벼 도열병, 벼 썩은 목, 벼모 마름병, 벼의 도열(병), 그라미네아(graminea)의 달걀형 잎 병반, 구멍병(pitting disease), 라이그라스 도열, 존슨 병반 및 목 도열 진균으로도 공지된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는 밀, 호밀, 보리 및 기장을 포함한 곡물과 쌀에 발병하는 도열병을 유발시키는 식물 병원성 진균이다.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는 또한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Magnaporthe grisea), 파이리큘라리아 그리세아(Pyricularia grisea), 세라토스파에리아 그리세아(Ceratosphaeria grisea), 닥틸라리아 그리세아(Dactylaria grisea), 닥틸라리아 오라이재(Dactylaria oryzae), 프라그모포르테 그리세아(Phragmoporthe grisea) 또는 트리코테시움 그리세움(Trichothecium griseum)이라고도 지칭된다. 파이리큘라리아 그리세아 및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라는 명칭은 이 병원체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병원체의 생애주기의 상이한 단계들과 관련되어 있다(파이리큘라리아 그리세아는 무성생식형이고,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는 유성생식형임).
도열병의 증상으로서는, 식물의 모든 지상 부분, 예컨대 잎, 잎깃(leaf collar),목, 원추화서, 소화경 및 종자뿐 아니라, 뿌리에서도 발견될 수 있는 병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도열병의 증상으로서는 잎의 병변을 포함한다. 초기 증상은 싹의 모든 부분에 생성되고, 더 진한 경계를 가지는 흰색 ~ 녹회색 병변 또는 병반을 포함하는 반면, 더 오래된 병변은 타원형 또는 나선형이면서, 흰색 ~ 회색을 띠고, 괴사성 경계를 가진다. 병변들은 점점 커지면서 융합되어, 잎 전체를 사멸시킬 수 있다. 도열병은 또한 실제 알곡의 성숙을 방해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벼의 각각의 구역에서 도열병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벼의 발달 단계 범위(즉 BBCH 범위(BBCH range))를 동정(확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 BBCH 범위는 살진균제 처리의 타이밍에 대응한다. 또한 도열병 증상이 악화되거나 증가하는 발달 단계 범위(즉 BBCH 범위)가 확정될 수 있다. 이러한 BBCH 범위는 추가 살진균제 처리의 타이밍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에서 치료는 BBCH 범위 37-43; 49-53; 61-67에 집중된다. 그러나 증상의 출현은 질병 발달 및 숙주 식물 공격에 유리한 기후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다(더 이를 수 있거나 더 느릴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증상은 BBCH 21 ~ BBCH 53, 예컨대 BBCH 30 ~ BBCH 53, 예컨대 BBCH 30 이후, 예컨대 BBCH 31, BBCH 32, BBCH 33, BBCH 34, BBCH 35, BBCH 36 또는 그 이후부터 나타난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증상은 BBCH 37 ~ BBCH 43, 예컨대 BBCH 37 이후, 예컨대 BBCH 38, BBCH 39, BBCH 40, BBCH 41, BBCH 42 또는 BBCH 43으로부터 나타난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증상은 BBCH 49 ~ BBCH 53에 나타난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증상은 BBCH 61 ~ BBCH 67에 나타난다.
"잎집무늬마름병",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문고병" 또는 "벼의 문고병"이란 용어들은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리족토니아 솔라니에 의해 유발되는 벼의 질병을 지칭한다.
리족토니아 솔라니는 숙주 범위가 넓은 식물 병원성 진균이다. 리족토니아 솔라니는 또한 모닐리옵시스 아데롤디이(Moniliopsis aderholdii), 모닐리옵시스 솔라니(Moniliopsis solani), 리족토니아 그리세아, 리족토니아 나파에아에(Rhizoctonia napaeae)라고도 지칭된다.
잎집무늬마름병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아래쪽 잎에 발생하는 녹회색 및 물에 잠긴듯한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병변을 포함한다. 제1 증상은 수면 근처 잎의 주맥에 발달하는 녹회색의 병반이다. 병반은 타원형 또는 달걀형으로서, 길이 1 cm이고, 폭 2 cm ~ 3 cm이며, 서로 융합된다. 병반의 경계와, 색 변화는 식물의 감염된 부분에 명확한 패턴을 제공한다. 습한 조건에서, 진균 균사체는 하얀색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진균은 불규칙적인 균핵을 형성한다. 습도가 최적일 때, 감염된 이웃 줄기와 접촉하게 된 잎몸도 또한 감염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증상은 식물 생장의 후기 분얼 ~ 마디 신장 단계 동안(BBCH 25 ~ 35) 나타나기 시작하고, 벼가 원추화서 분화(생식) 단계로 넘어감에 따라(BBCH >51) 더욱 공격적이된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증상은 BBCH 25 ~ BBCH 35, 예컨대 BBCH 25 이후, 예컨대 BBCH 26, BBCH 27, BBCH 28, BBCH 29 또는 BBCH 30 이후부터, 예컨대 BBCH 31, BBCH 32, BBCH 33, BBCH 34 또는 BBCH 35부터 나타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열병은 진균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에 의해 유발되고, 잎집무늬마름병은 진균 리족토니아 솔라니에 의해 유발된다.
그러므로 한 측면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진균 감염, 즉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 리족토니아 솔라니 또는 이의 조합에 의한 감염을 예방 또는 방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균 감염을 예방 또는 방제하는 것" 및 "진균 감염을 치료하는 것"이란 어구는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목적이 진균 감염의 발생 가능성을 예방하거나 줄이기 위함, 예컨대 진균 감염의 발생, 발달 및 진행을 예방하기 위함인, 이미 발달된 진균 감염의 실제 치료, 예컨대 이미 발달된 진균 감염의 감소, 억제, 안정화 및 억압뿐 아니라, 예방학적 또는 예방적 수단 둘 다를 포함한다.
"진균 감염" 또는 "진균 질병"이란 용어는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진균 감염은 벼에 자연 발생하는 진균, 예컨대 리족토니아 솔라니,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 또는 이의 조합에 의한 감염이다.
"벼", "쌀 생산 식물" 또는 "쌀 생산 작물"이란 용어는, 쌀을 생산할 수 있는 식물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벼의 일부"란 어구는, 벼의 잎, 줄기, 뿌리, 원추화서 및 종자중 임의의 일부 1개 이상을 지칭한다. 잎, 줄기 및 뿌리는 영양 기관이다. 원추화서 및 종자는 생식 기관이다. "잎"이 가리키는 대상은 잎몸, 잎깃(leaf collar) 및 잎집을 포함할 수 있다. "원추화서"를 가리키는 대상은 (소수를 운반하는) 소화경 및 꽃을 포함할 수 있다. "종자", "알곡" 또는 "미탈곡 벼"란 용어는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쌀의 외피, 배유 및 배로 구성된 쌀알을 지칭한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일부는 잎(잎몸, 잎깃 및 잎집 포함), 줄기, 원추화서(소화경 및 꽃 포함), 종자 및 뿌리중 임의의 것 1개 이상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일부는 잎, 줄기, 원추화서 및 종자중 임의의 것 1개 이상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일부는 잎 및 줄기중 임의의 것 1개 이상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잎, 줄기, 원추화서, 종자 및 뿌리는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치료될 때, 벼에 부착(예컨대 벼에서 생장)할 수 있다. 수확후 종자(알곡)의 치료 방법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포함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벼의 지역" 또는 "벼의 생장 지역"이란 어구는, 벼와 매우 가까이 있는 구역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벼의 지역은 벼의 줄기 주위 원형 구역, 예컨대 지름이 길어야 1 미터, 예를 들어 지름이 길어야 50 센티미터(cm), 길어야 40 cm, 길어야 30 cm, 길어야 20 cm, 길어야 10 cm 또는 길어야 5 cm인 벼 줄기 주위 원형 구역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쌀"이란 용어는, 벼의 종자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벼란, 오라이자(Oryza,), 지자니아(Zizania) 및 포르테레시아(Porteresia) 속의 그라스(grass) 종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식량 곡물인 벼(주요 식량 곡물인 쌀의 종 오라이자 사티바(Oryza sativa) 및 오라이자 글라베리마(Oryza glaberrima) 포함)와, 포르테레시아 코아르크타타(Porteresia coarctata) 종 및 지자니아 속을 이루는 4개의 그래스 종을 포함하는 야생 벼를 포함한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아시아 쌀; Asian rice), 오라이자 글라베리마(아프리카 쌀; African rice), 오라이자 오스트랄리엔시스(Oryza australiensis), 오라이자 바르티이(Oryza barthii), 오라이자 브라키안타(Oryza brachyantha), 오라이자 코아르크타타, 오라이자 에이킨게리(Oryza eichingeri), 오라이자 그랜디글루미스(Oryza grandiglumis), 오라이자 라티폴리아(Oryza latifolia), 오라이자 론지글루미스(Oryza longiglumis), 오라이자 론지스타미나타(Oryza longistaminata), 오라이자 메이에리아나(Oryza meyeriana), 오라이자 미누타(Oryza minuta), 오라이자 네오칼레도니카(Oryza neocaledonica), 오라이자 오피시날리스(Oryza officinalis), 오라이자 펑크타타(Oryza punctata), 오라이자 리들레이(Oryza ridleyi), 오라이자 루피포곤(Oryza rufipogon), 오라이자 스클레크테리(Oryza schlechteri), 지자니아 팔루스트리스(Zizania palustris), 지자니아 아쿠아티카(Zizania aquatica), 지자니아 텍사나(Zizania texana), 지자니아 라티폴리아(Zizania latifolia) 및 포르테레시아 코아르크타타(Porteresia coarctat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아시아 쌀), 오라이자 글라베리마(아프리카 쌀), 오라이자 오스트랄리엔시스, 오라이자 바르티이, 오라이자 브라키안타, 오라이자 코아르크타타, 오라이자 에이킨게리, 오라이자 그랜디글루미스, 오라이자 라티폴리아, 오라이자 론지글루미스, 오라이자 론지스타미나타, 오라이자 메이에리아나, 오라이자 미누타, 오라이자 네오칼레도니카, 오라이자 오피시날리스, 오라이자 펑크타타, 오라이자 리들레이, 오라이자 루피포곤 및 오라이자 스클레크테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일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애 관한 구현예들에서,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 인디카(Oryza sativa indica) 또는 오라이자 사티바 자포니카(Oryza sativa japonica)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즉 투여, 전달, 제공,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콜린 노나노에이트" 또는 "트리메틸에탄올아민 펠라르고네이트"란 용어는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펠라르곤산의 콜린 염을 지칭한다.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본원에 기재된 농도일 때, 예를 들어 벼에 분사될 때, 인간, 비표적 유기체 또는 환경에 허용 불가능한 독성 또는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추가로, 실험 섹션에 보인 바와 같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테스트된 모든 투여량으로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도열병에 (예방적 및 치유적 치료계획에 의해) 적용하는 것은 벼에 식물독성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펠라르곤산"이란 용어는 또한 "노난산" 또는 "1-옥탄카복실산" 또는 C9 지방산이라 지칭될 수도 있으며, 카복실산 작용기내에서 종결되는 9개 탄소의 사슬로 구성된 유기 화합물을 지칭한다.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본원에서 조성물, 구체적으로 항진균 조성물, 예컨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의 일부로서 적용될 수 있다.
"조성물", "제형" 또는 "제조물"이란 용어는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인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와, 1개 이상의 보조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지칭한다.
"활성 성분" 또는 "활성 구성성분"이란 용어는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넓게는 유효량으로 제공될 때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는 화합물 또는 물질을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본원에 의도된 바와 같은 활성 성분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지역과의 상호작용 및/또는 조정을 통해 이러한 결과(들)를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수성 조성물 또는 액체일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w/v) ~ 70%(w/v)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w/v) ~ 70%(w/v) 포함하는 액체 또는 수성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5%(w/v) ~ 65%(w/v), 0.01%(w/v) ~ 60%(w/v), 0.05%(w/v) ~ 55%(w/v), 또는 0.1%(w/v) ~ 50%(w/v) 포함하는 액체 또는 수성 조성물일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적합한 장치로 식물에 적용될 수 있는, 사용할 준비가 된 조성물뿐 아니라, 사용전 물로 희석되어야 하는 농축물 또는 농축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분사가능한 액체 또는 농축물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투여되었을 때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리족토니아 솔라니 및/또는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의 생장을 억제하는데 유효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비식물독성 양만큼 포함하는, 사용할 준비가 된 포맷, 예컨대 분사액 또는 분사가능한 액체, 또는 침지액(dip)으로 제형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 조성물은 분사액, 분사가능한 액체 또는 침지액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중에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w/v) ~ 5.0%(w/v),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w/v) ~ 2.0%(w/v), 예컨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w/v) ~ 1.50%(w/v) 또는 0.001%(w/v) ~ 1.0%(w/v)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구체적으로 분사가능한 액체 또는 침지액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w/v) ~ 4.0%(w/v), 0.001%(w/v) ~ 3.5%(w/v), 0.01%(w/v) ~ 3.0%(w/v), 0.01%(w/v) ~ 2.5%(w/v), 또는 0.05%(w/v) ~ 2.0%(w/v), 예컨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1%(w/v) ~ 2.5%(w/v), 0.1%(w/v) ~ 2.0%(w/v), 또는 0.1%(w/v) ~ 1.0%(w/v)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구체적으로 분사가능한 액체 또는 침지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1%(w/v) ~ 0.8%(w/v), 0.2%(w/v) ~ 0.8%(w/v), 0.3%(w/v) ~ 0.8%(w/v), 또는 0.4%(w/v) ~ 0.8%(w/v)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구체적으로 분사가능한 액체 또는 침지액일 수 있다. 이러한 농도는, 유리하게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유효한 치료를 허용한다. 이러한 농도는 또한 미치료 또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치료시에 비하여 쌀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쌀의 수확량을 증가시킨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조성물은 농축물일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5.0%(w/v) ~ 70%(w/v),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10%(w/v) ~ 60%(w/v), 또는 10%(w/v) ~ 50%(w/v) 포함하는 농축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15%(w/v) ~ 55%(w/v), 20%(w/v) ~ 50%(w/v), 25%(w/v) ~ 45%(w/v), 30%(w/v) ~ 40%(w/v), 또는 30%(w/v) ~ 35%(w/v) 포함하는 농축물일 수 있다.
유리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사용전 용이하게 농축, 보관 및 희석될 수 있는 안정적인 화합물이다. 이는 추후, 예컨대 물로 용이하게 희석되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농도가 식물독성 영향을 보이지 않고 벼 또는 벼의 일부에서 식물병원성 진균 1개 이상의 생장을 억제하기에 유효한만큼의 조성물로 수득될 수 있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농축 조성물의 생산을 허용한다. 농축된 조성물의 이용가능성은 생산의 용이성, 운반 및 보관 비용에 있어 추가의 이익을 허용한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사용할 준비가 된 항진균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활성을 나타내되 식물독성은 보이지 않는 양만큼 포함함이 이해된다. "활성을 나타내되 식물독성은 보이지 않는 양"이란, 원치않는 진균을 억제하거나 사멸하기 충분함과 동시에 식물독성의 주목할만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양을 의미한다.
구현예들에서, 본 조성물은 분말로서 제형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 조성물은 고체 또는 분말형 조성물일 수 있다.
"분말"이란 용어는, 진탕 또는 기울어졌을 때 자유로이 흐를 수 있는 극미립자 다수로 이루어진 무수의 벌크형 고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70%(w/w) ~ 100%(w/w) 포함하는 고체 또는 분말형 조성물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75%(w/w) ~ 100%(w/w), 80%(w/w) ~ 100%(w/w), 90%(w/w) ~ 100%(w/w), 또는 95%(w/w) ~ 99%(w/w) 포함하는 고체 또는 분말형 조성물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특히 분말로 제형될 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적어도 70%(w/w), 적어도 80%(w/w), 적어도 90%(w/w), 적어도 95%(w/w), 또는 100%(w/w)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 조성물은 1개 이상의 보조제 또는 보조 제제, 예컨대 용매, 담체, 계면활성제, 스티커(예컨대 조성물이 식물 또는 이의 일부에 부착되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 또는 애주반트), 동결방지제, 증점제, 완충제, 소포제, 항산화제, 보존제, 아로마 또는 발색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보조제 및 비활성 제제가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즉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은 제형을 목적으로 관례상 이용되는 임의의 고체 또는 액체 첨가제와 합하여질 수 있다. 담체는 더 좋은 적용가능성, 구체적으로 식물 또는 식물 일부에의 적용을 위해 활성 화합물과 혼합되거나 합하여지는 천연 또는 합성,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는 담체는, 일반적으로 비활성으로서, 농사에 사용하기 적합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액체 담체는 물, 유기 용매, 그리고 미네랄 오일과 식물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액화 가스상 증량제 또는 담체는 상온과 대기압하에서 가스상인 액체, 예컨대 에어로졸 추진제, 예컨대 부탄, 프로판, 질소 및 이산화탄소이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을 가지는 유화제, 분산제 또는 습윤제이거나, 이러한 계면활성제들의 혼합물이다. 발색제, 예컨대 무기 안료, 에컨대 산화철, 산화티타늄, 프러시안블루(Prussian blue) 및 유기 염료, 예컨대 알리자린 염료, 아조 염료 및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 및 미량 원소, 예컨대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의 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안정화제, 예컨대 저온 안정화제, 보존제, 항산화제, 광 안정화제, 또는 기타 제제도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조성물은 기타 곡물 보호제 및/또는 살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통상의 조성물의 예로서는, 당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수용성 액체(SL), 유제(EC), 유탁제(EW), 액상 수화제(SC, SE, FS, OD), 입상 수화제(WG), 입제(GR) 및 캡슐 현탁제(CS)를 포함한다.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현장에 존재하는 벼, 벼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될 수 있다.
"현장" 또는 "농사 현장"이란 용어는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농경의 목적, 예컨대 곡물을 경작하거나 벼를 경작하는데 사용되는 땅의 구역을 지칭한다.
구현예들에서, 벼의 일부, 예컨대 잎이 벼에 존재하거나 이에 부착될 때(예컨대 벼에서 생장하고 있을 때)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은 벼의 일부, 예컨대 잎에 적용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은 잎, 줄기, 원추화서, 종자 및 뿌리중 임의의 것 1개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 방법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벼의 지상부 전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임의의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은 벼의 지상부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예컨대 분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은 벼의 잎, 줄기, 원추화서 및 종자중 임의의 것 1개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예컨대 분사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은 벼의 잎과 줄기중 임의의 것 1개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예컨대 분사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은 벼의 잎에 적용될 수 있다(예컨대 분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측면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의 잎, 잎깃, 목 및 줄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분사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분사가능한 액체는 당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종래의 분사 장비, 예컨대 비행기, 백팩형 분사기, 트랙터 장착 직선식 분사기 등에 의해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분사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적용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대해 직접 진행될 수 있거나, 또는 관례적 처리 방법, 예컨대 침지, 분사, 분무화, 관개, 증발, 살분, 안개화, 산파(broadcasting), 발포, 페인팅, 도포, 살수(관주) 또는 침지 관개(drip irrigating)를 이용하여 벼 또는 이의 일부가 처한 환경 또는 서식지를 대상으로 수행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 방법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분사, 스프링클링(sprinkling), 퍼붓기(showering), 분출(spritzing), 점적 확산, 스페터링(spattering), 분산, 확산 또는 물뿌림(douching)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적용은 단일 적용일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시간 간격 또는 가변적 시간 간격을 두는 빈번한(다수회) 적용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적용은 적어도 1회, 적어도 2회, 적어도 3회, 적어도 4회, 적어도 5회 또는 적어도 6회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용은 적어도 5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계획은 유리하게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유효한 치료를 달성한다. 이러한 치료 계획은 또한 미 치료 시 또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치료시에 비하여 쌀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쌀 수확량을 증가시킨다.
2회의 후속 적용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3일 ~ 4주(1개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회의 후속 적용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4일 ~ 3주, 5일 ~ 2주, 또는 6일 ~ 10일일 수 있다. 2회의 후속 적용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적어도 4일, 적어도 5일, 적어도 6일, 적어도 7일(1주일), 적어도 8일, 적어도 9일, 적어도 10일 또는 적어도 2주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2회의 후속 적용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적어도 1주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용은 적어도 2회, 예컨대 적어도 3회, 적어도 4회 또는 적어도 5회 수행될 수 있으며, 2회의 후속 적용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적어도 1주일일 수 있다. 이러한 치료 계획은, 유리하게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유효한 치료를 달성한다. 이러한 치료 계획은 또한 미 치료시 또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치료시에 비하여 쌀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쌀 수확량을 증가시킨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적용 타이밍은 진균에 의한 질병, 구체적으로 도열병 또는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증상들이 발현되기 전("예방적 적용") 또는 발현된 후("치유적 적용")일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이 발현되기 전(또는 출현하기 전 또는 발생하기 전)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발현되기 전(또는 출현하기 전 또는 발생하기 전)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 방법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예방적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 방법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예방적 치료 계획을 포함할 수 있다.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예컨대 식물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투여량만큼의) 예방적 적용 또는 예방적 치료 계획은, 유리하게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에 대한 고효능 치료와 쌀 수확량 증가를 달성하고, 심지어 상업적으로 이용 기능한 참조 제품에 이한 예방적 또는 치유적 치료후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에 의한 치유적 치료후 얻어진 효능과 쌀 수확량을 능가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예방적 적용"이란 용어는,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현(또는 출현 또는 발생) 전 또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발현(또는 출현 또는 발생) 전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예방적 치료 계획"이란 용어는, 적용이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예방적 적용인 치료 계획을 지칭한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 타이밍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현(또는 출현 또는 발생) 전 또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발현(또는 출현 또는 발생) 전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1회를 초과하는 적용이 수행될 때,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후속 적용(들)은 또한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현(또는 출현 또는 발생) 전 또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발현(또는 출현 또는 발생) 전에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현 후에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발현 후에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 방법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치유적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 방법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치유적 치료 계획을 포함할 수 있다. 펠라르곤산의 일반적으로 공지된 용도, 즉 접촉성 제초제로서의 용도에도 불구, 치유적 적용 또는 치유적 치료 계획은, 예상 외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고효능 치료와 쌀 수확량 증가를 달성한다. (예컨대 식물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투여량만큼의)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치유적 적용 또는 치유적 치료 계획의 효능과 쌀 수확량은, 유리하게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에 의한 치유적 치료 후에 얻어진 효능과 쌀 수확량을 능가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치유적 적용"이란 용어는,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현(또는 출현 또는 발생) 후 또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발현(또는 출현 또는 발생) 후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치유적 치료 계획"이란 용어는, 적용이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치유적 적용인 치료 계획을 지칭한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은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발현된 후, 그리고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25%에 이르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은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발현된 후, 그리고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20%, 심해야 15%, 심해야 10% 또는 심해야 5%에 이르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은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발현된 후, 그리고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4%, 심해야 3%, 심해야 2% 또는 심해야 1%에 이르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예컨대 식물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투여량만큼의) 치유적 적용 또는 치유적 치료 계획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에 의한 치유적 치료후 얻어진 효능과 쌀 수확량을 능가하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고효능 치료와 쌀 수확량 개선을 달성한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1차적 증상이 발현된 후 같은 날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1차적 증상이 발현된 후 1일차 ~ 14일차(2주일), 예컨대 1일차 ~ 7일차(1주일), 1일차 ~ 4일차, 1일차 ~ 3일차, 또는 1일차 ~ 2일차에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2차 또는 추가 적용은 이전 적용 후 7일차(1주일차)에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2차 또는 추가 적용은 이전 적용 후 1주차 ~ 4주차, 예컨대 1주차 ~ 3주차, 또는 1주차 ~ 2주차에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1차적 증상이 발현된 후 같은 날 수행될 수 있으며,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2차 적용은 1차 적용후 7일차(1주일차)에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 방법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치유적 적용 또는 치유적 치료 계획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1차 적용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심각도는 심해야 25%, 심해야 20%, 심해야 15%, 심해야 10% 또는 심해야 5%이다. 구현예들에서, 본 방법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치유적 적용 또는 치유적 치료 계획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1차 적용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심각도는 심해야 4.5%, 심해야 4%, 심해야 3.5%, 심해야 3%, 심해야 2.5%, 심해야 2%, 심해야 1.5% 또는 심해야 1%이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 타이밍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발현된 후(또는 출현한 후 또는 발생한 후), 바람직하게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25%, 심해야 20%, 심해야 15%, 심해야 10% 또는 심해야 5%에 이르기 전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1회를 초과하는 적용이 수행될 때,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후속 적용(들)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발현된 후(또는 출현한 후 또는 발생한 후), 바람직하게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25%, 심해야 20%, 심해야 15%, 심해야 10% 또는 심해야 5%에 이르기 전에 수행된다.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현 타이밍 또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발현 타이밍은, 다수의 상이한 인자 및 조건, 예컨대 벼의 종, 벼의 다양성, 날씨 조건 등에 의존한다. 농부는 경험을 바탕으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발현 타이밍 또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발현 타이밍을 알 것이거나, 우세한 인자 및 조건을 바탕으로 확정(예컨대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진균성 질병의 발병 타이밍 확정(예컨대 예측)은, 예컨대 유럽과 미국에서 사용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을 사용하는 것을 바탕으로 할 수 있다. DSS는 기후 데이터와, 병원체 공격 확률을 예측하기 위한 현장 포자 검출기와 관련된 데이터를 통합한다. 농부는 위험 예측에 따라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현예들에서, 본 방법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예컨대 처음으로) 쌀 종자 파종 후 15일차 ~ 100일차, 15일차 ~ 90일차, 15일차 ~ 80일차, 15일차 ~ 75일차, 또는 15일차 ~ 70일차에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방법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예컨대 처음으로) 쌀 종자 파종 후 20일차 ~ 65일차에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예방적 적용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예컨대 처음으로) 쌀 종자 파종 후 15일차 ~ 30일차에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예방적 적용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예컨대 처음으로) 쌀 종자 파종 후 20일차 ~ 30일차에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치유적 적용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예컨대 처음으로) 쌀 종자 파종 후 31일차 ~ 100일차, 31일차 ~ 90일차, 31일차 ~ 80일차, 31일차 ~ 75일차, 또는 31일차 ~ 70일차에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치유적 적용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예컨대 처음으로) 쌀 종자 파종 후 31일차 ~ 65일차, 31일차 ~ 55일차, 또는 31일차 ~ 45일차에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예컨대 처음으로) 쌀 종자 파종 후 35일차 ~ 80일차, 40일차 ~ 75일차, 또는 45일차 ~ 70일차에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하는데 유효한 양만큼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리족토니아 솔라니 및/또는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에 의한 진균 감염을 예방 또는 방제하는데 유효한 양만큼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1 L/ha ~ 10 L/ha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5 L/ha ~ 10 L/ha, 1 L/ha ~ 10 L/ha, 2 L/ha ~ 8 L/ha, 또는 2 L/ha ~ 6 L/ha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3 L/ha ~ 7 L/ha, 예컨대 4 L/ha ~ 6 L/ha의 농도로 적용된다. 이러한 투여량은, 유리하게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투여시에 비하여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더욱 유효한 치료를 허용한다.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어도 0.01 kg/ha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어도 0.02 kg/ha, 적어도 0.04 kg/ha, 적어도 0.06 kg/ha, 적어도 0.08 kg/ha, 또는 적어도 0.1 kg/ha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어도 0.2 kg/ha, 적어도 0.4 kg/ha, 적어도 0.6 kg/ha, 적어도 0.8 kg/ha, 적어도 1.0 kg/ha, 적어도 1.5 kg/ha, 적어도 2.0 kg/ha, 또는 적어도 2.5 kg/ha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01 kg/ha ~ 10.0 kg/ha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04 kg/ha ~ 5.0 kg/ha, 0.1 kg/ha ~ 4.0 kg/ha 또는 0.2 kg/ha ~ 10 kg/ha, 0.4 kg/ha ~ 8.0 kg/ha, 0.5 kg/ha ~ 5.0 kg/ha, 0.6 kg/ha ~ 4.0 kg/ha, 0.8 kg/ha ~ 4.0 kg/ha, 0.75 kg/ha ~ 3.0 kg/h, 0.8 kg/ha ~ 3.0 kg/ha, 또는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8 kg/ha ~ 3.0 kg/ha, 1.0 kg/ha ~ 3.0 kg/ha, 또는 1.5 kg/ha ~ 3.0 kg/ha의 농도로 적용된다. 이러한 투여량은, 유리하게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투여시에 비하여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더욱 유효한 치료를 달성한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 예컨대 도열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01 kg/ha ~ 10 kg/ha의 농도, 예컨대 0.04 kg/ha ~ 5.0 kg/ha, 0.1 kg/ha ~ 4.0 kg/ha, 0.8 kg/ha ~ 3.0 kg/ha, 또는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발현 또는 도열병 증상의 발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용은 적어도 2회 수행될 수 있고, 2회의 후속 적용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적어도 1주일일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에 대한 고효능 치료를 제공하므로, 쌀 수확량 증가를 달성한다.
예컨대 도열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01 kg/ha ~ 10 kg/ha의 농도, 예컨대 0.04 kg/ha ~ 5.0 kg/ha, 0.1 kg/ha ~ 4.0 kg/ha, 0.8 kg/ha ~ 3.0 kg/ha 또는 1.0 kg/ha ~ 3.0 kg/h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발현 또는 도열병 증상의 발현 후, 바람직하게는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25%에 이르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용은 적어도 5회 수행될 수 있으며, 2회의 후속 적용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적어도 1주일일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에 대한 고효능 치료를 제공하므로, 쌀 수확량 증가를 달성한다.
예컨대 잎집무늬마름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01 kg/ha ~ 10 kg/ha의 농도, 예컨대 0.04 kg/ha ~ 5.0 kg/ha, 0.1 kg/ha ~ 4.0 kg/ha, 0.8 kg/ha ~ 3.0 kg/ha, 또는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잎집무늬마름병의 발현 또는 잎집무늬마름병의 증상의 발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용은 적어도 2회 수행될 수 있고, 2회의 후속 적용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적어도 1주일일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고효능 치료를 제공하므로, 쌀 수확량 증가를 달성한다.
예컨대 잎집무늬마름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01 kg/ha ~ 10 kg/ha의 농도, 예컨대 0.04 kg/ha ~ 5.0 kg/ha, 0.1 kg/ha ~ 4.0 kg/ha, 0.8 kg/ha ~ 3.0 kg/ha, 또는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잎집무늬마름병의 발현 또는 잎집무늬마름병의 증상의 발현 후, 바람직하게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25%에 이르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용은 적어도 4회 수행될 수 있으며, 2회의 후속 적용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적어도 1주일일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고효능 치료를 제공하므로, 쌀 수확량 증가를 달성한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효능 수준은 적어도 50%, 적어도 55%, 적어도 60%, 적어도 65%, 적어도 70%, 적어도 75%,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진균성 질병, 예컨대 도열병 또는 잎집무늬마름병에 의해 유발되는 곡물의 병해 심각도(I)는 이하 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식 중, I는 곡물 병해의 심각도이고; n은 각각의 공격 등급(scale of attack)에 있는 분얼의 수이며; v는 각각의 공격 범주에 대한 공격 등급 값이고; V는 특정된 최고 공격 등급 값이며; N은 관찰된 분얼의 총 수임]
도열병의 공격 등급은 이하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0 = 발병하지 않음; 1 = (바늘 첨단부 크기의) 병반 생성; 2 = (바늘 첨단부보다 더 큰 크기의) 병반 생성; 3 = (둥글고 약간 달걀형인 괴사부를 동반하며, 길이 1 mm ~ 2 mm이고, 갈색의 경계를 가지는) 병반 생성; 4 = 길이 1 mm ~ 2 mm이고, 발병된 잎 면적 2% 미만만큼에 전형적인 틈(slot) 생성; 5 = 발병된 잎 면적 2% ~ 10%만큼에 전형적인 도열병증상 발현; 6 = 발병된 잎 면적 11% ~ 25%만큼에 전형적인 도열병증상 발현; 7 = 발병된 잎 면적 26% ~ 50%만큼에 전형적인 도열병증상 발현; 8 = 발병된 잎 면적 51% ~ 75%만큼에 전형적인 도열병증상 발현; 9 = 발병된 잎 면적 76% ~ 100%만큼에 전형적인 도열병증상 발현.
잎집무늬마름병의 공격 등급은 이하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0 = 발병하지 않음; 1 = 잎 병해의 조기 증상 발현; 3 = 첫 번째 및 두 번째 원추화서에서 25%를 초과하는 병해 증상 발현;
5 =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원추화서에서 25%를 초과하는 병해 증상 발현; 7 = 모든 원추화서(all grief)에서 25%를 초과하는 병해 증상 발현; 9 = 분얼 모두 썩음
구현예들에서, 살진균제(예컨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효능 수준(백분율)은 이하 식 (2)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효능 수준(%) = (ISK - ISP)(ISK)-1 x 100% (2)
[식 중, ISK는 대조군(살진균제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진균성 질병에 의한 곡물 병해의 심각도이고; ISP는 살진균제 처리시 진균성 질병에 의한 곡물 병해의 심각도임]
곡물 병해의 심각도는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예컨대 도열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효능 수준은 적어도 65%, 적어도 70% 또는 적어도 75%,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일 수 있다. 유리하게 예컨대 도열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예방적 치료 계획에서의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효능 수준은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일 수 있다. 예컨대 도열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치유적 치료 계획에서의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효능 수준은 적어도 65%, 적어도 70% 또는 적어도 75%,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일 수 있다.
예컨대 잎집무늬마름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8 kg/ha ~ 3.0 kg/ha의 농도로 적용될 때, 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효능 수준은 적어도 50%, 적어도 55%, 적어도 60%, 적어도 65%, 적어도 70%, 적어도 75%,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일 수 있다. 예컨대 잎집무늬마름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적용될 때, 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효능 수준은 적어도 75%,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일 수 있다.
예컨대 잎집무늬마름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예방적 치료 계획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효능 수준은 적어도 50%, 적어도 55%, 적어도 60%, 적어도 65%, 적어도 70%, 적어도 75%,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일 수 있다. 예컨대 잎집무늬마름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예방적 치료 계획에서,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적용될 때, 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효능 수준은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일 수 있다. 예컨대 잎집무늬마름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치유적 치료 계획에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적용될 때, 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효능 수준은 적어도 75%,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의 적용후 쌀 수확량은 살진균제 치료가 되지 않았을 때(즉 미치료 대조군)의 쌀 수확량 또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살진균제 적용 후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즉 이에 비하여) 적어도 약 5%까지 향상(즉 증가)될 수 있다(즉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 적용후 쌀 수확량은 적어도 약 1.05배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쌀 수확량" 또는 "건조 미탈곡 벼 수확량"이란 용어들은, 표면적당 수확된 미도정 쌀의 평균 중량(가바 케링 파넨(Gabah Kering Panen) 또는 GKP)을 지칭한다. 쌀 수확량은 kg/ha 또는 kg/m2로서 표현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이 투여된 벼의 쌀 수확량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상기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이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투여된 후 약 7일차 ~ 약 350일차, 약 7일차 ~ 약 300일차, 약 7일차 ~ 약 250일차, 약 7일차 ~ 약 200일차, 약 7일차 ~ 약 150일차, 또는 약 10일차 ~ 약 100일차, 예컨대 약 15일차 ~ 약 75일차, 약 20일차 ~ 약 60일차, 또는 약 25일차 ~ 약 50일차의 시점에 측정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이 투여된 벼의 쌀 수확량은 벼의 알곡을 수집하거나 생산하기 위해 벼가 수확될 때, 즉 성숙한 벼가 현장에서 수확될 때 측정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이 투여된 벼의 쌀 수확량은 파종후 약 75일 ~ 약 200일, 예컨대 파종후 약 100일 ~ 약 150일, 또는 약 110일 ~ 약 130일의 시점에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이 투여된 벼의 쌀 수확량 대 이처럼 치료되지 않은 벼(즉 미치료 대조군)의 쌀 수확량은 동일한 시점에 측정될 것이다.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및 용도는 미치료 식물에 상대적으로 이것으로 치료된 식물에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미치료 벼" 또는 "미치료 대조군"은,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상기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이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투여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이 투여된 벼와 동일한 종(예컨대 동질유전자를 가지거나 유전적으로 동일한 벼)이자,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예컨대 동일한 길이의 시간, 동일한 기후에서 동일한 물질이 사용되는 동일한 방법에 따라 경작되되, 수확량과 기타 특징들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측정되는 조건)에서 생장한 벼를 지칭한다. 이 용어들은 "참조 식물" 또는 "참조기준", 즉 연구중 치료된 것을 제외하고, 치료된 식물과 유전적으로 동일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취급된 관계로, 상기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의미있고 유익한 대조군을 제공하는 식물에 대한 동의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치료된 식물과 참조 식물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환경 조건에 노출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접촉성 참조 살진균제의 예들로서는 Nordox 56 WP(Allied Botanical Corporation, Philippines; 활성성분: 산화구리), Antracol 70 WP(Bayer CropScience; 활성성분: 프로피넵), Seltima(BASF; 활성성분: 피라클로스트로빈), Thiopron(UPL Europe ltd; 활성성분: 황)를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이행성 참조 살진균제의 예로서는 Amistar Top 325 SC(Syngenta Bangladesh; 활성성분: 아족시스트로빈 및 디페노코나졸), Zerox(Dhanuka; 활성성분: 프로피코나졸), Luna 엑스피리언스(Bayer; 활성성분: 플루오피람 및 테부코나졸), Roko(Biostadt; 활성성분: 티오파네이트 메틸)를 포함한다.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 적용 후 쌀 수확량(예컨대 면적당 kg으로 표현)은, 살진균제 치료되지 않았을 때(즉 미치료 대조군)의 쌀 수확량(예컨대 면적당 kg으로 표현) 또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살진균제 적용후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즉 이에 비하여) 적어도 약 5%(즉 적어도 1.05배일 수 있음), 적어도 약 10%(즉 적어도 1.10배일 수 있음), 적어도 약 15%(즉 1.15배), 적어도 약 20%(즉 1.20배), 적어도 약 25%(즉 1.25배), 적어도 약 30%(즉 1.30배), 적어도 약 35%(즉 1.35배), 적어도 약 40%(즉 1.40배), 적어도 약 45%(즉 1.45배), 적어도 약 50%(즉 1.50배), 적어도 약 55%(즉 1.55배), 적어도 약 60%(즉 1.60배), 적어도 약 65%(즉 1.65배), 적어도 약 70%(즉 1.70배), 적어도 약 75%(즉 1.75배), 적어도 약 80%(즉 1.80배), 적어도 약 85%(즉 1.85배), 적어도 약 90%(즉 1.90배), 적어도 약 95%(즉 1.95배) 또는 적어도 약 100%(즉 2배)만큼 향상될 수 있다(즉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도열병 치료를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예방적 치료 계획에 따라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적용된 후의 쌀 수확량(예컨대 면적당 kg으로 표현)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살진균제 적용후 또는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치유적 치료 계획에 따른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적용후의 쌀 수확량(예컨대 면적당 kg으로 표시)에 상대적으로(즉 이에 비하여) 적어도 약 5%만큼 향상될 수 있다(즉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예방적 치료 계획 수행후 쌀 수확량은 적어도 1.05배일 수 있다)(즉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도열병 치료를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예방적 치료 계획에 따라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적용된 후의 쌀 수확량(예컨대 면적당 kg으로 표현)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살진균제 적용후 또는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치유적 치료 계획에 따라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적용후의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즉 이에 비하여) 적어도 약 10%(즉 1.10배), 적어도 약 15%(즉 1.15배), 적어도 약 20%(즉 1.20배), 적어도 약 25%(즉 1.25배), 적어도 약 30%(즉 1.30배), 적어도 약 35%(즉 1.35배), 적어도 약 40%(즉 1.40배), 적어도 약 45%(즉 1.45배), 적어도 약 50%(즉 1.50배), 적어도 약 55%(즉 1.55배), 적어도 약 60%(즉 1.60배), 적어도 약 65%(즉 1.65배), 적어도 약 70%(즉 1.70배), 적어도 약 75%(즉 1.75배), 적어도 약 80%(즉 1.80배), 적어도 약 85%(즉 1.85배), 적어도 약 90%(즉 1.90배), 적어도 약 95%(즉 1.95배) 또는 적어도 약 100%(즉 2배)만큼 향상될 수 있다(즉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잎집무늬마름병 치료를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예방적 치료 계획에 따라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적용 후, 바람직하게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된 후의 쌀 수확량(예컨대 면적당 kg으로 표현)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살진균제 적용후 또는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치유적 치료 계획에 따라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적용 후, 바람직하게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되었을 때의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즉 이에 비하여) 적어도 약 5%만큼 향상될 수 있다(즉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예방적 치료 계획후 쌀 수확량은 적어도 약 1.05배일 수 있다)(즉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잎집무늬마름병 치료를 위한 방법 또는 용도로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용도에 관한 구현예들에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예방적 치료 계획에 따라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적용 후, 바람직하게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된 후의 쌀 수확량(예컨대 면적당 kg으로 표현)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살진균제 적용후 또는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치유적 치료 계획에 따라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적용 후, 바람직하게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되었을 때의 쌀 수확량(예컨대 면적당 kg으로 표현)에 상대적으로(즉 이에 비하여) 적어도 약 10%(즉 1.10배), 적어도 약 15%(즉 1.15배), 적어도 약 20%(즉 1.20배), 적어도 약 25%(즉 1.25배), 적어도 약 30%(즉 1.30배), 적어도 약 35%(즉 1.35배), 적어도 약 40%(즉 1.40배), 적어도 약 45%(즉 1.45배), 적어도 약 50%(즉 1.50배), 적어도 약 55%(즉 1.55배), 적어도 약 60%(즉 1.60배), 적어도 약 65%(즉 1.65배), 적어도 약 70%(즉 1.70배), 적어도 약 75%(즉 1.75배), 적어도 약 80%(즉 1.80배), 적어도 약 85%(즉 1.85배), 적어도 약 90%(즉 1.90배), 적어도 약 95%(즉 1.95배) 또는 적어도 약 100%(즉 2배)만큼 향상될 수 있다(즉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벼의 쌀 수확량을, 살진균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즉 미치료 대조군)의 쌀 수확량 또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살진균제 적용 후의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즉 이에 비하여) 향상시키기 위한(즉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측면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함에 있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관련 측면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진균 감염(여기서 진균 감염은 리족토니아 솔라니 또는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 감염임)을 예방 또는 방제함에 있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한 측면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리족토니아 솔라니 또는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에 대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살진균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구현예들에서, 살진균제는 접촉성 살진균제이다. 바람직하게 살진균제는 이행성 살균제이다.
그러므로 한 측면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리족토니아 솔라니 또는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에 대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이행성 살균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는 펠라르곤산의 접촉성(즉, 비침투형) 제초제로서의 용도가 공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예상치 못한 것이다.
본 출원은 또한 이하 진술들에 제시된 바와 같은 측면들과 구현예들을 제공한다:
1.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1항의 진술에 있어서,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 오라이자 글라베리마, 오라이자 오스트랄리엔시스, 오라이자 바르티이, 오라이자 브라키안타, 오라이자 코아르크타타, 오라이자 에이킨게리, 오라이자 그랜디글루미스, 오라이자 라티폴리아, 오라이자 론지글루미스, 오라이자 론지스타미나타, 오라이자 메이에리아나, 오라이자 미누타, 오라이자 네오칼레도니카, 오라이자 오피시날리스, 오라이자 펑크타타, 오라이자 리들레이, 오라이자 루피포곤, 오라이자 스클레크테리, 지자니아 팔루스트리스, 지자니아 아쿠아티카, 지자니아 텍사나, 지자니아 라티폴리아 및 포르테레시아 코아르크타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 1항 또는 2항의 진술에 있어서,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이고, 바람직하게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 인디카 또는 오라이자 사티바 자포니카인 방법.
4.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조성물은 수성 조성물인 방법.
5.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조성물은 분사가능한 액체 또는 농축물인 방법.
6.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v/v) ~ 70%(v/v) 포함하는 방법.
7.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5.0%(w/v) ~ 70%(w/v) 포함하는 농축물,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10%(w/v) ~ 60%(w/v) 포함하는 농축물인 방법.
8.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w/v) ~ 5.0%(w/v) 포함하는 분사가능한 액체,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1%(w/v) ~ 2.0%(w/v) 포함하는 분사가능한 액체, 더욱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1%(w/v) ~ 1.0%(w/v) 포함하는 분사가능한 액체인 방법.
9.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조성물은 1개 이상의 보조제, 예컨대 용매, 담체, 계면활성제, 스티커, 동결방지제, 증점제, 완충제, 소포제, 항산화제, 보존제, 아로마 또는 발색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방법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벼의 지상부 전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것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 수행되는 방법.
12.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것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발현된 후에 수행되는 방법.
13. 1항 내지 10항 및 12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1차 적용하는 것은,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발현된 후와,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25%, 예컨대 심해야 20%, 심해야 15%, 심해야 10% 또는 심해야 5%에 이르기 전에 수행되는 방법.
14. 1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0.01 kg/ha ~ 10.0 kg/ha의 농도로 적용되고;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1.0 kg/ha ~ 3.0 kg/ha의 농도로 적용되는 방법.
15. 1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의 진술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조성물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분사되는 방법.
16.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함에 있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상기 측면들과 구현예들은 이하 비제한적 실시예들에 의해 추가로 뒷받침된다.
실시예
비교 실시예 1: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가을 보리 도열병에 사용되었을 때에 대한 평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BPA 056"으로 지칭됨)의 보리 도열병(마그나포르테 오라이재)에 대한 보호적(또는 예방적) 및 치유적 치료제로서의 효능을 확정하기 위해 가을 보리 화분 파종용 시험모델을 확립하였다.
방법
실험 디자인
가을 보리 품종 SY Venture를 사용하여 화분 파종용 시험모델을 파종하였다(당일). 종자를 직경 9 cm의 화분에, 화분 1개당 종자 10개의 비율로 파종하였으며, 이때 처리마다 화분 3개에 모사 파종하였다. 화분을 온실로 옮긴 후, 식물 첫 번째 잎이 온전히 출현하는 생장 단계(BBCH 11)에 도달할 때까지 23℃에서 생육하였다. 이 시험은 10회의 처리로 이루어졌으며, 여기에 엠. 오라이재(M. oryzae)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제품 적용
시험모델에 적용된 처리를 표 1에 상세히 제시하였다. 조성물("BPA 056"은 이 조성물 1 L당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42%(w/v)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0.42 kg을 포함하였다. 식물이 BBCH 11에 이르게 되었을 때, 물 함량을 많이 하여(모사 화분당 2 ml로서, 이는 3125 L/ha 에 해당함) 분사를 실시하였다(11일차에 보호적 처리, 14일차에 치유적 처리). 접종 및 미접종 대조군에 물 2 ml를 분사하였다. 휴대용 분무 분사기를 사용하여 처리를 적용하였다. 접종된 잎에 수분이 마르면 수분공급 챔버로부터 꺼내면서 치유적 처리를 적용하였다.
분사 용액중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농도는 0.5%(v/v), 0.75%(v/v) 및 1%(v/v)만큼의 용량으로 하였다.
접종
식물이 BBCH 11에 이르렀을 때(12일차), 휴대용 분무 분사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화분에 포자 현탁액 2 ml를 접종하였다. 적용한 포자 현탁액은 엠. 오라이재의 분생포자를 4x104개 포자/ml의 농도로 함유하였다.
접종 식물을 수분공급 챔버(습도 100%)에 옮긴 직후 대략 25℃의 온도에서 항온처리하였다. 2일간의 항온처리 후 식물을 수분공급 챔버로부터 꺼내어, 23℃로 설정한 무균 온실로 옮겼다.
잎 상태 평가
접종한 대조군에서 증상이 완전히 발달하였을 때, 질병을 평가하였다. 질병의 중증도를, 모사 화분당 5개 식물의 첫 번째 잎(처리/접종한 잎)중 질병의 증상이 발생한 총 잎 면적의 백분율로 평가하였다. 평가할 잎을 각각의 모사 화분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였다.
통계 분석
처리 간의 차이는 ANOVA를 사용한 분석과 함께 Genstat 버전 16을 사용하여 평균들의 최소유의차 계산을 통해 결정하였다. 통계 분석을 수행하기에 앞서 각도 변환을 사용하여 백분율 값을 변환하였다.
결과 및 고찰
엠. 오라이재에 의해 유발되는 도열병의 증상은, 식물이 BBCH 13(3개의 잎이 완전히 펴진 상태)에 있을 때인 24일차(접종 후 12일차)에 평가하였다. 첫 번째 잎만을 평가하였는데, 즉 처리 후 나온 잎은 평가하지 않았다. 미처리 식물의 질병 수준(disease level)은, 발병한 잎 면적의 39.6%인 것으로 평가하였다(표 2, 변환 데이터).
BPA056(1%) 또는 프롤린(0.72 L/ha)을 보호적 처리로 처리한 식물 또는 BPA056(0.5%) 또는 프롤린(0. 72 L/ha)을 치유적 처리로 처리한 식물은 접종한 대조군에 비해 엠. 오라이재에 의해 유발된 증상의 유의미한(p = 0.05) 감소를 달성하였다. 기타 모든 처리는 접종한 대조군의 질병 수준과 유의미하게 상이하지 않은 질병 수준을 제공하였다(표 2, 변환 데이터).
보호적 처리 또는 치유적 처리로서 적용하였는지에 따라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0.72 L/ha의 프롤린 275)을 사용하여 달성된 억제 수준은, BPA056 처리중 임의의 처리가 실시되었을 때 달성된 억제 수준보다 훨씬 더 높았다. 이를 고려할 때, 쌀에 대한 현장 시험(실시예 1 및 2에 기재됨)에서 BPA056을 사용하였을 때 월등한 결과가 얻어질 것임은 기대할 수 없었다.
실시예 1: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사용되었을 때, 이 조성물의 벼 도열병에 대한 현장 효능 테스트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BPA 056"이라 지칭)의 벼 도열병에 대한 보호적 처리제 및 치유적 처리제로서의 효능을 확정하기 위해 현장 시험을 확립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에서 언급된 현장 테스트는 모두 현장 조건에서 수행한 실험 테스트였다. 테스트 장소: 자와바랏 주, 수메당 리젠시, 우중자야 지구, 팔라부안 빌리지, 보종 테롱 서브빌리지.
본 시험에서는 Inpari 32와 같은 벼 품종이나 시험 장소 주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품종을 사용하였는데, 이 식물들은 벼 도열병(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에 걸리기 쉬웠다.
해충의 병해를 입지 않고 질병이 발생하지 않은 벼의 종자를 사용하였다. 비료의 적용은 해당 지역 권장 사항에 따랐다. 시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의 방법으로 식물의 유지관리를 수행하였다.
파종 후 21일 후의 실생(seedling)을 사용하였다. 식재구(planting hole)당 종자의 수는 2개~ 3개였다. 인도네시아 농민의 습관과 농약위원회의 승인에 따라, 한 구획의 치수는 10 m x 10 m 크기로 하였고, 관찰대상 샘플 식물의 수는 구획당 25개 묶음이었으며, 구획간 거리는 너비 50 cm의 이랑만큼이었다. 식재를 시작한 날짜를 당일로 하였다.
구획의 배치
표 3에 제공한 바와 같은 9가지 처리 계획과 3번의 모사시험을 적용하여 완전임의배치법을 수행하였다. 요악하면, 표 3에 보고된 바와 같이 9가지의 상이한 처리 계획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처리 계획을 3개의 상이한 구획(모사구획)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구획의 치수는 10 m x 10 m였다. 완전임의배치법에 따라 구획을 분배하였다.
적용한 물의 양: 400 L/ha . 접촉 용량은 분사 용액중 조성물의 최종 농도였다. 예를 들어, Nordox는 분사 용액중 2 g/L의 최종 농도로 적용하였다. 접촉 용량을 1 헥타르당 Nordox의 그램 수로 표현하려면 2 g/L x 400 L/ha로서, 이는 1 헥타르당 Nordox 800 g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예를 들어, AmistarTop 325 SC를 최종 농도 300 ml/ha 로 적용하였다. 접촉 용량은 분사 용액 1 L당 ml로 표현하려면 300 ml/400 L로서, 이는 0.75 ml/L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예를 들어 BPA056은 2 L/ha 로 적용하였다. 분무 용액 1L당 ml로 표현하려면: 2000 ml/400 L로서, 이는 분무 용액 5 ml/L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BPA 056"으로 지칭됨)중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농도는 42%(w/v)였고, 이는 조성물 100 ml당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42 g 또는 1 L당 420 g(즉 0.42 kg)이었다. 분사 용액중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농도는 이하와 같았다: 2 L 조성물 x 0.42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조성물 L = 0.84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4 L 조성물 x 0.42 L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조성물 L = 1.68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6 L 조성물 x 0.42 L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조성물 L = 2.52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그러므로 분사 용액중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농도는 이하와 같았다: 0.84 kg/400 L = 0.21 kg/100 L = 210 g/100 L = 2.10 g/L = 0.21 g/100 ml = 0.21%(w/v); 1.68 kg/400 L = 0.42 g/100 ml = 0.42%(w/v); 또는 2.52 kg/400 L = 0.63 g/100 ml = 0.63%(w/v).
예방적 참조 제품에 대한 활성 성분의 접촉 용량은 448 g/ha였고; 치유적 참조 제품에 대한 활성 성분의 접촉 용량은 60 g/ha 아족시스트로빈 및 37.5 g/ha 디페노코나졸이었으며; BPA056 2 L/ha에 대한 활성 성분의 접촉 용량은 0.84 kg/ha였고; BPA056 4 L/ha에 대한 활성 성분의 접촉 용량은 1.68 kg/ha였으며; BPA056 6 L/ha에 대한 활성 성분의 접촉 용량은 2.52 kg/ha였다.
데이터 평가
처리 식물 및 대조군 식물에 있어 5%의 차이 수준이 적용된 실험 디자인에 따라 표적 해충에 의한 식물 병해의 데이터 평가뿐 아니라 곡물 생산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적용 방법 및 수단
농부들에게 반자동 고압 인가 살진균제 분사기(400 L/ha)를 짊어지고 살진균제 분사장치 적용을 수행하는 방법과 교정 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었다.
적용 타이밍 및 횟수
타이밍 A: 적용은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 수행한 예방적 적용이었다.
타이밍 B: 적용은 치유적 적용이었다. 각각의 구획에서의 공격 증상이 여전히 매우 가벼웠던(5% 미만) 심각도로 나타나기 시작할 때, 1차 적용을 수행하였다.
적용 간격: 1주일 간격으로 적용을 수행하였다.
적용 횟수: 프로토콜 처리/SOP중 수확하기 전 2주차까지 적용을 적어도 5회 수행하였으나, 현장 조건에 따라 수행한 적용 횟수는 상이하였다. 이는 공격 증상 출현이 더욱 빨랐기 때문이었으므로, 예방적 적용은 단지 2회만 수행하였다. 1차 적용은 식물이 20 DAS였을 때 이루어졌다.
효능 기준
만일 시험 개시시 질병의 분포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면, 효능 기준은 병원체에 의한 식물의 병해 수준을 기반으로 하였다. 그러나 만일 실험 개시시 구획들간 곡물 병해 수준이 고르지 못하였다면, 효능 기준은 질병의 진행을 기반으로 확정하였다. 이는, (처리 전날) 재배지 관찰의 분산분석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테스트한 살진균제의 효능 수준은 마지막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이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었다:
효능 수준 = (ISK - ISP)(ISK)-1 x 100%
[식 중, ISK는 대조군(살진균제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질병 공격의 심각도이고; ISP는 살진균제 처리시 질병 공격의 심각도임]
관찰
본 시험에서는 전체 구획(구획 치수: 10 m x 10 m)을 처리하였지만, 각각의구획에 대해 25개의 벼 묶음을 대상으로 질병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실험에서, 25개의 묶음을 체계적으로 선택하였다.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에 의한 식물 병해 수준을 이하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식 중, I는 곡물 병해의 심각도이고; n은 각각의 공격 등급에 있는 분얼의 수이며; v는 각각의 공격 범주에 대한 공격 등급 값이고; V는 특정된 최고 공격 등급 값이며; N은 관찰된 분얼의 총 수임]
파이리큘라리아 오라이재의 공격 등급을 이하와 같이 확정하였다:
0 = 발병하지 않음; 1 = (바늘 첨단부 크기의) 병반 생성; 2 = (바늘 첨단부보다 더 큰 크기의) 병반 생성; 3 = (둥글고 약간 달걀형인 괴사부를 동반하며, 길이 1 mm ~ 2 mm이고, 갈색의 경계를 가지는) 병반 생성; 4 = 길이 1 mm ~ 2 mm이고, 발병된 잎 면적 2% 미만만큼에 전형적인 틈(slot) 생성; 5 = 발병된 잎 면적 2% ~ 10%만큼에 전형적인 도열병증상 발현; 6 = 발병된 잎 면적 11% ~ 25%만큼에 전형적인 도열병증상 발현; 7 = 발병된 잎 면적 26% ~ 50%만큼에 전형적인 도열병증상 발현; 8 = 발병된 잎 면적 51% ~ 75%만큼에 전형적인 도열병증상 발현; 9 = 발병된 잎 면적 76% ~ 100%만큼에 전형적인 도열병증상 발현
관찰 타이밍
모든 처리 계획에 있어서 1차 관찰은 예방적 1차 적용후 6일차에 수행하였다. 1주일 간격을 두고 추가의 관찰을 수행하였다. 관찰 시간을 표 4에 제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 사용의, 벼 도열병 병해 수준에 대한 효과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전술에 기재된 바에 의하면 "BPA056"이라 지칭됨)이, 벼 도열병 발달에 대해 살진균제로서 작용하는 능력을 표 4에 제공하였다. 처리 타이밍에 따르면, 연구에 사용하였던 적용 처리는 예방적 처리 및 치유적 처리였다. 예방적 처리에 있어서 질병 공격 증상이 가시적이지 않거나 질병의 심각도 값이 0%였을 때 살진균제 적용을 수행하였다. 1차 적용(예방적 적용)후 관찰에 있어 질병 공격의 심각도는 여전히 가시적이지 않았으며, 각각의 처리에 대한 공격의 심각도는 0%였다. 2차 관찰(예방적 관찰)시 도열병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 관찰에 있어 질병 공격의 심각도는 모든 처리, 즉 BPA056 살진균제 처리 및 비교 살진균제(NORDOX 56 WP 및 AMISTARTOP 325 SC) 처리에서 나타났던 것으로 확인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살진균제의 예방적 적용은 단 2회만 수행되었는데, 그 이유는 2차 관찰 또는 2차 예방적 살진균제 적용후 1주차에 질병 공격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2차 관찰시 공격의 심각도는, 살진균제 적용을 아직 수행하지 않았던 치유적 처리에서에 비해 예방적 처리에서 유의미하게 상이하였다. 예방적 BPA056 살진균제 처리에 있어 질병 공격의 심각도 값은 비교 살진균제 처리 및 치유적 처리에서에 비해 훨씬 더 작았다.
치유적 처리 개시후 6일 경과시(3차 관찰) 질병 공격의 심각도는 살진균제 처리 구획들 사이에 유의미하게 상이하진 않았다. 살진균제 처리시 질병 공격의 심각도는 대조군 처리시에 비하여 훨씬 더 낮았다. 그러나 모든 살진균제 처리중 예방적 BPA056 살진균제 처리(타이밍 A)는 가장 작은 질병 심각도 값을 보였다.
매회 관찰시 병해의 심각도 증가가 일어났다. 표 4의 관찰 결과들은, BPA056 처리시 매회 후속 관찰에서 병해의 심각도 증가가 매우 적었음을 보여주었다. 이 점은 대조군 처리시와 비교하였을 때 상이하였는데, 즉 공격 심각도 증가가 매우 유의미하였다. 실험의 막바지에는 대조군 처리에서 벼 도열병 심각도가 25.26%에 도달하였던만큼 최고였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BPA056 살진균제 처리시 벼 도열병의 심각도는 더 낮았음이 확인되었다. 살진균제 BPA056의 예방적 처리(타이밍 A)는 치유적 처리(타이밍 B)에 비하여 벼 도열병 발달을 억압하는 최선의 처리였다. 전반적인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예방적 살진균제 적용은 치유적 살진균제 적용에 비하여 공격의 심각도 값이 더 작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살진균제 BPA056의 용량 4 L/ha 또는 6 L/ha만큼으로의 예방적 처리(타이밍 A)는 예방적 참조 제품 처리에 비하여 벼 도열병의 더 우수한 치료를 제공하였다. 살진균제 BPA056의 용량 4 L/ha 또는 6 L/ha만큼으로의 치유적 처리(타이밍 B)는 예방적 참조 제품의 처리시에 비하여 벼 도열병의 더 우수한 치료를 제공하였다.
살진균제의 효능 수준 값으로부터 살진균제의 유효성 수준을 측정하였다. 살진균제는 그 효능 수준이 50%를 초과할 때 질병 억제에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살균제 BPA056의 유효성 수준은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효능 수준 계산을 바탕으로, 테스트한 모든 용량은 벼 도열병 억제에 유효하였던 것으로 공지되었다. 6 L/ha 용량만큼의 살진균제 BPA056의 예방적 처리는 벼 도열병 억제에 유효한, 95.35%의 최고 효능 수준 값을 달성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다른 테스트 투여량에서도 50%를 초과하는 효능 수준 값이 달성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투여량은 도열병을 억제하는 측면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 사용시의 식물독성
식물독성이란, 살진균제를 권장 정도에 따라 시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살진균제 적용으로 말미암아 식물에 나타나는 약해(damage) 증상을 의미한다. 시험 구획에서 미곡의 외관을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을 때, BPA056 적용으로 말미암는 식물독성의 증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BPA056의 다양한 투여량 및 처리 계획에 따라 처리한 구획에서는 식물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 사용이 쌀 수확량에 미치는 효과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BPA056") 및 비교 조성물의 적용과 처리 계획의 수행이 쌀 수확량에 미치는 효과를 표 6에 제공하였다. BPA056의 사용은 미곡 도열병에 의해 유발되는 수확량 감소를 억압할 수 있었다. 모든 살진균제 처리시 수확한 미도정 곡물(가바 케링 파넨 또는 GKP)의 평균 결과는 대조군 처리시보다 높았다.
최고 GKP는 예방적 처리 투여량(6 L/ha)으로 BPA056 처리가 이루어졌을 때 구획당 21.59 kg의 양만큼 달성되었다. 이 수확량은 다른 처리들이 이루어졌을 때의 결과들과 유의미하게 상이하였다. 대조군 처리에 대한 GKP 결과는 구획당 14.42 kg의 양으로서, BPA056 처리시와 유의미하게 상이하였다. BPA056 처리와 대조군 처리간 GKP 결과들의 차이는, BPA056 적용이 수확량을 유지할 수 있었음을 입증한다.
결론
- 벼에의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용(예방적 처리 및 치유적 처리 계획 둘 다에 따른 적용)은, 50%보다 높은 효능 수준으로 벼에서 도열병 발달을 억압할 수 있었다.
- 벼에의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용은, 그 처리가 치유적 처리일 때에 비하여 예방적 처리일 때가 더 많이 유효하였다(예컨대 효능 수준이 더 높았다).
- 벼에의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용(예방적 처리 및 치유적 처리 계획 둘 다에 따른 적용)은, 대조군 처리에 비하여 쌀 수확량 감소를 억압할 수 있었다.
- 벼에의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용은, 그 처리가 예방적 처리였을 때가 치유적 처리였을 때에 비하여 더 많은 쌀 수확량을 달성하였다.
-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예방적 적용은, 벼 도열병을억제하기 위한 최선의 처리 계획이었다.
-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량 4 L/ha 또는 6 L/ha 으로의 예방적 적용은, 예방적 참조 제품의 적용에 비하여 벼 도열병의 더 우수한 치료(즉 더 낮은 도열병의 심각도 및 더 우수한 효능)를 제공하였다.
-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량 4 L/ha 또는 6 L/ha 으로의 치유적 적용은, 치유적 참조 제품의 적용에 비하여 벼 도열병의 더 우수한 치료(즉 더 낮은 도열병의 심각도 및 더 우수한 효능)를 제공하였다.
-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벼에의 적용(예방적 처리 계획 및 치유적 처리 계획 둘 다에 따른 적용)은 테스트한 모든 투여량(0.21%(w/v), 0.42%(w/v) 또는 0.63%(w/v)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에서 벼에 식물독성 증상을 유발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2: 벼 문고병(sheath blight disease)에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사용되었을 때의 현장 효능 테스트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에 언급될 현장 테스트는 모두 현장 조건에서 수행한 실험 테스트였다. 테스트 장소: 자와바랏 주, 수메당 리젠시, 우중자야 지구, 팔라부안 빌리지, 보종 테롱 서브빌리지.
본 시험에서는 Inpari 32와 같은 벼 품종이나 시험 장소 주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품종을 사용하였는데, 이 식물들은 벼 문고병(리녹토니아 솔라니)에 걸리기 쉬웠다.
해충의 병해를 입지 않고 질병이 발생하지 않은 벼의 종자를 사용하였다. 비료의 적용은 해당 지역 권장 사항에 따랐다. 시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의 방법으로 식물의 유지관리를 수행하였다.
파종 후 21일 후의 실생을 사용하였다. 식재구당 종자의 수는 2개~ 3개였다. 인도네시아 농민의 습관과 농약위원회의 승인에 따라, 한 구획당 치수는 10 m x 10 m 크기로 하였고, 관찰한 샘플 식물의 수는 구획당 25개 묶음이었으며, 구획간 거리는 너비 50 cm의 이랑만큼이었다. 식재를 시작한 날짜를 당일로 하였다.
구획의 배치
표 7에 제공한 바와 같은 9가지 처리 계획과 3번의 모사시험을 적용하여 완전임의배치법을 수행하였다. 요악하면, 표 7에 보고된 바와 같이 9가지의 상이한 처리 계획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처리 계획을 3개의 상이한 구획(모사구획)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구획의 치수는 10 m x 10 m였다. 완전임의배치법에 따라 구획을 분배하였다.
적용한 물의 양: 400 L/ha . 접촉 용량은 분사 용액중 조성물의 최종 농도였다. 예를 들어, Antracol 70은 1 kg/ha의 최종 농도로 적용하였다. 이를 분사 용액 1 L당 g으로 표현하려면: 1000 g/400 L로서, 이는 2.5 g/L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BPA 056"로 지칭됨)중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농도는 42%(w/v)였고, 이는 조성물 100 ml당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42 g 또는 1 L당 420 g(즉 0.42 kg)이었다. 분사 용액중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농도는 이하와 같았다: 2 L 조성물 x 0.42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조성물 L = 0.84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4 L 조성물 x 0.42 L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조성물 L = 1.68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6 L 조성물 x 0.42 L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조성물 L = 2.52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그러므로 분사 용액중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농도(즉 접촉 용량 활성 성분)는 이하와 같았다: 0.84 kg/400 L = 0.21 kg/100 L = 210 g/100 L = 2.10 g/L = 0.21 g/100 ml = 0.21%(w/v); 1.68 kg/400 L = 0.42 g/100 ml = 0.42%(w/v); 또는 2.52 kg/400 L = 0.63 g/100 ml = 0.63%(w/v).
예방적 참조 제품에 대한 활성 성분의 접촉 용량은 700 g/ha였고; 치유적 참조 제품에 대한 활성 성분의 접촉 용량은 60 g/ha 아족시스트로빈 및 37.5 g/ha 디페노코나졸이었으며; BPA056 2 L/ha에 대한 활성 성분의 접촉 용량은 0.84 kg/ha였고; BPA056 4 L/ha에 대한 활성 성분의 접촉 용량은 1.68 kg/ha였으며; BPA056 6 L/ha에 대한 활성 성분의 접촉 용량은 2.52 kg/ha였다.
데이터 평가
처리 식물 및 대조군 식물에 있어 5%의 차이 수준이 적용된 실험 디자인에 따라 표적 해충에 의한 식물 병해에 대한 데이터 평가뿐 아니라 곡물 생산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적용 방법 및 수단
농부들에게 반자동 고압 인가 살진균제 분사기(400 L/ha)를 짊어지고 살진균제 분사장치 적용을 수행하는 방법과 교정 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었다.
적용 타이밍 및 횟수
타이밍 A: 적용은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 수행한 예방적 적용이었다.
타이밍 B: 적용은 치유적 적용이었다. 각각의 구획에서의 공격 증상이 여전히 매우 가벼웠던(5% 미만) 심각도로 나타나기 시작할 때, 1차 적용을 수행하였다.
적용 간격: 1주일 간격으로 적용을 수행하였다. (프로토콜 처리/SOP중) 수확하기 전 적어도 2주차까지 적어도 5회 적용을 수행하였으나, 현장 조건에 따라 수행한 적용 횟수는 상이하였다. 이는 공격 증상 출현이 더욱 빨랐기 때문이었으므로, 예방적 적용은 단지 2회만 수행하였다. 1차 적용은 식물이 29 DAS였을 때 이루어졌다. 치유적 적용은 단지 4회만 이루어졌는데, 이는 수확 단계에 막 들어간 식물의 상태로 말미암는다. 적용 시간을 표 7에 제시하였다.
효능 기준
만일 시험 개시시 질병의 분포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면, 효능 기준은 병원체에 의한 식물의 병해 수준을 기반으로 하였다. 그러나 만일 실험 개시시 구획들간 곡물 병해 수준이 고르지 못하였다면, 효능 기준은 질병의 진행을 기반으로 확정하였다. 이는, (처리 전날) 재배지 관찰의 분산분석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테스트한 살진균제의 효능 수준은 마지막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이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을 때 50% 이상이었다:
효능 수준 = (ISK - ISP)(ISK)-1 x 100%
[식 중, ISK는 대조군(살진균제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질병 공격의 심각도이고; ISP는 살진균제 처리시 질병 공격의 심각도임]
관찰
본 시험에서는 전체 구획(구획 치수: 10 m x 10 m)을 처리하였지만, 각각의구획에 대해 25개의 벼 묶음을 대상으로 질병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실험에서, 25개의 묶음을 체계적으로 선택하였다.
리족토니아 솔라니에 의한 식물 병해 수준을 이하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식 중, I는 곡물 병해의 심각도이고; n은 각각의 공격 등급에 있는 분얼의 수이며; v는 각각의 공격 범주에 대한 공격 등급 값이고; V는 특정된 최고 공격 등급 값이며; N은 관찰된 분얼의 총 수임]
리족토니아 솔라니의 공격 등급을 이하와 같이 확정하였다:
0 = 발병하지 않음; 1 = 잎 병해의 조기 증상 발현; 3 = 첫 번째 및 두 번째 원추화서에서 25%를 초과하는 병해 증상 발현;
5 =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원추화서에서 25%를 초과하는 병해 증상 발현; 7 = 모든 원추화서에서 25%를 초과하는 병해 증상 발현; 9 = 분얼 모두 썩음.
관찰 타이밍
모든 처리 계획에 있어서 1차 관찰은 예방적 1차 적용후 6일차에 수행하였다. 1주일 간격을 두고 추가의 관찰을 수행하였다. 관찰 시간을 표 8에 제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 사용이, 벼 잎집무늬마름병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본 테스트는 2가지 처리 계획, 즉 예방적 처리 계획과 치유적 처리 계획으로 이루어졌다. 1차 관찰에서 질병 공격 증상은 여전히 가시적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아, 질병의 심각도 값은 0%였던 것으로 보였다(표 8). 2차 관찰에서 질병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므로, 추가의 예방적 적용은 수행하지 않았다.
표 8의 데이터는, 모든 BPA056 처리가 대조군 처리에 비해 유의미하게 상이한 결과를 만들었던 것으로 보아,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BPA056"이라 지칭)의 적용은 잎집무늬마름병의 심각도를 감소시켰음을 보였다. 실험 동안 BPA056을, 특히 고용량으로 처리하였을 때 잎집무늬마름병의 심각도는 대조군을 처리하였을 때의 잎집무늬마름병의 심각도에 비하여 낮았다. 이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용이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발달을 억압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잎집무늬마름병의 중증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식물이 성숙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질병 심각도의 많은 증가는 BPA056이 최저 용량 적용되었던 테스트와, 비교 및 대조군 살진균제 처리시에 일어났다. 잎집무늬마름병의 증상과 속이 비게 된 원추화서가 BPA056이 최저 용량(2 L/ha)으로 처리되었을 때 관찰되었다. 중증 잎집무늬마름병의 증상과 속이 비게 된 원추화서가 비교 및 대조군 처리시에 관찰되었다. 질병의 발달은 주로 식물이 성숙하였을 때 일어났다.
다양한 용량과 적용 시간에서의 처리 계획들 가운데, BPA056을 최고 용량(6 L/ha)으로 예방적 적용하였을 때 가장 낮은 질병의 심각도를 보였다(표 8). BPA056을 최고 용량(6 L/ha)으로 예방적 적용하였을 때 얻어진 결과는, 2차 관찰에서 마지막 관찰에 이르기까지 용량 4 L/ha만큼 예방적 적용시 얻어진 결과보다 통계학적으로 상이하지도, 유의미하게 상이하지도 않았다. 마지막 관찰시 모든 BPA056 처리에 있어 잎집무늬마름병의 심각도는 대조군 처리에 있어서의 심각도와 유의미하게 상이하였다.
6 L/ha만큼이 예방적 적용으로 처리되었을 때 마지막 관찰에서 최저 심각도는 1.31%로 관찰되었다. BPA056 최고 용량(6 L/ha)만큼의 예방적 적용에 대해 마지막 관찰에서 얻어진 최저 심각도는, 마지막 관찰에서 대조군 처리에서의 심각도(13.48%)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그리고 유의미하게 상이하였다. BPA056의 모든 투여량 수준은 테스트한 벼에서 식물독성 증상을 일으키지 않았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사용의,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효능
잎집무늬마름병을 억압함에 있어 BPA056의 효능은 훌륭한 결과를 보였다. BPA056 처리(예방적 및 치유적 적용 둘 다의 경우에는 4 L/ha 및 6 L/ha의 용량, 그리고 예방적 적용의 경우에는 2 L/ha의 용량) 적용에 대해서 50%를 초과하는 효능 수준이 달성되었다. 그러나 용량 2 L/ha의 BPA056의 치유적 적용시에는 동일한 결과가 적용되지 않았으며, 이 때 효능의 수준은 마지막 관찰에서 50% 미만에 도달하였다(표 9). 6 L/ha의 예방적 용량일 때, 효능의 최고 수준은 90.31%에 도달하도록 달성되었다.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때 쌀 수확량에 미치는 효과
쌀 수확량에 대한 BPA056 적용의 효과를 표 10에 제시하였다. BPA056의 사용은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의해 유발된 수확량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모든 실험 구획에서의 평균 건조 미탈곡 벼에서의 수확량은 대조군 처리시와 유의미하게 상이하였다(표 10).
BPA056을, 평균 수확량 구획당 20.24 kg을 달성하였던 6 L/ha의 용량으로 예방적 적용하였을 때 최다 수확량이 달성되었는데, 이는 평균 수확량 구획당 20.13 kg을 달성하였던 4 L/ha의 예방적 용량 적용시와는 통계학적으로 상이하지 않았다(표 10). 더욱이 BPA056을 최고 용량 2가지(4 L/ha 및 6 L/ha)로 치유적 적용하였을 때, 수확량은 각각 구획당 19.73 kg 및 구획당 19.93 kg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라 벼에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은, 잎집무늬마름병을 억압할 수 있었고, 이 질병에 의해 유발된 쌀 수확량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결론
- 벼에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예방적 적용하는 것은, 벼에서 잎집무늬마름병이 발생하는 것을 억압함에 있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가 모든 테스트 투여량(0.21%(w/v), 0.42%(w/v) 또는 0.63%(w/v))만큼 적용될 때, 50%를 초과하는 효능 수준으로 유효하였다.
- 용량 4 L/ha (0.42%(w/v)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및 6 L/ha (0.63%(w/v)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일 때, 벼에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치유적 적용하는 것은, 벼에서 잎집무늬마름병이 발생하는 것을 억압함에 있어 50%를 초과하는 효능 수준으로 유효하였다.
- 벼에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은, 그 처리가 치유적 처리라기보다는 예방적 처리였을 때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해 더욱 유효하였다(효능 수준이 더 높았다).
- 모든 테스트 투여량으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에 (예방적 처리 계획 및 치유적 처리 계획 둘 다에 따라) 적용하는 것은, 대조군 처리에 비하여 잎집무늬마름병으로 말미암은 쌀 수득량 손실을 감소시켰다.
-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량 4 L/ha 또는 6 L/ha만큼의 예방적 적용은, 예방적 참조 제품의 적용에 비하여 잎집무늬마름병의 더 우수한 치료(즉 마지막 관찰시 더 낮은 문고병 심각도 및 더 우수한 효능)를 제공하였다.
-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량 4 L/ha 또는 6 L/ha만큼의 치유적 적용은, 치유적 참조 제품의 적용에 비하여 잎집무늬마름병의 더 우수한 치료(즉 마지막 관찰시 더 낮은 문고병 심각도 및 더 우수한 효능)를 제공하였다.
-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에 적용하는 것은,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처리가 예방적 처리일 때가 치유적 처리일 때에 비해 더 많은 쌀 수확량이 달성되었다.
-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예방적 적용은 벼의 문고병을 억제하기 위한 최선의 처리 계획이었다.
-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모든 테스트 투여량만큼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예방적 처리 계획 및 치유적 처리 계획에 따라) 적용하는 것은, 벼에 식물독성 증상을 일으키지 않았다.
실시예 3: 벼 문고병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방법
상이한 조성물들의, 벼 잎집무늬마름병(리족토니아 솔라니) 억제에 대한 효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현장 시험을 태국의 두 지역에 확립하였다: L1: 수판부리 스리프라칸 방캉; 및 L2: 수판부리 스리프라칸 돈 프루. 1차 분사전 14일차에 병원체 접종을 수행하였다.
L1 지역에서의 실험 디자인은 완전임의블록(RCB)이었고; 상이한 처리의 횟수는 표 11에 제공된 바와 같이 6회였으며; 모사실험 횟수는 4회였고; 구획의 크기는 구획당 6 m x 5 m였으며; 벼의 품종은 PTT1이었고; 분사량은 312.5 L/ha 였다. 1가지 처리당 4회 모사 수행되었고, 1회 모사처리당 10회 샘플채취를 수행하였다.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BPA 056"이라 지칭됨)중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농도는 42%(w/v), 즉 조성물 100 ml당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42 g, 또는 1 L당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420 g(즉 0.42 kg)이 존재하였다. 분사 용액중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의 농도는 (1 ha당) 이하와 같았다:
2 L 조성물 x 0.42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조성물 L = 0.84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3 L 조성물 x 0.42 L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조성물 L = 1.26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4 L 조성물 x 0.42 L 콜린 펠라르고네이트/조성물 L = 1.68 kg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데이터 평가는, 1차 분사전; 2차 분사전; 2차 분사후 7일차; 2차 분사후 2주차; 2차 분사후 3주차; 그리고 수확전 2주차에 감염 증상을 보이는 길이(cm)의, 식물의 길이(cm) 기준 백분율을 포함하였다. L1 지역에서의 데이터 평가 타이밍에 관한 요약을 표 12에 제공하였다.
질병의 백분율은 이하와 같이 계산하였다:
질병(%) = [감염 증상을 보이는 길이(cm) / 식물의 길이(cm)] x 100
표 13은 지역 L1의 벼에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 056"을 2000 ml/ha, 3000 ml/ha 및 4000 ml/ha만큼 처리한 후, 그리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발리다마이신 3% SL를 625 ml/ha만큼, 그리고 트리사이클라졸을 750 g/ha만큼 처리한 후의 질병의 백분율을 보여주고 있다. 표 13의 결과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 056" 3000 ml/ha 및 4000 ml/ha만큼이 처리된 벼는 미처리 벼에 비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해 월등한 억제를 달성하였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 3000 ml/ha 및 4000 ml/ha만큼은 또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발리다마이신 3% SL 625 ml/ha만큼과 트리사이클라졸 750 g/ha만큼보다 월등하였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 2000 ml/ha만큼은 또한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해 허용 가능한 억제를 보였다.
2차 분사전, 2차 분사후 7일차, 2차 분사후 2주차, 2차 분사후 3주차 및 수확전 2주차에 평가하였을 때, 모든 처리가 이루어진 후의 벼에서는 식물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L2 지역에서의 실험 디자인은 완전임의블록(RCB)이었고; 상이한 처리의 횟수는 표 11에 제공된 바와 같이 6회였으며; 모사실험 횟수는 4회였고; 구획의 크기는 구획당 6 m x 5 m였으며; 벼의 품종은 PTT1이었고; 분사량은 312.5 L/ha 였다. 1가지 처리당 4회 모사 수행되었고, 1회 모사처리당 10회 샘플채취를 수행하였다.
데이터 평가는, 1차 분사전; 2차 분사전; 2차 분사후 7일차; 2차 분사후 2주차; 2차 분사후 3주차; 그리고 수확전 2주차에 감염 증상을 보이는 길이(cm)의, 식물의 길이(cm) 기준 백분율을 포함하였다. L1 지역에서의 데이터 평가 타이밍에 관한 요약을 표 14에 제공하였다.
표 15는 지역 L2의 벼에 본 "u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 056"을 2000 ml/ha, 3000 ml/ha 및 4000 ml/ha만큼 처리한 후, 그리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발리다마이신 3% SL를 625 ml/ha만큼, 그리고 트리사이클라졸을 750 g/ha만큼 처리한 후의 질병의 백분율을 보여주고 있다. 표 15의 결과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 056" 3000 ml/ha 및 4000 ml/ha만큼이 처리된 벼는 미처리 벼에 비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해 월등한 억제를 보였으며,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 3000 ml/ha 및 4000 ml/ha만큼은 또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발리다마이신 3% SL 625 ml/ha만큼과 트리사이클라졸 750 g/ha만큼보다 월등하였음을 보였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056" 2000 ml/ha만큼은 또한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해 허용 가능한 억제를 보였다.
2차 분사전, 2차 분사후 7일차, 2차 분사후 2주차, 2차 분사후 3주차 및 수확전 2주차에 평가하였을 때, 모든 처리가 이루어진 후 식물독성은 벼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 벼의 쌀 수확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방법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현장 시험을 태국의 두 지역에 확립하였다: L1: 수판부리 스리프라칸 방캄; 및 L2: 수판부리 스리프라칸 돈 프루.
수확시 쌀 수확량은 이하와 같이 확정하였다:
1) 구획(즉 3m x 3m = 9 m2)당 수확량(kg). 각각의 구획(9 m2)의 중심부에서 수확하였다.
2) 레일(즉 1600 m2)당 수확량(kg).
3) 1 ha(즉 1600 m2 x 6.25)당 수확량(kg).
표 16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 056" 2000 ml/ha, 3000 ml/ha 및 4000 ml/ha만큼과,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발리다마이신 3% SL 625 ml/ha만큼, 그리고 트리사이클라졸 750 g/ha만큼을 벼에 적용한 후 L1 지역에서의 수확량을 보여준다. 결과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 056" 4000 ml/ha만큼이 처리된 벼가 미처리 벼에 비하여 월등한 쌀 수확량을 제공하였으며,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 4000 ml/ha만큼은 발리다마이신 3% SL 625 ml/ha만큼과 트리사이클라졸 750 g/ha만큼이 처리되었을 때보다 월등하였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 056" 2000 ml/ha 및 3000 ml/ha만큼을 처리한 벼는 미처리 벼에 비하여 여전히 많은 쌀 수확량을 보였다.
표 17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 056"이 2000 ml/ha, 3000 ml/ha 및 4000 ml/ha만큼, 그리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참조 제품 발리다마이신 3% SL 625 ml/ha만큼과, 트리사이클라졸 750 g/ha만큼이 벼에 적용된 후 L2 지역에서의 수확량을 보여준다. 결과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 056" 3000 ml/ha 및 4000 ml/ha만큼을 처리한 벼는 미처리 벼에 비하여 월등한 쌀 수확량을 제공하였고,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 3000 ml/ha만큼 및 4000 ml/ha만큼은 발리다마이신 3% SL 625 ml/ha만큼과, 트리사이클라졸 750 g/ha만큼보다 월등하였음을 보였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 조성물("BPA 056" 2000 ml/ha만큼을 처리한 벼는 미처리 벼에 비하여 많은 쌀 수확량을 여전히 보였다

Claims (30)

  1. 벼의 쌀 수확량을 미치료 벼의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 오라이자 글라베리마, 오라이자 오스트랄리엔시스, 오라이자 바르티이, 오라이자 브라키안타, 오라이자 코아르크타타, 오라이자 에이킨게리, 오라이자 그랜디글루미스, 오라이자 라티폴리아, 오라이자 론지글루미스, 오라이자 론지스타미나타, 오라이자 메이에리아나, 오라이자 미누타, 오라이자 네오칼레도니카, 오라이자 오피시날리스, 오라이자 펑크타타, 오라이자 리들레이, 오라이자 루피포곤, 오라이자 스클레크테리, 지자니아 팔루스트리스, 지자니아 아쿠아티카, 지자니아 텍사나, 지자니아 라티폴리아 및 포르테레시아 코아르크타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 인디카 또는 오라이자 사티바 자포니카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성 조성물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사가능한 액체 또는 농축물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v/v) ~ 70%(v/v)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5.0%(v/v) ~ 70%(v/v) 포함하는 농축물,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10%(v/v) ~ 60%(v/v)를 포함하는 농축물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v/v) ~ 5.0%(v/v) 포함하는 분사가능한 액체,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1%(v/v) ~ 2.0%(v/v) 포함하는 분사가능한 액체, 더욱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1%(v/v) ~ 1.0%(v/v) 포함하는 분사가능한 액체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개 이상의 보조제, 예컨대 용매, 담체, 계면활성제, 스티커, 동결방지제, 증점제, 완충제, 소포제, 항산화제, 보존제, 아로마 또는 발색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을 벼의 지상부 전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발현되기 전 수행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발현된 후 수행되는, 예컨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발현된 후 같은 날 수행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9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은,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발현된 후, 그리고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25%, 예컨대 심해야 20%, 심해야 15%, 심해야 10% 또는 심해야 5%에 이르기 전 수행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0.01 kg/ha ~ 10.0 kg/ha의 농도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되고,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1.0 kg/ha ~ 30.0 kg/ha의 농도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살포되는 방법.
  15. 벼의 쌀 수확량을 미치료 벼의 쌀 수확량에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16.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 오라이자 글라베리마, 오라이자 오스트랄리엔시스, 오라이자 바르티이, 오라이자 브라키안타, 오라이자 코아르크타타, 오라이자 에이킨게리, 오라이자 그랜디글루미스, 오라이자 라티폴리아, 오라이자 론지글루미스, 오라이자 론지스타미나타, 오라이자 메이에리아나, 오라이자 미누타, 오라이자 네오칼레도니카, 오라이자 오피시날리스, 오라이자 펑크타타, 오라이자 리들레이, 오라이자 루피포곤, 오라이자 스클레크테리, 지자니아 팔루스트리스, 지자니아 아쿠아티카, 지자니아 텍사나, 지자니아 라티폴리아 및 포르테레시아 코아르크타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벼는 오라이자 사티바 인디카 또는 오라이자 사티바 자포니카인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성 조성물인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사가능한 액체 또는 농축물인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v/v) ~ 70%(v/v) 포함하는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5.0%(v/v) ~ 70%(v/v) 포함하는 농축물,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10%(v/v) ~ 60%(v/v)를 포함하는 농축물인 방법.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001%(v/v) ~ 5.0%(v/v) 포함하는 분사가능한 액체,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1%(v/v) ~ 2.0%(v/v) 포함하는 분사가능한 액체, 더욱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0.1%(v/v) ~ 1.0%(v/v) 포함하는 분사가능한 액체인 방법.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개 이상의 보조제, 예컨대 용매, 담체, 계면활성제, 스티커, 동결방지제, 증점제, 완충제, 소포제, 항산화제, 보존제, 아로마 또는 발색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을 벼의 지상부 전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발현되기 전 수행되는 방법.
  26.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발현된 후 수행되는, 예컨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을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하는 단계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 발현된 후 같은 날 수행되는 방법.
  27. 제16항 내지 제24항 또는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의,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의 1차 적용은,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이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 발현된 후, 그리고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의 증상의 심각도가 심해야 25%, 예컨대 심해야 20%, 심해야 15%, 심해야 10% 또는 심해야 5%에 이르기 전 수행되는 방법.
  28. 제1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0.01 kg/ha ~ 10.0 kg/ha의 농도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되고, 바람직하게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는 1.0 kg/ha ~ 30.0 kg/ha의 농도로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적용되는 방법.
  29. 제1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상기 조성물은 벼, 이의 일부 또는 벼의 생장 지역에 분사되는 방법.
  30. 벼 또는 이의 일부에서의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이의 조합을 예방 또는 억제함에 있어 콜린 펠라르고네이트 또는 콜린 펠라르고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KR1020237036351A 2021-03-25 2022-03-24 쌀의 수확량을 개선하고, 벼의 도열병, 문고병 및 이의 조합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KR202301595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65023.9 2021-03-25
EP21165023 2021-03-25
PCT/EP2022/057720 WO2022200477A1 (en) 2021-03-25 2022-03-24 Methods for improving rice yield and treating blast disease, sheath blight disease, or a combination thereof on a rice 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586A true KR20230159586A (ko) 2023-11-21

Family

ID=7525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351A KR20230159586A (ko) 2021-03-25 2022-03-24 쌀의 수확량을 개선하고, 벼의 도열병, 문고병 및 이의 조합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40057596A1 (ko)
EP (1) EP4312543A1 (ko)
JP (1) JP2024514445A (ko)
KR (1) KR20230159586A (ko)
CN (1) CN116997254A (ko)
BE (1) BE1029190B1 (ko)
BR (1) BR112023019417A2 (ko)
CO (1) CO2023014110A2 (ko)
TW (1) TW202245600A (ko)
WO (1) WO20222004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02265A1 (en) * 2002-01-09 2003-07-30 Summerdale, Inc. Fungicide compositions
BE1026309B1 (nl) 2018-11-23 2019-12-18 Bipa Nv Samenstelling omvattende een cholinezout van een vetzuur en het gebruik hiervan als fungic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1029190B1 (nl) 2023-04-24
WO2022200477A1 (en) 2022-09-29
CO2023014110A2 (es) 2024-02-15
US20240057596A1 (en) 2024-02-22
BE1029190A1 (nl) 2022-10-05
EP4312543A1 (en) 2024-02-07
JP2024514445A (ja) 2024-04-02
CN116997254A (zh) 2023-11-03
BR112023019417A2 (pt) 2023-12-05
TW202245600A (zh)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12935A (ja) 殺害虫混合物
EA022383B1 (ru) Пест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пропамокарб-гидрохлорид и инсектицидно активное вещество
WO2012084766A1 (en) Agrochemical mixtures for increasing the health of a plant
CN1985591A (zh) 含有有机多硫醚类化合物的组合物及其应用
EA023723B1 (ru) ПЕСТ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ФОСЕТИЛ-АЛЮМИНИЙ, ПРОПАМОКАРБ-HCl И ИНСЕКТИЦИДНО АКТИВНОЕ ВЕЩЕСТВО
RU2265331C2 (ru) Фунг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Ambarish et al. Phytotoxicity and their bio-efficacy of pesticides against key insect pests of Rabi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US20150086650A1 (en) Pre-Harvest Treatment
Sathish et al. Incremental cost-benefit ratio of certain chemical and bio-pesticides against tomato fruit borer, Helicoverpa armigera Hubner (Noctuidae: Lepidoptera) in tomato crop
KR20230159586A (ko) 쌀의 수확량을 개선하고, 벼의 도열병, 문고병 및 이의 조합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EA019535B1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тлей на растениях
CN106857576A (zh) 一种含双唑草腈与苯噻酰草胺的除草组合物及其应用
CN106472526B (zh) 一种用于玉米苗后的除草组合物
Ambarish et al. Effect of Phytotoxicity of pesticides on grain yield of Rabi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CN105432639A (zh) 一种防治蔬菜病害的杀菌组合物及应用
Dhaka et al. Relative efficacy of novel insecticides and biopesticides against Earias vittella (Fab.) in Okra
UA120379C2 (uk) Способи і композиції для боротьби з грибковими патогенами культурних рослин
CN107156130A (zh) 一种含苯并双环酮与吡氟草胺的除草组合物及其应用
CN107691463A (zh) 防治芦笋茎枯病、芦笋褐斑病的杀菌组合物
CN107242243A (zh) 一种含氟酮磺草胺与哒草特的除草组合物及其应用
CN107047597A (zh) 一种含丙嗪嘧磺隆与吡氟草胺的除草组合物及其应用
Yashwant et al. Assessment of Lustre 37.5 EC, a novel fungicide, against powdery mildew disease of urdbean (Vigna mungo L.)
Soni et al. Efficacy of newer insecticides against Helicoverpa armigera (Hübner) and Melanagromyza obtusa Malloch in Pigeon pea
CN105724403B (zh) 一种含三氟啶磺隆与恶草酮的除草组合物及其应用
Leitch The Influence of Adjuvant Type on the Response of Oats to the Growth Regulator Chlormequ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