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584A - 매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 - Google Patents

매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584A
KR20230159584A KR1020237036333A KR20237036333A KR20230159584A KR 20230159584 A KR20230159584 A KR 20230159584A KR 1020237036333 A KR1020237036333 A KR 1020237036333A KR 20237036333 A KR20237036333 A KR 20237036333A KR 20230159584 A KR20230159584 A KR 20230159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theter
catheter valve
adap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너 슈바르츠
Original Assignee
우로메드 쿠르트 드류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로메드 쿠르트 드류스 카게 filed Critical 우로메드 쿠르트 드류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23015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5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61M39/286Wedge clamps, e.g. roller clamps with inclined guides
    • A61M39/287Wedge formed by a slot having varying width, e.g. slide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특히 자체 폐쇄 카테터 밸브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catheter valve)에 관한 것이며, 본체는, 유입구 및 유출구, 가요성 튜브, - 커버로서, 슬라이더, 및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그리고 카테터 밸브의 유입구에서, 공급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단차 미늘형 부품을 포함하며; 2개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수직 챔버들을 포함하는 본체의 내부에서, 카테터 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 상에 2개의 역방향 하향 경사들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는 카테터 밸브를 개발하는 것이며: 1. 이는, 환자가 긴 시간 기간 동안 병상에 누워있는 경우에도 적응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효과적으로 성형되며; 2. 관리 비용들이 장기간 환자들에게 대해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카테터 밸브는 매우 경제적이어야 하며; 3. 노인 환자들은 종종 감소된 운동 기능을 갖기 때문에, 카테터 밸브는 매우 간단하게 한 손을 사용하여 작동되어야 하며; 4. 사용이 종종 장기간이기 때문에, 어려운 분해 없이 전체 밸브를 통해 플러싱하고(flush through) 밸브를 소독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며, 5. 카테터 밸브로부터의 카테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되며, 이는 감염의 위험을 회피한다. 이는, 2개의 역방향 하향 경사부들을 포함하는 주요 본체가, 2개의 수직 이동가능한 자석들을 구동시키고 그리고 안내하기 위한 2개의 반대방향 경사진 챔버들을 포함하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이 반대방향 경사진 챔버들은 밸브 호스의 2개의 반대편 측면들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밸브 호스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하며, 어댑터는 카테터 밸브의 유출구에서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체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에 더하여) 카테터 밸브의 영구적인 개방 포지션을 초래한다.

Description

매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
본 발명은 매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catheter valve), 특히 자체 폐쇄 카테터 밸브에 관한 것이며, 주요 본체는 입구 및 출구, 가요성 튜브, 및 커버로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slider),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카테터 밸브의 유입구에 공급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단차 미늘형 부품(stepped barbed part)을 포함한다.
요실금은 다양한 이유들, 예컨대 질병, 부상 또는 쇠약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병태이다. 요실금 상태는, 보통 요도 괄약근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하는 근육들의 기능의 약화 또는 완전한 결핍을 특징으로한다. 현재까지, 방광 제어가 실질적으로 회복되도록 요실금 상태를 만족스럽게 교정하는 외과적 절차들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요실금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들은 요관으로부터 배출된 요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수집 백과 같은 수동 디바이스들의 사용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해결책의 단점은, 사용자가 요 출력에 대한 어떠한 제어도 가지지 않고 블래더가 백 내로 연속적으로 비워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해결책의 다른 단점은 수집 백이 사용자를 동반해야 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활동들을 지연시킨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비뇨기과에서 사용되는 카테터 밸브들은 만성 환자들을 위해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노인병 환자들에서, 환자들은 수년 동안 카테터 밸브들(catheter valves)을 사용해야한다. 현재까지, 이러한 사실에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양자 모두의 설계 측면들뿐만 아니라 설계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시되는 구성 측면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제어의 결핍, 큰 체적, 불편함 및 활동들의 억제와 같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시도들은 외부 수집 시스템들을 제거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요도로부터 요의 비우는 것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식 실금 제어 디바이스들의 개발로 이어진다. 그러한 장치들의 예들은 US-PS 35 03 400, US-PS 39 39 821 및 US-PS 40 24 855에 설명되어 있다.
US-PS 37 31 670이 또한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쌍-안정 자기 밸브 요소는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으로 다시 제1 자기 구동을 요구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일부 비움 제어를 허용하지만, 이 디바이스는 충분히 신뢰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밸브가 개방 포지션으로의 제1 구동을 겪고 그리고 배출이 정지된다면, 사용자는 제2 구동을 수행하고 그리고 밸브가 여전히 개방 포지션에 있는 동안에 폐쇄 포지션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잊을 수 있다. 밸브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 포지션에 남겨지게 된다면, 예상하지 않은 비어짐(empting)이 발생할 수 있다.
WO 93/24173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카테터 밸브에서, 의도하지 않은 개방의 위험이 또한 유지된다. 정상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는 가요성 라인 부분을 통해 유동을 폐쇄한다. 스프링 요소의 힘에 대항하여 구동될 수 있는 버튼의 형태의 구동 요소의 도움으로, 폐쇄부가 해제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밸브가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또한, 작동 부재는 범핑(bumping) 또는 우발적인 접촉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받을 수 있어서, 이러한 밸브는 또한 의도하지 않은 개구를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더욱이, 압축하지 않지만 대신에 가요성 라인 부분을 폐쇄하기 위해 가요성 라인 부분을 굽히는 카테터 밸브들이 공지되어 있다. EP 0 088 871 A1은 이러한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가요성 라인의 일부는 슬리브에 부착되어서, 가요성 라인의 다른 부분이 부착되는 하우징에 대한 슬리브의 변위는 가요성 라인의 단축으로 이어진다. 라인의 이러한 부분이 측면으로 벗어나는, 라인의 결과적인 좌굴(buckling). 슬리브는, 라인이 설명된 바와 같이 꼬임되고, 따라서 라인을 통한 통과가 폐쇄되는 포지션에서 스프링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나, 호스로서 설계되는 라인의 다수의 킹킹(kinking)은 새로운 문제들로 이어진다. 호스의 일정한 킹킹(kinking) 변형은 호스 벽에 대한 손상으로 이어지며, 그리고, 밸브를 빈번하게 체크하는 것 그리고, 특정한 상황들 하에서, 심지어 밸브를 빈번하게 교체하는 것을 필수적으로 만든다. 게다가, 슬리브의 의도하지 않은 변위 및 이에 따른 유동의 개방이 충분히 방지되는 것이 설명된 실시예에서 또한 보장되지 않는다. 더욱이, 그러한 카테터 밸브는 그 구성이 불필요하게 복잡하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US-PS 21 97 995로부터, 소위 핀치 밸브(pinch valve)가 공지되며, 여기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2개의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차단 요소들이 가요성 라인 부분 상에 작용하여 유동을 제어한다. 차단 요소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단 요소들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가요성 라인 부분 상의 차단 요소들의 작용은 가요성 라인 부분의 대향 지점들에서 일어난다.
더욱이,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는 EP 3 247 450 B1로부터 공지되며, 이 카테터 밸브는 상이한 포지션들을 취할 수 있는 이동가능한 폐쇄 요소를 포함한다. 폐쇄 요소는 자기식으로 작용하는 밸브 드라이브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모든 해결책들의 단점들은:
- 복잡한 구조 설계
- 값비싼 제조
- 복잡한 용법
- 어려운 세척 및 소독
- 많은 구성 요소가 필요함
- 자성 본체/힘은 폐쇄 요소들을 간접적으로 제어함
- (단일) 수동 조작 불가능
- 영구적인 포지션/개구 불가능이다.
DE 10 2019 100 509 B4는 카테터와 교환될 수 있는 매체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를 개시하며, 이 카테터 밸브는 카테터 밸브의 카테터 밸브 내부의 범위를 정하는 밸브 하우징 구조물 및 설계되는 저부 벽을 포함한다. 카테터 밸브를 지지하기 위해, 저부 벽의 반대편에 배열되는 최상부 벽 및 저부 벽과 최상부 벽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한다. 카테터 밸브는 또한, 매체를 안내하기 위한 라인 요소―이 요소는 카테터 밸브 내부를 통해 밸브 하우징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함―, 라인 요소를 통해 매체의 유동을 차단하고 해제하기 위한 폐쇄 디바이스(closure device), 밸브 하우징 구조물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리고 이 폐쇄 디바이스에 의해 차단 포지션과 해제 포지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구동 요소는 최상부 벽 상에 또는 최상부 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카테터 밸브를 위한 폐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은 하기의 단점들을 갖는다:
- 스프링 아암 요소들 및 반복된 구동 후에 O-링으로서 설계되는 스프링 요소의 가능한 재료 피로는 카테터 밸브 누출(leaking)로 이어질 수 있으며,
- 개구를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큰 힘,
- 구조 설계로 인해, 밸브 호스의 완전한 개방 체적 없음은 낮은 유속 및 이에 따라 긴 비움 시간으로 이어진다,
- 복잡한 조작성 ─ 밸브의 영구적인 포지션/개방이 슬라이더의 까다로운 구동에 의해 활성화되어야 함 ─ ,
- 요의 의도하지 않은 유출을 초래할 수 있는, 요 백을 제거할 때 밸브 상의 영구적인 포지션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잊는 것의 위험,
- 긴 스프링 아암 요소들로 인한 큰 구성 체적은, 환자의 착용 편안함을 손상시킴,
- 많은 개별적인 구성요소들로 구성됨,
- 구동 요소와 밸브 출구 사이의 작은 거리는 환자의 손 또는 손가락들 위로 요가 유동할 위험을 증가시킴(위생),
- 카테터의 우발적인 연결해제 또는 풀림이 가능함.
마지막으로, DE 29 41 278 A1은 배관의 피스 및 이동가능한 가압체를 가지는 캐뉼라 또는 카테터 유닛을 개시하며, 여기서 채널을 둘러싸는 벽의 외측 상에 장착되는 슬라이더는 채널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로 이동가능하고, 그리고 가압체를 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슬라이더의 변위시에 2개의 포지션들 사이에서 압력체를 전달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하기의 단점들을 갖는다:
- 자체- 폐쇄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슬라이더가 밸브를 폐쇄하도록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약간 가요성인 호스는 압력체들을 멀어지게 밀어야한다. 이는 호스 재료가 특정 강성을 가져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기간 사용시에, 이는 재료 피로로 이어질 수 있고, 따라서 오작동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더 강성인 재료는 기밀성(tightness)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 캐뉼라(cannula) 주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밀봉되며 그리고 가요성 호스는 완전히 압축되지 않는다. 압력 본체들은 구형으로 설계되고, 따라서 압력 본체들이 캐뉼라 없이 함께 가압된다면, 호스 상의 고정 밀봉을 달성하지 않을 것이다.
DE 10 2013 012 158 A1은, 환형 구동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리고 핀치 요소들에 의해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플랭크되는(flanked) 관형 밸브 요소를 가지는 핀치 밸브를 설명한다. 핀치 요소들은, 구동 부재의 구동 이동에 의해 밸브 요소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밸브 요소의 밸브 채널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 해결책의 단점들은:
- 핀치 요소들은 축 방향의 길이방향으로 가요성 호스를 향해 특정 각도를 따라 이동한다. 호스 상의 밸브가 빈번하게 사용된다면, 이는 재료 마모로 이어질 수 있고, 신뢰성 있는 조임(tightness)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 또한, 축방향 길이방향 힘은 느슨한 호스에 작용하며, 이는 호스의 포지션의 이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밸브의 오작동 또는 누출로 이어질 수 있다.
- 포지션을 개방하고 유지하기 위해, 미는 것은 스프링 힘에 대해 발생해야 하며, 즉, 사용자는 블래더를 비울 때 상대적으로 높은 힘을 가해야한다.
- 스프링은 또다른 구성요소이고, 더 많은 재료 및 조립 비용들을 초래한다.
최종적으로, 다른 핀치 밸브는 DE 10 2007 002 765 B3으로부터 공지되며, 이는 2개의 언급된 DE 29 41 278 A1 및 DE 10 2013 012 158 A1의 조합으로서 실시예에서 공지된다. 이러한 해결책의 단점들은 위에서 언급된 것들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1. 이는, 환자가 긴 시간 기간 동안 병상에 누워있는 경우에도 적응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효과적으로 성형되며;
2. 관리 비용들이 장기간 환자들에게 대해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카테터 밸브는 매우 경제적이어야 하며;
3. 노인 환자들은 종종 감소된 운동 기능을 갖기 때문에, 카테터 밸브는 매우 간단하게 한 손을 사용하여 작동되어야 하며;
4. 사용이 종종 장기간이기 때문에, 어려운 분해 없이 전체 밸브를 통해 플러싱하고(flush through) 밸브를 소독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며,
5. 카테터 밸브로부터의 카테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되며, 이는 감염의 위험을 회피하는 카테터 밸브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제1 항의 특징들을 갖는 카테터 밸브 및 제2 항의 특징들을 갖는 카테터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구성들은 종속항들에서 특정된다.
이러한 목적은, 2개의 역방향-방향 하향식 경사들을 가지는 주요 본체(1)가 2개의 수직 이동가능한 자석들(10; 11)을 구동시키고 안내하기 위한 2개의 대방향 경사진 챔버들(12a; 13a)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밸브 호스(6)의 2개의 반대편(opposite) 측면들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밸브 호스(6)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며, 어댑터(17)는 카테터 밸브의 출구(3)에 삽입되고 체결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로의 이동은 카테터 밸브의 영구적인 개방 포지션을 초래한다. 어댑터(17) 상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그의 개방 포지션을 향하는 슬라이더(7)의 길이방향 변위가 유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카테터 밸브는, 2개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수직 챔버들(12b; 13b)을 포함하는 주요 본체(1)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 상에서 하방 경사부(8), 및 수직 이동가능한 자석(10)을 구동시키고 안내하기 위한 경사진 챔버( 경사진 챔버(12a))를 포함하며, 이 경사진 챔버는, 상기 밸브 호스(6)의 일 측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그의 밸브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며, 어댑터(17)는, 카테터 밸브의 유출구에서 삽입되고 체결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 이외에도, 카테터 밸브의 영구적인 개방 포지션을 초래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어댑터(17) 상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그의 개방 포지션을 향하는 슬라이더(7)의 길이방향 변위가 유발된다.
일체형 또는 양방향으로 플러그형(pluggable)인 안전 디바이스는 카테터 밸브의 입구의 단차형 미늘 부분 상에 배열된다.
안전 디바이스는 U-형상 이중측면 클램프로서 설계된다.
어댑터는 바람직하게는 카테터 밸브의 유출구의 미늘형 부분 위에서 맞물림하거나 이 미늘 부분에 맞물리는 잠금 링을 가지거나, 어댑터가 카테터 밸브의 유출구 위에 가요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미끄러지게 놓이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라, 카테터 밸브는 또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 대신에, 일 측 또는 측들 둘 모두 상에 배열되는 푸시 버튼(push button)이 2개의 자석들을 구동시키도록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테터 밸브 리셉터클로부터 어댑터를 제거하는 것은 자석들을 폐쇄하고, 따라서 튜브를 폐쇄한다. 이러한 폐쇄는 바람직하게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자기력에 의해서만 유발된다. 선택적으로, 그러나 바람직하지 않지만, 이러한 폐쇄는 추가의 스프링 힘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카테터 밸브는 환자의 내부 카테터 또는 카테터 깔때기와 요 백 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로서의 역할을한다. 이는 요 유동을 확립하기 위한 배뇨를 위해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밸브는 요의 연속적인 유동을 위해 밤에 영구적인 포지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장기간(>30일) 사용 및 블래더 트레이닝(bladder train)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특정한 이점들은:
- 어댑터를 삽입함으로써 유동 통로의 자동 개방 및 영구적 위치결정,
- 어댑터가 제거될 때 밸브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추가의 구동이 요구되지 않으며,
- 인체공학적으로 유리한 형상 및 이에 따라 심지어 병상에 누운 환자들에 의한 매우 용이한 조작,
- 적은 수의 개별적인 부품들 및 간단한 조립으로 인한 값싼 제조,
- 용이한 세정 및 소독 가능,
- 슬라이더를 개방 포지션에 유지하기 위해 작은 힘들들이 요구되며,
- 신속한 대소변을 위한 완전한 개구 체적,
- 보다 양호한 착용 편의를 위한 작은 설치 크기,
- 안전한 이중-측면 클램프는 카테터 및 카테터 밸브의 의도하지 않은 연결해제로부터 보호하며,
- 용이한 조작성을 위한 슬라이더의 짧은 개방 경로이다.
특별한 특징은, 주요 본체의 2개의 통합된 하향 경사진들 및 2개의 통합된 경사진 챔버들뿐만 아니라 매우 혁신적으로 설계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의 본 발명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카테터 밸브의 특별한 설계이다. 밸브 호스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2개의 자석들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자석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주요 본체는, 대응부(counterpart)로서 작용하는, 자석의 레벨에서, 그의 저부 상에 자기 특성들을 갖는 금속판을 갖는다.
2개의 수직 챔버들은 2개의 자석들 또는 하나의 자석이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수직 안내의 범위를 정한다. 슬라이더의 길이방향 변위는, 자석 또는 자석들이 하향 경사들을 따라 안내되고 그리고 수직 안내부에서 안내되면서 서로 멀어지게 이동되는 것을 초래한다. 어댑터가 제거될 때, 자기 인력은 카테터 밸브가 그의 원래 포지션으로 복귀하는 경향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자기력이 충분히 크다면, 카테터 밸브는 어댑터(17)가 다시 제거되자마자, 폐쇄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 도 1은 폐쇄된 자석들 및 이중-측면 클램프를 갖는 등축도로 카테터 밸브를 도시한다.
- 도 2는 등축도의 카테터 밸브 및 폐쇄된 자석들을 갖는 주요 본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 도 3은 폐쇄된 자석들을 갖는 단면도의 카테터 밸브를 도시한다.
- 도 4는 등축도로 카테터 밸브 및 개방된 자석들을 도시한다.
- 도 5는 개방된 자석들을 갖는 단면도의 카테터 밸브를 도시한다.
- 도 6은 그리고 리프팅된 슬라이더, 이중-측면 클램프 및 밸브 호스를 갖는 카테터 밸브를 등축도로 도시한다.
- 도 7은 폐쇄 상태의 카테터 밸브를 도시한다.
- 도 8은 개방 상태의 카테터 밸브를 도시한다.
- 도 9는 폐쇄된 자석들을 도시한다.
- 도 10은 개방된 자석들을 도시한다.
- 도 11은 이중-측면 클램프를 갖는 카테터 밸브, 어댑터 및 카테터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 도 12는 이중-측면 클램프, 어댑터 및 카테터를 갖는 섹션의 카테터 밸브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 도 13은 카테터 및 삽입된 어댑터를 갖는 카테터 밸브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 도 14는 섹션 및 카테터의 삽입된 어댑터를 갖는 카테터 밸브를 도시한다.
- 도 15는 등축도로 이중-측면 클램프를 도시한다.
- 도 16은 뾰족한 형상의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정면도의 양면 클램프를 도시한다.
- 도 17은 양면 클램프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 도 18은 플러그형 카테터 보호를 갖는 카테터 밸브를 도시한다.
- 도 19는 통합된 카테터 보호를 갖는 카테터 밸브를 도시한다.
카테터 밸브는 입구(2) 및 출구(3)를 갖는 주요 본체(1)를 갖는다(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입구(2)에는, 환자로부터 카테터(5)를 수용하기 위한 단차형 미늘 부품(4)이 있다. 밸브 호스(6)는 주요 본체(1)를 통해 안내된다. 주요 본체(1) 상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가 배열되며, 이 슬라이더 상에, 주요 본체(1)의 내부에서, 2개의 역방향으로 배열된 하방 경사부들(8); 9개가 위치되어 있다. 슬라이더(7)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해, 2 개의 자석들(10); 11은 아래로의 경사들(8) 위로 이동되고; 도 9는 수직 방향으로 위 또는 아래로, 이에 의해 밸브 호스(6)의 단면을 폐쇄하거나 개방한다. 2 개의 마그넷들(10); 11은 2개의 경사진 챔버들(12a)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도 13a는 2개의 수직 연장 챔버들(12b, 13b)에 맞닿아 있다.
단차형 미늘 부품(4) 상에서, 홈(14)은 주요 본체(1) 상에 배열되며, 이 홈에, 이중-측면 클램프(15)의 일 측이 맞물린다(도 7). 양면 클램프(15)의 다른 측면은 단차형 미늘 부분(4) 및 카테터(5)에 접근하며, 이는 단차형 미늘 부분(4) 상으로 푸시된다.
양면 클램프(15)는 카테터(5)와 정렬되는 측면 상에, 바람직하게 3개의 지점들을 갖는 특별히 뾰족한 기하학적 형상(pointed geo-try)(16)을 가지며, 이는 3개의 지점들이 인장 응력 하에서 카테터(5)의 실리콘 재료에 맞물리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연결해제를 방지한다(도 11, 도 12,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도 19)는 주요 본체(1)를 갖는 양면 클램프가 하나의 컴포넌트로 구성되는 일체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어댑터(17)는 주요 본체(1)의 출구(3)에 부착되며, 이 출구에 대줌 연결체가 연결된다(도 13, 도 14). 어댑터(17)를 삽입할 때, 슬라이더(7)는 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를 개방 포지션으로 민다.
어댑터(17)가 제거될 때, 카테터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폐쇄되어야한다. 이는 자석들(10, 11)에 의해 서로 가해지는 자기력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 힘은 바람직하게는 자석들(10, 11)이 하방 경사들(8, 9)을 따라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고, 수직 챔버들(12b, 13b)에 의해 형성된 수직 안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를 그의 처음 포지션으로 다시 가압하면서 그리고 핀칭하고 그리고 이에 따라 2개의 자석들(10, 11) 사이에 위치되는 밸브 호스(6)를 폐쇄한다.
1 - 주요 본체
2 - 유입구
3 - 유출구
4 - 단차 미늘형 부품
5 - 카테터
6 - 밸브 호스
7 -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
8 - 경사부
9 - 경사부
10 - 자석
11 - 자석
12a - 경사진 챔버
13a - 경사진 챔버
12b - 수직 챔버
13b - 수직 챔버
14 - 홈
15 - 양면형 클램프
16 - 뾰족한 형상 기하학적 형상
17 - 어댑터

Claims (8)

  1. 매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catheter valve)로서,
    상기 카네터 밸브는, 특히 자체-폐쇄(self-closing) 카테터 밸브이며,
    주요 본체(1)는 유입구(2) 및 유출구(3), 가요성 밸브 호스(flexible valve hose)(6), 및, 커버(cover)로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slider)(7), 그리고 카테터(5)를 연결시키기 위한 카테터 밸브의 유입구(2)에 단차 미늘형 부품(stepped barbed part)(4)을 포함하며, 그리고
    2개의 측방향으로 반대편에 있는 수직 챔버(vertical chamber)들(12b; 13b)을 포함하는 상기 주요 본체(1)의 내부에서, 상기 카테터 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 상에 2개의 반대방향의 하향 경사부들(8; 9)을 가지며,
    2개의 반대방향의 하향 경사부들을 가지는 상기 주요 본체(1)는,
    2개의 수직 이동가능한 자석들(10; 11)을 구동시키고 그리고 안내하기 위한 2개의 반대방향의 경사진 챔버들(12; 13)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진 챔버들은 밸브 호스(6)의 2개의 반대편 측면들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이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하며, 어댑터(adapter)(17)는 상기 카테터 밸브의 유출구에서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에 더하여, 상기 카테터 밸브의 영구적인 개방 포지션을 초래하는,
    카테터 밸브.
  2. 매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로서,
    상기 카네터 밸브는, 특히 자체-폐쇄 카테터 밸브이며,
    주요 본체(1)는 유입구(2) 및 유출구(3), 가요성 밸브 호스(6), 및, 커버로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 그리고 카테터(5)를 연결시키기 위한 카테터 밸브의 유입구(2)에 단차 미늘형 부품(4)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주요 본체(1)는 그의 내부에 2개의 측방향으로 반대편에 있는 수직 챔버들(12b; 13b)을 포함하며,
    상기 주요 본체(1)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 상에 하향 경사부(8) 및 2개의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자석들(10)을 구동시키고 그리고 안내하기 위한 경사진 챔버(12a)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진 챔버는 상기 밸브 호스(6)의 측면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이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고 그리고 개방하며, 어댑터(17)는 상기 카테터 밸브의 유출구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에 더하여, 상기 카테터 밸브의 영구 개방 포지션을 초래하는,
    카테터 밸브.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본체는, 상기 자석이 충돌하는, 그의 기초부 상에 자성 특성들을 갖는 금속성 판을 가지는,
    카테터 밸브.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통합형(integrated) 또는 양방향으로(bilaterally) 플러그가능한 안전 디바이스(pluggable safety device)는 상기 카테터 밸브(5)의 유입구(2)의 단차 미늘형 부품(4) 상에 그리고 상기 카테터(5) 상에 배열되는,
    카테터 밸브.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디바이스는 U-형상 양면형 클램프(U-shaped double-sided clamp)(15)로서 설계되는,
    카테터 밸브.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7)는 잠금 링(locking ring)을 통해 상기 카테터 밸브의 유출구의 미늘형 부품 상에 맞물리거나 가요성으로 슬립 오버되는(slipped over),
    카테터 밸브.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카테터 밸브 리셉터클(receptacle)로부터의 상기 어댑터(17)의 제거는, 상기 자석들(10; 11) 및 이에 따른 상기 밸브 호스(6)의 자동 폐쇄로 이어지는,
    카테터 밸브.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7)는, 상기 어댑터가 상기 슬라이더(7)에 부착될 때, 상기 길이방향들로 이동될 수 있는,
    카테터 밸브.
KR1020237036333A 2021-03-25 2022-03-16 매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 KR202301595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001563.0A DE102021001563B4 (de) 2021-03-25 2021-03-25 Katheterventil zum Steuern des Fluidflusses eines Mediums
DE102021001563.0 2021-03-25
PCT/DE2022/000026 WO2022199734A1 (de) 2021-03-25 2022-03-16 Katheterventil zum steuern des fluidflusses eines mediu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584A true KR20230159584A (ko) 2023-11-21

Family

ID=8132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333A KR20230159584A (ko) 2021-03-25 2022-03-16 매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313236A1 (ko)
JP (1) JP2024514457A (ko)
KR (1) KR20230159584A (ko)
CN (1) CN117062642A (ko)
AU (1) AU2022242558A1 (ko)
BR (1) BR112023019140A2 (ko)
DE (2) DE102021001563B4 (ko)
WO (1) WO20221997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7995A (en) 1937-04-06 1940-04-23 Dill Mfg Co Valve
US3503400A (en) 1967-07-12 1970-03-31 Sven M Osthagen Urethral valve
US3731670A (en) 1971-05-03 1973-05-08 David Roy Pressman Corporeal fluid control using bistable magnetic duct valve
US3939821A (en) 1973-11-14 1976-02-24 Altair, Incorporated Magnetically actuated tube compressing valve
US4024855A (en) 1974-12-30 1977-05-24 Louis Bucalo Magnetic filamentary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SE414272B (sv) 1978-10-17 1980-07-21 Viggo Ab Kanyl- eller kateteraggregat
CH663829A5 (de) 1982-03-15 1988-01-15 Alfred Staeubli Katheterventil.
JP3242656B2 (ja) 1992-06-02 2001-12-25 プロフィフォルム、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閉鎖形カテーテル弁
DE102007002765B3 (de) 2007-01-18 2008-04-10 Festo Ag & Co. Quetschventil
DE102013012158A1 (de) 2013-07-20 2015-01-22 Festo Ag & Co. Kg Quetschventil
CN112569451B (zh) 2015-01-22 2023-07-21 Ecp发展有限责任公司 包括截留流体内所含磁性颗粒的分离装置以及功能元件的保护装置的导管装置
GB2541221B (en) * 2015-08-12 2021-04-14 Royal United Hospitals Bath Nhs Found Trust Pinch valve for a urinary drainage system
DE102019100509B4 (de) 2019-01-10 2020-10-01 Urovision Gesellschaft für medizinischen Technologie Transfer mbH Katheterventil und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 Katheter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42558A1 (en) 2023-09-28
CN117062642A (zh) 2023-11-14
WO2022199734A1 (de) 2022-09-29
DE112022001733A5 (de) 2024-01-11
DE102021001563A1 (de) 2022-09-29
DE102021001563B4 (de) 2022-12-22
JP2024514457A (ja) 2024-04-02
EP4313236A1 (de) 2024-02-07
BR112023019140A2 (pt)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9030B1 (en) Flow control valve
US6527702B2 (en) Urinary flow control device and method
JP6941442B2 (ja) 流体格納容器とバッグコネクタシステムとを備えた排泄物管理システム
EP0836500B1 (en) Catheter with an opening/closing mechanism
US5549548A (en) Procedure and device for flushing a catheter
CA2020881C (en) Urethral indwelling catheter with magnetically controlled drainage valve and method
US6106503A (en) Catheter valve
EP3148487B1 (en) A urine flow control system and a magnetic actuator device
US8556873B2 (en) Drainage valve and collection bag assembly comprising said valve
US6240960B1 (en) Back flush valve for one-way flush of drainage catheters
US20210205589A1 (en) Catheter and click connector
JP2022521966A (ja) 人工膀胱器具用のバルブ
CN102481445A (zh) 具有改善的背压密封的医用阀
JP2022521965A (ja) 人工膀胱器具用のバルブ
CN106795977B (zh) 截止阀
KR20230159584A (ko) 매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카테터 밸브
JP2002510536A (ja) 排尿のために非接触で開閉制御できる装置をもつ膀胱頚部持続カテーテル
US20120239006A1 (en) External control valve for indwelling urethral catheters
DK3003211T3 (en) Incontinence device
DK178335B1 (en) A urine flow control system and a magnetic actuator device
KR20160035437A (ko)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SE528491C2 (sv) Sammansättning för kontroll av tömning av en kvinnlig urinblåsa, inkontinensventil och urindränagesammansättning innefattande sammansättningen
GB2207221A (en) A tap
CN114712571A (zh) 洁手引流袋结构
GB2313430A (en) Urine collecting device and va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