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437A -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 Google Patents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437A
KR20160035437A KR1020140127041A KR20140127041A KR20160035437A KR 20160035437 A KR20160035437 A KR 20160035437A KR 1020140127041 A KR1020140127041 A KR 1020140127041A KR 20140127041 A KR20140127041 A KR 20140127041A KR 20160035437 A KR20160035437 A KR 20160035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bag
backflow prevention
inflow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주
Original Assignee
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주 filed Critical 강영주
Priority to KR102014012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437A/ko
Publication of KR2016003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other discharge from 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주머니에 연결되어 있는 소변유입관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밸브, 유입결합부 및 유출결합부가 구비된 역류방지부를 연결하거나, 역류방지부를 주머니에 직접 결합시켜 합성수지재질의 소변주머니를 제조함으로써, 환자의 이동 및 활동 시와 소변주머니 교체시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변 역류로 인한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소변배출관에 투웨이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소변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URINE BAG WITH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주머니에 연결되어 있는 소변유입관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밸브, 유입결합부 및 유출결합부가 구비된 역류방지부를 연결하거나, 역류방지부를 주머니에 직접 결합시켜 합성수지재질의 소변주머니를 제조함으로써, 환자의 이동 및 활동 시와 소변주머니 교체시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변 역류로 인한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소변배출관에 투웨이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소변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소변주머니는 주로 수술환자, 중환자, 노인환자와 같이 침상 안정을 취해야 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해 사용된다. 의료용 소변주머니는 도뇨관을 요도로 삽입하여 방광까지 넣은 후 의료용 소변주머니에 연결되어 있는 소변유입관과 연결하여 방광에 모인 소변을 비닐주머니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비닐주머니에 모아진 소변은 소변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소변주머니에 연결된 소변유입관은 환자를 이동시키는 상황 및 소변주머니 교체 과정에서 환자의 신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었을때, 소변이 역류할 우려가 있다. 주머니에 모아진 소변이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어 방광까지 연결되어 있는 도뇨관으로 역류하게 되면, 역류된 소변으로 인해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환자를 이동시키거나, 소변주머니를 교체할 때에는 소변유입관을 관에 포함되어 있는 잠금장치로 잠그게 되어 있다. 잠금장치는 관을 압력에 의해 막아서 잠그는 원리이고, 상황에 따라 수동으로 소변유입관의 잠금장치를 조작하여 소변이 유입 및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것이기 때문에, 소변유입관을 잠그는 것을 잊어버리기 쉽고, 잠궈 둔 소변유입관을 다시 해제하는 것을 잊어버리기 쉬워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소변유입관을 제대로 잠그지 않고 환자를 이동시키거나 소변주머니를 교체하게 되면 소변이 역류하여 2차 감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소변유입관을 잠그고 다시 해제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 환자의 소변이 배출되지 않아 방광에 무리가 가서 방광염에 걸릴 수 있으며, 방광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상기와 같이 소변주머니에서 소변이 역류하여 2차 감염이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소변이 역류하지 않도록 기능성이 개선된 소변주머니는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3460호는 소변 채취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의 주머니(Pack) 형태로 구성하되, 일반 환자나 피검자 또는 도뇨관(導尿管:Catheter)을 이용하여야만 배변이 가능한 환자나 피검자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소변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고, 소변이 수용된 상태에서 넘어지더라도 소변이 쉽게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2차 감염의 우려 없이 안전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소변 채취용 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4269호는 환자용 소변 배출주머니 연결기(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소변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환자측에 연결된 소변 배수관과 배뇨(排尿)한 소변을 받아 담는 소변 배출주머니측에 연결된 호스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소변주머니에 연결된 소변유입관을 잠금장치로 잠그지 않고서도 소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변유입관 자체에 역류방지밸브가 포함된 역류방지부가 결합되어 있는 소변주머니는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소변주머니에 연결된 소변배출관에도 소변유입관과 같은 잠금장치로 제어하여 소변을 모았다가 배출시키기 때문에, 소변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잠금장치를 제어하기 어렵고, 잠금장치 해제 시 소변이 사방으로 튀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변배출관의 잠금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 개발도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3460호 (등록일자 : 2011.11.08.)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4269호 (등록일자 : 2006.08.10.)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일반적인 소변유입관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밸브, 유입결합부 및 유출결합부가 구비된 역류방지부를 연결하거나, 역류방지부를 주머니에 직접 결합시켜, 환자의 이동 및 활동 시와 소변주머니 교체시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변주머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소변배출관에 투웨이체크밸브를 설치하여 기존의 잠금장치로 인해 소변 배출이 어려웠던 점을 개선하고, 소변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주머니(100), 소변유입관(200) 및 소변배출관(300)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소변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부(400)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부(400)는 역류방지밸브(410), 유입결합부(420) 및 유출결합부(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부(400)가 주머니(100)에 직접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주머니(100), 소변유입관(200) 및 소변배출관(300)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소변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부(400)가 결합되고, 소변배출관(300)의 어느 한 부분에는 투웨이체크밸브(32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주머니(100), 소변유입관(200) 및 소변배출관(300)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소변주머니에 있어서, 역류방지부(400)가 주머니(100)에 직접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소변배출관(300)의 어느 한 부분에는 투웨이체크밸브(32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는, 소변주머니에 연결되어 있는 소변유입관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밸브, 유입결합부 및 유출결합부가 구비된 역류방지부를 연결하거나, 역류방지부를 소변주머니에 직접 결합시켜 소변주머니를 제조함으로써, 환자의 이동 및 활동 시와 소변주머니 교체시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변 역류로 인한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소변배출관에 투웨이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소변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변주머니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변주머니의 잠금장치(310)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부(4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 3은 역류방지부(400)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에 역류방지부(400)가 결합되되, 역류방지부(400)가 주머니(100)에 직접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에 대한 전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고, 첨부된 도면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변주머니에 대한 전면도이고,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변주머니의 잠금장치(310)에 대한 전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부(400)가 결합되어 있는 소변주머니에 대한 전면도이고, 도 3은 역류방지부(400)에 대한 전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에 역류방지부(400)가 결합되되, 역류방지부(400)가 주머니(100)에 직접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소변주머니에 대한 전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소변주머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질의 주머니(100) 상단에 소변유입관(200)이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 소변배출관(300)이 결합되어 있다.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막기 위해 환자의 이동 및 활동 시와 소변주머니 교체시 잠금장치(310)를 이용하여 소변유입관(200)을 막는다. 또한, 주머니(100)에 소변을 모을 때에는 소변유입관(200)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잠금장치(310)를 이용하여 소변배출관(300)을 잠궈서 막고, 소변 배출 시에는 잠금장치(310)를 해제하여 외부로 소변을 배출시킨다.
도 1a에 도시된 잠금장치(310)는 중앙의 구멍에 소변유입관(200) 및 소변배출관(300)이 통과되어 있으면서, 중앙 구멍의 넓은 부분으로 관을 밀어내어 해제하게 되면 소변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해 지게 되고, 중앙 구멍의 좁은 부분으로 관을 밀어넣게 되면 관이 압력에 의해 막히게 됨으로써 소변의 유입 및 유출이 불가능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소변주머니의 소변유입관(200)과 소변배출관(300)에 설치된 잠금장치(310)는 필요한 상황에 환자의 간병인이나 간호사가 직접 잠금장치(310)를 조절하여 소변유입관(200)과 소변배출관(300)을 통한 소변의 유입 및 유출을 제어한다. 즉, 종래의 소변주머니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310)는 소변유입관(200)과 소변배출관(300)을 중앙 구멍의 좁은 부분으로 밀어넣어 압력에 의하여 소변유입관(200)과 소변배출관(300)을 막아서 잠그거나, 잠금장치(310)의 중앙 구멍의 넓은 부분으로 소변유입관(200)과 소변배출관(300)을 밀어내어 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되게 하여 소변의 유입 및 유출이 원활해 지도록 잠금장치(310)를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잠금장치(310)를 제어하는데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어 불편하다.
소변이 역류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그 상황에 따라 수동으로 소변유입관(200)을 잠금장치(310)로 잠그거나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우며 소변유입관(200)을 잠그는 것을 잊어버리기 쉽다. 따라서, 소변유입관(200)을 제대로 잠그지 않고 환자를 이동시키거나 소변주머니를 교체하게 되면 소변이 역류하여 2차 감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소변유입관(200)을 잠금장치(310)로 잠근 상태로 시간이 오래 경과하게 되면 환자의 소변이 장시간 배출되지 않아 방광에 무리가 가서 방광염에 걸릴 수 있으며, 방광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또한 소변배출관(300)을 잠금장치(310)로 잠궈서 주머니(100)에 소변을 모은 후, 주머니(100)에 모아진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잠금장치(310)를 해체하여 소변을 배출시킬 때, 종래의 잠금장치(310)는 제어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소변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소변배출관(300)의 잠금장치(310)를 해제할 때 소변이 사방으로 튀어 오염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변주머니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서, 주머니(100)에 연결되어 있는 소변유입관(200)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밸브(410), 유입결합부(420) 및 유출결합부(430)가 구비된 역류방지부(400)를 연결하거나, 역류방지부(400)를 주머니(100)에 직접 결합시켜 소변주머니를 제조함으로써, 환자의 이동 및 활동 시와 소변주머니 교체시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변 역류로 인한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소변배출관(300)에 기존의 잠금장치(310)를 대체하는 것으로 투웨이체크밸브(320)를 설치함으로써 소변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는, 주머니(100), 소변유입관(200) 및 소변배출관(300)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소변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부(400)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소변배출관(300)에는 투웨이체크밸브(32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역류방지부(400)는 역류방지밸브(410), 유입결합부(420) 및 유출결합부(430)로 구성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의 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는 주머니(100)의 상단에 소변유입관(200)이 결합되어 있고, 주머니(100)의 하단에 소변배출관(300)이 결합되어 있으며, 기존의 소변유입관(200)에 설치되어 있던 잠금장치(310)를 대체하여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부(400)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쪽 방향(One-way Line)으로만 액이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역류방지부(400)를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결합시킴으로써,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어 방광까지 연결되어 있는 도뇨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소변유입관(200)을 통해 주머니(100)로 이동할 때, 소변이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되어, 잠금장치(310)의 조작 없이도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동적으로 소변유입관(200)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등의 조작이 불필요해질 수 있다.
또한, 주머니(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소변배출관(300)에 투웨이체크밸브(320)를 설치하여, 소변주머니에 모아진 소변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투웨이체크밸브(Two-way Check Valve)(320)는 소변배출관(300)과 연결되도록 중앙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웨이체크밸브(320)의 위쪽으로 연결되어 있는 소변배출관(300)의 구멍 및 투웨이체크밸브(320)의 아래쪽으로 연결되어 있는 소변배출관(300)의 구멍과 투웨이체크밸브(320) 중앙을 관통하는 구멍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면 소변이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투웨이체크밸브(320) 중앙을 관통하는 구멍이, 투웨이체크밸브(320)의 위쪽으로 연결되어 있는 소변배출관(300)의 구멍 및 투웨이체크밸브(320)의 아래쪽으로 연결되어 있는 소변배출관(300)의 구멍과 어긋나게 놓이게 되면 소변이 통과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주머니(100)에 소변을 모을 수 있다. 종래의 잠금장치(310)는 제어하기가 매우 어려웠던 반면에, 투에이체크밸브(320)는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외부 용기로 쉽게 소변을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역류방지부(400)는 역류방지밸브(410), 유입결합부(420) 및 유출결합부(4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결합부(420)로 흘러들어온 소변이 역류방지밸브(410)를 통과하여 유출결합부(430)로 흘러들어가게 되는데, 역류 방지 기능이 있는 역류방지밸브(410)로 인해 한쪽 방향(One-way Line)으로만 소변이 흐르게 되어,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역류방지부(400)는, 유출결합부(420)가 주머니(100)에 연결되어 있는 소변유입관(200)의 한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입결합부(410)는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어 방광까지 연결되어 있는 도뇨관에 연결되어 있는 소변유입관(200)의 한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역류방지밸브(410)는 유입결합부(420)에서 흘러들어오는 액은 통과가 가능하지만, 유출결합부(430)에서 역류하는 액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에 역류방지밸브(410), 유입결합부(420) 및 유출결합부(430)로 구성되어 있는 역류방지부(400)를 결합시킴으로써, 주머니(100)에 모아진 소변이 다시 소변유입관(200)으로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이 한쪽 방향(One-way Line)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밸브는 모두 역류방지부(400)에 포함된 역류방지밸브(410)로 사용 가능하다. 즉, 여러 가지 원리로 고안되어 액이 한쪽 방향(One-way Line)으로만 흐르도록 액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는 모두 역류방지밸브(410)로 사용 가능하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패킹의 휨에 따라 한쪽 방향(One-way Line)으로만 액이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액의 압력상태에 따라 패킹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밸브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압력이 발생 될 경우 패킹의 테두리가 하측으로 휘어지며 유로가 개방되어 액이 흐를 수 있으며, 밸브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압력이 발생 될 경우 패킹의 테두리가 상측 테두리부에 밀착되면서 유로를 차단하게 되어 액이 흐를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원리를 기반으로 제작된 밸브는 액이 한쪽 방향(One-way Line)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역류방지부(400)에 포함된 역류방지밸브(410)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는, 주머니(100), 소변유입관(200) 및 소변배출관(300)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소변주머니에 있어서,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에 역류방지부(400)가 결합되되, 상기 역류방지부(400)가 주머니(100)에 직접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변배출관(300)에는 투웨이체크밸브(32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의 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하나,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는 주머니(100)의 상단에 역류방지부(400)의 유출결합부(420)가 직접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주머니(100)와 연결된 역류방지부(400)의 유입결합부(410)가 소변유입관(200)과 결합되어 있고, 주머니(100)의 하단에 소변배출관(300)이 결합되어 있으며, 소변배출관(300)에는 투웨이체크밸브(32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어 방광까지 연결되어 있는 도뇨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소변유입관(200)을 통해 이동하고, 소변유입관(200)에 연결된 역류방지부(400)의 유입결합부(420), 역류방지밸브(410) 및 유출결합부(430)의 순으로 이동하여 주머니(100)로 이동하기 때문에, 소변이 한쪽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소변유입관(200)에 설치되어 있던 기존의 잠금장치(310) 조작 없이도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동적으로 소변유입관(200)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등의 조작이 불필요해져 매우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주머니 200 : 소변유입관
300 : 소변유출관 310 : 잠금장치
320 : 투웨이체크밸브 400 : 역류방지부
410 : 역류방지밸브 420 : 유입결합부
430 : 유출결합부

Claims (5)

  1. 주머니(100), 소변유입관(200) 및 소변배출관(300)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소변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100)와 소변유입관(20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역류방지부(400)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400)는 역류방지밸브(410), 유입결합부(420) 및 유출결합부(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400)가 주머니(100)에 직접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소변배출관(300)의 어느 한 부분에는 투웨이체크밸브(32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변배출관(300)의 어느 한 부분에는 투웨이체크밸브(32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KR1020140127041A 2014-09-23 2014-09-23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KR20160035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041A KR20160035437A (ko) 2014-09-23 2014-09-23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041A KR20160035437A (ko) 2014-09-23 2014-09-23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437A true KR20160035437A (ko) 2016-03-31

Family

ID=5565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041A KR20160035437A (ko) 2014-09-23 2014-09-23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4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832A1 (en) * 2021-09-29 2023-04-06 C. R. Bard, Inc. Urinary cathete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832A1 (en) * 2021-09-29 2023-04-06 C. R. Bard, Inc. Urinary cathet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0810B (zh) 排液阀及包括所述排液阀的收集袋组件
JP6941442B2 (ja) 流体格納容器とバッグコネクタシステムとを備えた排泄物管理システム
US10426654B2 (en) Catheter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and system
US8702681B2 (en) Catheter valv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367004B1 (ko) 의료용 흡인기
US20240068587A1 (en)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Liquid
US9445934B2 (en) Catheter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and system
JPS63257555A (ja) 人の尿を収拾しかつ一時的に貯蔵するための使い捨て装置
KR20160035437A (ko) 소변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주머니
KR20120001838U (ko) 환자용 소변 배출장치
JPS58109060A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2233114B1 (ko) 소변 주머니
TWI643607B (zh) 尿袋
JP2005531392A (ja) 磁気バルブ式膀胱用サイクラー排液システム、及び尿道カテーテルとの使用方法
KR101529497B1 (ko) 휴대용 여성 소변기
JP3139221U (ja) 医療用逆止弁、逆止弁を備えた点滴チューブ、逆止弁を備えたカテーテル及びオムツ
CN210750499U (zh) 一种带双接头的防返流引流袋
CN214911244U (zh) 一种防尿液逆流的引流袋
CN104434373A (zh) 男用夹具式体外导尿器具
CN213076118U (zh) 一种方便使用可拔除的输尿管支架
CN215961744U (zh) 防止尿液回流的泌尿外科临床导尿管
CN217793536U (zh) 磁控排尿系统及其磁控导管
CN209596383U (zh) 一种脑外科术后的负压引流管
CN105664341B (zh) 肛门引流管
CN211214896U (zh) 一种妇产科护理用新型导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