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945A -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945A
KR20230158945A KR1020220058699A KR20220058699A KR20230158945A KR 20230158945 A KR20230158945 A KR 20230158945A KR 1020220058699 A KR1020220058699 A KR 1020220058699A KR 20220058699 A KR20220058699 A KR 20220058699A KR 20230158945 A KR20230158945 A KR 20230158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ic mobility
charging
mobility device
whee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누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누리
Priority to KR1020220058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945A/ko
Publication of KR2023015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40Electrical machine applications
    • B60L2220/46Wheel motors, i.e. motor connected to only on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배터리, 상기 2차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인휠모터 및 상기 인휠모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2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재생회동부를 포함하는 전기이동장치가 구비되며,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휠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An electric mobile device charging device that can charge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배터리, 상기 2차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인휠모터 및 상기 인휠모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2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재생회동부를 포함하는 전기이동장치가 구비되며,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휠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차량(전기자동차의 형태도 모두 포함하나, 이하에서는 "전기이동장치"로 통칭한다)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종류로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는 홈충전기 저속과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의 두 가지 타입이 있으며 급속충전기는 약 30분만에 충전이 가능하다. 전기이동장치 제조사 별로 AC단상 5핀, AC3상 7핀, DC차 데모 10핀 및 DC콤보 7핀 등이 이용되며, 충전기커넥터와 차량용 소켓측의 결합형상이 암수결합 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종류에 따라 결합형상 및 핀의 개수 및 구성이 상이하며, 상호 호환해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특히, 전기이동장치 충전에 대한 규격이 단일화되지 않아 현재 양산되고 있는 전기이동장치도 충전소켓의 규격이 상이하고 호환성에 문제가 있다. 충전소켓은 FAST DC(CHAdeMO), FAST DC(DC Combo type 1), FAST AC 등 3가지로 구분된다.
결국, 단일화된 규격이 적용되지 않으면 충전시설을 개설할 때에도 하나의 충전장치에 여러가지 충전소켓과 인버터, 컨버터 등의 추가 설비를 모두 구성해서 만들어야 한다.
위와 같이 하나의 충전장치에 여러가지 충전 소켓을 구비하더라도, 사용자는 충전기 사용에 있어 자신의 전기이동장치와 알맞은 충전기를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 충전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충전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단자 연결 방식의 충전 형식이 아닌, 외부 동력장치에 의한 회동 방식의 충전 형식으로서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모든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호환성이 높은 2차 배터리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배터리, 상기 2차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인휠모터 및 상기 인휠모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2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재생회동부를 포함하는 전기이동장치가 구비되며,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휠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는 상기 인휠모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휠모터가 상기 거치부에 안착되고 상기 구동부 작동 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인휠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 때 발생하는 상기 인휠모터 내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재생회동부가 상기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는 상기 전기이동장치의 거치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기이동장치가 상기 거치부에 적재된 것을 상기 센서부가 감지 시,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가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이동장치는 충전 완료 시 소정의 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는 상기 전기이동장치가 상기 거치부에 적재된 것을 상기 센서부가 감지 시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를 가동시키며, 상기 송신부로부터 신호 감지 시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자 연결 방식의 충전 형식이 아닌, 외부 동력장치에 의한 회동 방식의 충전 형식으로서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모든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전기이동장치 충전 중 및 충전 후 전기이동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전기이동장치(50) 충전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2차 배터리(51)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51)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50) 충전장치(100)는 구동부(110), 회전부(120), 거치부(130),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기이동장치(50) 충전장치(100)의 구동부(110)는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회전부(120)는 구동부(110)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휠모터(M)를 회전시킬 수 있다.
거치부(130)는 상기 인휠모터(M)가 그 내부에 거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수용공간을 포함한다.
센서부는 전기이동장치(50)의 거치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전기이동장치(50)의 2차 배터리(51)의 완충 여부에 따라 전기이동장치(50) 충전장치(10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전기이동장치(50)는 2차 배터리(51), 인휠모터(M), 재생회동부(52) 및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이동장치(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바이로 표현하였으나, 이와 달리 자동차, 퀵보드 등과 같이 인휠모터가 구비된 다른 전기이동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인휠모터(M)는 2차 배터리(51)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재생회동부(52)는 상기 인휠모터(M)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2차 배터리(51)를 충전할 수 있다.
송신부는 2차 배러티 충전 완료 시 소정의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전기이동장치(50) 충전 중 및 충전 후 전기이동장치(5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전기이동장치(50) 충전장치(100)의 충전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인휠모터(M)가 상기 거치부(130)에 안착되고 상기 구동부(110) 작동 시, 상기 회전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휠모터(M)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인휠모터(M) 내 소정의 전력이 발생하며, 상기 재생회동부(52)는 인휠모터(M) 내 소정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이동장치(50)의 상기 2차 배터리(51)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전기이동장치(50) 충전장치(100)는 상기 전기이동장치(50)의 거치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1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전, 센서부는 상기 전기이동장치(50)가 상기 거치부(130)에 적재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전기이동장치(50) 충전장치(10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충전 중,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인휠모터(M)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인휠모터(M) 내 소정의 전력이 발생하며, 상기 재생회동부(52)는 인휠모터(M) 내 소정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이동장치(50)의 상기 2차 배터리(51)를 충전할 수 있다.
완충 시, 전기이동장치(50)의 송신부는 전기이동장치(50) 충전장치(100)의 제어부로 소정의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제어부가 상기 송신부로부터 발생된 신호 감지 시 상기 전기이동장치(50) 충전장치(100)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자 연결 방식의 충전 형식이 아닌, 외부 동력장치에 의한 회동 방식의 충전 형식으로서 2차 배터리(51)의 규격에 관계없이 모든 2차 배터리(51)를 충전할 수 있으며, 전기차 등과 같이 전기이동장치(50) 충전시설을 개설할 때 하나의 충전장치(100)로서 다양한 규격의 이동장치를 충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인휠모터
50 - 전기이동장치
51 - 2차 배터리
52 - 재생회동부
100 - 충전장치
110 - 구동부
120 - 회전부
130 - 거치부

Claims (4)

  1. 2차 배터리;
    상기 2차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인휠모터; 및
    상기 인휠모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2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재생회동부
    를 포함하는 전기이동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휠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는
    상기 인휠모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휠모터가 상기 거치부에 안착되고 상기 구동부 작동 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인휠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 때 발생하는 상기 인휠모터 내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재생회동부가 상기 2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는
    상기 전기이동장치의 거치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이동장치가 상기 거치부에 적재된 것을 상기 센서부가 감지 시,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이동장치는
    충전 완료 시 소정의 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는
    상기 전기이동장치가 상기 거치부에 적재된 것을 상기 센서부가 감지 시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를 가동시키며, 상기 송신부로부터 신호 감지 시 상기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KR1020220058699A 2022-05-13 2022-05-13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KR20230158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699A KR20230158945A (ko) 2022-05-13 2022-05-13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699A KR20230158945A (ko) 2022-05-13 2022-05-13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945A true KR20230158945A (ko) 2023-11-21

Family

ID=8898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699A KR20230158945A (ko) 2022-05-13 2022-05-13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9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5555B1 (en) Connection device
EP3036128B1 (en) Charging system, vehicle, and charging facility
JP6156484B2 (ja) 車両
US8515605B2 (en) On-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vehicle
US9434257B2 (en) Power supply connect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JP5029783B2 (ja) 充電システム
US9393872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9150113B2 (en) Vehicle configured to be charged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JP5348251B2 (ja) 電線格納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給電装置
JP6044460B2 (ja) 車両の電源装置
JP5679071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給電装置
JP2016521106A (ja) プロトコル間充電アダプタ
JP2011125186A (ja) 車両、給電装置および充電システム
CN105978076A (zh) 一种可移动的电动汽车续航充电装置
KR20150109608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JP2012249384A (ja) 車両
EP3974240B1 (en) Conversion adapter
KR20230158945A (ko) 2차 배터리의 규격에 관계없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이동장치 충전장치
JP2014193088A (ja) 電力伝達用ケーブル
WO2012164681A1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KR20200068533A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어댑터
JP2013048518A (ja) 車両用充電装置、充電線通信システム
JP2021083177A (ja) 充電システム
JP2022158401A (ja) 充電コネクタおよび充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