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692A -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 Google Patents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692A
KR20230158692A KR1020220058109A KR20220058109A KR20230158692A KR 20230158692 A KR20230158692 A KR 20230158692A KR 1020220058109 A KR1020220058109 A KR 1020220058109A KR 20220058109 A KR20220058109 A KR 20220058109A KR 20230158692 A KR20230158692 A KR 2023015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ap
sealing
rear ca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학수
Original Assignee
박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학수 filed Critical 박학수
Priority to KR102022005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692A/ko
Publication of KR2023015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케이스의 리어캡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고, 실리콘오링을 사용하여 상기 리어캡이 탄력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필터의 오염방지와 교체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손잡이(20)의 유로를 통해 수돗물이 헤드케이스(30)로 이동하여 전방으로 분사시키고, 상기 헤드케이스(30)에는 실링부재(80)를 포함해 후방에 구비된 리어캡(50)을 개방하여 후방개구부를 통해 헤드필터부재(40)가 중공부(31)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샤워기용 헤드(100)에 있어서,
상기 헤드케이스(30)는, 리어캡(50)을 마주하는 외경면 일측에 헤드링고정구(33a)를 갖는 헤드연결구(33)가 형성되어, 리어캡(50)의 캡연결구(52)에 구비된 회전축(60)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60)을 기준으로 리어캡(50)이 중공부(31)를 개방 또는 폐쇄 이동되게 하고,
상기 헤드케이스(30)의 외경면 타측에는 고리지지구(34)에 캡잠금부재(37) 및 결속고리(34a)가 구비되어, 마주하는 리어캡(50)의 외경면에 돌출 형성된 캡잠금턱(58)과 고리걸림구(59)에 걸려져 실링부재(80)를 압착하며 헤드케이스(30)와 리어캡(50)이 잠김 고정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Shower head with improved filter repla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케이스의 리어캡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고, 실리콘오링을 사용하여 상기 리어캡이 탄력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필터의 오염방지와 교체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헤드와 손잡이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전방 출구측에 다수의 분사공을 뚫은 분사판과 전방캡을 결합시켜, 손잡이에 조립된 호스를 통해 공급된 수돗물이 손잡이 내의 유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분사공으로 분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돗물에는 상수처리시설에서 물을 소독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염소성분이 쉽게 제거되지 않고 물속에 용해되어 잔류하기 때문에 수돗물에서는 특유의 염소 냄새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수돗물 내부에 포함된 염소성분 및 수돗물 배관내부의 부식에 따른 녹(rust) 등의 잔류물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피부 질환을 심화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손잡이 내부에 필터부재가 구비된 샤워기가 제안되어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 및 염소성분과 잔류물을 제거 및 여과하여 샤워 헤드를 통해 분사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 샤워기의 손잡이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 만으로는 수돗물 내의 염소성분 및 잔류물과 녹을 제거 및 여과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으며, 단기간에 필터부재가 오염되어 필터부재를 빈번하게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샤워기의 손잡이에 필터부재가 구비되는 것과 별도로 헤드 내부에 피부에 좋은 알로에 성분이나 루이보스, 꽃향, 달맞이유, 올리브유 성분 등의 피부미용부재를 첨가함으로써 피부 미용 목적으로도 사용하고 있었으나, 상기 헤드의 전방캡을 열고 분사판을 분리한 다음에 상기 피부미용부재를 충진하는 방식을 갖고 있어 빈번한 전방캡의 체결에 따른 불편함과 분사판의 훼손으로 수돗물의 분사방향이 어긋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샤워기의 손잡이 및 헤드 내부에 필터부재를 구비하고, 공개특허공보 10-2022-0032201호에서와 같이 헤드 후방을 개폐하는 구조의 샤워기용 헤드를 제안한 바 있었으나, 상기 헤드와 리어캡의 체결구조를 성형하는 작업의 어려움과 함께 결합부에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리어캡을 헤드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오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 나사산 및 실링부재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샤워기 전체를 교체해야 함으로서, 금전적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32201호.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공개일자 2022년 03월 15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헤드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헤드케이스의 리어캡이 결속고리의 해제에 따라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헤드케이스와 리어캡이 연결되는 회전축에 비금속재질의 실리콘오링을 적용하여 녹 발생을 방지하고, 결속고리의 해제 시 상기 실리콘오링의 탄력으로 리어캡이 간편하게 개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케이스와 리어캡이 마주하는 일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의 실링면적을 증대시켜 누수를 방지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20)의 유로를 통해 수돗물이 헤드케이스(30)로 이동하여 전방으로 분사시키고, 상기 헤드케이스(30)에는 실링부재(80)를 포함해 후방에 구비된 리어캡(50)을 개방하여 후방개구부를 통해 헤드필터부재(40)가 중공부(31)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샤워기용 헤드(100)에 있어서,
상기 헤드케이스(30)는, 리어캡(50)을 마주하는 외경면 일측에 헤드연결구(33)가 형성되며, 리어캡(50)의 캡연결구(52)에 구비된 회전축(60)과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60)을 기준으로 리어캡(50)이 중공부(31)를 개방 또는 폐쇄 이동되게 하고,
상기 헤드케이스(30)의 외경면 타측에는 고리지지구(34)에 캡잠금부재(37) 및 결속고리(34a)가 구비되어, 마주하는 리어캡(50)의 외경면에 돌출 형성된 캡잠금턱(58)과 고리걸림구(59)에 걸려져 실링부재(80)를 압착하며 헤드케이스(30)와 리어캡(50)이 잠김 고정되게 구성한다.
또, 상기 헤드케이스(30)의 헤드연결구(33)에는 일측이 개구된 헤드링고정구(33a)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캡(50)의 캡연결구(52)에는 일측이 개구된 캡링고정구(52a)가 형성되어, 실리콘오링(70)이 회전축(60)의 외측에서 일단을 헤드링고정구(33a)에 걸어 고정하고, 타단은 캡링고정구(52a)에 걸어 고정하여, 리어캡(50)의 잠김 이동시 상기 실리콘오링(70)이 탄력을 갖고 늘어나고, 리어캡(50)의 잠김 해제 시에는 실리콘오링(70)이 원복되면서 리어캡(50)이 열림 회전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80)는, 리어캡(50)을 마주하는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구비된 실링끼움홈(39)에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적어도 하나의 링형상을 갖고 설치되며, 리어캡(50) 방향의 일측선단에 요(凹) 형상의 실링삽입부(82a)가 적어도 1열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80)를 마주하는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는 실링삽입부(82a)에 대응하는 철(凸) 형상의 받침돌기부(38a)가 형성되어 상호 기밀되게 요철(凹凸)조립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80)는,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구비된 실링끼움홈(39)에 설치되어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 기밀 조립되게 구성하되; 상기 실링끼움홈(39)은, 바닥면에 "山" 형상을 갖도록 실링결속턱(39c)의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실링고정돌기(39b)가 돌출 형성되게 하고, 실링부재(80)는, 저면에 실링결속턱(39c)과 실링고정돌기(39b)가 끼워지게 실링결속홈(83a)의 양측으로 돌기삽입홈(83b)이 형성된 "m" 형상을 갖고 성형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받침면(38)의 실링끼움홈(39)은, 실링부재(80)의 단면폭 보다 더 큰 폭을 갖게 구비되어, 실링부재(80)의 조립 시 양측에 실링압착부(39d)가 더 형성되고,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는, 상기 실링압착부(39d)에 삽입되어, 실링부재(80)의 양측면을 실링고정돌기(39b)에 압착하는 결합끼움구(51a)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필터부재(40)는, 중앙에 유체토출홀(41a)을 갖고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필터재(41)와, 상기 필터재(41)의 전방에 위치하여 외경면이 중공부(31)에 지지되며, 중앙에 형성된 토출구(44)가 상기 유체토출홀(41a)에 끼워져 조립되는 전면커버(43)와, 상기 필터재(41)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경면이 중공부(31)에 지지되며,, 중앙에 형성된 고정구(48)가 상기 유체토출홀(41a)에 끼워져 일측을 차폐하는 후면커버(47)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캡(50)에는, 헤드필터부재(40)를 마주하는 일측면에 가압돌기(53)가 더 형성되어, 상기 헤드케이스(30)의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가압돌기(53)가 헤드필터부재(40)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손잡이(20)는, 상부몸체(20a)와 하부몸체(20b)가 체결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공간(21)에 손잡이필터부재(22)가 조립되어, 상기 손잡이필터부재(22)에서 여과된 수돗물이 헤드케이스(30)로 이동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케이스(30)는, 분사판(35)과 헤드필터부재(40) 사이에 수돗물의 분사 형태를 전환하는 분사조작구(G)를 더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샤워기용 헤드 내부에 필터부재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헤드케이스의 후방에 회전축으로 조립된 리어캡을 열고 필터부재를 교체 삽입하는 것으로 필터부재의 설치 및 교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헤드케이스와 리어캡이 연결되는 회전축에 비금속재질의 실리콘오링을 적용하여 녹 발생을 방지하고, 결속고리의 해제 시 상기 실리콘오링의 탄력으로 리어캡이 간편하게 개방되어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헤드케이스와 리어캡이 마주하는 일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의 실링면적을 증대시켜 샤워기 호스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하여 샤워기용 헤드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 헤드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 헤드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리어캡 힌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구성인 리어캡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구성인 리어캡의 잠김구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구성인 실링부재의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인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는, 헤드케이스의 리어캡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고, 실리콘오링을 사용하여 상기 리어캡이 탄력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필터의 오염방지와 교체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 헤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샤워기는 손잡이(20)와 헤드케이스(30)로 구분되어, 손잡이(20)를 통해 공급된 수돗물이 유로(25)를 따라 헤드케이스(30)로 이동하여 전방으로 분사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20)와 헤드케이스(30)가 일체 형상을 갖게 성형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수돗물이 손잡이(20)의 내부공간(21)과 유로(25)를 거쳐 헤드케이스(30)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유로(25)는 헤드케이스(30)의 전방에 치우쳐 위치하며 입구보다 출구의 지름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헤드케이스(30)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수압을 높게 하여, 수돗물이 헤드케이스(30)의 중공부(31)에 삽입된 헤드필터부재(40)를 통해 전방의 분사구로 이동하여 분사되게 한다.
상기 헤드케이스(30)는, 전방과 후방이 개구된 중공부(31)를 갖고 상기 중공부(31)의 전방 선단에는 분사판받침턱(32)이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방 선단에는 개구부의 일측에 헤드링고정구(33a)를 갖는 헤드연결구(33)에 리어캡(50)의 캡연결구(52)에 구비된 회전축(60)을 조립시켜, 상기 회전축(60)을 기준으로 리어캡(50)이 중공부(31)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헤드케이스(30)의 중공부(31)에는, 원형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다수개의 분사공(35a)이 간격을 갖고 형성된 분사판(35)이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삽입되어, 상기 분사판받침턱(32)에 둘레부가 지지되며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31)에 전방패킹부재(36)와 헤드필터부재(40)를 후방 개구부를 통해 삽입한 다음에, 헤드케이스(30)의 후방에서 리어캡(50)을 회전시켜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하는데, 상기 리어캡(50)을 헤드케이스(30)에 고정하는 방식은 헤드케이스(30)의 외경면 타측에 돌출 형성시킨 고리지지구(34)에 캡잠금부재(37) 및 결속고리(34a)가 구비되어, 마주하는 리어캡(50)의 외경면에 돌출 형성된 캡잠금턱(58)과 고리걸림구(59)에 걸려져 실링부재(80)를 압착하면서 헤드케이스(30)와 리어캡(50)이 잠김 고정되게 구성한다.
즉, 상기 헤드케이스(30)의 후방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리어캡(50)을 덮게 되면, 내측에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된 캡잠금부재(37)가 캡잠금턱(58)의 선단부에 걸려져 선결합된 다음에 결속고리(34a)를 고리걸림구(59)에 걸어 리어캡(50)을 이중으로 잠금 고정하고, 상기 리어캡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결속고리(34a)를 회전시켜 원복시키고 캡잠금부재(37)의 일단부를 눌러 캡잠금턱(58)에서 이탈되게 하여 리어캡(50)이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0)의 유로(25)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이 헤드필터부재(40)의 외측 둘레에서 내측으로 여과되며 이동한 다음에 중앙의 유체토출홀(41a)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분사판(35)의 분사공(35a)으로 분사되어 염소 및 중금속과 불순물이 제거된 수돗물을 사용자에게 토출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및 건강에 이롭게 된다.
여기에, 상기 샤워기의 헤드케이스(30)에는 헤드필터부재(40)가 삽입되어 수돗물을 여과하는데 필터재(41)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를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며, 상기 필터재가 위치하는 부위 일부만 외부에 투영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필터부재(40)는, 크게 중앙에 유체토출홀(41a)을 갖고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필터재(41)와, 상기 필터재(41)와 전방패킹부재(36)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에 형성된 토출구(44)가 상기 유체토출홀(41a)에 끼워져 조립되고, 전면에는 상기 전방패킹부재(36)에 지지되는 전면커버(43)와, 상기 필터재(41)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경면이 중공부(31)에 지지되며, 중앙에 형성된 고정구(48)가 상기 유체토출홀(41a)에 끼워져 일측을 하폐하는 후면커버(47)를 포함해 구성된다.
상기 필터재(41)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수돗물을 여과하는데 사용되며, 원통형상을 갖고 있어, 외부에서 내부로 수돗물이 이동하며 여과되어 중앙 토출구(44)를 통해 여과된 수돗물이 토출되는 구성을 갖도록 한다.
또, 상기 전면커버(43)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중앙에는 필터재(41)의 유체토출홀(41a)방향으로 절곡된 토출구(44)가 구비되어, 상기 헤드케이스(30)의 중공부(31)에 외주연이 지지되도록 끼워져 조립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43)는 전방패킹부재(36)를 마주하는 일면에 복수개의 간격유지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43)의 조립 시 전방패킹부재(36)에서 간격유지돌기의 높이 만큼 분사판(35)과 전면커버(43) 사이에 간격을 더 갖게 하여 상기 간격내에 수돗물이 보다 원활히 이동하면서 분사되게 하는 것도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재(41)와 리어캡(50) 사이에는 후면커버(47)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후면커버(47)는, 필터재(41)의 유체토출홀(41a)에 끼워지는 고정구(48)가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필터재(41)의 후방에 간편하게 조립되면서 상기 필터재(41)의 일측을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케이스(30)의 중공부(31)에 외주연이 지지되도록 끼워져 조립된다.
또, 상기 헤드필터부재(40)에서, 전면커버(43)의 외주연에는 필터패킹링(45)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필터패킹링(45)의 외주연에 필터패킹끼움홈(45a)을 구비시켜 후방으로 개구된 "⊂" 형상의 필터패킹부재(45b)가 조립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케이스(30)의 중공부(31)에 공급된 수돗물은 리어캡(50)과 마주하는 실링부재(80)와 전방의 필터패킹부재(45b)에 의해 차폐되어 필터재(41)의 유체토출홀(41a)로 여과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헤드필터부재(40)가 헤드케이스(30)의 중공부(31)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어캡(50)이 상기 헤드케이스(30)의 후방에서 캡잠금부재(37)와 결속고리(34a)에 걸려 중공부(31)의 후방을 차폐하면서, 상기 리어캡(50)은 헤드필터부재(40)를 마주하는 일측면에 가압돌기(53)가 더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케이스(30)의 후방에서 조립되면서 가압돌기(53)가 후면커버(47)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헤드필터부재(40)는 헤드케이스(30)의 중공부(31)에서 전면커버(43)와 후면커버(47)로 지지되어 필터재(41)와 중공부(31) 사이의 간격으로 손잡이(20)의 유로(25)를 통해 공급된 수돗물이 이동해 필터재(41)의 외경면에서 내측의 유체토출홀(41a)방향으로 여과 이동해 토출구(44) 방향으로만 토출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헤드케이스(30)의 중공부(31)로 유입된 수돗물이 필터재(41)의 유체토출홀(41a)을 통해 전면커버(43)의 토출구(44)로 수돗물이 토출되며, 토출구(44)를 통해 이동된 수돗물이 상기 전면커버(43)와 분사판(35) 사이의 간격 내에 수용되면서 상기 분사판(35) 전체의 분사공(35a)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샤워기의 헤드필터부재(40)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으로 헤드케이스(30) 후방의 리어캡(50)을 고정하고 있는 결속고리(34a)를 해제하여 상기 헤드필터부재(40)를 탈거한 다음에 상기 헤드필터부재(40) 전체를 교환하거나 또는 전면커버(43)와 후면커버(47)는 세척해 재사용하고 필터재(41)만 교환하고 헤드케이스(30)의 중공부(31)에 삽입후 리어캡(50)을 다시 결속고리(34a)로 걸어 고정함으로서 교환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헤드케이스(30)의 헤드연결구(33)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일단이 탄력을 갖고 개구되게 형성된 헤드링고정구(33a)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리어캡(50)의 캡연결구(52)에도 일단이 탄력을 갖고 개구되게 형성된 캡링고정구(52a)가 구비되어, 실리콘오링(70)이 회전축(60)의 외측에서 일단을 헤드링고정구(33a)에 걸어 고정하고, 타단은 캡링고정구(52a)에 걸어 고정시켜, 도 4a에서와 같이 리어캡(50)의 잠김 이동시 상기 실리콘오링(70)이 탄력을 갖고 늘어나고, 도 4b에서와 같이 리어캡(50)의 잠김 해제 시에는 실리콘오링(70)이 원복되면서 리어캡(50)이 열림 회전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a에서와 같이 리어캡(50)이 중공부(31)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실리콘오링(70)의 양단부가 헤드링고정구(33a)와 캡링고정구(52a)에 끼워져 수축탄력을 갖고 늘어난 상태를 갖으며, 도 5a에서와 같이 리어캡(50)의 외경면에 돌출 형성된 캡잠금턱(58)과 고리걸림구(59)에 캡잠금부재(37) 및 결속고리(34a)가 걸려져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조립된 실링부재(80)가 마주하는 리어캡(50)과 기밀 조립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b 및 도 5b에서와 같이 고리지지구(34)에 구비된 캡잠금부재(37)와 결속고리(34a)를 캡잠금턱(58)과 고리걸림구(59)에서 잠금 해제하면, 상기 리어캡(50)은, 실리콘오링(70)의 수축력에 의해 원복되면서 캡링고정구(52a)에 끼워진 일단부가 당겨져 리어캡(50)이 자동으로 일정각도만큼 자동 개방되어져 사용자가 용이하게 리어캡을 잡아 외측으로 완전 개방시킨 다음에 헤드필터부재(40)를 교체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조립되는 실링부재(80)는,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 밀착되어 중공부(31)에 공급되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받침면(38) 또는 결합면(51) 중에서 어느 한 면의 실링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80)는, 도 6a 내지 도 6d에서와 같이 상기 실링끼움홈(39)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철(凸) 형상의 실링고정돌기(81)가 더 형성되고, 실링끼움홈(39)의 내측에는 상기 실링고정돌기(81)에 대응하는 요(凹) 형상의 실링고정홈(39a)이 구비되어, 상기 실링부재(80)가 실링끼움홈(39)에 이중으로 요철 조립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실링고정홈(39a)에는 이탈방지홈을 하측 내면에 더 형성하고, 실링고정돌기(81)의 외면에 상기 이탈방지홈에 끼워지는 이탈방지돌기를 더 형성하여 실링끼움홈(39)에 조립된 실링부재(80)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실링부재(80)는,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링형상을 갖고 설치되며, 리어캡(50) 방향의 일측선단에 요(凹) 형상의 실링삽입부(82a)가 적어도 1열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80)를 마주하는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는 실링삽입부(82a)에 대응하는 철(凸) 형상의 받침돌기부(38a)가 형성되어 상호 기밀되게 요철(凹凸)조립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실링부재(80)는, 도 6c에서와 같이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장공의 폭을 갖는 실링끼움홈(39)에 조립되어, 리어캡(50)의 받침면(38)에서 상기 실링부재(80)에 대응하여 요(凹) 받침삽입부(58b)에 실링부재가 상호 기밀되게 요철(凹凸)조립되게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d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구비된 실링끼움홈(39)은, 바닥면에 "山" 형상을 갖도록 실링결속턱(39c)의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실링고정돌기(39b)가 돌출 형성되게 하고, 실링부재(80)는, 저면에 실링결속턱(39c)과 실링고정돌기(39b)가 끼워지게 실링결속홈(83a)의 양측으로 돌기삽입홈(83b)이 형성된 "m" 형상을 갖고 성형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링끼움홈(39)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실링결속턱(39c)은, 실링결속홈(83a)에 억지 끼워져 실링부재(80)의 분리를 방지하며, 양측의 실링고정돌기(39b)는 돌기삽입홈(83b)에 끼워져 "m" 형상의 실링부재가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 안정적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는, "m"형 실링부재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하여 밀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게하고, 실링고정돌기(39b)의 높이 보다 돌기삽입홈(83b)을 더 높게 하여 조립시 변형공간을 구비시킴으로써, 결합면(51)과의 압착시 실링부재(80)가 결합면(51)의 형상에 맞춰 기밀되게 변형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면(38)의 실링끼움홈(39)은, 실링부재(80)의 단면폭 보다 더 큰 폭을 갖게 구비하여, 상기 실링부재(80)의 조립 시 양측에 여유공간인 실링압착부(39d)가 더 형성되게 하고,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는, 상기 실링압착부(39d)에 삽입되어 실링부재(80)의 양측면을 실링고정돌기(39b)에 압착시는 결합끼움구(51a)가 더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샤워기의 손잡이(20)는 내부에 손잡이필터부재(22)가 수납되는 내부공간(21)을 갖도록 구성하는데, 상기 손잡이(20)를 상부몸체(20a)와 하부몸체(20b)로 분리하여 내부공간에 손잡이필터부재(22)를 수납 및 교체한 다음에 다시 체결 조립하여 상기 손잡이필터부재(22)에서 여과된 수돗물이 유로(25)를 통해 헤드케이스(30)로 이동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손잡이필터부재(22)는 손잡이(20)의 내부공간(21)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수돗물을 1차여과한 다음에 헤드케이스(30)로 이동되게 하는데, 상기 유로(25)는 헤드케이스(30)의 후방에 치우쳐 입구보다 출구의 지름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헤드케이스(30)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수압이 높게 하여, 수돗물이 헤드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20a)와 하부몸체(20b)의 체결부위 및 후술되는 헤드의 체결부위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부재(미 도시)가 더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헤드케이스(30)에는 전방에 분사조작구(G)가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상기 분사판(35)과 헤드필터부재(40) 사이에 수돗물의 분사 형태를 전환하는 분사조작구(G)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상기 헤드필터부재(40)를 통해 여과된 수돗물이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에 상기 분사조작구(G)의 조작에 따라 수돗물의 분사 형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헤드케이스(30)의 전방에서 분사조작구(G)의 버튼조작에 따라 분사 형태를 전환하기 위한 내부 구성은 이미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公知)의 기술이므로 수돗물의 이동로 및 분사조작구의 조립 및 조작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분사조작구(G)를 갖는 헤드케이스(30)에서도 리어캡(50)을 개폐하여 보다 용이하게 헤드필터부재(40)를 장착 또는 교환하여 수돗물을 여과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20)에 구비된 손잡이필터부재(22)를 포함해 수돗물을 1차와 2차로 여과하고 수돗물의 분사형태를 조정가능함으로써, 소비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20. 손잡이 25, 유로
30. 헤드케이스 31. 중공부
32. 분사판받침턱 35. 분사판
38. 받침면 39. 실링끼움홈
40. 헤드필터부재 41. 필터재
41a. 유체토출홀 43. 전면커버
44. 토출구 45. 필터패킹링
45b. 필터패킹부재 47. 후면커버
48. 고정구 50. 리어캡
52. 캡연결구 52a. 캡링고정구
53. 가압돌기 59. 고리걸림구
60. 회전축 70. 실리콘오링
80. 실링부재 81. 실링고정돌기
82a. 실링삽입부 82b. 실링돌기부
100. 샤워기용 헤드

Claims (9)

  1. 손잡이(20)의 유로를 통해 수돗물이 헤드케이스(30)로 이동하여 전방으로 분사시키고, 상기 헤드케이스(30)에는 실링부재(80)를 포함해 후방에 구비된 리어캡(50)을 개방하여 후방개구부를 통해 헤드필터부재(40)가 중공부(31)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샤워기용 헤드(100)에 있어서,
    상기 헤드케이스(30)는, 리어캡(50)을 마주하는 외경면 일측에 헤드연결구(33)가 형성되며, 리어캡(50)의 캡연결구(52)에 구비된 회전축(60)과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60)을 기준으로 리어캡(50)이 중공부(31)를 개방 또는 폐쇄 이동되게 하고,
    상기 헤드케이스(30)의 외경면 타측에는 고리지지구(34)에 캡잠금부재(37) 및 결속고리(34a)가 구비되어, 마주하는 리어캡(50)의 외경면에 돌출 형성된 캡잠금턱(58)과 고리걸림구(59)에 걸려져 실링부재(80)를 압착하며 헤드케이스(30)와 리어캡(50)이 잠김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케이스(30)의 헤드연결구(33)에는 일측이 개구된 헤드링고정구(33a)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캡(50)의 캡연결구(52)에는 일측이 개구된 캡링고정구(52a)가 형성되어, 실리콘오링(70)이 회전축(60)의 외측에서 일단을 헤드링고정구(33a)에 걸어 고정하고, 타단은 캡링고정구(52a)에 걸어 고정하여, 리어캡(50)의 잠김 이동시 상기 실리콘오링(70)이 탄력을 갖고 늘어나고, 리어캡(50)의 잠김 해제 시에는 실리콘오링(70)이 원복되면서 리어캡(50)이 열림 회전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80)는, 리어캡(50)을 마주하는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구비된 실링끼움홈(39)에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적어도 하나의 링형상을 갖고 설치되며, 리어캡(50) 방향의 일측선단에 요(凹) 형상의 실링삽입부(82a)가 적어도 1열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80)를 마주하는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는 실링삽입부(82a)에 대응하는 철(凸) 형상의 받침돌기부(38a)가 형성되어 상호 기밀되게 요철(凹凸)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80)는,
    헤드케이스(30)의 받침면(38)에 구비된 실링끼움홈(39)에 설치되어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 기밀 조립되게 구성하되;
    상기 실링끼움홈(39)은, 바닥면에 "山" 형상을 갖도록 실링결속턱(39c)의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실링고정돌기(39b)가 돌출 형성되게 하고,
    실링부재(80)는, 저면에 실링결속턱(39c)과 실링고정돌기(39b)가 끼워지게 실링결속홈(83a)의 양측으로 돌기삽입홈(83b)이 형성된 "m" 형상을 갖고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38)의 실링끼움홈(39)은, 실링부재(80)의 단면폭 보다 더 큰 폭을 갖게 구비되어, 실링부재(80)의 조립 시 양측에 실링압착부(39d)가 더 형성되고,
    리어캡(50)의 결합면(51)에는, 상기 실링압착부(39d)에 삽입되어, 실링부재(80)의 양측면을 실링고정돌기(39b)에 압착하는 결합끼움구(5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필터부재(40)는,
    중앙에 유체토출홀(41a)을 갖고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필터재(41)와,
    상기 필터재(41)의 전방에 위치하여 외경면이 중공부(31)에 지지되며, 중앙에 형성된 토출구(44)가 상기 유체토출홀(41a)에 끼워져 조립되는 전면커버(43)와,
    상기 필터재(41)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경면이 중공부(31)에 지지되며,, 중앙에 형성된 고정구(48)가 상기 유체토출홀(41a)에 끼워져 일측을 차폐하는 후면커버(47)를 포함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캡(50)에는,
    헤드필터부재(40)를 마주하는 일측면에 가압돌기(53)가 더 형성되어, 상기 헤드케이스(30)의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가압돌기(53)가 헤드필터부재(40)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는,
    상부몸체(20a)와 하부몸체(20b)가 체결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공간(21)에 손잡이필터부재(22)가 조립되어, 상기 손잡이필터부재(22)에서 여과된 수돗물이 헤드케이스(30)로 이동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케이스(30)는, 분사판(35)과 헤드필터부재(40) 사이에 수돗물의 분사 형태를 전환하는 분사조작구(G)를 더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KR1020220058109A 2022-05-12 2022-05-12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KR20230158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09A KR20230158692A (ko) 2022-05-12 2022-05-12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09A KR20230158692A (ko) 2022-05-12 2022-05-12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692A true KR20230158692A (ko) 2023-11-21

Family

ID=8898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109A KR20230158692A (ko) 2022-05-12 2022-05-12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6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201A (ko) 2020-09-07 2022-03-15 박학수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201A (ko) 2020-09-07 2022-03-15 박학수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1023B2 (en) Two-part flow regulator, jet regulator or backflow preventer having a snap-in joint between the parts
US3434694A (en) Valve mechanisms
KR102408119B1 (ko)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JPS5817898B2 (ja) コウアツプラグベン
KR102308136B1 (ko) 원터치식 착탈 구조를 갖는 샤워 헤드
CN212120427U (zh) 淋浴器
KR20230158692A (ko)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KR102641265B1 (ko)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물 탱크
US20040200764A1 (en) Air purge valve and filter pump cover employing same
EP3292901B1 (en) Drainage system for a fluid filter
KR102437773B1 (ko) 호스 꼬임 방지구조를 갖춘 욕실용 샤워헤드
KR102638464B1 (ko)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싱크대용 수전헤드
KR20230051776A (ko) 필터 카트리지
RU2814052C1 (ru) Водный резервуар с фильтрующим патроном
AU2022241914A1 (en) Water tank having a filter cartridge
KR20210030851A (ko) 자동 세척 노즐
US20230256367A1 (en) Water tank with filter cartridge
CN106894473B (zh) 卫生的出水口配件
RU281003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JP7396655B2 (ja) 排水栓装置
RU2812010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KR102404107B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CN220047382U (zh) 滤芯和具有其的热水器
US11221085B1 (en) Pre-rinse spray valve
KR102638465B1 (ko) 이중 결속구조를 갖는 주방용 원홀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