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218A -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218A
KR20230157218A KR1020220108686A KR20220108686A KR20230157218A KR 20230157218 A KR20230157218 A KR 20230157218A KR 1020220108686 A KR1020220108686 A KR 1020220108686A KR 20220108686 A KR20220108686 A KR 20220108686A KR 20230157218 A KR20230157218 A KR 20230157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mobile
main body
mobile projecto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훈
성기석
정고운
정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44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19270A1/ko
Publication of KR2023015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이동형 프로젝터는, 프로젝터가 마련된 본체와, 본체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이동부와, 본체의 우측에 좌측 이동부와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는 우측 이동부와, 본체의 좌측면과 좌측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며, 본체에 대해 좌측 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좌측 승강부, 및 본체의 우측면과 우측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며, 본체에 대해 우측 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우측 승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Movable projector capable of lifting}
본 개시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광을 투사하여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대화면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프로젝터는 회사나 학교 등과 같이 제한적인 장소에서만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프로젝터의 성능이 향상되고 소형화됨에 따라 가정이나 야외 등에서도 프로젝터가 널리 사용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는, 프로젝터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이동부; 상기 본체의 우측에 상기 좌측 이동부와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는 우측 이동부; 상기 본체의 좌측면과 상기 좌측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좌측 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좌측 승강부; 및 상기 본체의 우측면과 상기 우측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우측 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우측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형 프로젝터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보조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승강부는, 상기 좌측 이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좌측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승강판;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측 승강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좌측 승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승강부는, 상기 우측 이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우측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 승강판;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우측 승강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우측 승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승강판과 상기 본체의 좌측면 사이에는 상기 좌측 승강판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우측 승강판과 상기 본체의 우측면 사이에는 상기 우측 승강판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승강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좌측 승강 모터; 상기 좌측 승강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좌측 피니언; 및 상기 좌측 승강판에 마련되며, 상기 좌측 피니언과 치합되는 좌측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승강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우측 승강 모터; 상기 우측 승강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우측 피니언; 및 상기 우측 승강판에 마련되며, 상기 우측 피니언과 치합되는 우측 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이동부는, 상기 좌측 승강판에 설치되는 좌측 휠 모터; 및 상기 좌측 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좌측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이동부는, 상기 우측 승강판에 설치되는 우측 휠 모터; 및 상기 우측 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우측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로젝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프로젝터 수용부; 및 상기 프로젝터 수용부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좌측 승강부와 상기 우측 승강부가 설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이동부, 상기 우측 이동부, 상기 좌측 승강부, 및 상기 우측 승강부를 개별로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이미지 센서, 거리 센서, 방향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좌측 이동부, 상기 우측 이동부, 상기 좌측 승강부, 및 상기 우측 승강부를 제어하여 상기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화상의 크기, 위치, 높이, 및 수평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의 영상투사방법은, 투사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투사 가능면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한 상기 투사 가능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투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투사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정보에 대응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사정보에 대응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형 프로젝터는 좌측 이동부, 우측 이동부, 좌측 승강 구동부, 및 우측 승강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투사영상의 크기, 위치, 높이, 및 수평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시스템 형성방법은 이동형 프로젝터가 주위의 공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공간정보에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존재하면,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터 연결정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터 연결정보에 대한 답변이 연결이면, 상기 이동형 프로젝터는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형 프로젝터와 상기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는 함께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형 프로젝터에서 좌측 휠과 우측 휠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형 프로젝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형 프로젝터를 선 Ⅰ-Ⅰ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형 프로젝터를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본체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내부 부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영상투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가 위치한 공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투사영상의 수평도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왜곡된 투사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왜곡된 투사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로 프로젝션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1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상태에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추가되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의 상태에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추가된 경우,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4는 도 19의 상태에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19의 상태에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 경우,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6은 도 19의 상태에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추가되어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19의 상태에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추가된 경우,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동일 높이에서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의 상태에서, 한 개의 이동형 프로젝터의 높이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8의 상태에서 도 29의 상태로 된 경우,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영상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형 프로젝터에서 좌측 휠(22)과 우측 휠(32)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형 프로젝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형 프로젝터를 선 Ⅰ-Ⅰ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형 프로젝터를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1)는 본체(10), 이동부(20,30), 승강부(40,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이동형 프로젝터(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프로젝터(11)와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면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프로젝터(1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11)는 본체(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로젝터(11)는 수평면에 대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영상을 방출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로젝터(11)는 스크린 또는 벽면을 향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11)는 스크린 또는 벽면을 향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프로젝터(1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젝터 수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수용부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프로젝터 수용부(12)는 프로젝터(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11)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프로젝터 수용부(12)는 프로젝터(11)에 대응하는 중공의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프로젝터 수용부(12)의 입구에 설치되는 프로젝터 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커버(13)는 프로젝터 수용부(12)에 설치된 프로젝터(11)에서 방출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로젝터 수용부(12)는 내부에 삽입된 프로젝터(11)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장치는 원터치 결합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베이스(15)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5)는 프로젝터 수용부(12)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5)는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20,30)는 본체(10)의 좌우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는 본체(10)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이동부(20)와 본체(10)의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이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이동부(30)는 좌측 이동부(20)와 대칭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이동부(30)와 좌측 이동부(20)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40,50)는 본체(10)와 이동부(20,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부는 본체(10)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승강부(40)와 본체(10)의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승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승강부(40)와 우측 승강부(50)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된 베이스(15)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부(40)와 우측 승강부(50)는 베이스(15)에 대해 서로 대칭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부(40)는 본체(10)의 좌측면과 좌측 이동부(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부(40)는 본체(10)에 대해 좌측 이동부(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승강부(40)는 좌측 승강판(41)과 좌측 승강 구동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은 본체(10)의 좌측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과 본체(10)의 좌측면 사이에는 좌측 승강판(4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6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승강판(41)은 본체(10)에 대해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에는 좌측 이동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이동부(20)는 좌측 승강판(41)과 일체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좌측 이동부(20)는 본체(10)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승강 구동부(42)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 구동부(42)는 좌측 승강판(41)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승강 구동부(42)는 좌측 이동부(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우측 승강부(50)는 본체(10)의 우측면과 우측 이동부(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승강부(50)는 본체(10)에 대해 우측 이동부(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승강부(50)는 우측 승강판(51)과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승강판(51)은 본체(10)의 우측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승강판(51)과 본체(10)의 우측면 사이에는 우측 승강판(5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6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승강판(51)은 본체(10)에 대해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우측 승강판(51)에는 우측 이동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이동부(30)는 우측 승강판(51)과 일체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우측 이동부(30)는 본체(10)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이동부(30)는 좌측 이동부(20)와 함께 본체(10)를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승강 구동부(52)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승강 구동부(52)는 우측 승강판(51)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승강 구동부(52)는 우측 이동부(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좌측 이동부(20), 우측 이동부(30), 좌측 승강 구동부(42), 우측 승강 구동부(52)는 이동형 프로젝터(1)의 구동부(3)를 형성할 수 있다. 우측 이동부(30)는 좌측 이동부(2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좌측 이동부(20)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승강 구동부(52)는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좌측 승강 구동부(42)는 베이스(15)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5)는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5)는 본체(10)의 프로젝터 수용부(12)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 구동부(42)는 좌측 이동부(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좌측 승강 모터(43)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승강 모터(43)는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좌측 승강 모터(43)는 본체(10)에 마련된 베이스(15)에 고정될 수 있다. 좌측 승강 모터(43)는 좌측 이동부(20)가 설치된 좌측 승강판(4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좌측 승강 모터(43)의 샤프트에는 좌측 피니언(44)이 고정될 수 있다. 좌측 피니언(44)은 좌측 승강 모터(43)의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본체(10)의 좌측면에는 좌측 피니언(44)이 노출되는 피니언 개구(17, 도 3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에는 좌측 랙(45)이 마련될 수 있다. 좌측 랙(45)은 좌측 승강판(41)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좌측 랙(45)은 본체(10)의 피니언 개구(17)를 통해 노출된 좌측 피니언(44)과 치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좌측 승강 모터(43)가 회전하면, 좌측 피니언(44)에 의해 좌측 랙(45)이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은 본체(10)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은 본체(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은 본체(10)의 베이스(15)에 대해 상하로 직선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은 대략 직사각형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5)를 마주하는 좌측 승강판(41)의 일면에는 좌측 랙(45)이 설치될 수 있다. 좌측 랙(45)은 좌측 승강판(41)의 일측단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과 베이스(15) 사이에는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60)는 좌측 승강판(41)이 베이스(15)에 대해 상하로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직선이동 안내부재(60)는 엘엠 가이드(LM(linear motion) guide)(61)와 엘엠 블록(LM block)(62)을 포함할 수 있다. 엘엠 블록(62)은 엘엠 가이드(61)에 대해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엘엠 가이드(61)는 좌측 승강판(4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엘엠 블록(62)은 좌측 승강판(41)을 마주하는 베이스(15)의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엘엠 가이드(61)는 좌측 승강판(41)에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엘엠 블록(62)은 베이스(15)의 좌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5)의 좌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16)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엘엠 블록(62)은 베이스(15)의 한 쌍의 돌출부(16)의 선단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측면에는 베이스(15)의 한 쌍의 돌출부(16)이 통과하는 한 쌍의 개구(18)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엘엠 블록(62)은 본체(10)의 좌측면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개구(18)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엘엠 블록(62)이 좌측 승강판(41)의 한 쌍의 엘엠 가이드(6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승강판(41)은 한 쌍의 엘엠 가이드(61) 및 한 쌍의 엘엠 블록(62)에 의해 베이스(15)에 대해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이동 안내부재(60)로 엘엠 가이드(61)와 엘엠 블록(62)을 사용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15)에 대해 좌측 승강판(41)을 상하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직선이동 안내부재(6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랙(45)은 한 쌍의 엘엠 가이드(61)와 평행하게 좌측 승강판(41)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승강 모터(43)가 작동하면, 서로 치합된 좌측 피니언(44)과 좌측 랙(45)에 의해 좌측 승강판(41)이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좌측 이동부(20)는 좌측 승강판(41)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승강판(41)이 좌측 승강 모터(43)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 좌측 이동부(20)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좌측 이동부(20)는 좌측 휠 모터(21)와 좌측 휠(22)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휠 모터(21)는 좌측 승강판(41)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휠 모터(21)는 좌측 승강판(41)에 설치된 한 쌍의 엘엠 가이드(6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휠 모터(21)는 베이스(15)를 마주하는 좌측 승강판(4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휠 모터(21)의 뒷부분은 베이스(15)의 좌측면에 마련된 한 쌍의 돌출부(16)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좌측 휠 모터(21)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좌측 휠 모터(21)는 감속기가 일체로 마련된 모터일 수 있다.
좌측 휠 모터(21)의 샤프트(21a)는 좌측 승강판(41)의 반대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좌측 휠 모터(21)의 샤프트(21a)는 베이스(15)를 마주하지 않는 좌측 승강판(41)의 반대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베이스(15)를 마주하는 좌측 승강판(41)의 일면을 좌측 승강판(41)의 내면이라고 하고, 베이스(15)를 마주하지 않는 좌측 승강판(41)의 반대면을 좌측 승강판(41)의 외면이라고 한다.
좌측 휠 모터(21)의 샤프트(21a)에는 좌측 휠(22)이 고정될 수 있다. 좌측 휠(22)은 좌측 휠 모터(21)의 샤프트(21a)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횔 모터(21)가 작동하면 좌측 휠(22)이 회전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에는 좌측 휠 모터(21)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부(47)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 수용부(47)는 좌측 승강판(41)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수용부(47)는 베이스(15)를 마주하는 좌측 승강판(41)의 내면에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수용부(47)는 좌측 휠 모터(21)의 앞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승강판(41)의 모터 수용부(47)에 좌측 휠 모터(21)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모터 수용부(47)의 외면에는 베어링(24)이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24)은 좌측 휠(22)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베어링(24)은 볼 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측 휠(22)은 좌측 휠 모터(21)의 샤프트가 결합되는 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23)는 좌측 휠(22)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보스(23)는 모터 수용부(47)에 설치된 베어링(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보스(23)에 좌측 휠 모터(21)의 샤프트(21a)를 결합하면, 좌측 휠(22)이 좌측 휠 모터(2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좌측 승강판(41)과 좌측 휠(22) 사이에는 좌측 먼지 커버(71, 도 3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좌측 먼지 커버(71)는 이물질이 좌측 휠(22)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먼지 커버(71)는 좌측 승강판(41)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먼지 커버(71)의 둘레는 좌측 휠(22)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좌측 먼지 커버(71)는 좌측 승강판(41)과 좌측 휠(22) 사이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좌측 먼지 커버(71)는 좌측 승강판(41)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5)에는 우측 승강 구동부(52)가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승강 구동부(52)는 베이스(15)에 마련된 우측 승강 모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승강 모터(53)의 샤프트에는 우측 피니언(54)이 마련될 수 있다. 우측 피니언(54)은 우측 승강판(51)에 마련된 우측 랙(55)과 치합될 수 있다.
우측 승강 구동부(52)의 우측 승강 모터(53), 우측 피니언(54), 우측 랙(55)은 상술한 좌측 승강 구동부(42)의 좌측 승강 모터(43), 좌측 피니언(44), 좌측 랙(45)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15)의 우측면과 우측 승강판(51) 사이에는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60)는 엘엠 가이드(61)와 엘엠 블록(6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5)의 우측면과 우측 승강판(51)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60)는 상술한 베이스(15)의 좌측면과 좌측 승강판(41)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6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0)의 우측면에는 우측 피니언(54)이 노출되는 피니언 구멍(17)과 한 쌍의 엘엠 블록(62)이 노출되는 한 쌍의 개구(18)가 마련될 수 있다.
우측 승강판(51)에는 우측 이동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이동부(30)는 우측 승강판(51)에 설치되는 우측 휠 모터(31)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휠 모터(31)의 샤프트(31a)에는 우측 휠(32)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휠(32)은 우측 휠 모터(3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우측 승강판(51)에는 우측 휠 모터(31)가 설치되는 모터 수용부(57)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 수용부(57)의 외면에는 우측 휠(32)을 지지하는 베어링(34)이 설치될 수 있다. 우측 휠(32)은 우측 휠 모터(31)의 샤프트(31a)가 결합되는 보스(33)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승강판(51) 및 우측 이동부(30)의 우측 휠 모터(31)와 우측 휠(32)은 상술한 좌측 승강판(41) 및 좌측 이동부(20)의 좌측 휠 모터(21)와 좌측 휠(22)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측 승강판(51)과 우측 휠(32) 사이에는 우측 먼지 커버(72)가 설치될 수 있다. 우측 먼지 커버(72)는 상술한 좌측 먼지 커버(7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0)의 하면에는 보조 이동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이동부(70)는 보조 휠(7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하면에는 보조 휠(70)이 설치되는 하면 홈(75)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 휠(73)은 하면 홈(7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이동부(70)는 좌측 승강 구동부(40)와 우측 승강 구동부(50)에 의해 본체(10)가 승강할 때,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 휠(73)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이동부(70)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와 함께 본체(10)를 삼점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휠(22), 우측 휠(32), 및 보조 휠(70)은 본체(10)를 삼점 지지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좌측 이동부(20), 우측 이동부(30), 좌측 승강부(40), 및 우측 승강부(50)를 개별로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프로세서(9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90)는 좌측 휠 모터(21), 우측 휠 모터(31), 좌측 승강 모터(43), 우측 승강 모터(53)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본체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프로세서(90)는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이동형 프로젝터(1)를 이동형 프로젝터(1)가 위치한 바닥면에서 모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제어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의 이동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제어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의 좌측 휠 모터(21)와 우측 이동부(30)의 우측 휠 모터(31) 각각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가 이동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가 좌측 휠 모터(21)와 우측 휠 모터(31)를 제어하여 좌측 휠(22)과 우측 휠(32)이 일방향으로 동일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면, 이동형 프로젝터(1)는 전방으로 일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90)가 좌측 휠 모터(21)와 우측 휠 모터(31)를 제어하여 좌측 휠(22)과 우측 휠(32)이 반대방향으로 동일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면, 이동형 프로젝터(1)는 후방으로 일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90)가 좌측 휠 모터(21)와 우측 휠 모터(31)를 제어하여 좌측 휠(22)과 우측 휠(32)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다르게 하면, 이동형 프로젝터(1)의 이동방향을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가 좌측 휠 모터(21)를 정지시키고, 우측 휠 모터(31)를 회전시키면, 이동형 프로젝터(1)는 제자리에서 좌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프로세서(90)가 우측 휠 모터(31)를 정지시키고, 좌측 휠 모터(21)를 회전시키면, 이동형 프로젝터(1)는 제자리에서 우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프로세서(90)가 좌측 휠 모터(21)의 회전수와 우측 휠 모터(31)의 회전수를 다르게 제어하면, 이동형 프로젝터(1)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좌측 휠 모터(21)와 우측 휠 모터(31)의 회전수 차이에 의해 이동형 프로젝터(1)가 이동하는 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는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프로젝터(1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하면, 프로젝터(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90)가 좌측 승강 구동부(42)의 좌측 승강 모터(43)와 우측 승강 구동부(52)의 우측 승강 모터(53)를 일방향으로 동일 회전수로 회전시키면, 본체(10)가 좌측 휠(22)과 우측 휠(32)에 대해 위쪽으로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가 좌측 승강 모터(43)와 우측 승강 모터(53)를 제어하여 좌측 승강판(41)과 우측 승강판(51)이 동일하게 상승하도록 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로 좌측 휠(22)과 우측 휠(32)에 대해 상승할 수 있다.
도 7의 상태에서, 프로세서(90)가 좌측 승강 모터(43)와 우측 승강 모터(53)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면, 좌측 승강판(41)과 우측 승강판(51)이 동일하게 하강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본체(10)의 높이와 바닥면에 대한 본체(1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90)는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본체(10)에 설치된 프로젝터의 높이와 바닥면에 대한 프로젝터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가 우측 승강 모터(53)는 정지시키고, 좌측 승강 모터(43)만 작동시키면, 우측 승강판(51)은 정지되어 있고, 좌측 승강판(41)만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그러면, 좌측 승강판(41)과 우측 승강판(51)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본체(10)가 바닥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즉, 좌측 승강판(41)이 상승하면, 본체(10)의 상면은 이동형 프로젝터(1)가 위치한 바닥면에 대해 좌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체(10)에 마련된 프로젝터는 이동형 프로젝터(1)가 위치한 바닥면에 대해 좌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가 좌측 승강 모터(43)는 정지시키고, 우측 승강 모터(53)만 작동시키면, 좌측 승강판(41)은 정지되어 있고, 우측 승강판(51)만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그러면, 좌측 승강판(41)과 우측 승강판(51)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본체(10)가 바닥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즉, 우측 승강판(51)이 상승하면, 본체(10)의 상면은 이동형 프로젝터(1)가 위치한 바닥면에 대해 우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체(10)에 마련된 프로젝터는 이동형 프로젝터(1)가 위치한 바닥면에 대해 우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본체(10)의 하면에 마련된 보조 휠이 바닥면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좌측 승강판(41)의 상승 높이와 우측 승강판(51)의 상승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90)는 좌측 승강판(41)과 우측 승강판(51) 중 어느 하나의 상승에 의해 보조 휠이 바닥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좌측 승강 모터(43)와 우측 승강 모터(53)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1)는 좌측 휠(22), 우측 휠(32), 및 보조 휠(73)에 의해 안정적으로 삼점 지지된 상태에서 프로젝터(11)가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할 수 있으며, 프로젝터(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좌측 피니언(44)이 좌측 휠 모터(21)의 샤프트에 직결되고, 우측 피니언(54)이 우측 휠 모터(31)의 샤프트에 직결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경우, 좌측 휠 모터(21)와 우측 휠 모터(31)는 감속기를 내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좌측 피니언(44)과 우측 피니언(54)이 좌측 승강 모터(43)와 우측 승강 모터(53)에 직결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좌측 승강 구동부(42)는 좌측 승강 모터(43), 웜(48), 웜휠(49), 및 좌측 피니언(44)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승강 모터(43)는 베이스(15)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 모터(43)의 샤프트에는 웜(48)이 설치될 수 있다. 웜(48)은 좌측 승강 모터(43)의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웜(48)은 웜휠(49)과 치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웜(48)이 회전하면, 웜휠(49)이 회전할 수 있다. 웜휠(49)은 좌측 피니언(44)과 동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좌측 피니언(44)은 좌측 승강판(41)에 마련된 좌측 랙(45)과 치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피니언(44)이 회전하면, 좌측 랙(45)에 의해 좌측 승강판(41)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승강 모터(43)의 샤프트가 회전하면, 샤프트에 고정된 웜(48)이 회전할 수 있다. 좌측 승강 모터(43)에 의해 웜(48)이 회전하면, 웜(48)과 치합된 웜휠(49)이 회전하게 된다. 웜휠(49)이 회전하면, 웜휠(49)과 동축상으로 설치된 좌측 피니언(44)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좌측 피니언(44)이 회전하면, 좌측 피니언(4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승강판(41)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승강 모터(4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측 승강판(41)이 상승할 수 있다. 좌측 승강 모터(43)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측 승강판(41)이 하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측 승강 구동부(52)는 우측 승강 모터(53), 웜(58), 웜휠(59), 및 우측 피니언(54)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승강 구동부(52)는 상술한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승강 구동부(52)는 베이스(15)의 우측에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승강 모터(53)는 베이스(15)의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승강 모터(53)의 샤프트에는 웜(58)이 설치될 수 있다. 웜(58)은 우측 승강 모터(53)의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웜(58)은 웜휠(59)과 치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웜(58)이 회전하면, 웜휠(59)이 회전할 수 있다. 웜휠(59)은 우측 피니언(54)과 동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우측 피니언(54)은 우측 승강판(51)에 마련된 우측 랙(55)과 치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피니언(54)이 회전하면, 우측 랙(55)에 의해 우측 승강판(51)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승강 모터(53)의 샤프트가 회전하면, 샤프트에 고정된 웜(58)이 회전할 수 있다. 우측 승강 모터(53)에 의해 웜(58)이 회전하면, 웜(58)과 치합된 웜휠(59)이 회전하게 된다. 웜휠(59)이 회전하면, 웜휠(59)과 동축상으로 설치된 우측 피니언(54)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우측 피니언(54)이 회전하면, 우측 피니언(5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우측 승강판(51)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승강 모터(5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측 승강판(51)이 상승할 수 있다. 우측 승강 모터(53)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측 승강판(51)이 하강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내부 부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0)는 이동형 프로젝터(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프로젝터(11)와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프로젝터(1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프로젝터 수용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로젝터 수용부(12)는 프로젝터(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로젝터 수용부(12)는 프로젝터(11)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로젝터 수용부(12)의 입구에는 프로젝터 커버(13)가 마련된다. 프로젝터 커버(13)는 본체(10)의 외주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로젝터(11)를 프로젝터 수용부(12)에 삽입하면, 프로젝트 커버(13)를 통해 영상이 투사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베이스(15)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5)는 프로젝터 수용부(12) 아래로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5)의 좌측과 우측에는 좌측 승강부(40)와 우측 승강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승강부(40)와 우측 승강부(50)는 베이스(15)에 대해 서로 대칭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전원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는 베이스(15)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는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는 거리 센서(91)와 이미지 센서(92)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센서(91)로는 TOF(time of flight) 센서, RGBD(red, green, blue, and depth)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거리 센서(91)로는 전방에 위치한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한, 어떤 센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92)로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92)는 주변 물체를 촬상할 수 있다. 카메라(92)는 프로젝터(11)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을 촬상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방향 센서(93)가 설치될 수 있다. 방향 센서(93)는 이동형 프로젝터(1)의 방향, 즉 본체(10)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프로젝터(11)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본체(10)의 방향을 알면, 프로젝터(11)의 방향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향 센서(93)를 통해 프로젝터(11)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방향 센서(93)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에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를 포함하는 관성측정장치(IMU; Inertial Measurment Unit)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주변의 조도를 검출할 수 있는 조도 센서(94)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이동형 프로젝터(1)를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96)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스피커(81), 적어도 한 개의 마이크(82)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81)와 적어도 한 개의 마이크(82)는 본체(10)의 내부에 본체(10)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마이크(82)는 지향형 마이크일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마이크(82)는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팬(83)이 마련될 수 있다. 팬(83)은 본체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주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97)가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97)는 블루투스, wifi, 4G, 5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프로젝터(1)는 통신부(97)를 통해 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형 프로젝터(1)는 통신부(97)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형 프로젝터(1)는 통신부(97)를 통해 이동형 프로젝터(1)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한 개의 인쇄회로기판(80)이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인쇄회로기판(80)은 상술한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는 센서 회로부,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할 수 있는 승강 회로부,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회로부, 프로젝터(11)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젝터 회로부, 전원부(98)를 제어하는 전원 회로부, 통신부(97)를 제어하는 통신 회로부, 유저 인터페이스(87)와 입출력 인터페이스(88)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80)는 프로세서(90)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 우측 이동부(30), 좌측 승강부(40), 및 우측 승강부(50)를 개별로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이미지 센서(92), 거리 센서(91), 방향 센서(93), 조도 센서(94)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이동부(20), 우측 이동부(30), 좌측 승강부(40), 및 우측 승강부(50)를 제어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의 위치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이동부(20), 우측 이동부(30), 좌측 승강부(40), 및 우측 승강부(50)를 제어하여 프로젝터(11)가 투사하는 영상의 크기, 위치, 높이, 및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1)는 프로젝터(11), 메모리(99), 유저 인터페이스(87), 입출력 인터페이스(88), 센서부(95), 구동부(3), 통신부(97), 전원부(98), 프로세서(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11)는 스크린 또는 벽면을 향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로젝터(11)는 광원, 렌즈 등의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11)는 본체(10)의 프로젝터 수용부(12)에 설치될 수 있다.
메모리(99)는 구동부(3)를 제어하는 구동 소프트웨어와 같이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9)는 센서부(95)에서 검출한 센싱 정보 등과 같이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87)는 사용자가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유저 인터페이스(87)는 사용자가 이동형 프로젝터(1)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이동형 프로젝터(1)가 이동형 프로젝터(1)의 상태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본체(10)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 마이크(8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82)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는 본체(1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스피커(8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프로젝터(1)는 디스플레이에 이동형 프로젝터(1)의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이동형 프로젝터(1)는 스피커(81)를 통해 이동형 프로젝터(1)의 상태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8)는 이동형 프로젝터(1)와 외부 기기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88)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이동형 프로젝터(1)의 메모리(99)에 저장할 수 있다.
센서부(95)는 이동형 프로젝터(1)가 주위 환경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이동형 프로젝터(1)는 센서부(95)를 통해 외부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95)는 이동형 프로젝터(1)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센서(91), 물체의 이미지를 촬상하여 물체를 인식하는 카메라(92), 이동형 프로젝터(1)의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 센서(93),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센서(9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는 이동형 프로젝터(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3)는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 및 이동형 프로젝터(1)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7)는 이동형 프로젝터(1)의 외부에 있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통신부(87)는 블루투스, wifi, 4G, 5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7)는 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88)는 이동형 프로젝터(1)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88)는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88)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프로젝터(11), 메모리(99), 유저 인터페이스(87), 입출력 인터페이스(88), 센서부(95), 구동부(3), 통신부(97), 전원부(98)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프로젝터(11), 메모리(99), 유저 인터페이스(87), 입출력 인터페이스(88), 센서부(95), 구동부(3), 통신부(97), 전원부(98)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로 휠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이동형 프로젝터(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는 캐터필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1)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투사면을 찾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형 프로젝터(1)는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면은 이동형 프로젝터(1)가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평평한 면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투사면은 이동형 프로젝터(1)의 스크린으로 사용될 수 있는 면을 말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1)의 영상투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영상투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가 위치한 공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 12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4개의 벽을 갖는 방에서 2개의 벽만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이동형 프로젝터(1)는 리모컨(100)과 연결한다.
이동형 프로젝터(1)와 리모컨(100)의 연결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리모컨(100)을 조작하여 리모컨(100)과 이동형 프로젝터(1)를 연결할 수 있다. 리모컨(100)과 이동형 프로젝터(1)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컨(100)과 이동형 프로젝터(1)는 블루투스, WiFi 등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컨(100)은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별도의 기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리모컨(100)은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형 프로젝터(1) 전용 리모컨일 수 있다.
또는 리모컨(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제어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될 수 있다.
리모컨(100)은 이동형 프로젝터(1)의 전원 온/오프, 이동형 프로젝터(1)의 이동방향, 프로젝터(11)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모컨(100)은 디스플레이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1)에는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이동형 프로젝터(1)에서 전송된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1)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터치하여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리모컨(100)이 이동형 프로젝터(1)와 연결되면, 사용자는 리모컨(100)을 이용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에 투사명령을 전송한다.
이동형 프로젝터(1)는 투사명령을 수신한다(S111). 투사명령은 리모컨(100)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즉, 이동형 프로젝터(1)의 프로세서(90)는 통신부(97)를 통해 리모컨(100)으로부터 전송되는 투사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투사명령은 이동형 프로젝터(1)가 주위를 탐색하여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투사 가능면을 찾고, 찾은 적어도 한 개의 투사 가능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이다.
투사명령을 수신하면, 프로세서(90)는 이동형 프로젝터(1)를 이동시키면서, 투사 가능면을 탐색한다(S112). 예를 들면,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제어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센서를 이용하여 투사 가능면을 탐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제어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시키면서, 센서를 이용하여 투사 가능면을 탐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TOF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투사에 적절한 투사 가능면을 찾을 수 있다. 여기서, 투사 가능면은 프로젝터(11)로 영상을 투사하기 적절한 평평한 면을 말한다. 평평한 면은, 예를 들면, 벽, 가구의 표면,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TOF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투사 가능면까지의 거리, 투사 가능면의 면적 및 최고 높이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적어도 한 개의 투사 가능면을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90)는 한 개의 투사 가능면을 탐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90)는 2개 이상의 투사 가능면을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 이동형 프로젝터(1)의 프로세서(90)는 2개의 벽에서 제1투사 가능면(201)과 제2투사 가능면(202)을 찾을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탐색한 투사 가능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3). 프로세서(90)는 탐색한 적어도 한 개의 투사 가능면에 대한 정보를 투사 가능면 정보로 메모리(99)에 저장하고 이를 통신부(97)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투사 가능면 정보는 적어도 한 개의 투사 가능면의 위치 및 해당 투사 가능면에 투사할 수 있는 영상의 최고 높이와 최대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 프로세서(90)는 제1투사 가능면(201)의 위치, 높이, 및 크기와 제2투사 가능면(202)의 위치, 높이, 및 크기를 투사 가능면 정보로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다.
리모컨(100)은 이동형 프로젝터(1)에서 전송된 투사 가능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100)은 이동형 프로젝터(1)에서 전송된 투사 가능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1)에 디스플레이된 투사 가능면 정보에서 원하는 투사 가능면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투사 가능면 정보가 복수의 투사 가능면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투사 가능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투사 가능면의 위치 및 투사 가능면에 투사할 수 있는 영상의 높이와 크기를 고려하여, 원하는 투사 가능면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경우에, 사용자는 투사 가능면 정보에 포함된 2개의 투사 가능면(201,202) 중 제2투사 가능면(202)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 개의 투사 가능면을 선택하면, 리모컨(100)은 투사위치정보를 전송한다. 투사위치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투사 가능면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프로젝터(1)의 프로세서(90)는 투사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4). 프로세서(90)는 리모컨(100)과 같은 외부기기에서 전송되는 투사위치를 포함하는 투사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수신된 투사위치정보로부터 영상을 투사할 투사 가능면을 인식할 수 있다.
투사위치정보는 이동형 프로젝터(1)에서 전송된 투사 가능면 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투사 가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사 가능면 정보가 복수의 투사 가능면을 포함하는 경우, 투사위치정보는 이중에서 선택된 한 개의 투사 가능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투사위치정보는 도 12의 제2투사 가능면(20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이동형 프로젝터(1)를 수신된 투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킨다(S115). 예를 들어,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제어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를 투사위치정보에 포함된 투사 가능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투사 가능면에 대응하는 위치는 이동형 프로젝터(1)의 프로젝터(11)의 전면이 투사 가능면을 마주하며, 투사 가능면에 최적으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위치를 말한다.
끝으로, 프로세서(90)는 투사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영상을 투사한다(S116). 즉, 프로세서(90)는 프로젝터(11)를 제어하여 선택된 투사 가능면(이하, 투사면이라 한다)에 영상을 투사한다.
이동형 프로젝터(1)는 좌측 이동부(20), 우측 이동부(30), 좌측 승강 구동부(42), 및 우측 승강 구동부(5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투사 영상의 크기, 위치, 높이, 및 수평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제어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를 전후좌우로 이동시켜 투사면에 투사되는 투사 영상의 크기와 수평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는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본체(10)를 상승시켜 투사면에 투사되는 투사 영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 우측 이동부(30), 좌측 승강 구동부(42), 및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의 수평도를 조절하고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도 13은 투사영상의 수평도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3에서 실선(301)은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을 나타내고, 가상선(302)은 이동형 프로젝터(1)에 의해 투사된 영상의 수평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실선(301)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은 직사각형 형상이나, 천장(200) 또는 바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90)는 카메라(92)를 이용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이 기울어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세서(90)는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투사된 영상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90)는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투사 영상이 천장(200) 또는 바닥에 대해 평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서 실선(30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이 천장(200)에 대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우, 프로세서(90)는 좌측 승강 모터(43)를 제어하여 좌측 승강판(41)을 일정 높이 상승시킨다. 이때, 프로세서(90)는 카메라(92)로 촬상한 투사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투사 영상의 기울어진 각도를 인식하고, 투사 영상을 수평 상태로 하기 위해 필요한 좌측 승강판(41)의 상승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우측 승강판(51)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측 승강판(41)이 일정 높이로 상승하면, 본체(10)가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되어 도 13의 가상선(302)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이 천장(200)과 평행하게 될 수 있다.
투사 영상이 도 13의 실선(301)과 반대로 경사진 경우에는, 프로세서(90)는 좌측 승강 모터(43)는 작동시키지 않고, 우측 승강 모터(53)만 작동시켜 우측 승강판(51)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본체(10)가 바닥면과 일정 각도 경사지게 되어 투사 영상이 천장(200)과 평행하게 될 수 있다.
도 14는 왜곡된 투사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4에서 실선(301)은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을 나타내고, 가상선(302)은 이동형 프로젝터(1)에 의해 투사된 영상의 왜곡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에 실선(30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은 등변사다리꼴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90)는 카메라(92)를 이용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이 직사각형 형상이 아니라 등변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제어하여 투사된 영상이 직사각형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 실선(30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 영상의 좌측변의 길이가 크고, 우측변의 길이가 짧은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경우, 프로세서(90)는 우측 이동부(30)의 우측 휠 모터(31)를 제어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를 우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킨다. 이때, 프로세서(90)는 카메라(92)로 촬상한 투사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투사 영상의 좌측변과 우측변의 길이 차이를 인식하고, 투사 영상을 직사각형 형태로 하기 위해 필요한 이동형 프로젝터(1)의 회전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좌측 휠(22)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측 휠(32)이 일정 각도 회전하면, 이동형 프로젝터(1)가 좌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도 14의 가상선(302)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이 직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
투사 영상이 도 14의 실선(301)과 반대인 등변사다리꼴 형상인 경우에는, 프로세서(90)는 우측 휠 모터(31)는 작동시키지 않고, 좌측 휠 모터(21)만 작동시켜 좌측 휠(22)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동형 프로젝터(1)가 우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투사 영상이 직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15는 왜곡된 투사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5에서 실선(301)은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을 나타내고, 가상선(302)은 이동형 프로젝터(1)에 의해 투사된 영상의 왜곡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에 실선(30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은 등변사다리꼴 형상이며, 투사 영상의 측면이 천장에 대해 수직하지 않고 경사질 수 있다. 즉, 투사 영상의 왜곡이 상술한 도 13의 왜곡과 도 14의 왜곡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90)는 카메라(92)를 이용하여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한 영상이 등변사다리꼴 형상이며, 투사 영상의 측면이 천장(200)에 대해 경사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세서(90)는 좌측 이동부(20), 우측 이동부(30), 좌측 승강 구동부(42), 및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투사된 영상이 직사각형 형상이 되고, 천장(200)에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90)는 좌측 휠 모터(21), 우측 휠 모터(31), 좌측 승강 모터(43), 및 우측 승강 모터(53)를 제어하여 상술한 도 13의 수평도 조절과 도 14의 왜곡 조절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1)는 충전 중일 때, 주변 공간을 이용하여 간단한 정보나 환경 그래픽(ambient graphic)을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형 프로젝터(1)가 충전 모드일 때, 프로세서(90)는 거리 센서(91)와 카메라(92)를 이용하여 주변에서 투사 가능한 면을 찾을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90)는 투사 가능한 면에 간단한 정보, 예를 들면 시계, 날씨 등을 나타내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러한 간단 정보는 이동형 프로젝터(1)의 메모리(99)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충전 모드에서, 프로세서(90)는 투사 가능한 면에 환경 그래픽을 투사할 수 있다. 환경 그래픽은 이동형 프로젝터(1)의 메모리(99)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1)를 이용하여 프로젝션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1)가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프로젝터로 프로젝션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는 주위의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61).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경우에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가 주위의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 각각의 프로세서(90)는 본체(10)에 마련된 거리센서(91), 카메라(92) 등을 이용하여 주위의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 중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획득한 공간정보로부터 주위에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162). 즉,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의 프로세서(90)는 주위, 즉 이동형 프로젝터(1)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를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사용자가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 중 임의로 설정한 이동형 프로젝터(1)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호스트라 칭하고,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는 클라이언트라 한다.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존재하면, 호스트(1)는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63). 프로젝터 연결정보는 사용자에게 주위에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1A)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고, 이 클라이언트(1A)를 연결할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이다.
사용자는 리모컨(100)을 통해 호스트(1)가 전송한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컨(100)이 호스트(1)에서 전송된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수신하면,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리모컨(100)의 디스플레이부(101)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리모컨(100)에 디스플레이된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보고 클라이언트(1A)를 연결하도록 하거나 연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클라이언트(1A)의 연결 여부를 선택하면, 리모컨(100)은 프로젝터 연결정보 답변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클라이언트(1A)의 연결을 선택하면, 리모컨(100)은 클라이언트 연결이라는 명령이 포함된 프로젝터 연결정보 답변을 전송한다.
호스트(1)는 프로젝터 연결정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S164). 즉, 호스트(1)는 리모컨(100)에서 전송된 클라이언트(1A)의 연결 여부가 포함된 프로젝터 연결정보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프로젝터 연결정보 답변이 연결이면,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 즉 클라이언트를 연결할 수 있다(S165).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가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를 연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1)를 이용한 프로젝션 시스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호스트(1)는 호스트(1)가 획득한 공간정보와 클라이언트(1A)가 획득한 공간정보를 기초로 클라이언트(1A)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호스트(1)와 클라이언트(1A)는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즉,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가 분할된 영상을 투사하여 투사면에 한 개의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 개의 영상은 2개의 분할된 영상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젝터 연결정보 답변이 연결이 아니면, 이동형 프로젝터(1)는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를 연결하지 않는다.
도 17과 같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로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에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가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가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 호스트(1)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프로젝션 시스템 구성방법과 유사하게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를 제2의 클라이언트로 추가할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는 주위의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경우에는,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가 주위의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 각각의 프로세서(90)는 본체(10)에 마련된 거리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주위의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획득한 공간정보로부터 주위에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호스트(1)는 기 연결된 클라이언트(1A) 외에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를 다른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B)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클라이언트(1B)가 존재하면, 호스트(1)는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젝터 연결정보는 사용자에게 주위에 연결 가능한 다른 클라이언트(1B)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고, 이 다른 클라이언트(1B)를 연결할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이다.
사용자는 리모컨(100)을 통해 호스트(1)가 전송한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컨(100)이 호스트(1)에서 전송된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수신하면,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리모컨(100)의 디스플레이부(101)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리모컨(100)에 디스플레이된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보고 다른 클라이언트(1B)를 연결하도록 하거나 연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클라이언트(1B)의 연결 여부를 선택하면, 리모컨(100)은 프로젝터 연결정보 답변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클라이언트(1B)의 연결을 선택하면, 리모컨(100)은 클라이언트 연결이라는 명령이 포함된 프로젝터 연결정보 답변을 전송한다.
호스트(1)는 프로젝터 연결정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즉, 호스트(1)는 리모컨(100)에서 전송된 클라이언트의 연결 여부가 포함된 프로젝터 연결정보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프로젝터 연결정보 답변이 연결이면,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다른 클라이언트(1B)를 연결할 수 있다.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가 다른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B)를 연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로 구성되는 프로젝션 시스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호스트(1)는 호스트(1)가 획득한 공간정보와 2개의 클라이언트(1A,1B)가 획득한 공간정보를 기초로 2개의 클라이언트(1A,1B)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호스트(1)와 2개의 클라이언트(1A,1B)는 함께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즉,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가 분할된 영상을 투사하여 투사면에 한 개의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 개의 영상은 3개의 분할된 영상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는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는 각각 한 개의 영상(100)의 절반에 해당하는 영상(101,102)을 투사한다.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 각각이 절반의 영상(101,102)을 투사면(210)에 투사하면 2개의 절반 영상(101,102)이 연결되어 한 개의 완전한 영상(1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 중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투사 영역을 확인한다(S201). 투사 영역은 호스트(1)와 클라이언트(1A)가 함께 하나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적절한 투사면(210)을 말한다.
다음으로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개수를 확인한다(S202). 예를 들면, 호스트(1)의 프로세서(90)는 자기와 복수의 클라이언트(1A)를 포함하여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1)는 복수의 클라이언트(1A)가 획득한 공간정보를 받아서 복수의 클라이언트(1A)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9의 경우에는,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개수는 2개이다. 즉,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는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와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1)의 프로세서(90)는 공간정보를 통해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와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 각각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호스트(1)의 프로세서(90)는 투사할 영상을 분할한다(S203). 즉, 호스트(1)의 프로세서(90)는 투사할 한 개의 영상을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영상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있는 경우에는, 호스트(1)의 프로세서(90)는 한 개의 영상을 2개의 영상으로 분할한다.
호스트(1)는 분할된 영상을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에 분배한다(S204). 이때, 호스트(1)는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 각각에 가장 적절한 분할 영상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와 같이 호스트(1)와 한 개의 클라이언트(1A)가 있는 경우, 호스트(1)는 자기의 위치와 클라이언트(1A)의 위치를 고려하여 클라이언트(1A)에 클라이언트(1A)가 투사하기 적절한 분할 영상을 전송한다. 호스트(1)는 자신이 투사할 분할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는 분할 영상을 투사하기에 적절한 위치로 이동한다(S205). 즉,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할 영상의 투사에 적절한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는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할 영상의 투사에 적절한 높이로 프로젝터(1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는 내장된 거리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고, 프로젝터(11)를 적절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끝으로,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는 각각 분할 영상을 투사하여 투사면(210)에 한 개의 영상(100)을 형성할 수 있다(S206).
예를 들면, 도 19의 경우에는, 호스트(1)가 절반의 영상(101)을 투사하고, 클라이언트(1A)가 절반의 영상(102)을 투사하여 한 개의 전체 영상(10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1)는 한 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가 영상을 투사하고 있을 때,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추가되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1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상태에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추가되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의 상태에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추가된 경우,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면(210)에 영상(100)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이동형 프로젝터(1)는 투사 영상(100)의 크기에 따라 투사면(210)으로부터 일정 거리(D1)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추가될 수 있다. 즉, 영상을 투사하고 있는 이동형 프로젝터(1)에 인접하게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 즉 기존 이동형 프로젝터(1)와 추가된 이동형 프로젝터(1A)는 기존의 이동형 프로젝터(1)가 투사하고 있던 투사 영상(100)과 동일한 크기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이동형 프로젝터(1)는 투사면(210)에 영상을 투사한다(S231). 이때, 이동형 프로젝터(1)는 투사면(S231)으로부터 일정 거리(D1) 이격되어 있다.
이동형 프로젝터(1)는 영상을 투사하는 동안, 주위에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232).
주위에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존재하면, 이동형 프로젝터(1)는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를 연결하여 프로젝션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S233). 예를 들어, 이동형 프로젝터(1)는 상술한 도 16의 프로젝션 시스템 형성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이동형 프로젝터(1)는 자신을 호스트(1)로 인식하고,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를 클라이언트로 인식할 수 있다.
이동형 프로젝터(1)는 투사할 영상을 2개로 분할할 수 있다(S234).
이동형 프로젝터(1)는 분할된 2개의 영상 중 하나를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형 프로젝터(1)는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의 위치에 적절한 분할 영상을 전송한다(S235).
이동형 프로젝터(1)와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A)는 각각 분할 영상에 적절한 위치로 이동한다(S236). 분할 영상(101,102)은 전체 영상(100)보다 크기가 작으므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는 투사면(210)에 가깝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와 같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각각 분할 영상(101,102)을 투사하는 경우에 이동형 프로젝터(1,1A)와 투사면(210) 사이의 거리(D2)는 도 21과 같이 한 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가 전체 영상을 투사할 경우의 이동형 프로젝터(1)와 투사면(210) 사이의 거리(D1)보다 줄어들 수 있다.
끝으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는 각각 분할 영상(101,102)을 투사하여 투사면에 한 개의 영상(100)을 형성할 수 있다(S237).
도 19와 같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투사하는 2개의 분할 영상(101,102)이 한 개의 전체 영상(100)을 형성하는 경우,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상대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즉,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와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도 19의 상태에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 즉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와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각각 분할 영상(101,102)을 투사하여 한 개의 전체 영상(100)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좌측에 위치하고,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는 우측에 위치한다.
도 19에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를 우측에 위치시키고,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를 좌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우측에 위치하고,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는 좌측에 위치한 상태로,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와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각각 분할 영상(101,102)을 투사하여 도 19와 동일한 크기와 화면비를 갖는 영상(100)을 형성하고 있다.
이하, 도 25를 참조하여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한 개의 영상(100)을 투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도 19의 상태에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 경우,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투사면(210)에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한다(S251).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각각 분할 영상(101,102)을 투사하여 한 개의 전체 영상(100)을 형성한다. 이때,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좌측에 위치하고,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는 우측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위치를 변경하여 도 24와 같이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를 우측에 위치시키고,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를 좌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S252). 즉,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내장된 거리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와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의 위치가 변경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위치 변경을 인식하면,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2개의 분할 영상을 재분배할 수 있다(S253). 예를 들면,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을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로 전송한다. 또한,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변경된 자신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분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다음으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는 분할 영상을 투사하기에 적절한 위치로 이동한다(S254). 즉,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제어하여 도 19에서의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의 자리에 위치하고,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도 19의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와 동일하게 분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는 좌측 이동부(20)와 우측 이동부(30)를 제어하여 도 19에서의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의 자리에 위치하고,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도 19의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와 동일하게 분할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끝으로,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각각 분할 영상(101,102)을 투사하면, 도 19와 동일한 크기와 화면비를 갖는 영상(100)이 투사면(210)에 형성될 수 있다(S255).
이상에서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3개 이상의 이동형 프로젝터(1)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할 때,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가 추가되어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하,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이러한 경우의 영상투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도 19의 상태에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추가되어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19의 상태에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추가된 경우,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 즉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와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가 각각 분할 영상(101,102)을 투사하여 한 개의 전체 영상(100)을 형성하고 있다(S271).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를 추가할 수 있다.
그러면,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추가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를 인식할 수 있다(S272). 이때,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내장된 거리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를 인식할 수 있다.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가 인식한 공간정보를 수신하여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인식된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B)를 제2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기존의 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는 제1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로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투사할 영상을 다시 분할한다(S273). 즉, 기존에 2개로 분할하였던 투사할 영상을 3개로 분할한다.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3개의 분할 영상을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의 위치에 대응하여 분배한다(S274). 예를 들어,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제1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A)에는 그 위치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을 전송하고, 제2클라이언트 이동형 프로젝터(1B)에는 그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분할 영상을 전송한다. 또한, 호스트 이동형 프로젝터(1)는 자신의 위치에 맞는 분할 영상은 투사할 준비를 한다.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는 분할 영상의 투사에 적절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S275). 즉,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투사하여 형성한 투사 영상(100)의 크기와 화면비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와 투사면(210) 사이의 거리(D3)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와 투사면(210) 사이의 거리(D2)보다 줄어들 수 있다.
이때,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는 각각 좌측 이동부(20), 우측 이동부(30), 좌측 승강 구동부(42), 및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투사하는 분할 영상의 크기, 위치, 및 화면비를 조절할 수 있다.
끝으로, 3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1B)가 각각 분할 영상(101,102,103)을 투사하면, 도 19와 동일한 크기와 화면비를 갖는 영상(100)이 투사면(210)에 형성될 수 있다(S276).
이상에서는 한 개의 투사 영상(100)을 투사하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에 다른 한 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B)가 추가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는 한 개의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3개 이상의 이동형 프로젝터(1)에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가 추가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중에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1,1A) 중 한 개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 높이가 변경된 이동형 프로젝터(1A)는 자동으로 투사 영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초기의 투사 영상의 크기와 화면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동일 높이에서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의 상태에서, 한 개의 이동형 프로젝터의 높이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8의 상태에서 도 29의 상태로 된 경우,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영상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동일 높이(H)에 위치하는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가 각각 분할 영상(101,102)을 투사하여 투사면(210)에 한 개의 완전한 투사 영상(100)을 형성하고 있다(S301).
이때, 2개의 이동형 프로젝터(1,1A) 중 한 개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이동형 프로젝터(1)는 높이(H)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이동형 프로젝터(1A)가 낮은 위치, 즉 바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이동형 프로젝터(1A)의 높이는 사용자에 의해 낮아질 수 있다.
제2이동형 프로젝터(1A)의 위치가 낮아지면, 제2이동형 프로젝터(1A)는 높이가 변경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S302). 제2이동형 프로젝터(1A)의 위치가 낮아지면, 제2이동형 프로젝터(1A)는 내장된 거리센서, 방향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낮아진 높이를 인식할 수 있다.
제2이동형 프로젝터(1A)는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원래의 투사 영상을 유지할 수 있다(S303). 예를 들면, 제2이동형 프로젝터(1A)는 좌측 승강 구동부(42)와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제어하여 낮아진 높이만큼 본체(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2이동형 프로젝터(1A)가 투사하는 분할 영상의 높이가 상승하므로, 원래의 투사 영상(100)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는 자동으로 투사 영상의 왜곡을 검출하여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의한 이동형 프로젝터는 자동으로 투사 영상의 기울어짐을 검출하여 투사 영상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는 프로젝션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는 각각 분할 영상을 투사하여 투사면에 한 개의 전체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가 추가되면, 복수의 이동형 프로젝터는 자동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원래의 투사 영상의 크기와 화면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1; 이동형 프로젝터 3; 구동부
10; 본체 11; 프로젝터
15; 베이스 20; 좌측 이동부
21; 좌측 휠 모터 22; 좌측 휠
30; 우측 이동부 31; 우측 휠 모터
32; 우측 휠 40; 좌측 승강부
41; 좌측 승강판 42; 좌측 승강 구동부
43; 좌측 승강 모터 44; 좌측 피니언
45; 좌측 랙 50; 우측 승강부
51; 우측 승강판 52; 우측 승강 구동부
53; 우측 승강 모터 54; 좌측 피니언
55; 우측 랙 60; 직선이동 안내부재
70; 보조 이동부 71; 보조 휠
80; 인쇄회로기판 81; 스피커
82; 마이크 90; 프로세서

Claims (15)

  1. 프로젝터가 마련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이동부(20);
    상기 본체(10)의 우측에 상기 좌측 이동부(20)와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는 우측 이동부(30);
    상기 본체(10)의 좌측면과 상기 좌측 이동부(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에 대해 상기 좌측 이동부(2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좌측 승강부(40); 및
    상기 본체(10)의 우측면과 상기 우측 이동부(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에 대해 상기 우측 이동부(3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우측 승강부(50);를 포함하는, 이동형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설치된 보조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프로젝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승강부(40)는,
    상기 좌측 이동부(20)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좌측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승강판(41);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측 승강판(41)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좌측 승강 구동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승강부(50)는,
    상기 우측 이동부(30)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우측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 승강판(51);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우측 승강판(51)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우측 승강 구동부(52);를 포함하는, 이동형 프로젝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승강판(41)과 상기 본체(10)의 좌측면 사이에는 상기 좌측 승강판(4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60)가 마련되며,
    상기 우측 승강판(51)과 상기 본체(10)의 우측면 사이에는 상기 우측 승강판(5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직선이동 안내부재(60)가 마련되는, 이동형 프로젝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승강 구동부(42)는,
    상기 본체(10)에 마련된 좌측 승강 모터(43);
    상기 좌측 승강 모터(43)에 의해 회전하는 좌측 피니언(44); 및
    상기 좌측 승강판(41)에 마련되며, 상기 좌측 피니언(44)과 치합되는 좌측 랙(45);을 포함하며,
    상기 우측 승강 구동부(52)는,
    상기 본체(10)에 마련된 우측 승강 모터(53);
    상기 우측 승강 모터(53)에 의해 회전하는 우측 피니언(54); 및
    상기 우측 승강판(51)에 마련되며, 상기 우측 피니언(54)과 치합되는 우측 랙(55);을 포함하는, 이동형 프로젝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이동부(20)는,
    상기 좌측 승강판(41)에 설치되는 좌측 휠 모터(21); 및
    상기 좌측 휠 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좌측 휠(22);을 포함하며,
    상기 우측 이동부(30)는,
    상기 우측 승강판(51)에 설치되는 우측 휠 모터(31); 및
    상기 우측 휠 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우측 휠(32);을 포함하는, 이동형 프로젝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형 프로젝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프로젝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프로젝터 수용부(12); 및
    상기 프로젝터 수용부(12)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좌측 승강부(40)와 상기 우측 승강부(50)가 설치되는 베이스(15);를 포함하는, 이동형 프로젝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이동부(20), 상기 우측 이동부(30), 상기 좌측 승강부(40), 및 상기 우측 승강부(50)를 개별로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프로세서(90)를 포함하는, 이동형 프로젝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이미지 센서, 거리 센서, 방향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형 프로젝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9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좌측 이동부(20), 상기 우측 이동부(30), 상기 좌측 승강부(40), 및 상기 우측 승강부(50)를 제어하여 상기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화상의 크기, 위치, 높이, 및 수평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이동형 프로젝터.
  12. 투사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투사 가능면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한 상기 투사 가능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투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투사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정보에 대응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영상투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정보에 대응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형 프로젝터는 좌측 이동부(20), 우측 이동부(30), 좌측 승강 구동부(42), 및 우측 승강 구동부(5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투사영상의 크기, 위치, 높이, 및 수평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영상투사방법.
  14. 이동형 프로젝터(1)가 주위의 공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공간정보에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가 존재하면, 프로젝터 연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터 연결정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터 연결정보에 대한 답변이 연결이면, 상기 이동형 프로젝터(1)는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시스템 형성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프로젝터(1)와 상기 다른 이동형 프로젝터(1)는 함께 한 개의 영상을 투사하는, 이동형 프로젝터의 프로젝터 시스템 형성방법.

KR1020220108686A 2022-05-09 2022-08-29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 KR20230157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4442 WO2023219270A1 (ko) 2022-05-09 2023-04-03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6859 2022-05-09
KR1020220056859 2022-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218A true KR20230157218A (ko) 2023-11-16

Family

ID=8896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686A KR20230157218A (ko) 2022-05-09 2022-08-29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2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296B1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923929B1 (ko)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증강 현실 서비스에 대한 화면으로의 화면 전환 방법
US8690358B2 (en) Video projection device for mobile device having a first projection surface integral with a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KR102471644B1 (ko) 팝업 회전 카메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80375976A1 (en) Electronic device
EP2565710A1 (en) Projector
KR201600064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508770B2 (ja) 移動型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KR102218919B1 (ko) 이동 단말기
KR102623908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05035B1 (ko)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53626A (ko) 비디오 미리 보기에 의해 제어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전압원
KR101859567B1 (ko)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157218A (ko)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
KR20130027353A (ko) 이동 로봇, 단말 장치, 및 이동 로봇의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US10506290B2 (en) Image information projection device and projection device control method
US10824383B2 (en) Display device
JP6687954B2 (ja) 移動型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20180038326A (ko) 이동 로봇
US20230131217A1 (en) Methods of adjusting a position of images, video, and/or text on a display screen of a mobile robot
KR20210072351A (ko)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KR20190115502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15603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12408A (ko) 스마트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
JP2016063386A (ja) 通信装置、並びにアンテナの位置及び向きの設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