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995A - 무선 통신 모듈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995A
KR20230156995A KR1020220056397A KR20220056397A KR20230156995A KR 20230156995 A KR20230156995 A KR 20230156995A KR 1020220056397 A KR1020220056397 A KR 1020220056397A KR 20220056397 A KR20220056397 A KR 20220056397A KR 20230156995 A KR20230156995 A KR 2023015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evse
modul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6995A/ko
Publication of KR2023015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01Q1/324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particular used in keyless entr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및 이동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기판에 배치되는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EVSE와 통신하고 차량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모듈{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 배치를 통해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설치된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를 이용한다.
전기 자동차와 EVSE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여러 규약들이 활발하게 재정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에 관한 규약은 크게 충전 시스템, 충전 인터페이스, 통신 프로토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국가 별 또는 자동차 회사 별로 서로 다른 규약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배터리팩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등은 규약 별로 개발되고 설계되어야 한다.
차량 충전 시스템 설계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때 완속 충전, 급속 충전, 통신 공급을 위한 전력선과 통신 진행을 위한 통신선까지 포함하는 경우 전선이 굵어지고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해 주차 공간 주변에 키오스크를 설치해야하는 문제가 있고, 키오스크가 설치된 위치에서만 충전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키오스크 설치시 정해진 충전 속도만 제공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6-0139175호 (공개일: 2016.12.07.) 한국 공개 실용신안특허 제20-2010-0005301호 (공개일: 2010.05.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 배치를 통해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및 이동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기판에 배치되는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EVSE와 통신하고 차량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안테나 모듈은 차량의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후방 우측, 전방부, 상단부, 후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복수의 안테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온 동작 및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는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및 이동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EVSE 및 상기 EVCC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기판에 배치되는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EVSE와 통신하고 차량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안테나 모듈은 차량의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후방 우측, 전방부, 상단부, 후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복수의 안테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온 동작 및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선과 통신선의 분리로 인한 직/간접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전력 이용시 통신 장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성능 안테나를 통해 무선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커버리지 확대할 수 있어, 장소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과 EVCC 모듈에 따른 전기장 영향을 최소화한 위치를 선정하여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패시브 성능이 우수한 고성능 안테나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안테나 간의 방사 패턴 설계를 고려한 최적화된 설계를 통해 고효율 특성을 갖는 EVCC 모듈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충전 키오스크가 설치된 장소에 제약 없이 EVSE의 와이파이 존 또는 개인 이동 단말 또는 차량으로 충전 및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키오스크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기존 차량 충전소를 추가하고 충전 시설 증설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환경에 맞추어 무선 안테나 위치 선정할 수 있고, 다수 개의 외장형 안테나를 언밸런스하게 적용함으로써 커버리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다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은 차량(1),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로서, EVSE(30)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차량(1)은 EVSE(30)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EVSE(30)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은 차량(1)의 주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EVSE(30)는 AC 또는 DC를 공급하는 설비이며, 충전소에 배치되거나, 가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EVSE(30)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EVSE(30)는 충전소(Supply), AC 충전소(AC supply), DC 충전소(DC supply), 소켓-아웃렛(Socket-Outlet) 등과 혼용될 수 있다.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20)는 차량(1)에 포함된 구성으로, 차량(1) 내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50)와 연결될 수 있다. EVCC(20)는 차량 내 충전 신호 및 충전 전력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무선 통신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EVCC(20)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EVCC(20)에 포함된 구성으로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무선 통신 충전 제어 모듈로서,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EVCC(20)의 MCU(Micro Control Unit)의 제어를 받지 않고 별도의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이동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EVCC(20)와 별도로 구성된 제어 모듈(12)을 통해 EVCC(20)의 MCU을 동작시키기 위한 지시를 내릴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EVCC(20)와 EVSE(30)로부터 차량 충전 및 결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4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40)을 통해 차량 충전에 대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은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은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어 모듈(12)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1)은 제어 모듈(1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은 와이파이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등을 포함할 수 있다. W-PAN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을 포함할 수 있고, W-LAN은 WIF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은 무선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 이외에 유선 통신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제어 모듈(12)은 이동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EVSE(30) 및 EVCC(20)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충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EVCC(20)의 MCU(Micro Control Unit)의 제어를 받지 않고 별도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의 제어 모듈(12)은 EVCC(20)의 제어 모듈과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이동 단말(40)로부터 수신하여 EVCC(20), EVSE(30)에 충전 및 과금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로부터 요청된 신호에 따라 다양한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상태 정보는 충전 모드, 배터리 충전 예약, 배터리 충전 개시/종료, 충전 에러, 충전 제어, 충전 전류, 전압 및 전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정보는 배터리 충전율, 배터리 온도(셀 내부/외부 온도), 전압/전류 충전 상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차량 ID, 사용자 ID, EVSE ID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과금 정보는 전력 요금, 충전 시간, 부하 정보, 미터 데이터, 과금 데이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충전 단계에 따라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에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모듈(12)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 모듈(12)에서 생성된 신호는 무선 통신 모듈(11)을 통해 각 구성에 송수신될 수 있다.
차량(1)이 EVSE(30)의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 모듈(12)은 EVSE(30)의 진입 신호를 수신하여, EVCC(20)가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준비 모드(Ready Mode)로 전환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EVSE(30)의 충전건이 차량(1)에 장착되면, 제어 모듈(12)은 이동 단말(40)로 차량 인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충전이 되는 EVSE(30)의 충전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 모듈(12)은 이동 단말(40)로 차량 인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12)은 이동 단말(40)로부터 차량 충전 개시 요청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면 EVSE(30) 및 EVCC(20)에 충전 개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충전 중 이동 단말(40)의 요청 신호 또는 EVSE(30)의 요청 신호에 따라 EVCC(20)로부터 수신된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 중 차량, 배터리, EVSE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각 구성으로부터 문제 발생 신호를 수신한 제어 모듈(12)은 이동 단말(40)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EVCC(20)로부터 차량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EVSE(30)로부터 수신된 차량 충전 과금 정보 및 결제 신호를 이동 단말(4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40)을 통해 차량 충전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이후, EVSE(30)의 충전건이 차량(1)으로부터 탈착되어 차량 충전은 완료된다.
도 5를 참조하면, EVSE(30)는 무선 통신 모듈(31)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40)과 직접 차량 충전 동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EVSE(30)는 차량(1)에 포함된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이동 단말(40)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선과 통신선의 분리로 인한 직/간접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전력 이용시 통신 장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고성능 안테나를 통해 무선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커버리지 확대를 통해 장소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충전 키오스크가 설치된 장소에 제약 없이 EVSE의 와이파이 존 또는 개인 이동 단말 또는 차량으로 충전 및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별도의 키오스크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기존 차량 충전소를 추가하고 충전 시설 증설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다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제1통신 모듈(13), 제2통신 모듈(14), 제3통신 모듈(15) 및 제어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13)은 EVSE(3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13)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2통신 모듈(14)은 EVCC(2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통신 모듈(14)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3통신 모듈(15)은 이동 단말(4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통신 모듈(15)은 와이파이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통신 모듈(15)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등을 포함할 수 있다. W-PAN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을 포함할 수 있고, W-LAN은 WIF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통신 모듈(1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포함된 무선 통신 모듈(11)과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제1 내지 제3통신 모듈(13, 14, 15)과 연결되고 제3통신 모듈(15)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EVCC(20) 및 EVSE(30)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2)는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로부터 신호를 이용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 제어 신호는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와 각각 연결된 제1 내지 제3통신 모듈(13, 14, 15)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는 EVCC(20)의 제어 모듈과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의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의 무선 충전 제어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바,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EVSE, EVCC 및 이동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여 차량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S11 단계에서 EVSE로부터 차량 진입 신호를 수신하면 EVCC가 슬립 모드에서 준비 모드로 전환하도록 신호를 송신하고, S12 단계에서 EVSE의 충전건이 차량에 장착되면 이동 단말에 차량 인식 신호를 송신하고 EVCC가 준비 모드에서 충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신호를 송신하고, S13 단계에서 EVCC로부터 수신된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신호를 EVSE 및 이동 단말에 송신하고, S14 단계에서 EVCC로부터 차량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EVSE 및 이동 단말에 차량 충전 결제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신호는 충전 속도, 충전 과금, 충전량, 충전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은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및 이동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은 기판에 배치되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의 일 영역에는 와이파이 모듈이 배치되고, 기판의 타 영역에는 MCU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은 기판 상의 회로에서 발생하는 EMC의 최소화 영역인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및 EVSE와 통신하고 차량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 모듈은 차량(1)의 전방 좌측(3), 전방 우측(5), 후방 좌측(4), 후방 우측(6), 전방부(2), 상단부, 후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외부의 다양한 방향에서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의 용량을 높일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 모듈 각각은 다양한 통신을 위해서 하나의 안테나 모듈에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복수의 방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근거리 통신을 위하여, 와이파이, 블루투스, GPS, NFC 용 방사부가 필요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에 포함된 제어 모듈은 이동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EVSE(30) 및 EVCC(2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는 사용자의 운전 습관, 사용자의 운전 성향, EVSE에 주로 진입하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중 우선도가 높은 안테나를 통해 우선적으로 신호의 송수신할 수 있다. 이후, 우선도가 높은 안테나를 통해 신호의 송수신이 완료되지 못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우선도가 낮은 안테나를 통해 추가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의 온 동작 및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는 사용자의 운전 습관, 사용자의 운전 성향, EVSE에 주로 진입하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는 항상 온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 중 일부는 온 동작을 유지할 수 있고, 나머지는 오프 동작일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를 항상 온 동작으로 유지시키는 경우, 전력 소모가 커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우선도가 높은 안테나만을 온 동작으로 유지하여 신호를 송수신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우선도가 높은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약해지는 경우, 우선도가 낮은 안테나를 추가적으로 온 동작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에 포함된 고성능 안테나를 통해 무선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커버리지 확대를 통해 장소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과 EVCC 모듈에 영향을 최소화한 위치를 선정하여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패시브 성능이 우수한 고성능 안테나를 개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및 이동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기판에 배치되는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EVSE와 통신하고 차량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모듈은 차량의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후방 우측, 전방부, 상단부, 후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복수의 안테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온 동작 및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모듈.
  5.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및 이동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EVSE 및 상기 EVCC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기판에 배치되는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EVSE와 통신하고 차량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모듈은 차량의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후방 우측, 전방부, 상단부, 후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충전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복수의 안테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온 동작 및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제어 장치.
KR1020220056397A 2022-05-09 2022-05-09 무선 통신 모듈 KR20230156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397A KR20230156995A (ko) 2022-05-09 2022-05-09 무선 통신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397A KR20230156995A (ko) 2022-05-09 2022-05-09 무선 통신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995A true KR20230156995A (ko) 2023-11-16

Family

ID=8896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397A KR20230156995A (ko) 2022-05-09 2022-05-09 무선 통신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699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301U (ko)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내장 안테나 구조
KR20160139175A (ko) 2015-05-27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301U (ko)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내장 안테나 구조
KR20160139175A (ko) 2015-05-27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3772B2 (en) Dynamic allocation of power module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EP3159204B1 (en)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power transfer system
CN106853778B (zh) 用于发现evse的pd的方法和装置以及secc的操作方法
KR101395550B1 (ko) 배터리 구동 차량에서의 저장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장치
US89634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operative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KR101738447B1 (ko) 간소화된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를 통한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US10800279B2 (en) Portable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CN107554317B (zh) 无线电力传输方法、无线充电方法以及电动车辆
CN101098030A (zh) 优化电动/混合动力车辆电网充电的系统和方法
JP2014117975A (ja) 車載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2299391A (zh) 充电系统及其充电方法
JP2018029464A (ja) ダブル充電ガン充電システムのインテリジェント型エネルギー分配方法
EP3863142A1 (en)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atteries
CN114340940B (zh) 用于给电池充电的设备、系统和方法
CN103840532A (zh) 汽车无线充电系统
CN109950959A (zh) 电子设备及充电方法
KR20180029860A (ko) 복수의 송신 코일을 이용하여 전기차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813714A (zh) 使用多个发送线圈进行无线电力输送的方法和设备
US202202272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harging motor vehicles
KR102039703B1 (ko) 충전 장치
US20220194255A1 (en) System for selec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power
KR20230156995A (ko) 무선 통신 모듈
KR20180003995A (ko) 보조 배터리 상태에 기초한 전기차를 위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CN108960354B (zh) 电池箱位置确定方法、电池仓、电池箱及电池管理主系统
KR20160146296A (ko) 전기 자동차 충전용 통신 제어 시스템 및 그의 통신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