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858A -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858A
KR20230155858A KR1020220055619A KR20220055619A KR20230155858A KR 20230155858 A KR20230155858 A KR 20230155858A KR 1020220055619 A KR1020220055619 A KR 1020220055619A KR 20220055619 A KR20220055619 A KR 20220055619A KR 20230155858 A KR20230155858 A KR 20230155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tor
streaming
nft
informatio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김민지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브
Priority to KR1020220055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858A/ko
Publication of KR2023015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관리 방법은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가능한 창작자의 IP(Intellectual Property)에 대한 토큰 발행 요청을 창작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토큰 발행 요청에 따라, 연동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수익에 대한 기설정된 지분의 권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발행된 NFT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창작자와 구매자간의 NFT 판매를 중개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를 상기 발행된 NFT의 소유자로서 관리하는 단계, 상기 창작자의 IP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스트리밍됨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발행된 NFT가 포함하는 정보상의 지분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창작자의 수익을 상기 창작자 및 상기 소유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TOKE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MUSIC COPYRIGHT FEE BASED ON CONNECTION BETWEEN TOKEN MANAGEMENT SERVER AND STREAMING SERVER}
아래의 설명은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이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token)이다. 음원, 그림, 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 안에 담음으로써, 그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디지털 자산을 NFT 토큰으로 만드는 것을 '민팅(Minting)'이라 표현하는데, 토큰(token)이 '대안화폐'를 의미하는 것에 착안해 역시 '화폐를 주조한다'는 뜻을 지닌 영단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선행문헌번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55616호
토큰 관리 서버가 창작자의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 가능한 창작자의 IP(Intellectual Property)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스트리밍 서버와 연계하여 스트리밍 서버에서 얻어지는 정보(일례로, 창작자의 수익 및/또는 스트리밍 횟수)에 기반하여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저작권료를 창작자와 NFT의 소유자에게 분배할 수 있는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의 토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가능한 창작자의 IP(Intellectual Property)에 대한 토큰 발행 요청을 창작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토큰 발행 요청에 따라, 연동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수익에 대한 기설정된 지분의 권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발행된 NFT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창작자와 구매자간의 NFT 판매를 중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구매자를 상기 발행된 NFT의 소유자로서 관리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창작자의 IP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스트리밍됨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발행된 NFT가 포함하는 정보상의 지분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창작자의 수익을 상기 창작자 및 상기 소유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큰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자의 수익을 상기 창작자 및 상기 소유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NFT를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IP에 대한 복수의 NFT를 발행하고, 상기 복수의 NFT가 포함하는 정보상의 지분의 합은 상기 IP에 대한 전체 지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NFT를 복수의 소유자가 소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창작자의 수익을 상기 창작자 및 상기 복수의 소유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상기 창작자의 수익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 횟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토큰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에 대한 스트리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상기 스트리밍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서 상기 스트리밍 요청에 따라 상기 창작자의 IP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토큰 발행 요청은 상기 기설정된 지분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토큰 발행 요청은 발행될 NFT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가능한 창작자의 IP(Intellectual Property)에 대한 토큰 발행 요청을 창작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토큰 발행 요청에 따라, 연동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수익에 대한 기설정된 지분의 권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발행된 NFT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창작자와 구매자간의 NFT 판매를 중개하고, 상기 구매자를 상기 발행된 NFT의 소유자로서 관리하고, 상기 창작자의 IP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스트리밍됨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발행된 NFT가 포함하는 정보상의 지분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창작자의 수익을 상기 창작자 및 상기 소유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토큰 관리 서버가 창작자의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 가능한 창작자의 IP(Intellectual Property)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스트리밍 서버와 연계하여 스트리밍 서버에서 얻어지는 정보(일례로, 창작자의 수익 및/또는 스트리밍 횟수)에 기반하여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저작권료를 창작자와 NFT의 소유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관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토큰의 발행 및 수익을 분배를 위한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관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토큰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토큰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토큰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토큰 관리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거래 서비스, 결제 서비스, 가상 거래소 서비스, 리스크 모니터링 서비스, 게임 서비스, 그룹 통화 서비스(또는 음성 컨퍼런스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메일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도 서비스, 번역 서비스, 검색 서비스 및/또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하나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스크린, 마이크, 스피커 등이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관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토큰 관리 서버(310), 스트리밍 서버(320), 블록체인 네트워크(330), 창작자(340), 사용자(350), 구매자(360), 소유자(370) 및 사업자(380)를 개시하고 있다.
창작자(340)는 음원, 영상 등과 같이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한 콘텐츠로서의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IP)을 창작하여 저작권료에 대한 일정 지분을 NFT를 통해 판매하고, IP를 스트리밍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주체일 수 있다. 이때, 창작자(340)는 실질적으로는 네트워크를 통해 토큰 관리 서버(310)나 스트리밍 서버(320)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창작자 단말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350)는 스트리밍 서버(320)를 통해 창작자의 IP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받아 이용하고, 그 이용료를 지불하는 주체로서, 실질적으로는 사용자(350)가 네트워크를 통해 토큰 관리 서버(310)나 스트리밍 서버(320)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응할 수 있다.
구매자(360)는 창작자가 창작한 IP의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일례로, 음원의 경우 음악저작권료)에 대한 일정 지분의 권리를 포함하는 NFT를 구매하는 주체로서, 실질적으로는 구매자(360)가 네트워크를 통해 토큰 관리 서버(310)나 스트리밍 서버(320)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매자 단말에 대응할 수 있다.
소유자(370)는 NFT를 소유하고 있는 주체로서, 실질적으로는 소유자(370)가 네트워크를 통해 토큰 관리 서버(310)나 스트리밍 서버(320)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유자 단말에 대응할 수 있다.
토큰 관리 서버(310)는 창작자(340)의 요청에 따라 창작자(340)의 IP의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창작자의 수익에 대한 일정 지분의 권리를 포함하는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30)를 통해 발행할 수 있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310)는 창작자(340)와 구매자(360)간 또는 소유자(370)와 구매자(360)간의 NFT의 판매/구매를 중개할 수 있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310)는 창작자(340)의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창작자(340)의 수익을 창작자(340) 및/또는 소유자(370)에게 분배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320)는 창작자(340)의 IP를 스트리밍을 통해 사용자(35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일례로,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창작자(340)의 수익에 대한 정보 및/또는 IP의 스트리밍 횟수에 대한 정보)를 토큰 관리 서버(3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토큰 관리 서버(31)는 스트리밍 서버(320)로부터 전달되는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창작자(340)의 수익을 창작자(340) 및/또는 소유자(370)에게 분배할 수 있다.
사업자(380)는 창작자(340)의 IP나 NFT, 또는 소유자(370)의 NFT를 활용하여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380)는 음원/NFT 관련 실물 상품이나 다른 디지털 자산(뮤직비디오) 등을 기획, 제조, 판매하고자 하는 주체일 수 있다. 이때, 사업자(380)는 실질적으로는 사업자(380)가 네트워크를 통해 토큰 관리 서버(310)나 스트리밍 서버(320)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업자 단말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사업자(380)는 자신의 사업에 대한 요청을 토큰 관리 서버(310)를 통해 창작자(340) 및/또는 소유자(37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토큰 관리 서버(310)는 특정 IP나 NFT의 창작자(340)와 소유자(370)에게 사업과 관련된 요청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사업자(38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토큰의 발행 및 수익을 분배를 위한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창작자(340)는 토큰 관리 서버(310)로 NFT의 발행을 요청(410)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요청(410)은 창작자(340)의 IP와 발행하고자 하는 NFT의 수(Number of NFTs, NoN), 그리고 각 NFT가 포함하게 될 지분에 대한 정보(shar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분 share는 해당 IP가 스트리밍됨에 따라 얻어지는 창작자(340)의 수익에 대한 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분 share는 각 NFT마다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으나, 둘 이상의 NFT에 대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창작자(340)가 10개의 NFT를 발행하고자 할 때, NFT 1, NFT 2에는 각각 20%의 지분이, NFT 3, NFT 4, NFT 5, NFT 6에는 각각 5%의 지분이, NFT 7, NFT 8, NFT 9, NFT 10에는 각각 1%의 지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NFT의 발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NFT 1을 소유한 사람에게는 창작자(340)의 IP가 스트리밍됨에 따라 얻어지는 창작자(340)의 수익의 20%가, NFT 3을 소유한 사람에게는 창작자(340)의 IP가 스트리밍됨에 따라 얻어지는 창작자(340)의 수익의 5%가, NFT 7을 소유한 사람에게는 창작자(340)의 IP가 스트리밍됨에 따라 얻어지는 창작자(340)의 수익의 1%가 각각 분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NFT의 소유자(370)는 자신이 소유한 NFT에 포함된 지분만큼 창작자(340)의 IP가 스트리밍됨에 따라 얻어지는 창작자(340)의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다.
한편, IP의 모든 지분(100%)에 대해 NFT의 발행이 요청될 수도 있으나, IP의 일부 지분(일례로, 30%)에 대해서만 NFT의 발행이 요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 10%의 지분을 갖는 세 개의 NFT의 발행이 요청될 수 있다. 이 경우, 70%의 지분에 대해서는 추후 NFT가 더 발행될 수도 있고, 발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토큰 관리 서버(310)는 창작자(340)로부터의 요청(410)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330)를 통해 IP의 스트리밍에 대한 지분(share)을 갖는 NFT를 NoN만큼 발행(420)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발행되는 NFT의 IP에 대한 지분은 창작자(340)의 요청에 따라 기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발행된 NFT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행된 NFT에 대한 블록체인이 생성될 수 있으며, 창작자(340)의 식별자, 창작자(340)의 IP의 식별자 및 발행된 NFT의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블록이 해당 블록체인에 연결될 수 있다. 추후, 해당 NFT가 판매되거나 NFT의 소유자가 변경되는 등에 대한 변경의 기록이 해당 블록체인에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토큰 관리 서버(310)는 구매자(360)로부터 NFT 구매 요청(430)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토큰 관리 서버(310)는 발행된 NFT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360)는 이러한 리스트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NFT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NFT의 선택에 응답하여 토큰 관리 서버(310)로 선택된 NFT에 대한 구매 요청(430)이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토큰 관리 서버(310)는 창작자(340)와 구매자(360)간의 NFT 판매 및 구매를 중개(440)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창작자(340)가 NFT의 판매를 토큰 관리 서버(310)에 위임한 경우, 토큰 관리 서버(310)는 구매자(360)의 NFT 구매 요청(430)에 따라 해당 NFT를 바로 판매할 수 있다. 이때, 해당 NFT의 판매 가격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발행된 NFT들에 대한 리스트는 NFT에 대한 정보와 함께 NFT의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NFT의 판매가 이루어진 후, 토큰 관리 서버(310)는 구매자(360)를 소유자(370)로서 관리할 수 있다. NFT의 소유자(37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330)에 기록된 정보를 통해 추적될 수 있다.
한편, 창작자(340)는 스트리밍 서버(330)로 IP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450)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창작자(340)는 토큰 관리 서버(310)로 IP에 대한 스트리밍을 요청(450)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토큰 관리 서버(310)는 연계된 스트리밍 서버(330)로 창작자(340)의 스트리밍 요청(450)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리밍 서버(330)에서 사용자(350)에게 창작자(340)의 IP가 스트리밍(460)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350)는 스트리밍 서버(330)를 통해 스트리밍 가능한 IP의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리스트에서 특정 IP를 선택하여 스트리밍(460)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리밍 서버(330)는 선택된 IP를 사용자(350)에게 스트리밍(460)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330)는 IP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470)를 토큰 관리 서버(3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리밍 정보(470)는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수익(revenue) 및/또는 스트리밍 횟수(Number of Streams, No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정보(470)는 일정 주기(일례로, 분, 시, 일, 주, 월 등)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토큰 관리 서버(310)는 창작자(340)의 정보, 소유자(370)의 정보, 스트리밍 정보(470) 및 지분(share)을 이용하여 소유자(370) 및 창작자(340)별 분배 수익을 계산(480)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큰 관리 서버(310)는 IP의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창작자(340)의 수익을 누구(창작자(340) 및 소유자(370))에게 얼마만큼 분배할 것인가를 NFT의 지분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토큰 관리 서버(310)는 계산된 분배 수익에 따라 창작자(340)의 수익을 창작자(340)와 소유자(370)에게 분배(490)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320)로부터 스트리밍 정보(470)가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경우, 토큰 관리 서버(310)의 수익 분배도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트리밍 정보(470)가 전달되는 제1 주기는 수익 분배를 위한 제2 주기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토큰 관리 서버(310)는 NoS와 스트리밍 당 수익에 기반하여 창작자(340)의 수익(revenue)을 직접 계산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관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큰 관리 방법은 토큰 관리 서버(310)를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5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510 내지 57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가능한 창작자의 IP(Intellectual Property)에 대한 토큰 발행 요청을 창작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리밍 서버와 창작자 단말은 앞서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스트리밍 서버(320) 및 창작자(340)에 대응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창작자는 자신의 IP, 발행하고자 하는 NFT의 수, 그리고 NFT 각각을 위한 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분은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수익에 대한 지분의 권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IP에 대해 10%의 지분을 가진 NFT를 소유하는 소유자는, 해당 IP가 스트리밍됨에 따라 창작자에게 발생하는 수익의 10%를 분배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토큰 발행 요청은 기설정된 지분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 및/또는 발행될 NFT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토큰 발행 요청에 따라, 연동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수익에 대한 기설정된 지분의 권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창작자의 토큰 발행 요청이 포함하는 NFT의 수만큼 NFT를 발행할 수 있으며, 발행되는 NFT가 포함하는 지분 역시 토큰 발행 요청이 포함하는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앞서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블록체인 네트워크(330)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NFT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체인상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의 식별자, NFT를 발행한 창작자, NFT의 구매자, NFT의 현재 소유자, NFT와 연계된 IP, NFT가 가진 지분 등의 다양한 정보들이 블록체인상에 블록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해당 블록체인상에 블록의 형태로 기록된 정보를 토대로, NFT의 현재 소유자나 지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컴퓨터 장치(200)는 IP에 대한 복수의 NFT를 발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NFT가 포함하는 정보상의 지분의 합은 IP에 대한 전체 지분 이하가 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발행된 NFT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200)는 발행된 NFT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 단말은 앞서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구매자(360)에 대응할 수 있다. 일례로, 구매자 단말은 제공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구매자로부터 선택된 NFT에 대한 구매 요청을 컴퓨터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구매 요청에 따라 창작자와 구매자간의 NFT 판매를 중개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NFT의 판매는 창작자와 협의된 가격으로 토큰 관리 서버(310)로 위임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구매자의 NFT에 대한 구매 요청에 따라 창작자 소유의 NFT를 구매자 소유로 이전함으로써, NFT 판매를 중개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구매자를 발행된 NFT의 소유자로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장치(200)는 NFT의 소유자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 1의 소유권이 소유자 A에서 소유자 B에게 넘어가는 경우, 관련 기록은 NFT 1과 관련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해당 NFT 1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하여 NFT 1의 현재 소유자가 소유자 B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56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창작자의 IP가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스트리밍됨에 따라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창작자는 스트리밍 서버에 바로 IP의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도 있으나, 컴퓨터 장치(200)를 통해 IP의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창작자 단말로부터 창작자의 IP에 대한 스트리밍 요청을 수신하고, 스트리밍 서버로 스트리밍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리밍 서버에서 스트리밍 요청에 따라 창작자의 IP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개시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560)에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창작자의 수익에 대한 정보 및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 횟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스트리밍 횟수에 대한 정보만이 수신되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스트리밍 당 수익과 스트리밍 횟수에 기초하여 창작자의 수익을 직접 계산할 수도 있다.
단계(57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수신된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 및 발행된 NFT가 포함하는 정보상의 지분을 이용하여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창작자의 수익을 창작자 및 소유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는 창작자의 수익을 창작자 및 소유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수익의 분배는 별도의 토큰을 통해 또는 별도의 금융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IP에 대해 복수의 NFT를 복수의 소유자가 소유하고 있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창작자의 수익을 창작자 및 복수의 소유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토큰 관리 서버가 창작자의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 가능한 창작자의 IP에 대한 NFT를 발행하고, 스트리밍 서버와 연계하여 스트리밍 서버에서 얻어지는 정보(일례로, 창작자의 수익 및/또는 스트리밍 횟수)에 기반하여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저작권료를 창작자와 NFT의 소유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의 토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가능한 창작자의 IP(Intellectual Property)에 대한 토큰 발행 요청을 창작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토큰 발행 요청에 따라, 연동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수익에 대한 기설정된 지분의 권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발행된 NFT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창작자와 구매자간의 NFT 판매를 중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구매자를 상기 발행된 NFT의 소유자로서 관리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창작자의 IP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스트리밍됨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발행된 NFT가 포함하는 정보상의 지분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창작자의 수익을 상기 창작자 및 상기 소유자에게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토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자의 수익을 상기 창작자 및 상기 소유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T를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IP에 대한 복수의 NFT를 발행하고,
    상기 복수의 NFT가 포함하는 정보상의 지분의 합은 상기 IP에 대한 전체 지분 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NFT를 복수의 소유자가 소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창작자의 수익을 상기 창작자 및 상기 복수의 소유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상기 창작자의 수익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 횟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에 대한 스트리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상기 스트리밍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서 상기 스트리밍 요청에 따라 상기 창작자의 IP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 요청은 상기 기설정된 지분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 요청은 발행될 NFT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관리 방법.
  9.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가능한 창작자의 IP(Intellectual Property)에 대한 토큰 발행 요청을 창작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토큰 발행 요청에 따라, 연동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수익에 대한 기설정된 지분의 권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발행된 NFT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창작자와 구매자간의 NFT 판매를 중개하고,
    상기 구매자를 상기 발행된 NFT의 소유자로서 관리하고,
    상기 창작자의 IP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스트리밍됨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발행된 NFT가 포함하는 정보상의 지분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창작자의 수익을 상기 창작자 및 상기 소유자에게 분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창작자의 수익을 상기 창작자 및 상기 소유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IP에 대한 복수의 NFT를 발행하고,
    상기 복수의 NFT가 포함하는 정보상의 지분의 합은 상기 IP에 대한 전체 지분 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에 따른 상기 창작자의 수익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창작자의 IP의 스트리밍 횟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IP에 대한 스트리밍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상기 스트리밍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서 상기 스트리밍 요청에 따라 상기 창작자의 IP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20055619A 2022-05-04 2022-05-04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5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19A KR20230155858A (ko) 2022-05-04 2022-05-04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19A KR20230155858A (ko) 2022-05-04 2022-05-04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858A true KR20230155858A (ko) 2023-11-13

Family

ID=8874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619A KR20230155858A (ko) 2022-05-04 2022-05-04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8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678B1 (ko) 특정 공간에서만 접속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US202102721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online music marketplace
US20190318348A1 (en) Media licensing method and system using blockchain
JP2023018052A (ja) ブロックチェーン上で匿名で保持されるトークンに関連付けられた交換を指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572305B1 (ko) 디지털 아이템들의 추천, 대여, 및 재판매
JP4669230B2 (ja) デジタルメディアクリアリ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
JP6176788B2 (ja) 電子中古デジタル資産及び取得後収益
KR102572638B1 (ko)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JP7302799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システムを用いて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利用権利証書を流通させ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に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WO2018092443A1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商取引管理装置、デジタルコンテンツ商取引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398553A1 (en) Media distribution system using blockchai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4192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NFT Marketplace
KR20230155858A (ko)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5859A (ko) 음원에 대한 대체 불가능 토큰 및 음악저작권료의 권리에 대한 대체 불가능 토큰의 토큰 이원화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8876A (ko) 음원 저작권 거래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거래 단위 그룹핑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5860A (ko) 음원의 스트리밍에 따라 발생하는 음악저작권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Rennie et al. New economic infrastructures for creative work
KR102612912B1 (ko) 콘텐츠증권화 시스템
Galphat et al. Blockchain based Music Streaming Platform using NFTs
KR102193058B1 (ko) 도메인-디지털 자산 연동 기반 저작권 과금 및 수익 분배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72928A (ko) 실물자산 기반의 토큰 거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16649A (ko) Nft 거래를 기반으로 한 기부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47202A (ko) Nft 기반 기부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33409A (ko) 블록체인 기반 건축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30807A (ko) Nft기반 o2e 아트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