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912B1 - 콘텐츠증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증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912B1
KR102612912B1 KR1020230001839A KR20230001839A KR102612912B1 KR 102612912 B1 KR102612912 B1 KR 102612912B1 KR 1020230001839 A KR1020230001839 A KR 1020230001839A KR 20230001839 A KR20230001839 A KR 20230001839A KR 102612912 B1 KR102612912 B1 KR 10261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curities
revenue
creator
prof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진
백미란
Original Assignee
최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진 filed Critical 최원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Abstract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은, 콘텐트 제작자의 콘텐츠로부터 발생될 수익에 대한 분배 권리가 기재된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증권 발행부; 상기 콘텐츠 증권 발행부로부터 발행된 콘텐츠 증권을 판매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증권 판매부; 상기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콘텐츠 수익으로 정산하도록 구성된 수익 분배부; 및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 또는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분배하도록 구성된 수익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분배하고,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분배되는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의 금액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증권화 시스템{CONTENT SECURITIZ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는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매매 또는 교환되는 디지털화된 정보로서, 유무선 통신망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하거나 처리된 콘텐츠이다. 예를 들어, 전자책 등의 텍스트 정보, 멀티미디어 데이터(예컨대, 이미지, 음악, 비디오, 게임 등)와 같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는 모든 무형의 정보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저장 장치(예컨대, CD, 플로피 디스크 등) 또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 스트림을 이용한 복제 및 유포가 용이하다.
최근 컴퓨터와 인터넷 등 정보통신의 발달로 콘텐츠 개발 능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는 개발하는 데에는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으나 일단 개발이 완료되어 온라인으로 배포되면 추가로 복제 비용 등이 거의 들지 않기 때문에 인기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고수익을 얻을 수가 있다.
한편, 콘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동영상 콘텐츠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동영상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하여 콘텐츠 이용자들이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광고를 시청하거나 클릭하면 광고 시간과 조회 수에 따라 콘텐츠제작자에게 광고비의 일부를 지급하는 동영상 공유플랫폼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콘텐츠 제공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수익 외에는 별다른 추가 수익이나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기존의 수익(구조)에 의존해야만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가 더 참신한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제작 비용이 소요되는데, 지금까지는 자비로 충당해야만 했고, 외부로부터 투자를 받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콘텐츠는 제작비 등의 한계로 크게 발전하거나 창의적이지 못하고 일정 범주내에 머루르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881호(2010년 11월 17일, 공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크리에이터(또는 콘텐츠 제작자)에게, 콘텐츠 증권을 통한 콘텐츠 제작비를 확보 가능하게 하고,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공유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은, 콘텐트 제작자의 콘텐츠로부터 발생될 수익에 대한 분배 권리가 기재된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증권 발행부; 상기 콘텐츠 증권 발행부로부터 발행된 콘텐츠 증권을 판매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증권 판매부; 상기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콘텐츠 수익으로 정산하도록 구성된 수익 분배부; 및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 또는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분배하도록 구성된 수익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분배하고,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분배되는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의 금액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증권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상기 수익은, 콘텐츠 제작자가 지정한 특정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상기 수익은, 콘텐츠 제작자가 지정한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일수 있다.(예를 들어, A 콘텐츠 제작자(콘텐츠 크리에이터) 음악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 A 콘텐츠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A 콘텐츠 제작자의 모든 비디오 콘텐츠들만이 수익의 대상이 될 수도 있고, A 콘텐츠 제작자의 모든 음악 콘텐츠들만이 수익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서 A 콘텐츠 제작자의 모든 비디오 콘텐츠들 및 모든 음악 콘텐츠들이 수익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상기 수익은, 콘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 콘텐츠 증권 투자자 또는 콘텐츠 홍보자에게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분배하고,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의 금액으로 분배하고,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홍보자들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홍보자들 각각에 대해 기여도 점수에 따른 금액만큼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콘텐츠의 후속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에 기초하여 상기 수익 정산부에 의해 정산된 후속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의 금액만큼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증권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콘텐츠 증권 발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증권을 판매하는 단계;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정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된 콘텐츠 수익을 상기 콘텐츠 증권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작자와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증권화 시스템은, 콘텐츠 크리에이터(또는 콘텐츠 제작자)에게, 콘텐츠 증권을 통한 콘텐츠 제작비를 확보 가능하게 하고,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공유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별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 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 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 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 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인터넷망을 통해서, 콘텐츠 공유 플랫폼(10), 콘텐츠 이용 단말기(20), 증권 매매 단말기(30), 콘텐츠 제공 단말기(40), 또는 광고 관리 단말기(5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콘텐츠(또는 디지털 콘텐츠)를 등록하여 콘텐츠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또는 수입)을 콘텐츠 제공자(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증권 투자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콘텐츠 수익에 대한 증권은 개별 콘텐츠 단위로 발행되거나, 콘텐츠 제공자(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 단위로 발행될 수 있다. 개별 콘텐츠 단위로 발행되는 증권은, 발행 대상이 된 타깃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을 해당 증권에 투자한 투자자와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콘텐츠 크리에이터 단위로 발행되는 증권은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을 통해 기생성한 콘텐츠 및 향후 생성할 콘텐츠 모두로부터 발생되는 수익을, 해당 증권에 투자한 투자자와 해당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분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수익에 대한 증권은 콘텐츠 제공자의 특정 종류의 콘텐츠 단위로 발행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의 특정 종류의 콘텐츠 단위로 발행되는 증권은, 발행 대상이 된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정 종류의 콘텐츠(예를 들어, A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중 비디오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수익을 해당 증권에 투자한 투자자와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에서 공유되는 임의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며, 이는 디지털 콘텐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콘텐츠의 일 예로서, 콘텐츠는 온라인 상에서 게시되어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콘텐츠로서, 사진, 동영상, 게임 또는 전자 문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은,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예: 유투브 등)이거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SNS 공유 플랫폼(예: 인스타그램 등) 또는 전자 문서를 제공하는 전자책 공유 플랫폼(예: 크몽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 공유 플랫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은, 상기 동영상 공유 플랫폼, SNS 공유 플랫폼 및 전자책 공유 플랫폼을 통합한 공유 플랫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텐츠 공유 플랫폼(10) 및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 및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발생된 수익을 증권을 통해 분배하는 증권화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콘텐츠를 공유하는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증권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 가입된 개별 콘텐츠 크리에이터 별로 발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발행된 증권은, 해당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기생성한 동영상 콘텐츠와 향후 생성할 동영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을 증권의 투자자에게 배분하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콘텐츠(또는 디지털 콘텐츠)는, 생물, 무생물, 생물 및 무생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산되는 작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비디오, 사진, 글, 책, 그림 등 임의의 저작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콘텐츠는 생물에 의해 제작되거나, 무생물(예를 들어, 인공지능)에 의해 제작되거나, 생물과 무생물의 협력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인터넷망을 통하여 증권 매매 단말기(30)를 통해 온라인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이미지, 동영상, 또는 정보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서비스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인터넷망을 통해 콘텐츠 공유 플랫폼(10)과 연결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은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의 일부 구성으로 정의 및 해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서비스 서버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서버 운영자가 운영 및 관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은, 서버 운영자가 직접 운영하거나 또는 다른 운영자가 운영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 단말기(40)는, 콘텐츠 제작자(예: 콘텐츠 크리에이터(창작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또는 클라이언트)이고, 증권 매매 단말기(30)는,특정 콘텐츠,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한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한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에 대한 콘텐츠 증권에 투자하기 위한 투자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또는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이용 단말기(20)는,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에 게시된 콘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이용하는 콘텐츠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또는 클라이어트)이고, 광고 관리 단말기(50)는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하는 광고주가 사용하는 단말기(또는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 콘텐츠 공유 플랫폼(10), 콘텐츠 이용 단말기(20), 증권 매매 단말기(30), 콘텐츠 제공 단말기(40), 또는 광고 관리 단말기(50)는, CPU, RAM, ROM, 자기기억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및, 다양한 구동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단말기(40)의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개인 또는 기업으로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또는 콘텐츠 제작자)일 수 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개발한 콘텐츠에 대한 원천적 권리를 소유한 상태에서, 해당 동영상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이하, '콘텐츠 수익'이라고 함)에 대해, 상기 콘텐츠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는 증권 소유자(또는 투자자)와 함께 분배 받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증권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 수익은 특정한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수익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증권화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 수익은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기생성한 콘텐츠 및 향후 생성할 콘텐츠에 대한 모든 수익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기생성한 콘텐츠 및 향후 생성할 특정종류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모든 수익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콘텐츠 수익은, 콘텐츠 공유를 통한 광고 수익, 상기 콘텐츠 크리에이터에 대해 이용자가 지불한 구독 요금 수익, 또는 콘텐츠에 대해 이용자가 지불한 부가 요금 수익 등(예: 슈퍼챗 등)에 대한 수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가 전자책과 같은 전자 문서인 경우, 콘텐츠 수익은 전자책의 판매 수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콘텐츠가 음악인 경우, 콘텐츠 수익은 음악의 스트리밍 이용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을 통한 콘텐츠 수익 분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은 콘텐츠 제공 단말기(40)를 통해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업로드한 콘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온라인상에 게시하여 다수의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 이용 단말기(2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광고 관리 단말기(50)는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에 게시된 동영상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하는 광고주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콘텐츠 이용 단말기(20)를 통해 광고를 시청하는 광고 시간과 클릭하는 조회 수 등에 대응하여 계산된 광고비를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에서 유저들은, 타 유저들로부터 제공된 콘텐츠에 대한 점수를 매길 수 있고(예: 5점 만점),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에서 서로에 대해 각각 설정된 점수(예: 4점) 이상의 점수를 준 유저들끼리 서로 매칭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증권 매매 단말기(30)는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에 게시된 콘텐츠,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모든 콘텐츠로부터 기대되는 콘텐츠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증명하는 증권에 대해 투자금을 결제하여 콘텐츠 증권을 갖는 투자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증권 매매 단말기(30)의 이용자는 일정한 투자기간이 지날 때마다 그 기간의 콘텐츠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고 또 의사에 따라 소유하고 있는 콘텐츠 증권을 매매를 플랫폼을 통해서 처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로부터 기대되는 콘텐츠 수익,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되는 콘텐츠 수익,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한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되는 콘텐츠 수익)을 분배 받을 권리를 증명하는 '콘텐츠 증권'을 투자대상으로 한다. 즉,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이나 복제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을 투자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의 공유로부터 유래되는 콘텐츠 수익, 소유권 또는 저작권을 투자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또는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은, 다수의 콘텐츠 제공 단말기(40)와 다수의 증권 매매 단말기(30)를 온라인상에서 연결해 콘텐츠 제작에 대해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투자금 및 콘텐츠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 서버 운영자 및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지분에 따라 분배하는 주체로서, 서버 운영자에 해당할 수 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제작한 콘텐츠들(예를 들어, 동영상들)을, 콘텐츠 제공 단말기(40)를 통해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특정 콘텐츠,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특정종류의 모든 콘텐츠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모든 콘텐츠)로부터 기대되는 콘텐츠 수익에 대해 투자를 받고, 일정한 투자 기간이 경과하면 콘텐츠 수익을 콘텐츠 크리에이터, 콘텐츠 증권 투자자 또는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의 서버 운영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는 콘텐츠 제작비용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게 하고, 서버 운영자에게는 서버 운영비를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하며,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는 투자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콘텐츠 증권 투자자가 동영상 콘텐츠를 확산시키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콘텐츠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고, 콘텐츠 크리에이터나 시연자를 유명하게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증권 투자자는 단순히 금전적인 투자만 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에 게시된 동영상 콘텐츠를 자신의 블로그, 카페, 미니홈피, 게시판 등에 링크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함으로써 콘텐츠 수익을 증대 시키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홍보자 또는 마케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콘텐츠 수익 분배 시스템으로 정의 및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의 수입원은, 콘텐츠 공유 플랫폼(10)으로부터 획득 가능한 광고 수수료, 프리미엄 서비스 구독료(예: 유투브 프리미엄 등), 제품 판매료(예: 공유 플랫폼(10)에서 판매하는 제품 판매료 등), 유료 관람 서비스료(예: 유료로 이용 가능한 콘텐츠에 대한 수익), 특별 서비스 판매료(예: 콘텐츠 이용자에게 노출 빈도를 향상시키는 부가적인 서비스 이용료(예: 부스팅 아이템 판매료)), 또는 콘텐츠 증권 거래 수수료 등 여러 수입원들이 있을 수 있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특정 콘텐츠,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특정종류의 모든 콘텐츠, (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에 대한 증권(이하, '콘텐츠 증권'이라 함)을 발행하고, 콘텐츠 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 가 생성한 모든 콘텐츠,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특정종류의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콘텐츠 수익을 상기 콘텐츠 증권에 기초하여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콘텐츠 수익은, 콘텐츠 크리에이터, 및 상기 콘텐츠 증권을 보유한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분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콘텐츠 증권은 이하 설명되는 바에 따라,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선택에 따라 i)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선택한 특정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거나, ii)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모든 콘텐츠를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만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중 동영상 콘텐츠만 증권화 시킬 수 있다.) ii)의 경우,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시리즈 콘텐츠도 증권의 대상이 될 수 있으나,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선택에 따라 시리즈는 증권의 대상에서 배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콘텐츠 증권 발행부(120), 콘텐츠 증권 판매부(130), 수익 정산부(140), 수익 분배부(150), 또는 데이터 베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증권 매매 단말기(30)와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콘텐츠 증권 발행부(120), 콘텐츠 증권 판매부(130), 수익 정산부(140), 수익 분배부(150), 또는 데이터 베이스(16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로세서는, 콘텐츠 증권 발행부(120), 콘텐츠 증권 판매부(130), 수익 정산부(140), 또는 수익 분배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는, 데이터 베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증권 발행부(120), 콘텐츠 증권 판매부(130), 수익 정산부(140), 또는 수익 분배부(150)는, 별개의 독립적인 프로세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콘텐츠 증권 발행부(120)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로부터 요청된 특정 콘텐츠(또는 해당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모든 콘텐츠 또는 해당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증권(예: 전자 유가 증권 등)을 발행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증권은, 콘텐츠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는 권리에 대해 기재된 증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증권은,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정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콘텐츠 수익에 대한 수익을 분배 받기 위한 권리가 기재되거나,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모든 콘텐츠 또는 특정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콘텐츠 수익을 분배 받기 위한 권리가 기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콘텐츠 증권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콘텐츠 증권 발행부(120)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로부터 요청된 수량만큼의 콘텐츠 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개당 1000원의 가격으로 1000개의 콘텐츠 증권을 발행 요청하면, 콘텐츠 증권 발행부(120)는 1000개의 콘텐츠 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
콘텐츠 증권 발행부(120)는 개별 콘텐츠 별로 증권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시간 단위로 증권을 분할하여 발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10분 길이의 콘텐츠의 경우, 1분 단위로 서로 다른 10개의 종류의 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증권은 해당 시간대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시청수(뷰수) 및 시청 시간을 고려하여, 해당 요소에 대한 수치가 클수록 높은 가격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수가 많은 시간대의 증권은 시청 수가 적은 시간대의 증권에 비해 비싼 가격으로 증권이 발행될 수도 있다.
콘텐츠 증권 판매부(130)는, 발행된 콘텐츠 증권을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개당 1000원의 1000개의 콘텐츠 증권이 발행되었다면, 콘텐츠 증권 판매부(130)는, 콘텐츠 증권의 구입을 희망하는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상기 콘텐츠 증권을 개당 1000원의 가격으로 투자자가 원하는 수량만큼 판매할 수 있다. 판매 개수의 한도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개수일 수 있다.
콘텐츠 증권 투자자는, 증권 매매 단말기(30)를 통해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의 콘텐츠 증권 판매부(130)에 접속하여 상기 콘텐츠 증권을 매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증권 투자자는, 개당 1000원의 가격으로 원하는 수량만큼의 콘텐츠 증권을 구입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증권을 매수한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 대한 정보(예: 세금 처리를 위한 개인 정보, 또는 수익금을 분배 받기 위한 계좌 정보 등)는, 데이터 베이스(160)에 저장될 수 있다.
수익 정산부(140)는,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정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기간동안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정 콘텐츠 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정산할 수 있다. 이때, 수익 정산부(140)는,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의 서버 운영자를 위한 소정의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를 콘텐츠 크리에이터 및 콘텐츠 증권 보유자를 위한 콘텐츠 수익으로 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익 분배부(150)는, 정산된 콘텐츠 수익을 수익 분배 기준에 따라 콘텐츠 크리에이터, 또는 콘텐츠 증권 보유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의 운영 방법은, 콘텐츠 증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201),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202), 콘텐츠 증권을 판매하는 단계(203),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정산하는 단계(204), 콘텐츠 수익을 콘텐츠 증권에 기초하여 분배하는 단계(205)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증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201)는, 제어부(110)가 콘텐츠 크리에이터로부터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정 콘텐츠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모든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증권을 발행을 요청 받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콘텐츠 제공 단말기(40)를 통해, 자신의 특정 콘텐츠 또는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 또는 모든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기 위한 요청을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기 위한 요청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정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증권 발행인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 증권 발행인지, 또는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증권 발행인지에 대한 정보(이 경우,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모든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증권일 수 있음)에 대한 정보, 콘텐츠 증권의 발행 개수에 대한 정보, 총 주식의 몇 %를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갖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총 주식의 몇% 를 매입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 주당 배당으로 수익의 몇%를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했는지에 대한 정보, 및 콘텐츠 증권의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기 위한 요청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콘텐츠 수익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비율로 콘텐츠 수익을 확정적으로 가질 것인지에 대한 할당 비율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202)는, 콘텐츠 증권 발행부(120)가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증권 발행부(120)가 발행한 콘텐츠 증권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정보, 해당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수익 할당 비율에 대한 정보, 콘텐츠 증권의 가격 정보, 총 발행되는 콘텐츠 증권의 개수 정보가 기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정산하는 단계(204)는, 수익 정산부(140)가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 중에서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의 서버 운영자의 서버 운영비를 제외한 나머지 비용을 콘텐츠 수익으로 정산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산된 콘텐츠 수익은, 콘텐츠 크리에이터 또는 콘텐츠 증권 투자자가 분배 받을 수 있다.
콘텐츠 수익을 콘텐츠 증권에 기초하여 분배하는 단계(205)는, 수익 정산부(140)에 의해 정산된 콘텐츠 수익을, 수익 분배 기준에 따라 수익 분배부(150)가 콘텐츠 크리에이터 또는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익 분배부(150)는, 수익 분배 기준에 따라 콘텐츠 수익을 분배하여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계좌 또는 콘텐츠 증권 투자자의 계좌로 입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익 분배 기준(또는 수익 분배 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은, 데이터 베이스(160)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별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따라 설명되는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300)은,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특정 콘텐츠로부터 발생될 수익에 대해 콘텐츠 증권을 발행한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로부터 발생된 콘텐츠 수익을 분배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별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300)은, 특정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콘텐츠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모든 수익 중에서, 상기 수익 정산부(140)를 통해 정산된 콘텐츠 수익은, 수익 분배부(150)를 통해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L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L %)은,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L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301).
또한,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M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M %)은,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M은 100-L의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M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302).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M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증권 할당 수익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증권 할당 수익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 분배될 수 있다(303).
예를 들어, 콘텐츠 증권을 보유하고 있는 각각의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은, 증권 할당 수익 *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증권 보유 개수(Y개) / 전체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개))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을 분배 받을 수 있다.
한편, 전체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개)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발행을 요청한 콘텐츠 증권의 개수이거나, 또는 상기 발행 요청 콘텐츠 증권 중에서 실제 판매된 콘텐츠 증권의 개수일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은 수익 분배 기준을 갖도록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게 된다면,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각각의 콘텐츠로부터 발생될 기대 수익을 증권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용이하게 콘텐츠 제작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따라 설명되는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400)은,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 콘텐츠 증권(콘텐츠 크리에이터 단위로 발행되는 증권)을 발행한 경우, 상기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된 콘텐츠 수익을 분배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별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400)은,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콘텐츠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모든 수익 중에서, 상기 수익 정산부(140)를 통해 정산된 콘텐츠 수익은, 수익 분배부(150)를 통해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L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L %)은,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L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401).
또한,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M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M %)은,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M은 100-L의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M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402).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M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증권 할당 수익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증권 할당 수익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 분배될 수 있다(403).
예를 들어, 콘텐츠 증권을 보유하고 있는 각각의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은, 증권 할당 수익 *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증권 개수(Y개) / 전체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개))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을 분배 받을 수 있다.
한편, 전체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개)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발행을 요청한 콘텐츠 증권의 개수이거나, 또는 상기 발행 요청 콘텐츠 증권 중에서 실제 판매된 콘텐츠 증권의 개수일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은 수익 분배 기준을 갖도록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게 된다면, 콘텐츠 증권 투자자가 자신이 투자한 콘텐츠 증권의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되는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증권을 발행한 시점에 제공되는 콘텐츠 및 콘텐츠 증권의 발행 시점 이후 제작되어 제공되는 콘텐츠로부터 콘텐츠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으므로, 하나의 콘텐츠 증권을 통해서 지속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따라 설명되는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500)은,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특정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 콘텐츠 증권을 발행한 경우(예: 도 4) 또는 특정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 콘텐츠 증권을 발행한 경우(예: 도 5) 또는 특정 크리에이터가 생성하는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에 모두 적용 가능한 콘텐츠 수익을 분배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500)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정 콘텐츠 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정 종류의 모든 콘텐츠 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하는 콘텐츠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 중에서, 상기 수익 정산부(140)를 통해 정산된 콘텐츠 수익은, 수익 분배부(150)를 통해 콘텐츠 크리에이터,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 및 콘텐츠 홍보자들에게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L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L %)은,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L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501).
또한,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M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M %)은,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M은 100-L-N의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M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502).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M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증권 할당 수익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증권 할당 수익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 분배될 수 있다(503).
예를 들어, 콘텐츠 증권을 보유하고 있는 각각의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은, 증권 할당 수익 *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증권 개수(Y개) / 전체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개))으로부터 산정된 금액을 분배 받을 수 있다.
한편, 전체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개)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발행을 요청한 콘텐츠 증권의 개수이거나, 또는 상기 발행 요청 콘텐츠 증권 중에서 실제 판매된 콘텐츠 증권의 개수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홍보자들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N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N %)은,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N은 100-L-M의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N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콘텐츠 홍보자들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504).
콘텐츠 홍보자들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로서, 콘텐츠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홍보하는 자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홍보자들은, 해당 콘텐츠에 접속 가능한 URL 링크 또는 QR 코드 링크와 같은 접속 경로를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100)으로부터 발급받고, 상기 접속 경로를 자신의 블로그, 미니홈피 또는 SNS나, 다양한 홈페이지에 업로드함으로써 해당 콘텐츠를 홍보할 수 있다. 상기 접속 경로는, 발급받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마다 다른 URL 링크 또는 QR 코드 링크로 구성됨으로써, 해당 접속 경로를 통해 콘텐츠에 접속된 횟수는 해당 접속 경로를 발급받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로부터 유입된 이용자라고 카운팅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N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홍보 할당 수익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홍보할당 수익은, 콘텐츠 홍보자들 각각에 대해 기여도 점수(S)에 따른 비율만큼 분배될 수 있다(505).
콘텐츠 홍보자들 각각은, 홍보 할당 수익 x * ((홍보자의 접속 경로 통한 접속 횟수(S2)) / (전체 접속 경로 통한 접속 횟수(S1))으로 산정되는 금액을 분배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홍보자들 각각은, 홍보 할당 수익 x * (홍보자의 접속 경로 통한 접속 횟수 (S2))로 선정되는 금액 혹은 홍보 할당 수익 x * (홍보자의 접속 경로 통한 특정 콘텐츠 증권 매입수)로부터 산출되는 금액, 혹은 홍보 할당수익 x * (홍보자의 접속 경로 통한 플랫폼 회원가입수)로부터 산출되는 금액, 혹은 홍보 할당 수익 x * ((홍보자의 접속 경로 통한 플랫폼 회원가입수) / (전체 접속 경로 통한 회원가입수))로로부터 산정되는 금액 등으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을 분배 받을 수 있다(506). 예를 들어, 발급된 모든 접속 경로를 통한 전체 접속 횟수(S1)에 대한 홍보자들 각각의 해당 접속 경로를 통한 접속 횟수(S2)의 비율만큼 콘텐츠 홍보자들이 홍보 할당 수익을 나눠서 분배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은 수익 분배 기준을 갖도록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게 된다면, 콘텐츠 증권 투자자가 콘텐츠로부터 발생된 콘텐츠 수익 중에서 증권 보유에 따른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 중에서 콘텐츠의 홍보를 하는 자들은, 홍보 기여도에 따라 홍보 할당 수익을 추가적으로 분배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에게 콘텐츠 홍보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홍보 할당 수익은, 최초 콘텐츠 발행 시점으로부터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기간(예: 1달 등)까지 발생한 콘텐츠 수익에 기초하여 산정되고, 이후의 기간에서 발생되는 콘텐츠 수익에 대해서는 별도의 홍보 할당 수익이 분배되지 않고 콘텐츠 크리에이터 및 콘텐츠 증권 보유자에게 콘텐츠 수익이 분배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따라 설명되는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600)은, 특정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시리즈 콘텐츠를 기획하여 콘텐츠 증권을 발행한 경우, 시리즈 콘텐츠로부터 발생된 콘텐츠 수익을 분배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최초 콘텐츠 수익 분배 기준(600)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시리즈 콘텐츠 중 최초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콘텐츠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리즈 콘텐츠는, 동일 또는 유사한 카테고리 하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반복적으로 생산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즌제로 운영되는 콘텐츠일 수 있다.
최초 콘텐츠는, 시리즈 콘텐츠 중에서 최초로 제작된 콘텐츠일 수 있다. 후속 콘텐츠는, 시리즈 콘텐츠 중에서 최초 콘텐츠 이후에 제작된 콘텐츠일 수 있다.
최초 콘텐츠 증권은, 시리즈 콘텐츠 중에서 최초 콘텐츠로부터 발생될 수익 및 후속 콘텐츠로부터 발생될 수익에 대한 분배 권리가 기재된 콘텐츠 증권으로서, 최초 콘텐츠 제작시 발행된 콘텐츠 증권일 수 있다. 후속 콘텐츠 증권은, 시리즈 콘텐츠 중에서 후속 콘텐츠로부터 발생될 수익에 대한 분배 권리가 기재된 콘텐츠 증권으로서, 후속 콘텐츠 제작시 발행된 콘텐츠 증권일 수 있다.
최초 콘텐츠 수익은, 최초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 중에서, 상기 수익 정산부(140)를 통해 정산된 콘텐츠 수익일 수 있다. 후속 콘텐츠 수익은, 후속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 중에서, 상기 수익 정산 정산부(140)를 통해 정산된 콘텐츠 수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 중에서, 상기 수익 정산부(140)를 통해 정산된 최초 콘텐츠 수익은, 수익 분배부(150)를 통해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최초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최초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L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L %)은, 최초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최초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L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601).
또한, 최초 콘텐츠 수익 중에서 최초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최초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M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M %)은, 최초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M은 100-L의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최초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M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최초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602).
상기 최초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M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증권 할당 수익(B1)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증권 할당 수익(B1)은, 최초 콘텐츠 증권 보유자 각각에 대해 최초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 분배될 수 있다(603).
예를 들어, 최초 콘텐츠 증권을 보유하고 있는 각각의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은, 증권 할당 수익(B1) * ((보유하고 있는 최초 콘텐츠 증권 개수(Y1개) / 전체 최초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1개))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을 분배 받을 수 있다.
한편, 전체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1개)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발행을 요청한 최초 콘텐츠 증권의 개수이거나, 또는 상기 발행 요청 최초 콘텐츠 증권 중에서 실제 판매된 최초 콘텐츠 증권의 개수일 수 있다.
이후, 후속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 중에서, 상기 수익 정산부(140)를 통해 정산된 후속 콘텐츠 수익은, 수익 분배부(150)를 통해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후속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분배될 수 있다(604). 예를 들어,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후속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P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P %)은, 후속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상기 후속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P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605).
또한, 후속 콘텐츠 수익 중에서 후속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후속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Q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Q %)은, 후속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Q은 100-P-R의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최초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Q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후속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606).
상기 후속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Q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증권 할당 수익(B2)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증권 할당 수익(B2)은, 후속 콘텐츠 증권 보유자 각각에 대해 후속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 분배될 수 있다(607).
예를 들어, 후속 콘텐츠 증권을 보유하고 있는 각각의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은, 증권 할당 수익(B2) * ((보유하고 있는 후속 콘텐츠 증권 개수(Y2개) / 전체 후속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2개))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을 분배 받을 수 있다.
한편, 전체 후속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2개)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발행을 요청한 후속 콘텐츠 증권의 개수이거나, 또는 상기 발행 요청 후속 콘텐츠 증권 중에서 실제 판매된 후속 콘텐츠 증권의 개수일 수 있다.
또한, 후속 콘텐츠 수익 중에서 최초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할당되는 금액은, 후속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할당 비율(R %)만큼의 금액일 수 있다. 상기 할당 비율(R %)은, 후속 콘텐츠 증권의 발행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비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R은 100-P-Q의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후속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R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최초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에게 귀속되는 금액일 수 있다(608).
상기 후속 콘텐츠 수익 * 할당 비율(R %)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은, 증권 할당 수익(B3)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증권 할당 수익(B3)은, 최초 콘텐츠 증권 보유자 각각에 대해 최초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 분배될 수 있다(609).
예를 들어, 최초 콘텐츠 증권을 보유하고 있는 각각의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은, 증권 할당 수익(B3) * ((보유하고 있는 최초 콘텐츠 증권 개수(Y1개) / 전체 최초 콘텐츠 증권 발행 개수(X1개))로부터 산정되는 금액을 분배 받을 수 있다.
도 7과 같은 수익 분배 기준을 가진다면, 시리즈 콘텐츠의 제작이 활성화될 수 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는, 최초 콘텐츠 제작시와 후속 콘텐츠 제작시 각각 최초 콘텐츠 증권과 후속 콘텐츠 증권을 통해 제작비 확보를 돕고, 최초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는 후속 콘텐츠로부터 발생된 수익을 분배함으로써 최초 콘텐츠 증권 발행시 최초 콘텐츠 증권 판매를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 시스템 또는 이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시스템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 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 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 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 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
110: 제어부
120: 콘텐츠 증권 발행부
130: 콘텐츠 증권 판매부
140: 수익 정산부
150: 수익 분배부
160: 데이터 베이스

Claims (8)

  1.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제작자의 콘텐츠로부터 발생될 수익에 대한 분배 권리가 기재된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증권 발행부;
    상기 콘텐츠 증권 발행부로부터 발행된 콘텐츠 증권을 판매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증권 판매부;
    상기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콘텐츠 수익으로 정산하도록 구성된 수익 정산부; 및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 또는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분배하도록 구성된 수익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분배하고,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분배되는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의 금액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콘텐츠의 후속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에 기초하여 상기 수익 정산부에 의해 정산된 후속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의 금액만큼 분배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상기 수익은,
    콘텐츠 제작자가 지정한 특정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상기 수익은,
    콘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모든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이거나, 상기 콘텐츠 제작자가 선택한 특정 종류의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 콘텐츠 증권 투자자 또는 콘텐츠 홍보자에게 분배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분배하고,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의 금액으로 분배하고,
    상기 정산된 상기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홍보자들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홍보자들 각각에 대해 기여도 점수에 따른 금액만큼 분배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증권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
  8.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증권 발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 증권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증권을 판매하는 단계;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정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된 콘텐츠 수익을 상기 콘텐츠 증권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작자와 콘텐츠 증권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후속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에 기초하여 정산된 후속 콘텐츠 수익 중에서, 콘텐츠 증권 투자자들에게 할당되는 비율만큼의 금액은, 콘텐츠 증권 보유자들 각각에 대해 콘텐츠 증권의 보유 비율만큼의 금액만큼 분배하는 콘텐츠 증권화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0230001839A 2022-12-05 2023-01-05 콘텐츠증권화 시스템 KR102612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866 2022-12-05
KR20220167866 2022-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912B1 true KR102612912B1 (ko) 2023-12-12

Family

ID=8915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839A KR102612912B1 (ko) 2022-12-05 2023-01-05 콘텐츠증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9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881A (ko)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메디슨 탄성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9050A (ko) * 2018-12-04 2021-02-19 박종필 저작물 수익권에 대한 중개 서비스 방법
KR20210102688A (ko) * 2020-02-12 2021-08-20 비움소프트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증권형 토큰 기반 자산 공유 플랫폼
KR20210157166A (ko) * 2020-06-19 2021-12-28 전환표 온라인상의 디지털 수익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증권의 운영 시스템
KR20220145720A (ko) * 2021-04-22 2022-10-31 박석동 크라우드 펀딩에 기반한 디지털 콘텐츠 프로모션 장치 및 방법
KR102473371B1 (ko) * 2022-02-23 2022-12-01 안검성 영상 콘텐츠에 대한 투자 및 소유권을 거래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881A (ko)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메디슨 탄성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9050A (ko) * 2018-12-04 2021-02-19 박종필 저작물 수익권에 대한 중개 서비스 방법
KR20210102688A (ko) * 2020-02-12 2021-08-20 비움소프트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증권형 토큰 기반 자산 공유 플랫폼
KR20210157166A (ko) * 2020-06-19 2021-12-28 전환표 온라인상의 디지털 수익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증권의 운영 시스템
KR20220145720A (ko) * 2021-04-22 2022-10-31 박석동 크라우드 펀딩에 기반한 디지털 콘텐츠 프로모션 장치 및 방법
KR102473371B1 (ko) * 2022-02-23 2022-12-01 안검성 영상 콘텐츠에 대한 투자 및 소유권을 거래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Dair et al. Financing new creative enterprise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Opportunities and policy implications
US20200143469A1 (en) Technological improvements to networked computer systems having particularized components that are specially programmed to unconventionally effectuate efficient blockchain storage
US77345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recurring payments
US200802285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ensating online content contributors and editors
US20080109296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associated with a social network
US20090070249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team location
US20080243532A1 (en) Contingent purchase rights associated with consumer products
Cunningham et al. Financing creative industries in developing countries
US20080109322A1 (en) Rights exchange user interface
US20080109321A1 (en) Contingent forward rights exchange
US20080103801A1 (en) Contingent travel rights exchange
US20080109323A1 (en) Associating media channels with a contingent rights exchange
US200801092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cing contingent rights
US20080103919A1 (en) Contingent consumer product rights exchange
CN108619726A (zh) 用于分布式计算交易的委托代理
O’Dair et al. Monetizing new music ventures through blockchain: Four possible futures?
KR20190120940A (ko)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
WO2019213700A1 (en) Films on a blockchain
Proskurovska et al. The blockchain challenge for Sweden's housing and mortgage markets
Rauman The Budding Disrup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Upon the Current Structure of the Music Industry
JP7407094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利用し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所有権証明及びデジタルチケット付与システム
KR20210113405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유통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US202300247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s relating to intellectual property securities
KR102612912B1 (ko) 콘텐츠증권화 시스템
KR102477870B1 (ko) 온라인상의 디지털 수익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증권의 운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