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937A - 흡인기용의 전원 유닛 - Google Patents

흡인기용의 전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937A
KR20230154937A KR1020237033885A KR20237033885A KR20230154937A KR 20230154937 A KR20230154937 A KR 20230154937A KR 1020237033885 A KR1020237033885 A KR 1020237033885A KR 20237033885 A KR20237033885 A KR 20237033885A KR 20230154937 A KR20230154937 A KR 20230154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unit
power
control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타츠나리 아오야마
히로시 카와나고
토루 나가하마
타카시 후지키
료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Fi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기용의, 에어로졸원(源)을 가열하는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전원 유닛은,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히터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알림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어 시퀀스에 의해 정해지는 흡인 가능 기간 중,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양이 소정의 양이 되는 타이밍을 통지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흡인기용의 전원 유닛
본 발명은, 흡인기용의 전원 유닛에 관한 것이다.
가열식 담배 등의 흡인기는, 에어로졸원(源) 및 향미원을 포함하는 기재(基材)와, 기재를 수용하고,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히터에 공급하여 기재를 가열하는 전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유닛은, 조작 버튼의 조작 또는 흡인 동작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요구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여 흡인 가능 상태로 한다. 일반적으로, 안전성이나 절전의 관점에서, 흡인 가능 기간은 소정의 길이로 제한될 수 있다.
전원 유닛이 흡인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알리는 것은 유저에게 있어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예비 가열 시간이 경과하여 흡인 가능 상태가 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20/084756호
종래, 흡인 가능 기간의 개시가 통지되고 나서 흡인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 유저에게 흡인 가능 기간인 것을 알리는 기술은 알려져 있었지만, 해당 통지는 유저에게 제공하고 싶은 향미를 제공할 수 있는 타이밍에서의 알림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유저에게 제공하고 싶은 향미를 제공할 수 있는 타이밍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흡인기용의 전원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기용의,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으로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히터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알림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어 시퀀스에 의해 정해지는 흡인 가능 기간 중,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양이 소정의 양이 되는 타이밍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타이밍을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닛이 제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의 타이밍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한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외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원 유닛과 상기 외부 통신 장치를 관련짓는 페어링을 실행하고, 페어링된 상기 외부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알림의 타이밍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한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인 가능 기간의 개시를 더 알리는 개시 알림과, 상기 흡인 가능 기간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 예고 알림을 실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고, 상기 알림은, 상기 개시 알림 및 상기 종료 예고 알림과는 상이한 태양(態樣)의 알림이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시 알림 또는 상기 종료 예고 알림과의 타이밍 차가 소정값보다 짧은 알림을 무효로 한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퀀스는, 상기 히터의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를 규정한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제어 시퀀스이며, 상기 제어 프로파일은, 예열에 의해 상승한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를 유지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뒤, 상기 히터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제3 온도로 상승시키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에 있어서의 알림과 제2 구간에 있어서의 알림의 태양이 상이하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 프로파일이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제어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알림의 타이밍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에게 제공하고 싶은 향미를 제공할 수 있는 타이밍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흡인기용의 전원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혹은 비슷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인다.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며, 그 기술(記述)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a] 흡인기의 외관 사시도.
[도 1b] 흡인기의 외관 사시도.
[도 2] 흡인기의 내부 구성도.
[도 3] 전원 유닛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 전원 유닛 상태 천이(遷移)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온도 프로파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알림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 알림 설정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알림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 알림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전부가 발명에 필수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복수의 특징 중 2개 이상의 특징은 임의로 조합되어도 된다. 또한, 동일 혹은 비슷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흡인기의 구성>
도 1a-b에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기(100)의 외관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흡인기(100)는,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 등의 에어로졸을 요구하는 동작(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요구」라고도 한다.)에 따라,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 또는, 에어로졸 및 향미 물질을 포함하는 기체, 또는, 에어로졸, 또는, 향미 물질(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스틱(110)을 통하여 유저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흡인기(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라고 이해되어도 된다.
흡인기(100)는, 전원 유닛(101)과, 스틱(11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스틱(110)은,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 및 향미원을 포함하는 기재이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글라이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의 액체일 수 있다. 혹은, 에어로졸원은, 약제를 포함해도 된다. 에어로졸원은, 액체여도 되고, 고체여도 되고, 액체 및 고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에어로졸원을 대신하여, 물 등의 증기원이 사용되어도 된다. 향미원은, 예를 들면, 담배 재료를 성형한 성형체일 수 있다. 혹은, 향미원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한방(漢方), 커피콩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향미원은, 에어로졸원에 첨가되어도 된다.
전원 유닛(101)은, 예를 들면, 도 1a-b의 지면(紙面)의 상하 방향으로 긴, 둥그스름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유저가 한 손으로 파지(把持)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유닛(101)은, 아우터 패널(102), 액션 버튼(B), 및 슬라이더(10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패널(102)은, 전원 유닛(101)의 전면(前面)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가요성(可撓性)의 패널 부재이다. 아우터 패널(102)은, 교환을 위해서 분리 가능한, 전원 유닛(101)의 외장 부재이며, 화장(化粧) 패널이라고 이해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색이나 도안이 상이한 복수의 아우터 패널이 준비되고, 유저는 좋아하는 아우터 패널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패널(102)은, 전원 유닛(101)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 패널이라고 이해되어도 되고, 또한, 낙하시의 충격이나 압박 등으로부터 전원 유닛(101)의 내부를 보호하는 보호 패널이라고 이해되어도 된다.
아우터 패널(102)에는 표시 창(103)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 창(103)은, 아우터 패널(102)의 대략 중앙에서 길이 방향(지면 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띠모양의 창(窓)일 수 있다. 전원 유닛(101)은, 알림부로서의 디스플레이(D)(표시부)를 가진다(도 2 참조). 디스플레이(D)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LED(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그 LED가 발한 빛은 표시 창(103)을 투과한다. 디스플레이(D)는, 예를 들면, 전지 잔량을 바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액션 버튼(B)은, 물리적인 누름 버튼에 의해 구성되는 조작 버튼이다. 액션 버튼(B)은 아우터 패널(102)에 의해 덮여 있지만, 아우터 패널(102)은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유저는 아우터 패널(102)을 통하여 액션 버튼(B)을 조작할 수 있다. 유저가 아우터 패널(102)을 통하여 액션 버튼(B)을 누르면, 그에 대응한 신호가 후술하는 제어부로 전송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리식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액션 버튼(B)이 아우터 패널(102)에 덮이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유저 조작을 접수 가능하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액션 버튼(B) 대신에, 아우터 패널(102)로부터 노출된 터치 감지면(感知面)이나 스위치 등, 다른 임의의 종류의 입력 디바이스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아우터 패널(102)에는, 유저가 아우터 패널(102) 너머로 액션 버튼(B)을 조작하기 위해 복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아우터 패널(102)을 누를 필요가 있을 것 같은 강성(剛性)을 가지도록 해도 된다. 그에 의해 예를 들면, 가방 안에서 잘못하여 액션 버튼(B)이 눌려지는 것이나, 유저에 의한 의도하지 않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이의 장난 방지(차일드 레지스탕스)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슬라이더(105)는, 전원 유닛(101)의 상면(上面)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105a)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설되는 커버 부재(셔터)이다. 슬라이더(105)는, 스틱(110)을 삽입하는 개구(開口)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도 1a에는, 슬라이더(105)에 의해 개구(106)가 덮인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하에서는 이 상태를 「셔터 닫힘」이라고도 한다. 도 1b에는, 슬라이더(105)가 앞쪽으로 슬라이드된 것에 의해 개구(106)가 노출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하에서는 이 상태를 「셔터 열림」이라고도 한다.
유저는, 흡인기(100)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흡인할 때, 슬라이더(105)를 조작하여 셔터 열림으로 한다. 그 후, 유저는, 개구(106)에 스틱(110)을 삽입한다. 삽입된 스틱(110)은, 개구(106)에 연통(連通)하는 관상(管狀)의 보지부(保持部, 보유 지지부)(107)에 의해 보지(保持, 보유 지지)된다. 보지부(107)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은,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어도 되고, 그 단면적은 저면(底面)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지부(107)에 삽입된 스틱(110)의 외측면이 보지부(107)의 내측면으로부터 압압(押壓)되고, 스틱(110)의 탈락이 마찰력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유저는, 그 후, 액션 버튼(B)을 사용한 잠금 해제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조작이 실시되면, 전원 유닛(101)의 잠금이 해제되어 스틱(110)의 가열이 개시되어 흡인 가능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흡인 가능 상태가 되었을 때, 유저는, 스틱(110)의 선단(先端)에 형성된 흡구부(吸口部)를 입으로 물고,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유저는, 에어로졸의 흡인을 종료하면, 스틱(110)을 보지부(107)로부터 빼내고, 슬라이더(105)를 닫는 조작을 실시한다(셔터 닫힘).
도 2에는, 흡인기(100)의 내부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아우터 패널(102)은 생략되어 있다. 전원 유닛(101)은, 상기한 것처럼, 개구(106)에 연통하고, 스틱(110)을 보지하는 보지부(107)를 가진다. 또한, 전원 유닛(101)은, 히터(H)와, 전기 부품(E)과, 유저 인터페이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부품(E)은, 전원을 포함하고, 그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히터(H)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16)는 전기 부품(E)에 포함되는 것이라고 이해되어도 된다. 히터(H)는, 스틱(110)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성한다. 히터(H)는, 예를 들면, 스틱(110) 내의 에어로졸원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저항 발열성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저항 발열성의 부품의 저항 발열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니켈 합금, 크롬 합금, 스테인리스, 및 백금 로듐 중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히터(H)는, 보지부(107)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고, 전기 부품(E)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한다. 히터(H)의 열은 보지부(107)를 통하여 스틱(110)으로 전해지고, 스틱(110)이 가열된다. 스틱(110)이 가열됨으로써 스틱(110)으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16)는, 액션 버튼(B)과, 알림부로서의 디스플레이(D) 및 진동 발생부(V)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V)는, 전원 유닛(101)의 케이스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모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에 의해 케이스를 진동시킴으로써 전원 유닛(101)을 가지고 있는 유저에게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유저가 스틱(110)의 선단의 흡구부를 입으로 물고 흡인 동작을 실시하면, 파선 화살표 A로 예시되듯이, 미도시의 개구를 통하여 스틱 내에 공기가 유입되고, 히터(H)가 스틱(110)을 가열함으로써 증기화 및/또는 에어로졸화된 에어로졸원이 그 공기에 의해 흡구부를 향하여 수송된다. 에어로졸원이 흡구부를 향하여 수송되는 과정에 있어서, 증기화 및/또는 에어로졸화된 에어로졸원이 냉각되어 미소(微小)한 액적(液滴)이 형성됨으로써, 에어로졸화가 촉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틱(110)에 향미원도 포함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향미원으로부터 발생한 향미 물질이 그 에어로졸에 첨가되어, 이에 의해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이 흡구부에 수송되고, 유저의 입으로 빨려 들여간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히터(H)가 전원 유닛(101)에 내장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스틱(110)을 대신하여, 히터(무화기(霧化器)), 에어로졸원, 및 향미원이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전원 유닛(101)의 기능 구성예를 설명한다. 또한, 설명하는 기능 블록의 각각은, 통합 또는 분리되어도 되고, 또한 설명하는 기능이 다른 블록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하드웨어로서 설명하는 것이 소프트웨어로 실현되어도 되고, 혹은 그 반대여도 된다.
제어부(120)는, 전원 유닛(1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휘발성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여도 된다. 제어부(120)는, 기억부(121)에 기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라고도 한다)을 메모리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흡인기(100)의 기능 전반을 제어한다. 기억부(121)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의 메모리여도 된다. 기억부(121)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가열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퀀스(가열 프로파일)가 기술된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또한, 가열부(130)는, 스틱(110)을 가열하는 기능부이며, 전술의 히터(H)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120)는, 외부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페어링이나 통상시의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액션 버튼(B)이나 슬라이더(105)에 대한 유저 조작 등에 따라, 흡인기(100)의 상태 천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132)로부터의 전력의 가열부(130)로의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요구에 따라, 전원인 배터리(132)로부터 가열부(130)로의 전력의 공급을 개시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예를 들면, 가열부(130)에 대한 온도 제어를, 제어 펄스의 듀티비를 펄스 폭 변조(PWM)에 의해 조정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PWM 대신에 펄스 주파수 변조(PFM)를 이용해도 된다.
입력 검지부(122)는, 예를 들면 액션 버튼(B)에 대한 조작 입력을 검지한다. 입력 검지부(122)는, 예를 들면, 아우터 패널(102)의 눌림을 통한 유저 조작을 검지하고, 유저 조작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또한, 흡인기(100)는, 액션 버튼(B)에 대한 누름을 검지하는 대신에, 아우터 패널(102)의 눌림 자체를 검지하도록 해도 된다.
상태 검지부(123)는, 슬라이더(105)의 개폐 상태를 검지한다. 상태 검지부(123)는, 예를 들면 홀 소자를 포함하는 홀 센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태 검지부(123)는, 슬라이더(105)가 열려 있는지 또는 닫혀 있는지를 나타내는 상태 검지 신호를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또한, 상태 검지부(123)는, 아우터 패널(102)의 착탈 상태도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태 검지부(123)는 예를 들면, 전술한 자기 센서(23A 또는 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검지부(123)는, 아우터 패널(102)의 착탈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검지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해도 된다.
흡인 검지부(124)(퍼프 센서)는, 유저에 의한 스틱(110)의 흡인(퍼프)을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인 검지부(124)는, 개구(106)의 근방에 배설되는 서미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인 검지부(124)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기인하는 온도 변화가 초래하는 서미스트의 저항값의 변화에 근거하여 흡인을 검지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흡인 검지부(124)는, 보지부(107)의 저부(底部)에 배설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흡인 검지부(124)는, 흡인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가 초래하는 기압의 감소에 근거하여 흡인을 검지할 수 있다. 흡인 검지부(124)는, 예를 들면, 흡인이 실시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흡인 검지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발광부(125)는, 하나 이상의 LED와, LED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D)를 구성한다. 발광부(125)는,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지시 신호에 따라 LED의 각각을 발광시킨다. 진동부(126)는, 전술의 진동 발생부(V)를 구성한다. 진동부(126)는, 바이브레이터(예를 들면, 편심 모터)와, 바이브레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126)는,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지시 신호에 따라 바이브레이터를 진동시킨다. 제어부(120)는, 예를 들면, 흡인기(100)의 어떠한 스테이터스(예를 들면, 페어링의 상황이나 아우터 패널(102)의 분리)를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서, 발광부(125) 및 진동부(126)의 적어도 한쪽을 임의의 패턴으로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면, 발광부(125)의 발광 패턴은, 각 LED의 발광 상태(상시 발광/점멸/비발광), 점멸 주기, 및 발광색 같은 요소로 구별될 수 있다. 진동부(126)의 진동 패턴은, 바이브레이터의 진동 상태(진동/정지) 및 진동의 강도 같은 요소로 구별될 수 있다.
통신 I/F(127)는, 예를 들면 통신용 회로 및 안테나를 포함하고, 흡인기(100)가 외부 통신 장치(예를 들면, 유저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단말 등)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I/F(127)는,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접 무선 통신,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같은 임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접속 I/F(128)는, 흡인기(100)를 다른 외부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가지는 유선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I/F(128)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의 충전 가능한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접속 I/F(128)는, 외부 전원(충전기)으로부터(도시하지 않는 급전선을 통하여) 배터리(132)를 충전하기 위해서 이용되어도 된다.
배터리(132)는, 리튬이온 전지 등의 충전 가능한 전지(이차 전지)이다. 혹은, 배터리(132)는, 리튬이온 캐패시터와 같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잔량계(133)는, 배터리(132)의 전력의 잔량 그 밖의 스테이터스를 감시하기 위한 IC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잔량계(133)는, 예를 들면, 충전율(SOC: State Of Charge), 열화도(SOH: State Of Health), 상대 충전율(RSOC) 및 전원 전압 같은 배터리(132)의 스테이터스값을 주기적으로 계측하고, 계측 결과를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동작 모드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전원 유닛(101)의 상태 천이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진다. 복수의 동작 모드는, 예를 들면, 슬립 모드(61), 액티브 모드(62), 에어로졸 생성 모드(63), 충전 모드(64), 잠금 해제 설정 모드(65), 및 페어링 모드(66)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립 모드(61)는, 제어부(120)에 의한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소비 전력을 저하시킨 절전 상태로 대기시키는 상태이다. 슬립 모드는, 흡인기(100)가 주요한 동작을 휴지(休止)하고 있는 상태이며, 히터(H)에 대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일은 없다. 디스플레이(D)에 의한 표시도 실시되지 않는다. 환언하면, 슬립 모드(61)에서는, 전원 유닛(101)은 잠겨 있고, 유저는 에어로졸의 흡인을 실시할 수 없다. 슬립 모드(61)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미리 정해진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것은 가능하고, 해당하는 유저 입력이 접수되면, 해당 유저 입력에 따른 다른 모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슬립 모드를 대기 상태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120)의 메모리의 내용을 유지하여 대기 상태에 들어가는 「서스펜드」혹은 「스탠바이」의 방법에 의해 슬립 모드(61)가 되어도 되고, 제어부(120)의 메모리의 내용을 기억부(121)에 복제하여 대기 상태에 들어가는 「하이버네이션」의 방법에 의해 슬립 모드가 되어도 된다. 슬립 모드(61)에서는, 슬라이더(105) 또는 액션 버튼(B)에 대한 유저 조작의 검지 기능, 및, 배터리 잔량의 감시 기능을 제외하고, 다른 기능이 가동하지 않는 상태여도 된다.
슬립 모드(6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슬라이더(105)가 열리는 조작(셔터 열림으로 하는 조작)이 실시되면, 제어부(120)는, 적어도 디스플레이(D)에 의한 표시를 실시하는 액티브 모드(62)로 천이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62)에 있어서, 슬라이더(105)가 닫히는 조작(셔터 닫힘으로 하는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전원 유닛(101)에 대한 유저 조작이 없는 무조작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D)에 의한 표시를 정지하고 절전 상태로 대기하는 슬립 모드(61)에 되돌아올 수 있다.
액티브 모드(62)에 있어서, 잠금 해제 조작이 검지되면, 제어부(120)는, 전원 유닛(101)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모드(63)에 천이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조작이란, 예를 들면, 액션 버튼(B)의 1회의 눌림일수 있다. 다만, 잠금 해제 조작은 설정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잠금 해제 조작은, 액션 버튼(B)을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회수(예를 들면 3회)에 걸쳐서 반복하여 누르는 조작, 액션 버튼(B)을 규정 시간(예를 들면 3초간)에 걸쳐서 길게 누르는 조작,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모드(63)에서는 가열부(130)에 의한 가열(즉 히터(H)로의 전력 공급)이 실시되고, 유저는 에어로졸의 흡인을 실시할 수 있다. 혹은, 잠금 해제 조작의 설정은 무효로 하고, 흡인 검지부(124)(퍼프 센서)에 의해 유저에 의한 흡인(퍼프)이 검지된 것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모드(63)에 천이하도록 해도 된다. 흡인이 종료했을 때, 또는, 흡인 시간이 규정의 상한 시간(Max Loading Time)에 도달했을 때는, 제어부(120)는 액티브 모드(62)에 되돌아올 수 있다.
슬립 모드(61) 또는 액티브 모드(62)(혹은 에어로졸 생성 모드(63))에 있어서 외부 전원(충전기)이 접속 I/F(128)에 접속되면, 제어부(120)는 충전 모드(64)에 천이하고, 배터리(132)의 충전이 실시된다. 외부 전원이 접속 I/F(128)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혹은, 배터리(132)가 만충전 상태가 되었을 때, 제어부(120)는 슬립 모드(61)에 천이한다.
충전 모드(64)에 있어서, 예를 들면 액션 버튼(B)에 대한 소정의 조작이 실시되면, 제어부(120)는, 잠금 해제 설정 모드(65)에 천이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설정 모드(65)에서는, 잠금 해제 조작의 설정이 실시된다. 예를 들면, 디폴트 상태에 있어서의 잠금 해제 조작은, 예를 들면, 액션 버튼(B)의 1회의 눌림일수 있다. 잠금 해제 설정 모드(65)에 있어서는, 유저는 이 잠금 해제 조작을 다른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 해제 조작은, 액션 버튼(B)을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에 걸쳐서 반복하여 누르는 조작, 액션 버튼(B)을 규정 시간에 걸쳐서 길게 누루는 조작, 혹은 그들의 조합, 등의 임의의 패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유닛(101)의 시큐리티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설정이 종료되면, 제어부(120)는 충전 모드(64)에 되돌아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잠금 해제 설정 모드(65)로의 천이는 충전 모드(64)로부터 실행되도록 했지만, 충전 모드(64) 이외의 동작 모드로부터 잠금 해제 설정 모드(65)로 천이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슬립 모드(61)에 있어서 소정의 페어링 조작이 실시되면, 제어부(120)는, 외부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을 실행하기 위한 페어링 모드(66)에 천이할 수 있다. 페어링은, 전원 유닛(101)과 외부 통신 장치를 관련짓는 처리이며, 예를 들면 외부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Bluetooth(등록상표)에 준거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조작이란, 예를 들면, 슬라이더(105)를 닫은 채 액션 버튼(B)을 누르는 조작일 수 있다. 페어링 모드(66)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외부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성공하면, 페어링된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억부(121)에 격납되어 있는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한다. 제어부(120)는, 화이트 리스트로의 등록이 성공하면, 혹은, 페어링이 실패하면, 페어링 모드(66)로부터 슬립 모드(61)에 천이할 수 있다.
<제어 시퀀스에 대하여>
제어부(120)는, 소정의 제어 시퀀스에 따라, 전기 부품(E)에 의해 구성되는 전력 공급부를 제어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시퀀스는, 히터(H)의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를 규정한 제어 프로파일(온도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제어 시퀀스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132)로부터 가열부(130)로의 전력의 공급을, 세션의 전체를 통하여 양호한 유저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온도 프로파일을 실현하도록 제어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세션이란, 하나의 물품(여기에서는, 보지부(107)에 의해 보지된 스틱(11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을 소비하기 위한 온도 제어가 실행되는 한 묶음의 기간을 말한다. 세션은, 가열 기간으로 불려도 된다. 세션은, 일반적인 궐련에 있어서의 한 개비당의 흡인 횟수(예를 들면 10~20회)에 대응하는 기간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되는 온도 제어는, 가열부(130)의 근방에 배치되는 미도시의 서미스트를 사용하여 검지되는 온도 지표를 제어량, 전력 공급의 듀티비를 조작량으로 하는 피드백 제어(예를 들면, PID 제어)여도 된다.
도 5는, 1회의 세션에 있어서 실현될 수 있는 온도 프로파일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 중의 가로축은, 가열부(130)로의 급전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가열부(130)의 온도를 나타낸다. 굵은 꺾인 선은, 일례로서의 온도 프로파일(40)을 나타낸다. 온도 프로파일(40)은, 모두(冒頭)의 예열 기간(T0~T2), 및 예열 기간에 후속하는 흡인 가능 기간(T2~T8)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서, 흡인 가능 기간 전체의 길이는 5분 정도여도 된다.
예열 기간은, 가열부(130)의 온도를 환경 온도(H0)로부터 제1 온도(H1)로 급속하게 상승시키는 승온(昇溫) 구간(S0)(T0~T1), 및 가열부(130)의 온도를 예열 기간 종료시까지 제1 온도(H1)로 유지하는 유지 구간(S1)(T1~T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먼저 가열부(130)를 급속하게 제1 온도(H1)까지 가열함으로써, 스틱(110)의 에어로졸 생성 기체(基體) 전체에 조기에 충분하게 열을 널리 퍼지게 하여, 양호한 품질의 에어로졸을 보다 빨리 유저에게 제공 개시할 수 있다.
흡인 가능 기간은, 흡인 가능 기간의 개시시부터 가열부(130)의 온도를 제1 온도(H1)로 유지하는 유지 구간(S2)(T2~T3), 가열부(130)의 온도를 제2 온도(H2)를 향하여 하강시키는 강온(降溫) 구간(S3)(T3~T4), 및 가열부(130)의 온도를 제2 온도(H2)로 유지하는 유지 구간(S4)(T4~T5)(제1 구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일단 제1 온도(H1)까지 상승한 가열부(130)의 온도를 제2 온도(H2)까지 하강시킴으로써, 적당한 끽미(喫味)에서의 흡인을 보다 길고 안정적으로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강온 구간(S3)에서는, 배터리(132)로부터 가열부(130)로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도 된다. 흡인 가능 기간은, 또한, 가열부(130)의 온도를 제2 온도(H2)로부터 제3 온도(H3)로 서서히 승온시키는 승온 구간(S5)(T5~T6)(제2 구간), 가열부(130)의 온도를 제3 온도(H3)로 유지하는 유지 구간(S6)(T6~T7), 및 가열부(130)의 온도를 환경 온도(H0)를 향하여 하강시키는 강온 구간(S7)(T7~T8)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흡인 가능 기간의 후반에서 가열부(130)의 온도를 다시 상승시킴으로써, 스틱(11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이 감소해 나가는 상황에 있어서 끽미의 저하를 억제하여, 흡인 가능 기간의 마지막까지 만족도 높은 체험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온도 프로파일은 일례이며, 에어로졸원이나 향미원의 종류가 상이한 스틱에 적합하는 다른 온도 프로파일이 사용되어도 된다. 후술하듯이, 온도 프로파일은 변경할 수 있다.
<알림 제어에 대하여>
제어부(120)는, 상술의 제어 시퀀스에 따라 배터리(132)로부터 가열부(130)(히터(H))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이 전력 공급의 제어와 함께, 제어 시퀀스에 의해 정해지는 흡인 가능 기간에 있어서의 알림부에 의한 알림을 제어한다. 도 6에는, 제어부(120)에 의한 알림 제어의 플로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 알림 제어는, 제어부(120)가 에어로졸 생성 모드(63)에 천이하여 히터(H)로의 전력 공급이 개시된 곳부터 개시된다. 또한, 이 플로차트에서는, 병행하여 실시되고 있는 전력 공급의 제어 자체에는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알림에 관한 제어만 언급하고 있는 점에 유의 바란다.
스텝 S101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예열 기간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20)는, 승온 구간(S0)의 종료 후, 예를 들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의해 유지 구간(S1)이 종료라고 간주하고, 이에 의해 예열 기간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다. 예열 기간의 종료는 흡인 가능 기간의 개시와 동의(同義)일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20)는, S102에 있어서, 흡인 가능 기간의 개시를 알리는 개시 알림을 실시한다. 개시 알림은 예를 들면, 발광부(125)에 의한 소정의 발광 패턴에서의 발광 및 진동부(126)에 의한 소정의 진동 패턴에서의 진동에 의해 실시된다. 유저는, 이 알림을 감지함으로써, 흡인의 준비가 이루어져 흡인을 개시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제어부(120)는, 스텝 S103에 있어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5초간) 대기한 후, 스텝 S104에 있어서 중간 알림을 실시한다. 중간 알림은, 흡인 가능 기간의 하나 이상의 중간 타이밍에 있어서 실시되는 알림이다. 중간 알림은, 유저가 스텝 S102에서 실시된 개시 알림과 구별할 수 있도록 개시 알림과는 상이한 태양으로 실행되면 된다. 예를 들면, 중간 알림은, 발광부(125)에 의한 발광은 되지 않고 진동부(126)에 의한 진동만에 의해 실시된다.
제어부(120)는, 중간 알림으로서 특히, 제어 시퀀스에 의해 정해지는 흡인 가능 기간 중,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양이 소정의 양이 되는 타이밍을 알려도 된다.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양이 소정의 양이 되는 타이밍이란, 예를 들면, 가열부(130)의 온도를 제3 온도(H3)로 유지하는 유지 구간(S6)(T6~T7)의 개시 타이밍이어도 된다. 유저는, 이러한 알림을 감지함으로써, 재승온이 초래하는 끽미의 개선을 실감할 수 있는 타이밍을 알 수 있다.
스텝 S105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온도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마지막의 유지 구간인 유지 구간(S6)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아직 유지 구간(S6) 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20)는, S103로 되돌아와 소정 시간 대기한 후, 스텝 S104에서 중간 알림을 실시한다. 이렇게 하여, 유지 구간(S6)이 종료될 때까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중간 알림이 반복하여 실시된다. 이러한 중간 알림에 의해, 유저는, 현재가 흡인 가능 기간 중임을 인식할 수 있다.
유지 구간(S6)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되면, 제어부(120)는, 스텝 S106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흡인 가능 기간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 알림을 실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지 구간(S6)의 종료는 강온 구간(S7)의 시작이며, 엄밀하게는 흡인 가능 기간은 종료되지 않았다. 따라서, 종료 알림은, 흡인 가능 기간의 종료를 예고하는 알림(종료 예고 알림)이라고 이해되어도 된다. 종료 알림(종료 예고 알림)은, 유저가 중간 알림과 구별할 수 있도록 중간 알림과는 상이한 태양으로 실행되면 된다. 종료 알림은, 개시 알림과 동일한 태양으로 실시되는 것은 상관없다. 즉, 종료 알림은 예를 들면, 발광부(125)에 의한 소정의 발광 패턴에서의 발광 및 진동부(126)에 의한 소정의 진동 패턴에서의 진동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유저는, 종료 알림을 감지함으로써, 흡인을 끝낼 필요가 있음을 인식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120)에 의한 알림 제어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 예는, 온도 프로파일의 구간 단위로 알림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7에는, 온도 프로파일에 따르는 1 세션에 있어서의 각 구간에서의 알림의 내용을 규정한 알림 설정 정보의 예가 나타나 있다. 알림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기억부(121)에 기억된다. 도 7의 알림 설정 정보에 있어서, 알림의 설정값 0은 알림을 실시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설정값 1은 개시 알림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설정값 2는 중간 알림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설정 3은 종료 알림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예열 기간에 해당하는 구간(S0 및 S1)의 설정값은 0이고, 이들 구간에서는 알림은 실행되지 않는다. 흡인 가능 기간이 개시되는 구간(S2)의 설정값은 1이고, 개시 알림이 실행된다. 구간(S4, S5, S6)의 설정값 2이고, 중간 알림이 실시된다. 구간(S7)의 설정값은 3이며, 종료 알림이 실시된다. 또한, 도 7의 예에서는, 알림의 종별을 나타내는 설정값만이 규정되어 있으나, 개시 알림, 중간 알림, 종료 알림 각각의 태양(발광 패턴, 진동 패턴, 알림의 타이밍, 반복 빈도, 강도 등)을 규정하는 설정값이 더 규정되는 데이터 구조여도 된다.
도 8에는, 도 7에 나타낸 알림 설정 정보를 이용한 알림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 플로차트에 있어서도, 병행하여 실시되고 있는 전력 공급의 제어 자체에는 언급하고 있지 않고, 알림에 관한 제어만 언급하고 있는 점에 유의 바란다.
스텝 S201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기억부(121)로부터 알림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120)는, 구간 번호를 나타내는 변수 n을 0으로 초기화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구간(Sn)(n은 변수)이 종료되는 것을 대기한다. 구간(Sn)이 종료되면, 제어부(120)는, 스텝 S204로 진행되고, 알림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구간(Sn)의 알림의 설정값을 특정하고, 그에 따른 알림을 실행한다.
그 후, 스텝 S205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변수 n이 온도 프로파일의 최종 구간의 번호(여기에서는 7)까지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 변수 n이 최종 구간의 번호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스텝 S206에 있어서 변수 n을 1증분(增分)하고, 스텝 S203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205에 있어서, 변수 n이 온도 프로파일의 최종 구간의 번호에 도달했을 때, 처리는 종료된다.
일례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S201에서 취득한 알림 설정 정보로부터, 개시 알림의 직후의 중간 알림 및 종료 알림의 직전의 중간 알림에 대하여 확인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0)는, 개시 알림과 그 직후의 중간 알림의 타이밍 차가 소정값보다 짧은 경우에는, 해당 중간 알림을 무효로 한다. 또한, 종료 알림의 그 직전의 중간 알림과의 타이밍 차가 소정값보다 짧은 경우에는, 해당 중간 알림을 무효로 한다. 이에 의해, 중간 알림과 개시 알림 또는 종료 알림이 거의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유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각각의 알림의 설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페어링 모드(66)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통신 I/F(127)(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통신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한다. 그 후, 페어링되어 있는 외부 통신 장치의 표시부에, 도 9에 나타내는 알림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각 알림에 대한 알림의 태양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9의 예에서는, 알림의 태양으로서, 발광부(125)(LED)의 점멸 패턴 및 진동부(126)(바이브레이터)의 진동 패턴을, 복수의 후보로부터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중간 알림의 타이밍에 대하여, 반복 간격이 복수의 후보로부터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설정 화면에 의해 설정된 정보는, 기억부(121)에 기억된다. 제어부(120)는, 기억부(121)에 기억된 이 정보에 따라, 개시 알림, 종료 알림, 및 중간 알림을, 유저의 취향에 맞는 태양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중간 알림 중에서, 예를 들면, 유지 구간(S4)과 승온 구간(S5)에서 알림의 태양을 상이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지 구간(S4)보다도 승온 구간(S5)에서의 중간 알림 쪽이 강도가 강한 진동 혹은 시간이 긴 진동을 주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흡인 가능 기간이 후반에 다다랐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에어로졸원이나 향미원의 종류가 상이한 스틱에 적합한 다른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 온도 프로파일은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어링 모드(66)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통신 I/F(127)(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통신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한다. 그 후, 페어링되어 있는 외부 통신 장치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원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운로드된 온도 프로파일은, 기억부(121)에 기억된다. 제어부(120)는, 기억부(121)에 기억된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온도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온도 프로파일이 변경된 것에 따라, 개시 알림, 종료 알림, 및 중간 알림의 타이밍도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흡인 가능 기간에 있어서 적시(適時)에 흡인에 관한 유저로의 알림이 실행된다. 특히 상술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저에게 제공하고 싶은 향미를 제공할 수 있는 타이밍을 유저에게 적시에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본원은, 2021년 4월 28일 제출한 일본특허출원 특원2021-076016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의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7)

  1.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기용의,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으로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히터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알림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어 시퀀스에 의해 정해지는 흡인 가능 기간 중,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양이 소정의 양이 되는 타이밍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타이밍을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의 타이밍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외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원 유닛과 상기 외부 통신 장치를 관련짓는 페어링을 실행하고, 페어링된 상기 외부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알림의 타이밍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닛.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인 가능 기간의 개시를 더 알리는 개시 알림과, 상기 흡인 가능 기간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 예고 알림을 실시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고,
    상기 알림은, 상기 개시 알림 및 상기 종료 예고 알림과는 상이한 태양(態樣)의 알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시 알림 또는 상기 종료 예고 알림과의 타이밍 차가 소정값보다 짧은 알림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닛.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퀀스는, 상기 히터의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를 규정한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제어 시퀀스이며,
    상기 제어 프로파일은, 예열에 의해 상승한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를 유지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뒤, 상기 히터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제3 온도로 상승시키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에 있어서의 알림과 제2 구간에 있어서의 알림의 태양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파일이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제어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알림의 타이밍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닛.
KR1020237033885A 2021-04-28 2022-03-17 흡인기용의 전원 유닛 KR20230154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76016 2021-04-28
JP2021076016 2021-04-28
PCT/JP2022/012256 WO2022230433A1 (ja) 2021-04-28 2022-03-17 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937A true KR20230154937A (ko) 2023-11-09

Family

ID=8384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885A KR20230154937A (ko) 2021-04-28 2022-03-17 흡인기용의 전원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00157A1 (ko)
EP (1) EP4331408A1 (ko)
JP (2) JPWO2022230433A1 (ko)
KR (1) KR20230154937A (ko)
CN (1) CN117202809A (ko)
WO (1) WO2022230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9476B2 (en) 2021-01-18 2023-10-1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including intra-draw heater control,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hea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4756A1 (ja) 2018-10-26 2020-04-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電子装置並びに電子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3866A1 (de) * 2017-10-13 2019-04-18 Hauni Maschinenbau Gmbh Inhalator, insbesondere elektronisches Zigarettenprodukt
JP6924904B2 (ja) * 2018-08-24 2021-08-2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吸引成分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01903247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JP7420531B2 (ja) 2019-11-05 2024-01-23 株式会社Subaru 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4756A1 (ja) 2018-10-26 2020-04-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電子装置並びに電子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0157A1 (en) 2024-01-04
JPWO2022230433A1 (ko) 2022-11-03
WO2022230433A1 (ja) 2022-11-03
CN117202809A (zh) 2023-12-08
JP2023181044A (ja) 2023-12-21
EP4331408A1 (en)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6335B1 (en) An aerosol delivery system and related metho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to an aerosol delivery device via a cartridge
JP6564922B1 (ja)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3977871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US20240000157A1 (en) Power supply unit for inhaler
JP7481444B2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38391A (ja) 吸引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260897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30232A1 (ja) 表示装置、吸引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48775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WO2022230430A1 (ja) 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
WO2022230348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89754A1 (ja) 吸引装置
WO2023089752A1 (ja) 吸引装置
WO2024038530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89753A1 (ja) 吸引装置
WO2024038529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30347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85973A1 (en)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3089756A1 (ja) 吸引装置
WO2022269704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4047705A1 (ja) 吸引装置、基材、及び吸引システム
WO2023275953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2230041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7500395A (zh) 吸入器用控制器
CN116133543A (zh) 管理气溶胶产生装置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