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371A - 의자베이스 일체형 타설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 - Google Patents

의자베이스 일체형 타설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371A
KR20230154371A KR1020220053762A KR20220053762A KR20230154371A KR 20230154371 A KR20230154371 A KR 20230154371A KR 1020220053762 A KR1020220053762 A KR 1020220053762A KR 20220053762 A KR20220053762 A KR 20220053762A KR 20230154371 A KR20230154371 A KR 20230154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ase
building
side wall
cemen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785B1 (ko
Inventor
황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비아이엠스틸
황형주
박환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비아이엠스틸, 황형주, 박환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비아이엠스틸
Priority to KR102022005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785B1/ko
Publication of KR2023015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0Foundations made with permanent use of sheet pile bulkheads, walls of planks, or sheet piling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H 빔 형태의 철골과 이들 사이에 판넬을 설치하여 건설되는 건물에 있어서, 시멘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판넬의 하부를 지지하는 의자베이스를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일체로 타설할 수 있는 의자베이스 일체타설형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베이스 일체형 타설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Chair base integrated casting mold and integrated 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원발명은 의자베이스 일체형 타설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서 철골과 이들 사이에 벽체 판넬을 설치하여 건설하는 철골 건물에 있어서, 시멘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벽체 판넬의 하부를 지지하는 의자베이스를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일체로 타설할 수 있는 의자베이스 일체형 타설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류창고 또는 모델하우스와 같은 철골 건물은 H빔과 같은 철골로 건물의 뼈대를 만들고 샌드위치 판넬로 벽체를 시공한다. 이러한 철골 건물은 공사비가 저렴하고 공사 기간이 매우 빠르다는 장점으로 인해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다.
철골 건물은 우선 철골이 결합할 수 있는 앵커 및 건물 바닥을 시멘트를 사용하여 타설한다. 이후 상기 앵커에 철골을 결합하고 철골 사이에 벽체 판넬을 설치한다. 이때 벽체 판넬의 단열성과 누수를 보완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아연 강판에 홈가공을 한 의자(chair) 모양의 의자베이스를 상기 건물 바닥에 배치하고 그 위에 상기 벽체 판넬을 설치한다. 본원발명의 명세서에서 판넬과 벽체 판넬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철골 건물이 설치된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골 건물의 기초 시공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철골 건물(100)은 앵커(110)에 철골(120)이 볼트-너트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앵커(110)는 시멘트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가 굴곡된 형태이다. 상기 앵커(110)는 주변에 설치된 설치된 철근(도면 미도시)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도 1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A는 건물 내부이며, B는 건물 외부, C는 지면에 타설된 시멘트로서 건물 바닥 중 내부, D는 지표이다. 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크고, 수분에 의해서 지표가 변형이 될 수 있는바, 건물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서 계절에 관계없이 온도가 일정한 깊이인 동결심도 이상으로 굴착을 한다. 건물을 짖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1미터 깊이 이상의 동결심도롤 유지하고 있다. 도 1에서 시멘트가 타설된 C 중 철골이 설치된 부분은 깊이가 깊고 건물이 바닥이 될 부분은 깊이가 얕다.
물류창고 등과 같은 건물은 통상적으로 건물 내부에도 시멘트(C)가 타설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외부의 지표면에도 시멘트(C')가 타설되어 있다. 철골(120)과 근접하여 판넬(130)이 설치되어 있으며, 판넬(130)의 하부에는 의자베이스(140)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따른 의자베이스(140)는 의자베이스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3미터 길이의 아연 강판을 도 1과 같은 단면이 의자인 형태로 홈 가공을 하여 사용한다. 의자베이스(130)는 건축 내부측이 높아서 빗물 등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막을 뿐만 아니라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미려하게 처리할 수 있다. 주변부는 단열재를 삽입하거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마감 처리한다.
도 2 내지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골 건물의 기초 시공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6도 도 1과 같이 철골 건물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라 먼저 굴착을 진행하다. 철골이 설치된 부분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결심도(E)에 따라서 깊이가 깊고 건물이 바닥이 될 부분은 깊이가 얕다. 시멘트 타설을 위해서는 거푸집(150)을 설치해야 한다. 거푸집(150)은 건물 외주 전체를 따라서 설치하며, 수직으로 세워진 거푸집(150)을 지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거푸집 지지대(152)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국내에서 거푸집은 유로폼이라 불리는 규격화된 형태의 틀을 사용한다. 상기 유로폼은 코팅 합판과 특수 경량강으로 만들어져 조립이 간편하며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도 2의 거푸집 또는 도 3의 앵커의 설치 순서는 변경이 가능하나, 도 3의 상태가 된 후 시멘트를 타설한다. 도 3의 G는 도 8의 G'와 대비하기 위한 지표로서 시멘트 투입량을 비교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시멘트(C)는 거푸집(150)까지 타설하며, 앵커(110)의 상부 일부를 제외하고 철골 가베이스(160)를 포함해서 타설한다.
도 5는 시멘트 타설 후 양생이 끝난 거푸집(150) 및 거푸집 지지대(152)를 제거하고 해당 부분을 다시 흙으로 메운 후의 상태이다. 도 6은 철골(120)을 앵커(110)에 결합하고 패널 설치를 위한 의자베이스(140)를 설치한 모습이다. 도 6의 C'는 건물 외부의 지표면에 시멘트가 타설된 것이다. 상기 시멘트(C')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건물 내부의 상수, 하수와 연결되는 관을 건물 외부에 매입해야 한다.
상기 의자베이스(140)가 설치된 후 패널(13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는 통상적으로 현지 진행되는 철골 건물의 건축 순서이다. 종래의 건축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1) 시멘트 타설을 위해서 거푸집을 설치해야 한다.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에 사용되는 유로품을 대여, 이동하고, 이를 목수가 모두 수작업으로 설치해야 한다.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멘트의 양생 작업이 끝난 후 거푸집을 다시 제거하고 이를 다시 반납하는 과정 또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단기간에 건물이 완공되는 철골 건물의 경우에 거푸집 설치와 제거에 따른 공사 기간은 전체 공사 기간 중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거푸집은 작은 크기의 유로폼을 여러 개 연결해서 설치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다.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연결 부위가 매끄럽지 못하여 결국 양생된 시멘트의 형태, 즉 건물의 외부가 미려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2) 거푸집 설치를 위해서 필요 이상의 공간을 굴착해야 한다.
거푸집이 지표면 이하에 설치되므로 거푸집의 설치, 거푸집 지지대의 설치, 및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추가 공간이 필요한바, 필요이상의 작업공간, 즉 도 2 내지 4의 F가 필요하다. 이렇게 필요 이상의 공간을 굴착해야 하므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굴착한 흙은 다시 메꿔야 하므로 이를 임시로 보관할 장소가 필요하다.
필요 이상의 공간이 굴착된바, 건물 외부의 시멘트 타설(C')은 굴착된 부분을 메꾼 후에만 진행이 가능하다.
한편, 메꿔진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후속 작업을 진행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지반이 약해졌기 때문에 후속 작업 진행을 위한 철골 자재를 건물 내부로 바로 가져올 수 없다. 철골 자재의 무게로 인해서 해당 부분을 밟지 않고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들어서 옮기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은 판넬 구조 건축물의 하부 단열 의자베이스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방법으로 타설한 시멘트 및 철골에 의자베이스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벽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거푸집 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와 같이 종래 문헌은 종래의 건축 방법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진행하고 있는바, 상기와 같은 원천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06233호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79294호 ('특허문헌 2')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서 H 빔 형태의 철골과 이들 사이에 판넬을 설치하여 건설하는 철골 건물에 있어서, 시멘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 시멘트를 타설할 수 있는 신규한 의자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건물 외부의 시멘트 또한 일체로 타설할 수 있는 신규한 일체형 타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건축물 벽체로 사용되는 판넬의 하부가 놓이며 수평인 형태의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방으로 굴곡된 측벽 상부,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서 연결되고 상기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하방으로 굴곡된 측벽 하부를 포함하는 단면이 의자 형태인 의자베이스에 있어서,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상기 측벽 하부의 길이는 상기 측벽 상부, 또는 측벽 상부 및 상기 중앙부 각각의 길이보다 긴 의자베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측벽 하부의 길이는 3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의자베이스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은 스테인레스 스틸, 아연, 주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건축물 벽체로 사용되는 판넬의 하부가 놓이며 수평인 형태의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방으로 굴곡된 측벽 상부,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서 연결되고 상기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하방으로 굴곡된 측벽 하부를 포함하는 단면이 의자 형태인 i) 의자베이스, ii) 철골, 및 iii) 판넬을 사용한 일체형 타설방법에 있어서,
1) 땅을 굴착하는 단계,
2) 상기 굴착된 땅에 철근 및 앵커를 설치하는 단계,
3) 상기 철근의 일측에 상기 의자베이스를 배치하는 단계,
4) 상기 철근, 상기 앵커, 및 상기 의자베이스의 하방으로 굴곡된 측벽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한꺼번에 시멘트로 타설하는 단계,
5) 상기 앵커에 상기 철골을 결합하는 단계,
6) 상기 판넬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타설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앵커 및 상기 의자베이스는 상기 철근에 결합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는 상기 철근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의자베이스의 중앙부, 측벽 하부 모두 상기 철근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통상 의자베이스는 3㎜ 두께의 아연으로 제조된다. 통상 의자베이스는 길이가 3미터로서 이를 겹쳐서 계속 연장하여 사용한다.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앵커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중앙부의 하면은 상기 타설되는 시멘트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측벽 하부의 내측 및 외측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타설되는 시멘트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의자베이스는 상기 건물의 외주부 전체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앵커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베이스가 부가될 수 있으며, 상기 의자베이스는 상기 가베이스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베이스는 두 장으로 구성되며 상기 의자베이스는 상기 가베이스 두 장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베이스 한 장은 금속, 다른 한 장은 금속 이외의 목재,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하며, 두 장의 가베이스 모두 시멘트를 타설 때 같이 묻혀서 타설될 수 있다. 두 장의 가베이스 모두 금속, 목재, 수지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단계 4) 이전에 상기 건물의 외부의 대지에 상수도 및/또는 하수도 배관을 매립하고, 상기 단계 4)에서 건물의 외부에도 상기 시멘트를 같이 타설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상수도 및/또는 상기 하수도 배관을 매립할 때 GPS 정보를 활용하여 정밀한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의자베이스를 포함하는 건물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으로 시공된 건물 또한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제공하는 해결 수단을 조합이 가능한 임의의 수단으로 조합하여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종래의 거푸집을 아예 설치하지 않고 시멘트를 타설할 수 있는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거푸집 설치에 따른 시간, 비용이 절약된다.
구체적으로 거푸집 설치에 따른 유로폼의 대여, 이동, 설치, 다시 해체, 이동, 반납이 필요없다. 유로폼의 경우 그 무게로 인해서 별도의 지게차를 이용하여 상하차 작업이 진행되지만, 본원발명에는 이러한 작업 자체가 필요치 않다. 거푸집은 유로폼 자체의 비용 외에도 이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핀, 지지대 등에 대한 비용 또한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거푸집 제작에만 일주일이 소요되나, 본원발명은 이러한 단계 자체가 필요치 않다.
또한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는바, 이를 설치 및 해체하기 위한 인력이 필요지 않다.
2) 필요 이상의 공간을 굴착할 필요가 없다.
본원발명은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의자베이스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만이 필요한바, 종래의 방법에 대비하여 굴착하는 부분이 매우 작다. 또한 굴착한 부분은 모두 시멘트로 타설하기 때문에, 굴착한 흙을 다시 메꿀 필요가 없고 이를 임시로 보관할 장소 또한 필요치 않다. 굴착한 흙은 모두 외부로 반출할 뿐이며 한번의 작업으로 굴착이 완료된다. 굴착한 부분을 다시 메꿀 흙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다.
필요 이상의 공간이 굴착되지 않은바, 약해진 지반이 없고, 후속 작업 진행을 위한 철골 자재를 건물 내부로 바로 가져올 때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치 않다.
3) 건물 외주변을 일체로 타설할 수 있다.
건물 내부는 철근과 함께, 전기, 상하수 등이 설치된다. 건물 외부는 지하에 별도의 상하수도 관이 매설되어야 하고 이들이 건물 내부의 배관과 연결이 되어야 한다. 본원발명은 GPS를 활용한 측정법을 사용함으로써, 시멘트 기초 작업 중이라도 정확한 측량에 의해서 건물 외부에 매설되는 배관의 위치를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고 미리 매립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이상의 공간을 굴착하지 않고 굴착된 모든 부분에 시멘트를 타설하므로 이를 그대로 연장하여 건물 외부까지 한꺼번에 시멘트를 타설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건물 내부 타설, 거푸집 제거, 매꾸는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측량을 정확히 하더라도 건물 외부까지 한꺼번에 시멘트를 타설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경우 건물 내부 타설 및 양생, 건물 외부 타설 및 양생의 기간이 필요하나 본원발명은 일체로 타설하는바, 시멘트 타설 및 양생 기간도 1/2로 단축할 수 있다.
의자베이스 또한 시멘트 타설과 함께 고정되는바, 종래와 같이 의자베이스를 별도의 단열재나 실리콘 폼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공사 기간을 더 절약할 수 있다.
4) 일체 타설로 안정성이 높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의 경우 건물 기초 시멘트 타설 및 양생, 흙 메꿈, 건물 외부 시멘트 타설 및 양생의 작업을 거친다. 이 경우 메꾼 흙으로 인해서 건물 내부 시멘트와 외부 시멘트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별도로 타설 된다. 또한 메꾼 흙으로 인해서 지반이 약한 부분이 생길 수 있다. 본원발명은 건물 내부 시멘트와 건물 외부의 시멘트가 일체로 연결되어 타설되는바, 종래 기술에 대비하여 물리적인 안정성이 높다. 타설하는 부분이 더 많을 뿐만 아니라 흙을 메꾸는 단계가 없는바, 더욱 더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5) 건물의 외부가 미려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의 경우 다수의 조각으로 만들어진 거푸집으로 인해서 거푸집의 연결된 부분이 매끈한 형태가 아닌 굴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의자베이스 또한 시멘트 위에 별도의 단열재나 실리콘 폼을 사용하여 마감 처리하는바, 이 또한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다. 본원발명은 시멘트를 타설할 경우 시멘트가 중력에 의해서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상부에 배치되는 의자베이스 또한 자연스럽게 수평으로 배치되는바, 종래의 방법에 대비하여 매우 미려한 외부가 형성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 종래의 방법에 대비하여 공사 기간만으로도 약 2/3 단축할 수 있으며, 비용의 경우 또한 크게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철골 건물이 설치된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골 건물의 기초 시공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철골 건물의 기초 시공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의자베이스가 적용될 실제 건물의 도면의 일부분이다. 도 10은 사시도이고, 도 11, 12는 각각 zx면, zy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가베이스가 두 장 적용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본원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7 내지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철골 건물의 기초 시공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의자베이스가 적용될 실제 건물의 도면의 일부분이다. 도 10은 사시도이고, 도 11, 12는 각각 zx면, zy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건축물 벽체로 사용되는 판넬(230)의 하부가 놓이며 수평인 형태의 중앙부(242), 상기 중앙부(242)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방으로 굴곡된 측벽 상부(244), 상기 중앙부(242)의 타측에서 연결되고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하방으로 굴곡된 측벽 하부(246)를 포함하는 단면이 의자 형태인 의자베이스(240)에 있어서,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상기 측벽 하부(246)의 길이는 상기 측벽 상부(244) 및 상기 중앙부(242) 각각의 길이보다 길다.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상기 측벽 하부의 길이는 30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mm 이상이다. 상기 측벽 하부의 길이는 90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800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m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0mm 이하이다.
상기 의자베이스(240)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은 스테인레스 스틸, 아연, 주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의자베이스는 수지, 금속, 또는 코팅된 수지, 코팅된 금속도 가능하다.
본원발명은 또한 i) 건축물 벽체로 사용되는 판넬(230)의 하부가 놓이며 수평인 형태의 중앙부(242), 상기 중앙부(242)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방으로 굴곡된 측벽 상부(244), 상기 중앙부(242)의 타측에서 연결되고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하방으로 굴곡된 측벽 하부(246)를 포함하는 단면이 의자 형태인 의자베이스(240), ii) 철골(220), 및 iii) 판넬(230)을 사용한 일체형 타설방법에 있어서,
1) 땅을 굴착하는 단계,
2) 상기 굴착된 땅에 철근(270) 및 앵커(210)를 설치하는 단계,
3) 상기 철근(270)의 일측에 상기 의자베이스(240)를 배치하는 단계(도 7 참조),
4) 상기 철근(270), 상기 앵커(210), 및 상기 의자베이스(240)의 하방으로 굴곡된 측벽 하부(246)의 적어도 일부를 한꺼번에 시멘트로 타설하는 단계,
5) 상기 앵커(210)에 상기 철골(220)을 결합하는 단계(도 8 참조)
6) 상기 판넬(23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타설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굴착은 통상 1미터이며, 통상 철근(270)의 깊이도 1미터이다. 상기 단계 4)의 시멘트 타설은 레미콘으로 진행한다. 본원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별도의 거푸집을 만들지 않고 의자베이스(240)를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점이다. 시멘트 타설할 때, 의자베이스 측벽 하부(246)보다 더 아래의 굴착한 부분(H)은 거푸집이 없이 굴착한 부분의 흙이 측벽이 되며,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는다. 상기 의자베이스(240) 측벽 하부 빈 공간(H)에 별도의 충진재인 자갈 등을 부가할 수 있으며, 스티로폼을 채워서 타설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은 시멘트 타설 후 의자베이스(240)를 제거하지 않는다.
종래는 건물의 모서리 부분에서 의자베이스(240)를 설치할 때 철골(220)의 아래 부분 형태에 따라 의자베이스(240) 일부를 절개했어야 하나, 본원발명은 의자베이스(240)가 바로 거푸집의 형태이면서 같이 매설되는바, 종래와 같이 별도의 절개 과정 또한 필요치 않다.
다만, 종래의 거푸집보다 측벽 하부(246)의 외부도 시멘트를 타설하는바, 종래 보다 시멘트는 다소 더 많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거푸집(150)이 있어서 시멘트가 거푸집(150)의 경계면인 G까지만 타설되지만, 도 8의 경우 의자베이스(240)을 넘어서는 G'까지 타설되므로 실제 타설되는 시멘트의 양은 종래보다 많을 수 있다.
본원발명은 도 3의 F의 넓은 작업공간과 달리 F'로 매우 굴착 공간이 매우 좁다.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앵커(210)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중앙부(242)의 하면은 상기 타설되는 시멘트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측벽 하부(246)의 내측 및 외측 모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타설되는 시멘트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의자베이스(240)는 상기 건물의 외주부 전체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앵커(2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베이스(260)가 부가될 수 있으며, 상기 의자베이스(240)는 상기 가베이스(26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3은 가베이스가 두 장 적용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가베이스(360, 365)는 두 장으로 구성되며 상기 의자베이스(340)는 상기 가베이스(360, 365) 두 장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베이스 한 장은 금속, 다른 한 장은 금속 이외의 목재, 수지 사용이 가능하며, 두 장의 가베이스 모두 시멘트 타설 때 같이 묻혀서 타설될 수 있다.
도 13에서 가베이스(360, 365)는 건물의 코너 부분에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의자베이스(340)는 상기 가베이스(360, 365) 두 장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은 건물의 코너 부분이며 나머지는 외부로 모두 노출된다.
상기 단계 4) 이전에 상기 건물의 외부의 대지에 상수도 및/또는 하수도 배관을 매립하고, 상기 단계 4)에서 건물의 외부에도 상기 시멘트를 같이 타설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수도 및/또는 하수도 배관을 매립할 때 GPS 정보를 활용하여 정밀한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원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200, 300: 철골 건물
110, 210, 310: 앵커
212: 볼트너트
120, 220, 320: 철골
130, 230: 판넬
140, 240, 340: 의자베이스
242: 중앙부
244: 측벽 상부
246: 측벽 하부
150: 거푸집
152: 거푸집 지지대
160, 260, 360: 가베이스
365: 추가 가베이스
270: 철근
A: 건물 내부
B: 건물 외부
C, C': 시멘트
D: 지표
E: 동결심도
F, F': 작업공간
G, G': 시멘트 투입량 기준 거리
H: 의자베이스 측벽 하부보다 더 아래 부분

Claims (15)

  1. 건축물 벽체로 사용되는 판넬의 하부가 놓이며 수평인 형태의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방으로 굴곡된 측벽 상부;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서 연결되고 상기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하방으로 굴곡된 측벽 하부;
    를 포함하는 단면이 의자 형태인 의자베이스에 있어서,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상기 측벽 하부의 길이는 상기 측벽 상부의 길이보다 긴 의자베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상기 측벽 하부의 길이는 상기 측벽 상부 및 상기 중앙부 각각의 길이보다 긴 의자베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상기 측벽 하부의 길이는 300㎜ 이상인 의자베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베이스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의자베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스테인레스 스틸, 아연, 주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의자베이스.
  6. 건축물 벽체로 사용되는 판넬의 하부가 놓이며 수평인 형태의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방으로 굴곡된 측벽 상부;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서 연결되고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하방으로 굴곡된 측벽 하부;
    를 포함하는 단면이 의자 형태인 i) 의자베이스, ii) 철골, 및 iii) 판넬을 사용한 일체형 타설방법에 있어서,
    1) 땅을 굴착하는 단계;
    2) 상기 굴착된 땅에 철근 및 앵커를 설치하는 단계;
    3) 상기 철근의 일측에 상기 의자베이스를 배치하는 단계;
    4) 상기 철근, 상기 앵커, 및 상기 의자베이스의 하방으로 굴곡된 측벽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한꺼번에 시멘트로 타설하는 단계;
    5) 상기 앵커에 상기 철골을 결합하는 단계;
    6) 상기 판넬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체형 타설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및 상기 의자베이스는 상기 철근에 결합된 것인 일체형 타설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앵커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중앙부의 하면은 상기 타설되는 시멘트와 접하는 일체형 타설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하부의 내측 및 외측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타설되는 시멘트와 접하는 일체형 타설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베이스는 상기 건물의 외주부 전체를 따라서 배치되는 일체형 타설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베이스가 부가되며, 상기 의자베이스는 상기 가베이스에 결합하는 일체형 타설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베이스는 두 장으로 구성되며 상기 의자베이스는 상기 가베이스 두 장 사이에 배치되는 일체형 타설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 이전에 상기 건물의 외부의 대지에 상수도 및/또는 하수도 배관을 매립하고,
    상기 단계 4)에서 건물의 외부에도 상기 시멘트를 같이 타설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일체형 타설방법.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자베이스를 포함하는 건물.
  15.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시공된 건물.
KR1020220053762A 2022-04-29 2022-04-29 의자베이스 일체형 타설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 KR102662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762A KR102662785B1 (ko) 2022-04-29 2022-04-29 의자베이스 일체형 타설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762A KR102662785B1 (ko) 2022-04-29 2022-04-29 의자베이스 일체형 타설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371A true KR20230154371A (ko) 2023-11-08
KR102662785B1 KR102662785B1 (ko) 2024-05-14

Family

ID=8874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762A KR102662785B1 (ko) 2022-04-29 2022-04-29 의자베이스 일체형 타설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7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233B1 (ko) 2017-08-29 2018-10-10 최병구 판넬 구조 건축물의 하부 단열 의자베이스 시공방법
KR102179294B1 (ko) 2018-12-07 2020-11-16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벽체의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394B1 (en) * 2002-12-27 2003-10-17 Young Bok Kim Method for constructing assembling buil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233B1 (ko) 2017-08-29 2018-10-10 최병구 판넬 구조 건축물의 하부 단열 의자베이스 시공방법
KR102179294B1 (ko) 2018-12-07 2020-11-16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벽체의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785B1 (ko)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KR101131679B1 (ko) 매입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골기둥의 이음 방법
JP5340320B2 (ja) プレハブ式自立建築要素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1712601B (zh) 建筑系统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060096202A1 (en) Pre-cast panel unibody building system
KR20100009802A (ko) Pc옹벽패널을 이용한 완전 pc 조립 저류조
KR100924701B1 (ko) 공동구 시공방법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JP2022175669A (ja) べた基礎の構築方法
AU4436702A (en) Foundation construction
KR102662785B1 (ko) 의자베이스 일체형 타설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타설방법
JP5865567B2 (ja)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149662B1 (ko)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이층 시공방법
EP2241690B1 (en) Insulated foundation element for mounting on precast base foundation
CN107761759B (zh) 一种l型混凝土挡墙
KR101534641B1 (ko) 건축물 지하 시공 방법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462236B1 (ko) 구조물 외벽용 패널,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외벽조립구조 및 구조물지하외벽 시공공법
IE902098A1 (en) Formwork for forming structural beams
KR20080059951A (ko)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KR20170051018A (ko) Pc패널을 이용한 기초 트윈 월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90066562A (ko) 수직 프리스트레싱 프리캐스트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AU2016202540B2 (en) A base block for supporting a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