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222A - interior sheet - Google Patents

interior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222A
KR20230152222A KR1020220051627A KR20220051627A KR20230152222A KR 20230152222 A KR20230152222 A KR 20230152222A KR 1020220051627 A KR1020220051627 A KR 1020220051627A KR 20220051627 A KR20220051627 A KR 20220051627A KR 20230152222 A KR20230152222 A KR 20230152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base layer
impact
thickness
interio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혁렬
최성규
임형균
김희중
고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to KR102022005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222A/en
Publication of KR2023015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22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8Matt, du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32B23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55/00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index codes B32B2323/00 - B32B2333/00
    • B32B23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하며, 무광 엠보 효과가 있어서 별도의 코팅 공정 없이 제조가 가능한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표피층; 및 PC 수지, ABS 수지 및 ASA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The disclosed content relates to an interior sheet that has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stain resistance, and has a matte emboss effect,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without a separate coating process.
The disclosed content includes an epidermal layer comprising a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 interior sheet including a base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C resin, ABS resin, and ASA resin is presented as an example.

Description

인테리어 시트{interior sheet}interior sheet {interior sheet}

개시된 내용은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content relates to interior seats.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are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being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데코)시트라 함은 폴리염화비닐(PVC) 소재로 다양한 인쇄롤 패턴과 엠보롤 패턴으로 천연질감을 표현하여 일상 가정뿐만 아니라 사무용가구, 주거용가구, 주방용 가구의 표면 등에 널리 사용이 되고 있는 비점착시트이다. 이러한 인테리어 시트는 가구 내외장재, 사무용가구, 문짝 등의 건축자재, 부엌용 가구, 각종 오디오 케이스, 기타 인테리어 장식에 사용되어 왔다.In general, interior (deco) sheets are made of polyvinyl chloride (PVC), which expresses natural texture through various printing roll patterns and embossed roll patterns, and is widely used not only in everyday homes but also on the surfaces of office furniture, residential furniture, and kitchen furniture. It is a non-adhesive sheet that is being developed. These interior sheets have been used in furnitur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fice furniture, building materials such as doors, kitchen furniture, various audio cases, and other interior decorations.

종래, 인테리어 시트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염화비닐(PVC) 소재는 물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나, 환경 문제 발생의 여지가 있는 화학 제품을 사용해야 하고 이에 대한 대체 재료로 부각되고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캘린더 성형이 어렵고 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데코시트용 소재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소재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Polyvinyl chloride (PVC),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s a material for interior seats,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nd moldability, but requires the use of chemical products that may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and polyolefin resin, which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material, is used for calender molding. This problem was difficult and the appearance quality was poor. Accordingly,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material began to be used as a material for decor sheets, but it had the disadvantage of weak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또한 인테리어 시트는, 그 표면을 보호하고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표면 처리를 실시한다. 시트의 표면 처리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광택 표면 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고, 무광택 표면 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다.Additionally, interior sheets ar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to protect the surface and provide aesthetics.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sheet is carried ou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in some cases, a high-gloss surface treatment is used, and in other cases, a matte surface treatment is used.

이러한 표면 처리에는 코팅의 방법을 이용하거나, 엠보싱 롤 또는 표면 조도가 큰 전사 필름을 활용하여 표면에 요철을 가하는 전사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is surface treatment can be done using a coating method or a transfer method that applies irregularities to the surface using an embossing roll or a transfer film with high surface roughness.

소광제를 이용하여 광택을 조절하는 직접 코팅 방식은 광택 감소에 따른 사용량의 증가와, 소광제의 소재 특성상 오염 물질의 흡착이 쉽고 사용량이 많을수록 외관의 품질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사 방식은 광택도 5 이하의 무광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광택도 10 내지 20의 반광 제품 외에 제품군이 다양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The direct coating method, which uses a matting agent to control gloss, has the problem of an increase in the amount used due to a decrease in gloss, and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matting agent make it easy for contaminants to be absorbed, and the more the amount used, the lower the appearance quality. In addition, the transfer method has limitations in realizing a matte design with a gloss level of 5 or less, 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duct line is not diverse other than semi-gloss products with a gloss level of 10 to 20.

따라서, 우수한 무광 효과와 내오염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into something that can simultaneously achieve excellent matting effect and stain resistance.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6913호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256913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5272호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75272

개시된 발명은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하며, 무광 엠보 효과가 있어서 별도의 코팅 공정 없이 제조가 가능한 인테리어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disclosed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interior sheet that has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stain resistance, and has a matte emboss effect,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without a separate coating process.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Additionally,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be derived from the description below.

개시된 내용은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표피층; 및 상기 표피층의 하단에 적층되며, PC 수지, ABS 수지 및 ASA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The disclosed content includes an epidermal layer comprising a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an interior sheet including a base layer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skin layer and containing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C resin, ABS resin, and ASA resin is presented as an example.

또한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표피층; 상기 표피층의 하단에 적층되며,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의 하단에 적층되며, ABS 수지 또는 ASA 수지를 포함하는 제2 기재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를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제시하며,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사이에 형성되며,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제3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a skin layer containing a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 first base layer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skin layer and containing an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an interior sheet including a second base layer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base layer and containing ABS resin or ASA resin is presented as another embodiment,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losure, the first base material It is formed between th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nd further includes a third base layer containing an impact-resistant PMMA resin.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interior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하며, 무광 엠보 효과가 있어서 별도의 코팅 공정 없이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t has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stain resistance, and has a matte emboss effect, so i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sheets without a separate coating proces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Figure 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interior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rior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rior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al effect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below,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인테리어 시트의 일 실시예는 도 1의 단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표피층(10); 및 상기 표피층의 하단에 적층되며, PC 수지, ABS 수지 및 ASA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interior sheet disclosed herein includes,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 skin layer 10 containing a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a base layer 20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skin layer and comprising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C resin, ABS resin, and ASA resin.

상기 인테리어 시트의 총 두께는 0.2~2 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otal thickness of the interior sheet is preferably 0.2 to 2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표피층(10)은 도 1을 참조해보면, 상기 인테리어 시트의 최외곽 상층에 위치하는 층으로,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하며, 무광 엠보 효과가 있어서 별도의 코팅 공정이 필요 없는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skin layer 10 is a layer located on the outermost upper layer of the interior sheet, and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thereby providing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contamination resistance, It has a matte embossing effect,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interior sheets that do not require a separate coating process.

상기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는 내충격성 PMMA 수지와 소광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다. The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is a resi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n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a matting agent.

상기 인테리어 시트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표피층(10)의 두께는 1.5~10%이고, 상기 기재층(20)의 두께는 90~98.5%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피층의 두께가 전체 두께의 1.5% 미만이면 표면강도가 약하며 엠보효과와 매트한 촉감 구현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져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유연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interior sheet,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10 is preferably 1.5 to 10%,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20 is preferably 90 to 98.5%,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f the thickness of the epidermal layer is less than 1.5% of the total thickness, the surface strength is weak and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the embossing effect and a matte texture. If it exceeds 10%, it becomes thicker than necessary, limiting application, reducing flexibility, and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s. Problems may arise.

상기 내충격성 PMMA 수지는 일반 PMMA 수지에 충격보강제가 포함된 형태의 것으로, 상기 충격보강제는 아크릴계 코어; 상기 아크릴계 코어를 둘러싸는 고무 코어; 상기 고무 코어를 둘러싸는 메타크릴계 쉘; 및 상기 메타크릴계 쉘을 둘러싸는 윤활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pact-resistant PMMA resin is a general PMMA resin containing an impact modifier, and the impact modifier includes an acrylic core; a rubber core surrounding the acrylic core; A methacrylic shell surrounding the rubber core; and a lubricating shell surrounding the methacrylic shell.

상기 아크릴계 코어는 상기 충격보강제의 가장 중심이 되는 물질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crylic core is the central material of the impact modifier and includes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and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 i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and n-butyl.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 hexyl acrylate, octyl 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고무 코어는 충격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아크릴계 코어에 포함되는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외에도,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C1-3의 알킬기로 치환된 알킬 스티렌 및 할로겐으로 치환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ubber core is added to ensure impact strength, and in addition to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 included in the acrylic core, it is substituted with styrene, α-methylstyrene, p-methylstyrene, vinyl toluene, and C1-3 alkyl group.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 styrene and halogen-substituted styrene.

상기 메타크릴계 쉘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thacrylic shell includes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and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 i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hexyl acrylate, and octyl acrylat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윤활 쉘은 상기 충격보강제와 수지의 상용성을 증가시켜 상기 내충격성 PMMA 수지의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윤활 쉘에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가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포스페이트염, 설포네이트염 또는 설페이트염일 수 있으며, 상기 포스페이트염으로는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포스페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포스페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설포네이트염으로는 소듐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알킬아릴나프탈렌 설포네이트, 소듐 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등일 수 있고, 상기 설페이트염으로는 소듐 알킬설페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페이드 등일 수 있다.The lubricating shell serves to increase compatibility between the impact modifier and the resin to prevent transparency of the impact-resistant PMMA resin from being impaired. The lubricating shell may contain emulsifiers that can be used in the art without limitation. The emulsifi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phosphate salt, a sulfonate salt, or a sulfate salt, and the phosphate salt may be sodium polyoxyethylene alkyl phosphate, sodium polyoxyethylene alkylaryl phosphate, etc. The sulfonate salt may be sodium alkylbenzene sulfonate, sodium alkylarylnaphthalene sulfonate, sodium dialkyl sulfosuccinate, etc., and the sulfate salt may be sodium alkyl sulfate, sodium polyoxyethylene alkyl sulfate, etc.

상기 내충격성 PMMA 수지는 용융지수가 230 ℃, 3.8kg에서 2.0~2.2 g/10min, 샤르피 충격강도가 2.5kJ/m2 이상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120,000g/mol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mpact-resistant PMMA resin is preferably a resin with a melt index of 2.0 to 2.2 g/10 min at 230°C and 3.8 kg, a Charpy impact strength of 2.5 kJ/m 2 or more,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120,000 g/mol. It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소광제(matting agent)는 상기 표피층의 표면에 조도를 부여하여 소광(무광, 엠보)효과를 구현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The matting agent is a substance that implements a matting (matte, embossing) effect by imparting roughness to the surface of the epidermal layer.

상기 소광제로는 유기 소광제, 무기 소광제 및 유-무기 복합 소광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드(bead) 형태로 된 소광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tting agent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ganic matting agents, inorganic matting agents, and 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ting agents.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ting agent in the form of beads.

상기 비드 형태로 된 소광제의 굴절률은 1.43~1.49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ting agent in the form of beads is preferably 1.43 to 1.49,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소광제의 평균입경은 0.5 ㎛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 ㎛ 내지 10 ㎛일 수 있다. 평균입경이 3 ㎛ 미만이면 소광 효과를 위해 많은 양의 소광제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평균입경이 10 ㎛이상이면 표면 촉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atting agent is preferably 0.5 ㎛ to 15 ㎛, more preferably 3 ㎛ to 10 ㎛.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3 ㎛, there may be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matting agent must be used for the matting effect, and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10 ㎛ or more, there may be a problem of poor surface feel.

상기 유기 소광제로는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테리어 시트의 내오염성 효과 증대의 측면에서 표면이 개질된 유기 소광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organic matting agen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epoxy, and urethane polym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erms of increasing the stain resistance effect of interior sheets, it may be desirable to use an organic matting agent with a modified surface.

상기 무기 소광제로는 실리카(SiO2), 실리케이트,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제올라이트 및 티타늄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테리어 시트의 내오염성 효과 증대의 측면에서 표면이 개질된 무기 소광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inorganic matting agen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SiO2), silicate, alumina (Al2O3), zirconia (ZrO2), zeolite, and titanium ox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erms of increasing the stain resistance effect of interior sheets, it may be desirable to use an inorganic matting agent with a modified surface.

상기 소광제는 상기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 중량의 1~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5~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소광제를 포함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의 내오염성 및 소광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tting agent may be included in 1 to 15% by weight of the weight of the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is preferably included in 5 to 10% by weight. By including a matting agent in an amount within the above range, the stain resistance and matting effect of the decor sheet using it can be effectively improved.

상기 표피층(10)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대로, 상기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두께 범위를 가짐으로써, 표면조도(表面粗度, 거칠기; Ra값)가 0.6~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1~1.5 ㎛일 수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kin layer 10 includes the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has the above thickness range, and has a surface roughness (Ra value) of 0.6 to 2.0 ㎛, , preferably 1 to 1.5 ㎛.

또한 상기 표피층의 투과도는 85~95%인 것이 바람직하며, 헤이즈(Haze)는 80~90%인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transmittance of the epidermal layer is preferably 85 to 95%, and the haze is preferably 80 to 90%.

상기 바람직한 범위의 표면조도, 투과도 및 헤이즈를 만족할 때, 상기 표피층은 효과적인 무광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desired range of surface roughness, transmittance, and haze is satisfied, the epidermal layer can exhibit effective matte characteristics.

상기 기재층(20)은 도 1을 참조해보면, 상기 인테리어 시트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 상기 표피층(10)의 하단에 적층되며, PC 수지, ABS 수지 및 ASA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이다.Referring to FIG. 1, the base layer 20 is a base layer of the interior sheet, is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skin layer 10, and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C resin, ABS resin, and ASA resin. This layer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the above resin.

상기 PC(Poly-carbonate;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는 투명하여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와 같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내후성이 뛰어나다. 또한 오일, 약산, 강산, 알칼리, 벤젠 및 알코올 등에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The PC (poly-carbonate) resin is transparent and ha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such as impact strength, and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resistant to oil, weak acids, strong acids, alkalis, benzene, and alcohol.

상기 PC 수지는 용융지수가 260℃, 1.2kg에서 5~10g/10min 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3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C resin preferably has a melt index of 5 to 10 g/10 min at 260°C and 1.2 kg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 to 30,000 g/m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는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후성 등이 뛰어나고, 특히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의 성형성과 착색 등 2차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에 해당한다. The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has excellent impac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and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moldability such as injection molding and extrusion molding and secondary processing such as coloring.

상기 ABS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에 스티렌 단량체 및 부타디엔 고무가 공중합 되어 있는 공중합체로, 각 성분의 비율을 조절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20 중량부에 대해, 부타디엔 고무 10~30 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40~6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제조한 ABS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S resin is a copolymer in which acrylonitrile monomer, styrene monomer, and butadiene rubber are copolymerized, and the ratio of each component can be adjusted to obtain desired physical propertie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use an ABS resin prepared by copolymerizing 10 to 30 parts by weight of butadiene rubber and 40 to 60 parts by weight of styrene monomer with 20 parts by weight of acrylonitrile monomer, but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ABS 수지는 용융지수가 220℃, 10kg에서 6~8g/10min, 굴곡탄성율은 2.4~2.6 Gpa,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21~30 kJ/m2,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20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S resin has a melt index of 6 to 8 g/10 min at 220°C and 10 kg, a flexural modulus of 2.4 to 2.6 Gpa, an Izod impact strength of 21 to 30 kJ/m 2 ,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200,000 g/mol. It is preferable, but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ASA(Acrylate-Styrene-Acrylonitrile;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수지는 일반 ABS 수준의 물성을 보이면서도, 우수한 내충격성 및 고내후성을 가지고 있어 장기적으로 안정된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지로, 옥외용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지에 해당한다.The ASA (Acrylate-Styrene-Acrylonitrile) resin has physical properties comparable to that of general ABS, but has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high weather resistance, so it can maintain stable physical properti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used as an outdoor exterior material. It corresponds to a widely used resin.

상기 ASA 수지는 용융지수가 220 ℃, 10kg에서 5~9g/10min, 및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6.0~25.0 kJ/m2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SA resin preferably has a melt index of 5 to 9 g/10 min at 220°C and 10 kg, and an Izod impact strength of 6.0 to 25.0 kJ/m 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경제성 측면에서, 상기 PC 수지, ABS 수지 및 ASA 수지 대신, 이들의 재사용(regrind)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so,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instead of the PC resin, ABS resin, and ASA resin, regrind resins may be us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costs.

상기 표피층(10)에는 활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방염제, 가소제 및 발포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kin layer 1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ubricants, antioxidants, flame retardants,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flame retardants, plasticizers, and foaming agents.

또한 상기 기재층(20)에는 안료, 펄 입자, 활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방염제, 가소제 및 발포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양은 용도와 기능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layer 2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gments, pearl particles, lubricants, antioxidants, flame retardants,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flame retardants, plasticizers, and foaming agents. The amount of the additiv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function.

상기 안료(pigment)는 착색제로 사용되는 것이며, 데코용 멀티시트가 사용되는 용도에서 요구되는 색에 따라 그 종류와 함량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The pigment is used as a colorant, and its type and conte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color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for which the decorative multi-sheet is used.

상기 안료의 종류로는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를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나, 안료의 수지 사이에의 은폐력과 가격 면에서 무기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안료는 발색성분이 무기질로 되어있는 것으로, 유기안료에 비해 은폐력이 크며 내열, 내광성 등이 우수하다. Both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can be used as the type of pigment, but it is preferable to use inorganic pigments in terms of the pigment's hiding power between resins and cost. Inorganic pigments are made up of inorganic coloring ingredients, and have greater hiding power and superior heat resistance and light resistance compared to organic pigments.

상기 유기안료의 종류로는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염료계, 축합다환계, 퀴나크리돈계, 니트로계 및 니트로소계, 블랙계통의 카본블랙, 램프블랙, 아세틸렌 블랙 및 채널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ypes of the organic pigments include azo-based, phthalocyanine-based, dye-based, condensed polycyclic, quinacridone-based, nitro-based and nitroso-based, black-based carbon black, lamp black, acetylene black and channel black. It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무기안료의 종류로는 금속류, 금속 산화물 및 황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코발트, 철, 크롬, 구 리, 아연, 납, 티타늄, 바나듐, 망간, 니켈, 탄산칼슘(CaCO3), 탈크(Talc), 황산바륨(BaSO4), 산화규소(SiO2), 수산화 알루미늄(Al(OH)3), 카오린, 백토(Clay), 이산화티타늄(TiO2), 카본블랙(Carbon Back), 산화철, 산화아연(ZnO) 및 연백(White lead)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ypes of the inorganic pigments include metals, metal oxides, and sulfides, and specifically, cobalt, iron, chromium, copper, zinc, lead, titanium, vanadium, manganese, nickel, calcium carbonate (CaCO3), and talc. (Talc), barium sulfate (BaSO4), silicon oxide (SiO2), aluminum hydroxide (Al(OH)3), kaolin, clay, titanium dioxide (TiO2), carbon black (Carbon Back), iron oxide, zinc oxid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nO) and white lead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마젠타계(Magenta)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 I. 피그먼트 레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19, 21, 22, 23, 30, 31, 32, 37, 38, 40, 41, 42, 48(Ca), 48(Mn), 57(Ca), 57:1, 88, 112, 114, 122, 123, 144, 146, 149, 150, 166, 168, 170, 171, 175, 176, 178, 179, 184, 185, 187, 202, 209, 219, 245,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19, 23, 32, 33, 36, 38, 43, 50 등이 있다.Magenta pigments include, for example, C.I. Pigment Re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19, 21, 22, 23, 30, 31, 32, 37, 38, 40, 41, 42, 48(Ca), 48(Mn), 57(Ca), 57:1, 88, 112, 114, 122, 123 144, 146, 149, 150, 166, 168, 170, 171, 175, 176, 178, 179, 184, 185, 185, 187, 202, 209, 219, 245, C. I. Pigment Violet 19, 23, 32, 33 , 36, 38, 43, 50, etc.

옐로우계(Yellow)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 I. 피그먼트 옐로우 1, 2, 3, 4, 5, 6, 7, 10, 11, 12, 13, 14, 16, 17, 24, 34, 35, 37, 53, 55, 65, 73, 74, 75, 81, 83, 93, 94, 95, 97, 98, 99, 108, 109, 110, 114, 117, 120, 124, 128, 129, 133, 138, 139, 147, 151, 153, 154, 167, 172, 180 등이 있다. Examples of yellow pigments include C.I. Pigment Yellow 1, 2, 3, 4, 5, 6, 7, 10, 11, 12, 13, 14, 16, 17, 24, 34, 35, 37, 53, 55, 65, 73, 74, 75, 81, 83, 93, 94, 95, 97, 98, 99, 108, 109, 110, 114, 117, 120, 124, 128, 129, 133, 138, There are 139, 147, 151, 153, 154, 167, 172, 180, etc.

시안계(Cyan)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 I. 피그먼트 블루 1, 2, 3, 15, 15:1, 15:2, 15:3, 15:34, 15:4, 16, 18, 22, 25, 60, 65, 66 등이 있다.Cyan pigments include, for example, C.I. Pigment Blue 1, 2, 3, 15, 15:1, 15:2, 15:3, 15:34, 15:4, 16, 18, 22, 25, There are 60, 65, 66, etc.

마젠타, 옐로우, 시안계가 아닌 다른 피그먼트로서는, 예를 들면, C. I. 피그먼트 그린 7, 10, C. I. 피그먼트 브라운 3, 5, 25, 26, C. I. 피그먼트 오렌지 1, 2, 5, 7, 13, 14, 15, 16, 24, 34, 36, 38, 40, 43, 63 등이 있다.Pigments other than magenta, yellow, and cyan include, for example, C.I. Pigment Green 7, 10, C.I. Pigment Brown 3, 5, 25, 26, C.I. Pigment Orange 1, 2, 5, 7, 13, There are 14, 15, 16, 24, 34, 36, 38, 40, 43, 63, etc.

블랙계(Key=Black) 안료로 카본블랙으로서 예를 들면, MCF88, No. 2300, 2200B, 900, 33, 40, 45, 52, MA7, 8, 100 등(이상 상품명, 미츠비시화학社) Raven 5750, 5250, 5000, 3500, 1255, 700 등(이상 상품명, 콜롬비아 카본社) Rega1 400 R, 330 R, 660 R, Mogul L, Monarch 700, 800, 880, 900, 1000, 1100, 1300, 1400 등(이상 상품명, 캐벗社) Color Black FW1, FW2, FW2V, FW18, FW200, S150, S160, S170, Printex 35, U, V, 140 U, Special Black 6, 5, 4A, 4등(이상 상품명, 데구社) 등이 있다.As a black pigment (Key=Black), carbon black is used, for example, MCF88, No. 2300, 2200B, 900, 33, 40, 45, 52, MA7, 8, 100, etc. (product name above, Mitsubishi Chemical Company) Raven 5750, 5250, 5000, 3500, 1255, 700, etc. (product name above, Columbia Carbon Company) Rega1 400 R, 330 R, 660 R, Mogul L, Monarch 700, 800, 880, 900, 1000, 1100, 1300, 1400, etc. (product names above, Cabot) Color Black FW1, FW2, FW2V, FW18, FW200, S150, There are S160, S170, Printex 35, U, V, 140 U, Special Black 6, 5, 4A, 4th (product name above, Degu Company), etc.

상기 안료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안료와 함께 혼합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안료의 평균입도는 0.005~15㎛, 바람직하게 0.05~5㎛의 범위일 수 있다. 안료의 평균입도가 0.005㎛미만이면, 수지에 분산되기 어려우며 유동성이 나쁠 수 있고, 15㎛를 초과하면, 원하는 색상 발현이 어려울 수 있다.The pigment may be used alone or mixed with other pigments. For exampl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igment may be in the range of 0.005 to 15 ㎛, preferably 0.05 to 5 ㎛. If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igment is less than 0.005㎛, it may be difficult to disperse in the resin and fluidity may be poor, and if it exceeds 15㎛, it may be difficult to develop the desired color.

상기 펄 입자는 햇빛, 조명 등에 의한 반사기능과, 시트층에 대한 우아함과 색감 등의 수려한 미관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펄 입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느낌 또는 금속 효과를 나타내는 플레이트 형상의 알루미늄 입자, 은 입자와 같은 금속 입자 또는 블랙, 실버, 화이트, 골드, 또는 블루 등의 다양한 색상과 입체감을 갖는 진주 안료 및 무기물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이면 사용 가능하다. The pearl particles are intended to provide beautiful aesthetic functions such as reflection by sunlight, lighting, etc., and elegance and color to the sheet layer. The pearl particles are commonly used plate-shaped aluminum particles showing a metallic feel or metallic effect, metal particles such as silver particles, or pearl pigments and minerals having various colors and three-dimensional effects such as black, silver, white, gold, or blue. It can be used as long as it consists of ingredients.

또한 상기 펄 입자의 점도는 800 내지 1200 cps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점도가 1200 cps를 초과하면 기재층 및 보강층의 두께 조절이 어렵고 코팅자국 등의 결함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고, 점도가 800 cps 미만이면 금속 입자의 침강 발생, 전사량 감소 등의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iscosity of the pearl particle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0 to 1200 cps. If the viscosity exceeds 1200 cps,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and reinforcing layer, and the probability of defects such as coating marks increases. If the viscosity is less than 800 cps, phenomena such as precipitation of metal particles and reduced transfer amount may occur. there is.

상기 펄 입자는 150 - 250미크론 크기의 플레이크(flake) 상태의 입자가 양호하며 입자크기가 작으면 펄 감이 저하되고, 입자 크기가 클 경우 펄 감은 좋으나 입자의 침강 발생 등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The pearl particles are good in the form of flakes with a size of 150 - 250 microns. If the particle size is small, the pearl feeling is deteriorated. If the particle size is large, the pearl feeling is good, but workability is poor, such as sedimentation of the particles. there is.

상기 활제는 수지를 가열 성형할 때 유동성을 좋게 하여 가공을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금속 스테아레이트계(metal stearate), 에스테르계(ester), 아마이드계(amide), 및 파라핀계(paraff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금속 스테아레이트계(metal stearat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판중인 활제로 예를 들어 Hi-Lube(신원화학), Mg-St(Songwon), Ca-St(Songwon), Zn-St(Songwon), AX-71(ADEKA사), Loxiol® P-861(Emery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lubricant is a substance used to improve fluidity and facilitate processing when heat molding a resin, and is available in the form of metal stearate, ester, amide, and paraffin. At least one of the above may be used, preferably a metal stearat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Commercially available lubricants include, for example, Hi-Lube (Shinwon Chemical), Mg-St (Songwon), Ca-St (Songwon), Zn-St (Songwon), AX-71 (ADEKA), Loxiol® P-861 ( Emery) etc. can be used.

상기 산화방지제는 수지가 공기와 반응하여 쉽게 산화반응되는 것을 막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페놀계, 아민계, 유황계, 포스페이트계 및 인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중인 산화방지제 중 페놀계로는 Irganox 1076(BASF), Irganox 1010(BASF), AO-60/AO-60G(ADEKA), ETHANOX® 310(ALBEMARLE) 등이 있고, 포스페이트계로는 Irgafos 168(BASF), ETHAPHOSTM 368(ALBEMARLE), Hostanox® P-EPQ® FF(Clariant) 등이 있다. The antioxidant is a substance added to prevent the resin from being easily oxidized by reacting with air and thus preventing quality deterioration. It can be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phenol-based, amine-based, sulfur-based, phosphate-based and phosphorus-based. Among commercially available antioxidants, phenol-based ones include Irganox 1076 (BASF), Irganox 1010 (BASF), AO-60/AO-60G (ADEKA), and ETHANOX® 310 (ALBEMARLE), and phosphate-based ones include Irgafos 168 (BASF). ), ETHAPHOSTM 368 (ALBEMARLE), Hostanox® P-EPQ® FF (Clariant), etc.

상기 산화방지제는 수지와 컴파운드 시에 1차 산화방지제와 2차 산화방지제로 나누어 처방한다. 상기 1차 산화방지제는 상기 페놀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1 내지 0.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산화방지제는 상기 포스페이트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1 내지 0.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tioxidants are divided into primary antioxidants and secondary antioxidants when compounding resins. The primary antioxidant is preferably of the phenol type, and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0.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The secondary antioxidant is preferably of the phosphate type, and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0.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데코용 멀티시트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의 단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표피층(10); 상기 표피층의 하단에 적층되며,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제1 기재층(21); 및 상기 제1 기재층의 하단에 적층되며, ABS 수지 또는 ASA 수지를 포함하는 제2 기재층(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sheet for decora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2 and 3, a skin layer 10 containing a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 first base layer (21)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skin layer and containing an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a second base layer 22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base layer and comprising ABS resin or ASA resin.

이 때, 상기 인테리어 시트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표피층(10)의 두께는 1.5~10%, 상기 제1 기재층(21)의 두께는 80~90%이며, 상기 제2 기재층(22)의 두께는 5~15%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피층(10)의 두께가 전체 두께의 1.5% 미만이면 표면강도가 약하며 엠보효과와 매트한 촉감 구현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져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유연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t this time, with respect to the entire thickness of the interior sheet,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10 is 1.5 to 10%,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21 is 80 to 90%,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22 is 1.5 to 10%. The thickness is preferably 5 to 15%,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thickness of the epidermal layer 10 is less than 1.5% of the total thickness, the surface strength is weak and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an emboss effect and a matte touch, and if it exceeds 10%, it becomes thicker than necessary, limiting application and reducing flexibility. This may lead to increased manufacturing costs.

또한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사이에 형성되며,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제3 기재층(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ase layer 23 form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nd containing an impact-resistant PMMA resin.

이 때, 상기 인테리어 시트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표피층(10)의 두께는 1.5~10%, 상기 제1 기재층(21)의 두께는 70~80%, 상기 제2 기재층(22)의 두께는 8~12%이며, 상기 제3 기재층(23)의 두께는 8~12%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피층(10)의 두께가 전체 두께의 1.5% 미만이면 표면강도가 약하며 엠보효과와 매트한 촉감 구현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져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유연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t this time, with respect to the entire thickness of the interior sheet,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10 is 1.5 to 10%,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21 is 70 to 80%,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22 is is 8 to 12%,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base layer 23 is preferably 8 to 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thickness of the epidermal layer 10 is less than 1.5% of the total thickness, the surface strength is weak and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an emboss effect and a matte touch, and if it exceeds 10%, it becomes thicker than necessary, limiting application and reducing flexibility. This may lead to increased manufacturing costs.

상기 인테리어 시트의 총 두께는 0.2~2 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otal thickness of the interior sheet is preferably 0.2 to 2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표피층(10)은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skin layer 10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sinc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description is omitted hereinafter.

상기 제1 기재층(21)은 상기 표피층의 하단에 적층되며,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여 인테리어 시트의 내스크래치성 등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충격성 PMMA 수지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The first base layer 21 is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skin layer and contains impact-resistant PMMA resin,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durability, such as scratch resistance, of the interior sheet. The impact-resistant PMMA resin is the same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상기 제2 기재층(22)은 상기 제1 기재층의 하단에 적층되며, ABS 수지 또는 ASA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ABS 수지 및 ASA 수지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The second base layer 22 is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base layer and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BS resin or ASA resin, and the ABS resin and ASA resi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detail above.

상기 제3 기재층(23)은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사이에 형성되며,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기재층(23)을 더 포함함으로써 인테리어 시트의 내충격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third base layer 2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nd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n impact-resistant PMMA resin. By further including the third base layer 23,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interior sheet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상기 표피층(10)에는 활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방염제, 가소제 및 발포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kin layer 1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ubricants, antioxidants, flame retardants,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flame retardants, plasticizers, and foaming agents.

상기 제 2 기재층 및 상기 제3 기재층에는 안료, 펄 입자, 활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방염제, 가소제 및 발포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ase layer and the third base layer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gments, pearl particles, lubricants, antioxidants, flame retardants,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flame retardants, plasticizers, and foaming agents. can do.

상기 첨가제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며, 상기 첨가제의 양은 용도와 기능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Since the additive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y are omitted hereinafter, and the amount of the additive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nterior sheet disclosed in FIGS. 1 to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인테리어 시트는 T-다이(T-die)를 이용한 공압출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압출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 표피층을 코팅하는 방식의 시트와 달리 표피층 보호를 위한 별도의 코팅이 필요하지 않으며, 제조된 시트의 광투과도, 내스크래치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고, 그 특성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압출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 열경화성 코팅 또는 자외선코팅 등을 하지 않기 때문에 후공정이 없어서 경제성, 작업성, 생산성이 좋고, 더불어 원가절감 효과가 있으며, 후성형에 용이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interior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manufactured by a co-extrusion method using a T-die. When manufactured using the co-extrusion method, unlike sheets that coat the outer skin layer, no separate coating is required to protect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light transmittance, scratch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of the manufactured sheet are excellent, and its properties are semi-permanent. There is an advantage. In addition, when manufactured by co-extrusion, there is no post-processing because thermosetting coating or ultraviolet coating is not used, so economic efficiency,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are good. In addition, there is a cost reduction effect and th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manufactured for easy post-molding. there is.

구체적으로 상기 표피층(10), 기재층(20), 제1 기재층(21), 제2 기재층(22) 및 제3 기재층(23)을 개별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제조하며, 이 때 압출기의 압출 성형온도는 240~2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각 층에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와 같은 수의 개별 압출기를 사용한다.Specifically, the skin layer 10, base layer 20, first base layer 21, second base layer 22, and third base layer 23 are manufactured by extruding using an individual extruder. The extrusion molding temperature of the extruder is preferably 240 to 280 ° C. Here, basically, a number of individual extruders are used equal to the type of resin used in each layer.

또한 상기에서 압출하여 제조된 각 층을 폴리싱 롤에서 합지하되, 합지 온도는 100~115℃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layer manufactured by extrusion above is laminated on a polishing roll, and the lamin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00 to 115°C.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인테리어 시트는 가구 마감재, 자동차의 내·외장재(루프박스), 가전 외장재(냉장고 등), 완구용 외장재 또는 욕조 등에 활용 가능하며, 가구 마감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terior shee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for furniture finishing materials, automobil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roof boxes), home appliance exterior materials (refrigerators, etc.), toy exterior materials or bathtubs, etc. It is preferable to use it as a furniture finishing material, but it is limited to this. no.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etter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or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 1] [Example 1]

메인 압출기에는 PC 수지, 서브 압출기에는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각각 압출기 성형온도 240℃ 에서 압출하고, T-다이에서 공압출 방식으로 성형하고 100℃의 폴리싱 롤에서 합지하여,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며 0.05mm 두께인 표피층 및 PC 수지를 포함하며 0.45mm 두께인 기재층을 포함하는, 전체 두께가 0.5mm인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한다.PC resin is extruded from the main extruder and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is extruded from the sub-extruder at a molding temperature of 240°C. They are molded by co-extrusion on a T-die and laminated on a polishing roll at 100°C to produce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 interior sheet having a total thickness of 0.5 mm is manufactured, including a sk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05 mm and a base layer containing a PC resin having a thickness of 0.45 mm.

[실시예 2][Example 2]

메인 압출기에는 내충격성 PMMA 수지, 서브1 압출기에는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 서브2 압출기에는 ABS 수지를 각각 압출기 성형온도 240℃ 에서 압출하고, T-다이에서 공압출 방식으로 성형하고 100℃의 폴리싱 롤에서 합지하여,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며 0.05mm 두께인 표피층,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며 0.85mm 두께인 제1 기재층, ABS 수지를 포함하며 0.1mm 두께인 제2 기재층을 포함하는, 전체 두께가 1mm인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한다.Impact-resistant PMMA resin is extruded in the main extruder,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is in the sub-1 extruder, and ABS resin is extruded in the sub-2 extruder at a molding temperature of 240°C. They are molded by co-extrusion in a T-die and polished at 100°C. Laminated in, comprising a skin layer containing a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having a thickness of 0.05 mm, a first base layer containing an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having a thickness of 0.85 mm, and a second base layer containing ABS resin and having a thickness of 0.1 mm. , manufacture interior sheets with a total thickness of 1 m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서브 압출기에 일반 PMMA 수지를 적용하여 압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데코용 멀티시트를 제조한다.A multi-sheet for decoration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general PMMA resin was applied to the sub-extruder for extrusion.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서브 압출기에 일반 내충격성 PMMA 수지를 적용하여 압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데코용 멀티시트를 제조한다.A multi-sheet for decoration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general impact-resistant PMMA resin was applied to the sub-extruder for extrusion.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서브 압출기에 일반 PMMA 수지를 적용하여 압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하게 데코용 멀티시트를 제조한다.A multi-sheet for decoration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general PMMA resin was applied to the sub-extruder and extruded.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서브 압출기에 일반 내충격성 PMMA 수지를 적용하여 압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하게 데코용 멀티시트를 제조한다.A multi-sheet for decoration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a general impact-resistant PMMA resin was applied to the sub-extruder for extrusion.

[실험예 1] 표면경도[Experimental Example 1] Surface hardness

ASTM D3363시험 규격에 따라 중량 1kgf로 연필경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외장용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H 이상의 등급이 필요하다.Pencil hardness was measured and evaluated with a weight of 1kgf according to ASTM D3363 test standards. For exterior application, a rating of H or higher is required.

[실험예 2] 내후성[Experimental Example 2] Weather resistance

Q-UV 시험기 (QUV/se, Q-LAB)로 UV 램프 340nm 파장을 이용하여, 광량을 0.71W/㎡, 1 cycle (UV mode 4hr, condensation 4hr) 으로 설정한 다음, 200시간 단위로 1000시간까지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종료 후 황변도 (Yellow index; YI) 변화량 (△YI)을 ASTM E313-73 규격에 따라 측정하여 값을 산출하였다.Using a Q-UV tester (QUV/se, Q-LAB) using a UV lamp with a wavelength of 340 nm, set the light quantity to 0.71 W/㎡, 1 cycle (UV mode 4hr, condensation 4hr), then run for 1000 hours in 200 hour increments. The test was carried out until. After completion of the test, the change in yellowing index (YI) (△YI) was measured and calculated according to ASTM E313-73 standard.

[실험예 3] 내오염성[Experimental Example 3] Contamination resistance

압출 시트 상측에 차(녹차), 커피, 수성매직, 유성매직 등을 일정량 도포한 후 상온 (23±2℃)에서 24시간 방치한 다음, 세척 후 건조하여 24시간 경과 후의 외관을 확인하여 외관 품질 정도를 탁월, 우수, 보통, 불량으로 표기하였다.After applying a certain amount of tea (green tea), coffee, water-based magic, oil-based magic, etc. to the upper side of the extruded sheet, leave it at room temperature (23 ± 2℃) for 24 hours, wash and dry, and check the appearance after 24 hours to check the appearance quality. The degree was expressed as excellent, excellent, average, and poor.

상기 물성 정도를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다.The degree of the above physical properties is expressed as follows.

◎ : 우수 / ○ : 보통 / △ : 미흡◎: Excellent / ○: Average / △: Insufficient

구분division 표면경도 (등급)Surface hardness (grade) 내후성weather resistance 내오염성Staining resistance 실시예 1Example 1 3H3H 실시예 2Example 2 3H3H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HH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H2H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HH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2H2H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경도, 내후성, 내오염성 등이 모두 우수하여 인테리어 시트로 적용하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the table above, Examples 1 and 2 were excellent in surface hardness, weather resistance, and stain resistance, making them suitable for use as interior sheets.

반면 비교예 1 및 비교예 3는 표피층에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지 않아, 표면경도, 내후성 및 내오염성이 실시예1 및 실시예 2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물성을 보여 외장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2 및 비교예 4는 실시예 1에 근접하는 물성을 보이나 표면경도, 내후성 및 내오염성에서 모두 실시예 1에 미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3 do not contain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in the skin layer, and the surface hardness, weather resistance, and contamination resistance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Examples 1 and 2, so they are not suitable for use as exterior materials. And it was found. In addition,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4 showed physical properties close to Example 1, but it was found that surface hardness, weather resistance, and stain resistance all fell short of Example 1.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is is not the ca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표피층
20: 기재층
21: 제1 기재층
22: 제2 기재층
23: 제3 기재층
10: Epidermal layer
20: base layer
21: first substrate layer
22: second substrate layer
23: Third substrate layer

Claims (7)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표피층; 및
PC 수지, ABS 수지 및 ASA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
A skin layer containing a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An interior sheet comprising a base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C resin, ABS resin, and ASA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시트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표피층의 두께는 1.5~10%이고,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90~9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nterior sheet, characterized in that,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interior sheet,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is 1.5 to 10%,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is 90 to 98.5%.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표피층;
상기 표피층의 하단에 적층되며,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의 하단에 적층되며, ABS 수지 또는 ASA 수지를 포함하는 제2 기재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
A skin layer containing a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A first base layer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skin layer and containing an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An interior sheet that is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base layer and includes a second base layer containing ABS resin or ASA res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사이에 형성되며, 내충격성 PMMA 수지를 포함하는 제3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interior shee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nd further includes a third base layer containing an impact-resistant PMMA res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시트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표피층의 두께는 1.5~10%, 상기 제1 기재층의 두께는 80~90%이며, 상기 제2 기재층의 두께는 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According to paragraph 3,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interior sheet,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is 1.5 to 10%,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is 80 to 90%,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is 5 to 15%. She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시트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표피층의 두께는 1.5~10%, 상기 제1 기재층의 두께는 70~80%, 상기 제2 기재층의 두께는 8~12%이며, 상기 제3 기재층의 두께는 8~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According to paragraph 4,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interior sheet,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is 1.5 to 10%,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is 70 to 80%,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is 8 to 12%, and the third base layer is An interior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8 to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 내충격성 PMMA 수지는 내충격성 PMMA 수지; 및
유기 소광제, 무기 소광제 및 유-무기 복합 소광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광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matte impact-resistant PMMA resin is an impact-resistant PMMA resin; and
An interior sheet comprising a matting agent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ganic matting agents, inorganic matting agents, and 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ting agents.
KR1020220051627A 2022-04-26 2022-04-26 interior sheet KR202301522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627A KR20230152222A (en) 2022-04-26 2022-04-26 interior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627A KR20230152222A (en) 2022-04-26 2022-04-26 interior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222A true KR20230152222A (en) 2023-11-03

Family

ID=8874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627A KR20230152222A (en) 2022-04-26 2022-04-26 interior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222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913B1 (en) 1997-12-03 2000-05-15 추두련 Sheet composite for a bathtub
KR100875272B1 (en) 2007-11-23 2008-12-23 세원정공 주식회사 Resin composition having pearl-like fee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913B1 (en) 1997-12-03 2000-05-15 추두련 Sheet composite for a bathtub
KR100875272B1 (en) 2007-11-23 2008-12-23 세원정공 주식회사 Resin composition having pearl-like fee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7031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EP1369224B1 (en) Light emitting diode signs and translucent plastic sheets used therein
US6649104B2 (en) Acrylic resin film and laminated film comprising the same
TW201326284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10226913B2 (en) Decorative sheet
JP2007326314A (en) Weather-resistant laminate sheet for metal coating and metal plate coated with same
JP5673146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JP6064495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JP5471719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JP2012166383A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ing using the same
JP7007950B2 (en) Pearl-like glossy film
KR100428639B1 (en) Multi-layered transparent sheet for exterior
KR20230152222A (en) interior sheet
JP2015163479A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JP6194571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JP6679834B2 (en) Decorative sheet and veneer
KR20230152221A (en) Multi sheet for decoration
KR101977793B1 (en) Non-glossy two-layer sheet comprising embossed PMMA skin layer
JPH10306192A (en) Film and molded item prepared therefrom
JP2000094596A (en) Decorative sheet
TW501970B (en) Acrylic resin film and laminated film comprising the same
KR101786152B1 (en) Decoration sheet
JP6383520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MXPA00003483A (en) Thermoplastic acrylic sheet compositions and their use as substitutes for high pressure decorative laminate.
US7465487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