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192A - 커큐민에 의한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 및 심근세포로의 분화 - Google Patents

커큐민에 의한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 및 심근세포로의 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192A
KR20230152192A KR1020220049356A KR20220049356A KR20230152192A KR 20230152192 A KR20230152192 A KR 20230152192A KR 1020220049356 A KR1020220049356 A KR 1020220049356A KR 20220049356 A KR20220049356 A KR 20220049356A KR 20230152192 A KR20230152192 A KR 20230152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composition
cells
group
he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화
황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셀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셀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셀랩
Priority to KR102022004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192A/ko
Publication of KR2023015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19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7Cardiomyocytes; Heart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4Muscles; Smooth muscle cells; Heart; Cardiac stem cells; Myoblasts; Myocytes; Cardiomy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1Epidermal growth factor [EG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65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9Small molecu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13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 C12N2506/1346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from mesenchymal stem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Rheu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큐민을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 조성물 및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해 줄기세포를 심근전구세포로 유도하거나 심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과 조성물에 의해 생성된 심근전구세포 및 심근세포는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큐민에 의한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 및 심근세포로의 분화{CURCUMIN LEADING TO INDUCE STEM CELLS INTO CARDIOMYOCYTE PROGENITOR CELLS AND DIFFERENTIATE INTO CARDIOMYOCYTES}
본 발명은 커큐민을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 조성물,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심장비대, 울혈성 심부전, 관상동맥 질환, 심근경색증 등의 심장 질환은 심근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인명 손실의 주요 원인이다. 심장 질환의 치료법으로는 관상동맥 재관류술이나 조영술 같은 침습적 시술이 주로 시행되고 있는데 심근의 이상을 해결하는 치료법은 아니어서 심장 질환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 다른 치료법으로 심장 이식이 있지만 장기 기증자의 수가 매우 적고, 당장 시급한 환자들에게는 기다릴 시간이 없기에 심장 이식 또한 제한적인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장질환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조직들과 다르게 심장 조직은 한번 손상되면 심근세포의 재생 가능성이 매우 낮아 복구가 어려우므로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심장 질환을 치료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그 치료 효율이 높지 않다. 또한,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있어 많은 물질이 소요되고, 사용되는 물질은 안정성 및 독성에 대한 문제가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다.
1. 국내등록특허 제10-2167257호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줄기세포를 심근전구세포 또는 심근세포로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하였고, 커큐민이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함과 동시에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성숙하기 전의 심근전구세포로 유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 및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심장 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에 의해 분화된 심근전구세포 또는 심근세포를 포함하는 심장 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 또는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또는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커큐민(Curcumin), 파모티딘(Famotidine) 및 켄파울론(Kenpaull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 및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줄기세포(Stem cells)"는 아직 분화되지 않은 미분화 세포로서, 자가 복제(Self-renewal)를 통한 무한 증식(Infinite proliferation)이 가능하고, 세포가 위치하는 환경의 영향을 받아 필요에 따라 적절한 신호가 주어질 경우 다양한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다분화 능력(Pluri-potency 또는 multi-potency)을 보유한 만능세포를 지칭한다.
상기 줄기세포는 자가 또는 동종 유래 줄기세포일 수 있으며, 인간 및 비인간 포유류를 포함한 임의 유형의 동물 유래일 수 있고, 상기 줄기세포가 성체로부터 유래된 것이든 배아로부터 유래된 것이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줄기세포는 유도만능 줄기세포, 배아 줄기세포, 성체 줄기세포 및 말초혈액 유래 줄기세포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성체 줄기세포일 수 있다. 상기 성체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 인간 조직 유래 중간엽 기질세포 (Mesenchymal stromal cell), 인간 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다분화능 줄기세포 또는 양막상피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성체 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말초혈액, 활막,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및 태반 등으로부터 유래된 줄기세포일 수 있으나, 이 역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 조직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성체 줄기세포(Adult stem cell)"는 발생과정이 진행되어 배아의 각 장기가 형성되는 단계 혹은 성체 단계에서 나타나는 줄기세포를 지칭한다. 성체 줄기세포는 그 분화능이 일반적으로 특정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로만 한정될 수 있고, 이러한 성체 줄기세포는 성인이 된 후에도 대부분의 장기에 남아 정상적으로 혹은 병리적으로 발생하는 세포의 손실을 보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조직 내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분리해 체외에서 배양한 것으로 다능성(Multipotency)을 가지는 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성체 줄기세포로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마우스, 토끼 등의 모든 유래의 성체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지방조직, 골수, 말초혈액, 또는 제대혈 등에서 분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중간엽 줄기세포"는 인간 또는 포유류의 조직으로부터 분리해 낸 미분화된 줄기세포로서, 다양한 조직에서 유래할 수 있다. 특히, 제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말초혈액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근육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신경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피부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양막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및 태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일 수 있으며, 각 조직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기술은 당해 업계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유도만능 줄기세포(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는 분화된 세포들로부터 인위적인 역분화 과정을 통해 다능성 분화능을 가지도록 유도된 세포들을 일컫는 말로서 역분화줄기세포라고도 한다. 인위적인 역분화 과정은 레트로바이러스 및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한 바이러스-매개 또는 비바이러스성 벡터 이용, 단백질 및 세포 추출물 등을 이용하는 비바이러스-매개 역분화 인자의 도입에 의해 수행되거나, 줄기세포 추출물, 화합물 등에 의한 역분화 과정을 포함한다.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배아 줄기세포와 거의 같은 특정을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비슷한 세포 모양을 보여주며, 유전자, 단백질 발현 패턴이 유사하며, 시험관 내(in vitro) 및 생체 내(in vivo)에서 전분화능을 가지며, 테라토마(Teratoma)를 형성하고, 마우스의 배반포(Blastocyst)에 삽입시켰을 때, 키메라(Chimera) 마우스를 형성하고, 유전자의 생식선 전이(Germline transmission)가 가능하다. 상기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마우스, 토끼 등의 모든 유래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배아 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는 수정란이 모체의 자궁에 착상하기 직전인 포배기 배아에서 내부세포괴(Inner cell mass)를 추출하여 체외에서 배양한 것으로서, 개체의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성(Pluripotent)이거나 전능성(Totipotent)이 있는 자가 복제능(Self-Renewal)을 갖는 세포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는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배아체(Embryoid Bodies)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아 줄기세포로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마우스, 토끼 등의 모든 유래의 배아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커큐민(Curcumin)"은 강황의 뿌리에서 추출물 폴리페놀(Polyphenol)류의 일종으로 FDA 및 국내에 식품 원료로 등록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유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큐민은 항종양, 항염증, 항산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줄기세포를 심근세포 및 심근전구세포로 분화시키는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상기 커큐민은 줄기세포를 심근전구세포로 유도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한, 조성물에 적절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큐민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50 u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uM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큐민, 파모티딘 및 켄파울론은 모두 GSK-3β (Glycogen synthase kinase 3β) 억제제이다.
한편, 상기 성장인자는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전환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표피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EGF)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장인자는 표피 성장인자 및/또는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일 수 있다.
상기 EGF가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를 위한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상기 EGF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ng으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FGF가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를 위한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상기 FGF의 함량은 0.1 내지 100 ng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를 위한 조성물은 커큐민 및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그 조성비가 제한되지 않으나, 기본 배지에 1 내지 20%의 FBS, 커큐민, EGF, FGF, VEGF, SGF 등의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본 배지에 커큐민, EGF 및 FGF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FBS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로로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기본 배지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80% knockout DMEM, MEM (Minimal Essential Medium), BME (Basal Medium Eagle), RPMI 1640, F-10, F-12, DMEM-F12, α-MEM (α-Minimal Essential Medium), G-MEM (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IMD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MacCoy's 5A 배지, AmnioMax Medium, 및 Chang's Medium MesemCult-XF Medium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당업계에서 줄기세포의 배양에 이용되는 배지라면 비제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를 위한 조성물은 커큐민의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세포 배양에 유용한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줄기세포를 배지에서 배양한 후 커큐민을 줄기세포가 함유된 배지에 투여하여 커큐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세포 생존능에 있어서 대조군 대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커큐민이 세포독성 없이 생체 적합성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줄기세포를 커큐민, EGF 및 FGF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GATA4, MYL2, TBX5 및 cTnT 유전자의 발현 수준이 대조군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여 줄기세포가 심근전구세포로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4b 및 도 4c).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를 심근전구세포로 유도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심근전구세포를 제공한다.
상기 배양은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에 줄기세포를 접종한 후 적절한 조건에서 줄기세포를 증식시키는 과정을 의미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포 배양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커큐민 및 파모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은 전술한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므로 이 둘 사이에 중복되는 내용은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커큐민은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유도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한, 조성물에 적절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큐민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50 u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uM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분화(Differentiation)"란 세포가 분열 증식하여 성장하는 동안에 서로 구조나 기능이 특수화하는 현상, 즉 생물의 세포, 조직 등이 각각에게 주어진 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형태나 기능이 변해가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분화는 줄기세포에서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줄기세포를 커큐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GATA4, MYL2, Cx43 및 cTnT 유전자의 발현 수준이 대조군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여 줄기세포가 심근세포로 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3b 및 도 3c).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심근세포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GATA4, TBX5, MYL2, Nkx2.5, Connexin43, Ser/Ca, ACTN1 또는 cTnT는 심근분화 또는 심근세포의 표지유전자 또는 심근 분화 마커이다. GATA4, TBX5와 Nkx2.5는 심장 형성 및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로 GATA4와 TBX5가 지나치게 억제되었을 경우에는 심장 및 전기적 신호 시스템의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심근이 약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cTnT는 심장 특이적 표지마커로서 성숙한 심근세포의 주요 유형 단백질이다. Connexin43과 Ser/Ca는 심근세포의 전기적 신호에 대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마커로서 Connexin43은 심장내의 간극접합을 형성하기 위한 중요한 심장표면 단백질이고 Ser/Ca는 Ca 이온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전기적 신호를 유지 및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Forough Reza et al. Cardiac biomarkers: a focus on cardiac regeneration. The journal of Tehran Heart Center 2011).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 줄기세포를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에서 배양하여 유도된 심근전구세포,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또는 줄기세포를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에서 배양하여 분화된 심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심장 관련 질환은 허혈성 심장질환, 협심증, 관상동맥 질환,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심부전, 심근염, 심낭염, 허혈성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심장 관련 질환의 진행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심장 관련 질환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비경구용 제형일 수 있다. 비경구용 제형으로는 주사용, 도포용, 에어로졸, 패치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주사형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장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장 질환은 허혈성 심장질환, 협심증, 관상동맥 질환,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심부전, 심근염, 심낭염, 허혈성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체"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심장 관련 질환을 가진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등의 동물 또는 인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심장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인간 또는 동물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윤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 값은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균등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커큐민을 포함함으로써 줄기세포를 심근전구세포로 유도하거나 또는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조성물에 의하여 생성된 심근전구세포 또는 심근세포는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줄기세포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서, 줄기세포의 성상을 보여준다.
도 1b는 줄기세포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서, 줄기세포가 발현하는 면역표현형에 있어서 CD29, CD73, CD90, CD105에 대하여는 양성반응, CD31, CD34, CD45에 대하여는 음성반응을 보여준다.
도 1c는 본원발명에서 사용한 줄기세포를 6계대까지 배양한 후 유전적인 결함이 없음을 확인한 결과이며, 본원발명의 줄기세포가 안정함을 보여준다.
도 2는 커큐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a는 커큐민을 이용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유도 용도 중 심근세포의 성상을 보여준다.
도 3b는 커큐민을 이용한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유도 용도 중 면역형광염색으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c는 커큐민을 이용한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유도 용도 중 유전자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a는 커큐민을 이용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분화유도 용도 중 심근전구세포의 성상을 보여준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심근전구세포의 세포 밀도가 80% 정도 되었을 때와 계대를 넘기고 나서 면역형광염색으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심근전구세포의 세포 밀도가 80% 정도 되었을 때와 계대를 넘기고 나서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커큐민의 세포독성 확인
줄기세포 (병원으로부터 비영리 목적의 환자 치료를 위해 기증받은 조직으로부터 채취)를 1 내지 20% FBS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80% 이상 부착시켜 배양하였다.
이후 TrypLE로 세포를 회수하고, 계수하여 96 well plate에 1x10³ cells/well 농도로 시딩(seeding)하여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이후 각 웰에 커큐민을 농도에 따라 처리하여 특정 시간(최대 72시간)동안 세포독성을 확인하고, Cell Counting Kit-8 (DOJINDO, Cat.No. CK04-13)을 10 ㎕/well씩 처리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흡광계(Bio-Tek, Epoch2)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정량적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커큐민을 20 μM까지 처리하여도 줄기세포에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2: 커큐민을 이용한 줄기세포의 심근세포 분화 유도
줄기세포(병원으로부터 비영리 목적의 환자 치료를 위해 기증받은 조직으로부터 채취)를 1 내지 20% FBS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80% 이상 부착시켜 배양하였다.
이후 TrypLE로 세포를 회수하고, 계수하여 6 well plate에 5X104 cells/well 농도로 시딩(seeding)하여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이후 각 웰에 커큐민을 10 또는 20 μM 농도로 처리하여 6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뒤, 커큐민이 없는 배지로 교체하였다. 분화는 28일 동안 분화를 유도하였으며, 배지는 2일 내지 3일 간격으로 교체하였다.
28일 동안 분화 유도한 줄기세포를 DPBS로 수세하고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로 30분 동안 고정시켰다. 고정이 완료된 줄기세포에 0.05% Triton X-100을 처리하여 10분 동안 막투과 (Permeabilization)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후 1차 항체를 처리하여 1시간 내지 1일 동안 반응시켰다. 사용한 1차 항체는 GATA4 (GATA binding protein 4), MYL2 (Myosin Light Chain 2), Cx43 (Connexin43) 및 cTnT (Cardiac troponin T) 항체이다. 반응이 끝나면 PBS로 줄기세포를 3회 수세하고 2차 형광 항체와 반응시켰다. 줄기세포를 PBS로 다시 3회 수세하고 DAPI(4′,6-diamidino-2-phenylindole)로 5분 동안 염색한 후 PBS로 3회 수세하였다. 줄기세포 위에 Vectashield를 흩뿌린 후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28일 동안 분화 유도한 줄기세포의 mRNA를 추출하여 Real-time qPCR로 유전자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에 따라 세포가 밀집되는 성상을 확인하였으며(도 3a), 대조군과 비교하여 심근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실험군에서는 GATA4, MYL2, Cx43, cTnT이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b 및 도 3c).
실시예 3: 커큐민을 이용한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 분화 유도
줄기세포 (병원으로부터 비영리 목적의 환자 치료를 위해 기증받은 조직으로부터 채취)를 1 내지 20% FBS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80% 이상 부착시켜 배양하였다. 이후, TrypLE로 줄기세포를 회수하여 계수하였다. 이후, 커큐민 0.1 내지 20 μM과 EGF 0.1 내지 100 ng, FGF 0.1 내지 100 ng 등 성장인자가 함유된 배지로 줄기세포를 플라스크에 부유시켰다. 줄기세포를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6 내지 72시간 동안 부착시키고, 이후 커큐민이 없는 배지로 교체하였다. 줄기세포 배양은 세포 밀도가 70 내지 80%까지 되도록 하였으며, 배지는 2 내지 3일 간격으로 교체해주며 배양하였다. 이를 1 내지 3계대 반복하였다.
그 결과, 커큐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줄기세포가 심근전구세포로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분화 유도된 심근전구세포의 세포 성상(도 4a)을 확인하였고,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통해 GATA4, MYL2, TBX5 (T-box transcription factor 5), cTnT가 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b 및 4c).

Claims (14)

  1. 커큐민(Curcumin), 파모티딘(Famotidine) 및 켄파울론(Kenpaull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 및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전환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표피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EGF)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FG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성체 줄기세포 (Adults stem cell), 배아 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pluripotent stem cell) 및 말초혈액유래 줄기세포(Peripheral blood derived stem cel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체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인,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
  4. 커큐민 및 파모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성체 줄기세포, 배아 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및 말초혈액유래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체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인,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7. 커큐민, 파모티딘 및 켄파울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 및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VEGF), 전환 성장인자 (TGF-β), 표피 성장인자 (EGF)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G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에 의해 분화된 심근전구세포로서,
    상기 줄기세포는 성체 줄기세포, 배아 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및 말초혈액유래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심근전구세포.
  8. 커큐민 및 파모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에 의해 분화된 심근세포로서,
    상기 줄기세포는 성체 줄기세포, 배아 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및 말초혈액유래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심근세포.
  9. 커큐민, 파모티딘 및 켄파울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 및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VEGF), 전환 성장인자 (TGF-), 표피 성장인자 (EGF)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G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심장 관련 질환은 허혈성 심장질환, 협심증, 관상동맥 질환,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심부전, 심근염, 심낭염, 허혈성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커큐민 및 파모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심장 관련 질환은 허혈성 심장질환, 협심증, 관상동맥 질환,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심부전, 심근염, 심낭염, 허혈성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7항에 따른 심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심장 관련 질환은 허혈성 심장질환, 협심증, 관상동맥 질환,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심부전, 심근염, 심낭염, 허혈성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8항에 따른 심근세포를 포함하는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심장 관련 질환은 허혈성 심장질환, 협심증, 관상동맥 질환,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심부전, 심근염, 심낭염, 허혈성 재관류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커큐민, 파모티딘 및 켄파울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 및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VEGF), 전환 성장인자 (TGF-β), 표피 성장인자 (EGF)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G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용 조성물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를 심근전구세포로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줄기세포는 성체 줄기세포, 배아 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및 말초혈액유래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줄기세포를 심근전구세포로 유도하는 방법.
  14. 커큐민 및 파모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줄기세포는 성체 줄기세포, 배아 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및 말초혈액유래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KR1020220049356A 2022-04-21 2022-04-21 커큐민에 의한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 및 심근세포로의 분화 KR20230152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356A KR20230152192A (ko) 2022-04-21 2022-04-21 커큐민에 의한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 및 심근세포로의 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356A KR20230152192A (ko) 2022-04-21 2022-04-21 커큐민에 의한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 및 심근세포로의 분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192A true KR20230152192A (ko) 2023-11-03

Family

ID=8874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356A KR20230152192A (ko) 2022-04-21 2022-04-21 커큐민에 의한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 및 심근세포로의 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21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257B1 (ko) 2019-05-28 2020-10-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마티딘 처리를 통한 줄기세포의 성숙화된 심근세포로의 분화유도 촉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257B1 (ko) 2019-05-28 2020-10-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마티딘 처리를 통한 줄기세포의 성숙화된 심근세포로의 분화유도 촉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Paracrine effect of inflammatory cytokine-activated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and its role in osteoblast function
Deasy et al. Long-term self-renewal of postnatal muscle-derived stem cells
Chen et al. Transplantation of bone marrow stromal cells for peripheral nerve repair
Pittenger Mesenchymal stem cells from adult bone marrow
US8455251B2 (en) Method for isolating and culturing adult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amniotic epithelium
Zhang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non-adherent BM-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tissue regeneration
JP2008528041A (ja) 内皮細胞の性質を示す脂肪由来成体間質細胞
Moon et al. A system for treating ischemic disease using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endothelial cells without direct incorporation
KR101697141B1 (ko) 연골 재생용 세포 치료제
KR20200012991A (ko) 개과동물 양막-유래 다분화능 줄기세포
JP2017104091A (ja) 間葉系細胞の製造方法
AU2018289935A1 (en) Treatment agent for epidermolysis bullosa
Xie et al. In vitro expanded skeletal myogenic progenitors from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teratomas have high engraftment capacity
KR20140070794A (ko) 탯줄 유래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근위축 질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ncedda et al. Transit Amplifying Cells (TACs): a still not fully understood cell population
KR20120006386A (ko) 1기 태반조직 유래 줄기세포 및 이를 함유하는 세포치료제
Takeda et al. Osteogenic potential of human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romal cells cultured in autologous serum: A preliminary study
Gao et al. Multilineage potential research on pancreatic mesenchymal stem cells of bovine
US11351119B2 (en) Stem cell-derived microvesicles with enhanced efficacy, use thereof, and method for enhancing efficacy
KR101879517B1 (ko) 중간엽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KR20230152192A (ko) 커큐민에 의한 줄기세포의 심근전구세포로의 유도 및 심근세포로의 분화
KR102637401B1 (ko) 레노그라스팀에 의한 줄기세포의 운동신경전구세포로의 유도 및 운동신경세포로의 분화
KR100939361B1 (ko) 여성의 소음순 유래 성체세포로부터 리프로그래밍의 과정을통해 혈관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혈관 줄기세포를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분화된 세포의 세포 치료제로서의용도
US20240010986A1 (en) Early mesenchymal stem cells with reduced aging and preserved stem cell ability, and culturing method therefor
WO2023163559A1 (ko) 무혈청배지를 이용한 줄기세포 배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