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847A - 레이어 이펙트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을 지닌 3d 에셋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어 이펙트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을 지닌 3d 에셋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847A
KR20230151847A KR1020220051701A KR20220051701A KR20230151847A KR 20230151847 A KR20230151847 A KR 20230151847A KR 1020220051701 A KR1020220051701 A KR 1020220051701A KR 20220051701 A KR20220051701 A KR 20220051701A KR 20230151847 A KR20230151847 A KR 20230151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file
file format
information
page
bezier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필
Priority to KR102022005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847A/ko
Publication of KR2023015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31Fragmentation of text files, e.g. creating reusable text-blocks; Linking to fragments, e.g. using XInclude; Namesp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34Hyperl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예를 들어, 상기 문서 파일 포맷은 체리픽 포맷으로 지칭될 수 있다)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텍스트, 이미지(영상), 음성, 동영상, 및/또는 3D 에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D 에셋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bezier curve vector shap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들은 페이지 내 위치 정보 및/또는 액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션 정보는 하이퍼링크 정보, 미디어 컨트롤 정보, 3D 회전 정보, 및/또는 효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어 이펙트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을 지닌 3D 에셋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METHOD FOR GENERATING FILE HAVING FILE FORMAT INCLUDING LAYER EFFECT AND 3D ASSET CARRYING BEZIER CURVE VECTOR SHAPE AS ELEMENT}
본 문서는 레이어 이펙트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을 지닌 3D 에셋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펜 인터렉션을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디지털 노트 서식, DRM 플랫폼에서 접할 수 없는 전공 서적 등의 pdf 파일, 디지털 스티커 등)는 지금까지 보통 파일 채로 공유 또는 판매되기 때문에 무단 배포에 취약하다.
또한, 디지털 문서의 확장성 측면에서, 가장 흔히 활용되는 디지털 문서 포맷인 pdf은, 그 범용성에 있어 뛰어나지만 크리에이터가 디지털로 표현하고 싶은 내용(예를 들어, 형태가 고정된 하이퍼링크 버튼, 페이지 내에서만 동작하는 음성&영상 미디어, 레이머 별로 나누어 활용 및 편집할 수 있는 이미지 정보, 페이지 내에서 동작하는 3D 에셋 등)을 담기에는 기능적 한계가 존재한다.
본 문서의 목적은 레이어 이펙트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을 지닌 3D 에셋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예를 들어, 상기 문서 파일 포맷은 체리픽 포맷으로 지칭될 수 있다)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텍스트, 이미지(영상), 음성, 동영상, 및/또는 3D 에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D 에셋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bezier curve vector shap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들은 페이지 내 위치 정보 및/또는 액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션 정보는 하이퍼링크 정보, 미디어 컨트롤 정보, 3D 회전 정보, 및/또는 효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새로운 문서에 담을 수 있는 정보의 확장성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텍스트, 이미지 외에 베지어 커브(Bezier Curve) 형태의 외형에 맵핑(mapping)된 하이퍼링크 정보, 음성, 영상, 3D 에셋(asset), 및 플랫폼 자체 포맷이기에 제공할 수 있는 사용된 상품 정보 등 다양한 정보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이퍼링크 서식, 인터렉티브 웹툰, 플레이리스트나 룩북의 상품화 등 펜 인터렉션으로 생산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예를 들어, 도 1의 방법은 S110 단계, S210 단계, S310 단계, S410 단계, 및 S51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파일 포맷에 포함되는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는 빈 페이지일 수 있다. 즉, S110 단계에서,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파일 포맷에 포함되는 빈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상기 문서 파일 포맷에 레이어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서 파일 포맷은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상기 레이어에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들은 텍스트, 이미지(영상), 음성, 동영상, 및/또는 3D 에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D 에셋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bezier curve vector shape)을 가질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상기 레이어에 액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션 정보는 하이퍼링크 정보, 미디어 컨트롤 정보, 3D 회전 정보, 및/또는 효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문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문서 파일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문서 파일 포맷은 체리픽 포맷, 체리픽 문서 파일 포맷, 체리픽 파일 포맷, 또는 '.chp' 포맷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즉, S510 단계에서,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예를 들어, 상기 문서 파일 포맷은 체리픽 포맷으로 지칭될 수 있다)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텍스트, 이미지(영상), 음성, 동영상, 및/또는 3D 에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D 에셋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bezier curve vector shap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들은 페이지 내 위치 정보 및/또는 액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션 정보는 하이퍼링크 정보, 미디어 컨트롤 정보, 3D 회전 정보, 및/또는 효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문서 파일 포맷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텍스트, 이미지(영상), 음성, 동영상, 및/또는 3D 에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D 에셋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bezier curve vector shap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들은 페이지 내 위치 정보 및/또는 액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션 정보는 하이퍼링크 정보, 미디어 컨트롤 정보, 3D 회전 정보, 및/또는 효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레이어 이펙트(layer effect)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bezier curve vector shape)을 지닌 3D 에셋(asset)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document file formet)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051701A 2022-04-26 2022-04-26 레이어 이펙트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을 지닌 3d 에셋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KR20230151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701A KR20230151847A (ko) 2022-04-26 2022-04-26 레이어 이펙트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을 지닌 3d 에셋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701A KR20230151847A (ko) 2022-04-26 2022-04-26 레이어 이펙트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을 지닌 3d 에셋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847A true KR20230151847A (ko) 2023-11-02

Family

ID=8874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701A KR20230151847A (ko) 2022-04-26 2022-04-26 레이어 이펙트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을 지닌 3d 에셋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8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304803A (ja) マルチメディア書類を構成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4318867A (ja) マルチメディア書類の共有方法及び装置
JP2007166541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227525B1 (ko) 증강 현실과 가상 현실을 이용한 문서 작성 시스템 및 그 방법
Cramer The creative common misunderstanding
US8464175B2 (en) Journal display having three dimensional appearance
KR20230151847A (ko) 레이어 이펙트와 베지어 커브 벡터 외형을 지닌 3d 에셋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문서 파일 포맷을 가지는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CN105740317A (zh) 用于将非文本内容对象化以及用于文档发现的方法和系统
Lippman Cannibalizing copyright? Vernacularizing open intellectual property in Brazil (Respond to this article at http://www. therai. org. uk/at/debate)
KR100955750B1 (ko) 문서 컨텐트의 복수 렌디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657221B2 (en) Display edit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display edit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Roland Facsimile editions: gesture and projection
CN108537053B (zh) 一种基于文档的延迟水印添加技术
McGrail et al. Overwrought copyright: Why copyright law from the Analog Age does not work in the Digital Age’s society and classroom
JP2006005670A (ja)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
JP2006048465A (ja) 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ooistra The politics of ornament: remediation and/in The Evergreen
Davidson SGML authoring tools for technical communication
JP6320586B1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媒体セット
Grima Communicating environmental awareness through social media
JP2001030587A (ja) 情報処理装置
Muenchrath Cut, Copyright, Paste: Proliferating Print Networks in Susan Howe's" Melville's Marginalia"
WO2019193633A1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媒体セット
PANYATA et al. Culture in Common Objects
Loo A Social History of the Ise Shrines: Divine Capital, by Mark Teeuwen and John Br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