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674A -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674A
KR20230151674A KR1020220051296A KR20220051296A KR20230151674A KR 20230151674 A KR20230151674 A KR 20230151674A KR 1020220051296 A KR1020220051296 A KR 1020220051296A KR 20220051296 A KR20220051296 A KR 20220051296A KR 20230151674 A KR20230151674 A KR 20230151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support
tray
support le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욱
김주미
Original Assignee
(주)오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빌 filed Critical (주)오빌
Priority to KR102022005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674A/ko
Publication of KR20230151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46Picnic 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너몸체와, 상기 버너몸체에 연결되도록 상기 버너몸체의 상측에 형성된 버너헤드와, 각각 상기 버너몸체의 상측에서 상기 버너헤드를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용기받침다리를 갖는 버너에 사용하기 위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일 영역에 헤드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너헤드를 상기 헤드노출공의 하측에서 접근하여 상기 헤드노출공을 통해 상방향으로 노출시킬 때 상기 용기받침다리가 상방향으로 통과하는 받침다리통과홈이 상기 헤드노출공의 내주면에 절취 형성된 버너트레이바디부를 구비한 버너트레이부재와; 상기 받침다리통과홈을 상방향으로 통과한 용기받침다리와 상기 버너트레이바디부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받침다리통과홈에 교차하도록 설치된 받침다리지지봉부재와; 상기 버너트레이부재를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트레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와 버너트레이부재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Burner with Legs on which a Cooker is put}
본 발명은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너의 상측에 설치되는 조리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용기받침다리를 갖는 버너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캠핑 등과 같이 사람들이 집을 떠나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야외활동 중에 버너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게 된다.
버너를 사용하여 조리할 때 음식이 담긴 조리용기는 버너의 상측에 설치되는 데,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버너의 상측에 설치하기 위해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용기받침다리를 갖는 버너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기받침다리를 갖는 버너를 용기받침다리형 버너라고 한다.
도10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의 사진이다.
용기받침다리형 버너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받침다리(201)에 더하여 버너몸체(202)와, 버너몸체(202)에 연결되도록 버너몸체(202)의 상측에 형성된 버너헤드(203)를 갖고 있다.
용기받침다리형 버너는 버너몸체(202)에 연결되도록 버너몸체(202)의 하측에 형성된 버너다리부(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받침다리(201)는 버너다리부(204) 또는 버너몸체(202)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용기받침다리(201)의 형성은 버너헤드(203)를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고, 버너헤드(203)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버너몸체(202)에는 연료공급수단(호스, 가스통체결어댑터, 연료공급유로 등), 연료점화수단, 화력조절수단, 안전수단(과열방지센서 등) 등이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버너헤드(203)에는 다수의 염공(焰孔, Burner Port)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받침다리형 버너는 버너몸체(202, 버너다리부가 없는 경우)를 통해 또는 버너다리부(204)를 통해 지지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별도로 마련된 지지장치를 통해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면은 지면 등과 같이 평평한 곳을 의미한다.
도9는 종래의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종래의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버너트레이바디부(111)를 구비한 버너트레이부재(110)와, 버너트레이부재(110)를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트레이지지부(140)를 갖고 있다.
버너트레이부재(110)는 버너트레이바디부(111)에 더하여 버너트레이바디부(111)의 두변으로부터 1회 절곡 형성된 지지절곡부(112)와, 버너트레이바디부(111)의 나머지 두변으로부터 2회 절곡 형성된 다리고정절곡부(113)를 갖고 있다.
버너트레이바디부(111)는 좌측영역에 헤드노출공(111a)이 형성되고, 헤드노출공(111a)의 내주면에는 4개의 받침다리통과홈(111b)이 절취 형성된다.
받침다리통과홈(111b)의 형성은 버너헤드(203)를 헤드노출공(111a)의 하측에서 접근하여 헤드노출공(111a)을 통해 상방향으로 노출시킬 때 용기받침다리(201)가 상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트레이지지부(140)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각 트레이지지부(140)는 지지수평부(141)와, 지지수평부(141)의 양단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지지수직부(142)와, 지지수직부(142)의 양단으로부터 지지수평부(141)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체결절곡부(143)를 갖고 있다.
지지수직부(142)의 길이구간은 용기받침다리(201)가 받침다리통과홈(111b)을 상방향으로 통과한 상태에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가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트레이지지부(140)는 각각 체결절곡부(143)가 버너트레이바디부(111)의 저면과 다리고정절곡부(113) 사이에 진입하도록 버너트레이부재(110)에 결합된다.
버너트레이부재(110)에 결합된 트레이지지부(140)는 지지수평부(141)가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너트레이부재(110)에 트레이지지부(1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지지수평부(141)가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트레이지지부(130)가 결합된 버너트레이부재(110)를 설치한다.
다음에 용기받침다리(201)가 받침다리통과홈(111b)을 상방향으로 통과하고 버너헤드(203)가 헤드노출공(111a)을 통해 상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를 설치한다.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의 설치는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용기받침다리(201)에 올려놓은 다음,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를 점화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점화에 필요한 연료는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를 지지면에 설치하기 전 등 적절한 시기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에 따르면, 버너트레이부재(11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용기받침다리(201)가 받침다리통과홈(111b)을 통과하기 때문에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와 버너트레이부재(110)를 각각 이동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5794호(공개일자: 2013년 10월 08일, 고안의 명칭: 확장기능을 가지는 야외테이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8510호(공개일자: 2015년 09월 30일, 발명의 명칭: 휴대가능한 아웃도어용 테이블 겸용 버너스탠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와 버너트레이부재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버너몸체와, 상기 버너몸체에 연결되도록 상기 버너몸체의 상측에 형성된 버너헤드와, 각각 상기 버너몸체의 상측에서 상기 버너헤드를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용기받침다리를 갖는 버너에 사용하기 위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일 영역에 헤드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너헤드를 상기 헤드노출공의 하측에서 접근하여 상기 헤드노출공을 통해 상방향으로 노출시킬 때 상기 용기받침다리가 상방향으로 통과하는 받침다리통과홈이 상기 헤드노출공의 내주면에 절취 형성된 버너트레이바디부를 구비한 버너트레이부재와; 상기 받침다리통과홈을 상방향으로 통과한 용기받침다리와 상기 버너트레이바디부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받침다리통과홈에 교차하도록 설치된 받침다리지지봉부재와; 상기 버너트레이부재를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트레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버너설치작업이 용이해지고 지지면에 대한 버너트레이부재의 설치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지지부는 용기받침다리형 버너가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버너트레이부재를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받침다리지지봉부재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설치작업이 용이해 질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열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버너트레이바디부에는 거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다리지지봉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각각 직선상의 봉부재바디부와 상기 봉부재바디부의 양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봉부재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봉부재바디부가 상기 받침다리통과홈을 상방향으로 통과한 용기받침다리와 상기 버너트레이바디부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받침다리통과홈에 교차하고 상기 봉부재절곡부가 상기 거치공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너트레이부재와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지지부는 일 영역에 트레이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안착공의 내주면에는 받침플랜지가 형성된 테이블판과, 상기 테이블판을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테이블판에 결합된 테이블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트레이부재는 상기 받침플랜지에 지지되도록 상기 트레이안착공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다리통과홈을 상방향으로 통과한 용기받침다리와 버너트레이바디부의 상면 사이에서 받침다리통과홈에 교차하도록 받침다리지지봉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트레이지지부를 통해 버너트레이부재를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함으로써,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와 버너트레이부재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버너트레이부재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받침다리지지봉부재에 걸려 용기받침다리가 받침다리통과홈을 통과하지 못함).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지지부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트레이부재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다리지지봉부재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지지부의 사시도,
도9는 종래의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도,
도10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의 사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트레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다리지지봉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버너트레이바디부(11)를 구비한 버너트레이부재(10)와,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와, 버너트레이부재(10)를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트레이지지부(30)를 갖고 있다.
버너트레이부재(10)는 버너트레이바디부(11)에 더하여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두변으로부터 1회 절곡 형성된 지지절곡부(12)와,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나머지 두변으로부터 2회 절곡 형성된 다리고정절곡부(13)를 갖고 있다.
버너트레이바디부(11)는 좌측영역에 헤드노출공(11a)이 형성되고, 헤드노출공(11a)의 내주면에는 4개의 받침다리통과홈(11b)이 절취 형성된다. 받침다리통과홈(11b)은 용기받침다리(201)에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받침다리통과홈(11b)의 형성은 버너헤드(203)를 헤드노출공(11a)의 하측에서 접근하여 헤드노출공(11a)을 통해 상방향으로 노출시킬 때 용기받침다리(201)가 상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버너트레이바디부(11)에는 4개의 거치공(11c)이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는 직선상의 봉부재바디부(21)와, 봉부재바디부(21)의 양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봉부재절곡부(2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는 봉부재바디부(21)가 받침다리통과홈(11b)을 상방향으로 통과한 용기받침다리(201)와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상면 사이에서 받침다리통과홈(11b)에 교차하고, 봉부재절곡부(22)가 거치공(11c)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는 스테인레스 등을 사용하여 원형, 직사각형 등의 단면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도6 참조).
트레이지지부(30)는 테이블판(31)과, 테이블판(31)에 결합된 테이블다리부(32)를 갖고 있다.
테이블판(31)에는 트레이안착공(31a)이 형성되고, 트레이안착공(31a)의 내주면에는 받침플랜지(31b)가 형성된다.
테이블다리부(32)는 테이블판(31)의 대향하는 연부에 하나씩 외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테이블다리부(32)의 길이구간은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가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가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의 경우 다리고정절곡부(13)를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블다리부(32)가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트레이지지부(30)를 설치한다.
다음에 용기받침다리(201)가 받침다리통과홈(11b)을 상방향으로 통과하고 버너헤드(203)가 헤드노출공(11a)을 통해 상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를 버너트레이부재(10)의 아래쪽에 설치한다.
다음에 용기받침다리(201)와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상면 사이에서 받침다리통과홈(11b)에 교차하도록 한 쌍의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를 설치한다.
다음에 파지공(11d)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버너트레이부재(10)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버너트레이부재(10)가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봉부재바디부(21)의 상단이 용기받침다리(201)의 저면에 접촉하면 버너트레이부재(10)와 함께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도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다음에 버너트레이부재(10)와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를 함께 테이블판(31)으로 이동시킨 후, 지지절곡부(12)를 통해 받침플랜지(31b)에 지지되도록 버너트레이부재(10)를 트레이안착공(31a)에 설치한다.
버너트레이부재(10)가 트레이안착공(31a)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는 지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버너트레이부재(10)가 트레이안착공(31a)에 설치되면,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의 하중은 버너트레이부재(10)를 통해 트레이지지부(30)에 전달된다.
다음에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용기받침다리(201)에 올려놓은 다음,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를 점화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점화에 필요한 연료는 버너트레이부재(10)를 트레이안착공(31a)에 설치한 후 등 적절한 시기에 공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를 버너트레이부재(10)의 아래쪽에 설치한 후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와 버너트레이부재(10)를 함께 트레이지지부(30)에 설치하는 대신, 버너트레이부재(10)를 먼저 트레이지지부(30)에 설치한 다음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테이블 형태로 트레이지지부(30)를 구성하고 있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로 트레이지지부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중 트레이지지부(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1 내지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와 동일하다.
트레이지지부(40)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각 트레이지지부(40)는 지지수평부(41)와, 지지수평부(41)의 양단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지지수직부(42)와, 지지수직부(42)의 양단으로부터 지지수평부(41)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체결절곡부(43)를 갖고 있다.
지지수직부(42)의 길이구간은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가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가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트레이지지부(40)는 각각 체결절곡부(43)가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저면과 다리고정절곡부(13) 사이에 진입하도록 버너트레이부재(10)에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너트레이부재(10)에 트레이지지부(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지지수평부(41)가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트레이지지부(30)가 결합된 버너트레이부재(10)를 설치한다.
다음에 용기받침다리(201)가 받침다리통과홈(11b)을 상방향으로 통과하고 버너헤드(203)가 헤드노출공(11a)을 통해 상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를 설치한다.
다음에 용기받침다리(201)와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상면 사이에서 받침다리통과홈(11b)에 교차하도록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를 설치한다.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는 지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가 설치되면,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의 하중은 버너트레이부재(10)를 통해 트레이지지부(40)에 전달된다.
다음에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용기받침다리(201)에 올려놓은 다음,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를 점화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가 지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트레이지지부(30, 40)를 구성하고 있으나,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가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트레이지지부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다리통과홈(11b)을 상방향으로 통과한 용기받침다리(201)와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상면 사이에서 받침다리통과홈(11b)에 교차하도록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를 설치하는 한편, 트레이지지부(30, 40)를 통해 버너트레이부재(10)를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함으로써,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와 버너트레이부재(1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버너트레이부재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받침다리지지봉부재에 걸려 용기받침다리가 받침다리통과홈을 통과하지 못함).
그리고 트레이지지부(30, 40)를 통해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가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버너트레이부재(10)를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함으로써,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용기받침다리형 버너의 하중이 버너트레이부재를 통해 트레이지지부에 전달됨), 버너설치작업이 용이해지고(테이블다리부만 지지면에 지지되면 되고, 버너다리부는 지지면에 지지되지 않아도 됨), 지지면에 대한 버너트레이부재(10)의 설치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버너트레이부재의 설치높이가 지지면에 대한 버너헤드의 높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
버너트레이부재(10)의 설치높이가 증가하면 버너트레이부재(10)의 상면을 조리용기, 음식 등을 올려놓는 탑재 공간으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고 가스통을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너트레이바디부(11)에 거치공(11c)을 형성하고 각각 직선상의 봉부재바디부(21)와 봉부재바디부(21)의 양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봉부재절곡부(22)를 갖는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를 복수개 형성하는 한편, 봉부재바디부(21)가 받침다리통과홈(11b)을 상방향으로 통과한 용기받침다리(201)와 버너트레이바디부(11)의 상면 사이에서 받침다리통과홈(11b)에 교차하고 봉부재절곡부(22)가 거치공(11c)에 삽입되도록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를 설치함으로써, 받침다리지지봉부재(2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설치작업이 용이해 질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열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받침다리지지봉부재에 의한 열기배출차단량을 줄일 수 있음).
또한 일 영역에 트레이안착공(31a)이 형성된 테이블판(31)과 테이블판(31)을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테이블판(31)에 결합된 테이블다리부(32)를 포함하도록 트레이지지부(30)를 형성하는 한편, 받침플랜지(31b)에 지지되도록 버너트레이부재(10)를 트레이안착공(31a)에 설치함으로써, 버너트레이부재(10)와 용기받침다리형 버너(200)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테이블판과 테이블다리부에 의해 버너트레이부재와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의 지지영역이 증가함).
10: 버너트레이부재 11: 버너트레이바디부
12: 지지절곡부 13: 다리고정절곡부
20: 받침다리지지봉부재 21: 봉부재바디부
22: 봉부재절곡부 30, 40: 트레이지지부
31: 테이블판 32: 테이블다리부
41: 지지수평부 42: 지지수직부
43: 체결절곡부

Claims (4)

  1. 버너몸체와, 상기 버너몸체에 연결되도록 상기 버너몸체의 상측에 형성된 버너헤드와, 각각 상기 버너몸체의 상측에서 상기 버너헤드를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용기받침다리를 갖는 버너에 사용하기 위한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일 영역에 헤드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너헤드를 상기 헤드노출공의 하측에서 접근하여 상기 헤드노출공을 통해 상방향으로 노출시킬 때 상기 용기받침다리가 상방향으로 통과하는 받침다리통과홈이 상기 헤드노출공의 내주면에 절취 형성된 버너트레이바디부를 구비한 버너트레이부재와;
    상기 받침다리통과홈을 상방향으로 통과한 용기받침다리와 상기 버너트레이바디부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받침다리통과홈에 교차하도록 설치된 받침다리지지봉부재와;
    상기 버너트레이부재를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트레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지지부는 용기받침다리형 버너가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버너트레이부재를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3. 청구항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트레이바디부에는 거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다리지지봉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각각 직선상의 봉부재바디부와 상기 봉부재바디부의 양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봉부재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봉부재바디부가 상기 받침다리통과홈을 상방향으로 통과한 용기받침다리와 상기 버너트레이바디부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받침다리통과홈에 교차하고 상기 봉부재절곡부가 상기 거치공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지지부는 일 영역에 트레이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안착공의 내주면에는 받침플랜지가 형성된 테이블판과, 상기 테이블판을 지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테이블판에 결합된 테이블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트레이부재는 상기 받침플랜지에 지지되도록 상기 트레이안착공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KR1020220051296A 2022-04-26 2022-04-26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KR20230151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96A KR20230151674A (ko) 2022-04-26 2022-04-26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96A KR20230151674A (ko) 2022-04-26 2022-04-26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674A true KR20230151674A (ko) 2023-11-02

Family

ID=8874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296A KR20230151674A (ko) 2022-04-26 2022-04-26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6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794U (ko) 2012-03-27 2013-10-08 여환호 확장기능을 가지는 야외테이블
KR20150108510A (ko) 2014-03-18 2015-09-30 송주원 휴대가능한 아웃도어용 테이블 겸용 버너스탠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794U (ko) 2012-03-27 2013-10-08 여환호 확장기능을 가지는 야외테이블
KR20150108510A (ko) 2014-03-18 2015-09-30 송주원 휴대가능한 아웃도어용 테이블 겸용 버너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499B1 (ko) 조립식 화로
US4762114A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with a removable work table
US6978777B2 (en) Cooking stove including invertible support rack, support rack with dual cooking surfa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4008340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mproved cooking grate for an outdoor cooking grill
US11641977B2 (en) Outdoor cooking station, side shelf, and method thereof
EP1447624A3 (en) Cooking grate with removable central wok ring
CA3028520C (en) Cooking range
US4635614A (en) Deep fat frying pot cooker holding and picnic table
KR20230151674A (ko)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KR102455991B1 (ko) 용기받침다리형 버너용 지지장치
EP1508001B1 (en) Gas burner and pot-holder assembly for domestic cooking hobs
US6964273B1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US6712067B1 (en) Portable cook stove with a reversible grat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40089288A1 (en) Gas heating applicance
KR200440447Y1 (ko) 가스버너용 받침대
KR20180003635U (ko)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KR20170000153U (ko) 가스버너 설치대의 열전달 차단 구조물
US5542408A (en) Guard for a cooking device
KR20190000322U (ko)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KR200295908Y1 (ko) 고기구이판 받침대
CN211011497U (zh) 一种易装易拆的灶用防干烧结构
US11033148B2 (en) Portable dual fuel cooking assembly
KR200391620Y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
KR200402513Y1 (ko) 가스레인지용 그레이트
KR200400528Y1 (ko)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버너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