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22U -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 Google Patents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22U
KR20190000322U KR2020190000419U KR20190000419U KR20190000322U KR 20190000322 U KR20190000322 U KR 20190000322U KR 2020190000419 U KR2020190000419 U KR 2020190000419U KR 20190000419 U KR20190000419 U KR 20190000419U KR 20190000322 U KR20190000322 U KR 201900003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electric range
electric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목
Original Assignee
남현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목 filed Critical 남현목
Priority to KR2020190000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322U/ko
Publication of KR20190000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세로프레임들에 가로프레임들이 다층으로 설치되어, 이 가로프레임에 전기레인지들이 장착되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있어서의 2단의 층을 이루고 각각 구획된 구획공간이 복수개 일체로 형성된 대략 장방형상의 유닛틀들이 형성되며, 상기 유닛틀들의 양쪽 끝단에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개의 빔으로 이루어진 세로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규격화한 유닛틀에 의하여 사용자의 다층의 개수의 설계에 따라서 세로프레임의 길이를 조절 가변하여 사용함에 따라서, 취반기의 틀의 설치가 용이하여 제작시간의 단축으로 제작원가를 저렴하고, 또한 빔의 사용으로 틀 전체의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또한, 상기 유닛틀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이 힌지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수직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위치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액정의 설정버튼, 온도, 시간 등의 체크와 작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세로프레임들에 가로프레임들이 다층으로 설치되어, 이 가로프레임에 전기레인지들이 장착되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있어서, 끝단이 절곡된 절곡면(21)을 가지는 복수개의 빔(20)로 구성된 세로프레임(10)과; 2단의 층(32)를 이루고 각각 구획된 구획공간(31)이 복수개 일체로 형성된 대략 장방형상의 유닛틀(30)와;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유닛틀(30)의 양쪽에 세로프레임(10)들이 나사(11)로 고정됨을 기본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닛틀(30)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40)이 힌지(41)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수직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위치로 가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Auto-cooked with electric range}
본 고안은 전기레인지가 다층으로 형성되어 여러개의 밥솥을 취반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세로프레임들에 가로프레임들이 다층으로 설치되어, 이 가로프레임에 전기레인지들이 장착되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있어서의 2단의 층을 이루고 각각 구획된 구획공간이 복수개 일체로 형성된 대략 장방형상의 유닛틀들이 형성되며, 상기 유닛틀들의 양쪽 끝단에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개의 빔으로 이루어진 세로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규격화한 유닛틀에 의하여 사용자의 다층의 개수의 설계에 따라서 세로프레임의 길이를 조절 가변하여 사용함에 따라서, 취반기의 틀의 설치가 용이하여 제작시간의 단축으로 제작원가를 저렴하고, 또한 빔의 사용으로 틀 전체의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또한, 상기 유닛틀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이 힌지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수직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위치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액정의 설정버튼, 온도, 시간 등의 체크와 작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의 급식 또는 학교 급식과 같은 대량의 취사를 위해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 히터 등을 이용하여 가열한 증기 열에 의한 취사기로 대량의 밥을 취사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취사기기들은 불꽃이나 불완전 연소로 인한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고, 또한 화재의 위험성 등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인덕션 렌지가 사용되고 있다. 인덕션 렌지는 전자유도 가열 방식이란 고효율 자력선 유도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인덕션 렌지 내측의 유도가열코일에 교류 전류를 통하면 자력선이 발생하고, 자력선 중심에 무수한 와류전류가 발생하여 금속이 갖는 전기저항에 의해 조리용기 자체가 발열하여 조리하는 직접가열 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덕션 렌지는 불꽃이나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할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의 발생이 없고, 실내 산소의 소모가 적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용기를 가열하는 도중에 그릴에 손이 닿아도 화상의 우려가 없으며 불꽃이 없기 때문에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2139호에서, 틀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100)에 쌀과 물을 수용하여 밥짓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밥솥(1)이 안착되고, 밥짓기가 완료되면 프레임부(100)로부터 탈거가능하도록 그 전면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밥솥(1)이 열과 행을 이루어 다층 다열 구조로 배열될 수 있도록 복수의 세로프레임(110)과 다층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가로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로프레임(110)은 상호 대향되며 직립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가로프레임(120)은 세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10) 사이의 다양한 높이에 가로로 설치되며 밥솥(1)이 안착되는 복수의 부재이다.
가로프레임(120)의 내부에는 가열부(200)가 설치되어 밥솥(1)을 이용하여 밥짓기가 가능하도록 하며, 가로프레임(120) 전면의 복수 개소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0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밥솥이 3단으로 적층됨과 동시에 하나의 가로프레임(120)에 5개의 밥솥(1)이 구비되어 총 15개의 밥솥(1)이 구비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상기 예에서는 세로프레임(110)과 가로프레임(120)이 일반 스틸의 프레임으로 3단 및 그 이상으로 제작하면서 밥솥 등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으면서 또한 자체의 틀의 무게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틀의 전체적인 무게가 무거워 운반 및 이동에 어려움이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에는 설정버튼, 온도, 시간 등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액정으로 되어 일률적으로 전면을 향하게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높이와 비슷한 부분에서는 액정의 표기를 볼 수 있으나, 사용자의 눈높이가 벗어난 위치에서는 액정이 잘 보이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2139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2단의 층과 구획된 공간들을 가지는 유닛틀과 세로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유닛틀의 양쪽에 세로프레임들이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서 다단의 취반기 틀을 구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닛틀의 위쪽의 2단에 전기레인지의 패널이 얹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전기레인지에 복수의 밥솥을 얹어 취반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세로프레임은 판형상의 끝단이 절곡된 복수개의 빔들로 구성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칫수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설계제작이 쉽고, 또한 판형상의 빔으로 틀의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유닛틀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이 힌지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수직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위치로 가변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세로프레임들에 가로프레임들이 다층으로 설치되어, 이 가로프레임에 전기레인지들이 장착되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있어서, 끝단이 절곡된 절곡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빔으로 구성된 세로프레임과; 2단의 층을 이루고 각각 구획된 구획공간이 복수개 일체로 형성된 대략 장방형상의 유닛틀와;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유닛틀의 양쪽에 세로프레임들이 나사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닛틀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이 힌지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수직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위치로 가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세로프레임들에 가로프레임들이 다층으로 설치되어, 이 가로프레임에 전기레인지들이 장착되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있어서의 2단의 층을 이루고 각각 구획된 구획공간이 복수개 일체로 형성된 대략 장방형상의 유닛틀들이 형성되며, 상기 유닛틀들의 양쪽 끝단에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개의 빔으로 이루어진 세로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규격화한 유닛틀에 의하여 사용자의 다층의 개수의 설계에 따라서 세로프레임의 길이를 조절 가변하여 사용함에 따라서, 취반기의 틀의 설치가 용이하여 제작시간의 단축으로 제작원가를 저렴하고, 또한 빔의 사용으로 틀 전체의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또한, 상기 유닛틀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이 힌지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수직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위치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액정의 설정버튼, 온도, 시간 등의 체크와 작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의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밥솥이 얹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의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의 작동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밥솥이 얹혀진 일부 절결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8a,b 는 본 고안의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 및 배면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는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세로프레임(10)들과, 상기 세로프레임(10)의 사이에 복수개 설치되는 유닛틀(30)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닛틀(30)에는 후술하는 전기레인지의 패널(2) 및 전기레인지의 본체(3)들이 설치된다.
상기 전기레인지는 유도가열코일에 교류 전류를 통하면 자력선이 발생하고, 자력선 중심에 무수한 와류전류가 발생하여 금속이 갖는 전기저항에 의해 조리용기 자체가 발열하여 조리하는 직접가열 방식의 인덕션 레인지이다.
세로프레임(10)은 스텐레스 등의 철판으로 양쪽 끝단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면(21)을 가지는 빔(20)으로써, 단면의 접촉면적을 넓혀 하중에 대한 응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써, 일반 프레임의 형상에 비하여 판형상의 빔(20)로 빔의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3개의 빔(20)이 세로프레임(10)을 이루고 있으나, 유닛틀(30)들을 유지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복수개의 빔(20)이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세로프레임(10)의 빔(20)은 길이방향으로 설계칫수에 따라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취반기의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음, 유닛틀(3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으로 볼 때, 2단의 층(32)를 이루고 또한 2단의 층(32)는 구획되어 정방형상의 각각 구획된 구획공간(31)이 복수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닛틀(30)의 전면은 측면에서 볼 때,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진면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40)이 장착되고, 또한 2단의 층(32)의 아래쪽 1단 층(33)과 위쪽 2단 층(34)에 전기레인지의 본체(3) 또는 전기레인지의 패널(2)들을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닛틀(30)의 2단 층(34)에 전기레인지의 패널(2)가 고정되고, 이 전기레인지의 패널(2)에 밥솥(1)이 얹을 있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8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닛틀(30)의 1단 층(33)에 전기레인지의 본체(3)를 얹을 수 있다.
상기 유닛틀(30)은 속이 빈 프레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대략 ㄱ자형상 또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 등이 용접에 의하여 대략 장방형상의 틀을 구성한다.
본 고안의 세로프레임(10)들의 빔(20)들과 유닛틀(30)들의 조립은 복수개의 유닛틀(30)의 양쪽에 세로프레임(10)들이 나사(11)에 의하여 고정되며, 최하단에는 받침틀(50)을 형성하고 이 받침틀(50)에 바퀴 등을 형성하여 이동 또는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닛틀(30)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40)이 세로프레임(10)의 빔(20)에 나사 등의 힌지(41)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힌지(41)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40)이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40)은 힌지(41)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수직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위치로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위쪽은 유닛틀(30)의 전면에 부착된 대로 위치하고 그 아래쪽은 유닛틀(30)의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수직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위치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액정의 설정버튼, 온도, 시간 등의 체크와 작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 : 밥솥 2 : 전기레인지의 패널
3 : 전기레인지의 본체 10 : 세로프레임
11 : 나사 20 : 빔
21 : 절곡면 30 : 유닛틀
31 : 구획공간 32 : 2단의 층
33 : 1단 층 34 : 2단 층
40 :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
41 : 힌지 42 : 가이드
50 : 받침틀

Claims (2)

  1.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세로프레임들에 가로프레임들이 다층으로 설치되어, 이 가로프레임에 전기레인지들이 장착되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에 있어서,
    끝단이 절곡된 절곡면(21)을 가지는 복수개의 빔(20)로 구성된 세로프레임(10)과;
    2단의 층(32)를 이루고 각각 구획된 구획공간(31)이 복수개 일체로 형성된 대략 장방형상의 유닛틀(30)와;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유닛틀(30)의 양쪽에 세로프레임(10)들이 나사(11)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닛틀(30)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액정의 패널(40)이 힌지(41)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수직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위치로 가변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KR2020190000419U 2019-01-29 2019-01-29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KR201900003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19U KR20190000322U (ko) 2019-01-29 2019-01-29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19U KR20190000322U (ko) 2019-01-29 2019-01-29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086U Division KR200492372Y1 (ko) 2017-06-16 2017-06-16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22U true KR20190000322U (ko) 2019-02-08

Family

ID=6536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19U KR20190000322U (ko) 2019-01-29 2019-01-29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3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742B1 (ko) * 2023-03-29 2024-03-12 화신주방산업(주) 다단 인덕션 취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39B1 (ko) 2015-02-26 2016-02-04 주식회사 우리기술미래 업소용 전기 밥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39B1 (ko) 2015-02-26 2016-02-04 주식회사 우리기술미래 업소용 전기 밥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742B1 (ko) * 2023-03-29 2024-03-12 화신주방산업(주) 다단 인덕션 취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1002867A (es) Construccion de horno de vapor apilado.
CA2618943A1 (en) Oven with oven door having an air deflection assembly
KR20180003635U (ko)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KR20190000322U (ko) 전기레인지를 가지는 취반기
JP6189677B2 (ja) 加熱調理器
US20080257171A1 (en) Toaster
JPH10339412A (ja) ガス調理器
KR101592139B1 (ko) 업소용 전기 밥솥 장치
EP2068083A2 (en) Heating unit of an oven
KR101534511B1 (ko) 인덕션 렌지용 복합 케이스
KR200380867Y1 (ko) 전기오븐레인지용 텔레스코픽 랙
US11598529B2 (en) Oven burner cover screen with improved mesh configuration
US20240138031A1 (en) Cooktop appliance and heating assemblies for even heat distribution across multiple electric heating elements
CN103343992A (zh) 一种diy框架结构电磁灶及框架
CN201606922U (zh) 多炉头电热煲仔炉
RU193482U1 (ru) Плита индукционная
EP1990583A1 (en) Cooking appliance
CN215863570U (zh) 一种引火板及不挑锅的电火灶
KR102589693B1 (ko) 조리용기 이동에 따른 가열부 작동제어와 함께 작동되는 가열부를 표시하는 전기레인지
CN212691864U (zh) 一种具有便于装拆线圈盘固定结构的柜式电磁炉
US20240167694A1 (en) Cooktop assembly with kinesthetic feature
KR20150117437A (ko) 모듈식 전기 레인지
US6285009B1 (en) Electric heating element for a cooking appliance
KR20120131081A (ko) 전기 레인지
JP2015036608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