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666A -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666A
KR20230151666A KR1020220051270A KR20220051270A KR20230151666A KR 20230151666 A KR20230151666 A KR 20230151666A KR 1020220051270 A KR1020220051270 A KR 1020220051270A KR 20220051270 A KR20220051270 A KR 20220051270A KR 20230151666 A KR20230151666 A KR 20230151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mber
container
improved portability
sealing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전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수 filed Critical 전영수
Priority to KR102022005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666A/ko
Priority to PCT/KR2023/001352 priority patent/WO2023210932A1/ko
Publication of KR2023015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는 상부 용기부재, 상부 용기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용기부재, 및 중간 용기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용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용기부재 간 결합이나 분리의 편의성 내지 완전성, 용기 내 액체의 외부 유출 방지를 위한 기밀성 등이 확보되어 용기의 휴대성이 향상 및 보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CONTAINER WITH IMPROVED PORTABILITY}
본 발명은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 용기부재를 포개어 용기의 휴대가 용이한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음료 등 액체를 담아 운반하거나 저장하고 필요한 때에 음료 등을 섭취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용기는 집이나 사무실 등에 비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집이나 사무실 등 외의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를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 담아 휴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종이나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일회용 용기의 사용을 제한하려는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고 관련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까페 등에서 구매한 음료를 담기 위해 용기를 휴대하고 다닐 필요성도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용기는 사용자가 외출하여 손으로 들고 다니기에는 불편한 부피를 가지고 있고, 일반적으로 핸드백이나 용량이 작은 가방에는 담기 어려운 비교적 큰 부피를 가지고 있어 휴대가 불편하였다. 또한, 가방의 용량이 충분하더라도 용기가 가방의 용량을 많이 차지하여 다른 물건의 소지를 제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단위 용기부재로 분리되는 용기가 개발되었으나, 단위 용기부재 간 결합이나 분리의 편의성 내지 완전성, 용기 내 액체의 외부 유출 방지를 위한 기밀성 확보 등에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선행기술은 발명자가 본 개시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개시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본 개시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단위 용기부재 간 결합이나 분리의 편의성 내지 완전성, 용기 내 액체의 외부 유출 방지를 위한 기밀성 확보가 가능한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는 상부 용기부재; 상기 상부 용기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용기부재; 및 상기 중간 용기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용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용기부재의 내면과 상기 중간 용기부재의 외면,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의 내면과 상기 하부 용기부재의 외면은 서로 나사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부재, 상기 중간 용기부재 및 상기 하부 용기부재는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용기부재 간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용기부재 및 상기 하부 용기부재는 상측에 수 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부재 및 상기 중간 용기부재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노출되는 밀폐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중간 용기부재 및 상기 하부 용기부재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밀폐돌기가 제공되며, 사용시에 상기 밀폐돌기와 상기 밀폐부재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용기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 용기부재 및 상기 중간 용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받침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는 휴대 시에 나사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용기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는 휴대 시에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부재 및 상기 중간 용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면에 스타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부재와 상기 중간 용기부재 간, 그리고 상기 중간 용기부재와 상기 하부 용기부재 간의 종방향 접합면에는 밀폐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밀폐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밀폐부재가 용기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부재 및 상기 중간 용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하측 종방향 접합면의 내측이 낮고, 외측이 높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부재, 상기 중간 용기부재 및 상기 하부 용기부재는 상호 나사결합을 위해 상측 또는 하측에, 또는 상측 및 하측에 수 나사부 또는 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 나사부는 그 상측과 하측의 최대 외경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암 나사부는 그 상측과 하측의 최소 내경이 서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용기부재 간 결합이나 분리의 편의성 내지 완전성, 용기 내 액체의 외부 유출 방지를 위한 기밀성 등이 확보되어 용기의 휴대성이 향상 및 보장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의 사용 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의 휴대 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은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의 사용 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의 휴대 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은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은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화를 위해 임의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상측’, ‘상부’, ‘상단’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음료 등이 투입되는 측 또는 이에 가까운 부 또는 단을 지칭하며, ‘하측’, ‘하부’, ‘하단’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음료 등이 투입되는 측의 반대측 또는 이에 가까운 부 또는 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내측’, ‘내부’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용기에 있어서 음료 등이 투입되어 담기는 측 또는 이에 가까운 부 또는 단을 지칭하며, ‘외측’, ‘외부’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용기에 있어서 음료 등이 투입되어 담기는 측의 반대측 또는 이에 가까운 부 또는 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의 사용 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그 사용을 위해 용기부재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의 휴대 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그 휴대를 위해 용기부재가 포개진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은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100)는 상부 용기부재(110), 중간 용기부재(130) 및 하부 용기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용기부재(110)는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상측과 하측이 연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 용기부재(130)는 상부 용기부재(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중간 용기부재(130)는 상부 용기부재(1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측과 하측이 연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는 한 개의 중간 용기부재(130)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는 복수개의 중간 용기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중간 용기부재(130)는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가 결합되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용기부재(150)는 중간 용기부재(13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용기부재(150)는 중간 용기부재(13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측은 개방되고 하측은 폐쇄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용기부재(110)의 내면과 중간 용기부재(130)의 외면은 서로 나사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용기부재(110)의 내면에는 암 나사부(111)가 구비되고, 중간 용기부재(130)의 외면에는 수 나사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용기부재(110)의 암 나사부(111)와 중간 용기부재(131)의 수 나사부(131)가 서로 나사결합되면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는 서로 상대 이동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는 사용 시의 펼쳐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중간 용기부재(130)의 수 나사부(131)는 상광하협의 테이퍼 나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 간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그 간극 사이로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용기부재(130)의 내면과 하부 용기부재(150)의 외면은 서로 나사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간 용기부재(130)의 내면에는 암 나사부(133)가 구비되고, 하부 용기부재(150)의 외면에는 수 나사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중간 용기부재(130)의 암 나사부(133)와 하부 용기부재(150)의 수 나사부(153)가 서로 나사결합되면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이 서로 상대 이동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는 사용 시의 펼쳐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하부 용기부재(150)의 수 나사부(153)는 상광하협의 테이퍼 나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 간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그 간극 사이로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용기부재(110), 중간 용기부재(130) 및 하부 용기부재(150)는 용기부재 간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용기부재(110)는 그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5)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용기부재(130)는 그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가 휴대를 위해 포개진 상태에서(도 4 참조)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가 사용을 위해 펼쳐지면(도 3 참조), 상부 용기부재(110)의 걸림턱(115)과 중간 용기부재(130)의 걸림턱(135)이 서로 맞닿아 걸리게 되므로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의 상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용기부재(110)가 상측으로 상대 이동되어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중간 용기부재(130)는 하부에 내측으로 돌축되는 걸림턱(137)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용기부재(150)는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57)을 구비할 수 있다.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가 휴대를 위해 포개진 상태에서(도 4 참조) 중간 용기부재(130)가 사용을 위해 펼쳐지면(도 3 참조), 중간 용기부재(130)의 걸림턱(137)과 하부 용기부재(150)의 걸림턱4(157)이 서로 맞닿아 걸리게 되므로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의 상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용기부재(130)가 상측으로 상대 이동되어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용기부재(130)는 상측에 수 나사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간 용기부재(130)의 상측 외면에는 수 나사부(131)가 제공되고, 수 나사부(131)는 상부 용기부재(110)의 내면에 제공되는 암 나사부(111)와 나사결합된다.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 간의 나사결합이 중간 용기부재(130)의 상측에서 이루어지므로,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상기 나사결합을 통과하여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 사이에 걸림턱(115, 135)이 제공되는 경우에, 걸림턱(115, 135) 측으로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용기부재(130)의 수 나사부(131)는 상광하협의 테이퍼 나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 간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그 간극 사이로 또는 걸림턱(115, 135) 측으로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용기부재(150)는 상측에 수 나사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용기부재(150)의 상측 외면에는 수 나사부(153)가 제공되고, 수 나사부(153)는 중간 용기부재(130)의 내면에 제공되는 암 나사부(133)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 간의 나사결합이 하부 용기부재(150)의 상측에서 이루어지므로,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상기 나사결합을 통과하여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 사이에 걸림턱(137, 157)이 제공되는 경우에, 걸림턱(137, 157) 측으로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용기부재(150)의 수 나사부(153)는 상광하협의 테이퍼 나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 간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그 간극 사이로 또는 걸림턱(137, 157) 측으로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용기부재(110)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노출되는 밀폐부재(119)가 제공되고, 중간 용기부재(130)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밀폐돌기(139)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을 위해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가 펼쳐진 경우에 밀폐부재(119)와 밀폐돌기(139)는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상부 용기부재(110)와 중간 용기부재(130) 사이의 간극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밀폐부재(119)는 상부 용기부재(110)와 별도로 탄성을 가지는 천연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밀폐부재(119)는 오링 형상을 가지고 상부 용기부재(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밀폐부재(119)는 상부 용기부재(110)의 걸림턱(115)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밀폐돌기(139)는 중간 용기부재(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밀폐돌기(139)는 중간 용기부재(130)의 걸림턱(135)에 또는 걸림턱(135)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용기부재(130)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노출되는 밀폐부재(141)가 제공되고, 하부 용기부재(150)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밀폐돌기(16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을 위해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가 펼쳐진 경우에 밀폐부재(141)와 밀폐돌기(161)는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 사이의 간극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밀폐부재(141)는 중간 용기부재(130)와 별도로 탄성을 가지는 천연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디. 밀폐부재(141)는 오링 형상을 가지고 중간 용기부재(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밀폐부재(141)는 중간 용기부재(130)의 걸림턱(137)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밀폐돌기(161)는 하부 용기부재(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밀폐돌기(161)는 하부 용기부재(150)의 걸림턱(157)에 또는 걸림턱(157)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용기부재(150)의 하측에는 받침부재(17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용기부재(150)의 하측에는 수 나사부(163)가 제공되고, 받침부재(170)에는 암 나사부(171)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하부 용기부재(150)의 수 나사부(163)와 받침부재(170)의 암 나사부(171)가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부재(170)의 최대 외경(od)은 상부 용기부재(110)의 최소 내경(id) 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용기부재(110) 및 중간 용기부재(130)의 하측으로의 상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용기부재(110), 중간 용기부재(130)의 상측으로의 상대 이동은 걸림턱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용기부재(110) 및 중간 용기부재(130)의 상측 및 하측 상대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부 용기부재(110), 중간 용기부재(130) 및 하부 용기부재(150)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시에 상부 용기부재(110), 중간 용기부재(130) 및 하부 용기부재(150)가 서로 분리되어 흩어지거나 그 중 일부가 분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용기부재(150)와 받침부재(170)는 나사결합을 풀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측 용기부재(110) 및 중간 용기부재(130)의 하측으로의 상대이동은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면 상부 용기부재(110) 및 중간 용기부재(130)가 하측으로 상대 이동되어, 상부 용기부재(110), 중간 용기부재(130) 및 하부 용기부재(150)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 용기부재(110), 중간 용기부재(130) 및 하부 용기부재(150)를 완전히 분리하여 용기를 청결히 세척할 수 있다. 특히, 각 용기부재 간의 사이 면이나 나사부, 걸림턱, 밀폐돌기, 밀폐부재 등의 청결한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용기부재(110)와 받침부재(170)는 나사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용기부재(110)의 내면에는 암 나사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170)의 외면에는 수 나사부(1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용기부재(110)의 암 나사부(121)와 받침부재(170)의 수 나사부(173)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나사결합에 의해, 상부 용기부재(110)와 하부 용기부재(150) 간의 상대 이동은 완전히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용기부재(110)와 하부 용기부재(150)가 포개진 상태가 외력이나 휴대 시의 흔들림 등에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유지되어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용기부재(130)와 받침부재(170)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간 용기부재(130)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45)가 제공될 수 있고, 받침부재(170)의 내면에는 결합홈(175)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중간 용기부재(130)에 결합홈이, 받침부재(170)에 결합돌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결합홈이 제공되는 구역의 횡방향 상 두께를 고려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70)에 결합홈(175)이 제공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횡방향 상 하부 용기부재(150)와 받침부재(170)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용기부재(130)의 일부에 결합홈을 형성하려면 그 강성 내지 내구성 향상을 위해 홈이 형성되는 상기 일부의 횡방향 상 두께를 보다 두껍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그러면 미관상 구조상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간 용기부재(130)의 결합돌기(145)가 받침부재(170)의 결합홈(175)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에 의해,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 간의 상대 이동이 완전히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용기부재(130)와 하부 용기부재(150)가 포개진 상태가 외력이나 휴대 시의 흔들림 등에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유지되어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간 용기부재(130)의 결합돌기(145)는 중간 용기부재(130)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끊어져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중간 용기부재(130)의 결합돌기(145)는 중간 용기부재(130)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받침부재(170)의 결합홈(175)은 받침부재(170)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면 중간 용기부재(130)와 받침부재(170) 간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결합돌기(145)의 위치 변화에 불구하고 언제나 결합돌기(145)가 결합홈(175)에 삽입될 수 있다.
중간 용기부재(130)의 외면에 있어서, 결합돌기(145) 이하의 외면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돌기(145)가 결합홈(17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중간 용기부재(130)의 하측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상부 용기부재(110)의 외면과 뚜껑부재(190)의 내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수 나사부와 암 나사부가 제공될 수 있다. 양 나사부가 나사결합되어 상부 용기부재(110)와 뚜껑부재(19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 용기부재(110)의 수 나사부(123)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지 않고 끊겨있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용기부재(110)의 상측에 나사부가 제공되면, 음용 시에 용기 사용자의 입술이 나사부와 닿게 되어 사용자는 이질감을 느끼거나 음용 시에 음료가 사용자의 입 밖으로 새어나갈 수 있다. 반면, 수 나사부(123)가 끊겨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수나사부(123)가 없는 부분을 이용하여 음용하면 되므로 위와 같은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의 사용 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그 사용을 위해 용기부재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의 휴대 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그 휴대를 위해 용기부재가 포개진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은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은 종방향 단면도로서, 용기부재 간의 접합면은 여러 실시예 중 도 9의 (a)에 도시된 접합면의 형상에 따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도면 상에서 좌측은 용기의 내측에 해당되고 도면 상에서 우측은 용기의 외측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200)는 상부 용기부재(210), 중간 용기부재(230) 및 하부 용기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용기부재(210)는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상측과 하측이 연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 용기부재(230)는 상부 용기부재(2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중간 용기부재(230)는 상부 용기부재(2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측과 하측이 연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는 한 개의 중간 용기부재(230)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는 복수개의 중간 용기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중간 용기부재(230)는 상부 용기부재(210)와 중간 용기부재(230)가 결합되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용기부재(250)는 중간 용기부재(23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용기부재(250)는 중간 용기부재(23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측은 개방되고 하측은 폐쇄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용기부재(210)와 중간 용기부재(230)는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용기부재(210)의 하측에 수 나사부가 제공되는 경우 중간 용기부재(230)의 상측에는 암 나사부가 제공될 수 있다(도 9의 (a) 및 (c) 참조). 또한, 상부 용기부재(210)의 하측에 암 나사부가 제공되는 경우 중간 용기부재(230)의 상측에는 수 나사부가 제공될 수 있다(도 9의 (b) 참조). 상기 수 나사부는 그 상측과 하측의 최대 외경이 서로 동일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테이퍼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나사부는 그 상측과 하측의 최소 내경이 서로 동일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테이퍼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용기부재(210)와 중간 용기부재(230)가 원활하게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중간 용기부재(230)와 하부 용기부재(250)는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용기부재(230)의 하측에 수 나사부가 제공되는 경우 하부 용기부재(250)의 상측에는 암 나사부가 제공될 수 있다(도 9의 (a) 및 (c) 참조). 또한, 중간 용기부재(230)의 하측에 암 나사부가 제공되는 경우 하부 용기부재(250)의 상측에는 수 나사부가 제공될 수 있다(도 9의 (b) 참조). 상기 수 나사부는 그 상측과 하측의 최대 외경이 서로 동일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테이퍼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나사부는 그 상측과 하측의 최소 외경이 서로 동일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테이퍼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간 용기부재(230)와 하부 용기부재(250)가 원활하게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용기부재(210)는 그 내면에 스타퍼(21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타퍼(211)는 상부 용기부재(210)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끊어져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타퍼(211)의 개수는 2개 내지 4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타퍼(211)는 상부 용기부재(210)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용기부재(210)의 스타퍼(211)에 중간 용기부재(230)가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휴대를 위해 상부 용기부재(210)와 중간 용기부재(230)를 포개는 경우에 중간 용기부재(230)가 상부 용기부재(210)의 하측으로 상대 이동되는 것이 스타퍼(211)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용기부재(210)는 내면에 스타퍼(23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타퍼(231)는 중간 용기부재(230)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끊어져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타퍼(231)의 개수는 2개 내지 4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타퍼(231)는 중간 용기부재(230)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중간 용기부재(230)의 스타퍼(231)에 하부 용기부재(250)가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휴대를 위해 중간 용기부재(230)와 하부 용기부재(250)를 포개는 경우에 하부 용기부재(250)가 중간 용기부재(230)의 하측으로 상대 이동되는 것이 스타퍼(231)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용기부재(210)의 상측에는 뚜껑부재(27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상부 용기부재(210)의 외면에는 수 나사부(213)가 제공되고, 뚜껑부재(270)의 내면에는 암 나사부(273)가 제공될 수 있다. 수 나사부(213)와 암 나사부(273)의 나사 결합에 상부 용기부재(210)와 뚜껑부재(27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중간 용기부재(230) 및 하부 용기부재(250)의 상측으로의 상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 용기부재(230) 및 하부 용기부재(250)의 하측 및 상측으로의 상대 이동이 제한되면, 상부 용기부재(210), 중간 용기부재(230) 및 하부 용기부재(250)가 포개진 상태가 외력이나 휴대 시의 흔들림 등에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유지되어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용기부재(210)의 수 나사부(213)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지 않고 끊겨있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용기부재(210)의 상측에 나사부가 제공되면, 음용 시에 용기 사용자의 입술이 나사부와 닿게 되어 사용자는 이질감을 느끼거나 음용 시에 음료가 사용자의 입 밖으로 새어나갈 수 있다. 반면, 수 나사부(213)가 끊겨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수 나사부(213)가 없는 부분을 이용하여 음용하면 되므로 위와 같은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용기부재(210)와 중간 용기부재(230) 간의 종방향 접합면에는, 밀폐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밀폐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밀폐부재가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상부 용기부재(210)와 중간 용기부재(230) 간의 종방향 접합면에는 밀폐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종방향 접합면은 종방향 상으로 만나는 접합면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상부 용기부재(210)와 중간 용기부재(230)의 접합면 사이로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용기부재(210)와 중간 용기부재(230) 간의 종방향 접합면에는 안착돌기(235)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안착돌기(235)는 중간 용기부재(230)와 일체로 그 상측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면 안착홈(237)도 중간 용기부재(230)의 상측에 형성되고, 안착홈(237)에 안착되는 밀폐부재(220)도 중간 용기부재(23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를 위해 용기부재가 포개진 상태(도 8 참조)에서 밀폐부재(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부 용기부재(21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밀폐부재(220)의 분리,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돌기(235)는 밀폐부재(220)가 안착되는 안착홈(237)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안착돌기(235)는 안착홈(237)의 일측 벽면을 구성할 수 있다.
그 일부가 안착돌기(235)로 구성되는 안착홈(237)에 의해, 밀폐부재(220)는 중간 용기부재(230)에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재를 포개어 휴대하는 경우에도 외력이나 흔들림 등에 불구하고 밀폐부재(220)가 안착홈(237)에 안착된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밀폐부재(220)를 분리하여 용기를 세척한 후 밀폐부재(220)를 다시 안착홈(237)에 안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 청결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밀폐부재(220)는 안착돌기(235)에 의해 용기의 내측(도면 상에서 좌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는 밀폐부재(220)가 용기 내의 뜨거운 음료 등 액체와 접촉하여 환경 호르몬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다른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안착돌기(235)는 상부 용기부재(210)와 일체로 그 하측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용기부재(230)와 하부 용기부재(250) 간의 종방향 접합면에는, 밀폐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밀폐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밀폐부재가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중간 용기부재(230)와 하부 용기부재(250) 간의 종방향 접합면에는 밀폐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종방향 접합면은 종방향 상으로 만나는 접합면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중간 용기부재(230)와 하부 용기부재(250)의 접합면 사이로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용기부재(230)와 하부 용기부재(250) 간의 종방향 접합면에는 안착돌기(255)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안착돌기(255)는 하부 용기부재(250)와 일체로 그 상측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면 안착홈(257)도 하부 용기부재(250)의 상측에 형성되고, 안착홈(257)에 안착되는 밀폐부재(220)도 하부 용기부재(25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를 위해 용기부재가 포개진 상태(도 8 참조)에서 밀폐부재(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부 용기부재(21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밀폐부재(220)의 분리,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돌기(255)는 밀폐부재(220)가 안착되는 안착홈(257)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안착돌기(255)는 안착홈(257)의 일측 벽면을 구성할 수 있다.
그 일부가 안착돌기(255)로 구성되는 안착홈(257)에 의해, 밀폐부재(220)는 하부 용기부재(250)에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재를 포개어 휴대하는 경우에도 외력이나 흔들림 등에 불구하고 밀폐부재(220)가 안착홈(257)에 안착된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밀폐부재(220)를 분리하여 용기를 세척한 후 밀폐부재(220)를 다시 안착홈(257)에 안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 청결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밀폐부재(220)는 안착돌기(255)에 의해 용기의 내측(도면 상에서 좌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는 밀폐부재(220)가 용기 내의 뜨거운 음료 등 액체와 접촉하여 환경 호르몬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다른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안착돌기(235)는 상부 용기부재(210)와 일체로 그 하측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용기부재(210)는 하측 종방향 접합면의 내측이 낮고, 외측이 높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측은 용기의 내측으로서 도면 상에서 좌측을 의미하고, 상기 외측은 용기의 외측으로서 도면 상에서 우측을 의미한다.
도 9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부 용기부재(210)의 하측 종방향 접합면의 내측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제공되고, 외측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제공된다. 이에 의해,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높게 제공되는 상기 외측의 종방향 접합면을 넘어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중간 용기부재(230)의 상측 종방향 접합면은 상부 용기부재(210)의 하측 종방향 접합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용기부재(230)는 하측 종방향 접합면의 내측이 낮고, 외측이 높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측은 용기의 내측으로서 도면 상에서 좌측을 의미하고, 상기 외측은 용기의 외측으로서 도면 상에서 우측을 의미한다.
도 9의 (a) 및 (c)를 참조하면, 중간 용기부재(230)의 하측 종방향 접합면의 내측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제공되고, 외측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제공된다. 이에 의해, 용기 내의 음료 등 액체가 높게 제공되는 상기 외측의 종방향 접합면을 넘어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하측 용기부재(250)의 상측 종방향 접합면은 중간 용기부재(230)의 하측 종방향 접합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110: 상부 용기부재
111: 암 나사부
115: 걸림턱
119: 밀폐부재
121: 암 나사부
123: 수 나사부
130: 중간 용기부재
131: 수 나사부
133: 암 나사부
135, 137: 걸림턱
139: 밀폐돌기
141: 밀폐부재
145: 결합돌기
150: 하부 용기부재
153: 수 나사부
157: 걸림턱
161: 밀폐돌기
163: 수 나사부
170: 받침부재
171: 암 나사부
173: 수나사부
175: 결합홈
190: 뚜껑부재
200: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210: 상부 용기부재
211: 스타퍼
213: 수나사부
220: 밀폐부재
230: 중간 용기부재
231: 스타퍼
235: 안착돌기
237: 안착홈
250: 하부 용기부재
255: 안착돌기
257: 안착홈
270: 뚜껑부재

Claims (12)

  1. 상부 용기부재;
    상기 상부 용기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용기부재; 및
    상기 중간 용기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용기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부재의 내면과 상기 중간 용기부재의 외면,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의 내면과 상기 하부 용기부재의 외면은
    서로 나사결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부재, 상기 중간 용기부재 및 상기 하부 용기부재는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용기부재 간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용기부재 및 상기 하부 용기부재는
    상측에 수 나사부를 구비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부재 및 상기 중간 용기부재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노출되는 밀폐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중간 용기부재 및 상기 하부 용기부재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밀폐돌기가 제공되며,
    사용시에 상기 밀폐돌기와 상기 밀폐부재가 서로 밀착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 용기부재 및 상기 중간 용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받침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는
    휴대 시에 나사결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용기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는
    휴대 시에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부재 및 상기 중간 용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면에 스타퍼를 구비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부재와 상기 중간 용기부재 간, 그리고 상기 중간 용기부재와 상기 하부 용기부재 간의 종방향 접합면에는
    밀폐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밀폐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밀폐부재가 용기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가 제공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부재 및 상기 중간 용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하측 종방향 접합면의 내측이 낮고, 외측이 높게 제공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부재, 상기 중간 용기부재 및 상기 하부 용기부재는
    상호 나사결합을 위해 상측 또는 하측에, 또는 상측 및 하측에 수 나사부 또는 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 나사부는 그 상측과 하측의 최대 외경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암 나사부는 그 상측과 하측의 최소 내경이 서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KR1020220051270A 2022-04-26 2022-04-26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KR20230151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70A KR20230151666A (ko) 2022-04-26 2022-04-26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PCT/KR2023/001352 WO2023210932A1 (ko) 2022-04-26 2023-01-30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70A KR20230151666A (ko) 2022-04-26 2022-04-26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666A true KR20230151666A (ko) 2023-11-02

Family

ID=8851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270A KR20230151666A (ko) 2022-04-26 2022-04-26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1666A (ko)
WO (1) WO202321093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969U (ko) * 1985-09-26 1987-04-06
JPH0362888U (ko) * 1989-10-24 1991-06-19
US8267271B2 (en) * 2009-06-09 2012-09-18 Faris Enterprises LLC Collapsible cup
CN101992880A (zh) * 2009-08-17 2011-03-30 何淑鹏 一种新型折叠式水桶
US20110248037A1 (en) * 2010-04-08 2011-10-13 E&M Engineering, Inc. Thermally insulated collapsible cup for hot or cold beverages
KR20180133085A (ko) * 2017-06-05 2018-12-13 문상원 사용자의 용도에 따른 조립식 몸체 및 보온 기능을 구비한 다용도 물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932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5774B2 (ja) ボトルのような容器のためのキャップ
AU2014249322B2 (en) Drink containers with closure retention mechanisms
AU2009267720B2 (en)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US3542256A (en) Liquid container dispensing closures
US20120205371A1 (en) Leak proof collapsible cup
US20050087455A1 (en) Contact lens care system
US20150272197A1 (en) Container
JP2011500461A (ja) 栓紛失及び空回転防止容器
US20110198361A1 (en) Flip straw bottle cap with loop handle storage spout
US20180370684A1 (en) Combination bottle and system
US5102000A (en) Drink Mug
JP6430430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キャップ
RU2602364C2 (ru) Бутылка
KR20230151666A (ko) 휴대성이 향상된 용기
US11759035B2 (en) Silicone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s
JPH02205583A (ja) 流動液容器及び流動液吐出方法
KR20130060836A (ko) 음료수 용기에 꽂아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빨대기구
US20160257441A1 (en) Combination Bottle and System
EP1591369A1 (en) Collapsible drinking and storage receptacle
KR20140106156A (ko) 위생적인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200396097Y1 (ko) 용기의 기밀구조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102616898B1 (ko)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KR101425894B1 (ko) 액체용기 뚜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