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097Y1 - 용기의 기밀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의 기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097Y1
KR200396097Y1 KR20-2005-0018559U KR20050018559U KR200396097Y1 KR 200396097 Y1 KR200396097 Y1 KR 200396097Y1 KR 20050018559 U KR20050018559 U KR 20050018559U KR 200396097 Y1 KR200396097 Y1 KR 200396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inking
coupling
open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박
Original Assignee
김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윤 filed Critical 김광윤
Priority to KR20-2005-0018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4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부와 마개부로 이루어진 용기의 밀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200)의 상부결합부(210)의 외측에는 마개부(300)와 결합되기 위한 용기나선(211)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300)는 상부결합부(210)와 결합되는 하부결합부(310)로 이루어지고, 하부결합부(310)는 내측으로부터 물막이요설부(311), 결합요홈(312), 플랜지(3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313)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나선(211)과 나선 결합하는 마개나선(31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부(210)는 결합요홈에 안착되어 물막이요설부(311)가 상부결합부(210)의 내측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결합요홈(312)에는 기밀효과를 높이기 위해 밀봉부재(400)가 형성된 용기의 기밀구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의 기밀구조{SEALING STRUCTURE OF VESSEL}
본 고안은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결합구조 상에 밀폐성을 강화하여 수용된 액체의 누수를 방지하며, 결합구조에 오염원의 부착을 억제하고 세척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는 용기의 기밀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용기, 특히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는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와 나사결합되는 마개부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음료용기는 내부의 액체가 유동상태에 있는 경우가 빈번하고 또한 마개부에 액체분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 음료를 음용시 용기가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되어 용기부와 마개부의 결합구조에 액체가 노출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더욱이 상기 용기의 내용물이 유아나 소아용 음료이고 유아 등이 직접 사용하는 경우 사용상의 미숙함에 의해 용기의 유동상태는 더욱 심해지고 용기를 놓치는 등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결합구조에 틈이 발생하여 밀폐성이 문제되는 경우가 많아진다.
상기 결합구조에 불완전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는 크게 세가지로 검토될 수 있다. 첫 번째로 내부음료의 누수문제로서 이는 제품 외부의 오염은 물론 주위 환경의 오염이 문제된다. 두 번째는 상기 결합구조에 용기 내용물이 점착되어 오염되는 것으로 용기를 사용하고 매번 세척하지 않으면 액체 내용물이 결합구조의 나선요홈 등에 점착되어 오염원이 번식하게 되고 특히 용기 사용자가 유아인 경우 장염 등의 질병유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세 번째 문제점은 세척의 어려움으로 상기 오염원이 점착된 경우 체결구조 상의 각종 결합체나 요홈의 조밀성으로 인해 완전한 세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결국에는 액체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내용물이 용기의 결합구조 전에서 차단되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용기의 기밀 또는 밀폐구조와 관련된 것이고, 이에 대해서는 다수의 제안이 있어 왔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39533호에 제안된 밀폐구조로서 "음료수가 담긴 병의 유통·판매 및 음용시 밀폐 및 개폐를 위한 마개에 있어서, 몸체부(12)가 이단구조로 이루어지되, 상단부 외주면에는 절취부(13)에 의해 제거되는 커버(14)가 씌워지고 상면 중앙에는 일정한 크기의 개구공(15)이 형성되며 내부 저면에는 원판형태의 밀폐판(16)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구조."를 개시하였다.
상기 고안에서는 밀폐성을 보강하기 위해 밀폐판과 커버가 더 형성된 점이 특징이나 상기 커버는 1회성이고 마개가 용기와 완전 결합된 이상적인 경우만을 상정한 것이어서 충격으로 인한 누출과 같은 특이상황에 대한 대안이 없고 상기 언급한 완전한 기밀성이나 내오염성, 세척용이성이 역시 확보되지 못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기의 기밀성이 확보되고, 이와 동시에 내오염성 및 세척용이성이 보완된 용기의 기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를 개방하지 않고도 용기의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마개부에서 음용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부와 마개부로 이루어진 용기의 밀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200)의 상부결합부(210)의 외측에는 마개부(300)와 결합되기 위한 용기나선(211)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300)는 상부결합부(210)와 결합되는 하부결합부(310)로 이루어지고, 하부결합부(310)는 내측으로부터 물막이요설부(311), 결합요홈(312), 플랜지(3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313)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나선(211)과 나선 결합하는 마개나선(31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부(210)는 결합요홈에 안착되어 물막이요설부(311)가 상부결합부(210)의 내측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결합요홈(312)에는 기밀효과를 높이기 위해 밀봉부재(400)가 형성된 용기의 기밀구조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부결합부(210)가 밀봉부재(400)와 밀착되는 상단면에, 물막이요설부(311)로부터 높이의 구배가 형성된 상부단차(350)가 형성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밀봉부재가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밀봉손잡이(410)를 더 형성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마개부(300)에, 스트로(321)를 수용하는 스트로홀(322)이 마개부(300)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홀(322) 주위로 제1 및 제2스트로밀봉부재(323, 324)가 각각 형성되고 마개부(30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덮개가 닫히는 경우 스트로(321)를 수용할 수 있는 스트로요홈(325)이 형성된 제1음용부(320)가 더 포함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개부(300)에, 음용브라켓(334)에 음용레버(331), 음용밀봉부재(332), 고정너트(33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음용레버(331)의 말단나사부가 고정너트(333)와 체결되어 음용레버(331)가 음용브라켓(334)에 안착되고, 상기 음용레버(331)의 레버 하단에는 개폐단턱(336)이 형성되어 있어 음용브라켓(334)의 개방구(335)와 서로 대응되어 상기 개폐단턱(336)이 개방구(335)와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용기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고, 개폐단턱(336)이 개방구(335)와 엇갈려 있는 경우 상기 개방구(335)를 통하여 내용물을 음용할 수 제2음용부(330)가 더 포함된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따른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용기부와 마개부의 결합구조를 확대한 것이고, 도 4는 상기 결합구조에서 내측구조를 확대한 것이며, 도 5는 상기 결합구조가 압착되어 밀봉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기밀구조(100)는 용기부(200)와 마개부(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부(200)의 상부결합부(210)의 외측에는 마개부(300)와 결합되기 위한 용기나선(2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마개부(300)는 상부결합부(210)와 결합되는 하부결합부(310)로 이루어지고, 하부결합부(310)는 내측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된 물막이요설부(311), 결합요홈(312), 플랜지(3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플랜지(313)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나선(211)과 나선 결합하는 마개나선(3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결합요홈(332)에는 기밀효과를 높이기 위해 밀봉부재(4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밀구조는 용기부(200)의 용기나선(211)과 마개부(300)의 마개나선(314)이 서로 나선 결합한다. 상기 하부결합부(3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용기부(200)의 상부결합부(210) 내측과 밀착되는 물막이요설부(311)는 상부결합부(210)의 내측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밀봉부재(400)의 두께이상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막이요설부(311)는 마개부와 용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의 내용물(액체)이 밀봉부재(400) 및 그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물막이요설부(311)는, 용기부(200)의 상부결합부(210)나 마개부(300)의 하부결합부(310)에 내용물이 잔류하고 있는 경우에 용기부와 마개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내용물이 압착에 의해 용기 외벽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용기의 내용물이 분유인 경우 분유를 제조하기 위해 분유분말을 용기에 투입 후 온수를 용기에 투입하거나 분말의 혼합도를 높이기 위해 용기를 상하로 흔들는 경우 내용물이 잔존함). 또 상기 물막이요설부는 용기의 내용물이 결합요홈(312)이나 결합용 나사선으로 흐르는 것을 최소화하여 내용물이 상기 영역에 점착되고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400)는 결합요홈(312)에 안착되고 용기부(200)의 상부결합부(210)의 상단면과 밀착되어 기밀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밀봉부재는 실리콘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기밀구조는 나선결합, 물막이요설부, 밀봉부재의 3중 보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밀구조에 있어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결합부(210)에서 밀봉부재(400)와 밀착되는 상단면에는, 물막이요설부(311)로부터 높이의 구배로 형성된 상부단차(3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단차(350)는 접촉표면적을 줄임으로서 용기부(200)와 마개부(300)의 결합시 발생하는 압력을 집중할 수 있어 밀봉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밀봉부재(400)와 용기재질(합성수지재)간의 표면마찰도 차이에 의한 결합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 5는 용기부(200)와 마개부(300)가 완전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일차적으로 물막이요설부(311)가 누수를 방지하고, 이차적으로 밀봉부재(400)와 상부단차(350)의 압착력에 의해 누수가 방지되며, 최종적으로 나선결합에 의해 결합력이 강화되는 구조이다.
도 6은 밀봉부재(400)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밀봉부재는 링형일 수 있으나 용기를 세척하기 위해 구성물을 탈착시키는 경우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밀봉손잡이(41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밀봉손잡이(410)가 형성된 밀봉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밀봉손잡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막이요설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는 본 고안에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마개부(300)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제1음용부(320), 제2음용부(330) 및 음용개폐부(3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제1음용부의 확대단면도로서 스트로(321)를 수용하는 스트로홀(322)이 마개부(300)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홀(322) 주위로 제1 및 제2스트로밀봉부재(323, 32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마개부(30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덮개가 닫히는 경우 스트로(321)를 수용할 수 있는 스트로요홈(325)이 형성된다.
도 9는 제2음용부(330)의 분해사시도로서 음용브라켓(334)에 음용레버(331), 음용밀봉부재(332), 고정너트(33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음용레버(331)의 말단나사부가 고정너트(333)와 체결되어 음용레버(331)가 음용브라켓(334)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음용레버(331)의 레버 하단에는 개폐단턱(336)이 형성되어 있어 음용브라켓(334)의 개방구(335)와 서로 대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개폐단턱(336)이 개방구(335)와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용기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고, 개폐단턱(336)이 개방구(335)와 엇갈려 있는 경우 상기 개방구(335)를 통하여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다.
상기 음용개폐부(340)는 90도 이상의 각도로 형성된 덮개(341)와 상기 덮개(341)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축이 되는 힌지축(342)으로 이루어진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음용개폐부(340)가 좌우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은 음용개폐부(340)가 폐쇄상태인 경우이고 도 11은 개방상태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기밀구조는 용기와 마개의 결합구조, 물막이요설부, 상부단차를 이용한 밀봉부재를 압착력 증가와 같은 3중 밀폐기능으로 인하여 기밀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밀구조는 용기의 점도성 높은 내용물이 물막이요설부로 인하여 제거되기 어려움 틈(나사선이나 결합요홈)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서 내오염성이 증진되며, 밀봉부재를 탈착시키기 용이하여 용기를 세척하기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2개의 안전성이 있는 음용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리하게 용기의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기의 기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기밀구조에 대한 전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구조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구조의 밀봉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밀봉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음용부의 확대 단면도.
도 9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음용부의 분해 사시도.
도 1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개폐부가 닫힌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기밀구조 200 : 용기부
210 : 상부결합부 211 : 용기나선
300 : 마개부 310 : 하부결합부
311 : 물막이요설부 312 : 결합요홈
313 : 플랜지 314 : 마개나선
320 : 제1음용부 321 : 스트로
322 : 스트로홀 323, 324 : 제1 및 제2스트로밀봉부재
325 : 스트로요홈 330 : 제2음용부
331 : 음용레버 332 : 음용밀봉부재
333 : 고정너트 334 : 음용브라켓
335 : 개방구 340 : 음용개폐부
341 : 덮개 342 : 힌지축
350 : 상부단차 400 : 밀봉부재

Claims (5)

  1. 용기부와 마개부로 이루어진 용기의 밀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200)의 상부결합부(210)의 외측에는 마개부(300)와 결합되기 위한 용기나선(211)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300)는 상부결합부(210)와 결합되는 하부결합부(310)로 이루어지고, 하부결합부(310)는 내측으로부터 물막이요설부(311), 결합요홈(312), 플랜지(3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313)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나선(211)과 나선 결합하는 마개나선(31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부(210)는 결합요홈에 안착되어 물막이요설부(311)가 상부결합부(210)의 내측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결합요홈(332)에는 기밀효과를 높이기 위해 밀봉부재(40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기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부(210)는 밀봉부재(400)와 밀착되는 상단면에, 물막이요설부(311)로부터 높이의 구배가 형성된 상부단차(35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밀봉손잡이(410)를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300)에는, 스트로(321)를 수용하는 스트로홀(322)이 마개부(300)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홀(322) 주위로 제1 및 제2스트로밀봉부재(323, 324)가 각각 형성되고 마개부(30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덮개가 닫히는 경우 스트로(321)를 수용할 수 있는 스트로요홈(325)이 형성된 제1음용부(32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300)에는, 음용브라켓(334)에 음용레버(331), 음용밀봉부재(332), 고정너트(33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음용레버(331)의 말단나사부가 고정너트(333)와 체결되어 음용레버(331)가 음용브라켓(334)에 안착되고, 상기 음용레버(331)의 레버 하단에는 개폐단턱(336)이 형성되어 있어 음용브라켓(334)의 개방구(335)와 서로 대응되어 상기 개폐단턱(336)이 개방구(335)와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용기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고, 개폐단턱(336)이 개방구(335)와 엇갈려 있는 경우 상기 개방구(335)를 통하여 내용물을 음용할 수 제2음용부(33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KR20-2005-0018559U 2005-06-27 2005-06-27 용기의 기밀구조 KR200396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59U KR200396097Y1 (ko) 2005-06-27 2005-06-27 용기의 기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59U KR200396097Y1 (ko) 2005-06-27 2005-06-27 용기의 기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097Y1 true KR200396097Y1 (ko) 2005-09-15

Family

ID=4369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559U KR200396097Y1 (ko) 2005-06-27 2005-06-27 용기의 기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0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174U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성을 갖는 유아용 텀블러
KR20170000796U (ko) * 2017-02-21 2017-03-02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174U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성을 갖는 유아용 텀블러
KR200482433Y1 (ko) * 2015-05-28 2017-01-23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성을 갖는 유아용 텀블러
KR20170000796U (ko) * 2017-02-21 2017-03-02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KR200485719Y1 (ko) * 2017-02-21 2018-02-13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US7845525B2 (en)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RU2372265C2 (ru) Система укупорив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герметизацией крышки
US8844746B2 (en) Liquid container closure with integrated over center latching assembly
RU2420442C2 (ru) Разливные крышки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предназначенных для напитков
CN109835599B (zh) 用于饮料容器的盖
RU2481259C2 (ru) Нажимно-вытяжной затвор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питья
TWM418208U (en) Improved water control switch
KR200396097Y1 (ko) 용기의 기밀구조
JP2010527865A (ja) 栓紛失及び空回転防止容器
US10077143B2 (en) Lid for container with rotatable reclosable spout
KR20090056748A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GB2459519A (en) Closure element for a fluid container
KR20190106911A (ko) 조립 텀블러
KR200444121Y1 (ko) 용기 마개
US20210300639A1 (en) Resealable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JP3124569U (ja) 容器の口栓装置
EP2621825B1 (en) Cap for a container
JP4603657B2 (ja) ノズル付きのボトルキャップ
EP2621824B1 (en) Locking means for a cap
KR200179855Y1 (ko) 용기의 마개
KR200400630Y1 (ko) 다목적 이중 보호캡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KR20020080520A (ko) 용기의 마개
KR200308955Y1 (ko) 운반과 개폐가 간편한 음료용기의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