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295A -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 Google Patents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295A
KR20230151295A KR1020220050819A KR20220050819A KR20230151295A KR 20230151295 A KR20230151295 A KR 20230151295A KR 1020220050819 A KR1020220050819 A KR 1020220050819A KR 20220050819 A KR20220050819 A KR 20220050819A KR 20230151295 A KR20230151295 A KR 2023015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base
module unit
adjustable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유창
Priority to KR102022005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295A/en
Publication of KR2023015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2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유닛을 제조할 때 모듈 유닛의 프레임을 정확하게 용접 체결할 수 있고, 높이와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높은 위치의 체결 작업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가변 지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jig that can accurately weld and fasten the frame of a module unit when manufacturing a module unit, and is equipped with a workbench that can adjust the height and position, allowing workers to easily perform fastening work at high positions.

Description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 {Variable jig for module unit}Variable jig for module unit production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본 발명은 모듈 유닛을 제조할 때 모듈 유닛의 프레임을 정확하게 용접 체결할 수 있고, 높이와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높은 위치의 체결 작업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가변 지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jig that can accurately weld and fasten the frame of a module unit when manufacturing a module unit, and is equipped with a workbench that can adjust the height and position, allowing workers to easily perform fastening work at high positions.

모듈러 공법이란 현장에서 시공하는 기존의 습식 공법과는 달리 공장에서 모듈 유닛을 조립 생산하고, 각종 내, 외장재, 설비 및 배선 등을 미리 시공한 후 이를 현장으로 운송하여 조립 및 적층 함으로써 건축물을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공법을 말한다.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unlike the existing wet construction method that is constructed on site, involves assembling and producing modular units in a factory, constructing variou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equipment, and wiring in advance, and then transporting them to the site for assembly and stacking to quickly construct a building. It refers to a technique that can be done.

이러한 모듈 유닛은 방수 및 마감, 배수 설비는 물론 전기 설비 및 내부 마감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단위 공간을 형성한다.These modular units can include waterproofing, finishing, drainage equipment, as well as electrical equipment and internal finishing, forming a single unit space.

이러한 모듈 유닛들은 통상 공장에서 도 1과 같은 육면체 형태로 제조되어 운송 수단을 통해 시공 현장으로 이송한 후 현장에서 작업용 크레인에 의해 이동 조립되는데, 모듈 유닛을 조립할 때 모듈 유닛들이 수평 방향으로 연속 체결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연속 적층되어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을 구성한다.These module units are usually manufactured in a hexahedral shape as shown in FIG. 1 at a factory,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via transportation, and then moved and assembled at the site by a work crane. When assembling the module units, the module units are fastened horizontally in succession or , are stacked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various types of buildings.

모듈 유닛(1)은 도 1과 같이 수직 프레임(3)과 수평 프레임(2)을 용접하여 육면체 형태의 기본 뼈대를 구성한 후 제작되는데, 이 수직 프레임(3)과 수평 프레임(2)을 체결할 때 조금이라도 치수를 벗어나면 모듈 유닛(1)들이 서로 체결이 되지 않거나, 시공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module unit (1) is manufactured by welding the vertical frame (3) and the horizontal frame (2) to form a basic fram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s shown in Figure 1. The vertical frame (3) and the horizontal frame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f the dimensions deviate even slight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dule units 1 cannot be fastened to each other or construction becomes impossible.

따라서, 모듈 유닛(1)을 제작할 때 지그를 사용하여 모듈 유닛의 뼈대를 이루는 수직 프레임(3)과 수평 프레임(2)이 정확하게 용접되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when manufacturing the module unit 1, a jig is used to ensure that the vertical frame 3 and the horizontal frame 2, which form the framework of the module unit, are accurately welded.

그런데 종래의 모듈 유닛(1) 제작용 지그는 제작 공차가 너무 커서 수평 프레임(2)과 수직 프레임(3)을 정확하게 체결하기가 매우 힘들고, 작업자가 용접 체결 및 내, 외장재 체결 작업을 할 때마다 필요한 곳으로 사다리를 옮겨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하여야 하므로 제작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jig for manufacturing the module unit (1) has a manufacturing tolerance so large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fasten 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vertical frame (3), and each time the worker performs welding work and fastening of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There is a problem that manufacturing work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worker must move the ladder to the necessary place and climb up.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2250218호, "모듈 유닛용 가변 지그"Document 1.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250218, “Variable Jig for Modular Unit”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914740호, "조립식 건축용 모듈의 체결유닛"Document 2.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14740, “Fastening unit of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914742호, "조립식 건축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시공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Document 3.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14742,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s,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38281호, "고정브라켓-접합식 모듈러 건축물"Document 4.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8281, “Fixed Bracket-Conjoined Modular Build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모듈 유닛(1)의 뼈대를 이루는 수직 프레임(3) 및 수평 프레임(2)을 빠르고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켜 용접할 수 있는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jig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align and weld the vertical frame (3) and the horizontal frame (2) that form the framework of the module unit (1). This 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작업자가 여러 높은 작업 위치마다 일일이 사다리를 옮겨가며 작업할 필요 없이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가변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jig for manufacturing a module unit that allows workers to easily work on a variable workbench that allows workers to move positions without having to manually move ladders to various high work position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는 레일(114)을 구비한 베이스(101); 상기 베이스(101)의 양측에서 구동장치에 의해 레일(11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x-가변 베이스(110); 상기 x-가변 베이스(110)에서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하는 작업대(140); 상기 각각의 x-가변 베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의 칼럼(131); 상기 각각의 x-가변 베이스(110)의 타측에서 구동장치에 의해 x-가변 베이스(110)의 레일(124)을 따라 x-가변 베이스(1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수직의 칼럼(131)이 형성된 y-가변 베이스(120); 및 지지구(137)를 구비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각각의 칼럼(131)을 따라 승강하는 z-가변 베이스(130);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ariable jig for manufacturing a mod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1 provided with a rail 114; an x-variable base 110 that slides along the rail 114 by a driving device on both sides of the base 101; A work table 140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a driving device on the x-variable base 110; A vertical column 131 formed on one side of each x-variable base 110; Slide and move along the rail 124 of the x-variable base 1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 a y-variable base 120 formed with a vertical column 131; And a z-variable base 130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137 and raised and lowered along each column 131 by a driving device.

이때, 상기 작업대(140)와 힌지 체결된 사다리(143); 및 상기 베이스(101) 또는 x-가변 베이스(110)에 체결되고, 단부에 상기 사다리(143)와 접하는 롤러(145)가 형성된 사다리 지지구(1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ladder 143 hinged to the workbench 140; And a ladder support member 144 that is fastened to the base 101 or the x-variable base 110 and has a roller 145 formed at an end in contact with the ladder 143.

또한, 상기 작업대(140)의 양측은 작업대(140)가 수직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로 y-가변 작업대(150); 및 x-가변 작업대(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work table 140 include a y-variable work table 150 in which the work table 140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and an x-variable work table 160; is formed.

또한, 상기 y-가변 작업대(150)는 y-가변 베이스(12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으로 작업대(140)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y-adjustable worktable 15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on the worktable 14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y-adjustable base 120 slides.

또한, 상기 x-가변 작업대(160)는 x-가변 베이스(11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으로 작업대(140)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x-adjustable worktable 16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on the worktable 14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x-adjustable base 110 slid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듈 유닛(1)의 뼈대를 이루는 수직 프레임(3) 및 수평 프레임(2)을 빠르고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켜 용접, 체결할 수 있고, 가변 작업대를 통해 작업자가 높은 여러 작업 위치마다 일일이 사다리를 옮겨가며 작업할 필요 없이 위치를 옮길 수 있는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vertical frame (3) and horizontal frame (2), which form the framework of the module unit (1), to be quickly and accurately aligned, welded and fastened, and allows the operator to perform various tasks through a variable workbench. Workers can easily work on a workbench that can be moved without having to manually move the ladder to each location.

도 1은 모듈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x-가변 베이스 구동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y-가변 베이스 구동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z-가변 베이스 구동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업대 승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작업대가 승강할 때 사다리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x-가변 작업대와 그 가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y-가변 작업대와 그 가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모듈 유닛을 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e uni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jig for manufacturing a mod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variable jig for manufacturing a mod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variable jig for manufacturing a mod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x-variable base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y-variable base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z-variable base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workbench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the ladder when the work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and lowered.
Figures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x-variable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variable state.
Figures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y-variable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variable state.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manufacturing a module uni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ssuming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en it is said that one component "includes" another componen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patent claims, this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sisting of only that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other components are not includ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include mor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Terms such as “upper”, “lower”, “bottom”, “front”, “rear”, “bottom”,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for ease of description and refer to the components as shown in the drawings. Refers to orientation.

본 발명에 의한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태의 베이스(101)의 양측에 x-가변 베이스(110)가 형성되고, 상기 x-가변 베이스(110)는 베이스(101)에 설치된 레일(114)을 따라 베이스(101)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variable jig 100 for manufacturing a mod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x-variable base 110 formed on both sides of a plate-shaped base 101, and the x-variable The base 110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101 along the rail 114 installed on the base 101.

상기 x-가변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y-가변 베이스(120)가 형성되고, 상기 y-가변 베이스(120)는 x-가변 베이스(110)에 설치된 레일(124)을 따라 x-가변 베이스(110)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 y-variable base 1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x-variable base 110, and the y-variable base 120 is formed along the rail 124 installed on the x-variable base 110.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110).

그리고 상기 y-가변 베이스(120)와 x-가변 베이스(110)에는 수직의 칼럼(131)이 설치되고, 상기 칼럼(131)에는 z-가변 베이스(130)가 형성되어 칼럼(131)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nd a vertical column 131 is installed on the y-variable base 120 and the x-variable base 110, and a z-variable base 130 is formed on the column 131 to move along the column 131. It is configured to allow slide movement in the z-axis direction.

x-가변 베이스(11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가변 베이스(110)의 양측에 모터(111)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11) 축에 체결된 피니언(112)이 베이스(101)에 설치된 래크(113)와 치합됨으로써, 모터(111)의 구동에 의해 x-가변 베이스(110)는 베이스(101)에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As shown in FIGS. 2 and 5, the x-variable base 110 has a motor 11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x-variable base 110, and a pinion 112 fastened to the axis of the motor 111. By engaging with the rack 113 installed on the base 101, the x-variable base 110 slides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base 101 by driving the motor 111.

상기 모터(111)는 토크가 크고 회전량을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a servo motor as the motor 111, which has large torque and can precisely control the rotation amount.

이때, 베이스(101)에 가이드 레일(114)을 설치함으로써, x-가변 베이스(110)의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114)은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induce smooth slide movement of the x-variable base 110 by installing a guide rail 114 on the base 101. It is desirable to use an LM guide (Linear Motion Guide) for the rail 114.

도 2 및 도 6과 같이 상기 x-가변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수직의 칼럼(131)이 설치되고, x-가변 베이스(110)의 타측에는 수직의 칼럼(131)이 설치된 y-가변 베이스(120)가 형성된다.2 and 6, a vertical column 13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x-variable base 110, and a vertical column 131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x-variable base 110. (120) is formed.

x-가변 베이스(110)에는 래크(123)와 레일(124)이 설치되고, y-가변 베이스(120)에 설치된 모터(121) 축의 피니언(122)은 상기 래크(123)와 치합된다.A rack 123 and a rail 124 are installed on the x-variable base 110, and the pinion 122 of the axis of the motor 121 installed on the y-variable base 120 engages with the rack 123.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y-가변 베이스(120)가 래크(123) 및 레일(124)을 따라 x-가변 베이스(110)에서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By driving the motor 121, the y-variable base 120 slides along the rack 123 and the rail 124 in the x-variable base 110 in the y-axis direction.

상기 모터(121)는 토크가 크고 회전량을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a servo motor as the motor 121, which has large torque and can precisely control the rotation amount.

x-가변 베이스(110)의 일측과, x-가변 베이스(110)의 타측에 설치된 y-가변 베이스(120)에는 수직의 칼럼(131)이 설치되는데, 각 칼럼에는 z-가변 베이스(130)가 설치된다.Vertical columns 131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x-variable base 110 and the y-variable base 12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x-variable base 110, and each column has a z-variable base 130. is installed.

칼럼(131)의 상부에는 모터(132)가 설치되고, 모터(132) 축에는 스크류(133)가 수직으로 길게 체결되어 칼럼(131)의 고정구(135)에 의해 고정된다.A motor 132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olumn 131, and a screw 133 is vertically fastened to the axis of the motor 132 and fixed by the fixture 135 of the column 131.

z-가변 베이스(130)의 일측에 형성된 너트블럭(134)이 상기 스크류(133)와 치합됨으로써,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z-가변 베이스(130)는 칼럼(131)을 따라 수직인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The nut block 134 formed on one side of the z-adjustable base 130 is engaged with the screw 133, so that the z-adjustable base 130 moves vertically along the column 131 by driving the motor 132. Slide moves in the z-axis direction.

이때, 칼럼(131)에 레일(136)을 설치함으로써, z-가변 베이스(130)가 칼럼(131)을 따라 원활하게 수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rail 136 on the column 131 to guide the z-variable base 130 to slide smoothly and vertically along the column 131.

상기 z-가변 베이스(130)에는 지지구(137)를 힌지 체결함으로써 모듈 유닛(1)의 수평 프레임(20) 특히, 상부 보에 해당하는 수평 프레임(2)을 지지하여 승강하도록 한다.A support member 137 is hinged to the z-variable base 130 to support the horizontal frame 20 of the module unit 1, especially the horizontal frame 2 corresponding to the upper beam, so as to be lifted.

상기 y-가변 베이스(120), x-가변 베이스(110) 및 z-가변 베이스(130)를 이용하여 모듈 유닛(1)을 구성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2, 3)을 원하는 지점까지 이송하여 고정함으로써, 모듈 유닛(1)을 정확하게 용접, 체결한다.By using the y-variable base 120, By fixing, the module unit 1 is accurately welded and fastened.

그리고 베이스(101) 양측에 형성된 x-가변 각각의 베이스(11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작업대(140)가 설치된다.And a work table 140 is installed on each x-variable base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101, as shown in FIGS. 2 and 3.

작업대(140)는 x-가변 베이스(110)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링크(141)의 하부는 x-가변 베이스(110)에 체결되고 X링크(141)의 상부는 작업대(140)의 하부에 체결된다.The work table 140 is installed to be lifted up and down on the x-adjustable base 110. As shown in FIGS. 4 and 8, the lower part of the The upper part of (141)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work table (140).

그리고 X 링크(141)의 하부 일측은 x-가변 베이스(110)에 힌지로 고정 체결되고, X 링크(141)의 하부 타측은 x-가변 베이스(1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힌지 체결된다.And the lower side of the X link 141 is fixedly fastened to the x-variable base 110 with a hinge,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또한, X 링크(141)의 상부 일측은 작업대(140)에 힌지로 고정 체결되고, X 링크(141)의 상부 타측은 작업대(14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힌지 체결된다.In addition, one upper side of the X link 141 is fixedly fastened to the work table 140 with a hinge, and the other upper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X 링크(141)에는 액추에이터(142)가 설치됨으로써, 도 8과 같이 액추에이터(142)의 구동에 의해 작업대(140)가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dditionally, an actuator 142 is installed on the

도 8과 같은 X 링크(141)에 의한 작업대(140) 승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lifting and lowering the worktable 140 using the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140)의 일측에는 사다리(143)가 작업대(140)에 힌지 체결됨으로써, 작업자가 사다리(143)를 통해 작업대(140)로 간편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다,And, as shown in Figures 2 to 4, a ladder 143 is hinged on one side of the workbench 140 to the workbench 140,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climb up and down the workbench 140 through the ladder 143. do,

이때, 상기 사다리(14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1)에 체결된 사다리 지지구(144)에 지지되는데 상기 사다리 지지구(144)의 단부에는 롤러(145)를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ladder 143 is supported on a ladder support 144 fastened to the base 101, as shown in FIG. 9, and a roller 145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adder support 144.

작업대(140)가 상승할 때 작업대(140)에 힌지 체결된 사다리(143)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접히는데, 이때 롤러(145)에 접한 사다리(143)가 원활하게 접힐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When the workbench 140 rises, the ladder 143 hinged to the workbench 140 rotates around the hinge and folds. At this time, the ladder 143 in contact with the roller 145 is guided so that it can be folded smoothly.

작업대(140)가 작업 위치까지 상승하여 작업이 끝나면 작업대(140)를 하강시켜 작업자가 내리는데, 이때 접힌 사다리(143)가 사다리 지지구(144)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작업대(140)가 하강할 때 사다리(143)는 도 8과 같이 펴지면서 작업자가 사다리(143)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내리 수 있다.When the workbench 140 is raised to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work is completed, the workbench 140 is lowered and the worker gets down. At this time, the folded ladder 143 is supported by the ladder support 144, so when the workbench 140 is lowered. The ladder 143 is unfolded as shown in FIG. 8 and the worker can easily get down using the ladder 14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다리 지지구(144)가 베이스(101)에 체결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x-가변 베이스(110)에 체결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dder support 144 is described as being fastened to the base 101, but it may also be fastened to the x-variable base 110.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작업대(140) 일측에는 y-가변 작업대(150)와 x-가변 작업대(160)가 설치된다.And as shown in FIG. 2, a y-adjustable workbench 150 and an x-adjustable workbench 160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each workbench 140.

도 2와 같이 y-가변 작업대(150) 및 x-가변 작업대(160)는 각각 작업대(140)의 양측에서 x축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y-가변 작업대(150)는 작업대(140)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x-가변 작업대(160)는 작업대(140)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the y-adjustable worktable 150 and the 14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x-variable worktable 160 is configured to be slideable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orktable 140.

본 발명의 가변 지그(100)를 이용하여 모듈 유닛(1) 프레임 체결 작업을 할 때 도 14와 같이 모듈 유닛(1)의 모서리 부분을 작업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작업대(140)에서 x축 방향으로 절곡된 y-가변 작업대(150) 및 x-가변 작업대(160)를 통해 작업자는 간편하게 모듈 유닛(1)의 모서리 부분을 작업할 수 있다.When fastening the frame of the module unit (1) using the variable ji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ers of the module unit (1) must be worked as shown in FIG. 14. At this time,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work table (140) Through the bent y-adjustable worktable 150 and x-adjustable worktable 160, workers can easily work on the corners of the module unit 1.

특히, 상기 y-가변 작업대(150)는 작업대(140) 일측에서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x-가변 작업대(160)는 작업대(140)의 타측에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듈 유닛(1)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도록 작업대를 조정할 수 있고, 더욱 먼 곳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y-adjustable worktable 150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y-axis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worktable 140, and the x-adjustable worktable 160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table 140. By configuring it to be possible, the workbench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various sizes of the module unit 1 and work can be done from a greater distance.

x-가변 작업대(16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140)의 일측에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하는데, 도 10과 같이 작업대(140)의 바닥 프레임인 받침대(146)가 x-가변 작업대(16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x-가변 작업대(160)를 지지한다.The x-adjustable worktable 160 is installed to slide in the x-axis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worktable 140, as shown in FIG. 11. As shown in FIG. 10, the stand 146, which is the bottom frame of the worktable 140, is -It extends to the lower part of the flexible worktable 160 and supports the x-variable worktable 160.

그리고 도 10과 같이 상기 받침대(146)의 양측에 'ㄷ' 형태의 가이드(147)에 x-가변 작업대(160)의 양측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x-가변 작업대(160)가 x축 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에서는 일측의 가이드(147)만 도시되고 타측의 가이드(147)는 간간에 가려 보이지 않음).And, as shown in Figure 10, by inserting both ends of the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it so that it can slide (in FIG. 10, only the guide 147 on one side is shown and the guide 147 on the other side is occasionally obscured).

y-가변 작업대(15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140)의 타측에서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데, 도 12와 같이 작업대(140)가 y-가변 작업대(15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3, the y-adjustable worktable 150 is installed to slide in the y-axis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table 140. As shown in FIG. 12, the worktable 140 is of the y-adjustable worktable 150. 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part.

작업대(140) 양측 단의 'ㄷ' 형태의 가이드(148)에 y-가변 작업대(150)의 단부와 중간 부분이 삽입됨으로써, y-가변 작업대(150)가 y축 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ends and middle portions of the y-adjustable workbench 150 are inserted into the 'ㄷ' shaped guides 148 on both sides of the workbench 140, so that the y-adjustable workbench 150 can slide only in the y-axis direction. It is composed.

도 12와 같이 y-가변 작업대(150)의 중간 부분이 가이드(148)에 삽입되는데, y-가변 작업대(150) 중간 부분에 'ㄱ' 형태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가이드(148)를 삽입한다.As shown in FIG. 12, the middle part of the y-adjustable work table 1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148. An 'L' shaped groove is formed in the middle part of the y-adjustable work table 150, and the guide 148 is placed in the groove. Insert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업대(140)는 x축 방향으로 절곡 연장됨으로써, 도 14와 같이 모듈 유닛(1)을 제작할 때 모서리 부분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The worktable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bent and extended in the x-axis direction, so that corners can be easily worked on when manufacturing the module unit 1 as shown in FIG. 14.

또한, 작업대(140) 일측의 y-가변 작업대(150)가 작업대(140)에서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x-가변 작업대(160)가 작업대(140)에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모듈 유닛(1) 크기에 대응할 수 있고, 작업자가 보다 먼 곳까지 걸어서 다가가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y-adjustable worktable 150 on one side of the worktable 140 can slide in the y-axis direction on the worktable 140, and the x-adjustable worktable 160 can slide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worktable 140. By being configured in such a way, it can accommodate various sizes of module units (1), and workers can walk to farther places and work comfortab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듈 유닛(1)의 뼈대를 이루는 수직 프레임(3) 및 수평 프레임(2)을 빠르고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켜 용접, 체결할 수 있고, 가변 작업대를 통해 작업자가 높은 여러 작업 위치마다 일일이 사다리를 옮겨가며 작업할 필요 없이 위치를 옮길 수 있는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간편하고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vertical frame (3) and horizontal frame (2), which form the framework of the module unit (1), to be quickly and accurately aligned, welded and fastened, and allows the operator to perform various tasks through a variable workbench. Workers can work easily and comfortably on a workbench that can be moved without having to manually move the ladder to each location.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In addition, even if not explicitly shown or explaine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f-evident, and still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The abov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 : 모듈 유닛
2 : 수평 프레임
3 : 수직 프레임
100 : 지그
101 : 베이스
110 : x-가변 베이스
111 : 모터
112 : 피니언
113 : 래크
114 : 레일
120 : y-가변 베이스
121 : 모터
122 : 피니언
123 : 래크
124 : 레일
130 : z-가변 베이스
131 : 칼럼
132 : 모터
133 : 스크류
134 : 너트 블럭
135 : 고정구
136 : 레일
137 : 지지구
140 : 작업대
141 : X 링크
142 : 액추에이터
143 : 사다리
144 : 사다리 지지구
145 : 롤러
146 : 받침대
147 : 가이드
148 : 가이드
150 : y-가변 작업대
160 : x-가변 작업대
1: module unit
2: horizontal frame
3: Vertical frame
100: Jig
101: base
110: x-variable base
111: motor
112: pinion
113: Rack
114: rail
120: y-variable base
121: motor
122: pinion
123: Rack
124: rail
130: z-variable base
131: column
132: motor
133: screw
134: Nut block
135: fixture
136: rail
137: support district
140: workbench
141:X link
142: actuator
143: Ladder
144: Ladder support district
145: roller
146: stand
147: Guide
148: Guide
150: y-variable workbench
160: x-variable workbench

Claims (5)

레일(114)을 구비한 베이스(101);
상기 베이스(101)의 양측에서 구동장치에 의해 레일(11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x-가변 베이스(110);
상기 x-가변 베이스(110)에서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하는 작업대(140);
상기 각각의 x-가변 베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의 칼럼(131);
상기 각각의 x-가변 베이스(110)의 타측에서 구동장치에 의해 x-가변 베이스(110)의 레일(124)을 따라 x-가변 베이스(1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수직의 칼럼(131)이 형성된 y-가변 베이스(120); 및
지지구(137)를 구비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각각의 칼럼(131)을 따라 승강하는 z-가변 베이스(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
Base 101 with rails 114;
an x-variable base 110 that slides along the rail 114 by a driving device on both sides of the base 101;
A work table 140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a driving device on the x-variable base 110;
A vertical column 131 formed on one side of each x-variable base 110;
Slide and move along the rail 124 of the x-variable base 1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 a y-variable base 120 formed with a vertical column 131; and
A variable jig for manufacturing a modul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z-variable base (130)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137) and raised and lowered along each column (131) by a dri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40)와 힌지 체결된 사다리(143); 및
상기 베이스(101) 또는 x-가변 베이스(110)에 체결되고, 단부에 상기 사다리(143)와 접하는 롤러(145)가 형성된 사다리 지지구(1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
According to paragraph 1,
A ladder (143) hinged to the workbench (140); and
A modul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ladder support member 144, which is fastened to the base 101 or the x-variable base 110 and has a roller 145 formed at an end in contact with the ladder 143. Variable jig for produ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40)의 양측은 작업대(140)가 수직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로 y-가변 작업대(150); 및 x-가변 작업대(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
According to paragraph 1,
Both sides of the work table 140 include a y-variable work table 150 in which the work table 140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and an x-variable workbench (160). A variable jig for manufacturing a module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y-가변 작업대(150)는 y-가변 베이스(12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으로 작업대(140)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y-adjustable worktable 150 is a variable jig for manufacturing a module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y-adjustable base 120 is configured to slide on the worktable 14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y-adjustable base 120 slid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가변 작업대(160)는 x-가변 베이스(11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으로 작업대(140)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유닛 제작용 가변 지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x-adjustable work table 160 is a variable jig for manufacturing a modul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lide on the work table 14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x-adjustable base 110 slides.
KR1020220050819A 2022-04-25 2022-04-25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KR202301512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819A KR20230151295A (en) 2022-04-25 2022-04-25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819A KR20230151295A (en) 2022-04-25 2022-04-25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295A true KR20230151295A (en) 2023-11-01

Family

ID=8874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819A KR20230151295A (en) 2022-04-25 2022-04-25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295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281B1 (en) 1995-03-17 1998-07-01 김광호 Noise detection system
KR100914742B1 (en) 2007-07-02 2009-08-31 강종구 A module of prefabricated building and a construc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KR100914740B1 (en) 2007-07-02 2009-08-31 강종구 A combination-unit for a module of prefabricated building
KR102250218B1 (en) 2019-11-20 2021-05-10 (주)유창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281B1 (en) 1995-03-17 1998-07-01 김광호 Noise detection system
KR100914742B1 (en) 2007-07-02 2009-08-31 강종구 A module of prefabricated building and a construc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KR100914740B1 (en) 2007-07-02 2009-08-31 강종구 A combination-unit for a module of prefabricated building
KR102250218B1 (en) 2019-11-20 2021-05-10 (주)유창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20920A1 (en) Modular fabrication unit
CN114599842A (en) Multifunctional connector
CN217620590U (en) Full-automatic gantry manipulator
KR20230151295A (en)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CN113401835B (en) Jacking equipment of steel structure beam for mounting small-sized factory building
JP2009057198A (en) Elevator car, assembly method of elevator car, and lifting tool
CN110741128B (en) Reinforcing structure, equipment rack and compartment
CN210150552U (en) Elevator waiting hall equipment
KR102250218B1 (en) Variable jig for module unit
KR102595443B1 (en) Appratus for installing system ceiling module
CN111112889A (en) Automatic welding device
JP2020084741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colum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5653111A (en) Quickly-hoisted foldable box house and quick hoisting method thereof
JP6861118B2 (en) Slope construction method and mobile elevating scaffolding
JP4944628B2 (en) Handrail structure of work table of elevator equipment
JP5765795B2 (en) Worktable device and laminated structure of worktable devices
JP7278863B2 (en) How to install a lifting scaffold
JP2000128457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rail for escalator
JP3192531B2 (en) Unit building
RU2798553C1 (en) Slipway for assembling large-sized volumetric modules
EP4328168A1 (en) Lifting device for building steel structure hoistway and method for building steel structure hoistway
JP6195527B2 (en) Building roof structure
JP7416127B2 (en) Assembly aid
CN220409242U (en) Cutting device for wall pipeline joint
CN215316553U (en) Automatic welding system of rob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