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444A -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0444A KR20230150444A KR1020220049807A KR20220049807A KR20230150444A KR 20230150444 A KR20230150444 A KR 20230150444A KR 1020220049807 A KR1020220049807 A KR 1020220049807A KR 20220049807 A KR20220049807 A KR 20220049807A KR 20230150444 A KR20230150444 A KR 202301504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id
- unit
- container
- wick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4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3 w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은, 투명소재로 외형을 이루며 기 설정된 내부 둘레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컨테이너,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가지고 경화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되며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고, 상기 심지를 기준으로 하여 횡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용융점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복수 개의 소재로 구성되는 고형유닛 및 기 설정된 이미지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형유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경화된 상태의 상기 고형유닛에 의해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시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형유닛이 용융됨에 따라 상기 시트유닛의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캔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심지를 중심으로 멀어질수록 용융온도가 낮아지도록 고형유닛을 형성하여 점화 시 균일한 높이로 용융됨으로써 내부의 시트유닛이 간섭 없이 용융된 높이만큼 노출되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양초는 몰드 내부에 용융된 파라핀액을 주입한 후 이를 경화시켜 제작되는데, 이렇게 제작된 양초는 장식성이 전혀 없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그 외관을 고려하여 색상을 넣거나, 다양한 도안이 그려진 시트지를 표면에 부착하거나, 다양한 도안이 그려진 시트지를 양초 내부에 삽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장식용 양초 제작기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식용 양초 제작기법 양초 내부에 시트지를 삽입하는 방법은 몰드에 파라핀액을 주입한 후, 파라핀액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 색상 및 다양한 도안이 그려진 시트지를 삽입하여 제작하여 시트지를 보호하거나 시트지 위에 파라핀을 다시 도포하여 이 파라핀에 의해 시트지가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트지 위에 파라핀액이 도포되어 부착된 시트지 또는 양초 내부에 삽입된 시트지는 양초 표면에 시트지를 부착한 양초보다 시트지의 선명도가 떨어져 장식적 효과가 저하되었으며, 특히 양초의 용융 시 심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부분은 상대적으로 용융되지 않아 이미지의 노출 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캔들의 점화 시 심지를 기준으로 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의 용융 높이가 상이하지 않고 균일하게 조절하여 시트유닛에 인쇄된 이미지가 간섭 없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은, 투명소재로 외형을 이루며 기 설정된 내부 둘레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컨테이너,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가지고 경화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되며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고, 상기 심지를 기준으로 하여 횡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용융점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복수 개의 소재로 구성되는 고형유닛 및 기 설정된 이미지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형유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경화된 상태의 상기 고형유닛에 의해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시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형유닛이 용융됨에 따라 상기 시트유닛의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고형유닛은 제1온도의 용융점을 가지며 기둥 형상으로 둘레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심지가 구비되는 제1고형부 및 제2온도의 용융점을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의 내면과 상기 제1고형부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제1고형부의 측면을 감싸며 일체로 경화되는 제2고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형부는 상기 제1고형부의 용융 시 함께 용융되어 상기 제1고형부와 거의 동일한 수평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형부는 상기 심지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상기 제1온도가 유지되는 제1거리의 둘레를 가지고, 상기 제2고형부는 상기 심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거리 이내에서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로 상기 제2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둘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형부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서 상기 제2고형부와 같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유닛은 상기 제1고형부와 상기 제2고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가 상기 제2고형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유닛은 상기 고형유닛의 용융 시 해당 부분에서 용융된 상기 고형유닛의 유동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의 제조방법은 중앙에 심지를 가지며 제1온도에서 용융되는 제1고형부를 제작하는 제1제작단계, 상기 제1고형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시트유닛을 부착하는 부착단계, 상기 시트유닛이 부착된 상기 제1고형부를 상대적으로 큰 내부 둘레를 가지는 별도의 컨테이너에 삽입하는 삽입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의 내면과 상기 제1고형부 사이의 빈 공간에 액체상태의 상기 제2고형부를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제2제작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형부는 상기 제1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온도에서 용융되어 상기 심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1고형부의 용융 시 동일선상에서 함께 용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캔들은 심지를 중심으로 배치된 고형유닛이 심지에서 멀어질수록 용융되는 온도가 낮은 소재로 이루어져, 점화 시 심지와 인접한 부분과 가장자리부분 모두 대략 유사한 높이로 용융됨으로써, 캔들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이 유사한 높이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고형유닛이 용융됨에 따라 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이 균일한 높이를 가지며 고르게 용융됨으로써 내부에 구비된 시트유닛의 이미지 노출 시 간섭을 최소화하며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캔들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캔들에서 사용에 따른 이미지의 노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캔들에서 제1고형부와 제2고형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캔들에서 시트유닛이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캔들어서 제1고형부를 제작하는 제1제작단계 이후 시트유닛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도 4의 캔들에서 제1고형부를 컨테이너 내부에 안착시키는 안착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캔들에서 컨테이너 내부에 제2고형부를 주입하는 제2제작단계를 나타낸 도면임.
도 2는 도 1의 캔들에서 사용에 따른 이미지의 노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캔들에서 제1고형부와 제2고형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캔들에서 시트유닛이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캔들어서 제1고형부를 제작하는 제1제작단계 이후 시트유닛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도 4의 캔들에서 제1고형부를 컨테이너 내부에 안착시키는 안착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캔들에서 컨테이너 내부에 제2고형부를 주입하는 제2제작단계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캔들과 같이 별도의 컨테이너 내부에 고형화된 양초와 심지가 구비되어 있으나, 점화 시 심지와 멀어질수록 용융점이 낮아져 유사한 속도로 용융됨으로써 가장자리부분과 중앙부분의 높이가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캔들은 크게 컨테이너(100), 고형유닛(200) 및 시트유닛(300)을 포함하며, 경화된 고형유닛(200) 내에 시트유닛(300)이 배치되며, 용융되어감에 따라 시트유닛(30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투명소재로 외형을 이루며 기 설정된 내부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테이너(100)는 일반적인 박스 또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후술하는 고형유닛(200) 및 시트유닛(300)이 투입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어 점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100)는 투명한 유리 또는 내열성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시트유닛(30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테이너(100)는 유리로 이루어져 상면이 개방되며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하방향을 따라 균일한 내경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높이에 따라 후술하는 고형유닛(200)의 심지(10)를 중심으로 내경이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는 원통 형태로 형서오디어 있으나 이와 달리 다각형이나 비대칭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형유닛(200)은 중앙에 점화가 가능한 심지(10)가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100)의 수용공간 내부에 안착되어 점화 시 용융 및 연소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형유닛(200)은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심지(10)를 가지고 경화되어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고, 상기 심지(10)를 기준하여 횡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용융점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복수 개의 소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형유닛(200)은 상기 심지(10)에서 멀어질수록 전달되는 열이 감소하여 온도가 낮아 지더라도 유사한 높이를 가지며 용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형유닛(200)은 크게 상기 심지(10)를 중심으로 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형부(210) 및 상기 제1고형부(210)를 측면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고형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형부(210)는 제1온도의 용융점을 가지며 기둥 형상으로 둘레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부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심지(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형부(210)는 상기 심지(10)를 중심으로 하여 제1거리인 L1이내의 반경에 구비되며, 상기 심지(10)에 점화 시 대략 유사한 수평 높이만큼 용융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형부(210)는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에 안착 시 외측면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심지(10)가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제1고형부(210)의 외측면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심지(10)를 중심으로 제1거리인 L1과 제2거리인 L2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제1고형부(21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벽 사이에 충진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경화 됨으로써 상기 제1고형부(210)와 일체화 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고형부(220)는 제2온도의 용융점을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면과 상기 제1고형부(210)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제1고형부(210)의 측면을 감싸며 일체로 경화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제1고형부(210)와 독립적인 소재로 구성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제1고형부(210)의 측면 외각을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경화되어 일체로 경화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제1고형부(210)를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잔여 공간에 주입되며, 상기 제1고형부(210)가 상기 제2고형부(220)와 같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가 되도록 주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제1고형부(210)와 상기 컨테이너(100) 사이의 공간에 주입 및 경화되며 상기 제2온도에서 용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심지(10)의 정화 시 상기 제1고형부(210)와 함께 용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형부(210)는 상기 심지(10)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1온도가 유지되는 제1거리의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심지(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거리 이내에서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로 상기 제2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형부(210)와 상기 제2고형부(220)가 구성되며, 각각이 서로 다른 소재로 상기 제2고형부(220)의 용융온도가 상기 제1고형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심지(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고형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먼 영역에 위치하여 심지(10)의 점화 시 상기 제1고형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제1고형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제2온도에서 용융되므로, 낮은 온도가 유지되더라도 상기 제1고형부(210)와 함께 상단부가 액체상태로 용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심지(10)가 점화되어 상기 제1고형부(210)의 용융 시 상기 제2고형부(220)가 함께 용융되어 거의 동일한 수평높이를 가지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고형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상기 제2고형부(220)가 용융 됨으로써 상기 심지(10)에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도 안정적으로 용융되어 상기 고형유닛(200) 전체가 대략 비슷한 수평 높이를 가지며 용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형유닛(200)은 제1고형부(210) 및 상기 제2고형부(220)로 이루어져 있으나, 2개 이상의 고형부로 이루어져 상기 심지(10)에서 멀어질수록 용융온도가 낮은 소재로 구성 됨으로써 점화 시 각각이 균일한 높이로 용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유닛(300)은 상기 고형유닛(200)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형유닛(200)의 용융 시 투명해짐에 따라 기 설정된 이미지(I)가 상기 컨테이너(100) 외부로 노출되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유닛(300)은 기 설정된 이미지(I)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형유닛(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경화된 상태의 상기 고형유닛(200)에 의해 이미지(I)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되고, 용융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미지(I)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시트유닛(300)은 상기 제1고형부(210) 또는 상기 제2고형부(220) 내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1고형부(210)와 상기 제2고형부(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형부(210)와 상기 제2고형부(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I)가 상기 제2고형부(22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유닛(300)은 일면에 상기 이미지(I)가 프린팅되어 상기 제1고형부(21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추후 상기 제2고형부(220)가 상기 시트유닛(300)을 외부에서 감싸며 상기 이미지(I)의 노출을 차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유닛(300)의 이미지(I)는 상기 제2고형부(220)가 용융되어 투명한 상태가 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유닛(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형유닛(200)의 용융 시 해당 부분에서 용융된 상기 고형유닛(200)의 유동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살펴보면, A1영역은 상기 고형유닛(200)이 용융되거나 또는 연소하여 사라진 영역이고, A2영역은 아직 용융되지 않은 초기상태의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심지(10)에 점화 시 인접 영역의 경우 용융점 이상의 온도로 인해 상기 제1고형부(210)와 상기 제2고형부(220)가 용융되거나 연소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와 같이 상기 제1고형부(210)가 용융되어 액체상태가 되는 경우 대류현상으로 인해 용융된 상기 제1고형부(210)가 상기 심지(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표면 부분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유닛(300)의 일부는 용융된 상기 제1고형부(210)와 상기 제2고형부(220)로 인해 일부가 노출된 상태이며, 해당 부분 역시 상기 제1고형부(210)의 유동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형유닛(200)이 용융되어 연소가 완료된 영역에서는 상기 시트유닛(300)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면과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벽을 향하도록 일부가 휘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I)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 상기 고형유닛(200)이 지속적으로 용융 및 연소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에서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시트유닛(300)은 점차 노출되어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벽과 인접하게 접촉되는 영역이 증가하며 상기 이미지(I) 역시 완전히 외부로 노출된다
즉, 상기 시트유닛(300)은 상기 고형유닛(200)이 연소함에 따라 A1영역이 증가하게 되며, A1영역에서 상기 이지미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I)를 확인할 수 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캔들은 상기 컨테이너(100), 상기 고형유닛(200) 및 상기 시트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고형유닛(200)이 상기 심지(10)에서 멀어질수록 용융되는 온도가 낮은 소재로 이루어져, 점화 시 심지(10)와 인접한 부분과 가장자리부분 모두 대략 유사한 높이로 용융될 수 있다.
그리고, 고형유닛(200)이 용융됨에 따라 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이 균일한 높이를 가지며 고르게 용융됨으로써 내부에 구비된 시트유닛(300)의 이미지(I) 노출 시 간섭을 최소화하며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I) 표시가 가능한 캔들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제1고형부(210)를 제적하는 제1제작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제작단계는 제1온도에서 용융되는 소재로 중앙에 심지(10)를 가지며 이를 둘러싼 원통 또는 다각통 형태로 경화시켜 상기 제1고형부(210)를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형부(210)는 별도의 몰드(미도시)를 통해 제작할 수 있으며, 몰드 내에 상기 심지(10)를 위치한 후 용융된 파라핀 상태의 상기 제1고형부(210)를 주입하여 경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몰드에서 상기 제1고형부(210)를 분리하여 상기 제1제작단계를 마무리한다.
이후 상기 제1고형부(21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이미지(I)가 형성된 시트유닛(300)을 부착하는 부착단계가 진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I)가 형성된 상기 시트유닛(300)을 상기 제1고형부(210)의 외면에 부착하는 단계로써,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며, 상기 이미지(I)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열에 의해 용융되거나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잇다.
이어서, 상기 부착단계를 진행한 후 삽입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삽입단계는 상기 시트유닛(300)이 부착된 상기 제1고형부(210)를 상대적으로 큰 내부 둘레를 가지는 별도의 컨테이너(100)에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는 원통 또는 다각통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형부(210)가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되, 상기 심지(10)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고형부(2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고정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심지(10)가 상기 고정되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100) 상부에 안착 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형부(210)를 상기 수용공간 중앙부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단계 이후 상기 제2고형부(220)를 형성하여 상기 컨테이너(100)와 일체화 시키는 제2제작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제2제작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단계 이후 액체상태의 상기 제2고형부(220)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주입한 후 경화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제1고형부(21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면 사이의 빈 공간에 상기 제2고형부(220)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제1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온도에서 용융되어 상기 심지(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고형부(210)의 용융 시 동일선상에서 함께 용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고형부(220)는 상기 제1고형부(210)의 둘레 외측에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심지(1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나, 용융온도가 상기 제1고형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점화 시 상기 제1고형부(210)와 함께 유사한 수위를 가지며 용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제조방법은 상기 제1제작단계, 상기 부착단계, 상기 삽입단계, 상기 제2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되며, 상기 제1고형부(210)와 상기 제2고형부(220)가 각각 서로 다른 용융온도를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독립적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유닛(300)을 내부에 구비하여 용융 시 해당 영역만큼 상기 이미지(I)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캔들은 점화 시 상기 심지(10)를 기준으로 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의 용융 높이가 상이하지 않고 균일하게 조절하여 상기 시트유닛(300)에 인쇄된 이미지(I)가 간섭 없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심지
100: 컨테이너
200: 고형유닛
210: 제1고형부
220: 제2고형부
300: 시트유닛
I: 이미지
100: 컨테이너
200: 고형유닛
210: 제1고형부
220: 제2고형부
300: 시트유닛
I: 이미지
Claims (7)
- 투명소재로 외형을 이루며 기 설정된 내부 둘레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컨테이너;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가지고 경화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되며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고, 상기 심지를 기준으로 하여 횡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용융점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복수 개의 소재로 구성되는 고형유닛; 및
기 설정된 이미지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형유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경화된 상태의 상기 고형유닛에 의해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시트유닛; 를 포함하며,
상기 고형유닛이 용융됨에 따라 상기 시트유닛의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캔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유닛은,
제1온도의 용융점을 가지며 기둥 형상으로 둘레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심지가 구비되는 제1고형부; 및
제2온도의 용융점을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의 내면과 상기 제1고형부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제1고형부의 측면을 감싸며 일체로 경화되는 제2고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형부는 상기 제1고형부의 용융 시 함께 용융되어 상기 제1고형부와 거의 동일한 수평 높이를 가지는 캔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형부는 상기 심지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상기 제1온도가 유지되는 제1거리의 둘레를 가지고,
상기 제2고형부는 상기 심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거리 이내에서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로 상기 제2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둘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형부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서 상기 제2고형부와 같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캔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유닛은,
상기 제1고형부와 상기 제2고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가 상기 제2고형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캔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유닛은,
상기 고형유닛의 용융 시 해당 부분에서 용융된 상기 고형유닛의 유동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심지를 가지며 제1온도에서 용융되는 제1고형부를 제작하는 제1제작단계;
상기 제1고형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시트유닛을 부착하는 부착단계;
상기 시트유닛이 부착된 상기 제1고형부를 상대적으로 큰 내부 둘레를 가지는 별도의 컨테이너에 삽입하는 삽입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의 내면과 상기 제1고형부 사이의 빈 공간에 액체상태의 상기 제2고형부를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제2제작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형부는 상기 제1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온도에서 용융되어 상기 심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1고형부의 용융 시 동일선상에서 함께 용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9807A KR20230150444A (ko) | 2022-04-22 | 2022-04-22 |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9807A KR20230150444A (ko) | 2022-04-22 | 2022-04-22 |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0444A true KR20230150444A (ko) | 2023-10-31 |
Family
ID=8854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9807A KR20230150444A (ko) | 2022-04-22 | 2022-04-22 |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50444A (ko) |
-
2022
- 2022-04-22 KR KR1020220049807A patent/KR2023015044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97300A (en) | Candl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 |
US6409501B1 (en) | Candle with surrounding decorative combustible material | |
US6090331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gel candles having non-metal core wicks | |
US5927965A (en) | Candle with surrounding decorative combustible material | |
US7850444B2 (en) | Fuel element for melting plate candle assembly | |
US6474980B2 (en) | Candle with clear barrier and medium | |
ITMI20010396A1 (it) | Prodotti con icone a base di etpa | |
US6375455B2 (en) | Indefinitely reusable candle | |
US6669468B2 (en) | Candle with polyethersulfone barrier | |
US6036477A (en) | Indefinitely reusable candle | |
KR20230150444A (ko) |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캔들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060172241A1 (en) | Decorative candle having an embedded design | |
JPS58184040A (ja) |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ブロツク用中子及びその造型方法 | |
US2103237A (en) | Method for making sanctuary candles | |
US20030049578A1 (en) | Decorative candl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WO2005093026A2 (en) | Candles, candl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 |
KR102396774B1 (ko) | 양초 내부에 시트지가 삽입된 양초 제조방법 | |
US3888620A (en) | Solid fuel emergency burner for light and heat | |
KR20160053980A (ko) | 액체 양초 시스템 | |
KR102431646B1 (ko) | 심재 직립성 유지부재를 구비한 양초 | |
KR20240027368A (ko) | 실드유닛 일체형 캔들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03765U (ko) |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 | |
JP2000008076A (ja) | 容器入りろうそく | |
US329536A (en) | Samuel claeke | |
KR101694843B1 (ko) | 촛불 바람막이용 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