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265A -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265A
KR20230150265A KR1020237026107A KR20237026107A KR20230150265A KR 20230150265 A KR20230150265 A KR 20230150265A KR 1020237026107 A KR1020237026107 A KR 1020237026107A KR 20237026107 A KR20237026107 A KR 20237026107A KR 20230150265 A KR20230150265 A KR 20230150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ransmission
information
mld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 다나카
류이치 히라타
시게루 스가야
고스케 아이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5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2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는, 제1 링크를 사용한 전송 기간 중에, 또한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링크에서, 상기 제2 링크에 있어서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제2 링크에서, 상기 제1 링크에서 전송하는 프레임 중에 기재된 적어도 전송 기간에 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상기 정보를 통지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하, 「본 개시」로 한다)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에서는, 언라이선스대에 있어서, 하나의 베이직 서비스 세트(BSS) 내에서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BS)와 유저 단말기(STA 또는 UE(User Equipment))가 자율적으로 BSS 내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다.
근년에는, AR(Augmented Reality)이나 VR(Virtual Reality), 4K/8K 등의 고정밀 영상 전송에서는 취급하는 데이터양이 매우 커서, 무선 전송에 있어서 더한층의 전송 용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송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언라이선스대의 주파수 대역에는 한계가 있어,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IEEE 802.11 TG(Task Group) be에서는, 5GHz대, 6GHz대와 같은 복수의 주파수대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에 의한 전송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Yongho Seok, et al., "Proposed Draft Text for MLO Multi-Link Channel Access: PPDU End Time Alig㎚ent, "IEEE802.11-20/1271r8, Sep.9, 2020 Zhou Lan, et al., "MLO a-synchronize and synchronize operation discussions, "IEEE 802.11-20/291r1 Jan.20, 2020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이며,
제1 링크를 사용한 전송 기간 중에, 또한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신 장치이다.
제1 측면에 관계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 상대에게 상기 정보를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면에 관계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송 단위마다, 상기 제2 링크에 있어서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재하는 한편,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송 단위마다, 상기 제1 링크에서 전송하는 프레임 중에 기재된 적어도 전송 기간에 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상기 정보를 기재한다.
제1 측면에 관계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원래의 전송 기간 내에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한 다른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혹은, 제1 측면에 관계되는 통신 장치는, 다른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원래의 전송 기간 내에서 상기 제2 링크의 개방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며,
제1 링크에서 전송을 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링크를 사용한 전송 기간 중에, 또한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또한,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이며,
제1 링크에서 데이터 수신 중에 또한 제2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이다.
제2 측면에 관계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면에 관계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 통신 상대가 상기 제2 링크의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링크에서 전송하는 프레임 중에 기재된 적어도 전송 기간에 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하고,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한다.
제2 측면에 관계되는 통신 장치는, 링크마다 MAC층에 있어서의 처리를 행하는 MAC층 처리부와, 모든 링크에 공통된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공통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링크의 MAC층 처리부는 상기 공통 데이터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제1 링크의 MAC층 처리부에 통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4 측면은,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며,
제1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 통신 상대가 제2 링크의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 처리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제2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개시에 의해 초래되는 효과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가, 상기 효과 이외에, 또한 부가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도 있다.
본 개시의 또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STR AP MLD로부터 non-STR non-AP ML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STR MLD가 다른 하나의 MLD로부터 복수 링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통신 장치(400)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되는 통신 시퀀스예(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DL Transmission에 있어서의 전송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Capabilities Exchange로 통지되는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DL Transmission 및 UL Transmission의 구체적인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PPDU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non-STR non-AP MLD1에 있어서의 통신부(410) 내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non-STR non-AP MLD 내의 Common Entity가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되는 통신 시퀀스예(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DL Transmission 및 UL Transmission의 구체적인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Enhanced CF-End로 통지되는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non-STR non-AP MLD1에 있어서의 통신부(410) 내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되는 통신 시퀀스예(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Capabilities Exchange로 통지되는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Capabilities Exchange로 통지되는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DL Transmission 및 UL Transmission의 구체적인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PPDU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STR non-AP MLD1에 있어서의 통신부(410) 내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에 대해서,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A. 멀티 링크 전송의 현 상황
B. 본 개시의 개요
C. 시스템 구성예
D. 장치 구성예
E. 제1 실시예
F. 제2 실시예
G. 제3 실시예
H. 정리
A. 멀티 링크 전송의 현 상황
A-1. 멀티 링크의 도입
한계가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확보하기 위해서, 복수의 주파수대를 동시에 사용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전술). 여기서, 주파수대는 「링크」라고도 불린다. 또한, 복수의 주파수대, 즉 복수의 링크를 동시에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는, MLD(Multi-Link Device)라고도 불린다. MLD인 AP는 「AP MLD(Access Point Multi-Link Device)」라고 불리고, MLD인 STA는 「non-AP MLD」라고 불린다.
「복수의 링크를 동시에 사용하여 전송한다」란, 복수의 링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 품질의 향상을 위하여, 복수의 링크 사이의 통신 동작의 제어를 별도 실시하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동작으로 복수의 링크를 동시에 사용한 전송이 실현된다. 단, 링크는 2개의 통신 장치 간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수 있는 무선 전송로를 가리키고, 각 링크의 주파수대는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1) 복수의 링크 사이에서 동기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
(2) 어떤 링크에 있어서 STA로부터 AP로 업링크 전송을 실시함과 함께, 다른 링크에 있어서 AP로부터 STA로 다운링크 전송을 실시하는 것.
A-2. 멀티 링크 전송에 있어서의 STR 및 NSTR의 도입
복수의 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와 단일의 주파수로만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가 혼재하는 것으로부터, 주파수마다 송신권을 획득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때문에, 1대의 STA가 AP에 대하여, 예를 들어 5GHz대에서는 업링크 전송함과 동시에 6GHz대에서는 다운링크 전송을 실시하는 케이스나, 양쪽의 링크에서 업링크 전송만 또는 다운링크 전송만을 실시하는 케이스가 생각된다. 즉,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링크마다 송신 및 수신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STR: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또는, 복수의 링크 사이에서 송신 또는 수신의 어느 한쪽을 실시하는 것(NSTR: non-STR)이 상정된다.
non-AP MLD가 STR을 실시하는 경우, 자신이 수신하는 신호에, 자신의 송신 신호가 누설됨으로써, 자기 간섭이 높아져 통신 품질이 열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비특허문헌 1을 참조). 이 문제는 예를 들어 이하에 기인한다.
(1) 링크(주파수대) 간의 근접 정도.
(2) STA-MLD가 링크마다 다른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STA-MLD의 안테나 간의 상관이나, 안테나에 부속되는 대역 통과 필터의 특성.
상기 문제가 발생하는 non-AP MLD는, STR을 실시하지 않는 단말기로서, 「non-STR non-AP MLD」 또는 「NSTR 한정이다(STA is NSTR limited)」라고 정의된다. 단, 어디까지나 단말기의 프로파일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용되는 링크에 의존하기 때문에, 동일한 단말기가, 특정한 링크 페어에서는 non-STR MLD로서 동작하고, 다른 링크 페어에서는 STR MLD로서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경우가 있다. 이후에는, non-STR non-AP MLD란, 「적어도 착안하고 있는 링크 페어에 대하여 non-STR로서 동작하는 non-AP MLD」라고 정의한다.
A-3. non-STR 단말기에 있어서의 과제: 수신 시에 있어서의 수신 데이터 종료 시각 제어의 필요성
non-STR non-AP MLD가, 어떤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링크에서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각 링크의 수신 신호에 있어서의 수신 종료 시각은 정렬되어 있어야만 한다. 이것은, 무선 LAN에 있어서, 단말기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수신 종료 후부터 규정 기간 내에 수신 확인 응답(Ack: Acknowledgment)을 송신하는 것이 일반적인 동작인 것에 의거한다. 즉, 각 수신 신호의 수신 종료 시각이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non-STR non-AP MLD는 어떤 링크에서 Ack를 송신하지만, 다른 링크에서는 독립적으로 신호를 수신하고 있어, 의도하지 않고 STR(즉, Ack의 송신과 신호의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실시되어버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신호는 어떤 시간 폭을 가진 데이터 유닛이며, PPDU(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Protocol Data Unit)라고 불리고 있다(비특허문헌 2를 참조). 또한, 비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 규정 기간은, 디바이스의 실장 의존에 의한 값이기는 하지만, 약 16 마이크로초로 정하고 있고, 동일한 non-STR non-AP MLD를 수신처로 하여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각 링크의 송신 신호의 송신 종료 시각은 8 마이크로초 이내의 차인 것이 언급되어 있다.
A-4. 현 상황의 멀티 링크 전송에서 생각되고 있는 제안·방식의 개요: 동기 송신과 비동기 송신
비특허문헌 2에서는, non-AP MLD에 대하여 복수의 링크에서 전송할 때, 이하의 2종류를 정의하고 있다. 특히 non-STR non-AP MLD에 대한 전송에서는, 각 링크의 수신 종단 시각(또는 송신 신호의 송신 종료 시각)이 정렬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1) 동기 송신(Sync.Tx: Synchronized Transmission)
- 다른 링크 사이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송신 개시 시각을 정렬시켜서 송신.
(2) 비동기 송신(Async.Tx: Ansynchronized Transmission)
- 다른 링크 사이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송신 개시 시각을 정렬시키지 않고 송신.
A-5. 동기 송신의 문제점과 비동기 송신의 이점
주로 비특허문헌 1에 있어서 기술에 기초하여, 동기 송신을 실시하기 위한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LAN에서는, 일반적으로, 각 단말기는 랜덤한 대기 시간(백 오프)이 만료되고 나서가 아니라면, 송신권 획득을 실시할 수 없다. 비특허문헌 1에 기술되어 있는 동기 송신의 조건이란, 복수의 링크에 있어서 각각의 백 오프가 만료된 후에, 각 링크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동기 송신이 실시되는 것이다. 이 조건이 필요한 이유로서, 백 오프는 각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의 혼잡도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링크마다의 공평성을 기하기 위해서인 것을 들 수 있다.
그런데, 링크마다의 전송의 혼잡도에 치우침이 있는 경우, 양쪽의 링크에서 적용되는 백 오프는 다르다. 이 때문에, 모든 링크의 백 오프가 종료하면, 필연적으로 가장 전송이 혼잡해 있는 환경에 맞춰서 동기 송신을 실시하게 된다. 그 때문에, 동기 송신 실시 전에 전체 링크의 백 오프의 종료를 기다리는 동안, 어떤 링크에서는 다른 단말기에 송신권이 획득되어버려, 동기 송신을 실시할 수 있을 확률은 낮아져버린다.
따라서, 비동기 송신을 채용함으로써, 백 오프가 만료된 링크로부터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고, AP MLD로부터 non-STR non-AP MLD로의 복수 링크 전송을 실시할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어, 비동기 송신은 시스템 전체의 스루풋 향상에 기여한다.
A-6. 현 상황 논의되고 있는 비동기 송신의 실시 방법
비특허문헌 2에서는, 이하의 방법 (A) 내지 (C)를 사용하여 비동기 송신을 실시하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 단, 먼저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었던 링크를 「링크 1」(또는, Basic Link)이라고 칭하고, 나중에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었던 링크를 「링크 2」(또는, Support Link)라고 칭한다. 또한, 전송되는 데이터를 PPDU라고 칭한다.
(A) 각 링크에서, 각각 백 오프 만료 후에 비동기로 PPDU를 송신한다.
(B) 링크 1에서는 RTS(Request to send) 프레임 및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통지함으로써 TXOP(Transmission Opportunity)를 획득한 후, PPDU를 전송하는데, 링크 2에서는 RTS 프레임 및 CTS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고 PPDU를 송신한다.
(C) 각 링크에서 RTS 프레임 및 CTS 프레임을 통지하고, 링크마다 TXOP를 획득한 후에 PPDU를 송신한다.
특히 non-STR non-AP MLD에 대한 전송의 경우, 각 링크에서 송신되는 PPDU의 송신 종료 시각은 정렬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비동기 송신에 있어서, 링크 1에서의 수신 동작 종료 시각 t1이 링크 2에서의 수신 동작 종료 시각 t2보다도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Ack 프레임의 송신 시각이 문제가 된다.
도 1에는, STR AP MLD로부터 non-STR non-AP MLD로 데이터(PPDU)를 전송하는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각 횡축은 시간축으로 한다. 단, 도 1 상단은 링크 1만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동작예를 도시하고, 도 1 하단은 링크 1 및 링크 2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PPDU 내에는, 프리앰블(Preamble)과, 복수의 MPDU(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가 포함되어 있다.
도 1 상단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1만을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경우, STR AP MLD는 백 오프 만료 후에 PPDU를 non-STR non-AP MLD로 송신한다. non-STR non-AP MLD는, PPDU를 복조 동작한 후에, 링크 1에서 Ack를 회신한다. 도면 중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송 기간을 T1로 하고, 전송 종료 시각을 t1로 한다.
한편, 도 1 하단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1과 링크 2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경우, STR AP MLD는, 각 링크에서 백 오프 만료 후에, 링크마다 PPDU를 non-STR non-AP MLD로 송신한다. non-STR non-AP MLD는, 링크 1 및 링크 2에서 각각 PPDU를 복조 동작한 후에, 링크 1 및 링크 2에서 Ack를 회신한다. 도면 중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송 기간을 T2로 하고, 전송 종료 시각을 t2로 한다. 링크 1만을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경우와 링크 1과 링크 2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송 기간의 차 ΔT(T1-T2)가 발생한다.
무선 LAN에서는 PPDU의 길이(즉 데이터의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PPDU의 선두부인 프리앰블 내에 포함된다. 단말기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의 수신 종료 판단은, 단말기 내의 PHY(PHYsical)층으로부터 MAC(Media Access Control)층으로 수신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인 PHY-RXEND.indication이 통지됨으로써 실시된다. 또한, PHY-RXEND.indication은 수신 신호의 프리앰블 내에 포함되는 PPDU의 길이에 의해 추정된 수신 시각 후가 아니라면 MAC층에 통지되지 않는다.
STR AP MLD는, 링크 1에서 데이터를 송신 중에 링크 2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었을 때에는, 원래 링크 1만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데이터를 링크 2에서 송신함으로써, 도 1 하단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기간을 T1로부터 T2로, ΔT만큼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PHY-RXEND.indication의 통지 타이밍의 제약에 의해, 링크 1의 MAC층에 있어서 단축 전의 전송 기간, 즉 시각 t1까지는 수신 동작으로서 행동한다. 이것은 본질적으로는 링크 1과 링크 2 각각의 MAC층에 있어서, 전송 기간이 단축된 것을 통지하는 정보, 및 그 정보를 통지하는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이 때문에, 비동기 송신에 있어서, 링크 1에서의 수신 동작 종료 시각이, 링크 2에서의 수신 동작 종료 시각보다도 지연되어버린다. 그 결과, non-STR non-AP MLD에서는, 링크 1에 있어서 Ack를 시각 t2가 아니라 시각 t1 이후에 송신할 수 없어, 단축된 전송 기간(도 1 중의 ΔT)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어 대기해야만 한다. 즉, 비동기 송신에 있어서, 어떤 전송 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지만, Ack의 송신 시간이 연체되어버려, 시스템으로서 전송 효율이 열화되어버린다는 과제가 현재화한다.
또한, 도 1 중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령 non-STR non-AP MLD가 시각 t2에서 Ack를 송신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도 1 중의 non-STR non-AP MLD가 아닌, 다른 단말기가 링크 1에 존재하는 경우, 그 단말기는 원래의 PPDU에서 통지된 전송 기간 T1이 완료하는 시각 t1까지는 송신을 대기해버리기 때문에, non-STR non-AP MLD가 Ack 송신을 종료한 후부터 t1까지의 기간은 송신할 수 없어, 시스템으로서의 전송 효율이 열화되어버린다는 과제가 현재화한다.
STR MLD가 다른 하나의 MLD로부터 복수 링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 있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과제가 있다. 도 2에는, STR AP MLD로부터 STR non-AP MLD로 데이터(PPDU)를 전송하는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각 횡축은 시간축으로 한다. 단, 도 2 상단은 링크 1만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동작예를 도시하고, 도 2 하단은 링크 1 및 링크 2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링크 1 및 링크 2를 사용하여 전송이 행하여지는 경우, 도 1 하단에 도시된 non-STR MLD가 수신하는 경우와는 달리, 각 링크의 수신 종료 시각은 정렬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이것은 non-STR MLD의 제약이 벗어난 것에 기인한다.
도 2 하단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TR AP MLD가 링크 1에서의 전송 중에 링크 2에서 전송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경우, 도 2 상단에서 도시하는, 링크 1만을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경우보다도, 링크 1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이 ΔT(T1-T2)만큼 단축된다. 그러나, STR non-AP MLD에 있어서, 링크 1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단축분 ΔT를 나타내는 정보가 링크 2의 MAC층으로부터 링크 1의 MAC층에 통지되지 않으면, 링크 1에서 수신한 PPDU 내에 포함되는 PPDU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서, 단축 전의 전송 기간 T1의 분만큼 링크 1에서 수신 동작을 계속하여 실시한다.
이 때문에, STR non-AP MLD에서도, 링크 1에 있어서 Ack를 시각 t2가 아니라 시각 t1 이후에 송신할 수 없어, 단축된 전송 기간(도 2 중의 ΔT)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어 대기해야만 한다. 즉, 전송 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지만, Ack의 송신 시간이 연체되어버려, 시스템으로서 전송 효율이 열화되어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B. 본 개시의 개요
본 개시에서는, 상기 A항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TR AP MLD가 링크 1을 사용하여 non-AP MLD로 전송 중에 또한 링크 2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이하의 (1) 내지 (3)의 동작을 제안한다.
(1) 링크 2를 사용함으로써 링크 1에 있어서의 단축된 전송 기간(도 1 및 도 2 중의 기간 ΔT)을 STR AP MLD로부터 non-AP MLD로 통지하는 것.(여기에서 말하는 non-AP MLD는, non-STR non-AP MLD 및 STR non-AP MLD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2) 비동기 송신된 신호를 non-AP MLD가 복수의 링크에서 수신하는 경우, non-AP MLD 내에 있어서, 링크 2의 MAC층으로부터 링크 1의 MAC층에, 링크 1에 있어서의 단축된 전송 기간 ΔT를 통지하는 것.
(3) 단축된 전송 기간 ΔT에, 적어도 링크 1에 있어서 non-AP MLD로부터 STR AP MLD로의 전송을 실시하는 것.
C. 시스템 구성예
도 3에는, 본 개시가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1대의 액세스 포인트(AP MLD)에 대하여 1대의 non-STR non-AP MLD1에 추가로,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단말기인 non-AP STA2 및 non-AP STA3이 접속되어 있다. 단, non-AP STA는, non-STR non-AP MLD, STR non-AP MLD, MLD가 아닌 non-AP STA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예는, 2대의 non-AP STA(즉, non-AP STA 2와 non-AP STA 3)가 AP MLD에 접속하고 있지만, non-AP STA의 대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non-STR non-AP MLD1 이외에 non-AP STA가 존재하지 않아도 되고, non-STR non-AP MLD1 이외에 non-AP STA가 1대 또는 3대 이상 존재해도 된다. 또한, non-STR non-AP MLD가 아니라, STR non-AP MLD가 AP MLD에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non-STR non-AP MLD1 이외의 non-AP STA의 집합을 non-AP STAs로 정의하고,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non-AP STAs는 1대 이상의 non-AP STA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AP MLD는, STR AP MLD인 것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링크에 대하여 설명해 둔다. non-STR non-AP MLD1이, AP MLD로 전송할 수 있는 링크는 복수 존재하고, non-AP STAs의 각 non-AP STA는 각각 1개 또는 복수의 링크에서 AP MLD로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각 non-AP STA를 전송할 수 있는 링크는 서로 일치할 필요는 없다. AP MLD가 non-STR non AP MLD로의 전송을 위해서, 먼저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었던 링크를 「링크 1」(또는, Basic Link)이라고 칭하고, 나중에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었던 링크를 「링크 2」(또는, Support Link)라고 칭한다.
D. 장치 구성예
도 4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링크 1 및 링크 2를 사용한 멀티 링크 전송이 가능한 MLD(AP MLD 또는 non-AP MLD)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400)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통신 장치(400)는 통신부(410)와, 제어부(420)와, 기억부(430)와, 안테나(440)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410)는 통신 제어부(411)와, 통신 기억부(412)와, 공통 데이터 처리부(413)와,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와, 신호 처리부(415)와, 무선 인터페이스부(416)와, 증폭부(417)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410) 중의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 신호 처리부(415), 무선 인터페이스부(416), 증폭부(417) 및 안테나(440)의 각 부는, 링크마다 장비되어 있고, 링크 1용의 각 부의 말미에는 「-1」가 붙여지고, 링크 2용의 각 부의 말미에는 「-2」가 붙여져 있다. 단, 이하에서는, 설명이 공통되는 경우에는, 「-1」 및 「-2」의 표기를 생략한다. 이하, 각 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폭부(417)는 무선 인터페이스부(416) 또는 안테나(44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부(417)는 일부가 통신부(410) 외의 구성 요소가 되어도 된다. 또한, 증폭부(417)의 일부가 무선 인터페이스부(414)에 내포되어도 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416)는 송신 시에는, 심볼 스트림에 대한 디지털-아날로그 신호 변환, 필터링, 업컨버트, 위상 제어를 행하고,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수신 시에는, 무선 인터페이스부(416)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다운 컨버트, 필터링,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을 행하고, 심볼 스트림을 생성한다.
신호 처리부(415)는 송신 시에는, 데이터 유닛에 대한 부호화, 인터리브 및 변조 등을 행하고, 물리 헤더를 부가하여 심볼 스트림을 생성한다. 또한, 수신 시에는, 신호 처리부(415)는 물리 헤더를 해석하고, 심볼 스트림에 대한 복조, 디인터리브 및 복호화 등을 행하고, 데이터 유닛을 생성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415)는 필요에 따라 복소 채널 특성의 추정 및 공간 분리 처리를 행한다.
통신 장치(400)는 데이터 처리부로서 공통 데이터 처리부(413)와, 링크마다의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를 구비하고 있다.
공통 데이터 처리부(413)는 송신 시에는, 통신 기억부(412)에 유지된 데이터 및 통신 제어부(411)로부터 수취한 제어 정보 및 관리 정보의 시퀀스 관리를 행하고, 암호화 처리 등을 행하여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고, 링크마다의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에의 배당을 행한다. 또한, 수신 시에는, 공통 데이터 처리부(413)는 데이터 유닛의 해독 처리와 리오더 처리를 행한다.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는 송신 시에는, 캐리어 센스에 기초하는 채널 액세스 동작과, 송신하는 데이터에의 MAC 헤더의 부가 및 오류 검출 부호의 부가 및 데이터 유닛의 복수 연결 처리를 행한다. 또한, 수신 시에는,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는 수신한 데이터 유닛의 MAC 헤더의 연결 해제 처리, 해석 및 오류 검출 및 재송 요구 동작을 행한다.
또한, 공통 데이터 처리부(413)와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의 동작은 상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한쪽이 다른 쪽의 동작을 행할 수도 있다.
링크마다 배치된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 신호 처리부(415), 무선 인터페이스부(416), 증폭부(417) 및 안테나(440)를 하나의 조(이하, 「개별 통신 세트」라고도 칭한다)로 하고, 2개 이상의 개별 통신 세트가 통신 장치(400)의 구성 요소가 되고, 개별 통신 세트마다 각각의 링크에서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각 개별 통신 세트에 기억부(도시하지 않음)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링크는 2개의 통신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수 있는 무선 전송로이며, 각 개별 통신 세트가 사용하는 각각의 링크는 주파수대가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와 신호 처리부(415)를 하나의 조로 하고, 2개 이상의 조가 하나의 무선 인터페이스부(416)와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 제어부(411)는 각 부의 동작 및 각 부 간의 정보 전달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다른 통신 장치에 통지하는 제어 정보 및 관리 정보를 각 데이터 처리부에 주고 받는 제어를 행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제어부(411) 내에는, 각 개별 통신 세트를 제어하는 개별 제어부(411-1 및 411-2)와, 공통 데이터 처리부(413) 및 각 개별 통신 세트에 공통된 제어를 실시하는 공통 제어부(411-3)가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서는, 각 개별 제어부(411-1 및 411-2)는, 수신 데이터 유닛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Length나 Duration 정보)로부터, 자신의 개별 통신 세트에 있어서의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는 기간 또는 데이터 유닛의 수신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PHY-RXEND.indication)를 다른 개별 제어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각 개별 제어부(411-1 및 411-2)는, 공통 제어부(411-3)를 통하여 상기 전달을 행하게 해도 된다. 본 개시에서는, 복수의 링크로부터 신호를 수신 중에, 신호의 수신 기간을 개별 통신 세트 또는 개별 제어부 사이에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통신 기억부(412)는 통신 제어부(411)에서 사용하는 정보를 유지한다. 또한, 통신 기억부(412)는 각 링크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및 각 링크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유지한다.
제어부(420)는 통신부(410) 및 통신 제어부(411)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420)는 통신 제어부(411)의 일부 동작을 대신 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 제어부(411)와 제어부(42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블록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기억부(430)는 제어부(420) 및 통신부(410)에서 사용하는 정보를 유지한다. 또한, 기억부(430)는 통신 기억부(412)의 일부 동작을 대신 행해도 된다. 기억부(430)와 통신 기억부(412)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블록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416)와 증폭부(417)와 안테나(440)를 하나의 조로 하고, 2개 이상의 조가 통신 장치의 구성 요소가 되어도 된다. 또한, 통신부(410)는 하나 이상의 LSI(Large Scale Integration)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공통 데이터 처리부(413)는 Upper MAC 또는 Higher MAC라고도 칭해지고,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는 Lower MAC라고도 칭해진다.
또한,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와 신호 처리부(415)의 조는 AP entity 또는 non-AP entity라고도 칭해진다. 또한, 통신 제어부(411)는 MLD management entity라고도 칭해진다.
E. 제1 실시예
도 5에는, 제1 실시예로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되는 통신 시퀀스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종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도 3과 마찬가지로, 1대의 AP MLD와, 1대의 non-STR non AP MLD와, 1대 또는 복수대의 STA(이하, 「STAs」로 한다)가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상정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통신 시퀀스예에서는, 이하에 4종류의 전송이 나타내져 있다. 각 전송에서 통지되는 프레임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로 넘긴다.
(1) Capabilities Exchange: 각 단말기의 능력을 나타내는 정보 통지
(2) DL(Downlink) Transmission: AP MLD로부터 non-STR non-AP MLD로의 데이터 전송
(3) UL(Uplink) Transmission: non-STR non-AP MLD로부터 AP MLD로의 데이터 전송
(4) Ack: 상기 (2) 및 (3)의 각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 확인 응답
E-1. 유의점에 대해서
도 5에 도시한 각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몇 가지의 유의점에 대하여 설명해 둔다.
E-1-1. 송신권에 관한 유의점
도 5 중에는, AP MLD와 non-STR non-AP MLD의 전송에 있어서의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지만, STAs와의 전송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도 5에서는, AP MLD 또는 non-STR non-AP MLD가 STAs보다도 먼저 송신권을 획득하여 각 전송을 실시하고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STAs로부터 AP MLD로의 전송, 또는 AP MLD로부터 STAs로의 전송은 발생해도 된다. 예를 들어, Capabilities Exchange의 직후에 AP MLD와 일부의 STAs 간에 전송이 발생한 후에, DL Transmission이 실시되어도 된다.
DL Transmission인 링크(이하, 「링크 1」로 한다)에서 전송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링크에 의한 전송이 발생한다. 또한, non-STR non-AP MLD에서의 2개의 링크에 의한 Ack 송신 및 UL Transmission은, AP MLD의 링크 1의 전송에 의해 확보된 송신권(송신이 허용된 기간) 내에서 실시되어도 된다.
E-1-2. DL Transmission에 관한 유의점
상술한 바와 같이, DL Transmission에서는, 어떤 링크(링크 1)에서의 전송 중에 다른 링크(링크 2)의 전송이 발생한다.
도 6에는,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링크 1 및 링크 2에서 전송이 행해지는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동 도면에서는, STR AP MLD와 non-STR non-AP MLD의 사이에 링크 1 및 링크 2의 2개의 링크를 사용하여 DL Transmission을 행할 때에, 링크 1의 전송 개시 후에 링크 2에서의 전송이 발생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AP MLD는, 링크 1에 있어서 데이터 유닛(PPDU)을 송신한다. PPDU 내에는 PPDU 길이 등의 제어 정보가 PPDU의 선두부인 프리앰블에 포함된다. 프리앰블의 후에는, 데이터인 MPDU가 계속되어 있다.
또한, 수신 단말기가 되는 non-STR non-AP MLD의 제약 상, 각 PPDU의 송신 종료 시각 또는 수신 종료 시각은 정렬되어 있다(non-AP MLD는, 수신이 종료한 링크에서 소정 기간 내에 Ack를 송신해야 한다. 수신 종료 시각이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한쪽의 링크에 의한 수신 동작 중에 다른 쪽의 링크에서 Ack를 송신해야만 하게 되어, non-STR의 제약에 반한다.). 단, 이 종료 시각은 어느 시간 폭 내에 수렴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16 마이크로초 내의 범위에서 오차가 발생해도 된다.
E-1-3. 각 전송 순서에 관한 유의점
도 5 중에는 Capabilities Exchange는 AP MLD로부터 non-STR non-AP MLD에 대하여 실시되고 있는 경우가 나타내져 있지만, non-STR non-AP MLD 및 STAs에 대하여 동시에 Capabilities Exchange가 전송되어도 된다. 구체예로서 AP MLD가 주기적으로 주위의 복수 단말기 앞으로 발신하는 비콘 신호로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도 5 중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STAs로부터 AP MLD에 대해서도 Capabilities Exchange가 발생해도 된다. 구체예로서, AP MLD가 비콘 신호를 발신한 후, STAs로부터 AP MLD에 Capabilities Exchange가 전송되어도 된다. 또한, non-STR non-AP MLD 및 STAs로부터 실시되는 Capabilites Exchange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각 시퀀스는 필요에 따라, 일부 생략되어도 되고, 순서는 도 5 중에 나타내는 대로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Ack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Ack는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E-2. Capabilities Exchange(캐퍼빌리티 통지)
AP MLD 및 non-STR non-AP MLD는, 서로 자기 단말기의 능력에 관한 정보 통지(이하, 「Capabilities Exchange」로 한다)를 실시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능력은, 단말기가 STR 전송을 실시할 수 있는지 여부, 그리고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링크수를 가리키지만,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apability Exchange는, 예를 들어 각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발신하는 비콘 신호나, 비콘 신호 후에 단말기 사이에서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정보 통지(Association)에 포함되어서 실시되어도 된다.
도 7에는, Capabilities Exchange로 통지되는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프레임은, Frame Control, RA(Receiving STA address), TA(Transmitting STA address), Multi-Link element의 각 필드로 구성된다. 단, 당해 프레임의 구성 요소는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rame Control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이 Capabilities Exchange로 통지되는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A 및 TA의 각 필드에는 각각 송신원의 단말기, 수신처의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Multi-Link element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말기 자신에 대한, STR 전송의 가부, 사용할 수 있는 링크 및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링크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A 및 TA에는, 예를 들어 단말기 고유의 MAC 어드레스가 나타내져도 된다. 또한, 특히 송신원 단말기나 수신처 단말기가 MLD인 경우, 하나의 MLD에 대하여 복수의 MAC 어드레스가 할당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MLD 내에 있어서의 개별 통신 세트나, 하나의 MLD가 이용하는 링크마다 MAC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이다. 즉, RA 및 TA는 MLD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당해 프레임을 통지하는 MLD에 추가로, MLD의 개별 통신 세트 또는 링크까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Multi-Link element 내의 MLD MAC Address와 아울러 식별되어도 된다.
Multi-Link element 내에는, Element ID, Length, Element ID Extension, Multi-Link Conrtol, MLD MAC Address, Per-STA Profile의 각 필드가 저장된다.
Element ID 필드에는, 당해 엘리먼트가 Multi-Link element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Length 필드에는, Multi-Link element의 비트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Multi-Link Conrtol 필드에는, 후속의 MLD MAC Address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MLD MAC Address 필드에는,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에 구애되지 않고, MLD 단말기에 개별로 할당되는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Per-STA Profile 필드에는, 각 링크 또는 각 개별 통신 세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Multi-Link Control 필드에는, MLD MAC Address Present 및 Rapid Non-STR Rx의 각 서브 필드가 저장된다. MLD MAC Address Present 필드에는, MLD MAC Address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apid Non-STR Rx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말기가,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non-STR MLD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도 6에 도시하는 비동기 전송(즉, 복수의 링크 사이에서 송신 개시 시각을 정렬시키지 않는 비동기 전송)의 수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Per-STA Profile 필드에는, Sub element ID, Length, Per-STA Control의 각 서브 필드가 저장된다. 또한, Per-STA Profile는 복수 존재해도 되고, 서로 다른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진다.
Sub element ID 필드에는, 당해 서브 필드가 Per-STA Profile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Length 필드에는, Per-STA Profile의 비트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Per-STA Control 필드에는, Per-STA Profile 필드 내가 나타내는 대상으로 되는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는, Per-STA Control 필드에는, Link ID, Bandwidth, Non-STR Pair Link ID의 각 서브 필드가 저장되어도 된다. Link ID 필드에는, 대상으로 하는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Bandwidth 필드에는, Link ID로 나타내진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를 전송할 수 있는 주파수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Non-STR Pair Link ID 필드에는, Link ID로 나타내진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와 동시에 이용되는 경우에, non-STR MLD로서 동작하는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Link ID 필드에 "링크 1"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고, Non-STR Pair Link ID 필드에 "링크 2"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당해 프레임을 통지하는 단말기는, 링크 1과 링크 2를 동시에 사용하여 수신(또는 송신)하는 경우에는, non-STR MLD로서의 동작 제약을 충족한 전송이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E-3. DL Transmission 이후에 대해서
DL Transmission에서는, AP MLD로부터 non-STR non-AP MLD로의 데이터 전송을 실시한다. 또한, UL Transmission에서는, non-STR non-AP MLD로부터 AP MLD로의 데이터 전송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AP MLD가 있는 링크(링크 1)에서 송신권을 획득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데, 전송 중에 다른 링크(링크 2)에서 데이터 전송이 개시된다. 단, 각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의 종료 시각은 특정한 오차의 범위 내에서 정렬되어 있다.
도 8에는, DL Transmission 및 UL Transmission의 구체적인 동작예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도 8 중에서는, AP MLD가 non-STR non-AP MLD1에 대하여 링크 1에서 송신하는데, 그 직후에 링크 2에서도 송신을 실시한다. 사전의 Capabilities Exchange에 의해, AP MLD는, non-STR non-AP MLD1이 링크 1 및 링크 2를 사용한 멀티 링크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 것 및 비동기 전송의 수신이 가능한 것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AP MLD는, 먼저 링크 1에서 송신된 PPDU에 대하여, 송신 개시 시점에서, PPDU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 기간 T1을 요한다고 판단한다. 그 후, AP MLD는 링크 2에서 새롭게 송신권을 획득함으로써, 원래 링크 1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일부를 링크 2에서 송신할 수 있게 되므로, 링크 1에서의 PPDU의 송신 기간은 T1로부터 T2로 단축된다. 이때, 수신 단말기는 NSTR인 것으로부터, 링크 1 및 링크 2에 있어서의 PPDU의 송신 종료 시각은 특정한 오차의 범위 내에서 정렬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AP MLD가 링크 1에서 송신한 PPDU 내의 프리앰블에는, 링크 1에서 전송되는 PPDU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나, 프리앰블은 PPDU의 선두에 놓이기 때문에, 프리앰블이 통지된 후에 PPDU 길이를 변경하더라도, 수신 단말기는 변경 후의 PPDU 길이를 인식할 수 없다.
여기서, non-STR non-AP MLD1과는 별도로, 링크 2를 사용하지 않는 단말기인 STA2와, 링크 1을 사용하지 않는 단말기인 STA3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AP MLD는, 링크 2에서 송신권을 획득하여 통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링크 2에서 전송하는 PPDU에 있어서 링크 1에서 송신된 PPDU 길이가 T1로부터 T2로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non-STR non-AP MLD1에 대하여 링크 1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이 단축된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 2를 사용하고 있는 STA3은, 마찬가지의 통지를 받고, 전송 기간 T2 이후에 링크 1의 아이들 상태 판단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STA2는 링크 2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링크 1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이 T1로부터 T2로 단축되었다는 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STA2는 T1 이후가 아니면 링크 1의 아이들 상태 판단을 실시할 수 없다.
그래서, AP MLD와 non-STR non-AP MLD1은 미리 링크 1의 프리앰블로 통지된 송신 기간 T1 내에서, 다시 다른 PPDU 전송을 실시한다. 도 8 중에서는, 새롭게 전송되는 PPDU 중, 링크 1에서 전송되는 것을 PPDU#2-1로 하고, 링크 2에서 전송되는 것을 PPDU#2-2로 하고 있고, 모두 AP MLD로부터가 아니라, non-STR non-AP MLD로부터 AP MLD로 업링크 전송되는 예가 나타내져 있다. 즉, AP MLD가 획득한 송신권이 미치는 기간 T1 내에서 non-STR non-AP MLD1이 AP MLD로 전송한다. AP MLD는, 링크 1 및 링크 2에서 전송하는 PPDU 내에 기재하는 RDG/More PPDU에서, non-STR non-AP MLD에 대하여 업링크 전송의 허가(즉, Reverse Direction Grant: RDG)를 통지함으로써, 기간 T1 내에서 다시 다른 PPDU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도 9에는, 링크 1 및 링크 2에서 송신되는 PPDU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PPDU는 프리앰블과, 1개 또는 복수의 MPDU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PPDU의 말미에 데이터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영역(Padding)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프리앰블에는, 당해 PPDU를 수신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시각 동기, 주파수 동기, 채널 추정에 추가로, 후속의 MPDU를 복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PDU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에 추가로, MPDU가 송신되는 주파수대나, 사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 및 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MPDU에는, 프리앰블 이외에 보내지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각 MPDU에는, Control, Duration, RA 및 TA, HT(High Throughput) Control, Payload의 각 필드가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Frame Control 필드에는, 당해 MPDU의 프레임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Duration 필드에는, DL Transmission에 있어서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A 및 TA의 각 필드에는 각각 송신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수신처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HT Control 필드에는 기타의 제어 정보가 저장된다. Payload 필드에는 상기 제어 정보 이외에 보내지는 데이터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PPDU에 복수의 MPDU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처음의 MPDU 내에 Frame Control, Duration, RA, TA 및 HT Conrtol을 저장하지만, 후속의 MPDU 내에는 이들이 저장되지 않아도 된다.
특히, HT Control 필드 내에는, EHT variant ID, Control ID, ML-CAS(Command and Status)의 각 서브 필드가 저장된다. EHT variant ID 및 Control ID의 각에는 각각 HT Control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ML-CAS 필드에는 링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나, 당해 프레임이 전송되는 링크 이외의 링크에 있어서의 정보가 저장된다.
ML-CAS 필드 내에는, AC Constraint, RDG/More PPDU, Support Link Effort, Basic Link Overwrite Flag, Renewal Length의 서브 필드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다.
AC Constraint 필드에는, 당해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송신이 가능한 트래픽 종별에 제약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DG/More PPDU 필드에는, 하기의 (1) 또는 (2)의 어느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1) 당해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는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기인 경우, 수신처의 단말기에 송신권이 미치는 범위 내에서 송신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즉, Reverse Direction Grant: RDG)을 나타내는 정보.
(2) (1)에서 허가하는 것이 통지되어, PPDU를 송신하는 경우, 후속으로 PPDU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Support Link Effort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의 통지하고 있는 링크가 아닌 다른 링크에 있어서, 당해 프레임을 통지하는 단말기가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Basic Link Overwrite Flag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을 통지하고 있는 링크가 아닌 다른 링크가 이미 전송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 수신 단말기에 대하여 프리앰블이나 ML-CAS에 포함되는 일부의 정보를 덮어쓰기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enewal Length 필드는 링크 2에서 보내진 PPDU에 포함되고, 링크 1의 PPDU 길이의 변경분 또는 변경 후의 링크 1의 PPDU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AP MLD가 링크 1에서 전송하는 PPDU#1-1 내의 MPDU에는 Support Link Effort 서브 필드가 저장되고, AP MLD가 링크 2에서 전송하는 PPDU#1-2에는 Basic Link Overwrite Flag 서브 필드 및 Renewal Length 서브 필드가 저장된다.
도 8에 도시한 동작예에서는, AP MLD는, 링크 1(즉, Basic Link)로 전송하는 PPDU의 Support Link Effort 필드에서, 링크 2(즉, Support Link)에 있어서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AP MLD는, 링크 2(즉, Support Link)를 이미 전송에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ML-CAS에 포함되는 정보(구체적으로는, 후속의 Renewal Lenght 필드에 기재되는, 링크 1(즉, Basic Link)의 PPDU 길이의 변경분 또는 변경 후의 링크 1의 PPDU 길이)가 덮어쓰기된 것을 Basic Link Overwrite Flag 서브 필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9 중에서는, ML-CAS는 각 MPDU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나타내져 있지만, 모든 MPDU에 ML-CAS가 저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선두의 MPDU에만 ML-CAS가 저장되어 있어도 되고, MPDU가 아니라 프리앰블 내에 ML-CAS가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링크 1에서 단축된 기간에 있어서, 링크 1뿐만 아니라 링크 2에서도 전송을 실시하기 위해서, 링크 2에서 전송되는 PPDU#1-2에 있어서, Duration 필드에는 도 8 중에서 T3'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링크 1 및 링크 2에 있어서 전송하는 PPDU의 RDG/More PPDU 서브 필드에는, non-STR non-AP MLD에 대하여 T3'의 기간 내이면 AP MLD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해도 되는 것(즉, Reverse Direction Grant: RDG)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AP MLD가 링크 1 및 링크 2에서 전송하는 각 PPDU의 RDG/More PPDU 필드에서 전송 기간 T1 내의 송신 허가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non-STR non-AP MLD는, 전송 기간 T1 내에서 링크 1 및 링크 2에서 다시 다른(즉, 업링크의) PPDU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E-4. non-STR non-AP MLD1의 제어 동작
도 10에는,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PPDU#1-1 및 PPDU#1-2가 통지된 non-STR non-AP MLD1에 있어서의 통신부(410) 내의 각 논리 엔티티의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PPDU 내의 복수의 MPDU를 통합하여 PSDU(PHY Service Data Unit)라고 기술하고 있다.
통신부(410) 내에는, 링크 1용의 개별 제어부 1과 링크 2용의 개별 제어부 2가 배치된다. 개별 제어부 1 및 개별 제어부 2는 각각, 링크 1 및 링크 2의 물리층을 제어하는 PHY Layer#1 및 PHY Layer#2와, 링크 1 및 링크 2의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MAC Lower Sublayer#1 및 MAC Lower Sublayer#2의 각 논리 엔티티로 구성된다. 통신부(410) 내에는 또한, 링크 1 및 링크 2에 공통된 데이터 처리의 제어를 행하는 논리 엔티티로서, Common Entity가 배치된다.
또한, Layer와 Layer 간 및 Layer와 Entity 간에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는데, 이 인터페이스는 SAP(Service Access Point)라고도 불린다. Common Entity에서는 통신부(410) 내의 공통 데이터 처리부(413)로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추가로, 각 MAC Lower Sublayer 및 PHY Layer에서 적용시키는 파라미터가 산출된다.
PHY Layer는, 안테나(440)와, 통신부(410) 내의 증폭부(417)와, 무선 인터페이스부(416)와, 신호 처리부(415)와, 개별 제어부(414)에 의해 구성되고, MAC Lower Sublayer는, 통신부(410) 내의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 및 통신 제어부(411) 내의 대응하는 개별 제어부로 구성된다. 단, PHY Layer 및 MAC Lower Sublayer의 구성 요소는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래의 통신 동작에서는, 각 PSDU를 수신했을 때에는 non-STR non-AP MLD1로부터 Ack가 송신되지만,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련의 흐름을 생략하고 있다. 즉, 예를 들어 기간 T3 내에서는, 프리앰블 및 패딩을 포함한 PSDU의 수신에 추가로, Ack의 송신이 포함되지만, 도 10에서는 Ack의 송신에 관한 기재를 편의상 생략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면서, 각 엔티티 간에 통지되는 정보나 각 엔티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동작예에서는, 링크 1에 있어서 AP MLD1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PHY Layer #1로 수신하고, 복조한 후, MPDU를 MAC Lower Sublayer #1에 넘겨준다. 링크 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시된다.
E-4-1. 링크 1에 있어서의 PHY Layer의 동작, PHY→MAC 간에 통지되는 정보
도 10 중의 참조 번호 1001로 나타내는 화살표는, 프리앰블 내에서 나타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전력(RSSI: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or)이나 공간 스트림수, PPDU의 포맷 등의 제어 정보(이하, RXVECTOR라고도 칭한다)에 추가로, 각 MPDU가, PHY Layer#1로부터 MAC Lower Sublayer#1에 통지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PHY Layer#1은, 프리앰블 내에서 나타내진 정보에 기초하여 복조 동작 기간인 T1을 산출하고, 복조를 실시한다. 복조 동작 종료 후에는, PHY Layer #1은 MAC Lower Sublayer#1에 수신이 종료한 것을 통지하는데, 산출된 T1에 의해 이 PSDU의 수신 종료 통지의 실시 시각(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간 T1의 종단)이 결정된다. 도 10 중의 참조 번호 1001'로 나타내는 화살표는, 수신 종료 통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신 종료 통지에 있어서, 수신 종료를 통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PHY Layer#1로 판단한 채널의 빔 상태도 MAC Lower Sublayer#1에 통지한다.
또한, 상기 기간 T1 내에서 수신 신호가 소실(Carrier Lost)된 경우에는, PHY Layer#1은 복조 동작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E-4-2. 링크 1에 있어서의 MAC Lower Sublayer의 동작, MAC Lower→Common Entity 간에 통지되는 정보
MAC Lower Sublayer#1에서는, PHY Layer#1로부터의 화살표(1001)로 표시되는 통지가 실시된 후, MPDU 내에 포함되는 정보를 해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한다. 도 10 중의 참조 번호 1002의 화살표는, 이 통지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MAC Lower Sublayer#1은, MPDU 내의 Support Link Effort 서브 필드 내에서 AP MLD가 링크 2에서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 나타내지고 있는지 여부를 해석하고, 이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MAC Lower Sublayer#1은, RDG/More PPDU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기간 T1 내에 있어서의 다른 전송의 허가가 나타내지고 있는지 여부를 해석하고, 이 필드 내에서 나타내지는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프리앰블 내에 Support Link Effort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PHY Layer#1로 Support Link Effort 내의 정보를 마찬가지로 해석하고, MAC Lower Sublayer#1을 통하여 Common Entity에 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E-4-3. 링크 2에 있어서의 PHY Layer의 동작, PHY→MAC 간에 통지되는 정보
상기 E-4-1항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 10 중의 참조 번호 100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PHY Layer#2는, 프리앰블 내에서 나타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전력(RSSI)이나 공간 스트림수, PPDU의 포맷 등의 제어 정보(RXVECTOR)에 추가로, 각 MPDU를, MAC Lower Sublayer#2에 통지한다.
PHY Layer#2는, 프리앰블 내에서 나타내진 정보에 기초하여 복조 동작 기간인 T3을 산출하고, 복조를 실시한다. 복조 동작 종료 후에는, PHY Layer #2는 MAC Lower Sublayer#2에 수신이 종료한 것을 통지하는데, 산출된 T3에 의해 이 PSDU의 수신 종료 통지의 실시 시각(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간 T3의 종단)이 결정된다. 도 10 중의 참조 번호 1003'로 나타내는 화살표는, 수신 종료 통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신 종료 통지에 있어서, 수신 종료를 통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PHY Layer#2로 판단한 채널의 빔 상태도 MAC Lower Sublayer#2에 통지한다.
또한, 상기 기간 T3 내에서 수신 신호가 소실(Carrier Lost)된 경우에는, PHY Layer#2는 복조 동작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E-4-4. 링크 2에 있어서의 MAC Lower Sublayer의 동작, MAC Lower→Common Entity 간에 통지되는 정보
MAC Lower Sublayer#2에서는, PHY Layer#2로부터의 화살표(1003)로 표시되는 통지가 실시된 후, MPDU 내에 포함되는 정보를 해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한다. 도 10 중의 참조 번호 1004의 화살표는, 이 통지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MAC Lower Sublayer#2는, AP MLD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 Renewal Length를 포함하는 ML-CAS로 나타내진 정보(즉, 링크 1에서 통지된 프리앰블 내에서 나타내진 정보의 변경분을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고, 이들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MAC Lower Sublayer#2는, Basic Link Overwrite Flag 서브 필드 내에서 링크 1에 이미 전송되고 있는 프리앰블이나 ML-CAS 내의 정보를 덮어쓰기하는 것이 나타내지고 있는지 여부를 해석하고, 이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변경되는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MAC Lower Sublayer#2는, RDG/More PPDU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기간 T1 내에 있어서의 다른 전송의 허가가 나타내지고 있는지 여부를 해석하고, 이 필드 내에서 나타내지는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프리앰블 내에 ML-CAS 필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PHY Layer#1로 ML-CAS 필드 내의 정보를 마찬가지로 해석하고, MAC Lower Sublayer#1을 통하여 Common Entity에 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E-4-5. Common Entity의 동작
Common Entity는, MAC Lower Sublayer#2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도 10 중의 참조 번호 1005 및 1006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 제어부 1에 포함되는 링크 1의 PHY Layer#1 또는 MAC Lower Sublayer#1에 대하여 적어도 변경된 수신 기간(또는 수신 종료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한다. 이때, Common Entity는 각 링크의 PHY Layer로부터 MAC Lower Sublayer를 통해 이하의 (1) 및 (2)의 정보가 통지되고 있다.
(1) AP MLD가 링크 2에서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 나타내진 정보
(2) 링크 1에서 프리앰블에 의해 통지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나타내진 정보
또한, 링크 1에서 통지된 ML-CAS 내의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나타내졌을 경우, Common Entity는 당해 정보도 아울러 MAC Lower Sublayer#1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즉, 수신 기간이 단축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잉여 기간에 대하여 링크 2에서 통지된 ML-CAS 내의 RDG/More PPDU 서브 필드 내에, 이 잉여 기간에 있어서 non-STR non-AP MLD1로부터 AP MLD로의 송신이 허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Common Entity는 당해 정보를 MAC Lower Sublayer#1 또는 PHY Layer#1에 통지한다. 도 10 중에서는, Common Entity는 MAC Lower Sublayer#1을 통하여 PHY Layer#1에 통지하고 있지만, Common Entity로부터 직접 PHY Layer#1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도 11에는, non-STR non-AP MLD 내의 Common Entity가 실행하는 동작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Common Entity는, 링크 1에서 전송되는 PPDU에서 Support Link Effort="1"이 나타내진 것이 MAC Lower Sublayer#1로부터 통지되면(스텝 S1101의 "예"), 링크 2에서 전송되는 PPDU에서 Basic Link Overwrite Flag="1"이 나타내진 것이 MAC Lower Sublayer#2로부터 통지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1102).
그리고, MAC Lower Sublayer#2로부터 Basic Link Overwrite Flag="1"이 통지된 경우에는(스텝 S1102의 "예"), 링크 1에서의 PPDU의 전송 시간이 단축되었으므로, Common Entity는, MAC Lower Sublayer#2로부터 통지된 Renewal Length의 정보에 기초하여, 개별 제어부 1에 대하여 단축된 수신 종료 시각을 통지한다(스텝 S1103).
한편, MAC Lower Sublayer#2로부터 Basic Link Overwrite Flag="1"이 통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102의 "아니오"), 링크 1에서의 PPDU의 전송 시간은 단축되어 있지 않으므로, Common Entity는, 개별 제어부 1에, 단축된 수신 종료 시각을 통지하지 않는다(스텝 S1104). 즉, 각 링크에서 복조 처리를 속행시킨다.
E-4-6.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
PHY Layer#1은, Common Entity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신 기간의 변경이 통지되면,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수신 종료 시각에, 도 10 중의 참조 번호 1007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MAC Lower Sublayer#1에 대하여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를 실시한다. 이때, PHY Layer#1은, MAC Lower Sublayer#1에 대하여 채널의 빔 상태의 통지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PHY Layer#2는, 링크 2에서 전송되는 PSDU의 수신 종료 통지의 실시 시각에, 도 10 중의 참조 번호 100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MAC Lower Sublayer#2에 대하여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를 실시한다.
여기서, 도 10 중의 화살표(1006)로 표시되는 PHY Layer#1에 통지를 행할 때 및 화살표(1007)로 표시되는 PHY Layer#1로부터 통지가 행해졌을 때의 MAC Lower Sublayer#1의 동작에 대해서 보충해 둔다.
MAC Lower Sulayer#1로부터 PHY Layer#1에 통지되는 타이밍은, PHY Layer#1로부터 MAC Sublayer#1에 모든 데이터(MPDU)가 통지된 후여도 된다.
예를 들어 PHY Layer#1로부터 MAC Lower Sublayer#1에 MPDU가 1옥텟(바이트)마다 통지되는 경우, PHY Layer#2로부터 통지된 Renewal Length에서 나타내진 정보에 기초하여, 링크 1의 변경 후의 송신 데이터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추정된 변경 후의 송신 데이터 길이분의 옥텟수의 데이터가 PHY Layer#1로부터 MAC Lower Sublayer#1로 통지된 후, MAC Lower Sublayer#1로부터 PHY Layer#1로, PHY Layer#1에 있어서의 수신 동작 종료 요구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PHY Layer#1은, 이 요구를 받고,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 또는 채널의 빔 정보의 통지의 적어도 한쪽을, MAC Lower Sublayer#1에 대하여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비특허문헌 1에 의하면, 상기 1옥텟마다 PHY Layer#1로부터 MAC Lower Sublayer#1에 통지되는 데이터는 PHY-DATA.indication에 의해 통지된다.
E-4-7. Common Entity 및 MAC Lower Sublayer의 동작의 상세
Common Entity는, 각 PHY Layer로부터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를 수취하면, 도 10 중의 참조 번호 1008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MAC Lower Sublayer에 대한 동작으로서, 이하의 (1) 내지 (3)을 실시한다.
(1) 응답 확인 프레임의 생성
Common Entity는, 수신한 MPDU에 대한 오류 판정에 대하여 응답 확인 프레임을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수신한 MPDU가 어떤 번호(시퀀스 번호 등)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경우, 어느 번호의 MPDU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각 MAC Lower Sublayer에 넘겨준다.
(2) 프리앰블 생성에 필요한 정보의 생성
Common Entity는, non-STR non-AP MLD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정보를, MAC Lower Sublayer 또는 PHY Layer에 넘겨준다. 이 제어 정보에는, non-STR non-AP MLD로서, 복수의 링크에 의해 동기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나, PHY Layer에서 생성하는 PPDU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3) 각 MAC Lower Sublayer 또는 각 PHY Layer로의 송신하는 MPDU의 인도
Common Entity는, 각 MAC Lower Sublayer 또는 각 PHY Layer로, 송신하는 데이터에 상당하는 MPDU의 정보를 넘겨준다(도 10 중의 화살표(1009)로 표시되는 동작에 상당). 이때, 송신하는 데이터 길이는 링크 1에 있어서의 기간 T1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이며, 도 10 중에서는 T2'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AP MLD로부터 직전에 통지된 AC Constraint에서 나타내진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의 종별을 제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음성 통신의 양이 우선되는 데이터만의 송신이 허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Common Entity는, 허용되고 있는 데이터만을 MAC Lower Sublayer 또는 PHY Layer에 넘겨주고, 이들 데이터만을 PHY Layer가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1) 내지 (3)은, 필요에 따라 Common Entity뿐만 아니라, MAC Lower Sublayer에 일부의 기능을 담당시켜도 된다.
각 MAC Lower Sublayer로부터 각 PHY Layer에 정보를 넘겨준 후, 각 PHY Layer는 동시에 PPDU를 송신한다. 이때, 응답 확인 프레임과 수신 데이터를 나타내는 MPDU를 하나의 PPDU에 통합하여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F. 제2 실시예
상기 E항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는, 잉여 기간에 있어서 non-STR non-AP MLD1이 링크 1과 링크 2를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 링크 전송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반해, 이 F항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에서는, 잉여 기간에 있어서, non-STR non-AP MLD1은 링크 1만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한편, 링크 2에서는 그 기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다른 STA(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STA2)가 송신한다.
도 12에는, 제2 실시예로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되는 통신 시퀀스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종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서는, DL Transmission 후, 잉여 기간에 있어서 non-STR non-AP MLD에서만 UL Transmission이 실시된다. 이에 반해, 도 12에 도시하는 제2 실시예에서는, DL Transmission의 후의 잉여 기간에 있어서, 다른 STA(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STA2)로부터 UL Transmission이 실시된다. 또한, Capabilities Exchange나 DL Transmission의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F-1. DL Transmission 및 UL Transmission의 동작
도 13에는, DL Transmission 및 UL Transmission의 구체적인 동작예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도 8 중에서는, AP MLD가 non-STR non-AP MLD1에 대하여 링크 1에서 송신하고, 그 직후에 링크 2에서도 송신을 실시한다. 이에 반해, 도 13 중에서는, AP MLD는, 링크 2에서 AP MLD가 PPDU#1-2를 송신한 후에, 다른 단말기에 대하여 링크 2의 송신권의 개방을 나타내는 Enhanced CF(Contention Free)-End를 통지한다.
AP MLD는, 먼저 링크 1에서 송신된 PPDU에 대하여, 송신 개시 시점에서, PPDU를 송신하기 위하여 T1의 송신 기간을 요한다고 판단한다. 그 후, AP MLD는 링크 2에서 새롭게 송신권을 획득함으로써, 원래 링크 1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일부를 링크 2에서 송신할 수 있게 되므로, 링크 1에서의 PPDU 전송 기간은 T2로 단축된다. 이때, 링크 1 및 링크 2에 있어서의 PPDU의 송신 종료 시각은 특정한 오차의 범위 내에서 정렬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AP MLD가 링크 1에서 송신된 PPDU 내의 프리앰블에는, 링크 1에서 전송되는 PPDU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프리앰블은 PPDU의 선두에 놓이기 때문에, 프리앰블이 통지된 후에 PPDU 길이를 변경하더라도, 수신 단말기는 변경 후의 PPDU 길이를 인식할 수 없다.
여기서, non-STR non-AP MLD1과는 별도로, 링크 2를 사용하지 않는 단말기인 STA2와, 링크 1을 사용하지 않는 단말기인 STA3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AP MLD는, 링크 2에서 AP MLD가 PPDU#1-2를 송신한 후에, non-STR non-AP MLD1 이외의 단말기로부터의 송신을 허가해도 되는 경우에는, 다른 단말기에 대하여 송신권의 개방을 나타내는 Enhanced CF-End를 통지한다. 따라서, STA3은, 그 후에 링크 2에서 송신권을 얻으면, PPDU#3을 송신할 수 있다. AP MLD는, Enhanced CF-End에, non-STR non-AP MLD1로의 송신 금지 기간(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송신 금지 기간은 T3'-T3)을 포함한다. non-STR non-AP MLD1은, 이 Enhanced CF-End를 수신하면, 지정된 송신 금지 기간에 걸쳐 송신권의 획득을 대기한다. Enhanced CF-End의 프레임 구성에 대해서는, 다음 항 F-2에서,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AP MLD는, 링크 1에서 전송하는 PPDU의 RDG/More PPDU 필드에서 전송 기간 T1 내의 송신 허가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non-STR non-AP MLD는, 전송 기간 T1 내에서 링크 1에서는 다시 다른(즉, 업링크의) PPDU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AP MLD는, 링크 2에서 전송하는 PPDU의 RDG/More PPDU 필드에서 전송 기간 T1 내의 송신 불허가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non-STR non-AP MLD는, 전송 기간 T1 내에서 링크 1에서는 다시 다른 PPDU 전송을 실시하지 않는다.
F-2. Enhanced CF-End의 개략적으로 설명
도 14에는, Enhanced CF-End로 통지되는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Enhanced CF-End는, 해당 링크에 있어서, 해당 링크를 포함하는 멀티 링크 전송의 통신 상대에 대하여 송신 금지 기간을 통지하기 위한 프레임이며, 이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다른 단말기에 대하여 해당 링크의 송신권의 개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프레임은, Frame Control, Duration, RA, BSSID 또는 TA, HT Control, FCS의 각 필드를 포함하고 있지만,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Frame Control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이 Enhanced CF-End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Duration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간에 추가로, 또한 송신 기간을 취득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A 필드에는, 1개 또는 복수의 수신처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BSSID(TA)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의 송신처 단말기 또는 당해 프레임의 송신처 단말기가 소속하는 BSSID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HT Control 필드에는, 기타의 제어 정보가 저장된다.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 수신 시에 실시하는 오류 정정을 위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중, HT Control 필드는, EHT variant ID, Control ID, STA ID 및 Prohibited period의 각 서브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EHT variant ID 및 Control ID의 각 서브 필드에는, 각각 HT Control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STA ID 필드에는, 송신처로 하는 것을 금지하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Prohibited period에는, STA ID 필드에서 지정한 단말기로의 송신 금지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STA ID 필드에는, 해당 단말기의 해당 링크에 있어서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Enhanced CF-End 프레임 내의 STA ID 필드에 non-STR non-AP MLD1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됨과 함께, Prohibited period에는 송신 금지 기간(T3'-T3)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Enhanced CF-End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기는, 송신 금지 기간(T3'-T3)에 걸쳐, non-STR non-AP MLD1로의 송신을 대기한다. 또한, STA ID 필드에는, non-STR non-AP MLD1의 링크 2에 있어서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Enhanced CF-End 프레임이 통지된 단말기는, STA ID와 Prohibited period의 각 서브 필드에 나타내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한 기간은 non-STR non-AP MLD1 앞으로 정보를 통지하지 않도록 제한된다.
F-3. non-STR non-AP MLD1의 제어 동작
도 15에는,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PPDU#1-1 및 PPDU#1-2가 통지된 non-STR non-AP MLD1에 있어서의 통신부(410) 내의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또한, 도 15에서는 PPDU 내의 복수의 MPDU를 통합하여 PSDU라고 기술하고 있다.
통신부(410) 내에는, 링크 1용의 개별 제어부 1과 링크 2용의 개별 제어부 2가 배치된다. 개별 제어부 1 및 개별 제어부 2는 각각, 링크 1 및 링크 2의 물리층을 제어하는 PHY Layer#1 및 PHY Layer#2와, 링크 1 및 링크 2의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MAC Lower Sublayer#1 및 MAC Lower Sublayer#2의 각 논리 엔티티로 구성된다. 통신부(410) 내에는 또한, 링크 1 및 링크 2에 공통된 데이터 처리의 제어를 행하는 논리 엔티티로서, Common Entity가 배치된다. Layer와 Layer 간 및 Layer와 Entity 간에는 SAP를 통하여 서로의 정보를 교환한다. Common Entity에서는 통신부(410) 내의 공통 데이터 처리부(413)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추가로, 각 MAC Lower Sublayer 및 PHY Layer에서 적용시키는 파라미터가 산출된다. 본래의 통신 동작에서는, 각 PSDU를 수신했을 때에는 non-STR non-AP MLD1로부터 Ack가 송신되지만, 도 1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Ack의 송신에 관한 일련의 흐름을 생략하고 있다.
링크 1에서 프리앰블을 수신하고 나서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까지의 제어 동작은, 제1 실시예(상기 E-4-1항 내지 E-4-6항을 참조)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Common Entity는, 각 PHY Layer로부터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를 수취하면, 도 15 중의 참조 번호 1508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MAC Lower Sublayer에 대한 동작으로서, 이하의 (1) 내지 (3)을 실시한다.
(1) 응답 확인 프레임의 생성
Common Entity는, 수신한 MPDU에 대한 오류 판정에 대하여 응답 확인 프레임을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수신한 MPDU가 어떤 번호(시퀀스 번호 등)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경우, 어느 번호의 MPDU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각 MAC Lower Sublayer에 넘겨준다.
(2) 프리앰블 생성에 필요한 정보의 생성
Common Entity는, non-STR non-AP MLD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정보를, MAC Lower Sublayer 또는 PHY Layer에 넘겨준다. 이 제어 정보에는, non-STR non-AP MLD로서, 복수의 링크에 의해 동기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나, PHY Layer에서 생성하는 PPDU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3) 각 MAC Lower Sublayer 또는 각 PHY Layer로의 송신하는 MPDU의 인도
Common Entity는, 각 MAC Lower Sublayer 또는 각 PHY Layer에, 송신하는 데이터에 상당하는 MPDU의 정보를 넘겨준다(도 15 중의 화살표(1509)로 표시되는 동작에 상당). 이때, 송신하는 데이터 길이는 링크 1에 있어서의 기간 T1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이며, 도 15 중에서는 T2'로서 나타내고 있다.
상기 (1) 내지 (3)은 필요에 따라 Common Entity뿐만 아니라, MAC Lower Sublayer에 일부의 기능을 담당시켜도 된다.
또한, Common Entity는, 각 PHY Layer로부터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를 수취했을 때의, 링크 2의 개별 통신부(2)에 대한 동작(도 15 중의 화살표(1508)에 상당)으로서, 전송 금지 기간의 통지를 행한다. 즉, Common Entity는, 링크 2에 대하여 적어도 PPDU#2-1의 전송 기간, 전송을 금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한다.
F-4. STA3의 동작
Enhanced CF-End가 통지된 다른 단말기는, Enhanced CF-End 프레임 내의 STA ID 필드에서 지정된 단말기에의, Prohibited period에서 지정된 송신 금지 기간에 걸치는 송신을 대기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AP MLD는, 링크 1 및 링크 2를 사용한 멀티 링크 전송을 종료 후에, 링크 2에서 Enhanced CF-End 프레임을 송신한다. AP MLD는, 이 Enhanced CF-End 프레임에서, non-STR non-AP MLD1로의 송신 금지 기간(T3'-T3)을 통지한다.
링크 2에서 Enhanced CF-End가 통지된 단말기는, non-STR non-AP MLD1 이외의 단말기에 대하여 송신을 실시한다. 도 13 중에서는, AP MLD 이외의 단말기 즉 STA3이 링크 2에서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AP MLD가 링크 2에 있어서 non-STR non-AP MLD 이외의 단말기로의 송신을 실시해도 된다.
G. 제3 실시예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DL Transmission의 수신 단말기가 non-STR non-AP MLD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DL Transmission의 수신 단말기가 STR non-AP MLD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는, 각 링크에서 수신 단말기로 송신되는 PPDU의 송신 종료 시각은 정렬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도 16에는, 제3 실시예로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되는 통신 시퀀스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종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1대의 AP MLD와, 1대의 STR non AP MLD와, 1대 또는 복수대의 STA(이하, 「STAs」로 한다)가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상정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통신 시퀀스예에서는, 이하의 4종류의 전송이 나타내져 있다. 각 전송에서 통지되는 프레임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로 넘긴다.
(1) Capabilities Exchange: 각 단말기의 능력을 나타내는 정보 통지
(2) DL Transmission: AP MLD로부터 STR non-AP MLD로의 데이터 전송
(3) UL Transmission: STR non-AP MLD로부터 AP MLD로의 데이터 전송
(4) Ack: 상기 (2) 및 (3)의 각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 확인 응답
G-1. 유의점에 대해서
각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몇 가지의 유의점에 대하여 설명해 둔다.
G-1-1. 송신권에 관한 유의점
도 16 중에는, AP MLD와 STR non-AP MLD의 전송에 있어서의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지만, STAs와의 전송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도 16에서는, AP MLD 또는 STR non-AP MLD가 STAs보다도 먼저 송신권을 획득하여 각 전송을 실시하고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STAs로부터의 전송, 또는 STAs로의 전송은 발생해도 된다. 예를 들어, Capabilities Exchange의 직후에 AP MLD와 일부의 STAs 간에 전송이 발생한 후, DL Transmission이 실시되어도 된다.
DL Transmission인 링크(이하, 「링크 1」로 한다)에서 전송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링크에 의한 전송이 발생한다. 또한, 2개의 Ack, UL Transmission은 링크 1의 전송에 의해 확보된 송신권(송신이 허용된 기간) 내에서 실시되어도 된다.
G-1-2. DL Transmission에 관한 유의점
상술한 바와 같이, DL Transmission에서는, 어떤 링크(링크 1)에서의 전송 중에 다른 링크(링크 2)의 전송이 발생한다.
도 17에는,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링크 1 및 링크 2에서 전송이 행해지는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동 도면에서는, 링크 1 및 링크 2의 2개의 링크가 존재하고, 링크 1의 전송 개시 후에 링크 2에서의 전송이 발생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AP MLD는, 링크 1에 있어서 데이터 유닛(PPDU)을 송신한다. PPDU 내에는 PPDU 길이 등의 제어 정보가 PPDU의 선두부인 프리앰블에 포함된다. 프리앰블의 후에는, 데이터인 MPDU가 계속되어 있다. 또한, 수신 단말기가 STR MLD인 경우, 각 PPDU의 송신 종료 시각 또는 수신 종료 시각이 정렬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G-1-3. 각 전송 순서에 관한 유의점
도 16 중에는 Capabilities Exchange는 AP MLD로부터 STR non-AP MLD에 대하여 실시되고 있는 경우가 나타내져 있지만, STR non-AP MLD 및 STAs에 대하여 동시에 전송되어도 된다. 구체예로서 AP MLD가 주기적으로 주위의 복수 단말기 앞으로 발신하는 비콘 신호로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도 16 중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STAs로부터 AP MLD에 대해서도 Capabilities Exchange가 발생해도 된다. 구체예로서, AP MLD가 비콘 신호를 발신 후, STAs로부터 AP MLD로 전송되어도 된다. 또한, STR non-AP MLD 및 STAs로부터 실시되는 Capabilites Exchange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각 시퀀스는 필요에 따라, 일부 생략되어도 되고, 순서는 도 16 중에 나타내는 대로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Ack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Ack는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G-2. Capabilities Exchange(캐퍼빌리티 통지)
AP MLD 및 STR non-AP MLD는, 서로 자기 단말기의 능력에 관한 정보 통지(Capabilities Exchange)를 실시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능력은, 단말기가 STR 전송을 실시할 수 있는지 여부, 그리고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링크수를 가리키지만,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apability Exchange는, 예를 들어 각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발신하는 비콘 신호나, 비콘 신호 후에 단말기 사이에서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정보 통지(Association)에 포함되어서 실시되어도 된다.
도 18에는, Capabilities Exchange로 통지되는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프레임은, Frame Control, RA, TA, Multi-Link element의 각 필드로 구성된다. 단, 당해 프레임의 구성 요소는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rame Control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이 Capabilities Exchange로 통지되는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A 및 TA의 각 필드에는 각각 송신원의 단말기, 수신처의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Multi-Link element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말기 자신에 대한, STR 전송의 가부, 사용할 수 있는 링크 및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링크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A 및 TA에는, 예를 들어 단말기 고유의 MAC 어드레스가 나타내져도 된다. 또한, 특히 송신원 단말기나 수신처 단말기가 MLD인 경우, 하나의 MLD에 대하여 복수의 MAC 어드레스가 할당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MLD 내에 있어서의 개별 통신 세트나, 하나의 MLD가 이용하는 링크마다 MAC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이다. 즉, RA 및 TA는 MLD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당해 프레임을 통지하는 MLD에 추가로, MLD의 개별 통신 세트 또는 링크까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Multi-Link element 내의 MLD MAC Address와 아울러 식별되어도 된다.
Multi-Link element 내에는, Element ID, Length, Element ID Extension, Multi-Link Conrtol, MLD MAC Address, Per-STA Profile의 각 필드가 저장된다.
Element ID 필드에는, 당해 엘리먼트가 Multi-Link element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Length 필드에는, Multi-Link element의 비트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Multi-Link Conrtol 필드에는, 후속의 MLD MAC Address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MLD MAC Address 필드에는,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에 구애되지 않고, MLD 단말기에 개별로 할당되는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Per-STA Profile 필드에는, 각 링크 또는 각 개별 통신 세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Multi-Link Control 필드에는, MLD MAC Address Present 및 Rapid STR Rx의 각 서브 필드가 저장된다. MLD MAC Address Present 필드에는, MLD MAC Address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apid STR Rx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말기가,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STR MLD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도 17에 도시하는 비동기 전송의 수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Per-STA Profile 필드에는, Subelement ID, Length, Per-STA Control의 각 서브 필드가 저장된다. 또한, Per-STA Profile는 복수 존재해도 되고, 서로 다른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진다.
Subelement ID 필드에는, 당해 서브 필드가 Per-STA Profile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Length 필드에는, Per-STA Profile의 비트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Per-STA Control 필드에는, Per-STA Profile 필드 내가 나타내는 대상으로 되는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는, Per-STA Control 필드에는, Link ID, Bandwidth, STR Pair Link ID의 각 서브 필드가 저장되어도 된다. Link ID 필드에는, 대상으로 하는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Bandwidth 필드에는, Link ID로 나타내진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를 전송할 수 있는 주파수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STR Pair Link ID 필드에는, Link ID로 나타내진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와 동시에 이용되는 경우에, STR MLD로서 동작하는 링크 또는 개별 통신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Link ID 필드에 "링크 1"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고, STR Pair Link ID 필드에 "링크 2"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당해 프레임을 통지하는 단말기는, 링크 1과 링크 2를 동시에 사용하여 수신(또는 송신)하는 경우에는, STR MLD로서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G-3. DL Transmission 이후에 대해서
DL Transmission에서는 AP MLD로부터 STR non-AP MLD로의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고, UL Transmission에서는 STR non-AP MLD로부터 AP MLD로의 데이터 전송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AP MLD가 있는 링크(링크 1)에서 송신권을 획득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데, 전송 중에 다른 링크(링크 2)에서 데이터 전송이 개시된다.
도 19에는, DL Transmission 및 UL Transmission의 구체적인 동작예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도 19 중에서는, AP MLD가 STR non-AP MLD1에 대하여 링크 1에서 송신하는데, 그 직후에 링크 2에서도 송신을 실시한다. 사전의 Capabilities Exchange에 의해, AP MLD는, STR non-AP MLD1이 링크 1 및 링크 2를 사용한 멀티 링크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 것 및 비동기 전송의 수신이 가능한 것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AP MLD는, 먼저 링크 1에서 송신된 PPDU에 대하여, 송신 개시 시점에서, PPDU를 송신하기 위하여 T1의 송신 기간을 요한다고 판단한다. 그 후, AP MLD는 링크 2에서 새롭게 송신권을 획득함으로써, 원래 링크 1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일부를 링크 2에서 송신할 수 있게 되므로, 링크 1에서의 PPDU 전송 기간은 T2로 단축된다. 이때, 수신 단말기는 STR인 것으로부터, 링크 1 및 링크 2에 있어서의 PPDU의 송신 종료 시각은 임의의 시각이어도 되고, 정렬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의 경우, AP MLD가 링크 1에서 송신한 PPDU 내의 프리앰블에는, 링크 1에서 전송되는 PPDU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나, 프리앰블은 PPDU의 선두에 놓이기 때문에, 프리앰블이 통지된 후에 PPDU 길이를 변경하더라도, 수신 단말기는 변경 후의 PPDU 길이를 인식할 수 없다.
여기서, STR non-AP MLD1과는 별도로, 링크 2를 사용하지 않는 단말기인 STA2와, 링크 1을 사용하지 않는 단말기인 STA3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AP MLD는, 링크 2에서 송신권을 획득하여 통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링크 2에서 전송하는 PPDU에 있어서 링크 1에서 송신된 PPDU 길이가 T1로부터 T2로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STR non-AP MLD1에 대하여 링크 1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이 단축된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 2를 사용하고 있는 STA3은, 마찬가지의 통지를 받고, 전송 기간 T2 이후에 링크 1의 아이들 상태 판단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STA2는 링크 2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링크 1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이 T1로부터 T2로 단축되었다는 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STA2는 T1 이후가 아니면 링크 1의 아이들 상태 판단을 실시할 수 없다.
그래서, AP MLD와 STR non-AP MLD1은 미리 링크 1의 프리앰블에서 통지된 송신 기간 T1 내에서, 다시 다른 PPDU 전송을 실시한다. 도 19 중에서는, 새롭게 전송되는 PPDU 중, 링크 1에서 전송되는 것을 PPDU#2-1로 하고, 링크 2에서 전송되는 것을 PPDU#2-2로 하고 있고, 모두 AP MLD로부터가 아니라, STR non-AP MLD로부터 AP MLD로 전송되는 것이 나타내져 있다. 즉, AP MLD가 획득한 송신권이 미치는 기간 T1 내에서 STR non-AP MLD1이 AP MLD로 전송한다. AP MLD는, 링크 1 및 링크 2에서 전송하는 PPDU 내에 기재하는 RDG/More PPDU에서, STR non-AP MLD에 대하여 업링크 전송의 허가(즉, Reverse Direction Grant: RDG)를 통지함으로써, 기간 T1 내에서 다시 다른 PPDU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PPDU#2-1과 PPDU#2-2의 송신 종료 시각이 정렬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송신원의 non-AP MLD는 STR이기 때문에, 송신 종료 시각이 정렬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STR non-AP MLD는, 링크 2에서 AP MLD로부터의 PPDU#1-2를 수신 종료하기 전에, 링크 1에서 PPDU#1-1에 대한 Ack를 회신하고 있다.
도 20에는, 링크 1 및 링크 2에서 송신되는 PPDU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PPDU는 프리앰블과, 1개 또는 복수의 MPDU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PPDU의 말미에 데이터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영역(Padding)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프리앰블에는 당해 PPDU를 수신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시각 동기, 주파수 동기, 채널 추정에 추가로, 후속의 MPDU를 복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PDU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에 추가로, MPDU가 송신되는 주파수대나, 사용되고 있는 MCS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MPDU에는, 프리앰블 이외에 보내지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각 MPDU에는, Control, Duration, RA 및 TA, HT Control, Payload의 각 필드가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Frame Control 필드에는, 당해 MPDU의 프레임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Duration 필드에는, DL Transmission에 있어서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A 및 TA의 각 필드에는 각각 송신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수신처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HT Control 필드에는 기타의 제어 정보가 저장된다. Payload 필드에는 상기 제어 정보 이외에 보내지는 데이터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PPDU에 복수의 MPDU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처음의 MPDU 내에 Frame Control, Duration, RA, TA 및 HT Conrtol을 저장하는데, 후속의 MPDU 내에는 이들이 저장되지 않아도 된다.
특히, HT Control 필드 내에는, EHT variant ID, Control ID, ML-CAS의 각 서브 필드가 저장된다. EHT variant ID 및 Control ID의 각에는 각각 HT Control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ML-CAS 필드에는 링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나, 당해 프레임이 전송되는 링크 이외의 링크에 있어서의 정보가 저장된다.
ML-CAS 필드 내에는, AC Constraint, RDG/More PPDU, Support Link Effort, Basic Link Overwrite Flag, Renewal Length의 서브 필드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다.
AC Constraint 필드에는, 당해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송신이 가능한 트래픽 종별에 제약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DG/More PPDU 필드에는, 하기의 (1) 또는 (2)의 어느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1) 당해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는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기인 경우, 수신처의 단말기로 송신권이 미치는 범위 내에서 송신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즉, Reverse Direction Grant: RDG)을 나타내는 정보.
(2) (1)에서 허가하는 것이 통지되어, PPDU를 송신하는 경우, 후속에 PPDU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Support Link Effort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의 통지하고 있는 링크가 아닌 다른 링크에 있어서, 당해 프레임을 통지하는 단말기가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Basic Link Overwrite Flag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을 통지하고 있는 링크가 아닌 다른 링크가 이미 전송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 수신 단말기에 대하여 프리앰블이나 ML-CAS에 포함되는 일부의 정보를 덮어쓰기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Renewal Length 필드는 링크 2에서 보내진 PPDU에 포함되고, 링크 1의 PPDU 길이의 변경분 또는 변경 후의 링크 1의 PPDU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AP MLD가 링크 1에서 전송하는 PPDU#1-1 내의 MPDU에는 Support Link Effort 서브 필드가 저장되고, AP MLD가 링크 2에서 전송하는 PPDU#1-2에는 Basic Link Overwrite Flag 서브 필드 및 Renewal Length 서브 필드가 저장된다.
도 19에 도시한 동작예에서는, AP MLD는, 링크 1(즉, Basic Link)에서 전송하는 PPDU의 Support Link Effort 필드에서, 링크 2(즉, Support Link)에 있어서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AP MLD는, 링크 2(즉, Support Link)를 이미 전송에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ML-CAS에 포함되는 정보(구체적으로는, 후속의 Renewal Lenght 필드에 기재되는, 링크 1(즉, Basic Link)의 PPDU 길이의 변경분 또는 변경 후의 링크 1의 PPDU 길이)가 덮어쓰기된 것을 Basic Link Overwrite Flag 서브 필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20 중에서는, ML-CAS는 각 MPDU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나타내져 있지만, 모든 MPDU에 ML-CAS가 저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선두의 MPDU에만 ML-CAS가 저장되어 있어도 되고, MPDU가 아니라 프리앰블 내에 ML-CAS가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다시 도 19를 참조하면, 링크 1에서 단축된 기간에 있어서, 링크 1뿐만 아니라 링크 2에서도 전송을 실시하기 위해서, 링크 2에서 전송되는 PPDU#1-2에 있어서, Duration 필드에는 도 19 중에서 T3'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RDG/More PPDU 서브 필드에는, non-STR non-AP MLD에 대하여 링크 1 및 링크 2에 있어서 T3'의 기간 내이면 AP MLD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해도 되는 것(즉, Reverse Direction Grant: RDG)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AP MLD가 링크 1 및 링크 2에서 전송하는 각 PPDU의 RDG/More PPDU 필드에서 전송 기간 T1 내의 송신 허가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STR non-AP MLD는, 전송 기간 T1 내에서 다시 다른(즉, 업링크의) PPDU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G-4. STR non-AP MLD1의 제어 동작
도 21에는, DL Transmission에 있어서, PPDU#1-1 및 PPDU#1-2가 통지된 STR non-AP MLD1에 있어서의 통신부(410) 내의 각 논리 엔티티의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횡축을 시간축으로 한다. 또한, 도 21에서는 PPDU 내의 복수의 MPDU를 통합하여 PSDU라고 기술하고 있다.
통신부(410) 내에는, 링크 1용의 개별 제어부 1과 링크 2용의 개별 제어부 2가 배치된다. 개별 제어부 1 및 개별 제어부 2는 각각, 링크 1 및 링크 2의 물리층을 제어하는 PHY Layer#1 및 PHY Layer#2와, 링크 1 및 링크 2의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MAC Lower Sublayer#1 및 MAC Lower Sublayer#2의 각 논리 엔티티로 구성된다. 통신부(410) 내에는 또한, 링크 1 및 링크 2에 공통된 데이터 처리의 제어를 행하는 논리 엔티티로서, Common Entity가 배치된다. 또한, Layer와 Layer간 및 Layer와 Entity 간에는 SAP를 통하여 서로의 정보를 교환한다. Common Entity에서는 통신부(410) 내의 공통 데이터 처리부(413)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추가로, 각 MAC Lower Sublayer 및 PHY Layer에서 적용시키는 파라미터가 산출된다.
PHY Layer는, 안테나(440)와, 통신부(410) 내의 증폭부(417)와, 무선 인터페이스부(416)와, 신호 처리부(415)와, 개별 제어부(414)에 의해 구성되고, MAC Lower Sublayer는, 통신부(410) 내의 개별 데이터 처리부(414) 및 통신 제어부(411) 내의 대응하는 개별 제어부로 구성된다. 단, PHY Layer 및 MAC Lower Sublayer의 구성 요소는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래의 통신 동작에서는, 각 PSDU를 수신했을 때에는 STR non-AP MLD1로부터 Ack가 송신되지만, 도 2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련의 흐름을 생략하고 있다. 즉, 예를 들어 기간 T3 내에서는, 프리앰블 및 패딩을 포함한 PSDU의 수신에 추가로, Ack의 송신이 포함되지만, 도 21에서는 Ack의 송신에 관한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1을 참조하면서, 각 엔티티 간에 통지되는 정보나 각 엔티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링크 1에 있어서 AP MLD1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PHY Layer #1로 수신하고, 복조한 후, MPDU를 MAC Lower Sublayer #1에 넘겨준다. 링크 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시된다.
G-4-1. 링크 1에 있어서의 PHY Layer의 동작, PHY→MAC 간에 통지되는 정보
도 21 중의 참조 번호 2101로 나타내는 화살표는, 프리앰블 내에서 나타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전력(RSSI)이나 공간 스트림수, PPDU의 포맷 등의 제어 정보(RXVECTOR)에 추가로, 각 MPDU가, PHY Layer#1로부터 MAC Lower Sublayer#1에 통지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PHY Layer#1은, 프리앰블 내에서 나타내진 정보에 기초하여 복조 동작 기간인 T1을 산출하고, 복조를 실시한다. 복조 동작 종료 후에는, PHY Layer #1은 MAC Lower Sublayer#1에 수신이 종료한 것을 통지하는데, 산출된 T1에 의해 이 PSDU의 수신 종료 통지의 실시 시각(도 2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간 T1의 종단)이 결정된다. 도 21 중의 참조 번호 2101'로 나타내는 화살표는, 수신 종료 통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신 종료 통지에 있어서, 수신 종료를 통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PHY Layer#1에서 판단한 채널의 빔 상태도 통지한다.
또한, 상기 기간 T1 내에서 수신 신호가 소실(Carrier Lost)된 경우에는, PHY Layer#1은 복조 동작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G-4-2. 링크 1에 있어서의 MAC Lower Sublayer의 동작, MAC Lower→Common Entity 간에 통지되는 정보
MAC Lower Sublayer#1에서는, PHY Layer#1로부터의 화살표(2101)로 표시되는 통지가 실시된 후, MPDU 내에 포함되는 정보를 해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한다. 도 21 중의 참조 번호 2102의 화살표는, 이 통지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MAC Lower Sublayer#1은, MPDU 내의 Support Link Effort 서브 필드 내에 AP MLD가 링크 2에서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 나타내지고 있는지 여부를 해석하고, 이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MAC Lower Sublayer#1은 RDG/More PPDU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기간 T1 내에 있어서의 다른 전송의 허가가 나타내지고 있는지 여부를 해석하고, 이 필드 내에서 나타내지는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프리앰블 내에 Support Link Effort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PHY Layer#1에서 Support Link Effort 내의 정보를 해석하고, MAC Lower Sublayer#1을 통하여 Common Entity에 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G-4-3. 링크 2에 있어서의 PHY Layer의 동작, PHY→MAC 간에 통지되는 정보
상기 G-4-1항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 21 중의 참조 번호 210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PHY Layer#2는, 프리앰블 내에서 나타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전력(RSSI)이나 공간 스트림수, PPDU의 포맷 등의 제어 정보(RXVECTOR)에 추가로, 각 MPDU를, MAC Lower Sublayer#2에 통지한다.
PHY Layer#2는, 프리앰블 내에서 나타내진 정보에 기초하여 복조 동작 기간인 T3을 산출하고, 복조를 실시한다. 복조 동작 종료 후에는, PHY Layer #2는 MAC Lower Sublayer#2에 수신이 종료한 것을 통지하는데, 산출된 T3에 의해 이 PSDU의 수신 종료 통지의 실시 시각(도 2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간 T3의 종단)이 결정된다. 도 21 중의 참조 번호 2103'로 나타내는 화살표는, 수신 종료 통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신 종료 통지에 있어서, 수신 종료를 통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PHY Layer#2에서 판단한 채널의 빔 상태도 MAC Lower Sublayer#2에 통지한다.
또한, 상기 기간 T3 내에서 수신 신호가 소실(Carrier Lost)된 경우에는, PHY Layer#2는 복조 동작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G-4-4. 링크 1에 있어서의 MAC Lower Sublayer의 동작, MAC Lower→Common Entity 간에 통지되는 정보
MAC Lower Sublayer#2에서는, PHY Layer#2로부터의 화살표(2103)로 표시되는 통지가 실시된 후, MPDU 내에 포함되는 정보를 해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한다. 도 21 중의 참조 번호 2104의 화살표는, 이 통지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MAC Lower Sublayer#2는, AP MLD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 Renewal Length를 포함하는 ML-CAS로 나타내진 정보(즉, 링크 1에서 통지된 프리앰블 내에서 나타내진 정보의 변경분을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고, 이들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MAC Lower Sublayer#2는, Basic Link Overwrite Flag 서브 필드 내에서 링크 1에 이미 전송되고 있는 프리앰블이나 ML-CAS 내의 정보를 덮어쓰기하는 것이 나타내지고 있는지 여부를 해석하고, 이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변경되는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MAC Lower Sublayer#2는, RDG/More PPDU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기간 T1 내에 있어서의 다른 전송의 허가가 나타내지고 있는지 여부를 해석하고, 이 필드 내에서 나타내지는 정보를 Common Entity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프리앰블 내에 Support Link Effort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PHY Layer#1로 Support Link Effort 내의 정보를 해석하고, MAC Lower Sublayer#1을 통하여 Common Entity에 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G-4-5. Common Entity의 동작
Common Entity는, MAC Lower Sublayer#2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도 21 중의 참조 번호 2105 및 2106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 제어부 1에 포함되는 링크 1의 PHY Layer#1 또는 MAC Lower Sublayer#1에 대하여 적어도, 변경된 수신 기간(또는 수신 종료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한다. 이때, Common Entity는 각 링크의 PHY Layer로부터 MAC Lower Sublayer를 통해 이하의 (1) 및 (2)의 정보가 통지되고 있다.
(1) AP MLD가 링크 2에서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 나타내진 정보
(2) 링크 1에서 프리앰블에 의해 통지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나타내진 정보
또한, 링크 1에서 통지된 ML-CAS 내의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나타내졌을 경우, Common Entity는 당해 정보도 아울러 MAC Lower Sublayer#1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즉, 수신 기간이 단축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잉여 기간에 대하여 링크 2에서 통지된 ML-CAS 내의 RDG/More PPDU 서브 필드 내에, 이 잉여 기간에 있어서 STR non-AP MLD1로부터 AP MLD로의 송신이 허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Common Entity는 당해 정보를 MAC Lower Sublayer#1 또는 PHY Layer#1에 통지한다. 도 21 중에서는, Common Entity는 MAC Lower Sublayer#1을 통하여 PHY Layer#1에 통지하고 있지만, Common Entity로부터 직접 PHY Layer#1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Common Entity는, 도 11에 도시한 처리 수순에 따라서 동작한다. 여기에서는, Common Entity의 동작 즉 도 11에 도시한 흐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G-4-6.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
PHY Layer#1은, Common Entity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신 기간의 변경이 통지되면,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수신 종료 시각에, 도 21 중의 참조 번호 2107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MAC Lower Sublayer#1에 대하여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를 실시한다. 이때, Common Entity는, MAC Lower Sublayer#1에 대하여 채널의 빔 상태의 통지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PHY Layer#2는, 링크 2에서 전송되는 PSDU의 수신 종료 통지의 실시 시각에, 도 21 중의 참조 번호 210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MAC Lower Sublayer#2에 대하여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를 실시한다.
여기서, 도 21 중의 화살표(2106)로 표시되는 PHY Layer#1에 통지를 행할 때 및 화살표(2107)로 표시되는 PHY Layer#1로부터 통지가 행해졌을 때의 MAC Lower Sublayer#1의 동작에 대해서 보충해 둔다.
MAC Lower Sulayer#1로부터 PHY Layer#1에 통지되는 타이밍은, PHY Layer#1로부터 MAC Sublayer#1에 모든 데이터(MPDU)가 통지된 후여도 된다.
예를 들어 PHY Layer#1로부터 MAC Lower Sublayer#1에 MPDU가 1옥텟(바이트)마다 통지되는 경우, PHY Layer#2로부터 통지된 Renewal Length에서 나타내진 정보에 기초하여, 링크 1의 변경 후의 송신 데이터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추정된 변경 후의 송신 데이터 길이분의 옥텟수의 데이터가 PHY Layer#1로부터 MAC Lower Sublayer#1로 통지된 후, MAC Lower Sublayer#1로부터 PHY Layer#1로, PHY Layer#1에 있어서의 수신 동작 종료 요구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PHY Layer#1은, 이 요구를 받아,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 또는 채널의 빔 정보의 통지의 적어도 한쪽을, MAC Lower Sublayer#1에 대하여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G-4-7. Common Entity 및 MAC Lower Sublayer의 동작의 상세
Common Entity는, 각 PHY Layer로부터 수신 종료 시각의 통지를 수취하면, 도 21 중의 참조 번호 2108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MAC Lower Sublayer에 대한 동작으로서, 이하의 (1) 내지 (3)을 실시한다.
(1) 응답 확인 프레임의 생성
Common Entity는, 수신한 MPDU에 대한 오류 판정에 대하여 응답 확인 프레임을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수신한 MPDU가 어떤 번호(시퀀스 번호 등)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경우, 어느 번호의 MPDU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각 MAC Lower Sublayer에 넘겨준다.
(2) 프리앰블 생성에 필요한 정보의 생성
Common Entity는, non-STR non-AP MLD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정보를, MAC Lower Sublayer 또는 PHY Layer에 넘겨준다. 이 제어 정보에는, non-STR non-AP MLD로서, 복수의 링크에 의해 동기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나, PHY Layer에서 생성하는 PPDU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3) 각 MAC Lower Sublayer 또는 각 PHY Layer로의 송신하는 MPDU의 인도
Common Entity는, 각 MAC Lower Sublayer 또는 각 PHY Layer에, 송신하는 데이터에 상당하는 MPDU의 정보를 넘겨준다(도 21 중의 화살표(2109)로 표시되는 동작에 상당). 이때, 송신하는 데이터 길이는 링크 1에 있어서의 기간 T1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이며, 도 21 중에서는 T2'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AP MLD로부터 직전에 통지된 AC Constraint에서 나타내진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의 종별을 제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음성 통신의 양이 우선되는 데이터만의 송신이 허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Common Entity는, 허용되고 있는 데이터만을 MAC Lower Sublayer 또는 PHY Layer에 넘겨주고, 이들 데이터만을 PHY Layer가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1) 내지 (3)은 필요에 따라 Common Entity뿐만 아니라, MAC Lower Sublayer에 일부의 기능을 담당시켜도 된다.
각 MAC Lower Sublayer로부터 각 PHY Layer에 정보를 넘겨준 후, 각 PHY Layer는 동시에 PPDU를 송신한다. 이때, 응답 확인 프레임과 수신 데이터를 나타내는 MPDU를 하나의 PPDU에 통합하여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H. 정리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STR AP MLD가 링크 1을 사용하여 non-AP MLD로 전송 중에 또한 링크 2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경우, STR AP MLD 및 non-AP MLD는 각각 이하의 (1) 내지 (3)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1) STR AP MLD는, 링크 2를 사용함으로써 링크 1에 있어서의 단축된 전송 기간을, 링크 2를 사용하여 non-AP MLD에 통지하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2) non-AP MLD는, AP MLD로부터 비동기 송신된 신호를 복수의 링크에서 수신하는 경우, 링크 2의 MAC층으로부터 링크 1의 MAC층으로, 링크 1에 있어서의 단축된 전송 기간 ΔT를 통지한다고 하는 내부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3) non-AP MLD는, 단축된 전송 기간 ΔT에, 적어도 링크 1에 있어서 STR AP MLD로의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의하면, STR AP MLD가 링크 1을 사용하여 non-AP MLD로 전송 중에 또한 링크 2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함으로써 전송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경우에, non-AP MLD로부터의 Ack의 송신 시간의 연체를 방지하여, 시스템으로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서,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다. 그러나,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해당 실시 형태의 수정이나 대용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본 개시는, 예를 들어 IEEE 802.11 TG(Task Group) be에 준하여 복수의 링크를 사용한 전송을 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지만, 물론, 다른 통신 규격에 준하여 복수의 링크를 사용한 전송을 행하는 다양한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요컨대, 예시라고 하는 형태에 의해 본 개시에 대하여 설명해 온 것이며,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개시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 청구 범위를 참작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이며,
제1 링크를 사용한 전송 기간 중에, 또한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신 장치.
(2)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 상대에게 상기 정보를 통지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송 단위마다 상기 정보를 기재하는,
상기 (1) 또는 (2)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제1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송 단위마다, 상기 제2 링크에 있어서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재하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송 단위마다, 상기 제1 링크에서 전송하는 프레임 중에 기재된 적어도 전송 기간에 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상기 정보를 기재하는,
상기 (1)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6)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원래의 전송 기간 내에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한 다른 전송을 실시하는,
상기 (1) 내지 (5)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상기 복수의 링크를 사용한 통신 상대에 대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원래의 전송 기간 내에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한 전송을 허가하는,
상기 (6)에 기재된 통신 장치.
(8) 다른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원래의 전송 기간 내에서 상기 제2 링크의 개방을 통지하는,
상기 (6)에 기재된 통신 장치.
(9) 상기 통지는, 상기 제2 링크에서 송신을 금지하는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 및 송신 금지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8)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며,
제1 링크에서 전송을 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링크를 사용한 전송 기간 중에, 또한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1)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이며,
제1 링크에서 데이터 수신 중에 또한 제2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
(12)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통신 장치.
(13)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11) 또는 (12)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4)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 통신 상대가 상기 제2 링크의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 처리를 행하는,
상기 (11) 내지 (13)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5) 상기 제1 링크에서 전송하는 프레임 중에 기재된 적어도 전송 기간에 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하고,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11) 내지 (1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6) 링크마다 MAC층에 있어서의 처리를 행하는 MAC층 처리부와, 모든 링크에 공통된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공통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링크의 MAC층 처리부는 상기 공통 데이터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제1 링크의 MAC층 처리부에 통지하는,
상기 (11) 내지 (15)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7) 상기 제2 링크의 MAC층 처리부가, 상기 제1 링크에서 전송하는 프레임 중에 기재된 적어도 전송 기간에 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하고, 상기 공통 데이터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링크의 MAC층 처리부에 통지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통신 장치.
(18)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복수의 링크 사이에서 송신 또는 수신의 어느 한쪽밖에 실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링크 사이에서 송신 개시 시각을 정렬시키지 않는 비동기 전송의 수신이 가능한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링크를 사용한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는,
상기 (11) 내지 (17)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9)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지만 비동기 전송의 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링크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링크를 사용한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는,
상기 (11) 내지 (18)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20)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며,
제1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 통신 상대가 제2 링크의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 처리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제2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400: 통신 장치
410: 통신부
411: 통신 제어부
412: 통신 기억부
413: 공통 데이터 처리부
414: 개별 데이터 처리부
415: 신호 처리부
416: 무선 인터페이스부
417: 증폭부
420: 제어부
430: 기억부
440: 안테나

Claims (20)

  1.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이며,
    제1 링크를 사용한 전송 기간 중에, 또한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 상대에게 상기 정보를 통지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송 단위마다 상기 정보를 기재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송 단위마다, 상기 제2 링크에 있어서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재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송 단위마다, 상기 제1 링크에서 전송하는 프레임 중에 기재된 적어도 전송 기간에 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상기 정보를 기재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원래의 전송 기간 내에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한 다른 전송을 실시하는,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를 사용한 통신 상대에 대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원래의 전송 기간 내에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한 전송을 허가하는,
    통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다른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원래의 전송 기간 내에서 상기 제2 링크의 개방을 통지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제2 링크에서 송신을 금지하는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 및 송신 금지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0.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며,
    제1 링크에서 전송을 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링크를 사용한 전송 기간 중에, 또한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1.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이며,
    제1 링크에서 데이터 수신 중에 또한 제2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하는,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 통신 상대가 상기 제2 링크의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 처리를 행하는,
    통신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에서 전송하는 프레임 중에 기재된 적어도 전송 기간에 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하고,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링크마다 MAC층에 있어서의 처리를 행하는 MAC층 처리부와, 모든 링크에 공통된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공통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링크의 MAC층 처리부는 상기 공통 데이터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제1 링크의 MAC층 처리부에 통지하는,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의 MAC층 처리부가, 상기 제1 링크에서 전송하는 프레임 중에 기재된 적어도 전송 기간에 관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하고, 상기 공통 데이터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링크의 MAC층 처리부에 통지하는,
    통신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복수의 링크 사이에서 송신 또는 수신의 어느 한쪽밖에 실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링크 사이에서 송신 개시 시각을 정렬시키지 않는 비동기 전송의 수신이 가능한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링크를 사용한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는,
    통신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지만 비동기 전송의 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링크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링크를 사용한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는,
    통신 장치.
  20. 복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며,
    제1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 통신 상대가 제2 링크의 송신권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 처리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제2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전송 기간의 변경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2 링크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KR1020237026107A 2021-02-26 2021-12-28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301502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30010 2021-02-26
JPJP-P-2021-030010 2021-02-26
PCT/JP2021/048889 WO2022181050A1 (ja) 2021-02-26 2021-12-28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265A true KR20230150265A (ko) 2023-10-30

Family

ID=8304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107A KR20230150265A (ko) 2021-02-26 2021-12-28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29985A1 (ko)
EP (1) EP4301064A1 (ko)
JP (1) JPWO2022181050A1 (ko)
KR (1) KR20230150265A (ko)
CN (1) CN116889060A (ko)
WO (1) WO20221810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195029A1 (ko) * 2019-03-27 2020-10-01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ngho Seok, et al., "Proposed Draft Text for MLO Multi-Link Channel Access: PPDU End Time Alig㎚ent, "IEEE802.11-20/1271r8, Sep.9, 2020
Zhou Lan, et al., "MLO a-synchronize and synchronize operation discussions, "IEEE 802.11-20/291r1 Jan.20, 20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181050A1 (ko) 2022-09-01
CN116889060A (zh) 2023-10-13
US20240129985A1 (en) 2024-04-18
EP4301064A1 (en) 2024-01-03
WO2022181050A1 (ja)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8952B2 (ja) 高速媒体アクセス制御および直接のリンクプロトコル
JP5149224B2 (ja) 高速媒体アクセス制御
JP5175314B2 (ja) 無線基地局の信頼性強化のためのアーキテクチャ
KR101948082B1 (ko)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호 방법
EP1601126A2 (en) Transmission of feedb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10128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information about transmission failure frame
US202301648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parameters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link
US100041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data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165072A (zh) 用于基于整体链路质量来选择实体的方法
CN110999508B (zh) 在无线lan系统中基于多个信道化的信道来发送帧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无线终端
WO2021246250A1 (ja) 無線通信装置
US202301567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WO2021090718A1 (ja) 通信装置、情報処理方法
CN115066927A (zh) 站装置及通信方法
US202301353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lan system
US202301227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WO2022181050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23101035A (ja) 通信装置、通信方法
WO2022209212A1 (ja) 通信装置
US20240137836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through wireless relay device
US2021023544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on basis of plurality of channels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ing same
JP2023113977A (ja) 通信装置、通信方法
CN115053563A (zh) 站装置及通信方法
ES2369341T3 (es) Control de acceso al medio de alta velocidad con interoperabilidad con un sistema hered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