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035A -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를 이용한 한국산 송로버섯의 접종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를 이용한 한국산 송로버섯의 접종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035A
KR20230150035A KR1020220049485A KR20220049485A KR20230150035A KR 20230150035 A KR20230150035 A KR 20230150035A KR 1020220049485 A KR1020220049485 A KR 1020220049485A KR 20220049485 A KR20220049485 A KR 20220049485A KR 20230150035 A KR20230150035 A KR 20230150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ffle
korean
seedlings
oak
quer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안흠
박혁
권주희
Original Assignee
한국교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035A/ko
Publication of KR2023015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0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산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최적 숙주식물과 이를 이용한 접종묘를 제공하므로 고부가가치인 송로버섯을 국내에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송로버섯 포자를 추출하여 현탁액으로 제조한 후 이를 무균 유묘에 접종하므로 적은 양의 자실체만으로도 많은 수의 송로버섯 접종묘를 짧은 시간에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국내 자생하는 참나무 중 그 수가 가장 많은 상수리나무와 국내 자생 송로버섯의 숙주식물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떡갈나무를 이용하여 접종묘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국내에서 발견된 송로버섯의 자생환경과 가장 일치하는 재배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를 이용한 한국산 송로버섯의 접종묘 생산 방법{Production Method of Inoculated Seedling of Korean Truffles Using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dentata}
본 발명은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를 이용한 한국산 송로버섯의 접종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국산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uber huidongense, 한국명: 후이동덩이버섯), 투베르 히말라옌스(Tuber himalayense, 한국명: 히말라야덩이버섯) 및 투베르 코리아넘(Tuber koreanum, 한국명: 한국흰덩이버섯)을 한국산 숙주식물인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와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를 이용하여 접종묘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발버섯목(Pezizales), 및 자낭균문(Ascomycota)과 같은 송로버섯(Tuber)속의 균류(fungi)는 다양한 식물과 외생균근(外菌根) 관계(ectomycorrhizal relationship)를 이룬다[비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송로버섯종(Tuber spp.)에서 방출되는 트러플향은 매우 강하고 다양하며 오래 지속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높은 가치를 가지며 그 선호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비특허문헌 1,2 참조].
송로버섯은 종에 따라 선호하는 숙주식물종이 상이하며 이는 성공적인 균근화 및 높은 콜로니 생성률로 이어지기 때문에 송로버섯을 효율적으로 배양하기 위해서는 종에 따른 최적의 숙주식물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기보썸(Tuber gibbosum)과 투베르 오레고넨스(Tuber oregonense)의 경우 개솔송나무(Pseudotsuga menziesii)와 독특한 공생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리스가 원산지이며 블랙송로버섯으로 알려진 투베르 멜라노스포룸(Tuber melanosporum)의 경우 상록참나무(Quercus ilex)에서 가장 높은 균근화 및 콜로니 생성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3, 4 참조]. 또한 송로버섯은 동일한 숙주식물에서 배양된 것이라 할지라도 종에 따라 균근(mycorrhizae)의 특성 예를 들어, 강모체(剛毛體, cystidia)의 크기 및 구조, 맨틀의 세포벽 두께, 및 표피와 각형 사이의 구조변화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알려졌다[비특허문헌 5,6 참조].
송로버섯은 주로 유럽, 중국, 일본, 북미에서 생산되며 국내에서 자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도 송로버섯이 자생한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한국산 송로버섯종으로서 투베르 휴돈제네스(Tuber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uber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uber koreanum)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한국산 송로버섯에 대한 연구가 미미하여 이들의 생물학적 특성에 대하여 전혀 알려진바 없다.
따라서 한국산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uber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uber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uber koreanum)에 대한 연구를 통해 최적의 숙주식물과 이를 이용한 접종묘 생산 방법등이 알려진다면 국내 생산을 통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송로버섯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21-0014960 한국공개특허 10-2002-0002852
Fischer C, Oliach D, Bonet Lledos JA, Colinas C. Best practices for cultivation of truffles: Centre Tecnolgic Forestal de Catalunya; 2017. Bonito G, Trappe JM, Rawlinson P, Vilgalys R. Improved resolution of major clades within Tuber and taxonomy of species within the Tuber gibbosum complex. Mycologia 2010;102:1042-57. Bonito GM, Gryganskyi AP, Trappe JM, Vilgalys R. A global meta analysis of Tuber ITS rDNA sequences: species diversity, host associations and long distance dispersal. Mol Ecol 2010;19:4994-5008. Bonet JA, Fischer CR, Colinas C. Cultivation of black truffle to promote reforestation and land-use stability. Agron Sustain Dev 2006;26:69-76. Kovacs GM, Jakucs 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omparison of white truffle ectomycorrhizae. Mycorrhiza 2006;16:567-74. Guerin-Laguette A, Cummings N, Hesom-Williams N, Butler R, Wang Y. Mycorrhiza analyses in New Zealand truffieres reveal frequent but variable persistence of Tuber melanosporum in co-existence with other truffle species. Mycorrhiza 2013;23:87-98. Huang LL, Guerin-Laguette A, Wang R, Yu FQ. Characterization of Tuber indicum (Pezizales, Tuberaceae) mycorrhizae synthesized with four host trees exotic to China. Symbiosis 2020;82:215-24. Park H, Gwon JH, Lee JC, Kim HS, Oh DS, Eom AH. Report on Tuber huidongense, a truffle species previously unrecorded in Korea. Kor J Mycol 2020;48:505-10. Park H, Gwon JH, Lee JC, Kim HS, Seo GS, Eom AH.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Tuber himalayense Collected from Rhizosphere of Quercus dentata in Korea. Kor J Mycol 2021;49:101-8. White TJ, Bruns T, Lee S, Taylor J.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Innis MA, Gelfand DH, Sninsky JJ, White TJ, editor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San Diego: Academic Press; 1990. p. 315-22. Boutahir S, Iotti M, Piattoni 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uber oligospermum mycorrhizas. Afr J Agric Res 2013;8:4081-7. Wang R, Guerin-Laguette A, Butler R, Huang LL, Yu FQ. The European delicacy Tuber melanosporum forms mycorrhizae with some indigenous Chinese Quercus species and promotes growth of the oak seedlings. Mycorrhiza 2019;29:649-61.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산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uber huidongense, 한국명: 후이동덩이버섯), 투베르 히말라옌스(Tuber himalayense, 한국명: 히말라야덩이버섯) 및 투베르 코리아넘(Tuber koreanum, 한국명: 한국흰덩이버섯)에 대한 최적의 숙주식물을 탐색하고 상기 숙주식물에서 형성된 한국산 송로버섯의 외생균근에 대한 형태학적 및 해부학적 특성을 분석하므로 상기 한국산 송로버섯 접종묘의 최적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발명은 숙주식물로서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를 준비하는 제 1 단계;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또는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자실체(fruiting body)의 표면을 소독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분쇄하여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에 상기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을 접종한 후 부직포로 접종부위를 감싸는 제 3 단계; 상기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이 접종된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를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고 소석회(slaked lime)를 첨가하여 pH가 7 내지 8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겨진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이 접종된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를 온실에서 재배하여 송로버섯 접종묘를 생산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산 숙주식물을 이용한 송로버섯 접종묘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송로버섯 접종묘의 생산방법은 상기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의 자실체를 0.8 내지 2 x 106 포자/㎖의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으로 제조하고 상기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에 접종한 후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어 상기 온실에서 6 내지 10개월간 재배하면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이 6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의 자실체를 0.8 내지 2 x 106 포자/㎖의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으로 제조하고 상기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무균 유묘에 접종한 후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어 상기 온실에서 6 내지 10개월간 재배하면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이 55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자실체를 0.8 내지 2 x 106 포자/㎖의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으로 제조하고 상기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무균 유묘에 접종한 후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어 상기 온실에서 6 내지 10개월간 재배하면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이 4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균 유묘는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씨앗의 외피를 제거한 후 10% 치아염소산나트륨으로 표면을 살균하고 멸균한 질석이 포함된 혼합토에 심은 후 온실에서 5 내지 7개월간 재배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온실은 광주기 하루 7 내지 9시간, 상대습도 55±5%, 및 온도 24±1℃의 조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국산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최적 숙주식물과 이를 이용한 접종묘를 제공하므로 고부가가치인 송로버섯을 국내에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송로버섯 포자를 추출하여 현탁액으로 제조한 후 이를 무균 유묘에 접종하므로 적은 양의 자실체만으로도 많은 수의 송로버섯 접종묘를 짧은 시간에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국내 자생하는 참나무 중 그 수가 가장 많은 상수리나무와 국내 자생 송로버섯의 숙주식물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떡갈나무를 이용하여 접종묘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국내에서 발견된 송로버섯의 자생환경과 가장 일치하는 재배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베르 휴돈제네스(Tuber huidongense) GB20001 원반형자낭과의 이웃결합 계통수(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투베르 히말라옌스(Tuber himalayense) CB20001 원반형자낭과의 이웃결합 계통수(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투베르 코리아넘(Tuber koreanum) GB20011 원반형자낭과의 이웃결합 계통수(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수리나무(Q. acutissima) 묘목 및 떡갈나무(Q. dentata) 묘목에 형성된 투베르 휴돈제네스(Tuber huidongense)의 균근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수리나무(Q. acutissima) 묘목 및 떡갈나무(Q. dentata) 묘목에 형성된 투베르 히말라옌스(Tuber himalayense)의 균근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수리나무(Q. acutissima) 묘목 및 떡갈나무(Q. dentata) 묘목에 형성된 투베르 코리아넘(Tuber koreanum)의 균근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투베르 휴돈제네스(Tuber huidongense) 및 투베르 히말라옌스(Tuber himalayense)가 외생균근 형성율(mycorrhizal colonization rate)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숙주식물로서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를 준비하는 제 1 단계;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또는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자실체(fruiting body)의 표면을 소독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분쇄하여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에 상기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을 접종한 후 부직포로 접종부위를 감싸는 제 3 단계; 상기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이 접종된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를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고 소석회(slaked lime)를 첨가하여 pH가 7 내지 8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겨진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이 접종된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를 온실에서 재배하여 송로버섯 접종묘를 생산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산 숙주식물을 이용한 송로버섯 접종묘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국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송로버섯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uber huidongense, 한국명: 후이동덩이버섯), 투베르 히말라옌스(Tuber himalayense, 한국명: 히말라야덩이버섯) 및 투베르 코리아넘(Tuber koreanum, 한국명: 한국흰덩이버섯)을 최적의 한국산 숙주식물에 접종하여 접종묘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로버섯은 숙주식물의 뿌리에 공생하여 땅속에서만 성장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숙주식물로서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를 준비하고 상기 유묘의 뿌리부근에 송로버섯의 포자를 접종한다. 상기 포자는 현탄액의 상태로 준비되며 상세하게는 0.8 내지 2 x 106 포자/㎖의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포자 현탄액의 포자농도가 0.8 x 106 포자/㎖ 미만이면 송로버섯이 콜로니를 형성하는데 시간이 더 소용되어 접종묘 생산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상기 포자 현탄액의 포자농도가 2 x 106 포자/㎖을 초과하더라도 송로버섯이 콜로니를 형성하는데 시간이 급격히 단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송로버섯이 접종될 숙주식물 유묘는 무균 유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씨앗의 외피를 제거한 후 10% 치아염소산나트륨으로 표면을 살균하고 멸균한 질석이 포함된 혼합토에 심은 후 온실에서 5 내지 7개월간 재배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온실은 광주기 하루 7 내지 9시간, 상대습도 55±5%, 및 온도 24±1℃의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묘의 재배기간이 5개월 미만이면 뿌리의 생장이 미숙하여 균근의 감염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7개월을 초과하게 되면 투베르 이외의 종에 의한 균근 오염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묘는 멸균된 질석이 포함된 혼합토에서 재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멸균된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서 재배하여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멸균된 질석:펄라이트=1:1의 혼합토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이 접종된 유묘의 경우 상기와 같이 멸균된 질석-펄라이트 혼합토, 바람직하게는 멸균된 질석:펄라이트=1:1의 혼합토에서 묘목을 재배하여 송로버섯 접종묘를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으로 소석회(slaked lime)를 첨가하여 pH가 7 내지 8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가 아닌 상토(bed soil)를 사용하게 되면 영양과다로 인해 다른 균류의 오염가능성이 있으며 pH가 7 내지 8의 중상 또는 약염기성 조건이 아니면 송로버섯의 생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의 자실체를 0.8 내지 2 x 106 포자/㎖의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으로 제조하고 상기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에 접종한 후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어 상기 온실에서 6 내지 10개월간 재배하면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이 6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의 자실체를 0.8 내지 2 x 106 포자/㎖의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으로 제조하고 상기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무균 유묘에 접종한 후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어 상기 온실에서 6 내지 10개월간 재배하면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이 55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자실체를 0.8 내지 2 x 106 포자/㎖의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으로 제조하고 상기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무균 유묘에 접종한 후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어 상기 온실에서 6 내지 10개월간 재배하면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이 4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실험방법
1) 송로버섯 배양용 무균 유묘의 준비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의 씨앗(도토리)은 한국 단양에서 수득하였으며 떡갈나무(Quercus dentata)의 씨앗(도토리)은 한국 영주에서 수득하였다[비특허문헌 9 참조]. 상기 씨앗의 껍질을 벗긴 후 표면을 10%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NaClO)으로 30분간 소독하였다. 상기 씨앗은 멸균된 질석(vermiculite)과 펄라이트(perlite)의 1:1혼합토와 함께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상기 씨앗은 6개월 동안 온실에서 광주기 하루 8시간; 상대습도 55±5%; 및 온도 24±1℃로 재배하였다.
2) 송로버섯 자실체의 접종 및 외생균근의 형성
국내에서 자생하는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자실체(fruiting body)를 포항 및 단양에서 수득하고 70% 에탄올로 표면을 소독한 후 증류수를 넣어 블렌더(Hanil, SGMF-650, Korea)로 분쇄하여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을 제조하였다[비특허문헌 8,9 참조].
상기 6개월 동안 재배한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와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의 뿌리 부근에 상기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 1㎖을 접종하고 부직포로 감쌌다. 상기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에 포함된 포자는 1.0 내지 1.5x106포자/㎖(hemocytometer, Paul Marienfeld GmbH & Co. KG, Lauda-Knigshofen, Germany)이었다.
상기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포자 현탄액(1.5x106포자/㎖)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 5개 및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 5개에 각각 접종(총 10개 샘플)하였다. 상기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포자 현탄액(1.5x106포자/㎖)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 10개 및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 10개에 각각 접종(총 20개 샘플)하였다. 상기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 포자 현탄액(1.0x106포자/㎖)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 5개 및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 5개에 각각 접종(총 20개 샘플)하였다.
상기 접종된 유묘는 오토클레이브로 멸균한 질석(vermiculite) 및 펄라이트(perlite)의 1:1 혼합토와 함께 플라스틱 화분(280㎖)에 심었으며 소석회(slaked lime)를 첨가하여 pH가 7 내지 8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플라스틱 화분은 매주 물을 주면서 8개월 동안 상기 조건의 온실에서 송로버섯 접종묘를 재배하였다.
3) 송로버섯 외생균근의 분자 식별
상기 재배한 송로버섯 접종묘에 형성된 송로버섯의 외생균근(ectomycorrhiza, ECM)을 확인하고 이들을 분자적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균근 뿌리의 끝 부분에서 송로버섯의 게놈 DNA를 추출(DNeasy Plant Mini kit, QIAGEN GmbH, Hilden, Germany)하였다. 상기 추출한 게놈 DNA에 대하여 ITS1F/ITS4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리보좀 DNA의 내부 전사 스페이서(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를 증폭시켰다. 상기 증폭된 핵산에 대하여 시퀸싱(SolGent Co. Ltd., Korea)을 실시하여 서열을 확인하고 이를 BLAST (https://www.ncbi.nlm.nih.gov/)에서 분석하였다[비특허문헌 10 참조].
4) 송로버섯 외생균근의 형태학적 및 해부학적 특성 분석
상기 재배한 송로버섯 접종묘에 형성된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또는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외생균근에 대하여 형태학적 분석 및 해부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형태학적 분석은 해부현미경(Olympus SZX7, Japan)을 이용하였으며 상기 해부학적 분석은 저온유지장치(CM1850, Leica, Germany)를 이용하여 묘목의 뿌리 단면을 절단한 후 광학현미경(Axio Imager A1, Carl ZEISS, Germany)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5) 송로버섯 균근의 뿌리 콜로니 생성률
상기 재배한 송로버섯 접종묘 샘플을 화분으로부터 주의 깊게 제거하고 뿌리 끝으로부터 2㎝ 간격으로 3가지 위치를 무작위로 선택하였다. 증류수를 이용하여 흙을 제거한 후 해부현미경(Olympus SZX7, Japan)으로 외생균근이 형성된 뿌리 조각을 분별하였다. 상기 외생균근이 형성된 균근 뿌리 조각의 분별은 각 식물 종에 대하여 100개 씩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뿌리 콜로니 생성률(%)을 분석하였다. 상기 뿌리 콜로니 생성률(%)은 하기 수학식으로 산출하였다[비특허문헌 11 참조].
상기 CR은 뿌리에 외생균근 형성률(%)을 의미하며; T는 외생균근이 확인된 뿌리 조각의 수; N은 외생균근이 확인되지 않은 뿌리 조각의 수를 의미한다.
2. 실험결과
1) 송로버섯 자실체의 접종 및 외생균근 형성 결과
본 발명의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또는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포자 현탄액을 접종한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 및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를 온실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접종 2.5 개월 후 상기 유묘의 뿌리에 외생균근이 형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의 경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와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 접종 샘플 10개 모두에서 외생균근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상기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의 경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 접종 샘플 10개 모두에서 외생균근의 형성이 확인된 반면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 접종 샘플은 10개 중 8개에서만 외생균근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상기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경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와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 접종 샘플 10개 모두에서 외생균근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2) 송로버섯 외생균근의 분자 식별 분석 결과
본 발명의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 포자 현탄액의 접종으로 형성된 외생균근으로부터 내부 전사 스페이서(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의 염기 서열을 확인한 후 BLAST를 이용하여 이를 분석한 결과 GenBank에 등재된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ITS 서열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상기 염기서열에 대하여 계통수(phylogenetic tree)로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외생균근 염기서열은 원반형자낭과(ascoma)의 염기서열과 동일한 계통발생군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2, 및 3 참조).
도 1의 계통수는 내부 전사 스페이서(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DNA 서열의 연결정렬에 기반한 것이다. 투베르 포르메사넘(Tuber formosanum)은 외부그룹으로 간주되었다. 투베르 휴돈제네스(Tuber huidongense) GB20001 서열은 자실체로부터 분리되었으며; 1번 내지 5번의 DNA 서열은 상수리나무(Q. acutissima) 유묘에 형성된 외생균근으로부터 유래하였으며 6번 내지 10번의 DNA 서열은 떡갈나무(Q. dentata) 유묘에 형성된 외생균근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숫자는 부트스트랩(1000회 반복)값을 의미한다.
도 2의 계통수는 내부 전사 스페이서(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DNA 서열의 연결정렬에 기반한 것이다. 투베르 휴도히말라예스(Tuber pseudohimalayense)은 외부그룹으로 간주되었다. 투베르 히말라옌스(Tuber himalayense) CB20001은 자실체로부터 분리되었으며; 1번 내지 8번의 DNA 서열은 상수리나무(Q. acutissima) 유묘에 형성된 외생균근으로부터 유래하였으며 9번 내지 18번의 DNA 서열은 떡갈나무(Q. dentata) 유묘에 형성된 외생균근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숫자는 부트스트랩(1000회 반복)값을 의미한다.
도 3의 계통수는 내부 전사 스페이서(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DNA 서열의 연결정렬에 기반한 것이다. 투베르 자포니쿰(Tuber japonicum)은 외부그룹으로 간주되었다. 투베르 코리아넘(Tuber koreanum) AB553502.1은 자실체로부터 분리되었으며; T401, T402, T405, T407, 및 T875의 DNA 서열은 상수리나무(Q. acutissima) 유묘에 형성된 외생균근으로부터 유래하였으며 T530, T574, T1643, T1644, 및 T1645의 DNA 서열은 떡갈나무(Q. dentata) 유묘에 형성된 외생균근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숫자는 부트스트랩(1000회 반복)값을 의미한다.
2) 송로버섯 외생균근의 형태학적 및 해부학적 특성 분석결과
접종 8개월 후 상기 접종 유묘 샘플에 형성된 외생균근을 확인하고 이의 형태학적 및 해부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표 1 과 도 4는 각 유묘목에 형성된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의 외생균근의 형태학적 및 해부학적 특성을 보여준다.
송로버섯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p-value
유묘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Dimension of ECMs system 3.70±0.25㎜ 4.28±0.32㎜ 0.189
Length of unramified ends 2.16±0.10㎜ 2.06±0.06㎜ 0.367
Diameter of unramified ends 240.0±4.05㎛ 203.3±4.68㎛ <0.001
Thick of mantle 18.5±1.20㎛ 15.17±1.33㎛ 0.092
Length of cystidia 141.00±4.94㎛ 194.00±8.80㎛ 0.010
Diameter of cystidia 1.85±0.07㎛ 2.10±0.04㎛ 0.026
도 4의 패널 A 내지 D는 상수리나무(Q. acutissima) 유묘에 형성된 균근이며 패널 E 내지 H는 떡갈나무(Q. dentata) 유묘에 형성된 균근이다. 또한 도 4의 패널 A 및 E는 균근팁의 모양을 보여주며; 패널 B 및 F는 균근팁의 절단면을 보여주며; 패널 C 및 G는 외부 맨틀 표면의 구조를 보여주며; 패널 D와 H는 외부 맨틀층에서 나오는 별도의 균사체를 보여준다(스케일바: A, E=1㎜; B, F=20㎛; C, D, G, H=50㎛).
분석결과 두 종류 유묘에 형성된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의 외생균근 맨틀은 모두 불규칙하게 맞물려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균사체는 격벽이 있는 단순하거나, 굽어 있거나, 구불구불한 형태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부는 직각으로 갈라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두 종류 유묘에 형성된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의 외생균근은 분지되지 않은 말단의 직경(the diameter of the unramified ends)과 강모체의 길이(Length of cystidia) 및 강모체의 직경(Diameter of cystidia)에서 서로 상이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독립 t-검정, p<0.001).
표 2 및 도 5는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의 외생균근에 대한 형태학적 및 해부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송로버섯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p value
유묘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Dimension of ECMs system 5.34±0.36㎜ 4.28±0.17㎜ 0.189
Length of unramified ends 2.82±0.07㎜ 1.75±0.08㎜ 0.367
Diameter of unramified ends 208.70±6.50㎛ 163.10±7.68㎛ <0.001
Thick of mantle 15.33±1.31㎛ 23.00±1.86㎛ 0.092
Length of cystidia 146.57±7.20㎛ 106.67±6.03㎛ 0.010
Diameter of cystidia 2.54±0.11㎛ 2.30±0.06㎛ 0.026
도 5의 패널 A 내지 D는 상수리나무(Q. acutissima) 유묘에 형성된 균근이며 패널 E 내지 H는 떡갈나무(Q. dentata) 유묘에 형성된 균근이다. 또한 도 5의 패널 A 및 E는 균근팁의 모양을 보여주며; 패널 B 및 F는 균근팁의 절단면을 보여주며; 패널 C 및 G는 외부 맨틀 표면의 구조를 보여주며; 패널 D와 H는 외부 맨틀층에서 나오는 별도의 균사체를 보여준다(스케일바: A, E=1㎜; B, F=20㎛; C, D, G, H=50㎛).
분석결과 두 종류 유묘에서 형성된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의 외생균근 맨틀은 부분적으로 검정색이 포함된 갈색이었으며 불규칙하게 맞물려 있는 패턴이 확인되었다. 또한 균사체는 단순하고 구불구불하며 격막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두 종류 유묘에서 형성된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의 외생균근은 직경(dimension), 가지가 없는 말단의 직경, 멘틀의 두께, 절개된 전구체 시스템의 균사 길이에서 의미 있는 차이점이 있었다(독립 t-검정, p<0.001).
표 3 및 도 6은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외생균근에 대한 형태학적 및 해부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송로버섯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 p value
유묘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Dimension of ECMs system 4.56±0.63㎜ 7.28±0.39㎜ 0.040
Length of unramified ends 200.00±4.85㎜ 268.50±3.50㎜ <0.001
Diameter of unramified ends 225.67±5.49㎛ 257.17±3.87㎛ <0.001
Thick of mantle 33.33±1.82㎛ 17.10±2.27㎛ <0.001
Length of cystidia 154.17±8.80㎛ 212.50±10.94㎛ 0.002
Diameter of cystidia 1.45±0.04㎛ 2.23±0.05㎛ <0.001
도 6의 패널 A 내지 D는 상수리나무(Q. acutissima) 유묘에 형성된 균근이며 패널 E 내지 H는 떡갈나무(Q. dentata) 유묘에 형성된 균근이다. 또한 도 6의 패널 A 및 E는 균근팁의 모양을 보여주며; 패널 B 및 F는 균근팁의 절단면을 보여주며; 패널 C 및 G는 외부 맨틀 표면의 구조를 보여주며; 패널 D와 H는 외부 맨틀층에서 나오는 별도의 균사체를 보여준다(스케일바: A, E=1㎜; B, C, D, H=20㎛; F, G=50㎛).
분석결과 두 종류 유묘에서 형성된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외생균근은 분지되지 않은 끝의 경우 동일하게 직선, 덩어리 모양 또는 끝이 둥근 원통형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맨틀은 불규칙한 맞물림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두 종류 유묘에서 형성된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균사체는 모두 단순하며 강모 모양 또는 송곳 모양을 가지고 격벽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두 종류 유묘에서 형성된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외생균근은 일부 균근 특성에서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에 형성된 외생균근의 경우 모노포드 깃모양 패턴과 모노포드 피라미드 패턴이 모두 관찰된 반면 떡갈나무(Quercus dentata)에 형성된 외생균근의 경우 모노포드 깃모양 패턴만이 관찰되었다. 또한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에 형성된 외생균근의 경우 희끄무레한 밝은 갈색, 갈색 또는 적갈색이 관찰된 반면 떡갈나무(Quercus dentata)에 형성된 외생균근의 경우 옅은 노란색과 황토색이 관찰되는 차이점이 있었다.
외생균근 시스템의 길이, 분지되지 않은 말단, 포낭의 길이 및 직경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에 형성된 외생균근의 길이보다 떡갈나무(Quercus dentata)에 형성된 외생균근의 길이가 유의하게 더 길었으며 맨틀 두께는 떡갈나무(Quercus dentata)에 형성된 외생균근보다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에 형성된 외생균근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에 형성된 외생균근과 떡갈나무(Quercus dentata)에 형성된 외생균근에 대한 측정값의 유의한 차이는 독립 T-검정을 통해 분석 및 검증하였다(p<0.001).
3) 외생균근 뿌리 콜로니 생성률 분석결과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와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유묘에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또는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를 접종한 후 재배하여 접종묘에 형성된 콜로니 생성률(colonization rate, %)을 비교분석하였다(도 7 및 표 4 참조).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비고
투베르 휴돈제네스
(T. huidongense)
48% 70% 재배기간: 8개월
재배조건: 광주기 하루 8시간; 상대습도 55±5%; 및 온도 24±1°C
투베르 히말라옌스
(T. himalayense)
60% 27%
투베르 코리아넘
(T. koreanum)
46% 31%
분석결과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에 접종된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콜로니 생성률은 각각 48%, 60% 및 46%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유묘에 접종된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콜로니 생성률은 각각 70%, 27% 및 3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는 한국산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유묘가 배양하기 위한 숙주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며; 본 발명의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는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가 배양하기 위한 숙주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며; 본 발명의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은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가 배양하기 위한 숙주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3. 토의
알려진 결과에 따르면 송로버섯종(Tuber spp)은 특정 숙주 식물종에 대하여 선호도를 가지기 때문에 송로버섯의 효과적인 균근화를 위해서 송로버섯종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숙주 식물을 선택하여야 한다[비특허문헌 2,14 참조].
본 발명의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는 소나무속(Pinus)에 해당하는 중국흰잣나무(Pinus armandii)와 밤나무속(Castana)에 해당하는 약밤나무(Castanea mollissima)에서 밝은 색의 외생균근만을 형성하는 것이 보고되었을 뿐 한국산인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및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묘목에서 외생균근이 형성된다는 보고는 없었다[비특허문헌 1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는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졸참나무(Quercus serrata), 졸가시나무(Quercus phillyraeoides) 및 소나무(Pinus densiflora)에서만 외생균근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묘목에서 외생균근을 형성한다는 보고는 없었다[비특허 문헌 13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은 가장 최근(2020년)에 발견된 종으로서 계통발생학적으로 투베르 리유아넘(T. liyuanum) 및 투베르 자포니쿰(T. japonicum)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투베르 리유아넘(T. liyuanum) 및 투베르 자포니쿰(T. japonicum)이 소나무(P. densiflora), 중국흰잣나무(Pinus armandii) 및 약밤나무(Castanea mollissima)에서 외생균근이 관찰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을 뿐 본 발명의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이 상수리나무(oak tree) 특히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및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에서 외생균근을 형성한다는 결과가 보고된바 없었다[비특허문헌 6, 17 참조].
본 발명은 국내 자생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이 참나무(oak tree) 특히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및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에서 외생균근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고한 최초의 결과에 해당하며 상기 유묘에 형성된 송로버섯의 외생균근을 분자생물학적, 형태학적 및 해부학적으로 분석한 최초로 결과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송로버섯종(Tuber spp)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을 배양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숙주식물을 실험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국내에서 자생하는 식물에 상기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을 접종하고 이들의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을 실험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송로버섯종 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한국산 숙주식물을 제시하므로 본 발명의 배양 방법을 이용하면 고부가가치를 가지는 송로버섯을 국내에서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6개월 동안 재배한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에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또는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포자 현탄액(1.0 내지 1.5x106포자/㎖)을 접종한 후 이를 멸균한 질석(vermiculite) 및 펄라이트(perlite) 1:1 혼합토와 함께 화분에 심되 소석회(slaked lime)를 첨가하여 pH가 7 내지 8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온실에서 광주기 하루 8시간; 상대습도 55±5%; 및 온도 24±1°C의 조건으로 배양하게 되면 배양 2.5개월 만에 송로버섯의 균근이 형성되고 5.5개월 더 배양(총 8개월)하게 되면, 상기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는 한국산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유묘에서 70%의 외생균근 콜리니 생성률을 보이고; 상기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는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에서 60%의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을 보이며; 상기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은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에서 46%의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송로버섯종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및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가 소나무속(Pinus)에 해당하는 중국흰잣나무(Pinus armandii) 및 밤나무속(Castana)에 해당하는 약밤나무(Castanea mollissima)에 접종한 경우 배양 4 내지 5개월이 되어서야 외생균근이 형성된다는 종래의 연구결과에 대비하여 그 배양 효율이 매우 향상된 것으로 평가된다[비특허 문헌 12,13 참조].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가 가장 최적의 숙주식물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 6개월 재배한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유묘에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포자 현탄액(1.5x106포자/㎖)을 접종 후 온실에서 광주기 하루 8시간; 상대습도 55±5%; 및 온도 24±1°C의 조건으로 배양하면 2.5개월 만에 외생균근이 형성되며 5.5개월(총 8개월) 더 배양하면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colonization rate, %)이 70%에 이르는 결과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는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가 가장 최적의 숙주식물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 6개월 재배한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유묘에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포자 현탄액(1.5x106포자/㎖)을 접종 후 온실에서 광주기 하루 8시간; 상대습도 55±5%; 및 온도 24±1°C의 조건으로 배양하면 2.5개월만에 외생균근이 형성되며 5.5개월(총 8개월) 더 배양하면 콜로니의 생성률(colonization rate, %)이 60%에 이르는 결과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은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가 가장 최적의 숙주식물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 6개월 재배한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묘목에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 포자 현탄액(1x106포자/㎖)을 접종 후 온실에서 광주기 하루 8시간; 상대습도 55±5%; 및 온도 24±1°C의 조건으로 배양하면 2.5개월만에 외생균근이 형성되며 5.5개월(총 8개월) 더 배양하면 콜로니의 생성률(colonization rate, %)이 46%에 이르는 결과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최적 숙주식물종, 특히 한국산 숙주식물종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결과를 이용하면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및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과 같은 고가의 송로버섯을 한국산 숙주식물을 이용하여 경제적이며 효과적으로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6)

  1. 숙주식물로서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를 준비하는 제 1 단계;
    송로버섯종인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 또는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자실체(fruiting body)의 표면을 소독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분쇄하여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에 상기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을 접종한 후 부직포로 접종부위를 감싸는 제 3 단계;
    상기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이 접종된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를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고 소석회(slaked lime)를 첨가하여 pH가 7 내지 8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겨진 송로버섯 포자 현탄액이 접종된 송로버섯 배양용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를 온실에서 재배하여 송로버섯 접종묘를 생산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산 숙주식물을 이용한 송로버섯 접종묘의 생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베르 휴돈제네스(T. huidongense)의 자실체를 0.8 내지 2 x 106 포자/㎖의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으로 제조하고 상기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무균 유묘에 접종한 후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어 상기 온실에서 6 내지 10개월간 재배하면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이 6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산 숙주식물을 이용한 송로버섯 접종묘의 생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베르 히말라옌스(T. himalayense)의 자실체를 0.8 내지 2 x 106 포자/㎖의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으로 제조하고 상기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무균 유묘에 접종한 후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어 상기 온실에서 6 내지 10개월간 재배하면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이 55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산 숙주식물을 이용한 송로버섯 접종묘의 생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베르 코리아넘(T. koreanum)의 자실체를 0.8 내지 2 x 106 포자/㎖의 포자 현탄액(spore suspension)으로 제조하고 상기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무균 유묘에 접종한 후 상기 질석-펄라이트 혼합토에 심어 상기 온실에서 6 내지 10개월간 재배하면 외생균근 콜로니 생성률이 4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산 숙주식물을 이용한 송로버섯 접종묘의 생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균 유묘는 한국산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또는 한국산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씨앗의 외피를 제거한 후 10% 치아염소산나트륨으로 표면을 살균하고 멸균한 질석이 포함된 혼합토에 심은 후 온실에서 5 내지 7개월간 재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산 숙주식물을 이용한 송로버섯 접종묘의 생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은 광주기 하루 7 내지 9시간, 상대습도 55±5%, 및 온도 24±1℃의 조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산 숙주식물을 이용한 송로버섯 접종묘의 생산방법.
KR1020220049485A 2022-04-21 2022-04-21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를 이용한 한국산 송로버섯의 접종묘 생산 방법 KR20230150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485A KR20230150035A (ko) 2022-04-21 2022-04-21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를 이용한 한국산 송로버섯의 접종묘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485A KR20230150035A (ko) 2022-04-21 2022-04-21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를 이용한 한국산 송로버섯의 접종묘 생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035A true KR20230150035A (ko) 2023-10-30

Family

ID=8855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485A KR20230150035A (ko) 2022-04-21 2022-04-21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를 이용한 한국산 송로버섯의 접종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03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852A (ko) 2000-06-30 2002-01-10 신정섭 외생균근균을 함유한 종자펠렛
KR20210014960A (ko) 2019-07-31 2021-02-10 심규광 버섯재배 배지의 유해 성분을 효과적으로 용탈시키는 매개체로 버미큘라이트, 일라이트, 페그마타이트를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852A (ko) 2000-06-30 2002-01-10 신정섭 외생균근균을 함유한 종자펠렛
KR20210014960A (ko) 2019-07-31 2021-02-10 심규광 버섯재배 배지의 유해 성분을 효과적으로 용탈시키는 매개체로 버미큘라이트, 일라이트, 페그마타이트를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onet JA, Fischer CR, Colinas C. Cultivation of black truffle to promote reforestation and land-use stability. Agron Sustain Dev 2006;26:69-76.
Bonito G, Trappe JM, Rawlinson P, Vilgalys R. Improved resolution of major clades within Tuber and taxonomy of species within the Tuber gibbosum complex. Mycologia 2010;102:1042-57.
Bonito GM, Gryganskyi AP, Trappe JM, Vilgalys R. A global meta analysis of Tuber ITS rDNA sequences: species diversity, host associations and long distance dispersal. Mol Ecol 2010;19:4994-5008.
Boutahir S, Iotti M, Piattoni 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uber oligospermum mycorrhizas. Afr J Agric Res 2013;8:4081-7.
Fischer C, Oliach D, Bonet Lledos JA, Colinas C. Best practices for cultivation of truffles: Centre Tecnolgic Forestal de Catalunya; 2017.
Guerin-Laguette A, Cummings N, Hesom-Williams N, Butler R, Wang Y. Mycorrhiza analyses in New Zealand truffieres reveal frequent but variable persistence of Tuber melanosporum in co-existence with other truffle species. Mycorrhiza 2013;23:87-98.
Huang LL, Guerin-Laguette A, Wang R, Yu FQ. Characterization of Tuber indicum (Pezizales, Tuberaceae) mycorrhizae synthesized with four host trees exotic to China. Symbiosis 2020;82:215-24.
Kovacs GM, Jakucs 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omparison of white truffle ectomycorrhizae. Mycorrhiza 2006;16:567-74.
Park H, Gwon JH, Lee JC, Kim HS, Oh DS, Eom AH. Report on Tuber huidongense, a truffle species previously unrecorded in Korea. Kor J Mycol 2020;48:505-10.
Park H, Gwon JH, Lee JC, Kim HS, Seo GS, Eom AH.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Tuber himalayense Collected from Rhizosphere of Quercus dentata in Korea. Kor J Mycol 2021;49:101-8.
Wang R, Guerin-Laguette A, Butler R, Huang LL, Yu FQ. The European delicacy Tuber melanosporum forms mycorrhizae with some indigenous Chinese Quercus species and promotes growth of the oak seedlings. Mycorrhiza 2019;29:649-61.
White TJ, Bruns T, Lee S, Taylor J.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Innis MA, Gelfand DH, Sninsky JJ, White TJ, editor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San Diego: Academic Press; 1990. p. 31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ikhuemhen et al. Mating compatibility and phylogeography in Pleurotus tuberregium
CN111763627B (zh) 一株促进药用铁皮石斛幼苗生长的真菌
CN105861332B (zh) 一种促进带叶兜兰植株生长的菌株及其应用
Ghosh et al. Growth and mycorrhizal dependency of Acacia mangium Willd. inoculated with three vesicular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lateritic soil
CN108260470B (zh) 一种提高松茸菌根化育苗的方法
Tian et al. Effect of inoculation with ecto-and arbuscular mycorrhizae and Rhizobium on the growth and nitrogen fixation by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Han et al. First report of Myrothecium roridum causing leaf and stem rot disease on Peperomia quadrangularis in Korea
CN115720813A (zh) 一种高效的松乳菇菌根人工合成方法
Vohník et al. Inoculation of Rhododendron cv. Belle-Heller with two strains of Phialocephala fortinii in two different substrates
CN106635821B (zh) 一种促进蓝莓营养吸收的菌根真菌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1401522A (zh) 杏黄兜兰无菌苗菌根化方法
CN107893034B (zh) 一种金针菇病原细菌的鉴定及抗病白色金针菇菌株的筛选方法
Huang et al. Mycorrhizal synthesis of Tuber pseudohimalayense with seven broad-leaved trees and Pinus armandii
Giomaro et al. Comparative study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ectomycorrhizas in Tilia americana and Quercus pubescens with Tuber brumale
Suwannasai et al. First ectomycorrhizal syntheses between Astraeus sirindhorniae and Dipterocarpus alatus (Dipterocarpaceae), pure culture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detection
KR20230150035A (ko)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를 이용한 한국산 송로버섯의 접종묘 생산 방법
CN104962501B (zh) 一种抗蔬菜水果灰霉病的菌株、拮抗剂的制备及应用
Kwon et al. Characterization of Myrothecium roridum isolated from imported Anthurium plant culture medium
CN115261237B (zh) 一种促进杜鹃兰属植物种子萌发的菌株及其应用
CN103340180A (zh) 一种通过转化大豆毛状根鉴定抗蚜基因抗性功能的方法
CN102715089B (zh) 黄柄鹅膏与共生植物室内共生关系的建立方法
CN103181298B (zh) 一种合成点柄粘盖牛肝菌菌根的方法
KR20240084758A (ko) 한국산 상수리나무를 이용한 유럽산 트러플 접종묘의 생산방법
CN110786237A (zh) 一种离体培养提高菊花耐盐性的方法
CN105284404A (zh) 接种丛枝菌根真菌促进白麻生长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