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633A -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633A
KR20230149633A KR1020220049089A KR20220049089A KR20230149633A KR 20230149633 A KR20230149633 A KR 20230149633A KR 1020220049089 A KR1020220049089 A KR 1020220049089A KR 20220049089 A KR20220049089 A KR 20220049089A KR 20230149633 A KR20230149633 A KR 20230149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owering
valve
circu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재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220049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633A/ko
Publication of KR2023014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0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the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structurally belonging to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0/00Safety arrangements for fluid actuator systems; Applications of safety devices in fluid actuator systems; Emergency measures for fluid actuator systems
    • F15B20/005Leakage; Spillage; Hose bur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5Control of speed of the output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는, 작업차량 후미의 승강 장치를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단동 실린더 구조의 승강 실린더와, 유압 펌프와 승강 실린더 사이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 장치의 승강 구동을 통제하는 기계식 승강 밸브 조립체 및 승강 실린더와 승강 밸브 조립체 사이의 승강 회로에 설치되며, 특정 센서의 출력과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전자식 하강방지밸브를 포함하며, 특정 센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한 제어부의 작동 명령에 따라 전자식 하강방지밸브가 승강 회로의 퇴로를 차단하도록 절환되어 밸브 내부 리크(Leak)로 인한 승강 장치의 자연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Farm working machinery lift control device of work vehicle}
본 발명은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차량 후미의 승강 장치에 부착된 작업기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밸브 내부 리크(Leak)로 인한 작업기 및 승강 장치의 자연하강을 방지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로 불리우는 작업차량은 기체 후미의 히치(hitch, 이하 '3점 승강 장치'라 한다)에 작업기를 부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에 유리한 구조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레이크(rake), 로터베이터(rotavator), 플로우(plow), 해로우(harrow) 등의 작업기를 히치에 부착하여 경운, 쇄토 작업 및 병해충방제, 양수, 탈곡 등 각종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3점 승강 장치는 승강 조절 레버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유압식 승강 제어 장치의 통제로 승강 작동이 구현된다. 이때 유압식 승강 제어 장치는 승강 실린더와 기계식 승강 밸브를 포함한다. 승강 실린더는 작동 유체가 가진 압력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전환하여 3점 승강 장치에 전달하고, 기계식 승강 밸브는 승강 실린더에 동력원인 작동 유체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승강 조절 레버 조작에 따른 승강 제어 장치의 승강 밸브 절환 상태에 따라 승강 실린더에 대한 작동 유체(이하, '압유'라 한다)의 흐름이 제어되고, 이를 통해 3점 승강 장치를 승강 구동시키는 상기 승강 실린더가 신장되거나 반대로 수축됨으로써 승강 장치의 승강이 구현된다. 결과적으로, 지면에 대한 작업기의 높이가 조절된다.
한편, 승강 제어 장치는 압유의 흐름을 단속하는 복수의 유압 밸브들로 구성되며, 유압 밸브는 구조적으로 밸브 내부 압유의 리크(Leak) 발생이 문제가 된다. 리크(Leak)는 시동 오프(OFF)나 도로 주행 및 정차와 같이 승강 장치에 부착된 작업기를 상승시킨 상태로 두는 경우 주로 발생하며, 특히 주행 중 리크가 발생하면 작업기의 자연하강으로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종래 기계식 승강 제어 장치를 구비한 작업차량의 경우 기계식 타입의 하강속도조절밸브를 완전 잠금 위치로 절환시킴으로써 자연하강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하강속도조절밸브의 주된 기능은 하강속도조절이기 때문에 필드에서의 사용이 많지 않고, 특히 주행이나 정차 또는 작업 등 그 상황에 맞춰 매번 해당 밸브를 절환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061552호(공개일 2008. 3. 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차량 후미의 승강 장치에 부착된 작업기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밸브 내부 압유의 리크(Leak)로 인한 작업기 및 승강 장치의 자연하강 문제를 명확하게 해소할 수 있는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특정 센서의 출력 신호에 연계해 상황에 맞춰 하강방지 기능이 자동 실행되어 별도의 기구적인 조작이 필요 없고, 따라서 조작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차량 후미의 승강 장치를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단동 실린더 구조의 승강 실린더;
유압 펌프와 상기 승강 실린더 사이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 장치의 승강 구동을 통제하는 기계식 승강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승강 실린더와 승강 밸브 조립체 사이의 승강 회로에 설치되며, 특정 센서의 출력과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전자식 하강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센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한 제어부의 작동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식 하강방지밸브가 상기 승강 회로의 퇴로를 차단하도록 절환되거나 상기 승강 회로의 퇴로를 개방하도록 절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센서는, 작업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 주행 여부, 정차 여부, 정비 여부, 작업기 상승 여부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센서는, 시동 온/오프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 센서, 변속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변속단 검출 센서, 가속 페달의 변위를 검출 하는 가속 페달 센서, 브레이크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 승강조작레버의 조작 변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 작업기 승강 감지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센서가 출력하는 신호 조합이 설정 신호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제어부의 통제로 전자식 하강방지밸브가 승강 회로의 퇴로를 차단하도록 절환되어 승강 장치의 자연 하강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적용된 기계식 승강 밸브 조립체는, 상기 유압 펌프와 승강 회로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상승 회로의 중간에 상기 승강 실린더에 대한 유체 공급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상승밸브와, 상기 상승밸브와 연동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와 오일 탱크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하강 회로의 중간에 유체 흐름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하강밸브 및 상기 하강 회로 내 유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하강밸브보다 앞선 위치에 하강 회로를 차단 또는 개방시키도록 구비되는 하강속도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승강 실린더와 승강 밸브 조립체 사이의 승강 회로에 설치되는 전자식 하강방지밸브가 특정 센서의 출력에 연계하여 상황에 맞춰 상기 승강 회로를 자동 차단한다. 이로 인해 승강 장치에 부착된 작업기의 상승 상태에서 승강 회로 개방에 따른 밸브 내부 리크(Leak) 및 그에 따른 작업기 및 승강 장치의 자연하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전자식 하강방지밸브는 특정 센서의 출력 신호에 연계해 작업, 주행, 정차 등 그 상황에 맞춰 자동으로 승강 회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자연 하강방지가 구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강방지를 위한 별도의 기구적인 조작이 필요 없으며, 따라서 운전자에게 조작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작업차량 후미의 3점 승강 장치를 개략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작업차량 후미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의 유압 회로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 도시한 도면.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3의 승강 밸브 조립체가 상승과 하강 위치로 조작된 경우 밸브 상태 및 작동유체(압유)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작업차량 후미의 3점 승강 장치를 개략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작업차량 후미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작업기와 연결을 위해 작업차량에 설치되는 3점 승강 장치(이하, '승강 장치'라 약칭한다)의 구성부터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승강 장치(4)는 차체(1)와 작업기(6)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로워 링크(46L, 46R)를 포함한다. 로워 링크(46L, 46R)는 차체(1) 후미에 피봇 가능하게 장치된 한 쌍의 승강 아암(42L, 42R)에 승강 로드(44L, 44R)를 통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좌우 한 쌍의 승강 실린더(32L, 32R)가 상기 승강 아암(42L, 42R)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좌우 한 쌍의 승강 실린더(32L, 32R)의 일단(상단)은 대응되는 승강 아암(42L, 42R)의 중앙에 힌지 구조로 연결된다. 그리고 타단(하단)은 상기 차체(1) 후미의 뒤차축 케이스 또는 뒤차동부 케이스에 피봇 연결된다.
승강 실린더(32L, 32R)는 피스톤 한쪽에만 유압이 작용하여 출력이 한쪽 방향(작업기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만 발생되는 단동 실린더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승강 장치(4)의 하강 작동은 승강 장치(4) 및 작업기(6)의 자중에 의해 구현된다.
승강 장치(4)의 승강 작동은 승강 조절 레버(도시 생략)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3)의 통제에 따라 구현된다. 이때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3)는 상기 승강 실린더(32L, 32R)와 기계식 승강 밸브 조립체(36)를 포함한다.
승강 실린더(32L, 32R)는 작동 유체가 가진 압력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승강 장치(4)에 전달함으로써 승강 장치(4)의 상승이 구현될 수 있으며, 기계식 승강 밸브 조립체(36)는 상기 승강 실린더(32L, 32R)에 대해 동력원인 작동 유체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승강 조절 레버 조작에 따른 승강 밸브 조립체(36)의 절환 상태에 따라 승강 실린더(32L, 32R)에 대한 작동 유체의 공급과 드레인이 단속되며, 이로 인해 승강 실린더(32L, 32R)가 신장되거나 반대로 작업기(6)의 무게에 의해 수축됨으로써 승강 장치(4)의 승강이 구현되며, 결국 작업기(6)의 높이가 조절된다.
승강 제어 장치(3)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복수의 유압 밸브들로 구성된다. 유압 밸브는 앞선 배경기술에서도 언급했듯이 구조적으로 밸브를 통한 압유의 리크(Leak)가 문제가 된다. 특히 작업기(6)를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작업기(6)에 중력이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밸브를 통한 압유의 리크(이하, '밸브 리크'라 한다) 문제는 더 커지게 된다.
밸부 리크는 작업기(6)를 상승 위치에 지탱시켜주는 압력 에너지가 감소하는 것이므로, 리크가 생기면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도 작업기(6)가 자연스럽게 하강한다. 리크에 따른 작업기(6)의 의도치 않은 하강은 시동 오프(OFF)나 도로 주행 및 정차와 같이 승강 장치(4)에 부착된 작업기(6)를 상승시킨 상태로 일정시간 이상 방치하는 경우 발생한다.
특히 작업기(6)를 상승시킨 상태로 도로 주행 중 발생하는 밸브 내부 리크에 따른 작업기(6)의 자연하강은 심각한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3)는 밸브 내부 리크에 따른 작업기(6)의 의도치 않은 하강(자연하강)을 방지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밸브 내부 리크에 따른 작업기의 의도하지 않은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에 대해 이하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의 유압 회로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 도시한 도면으로, 승강 밸브 조립체가 중립 위치로 조작된 경우 밸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3의 승강 밸브 조립체가 상승과 하강 위치로 조작된 경우 밸브 상태 및 작동 유체(압유)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3)는, 승강 실린더(32L, 32R) 및 기계식 승강 밸브 조립체(36)를 포함한다. 승강 실린더(32L, 32R)는 단동 실린더 구조로 작업차량 후미의 승강 장치(4)를 승강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승강 밸브 조립체(36)는 유압 펌프와 상기 승강 실린더(32L, 32R) 사이에서 작동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승강 실린더(32L, 32R)는 앞서도 언급했듯이, 작동 유체가 가진 압력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승강 장치(4)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승강 장치(4)의 상승이 구현되며, 승강 밸브 조립체(36)는 상기 승강 실린더(32L, 32R)에 대해 동력원인 작동 유체의 공급 및 승강 실린더(32L, 32R)로부터의 드레인을 단속한다.
승강 밸브 조립체(36)는 구체적으로, 승강 실린더(32L, 32R) 상승에 관여하는 상승밸브(360)와 승강 실린더(32L, 32R) 하강에 관여하는 하강밸브(364)를 포함한다. 또한 승강 실린더(32L, 32R)의 수축 속도(작업기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하강속도조절밸브(362)를 구비한다.
하강속도조절밸브(362)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역류방지밸브(Check valve)와 유량조절밸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으며, 상승밸브(360)와 하강밸브(364)는 회로적으로 직렬 배치되며 내부 스풀이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승밸브(360)는 3port 2way 밸브일 수 있으며, 하강밸브(364)는 2port 1way 밸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레버를 상승 측으로 수동 조작하면, 도 4와 같이 상승밸브(360)가 승강 실린더(32L, 32R)에 대한 작동 유체의 공급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절환되고(상승 밸브 Open), 하강밸브(364)는 승강 실린더(32L, 32R)로부터 오일 탱크(T) 측으로 작동 유체(압유)가 드레인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절환된다(하강 밸브 Close).
이와 같은 밸브 절환 상태에 따라, 승강 밸브 조립체(36)로 공급된 작동 유체(압유)는 승강 회로(L2)를 거쳐 승강 실린더(32L, 32R)로 공급되며, 공급된 작동 유체의 압력에 의해 승강 실린더(32L, 32R)가 동시에 신장된다. 그 결과, 승강 실린더(32L, 32R)가 떠 받치는 승강 장치(4)가 상승을 하게 되고, 결국 작업기(6)가 상승을 하게 된다.
반대로 승강 레버를 하강 측으로 수동 조작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밸브(360)가 승강 실린더(32L, 32R)에 대한 작동 유체의 공급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절환되고(상승 밸브 Close), 하강밸브(364)는 반대로 승강 실린더(32L, 32R)로부터의 작동 유체 드레인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절환된다(하강 밸브 Open).
이와 같은 밸브 절환 상태에 따라, 작업기의 자중에 의한 승강 실린더(32L, 32R)의 수축이 허용된다. 즉 작업기의 자중에 의한 승강 실린더(32L, 32R)를 수축시키려는 힘에 의해 승강 실린더(32L, 32R) 내에 채워져 있던 작동 유체가 오일 탱크(T) 측으로 드레인되어 승강 실린더(32L, 32R)는 수축되며, 그 결과 승강 장치(4) 및 작업기(6)가 하강하게 된다.
상승밸브(360)는 바람직하게, 유압 펌프(도시 생략)와 승강 회로(L2, 승강 실린더와 승강 밸브 조립체를 작동 유체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로)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상승 회로(L1)의 중간에 상기 승강 실린더(32L, 32R)에 대한 유체 공급을 단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강밸브(364)는 상기 승강 실린더(32L, 32R)와 오일 탱크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하강 회로(L3)의 중간에 유체 흐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체의 오일 탱크(T) 측 드레인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며, 하강 회로(L3) 내 유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하강밸브(364)보다 앞선 위치에 상기 하강속도조절밸브(362)가 그 하강 회로(L3)를 개폐하거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면부호 365은 회로 내 압력을 설정값 이하로 유지시키는 릴리프 밸브(Relief valve)이며, 366과 368은 보조밸브로서 파일럿 압력으로 작동되어 회로 내 바이패스 회로의 개폐를 단속하는 파일럿 밸브이다.
한편, 밸브 리크에 따른 작업기의 자연하강은 작업기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승강 밸브 조립체를 중립 위치로 조작한 경우 발생한다.
상승 밸브와 하강 밸브가 모두 중립에 위치하여 상승과 하강 양방향에 대한 작동 유체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라도, 승강 실린더에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작업기의 하중으로 작동 유체가 승강 실린더를 빠져 나와 하강 밸브 내 스풀과 이 스풀이 내접하는 미끄럼면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거쳐 조금씩 오일 탱크 측으로 드레인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3)는, 전자식 하강방지밸브(이하, '하강방지밸브(34)'라 한다)를 포함한다. 하강방지밸브(34)는 승강 실린더(32L, 32R)와 승강 밸브 조립체(36)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승강 회로(L2)에 설치되며, 제어부(30)의 통제를 받아 상기 승강 회로(L2)의 개폐를 단속한다.
하강방지밸브(34)는 바람직하게, 차량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부품 또는 기구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특정 센서(31)의 출력과 전기적으로 연동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 센서(31)의 출력 신호에 기초한 제어부(30)의 작동 명령에 따라 상기 승강 회로(L2)의 퇴로를 차단하거나 상기 승강 회로(L2)의 퇴로를 개방하도록 절환될 수 있다.
특정 센서(31)는 바람직하게, 차량의 속도, 작업차량의 시동 온/오프 여부, 주행 여부, 정차 여부, 정비 여부, 작업기의 상승 여부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센서, 시동 온/오프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 센서, 변속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변속단 검출 센서, 가속 페달의 변위를 검출 하는 가속 페달 센서, 브레이크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 승강조작레버의 조작 변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 작업기 승강 감지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물론, 열거한 센서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열거한 센서 외에 다른 센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작업기(6)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상승시킨 상태에서 작업차량의 시동 오프나, 주행, 정차 등 작업기(6)의 자연하강 방지 기능이 필요한 상황임을 파악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센서(31)가 출력하는 신호의 조합이 설정 신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0)의 통제로 전자식 하강방지밸브(34)가 승강 회로(L2)의 퇴로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절환됨으로써 작업기(6)의 자연하강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기(6)를 사용하지 않는 도로 주행의 경우 작업기(6)를 주행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시킨 채 주행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밸브 리크로 의도치 않게 작업기(6)가 자연하강을 하게 되면, 앞서도 언급했듯이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변속단 검출센서가 변속 레버의 전진 또는 후진 조작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주행 여부 파악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차속이 설정 속도 이상이며, 상기 각도 센서나 승강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설정값 이상인(작업기의 상승 정도를 파악하는 신호) 신호 조합인 경우, 설정 신호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제어부(30)가 판단하여 상기 하강방지밸브(34)에 승강 회로(L2)의 퇴로를 차단하는 명령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자연하강 방지를 위한 센서의 여러 신호 조합 중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기(6)를 설정 높이 이상 상승시킨 상태로 차량을 정차시키거나 시동이 오프된 경우와 같이, 작업기(6)가 자연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작업기(6)의 자연하강을 저지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의 차량 상태에 상응하는 센서의 모든 출력 조합, 즉 작업기(6)의 자연하강 저지가 필요한 차량 상태에 상응하는 센서들의 다양한 출력 조합을 설정 신호 조건으로 기록하여, 신호 조합이 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제어부(30)의 통제에 따라 상기 하강방지밸브(34)가 승강 회로(L2)의 퇴로를 차단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승강 실린더와 승강 밸브 조립체 사이의 승강 회로에 설치되는 전자식 하강방지밸브가 특정 센서의 출력에 연계하여 상황에 맞춰 상기 승강 회로를 자동 차단한다. 이로 인해 승강 장치에 부착된 작업기의 상승 상태에서 승강 회로 개방에 따른 밸브 내부 리크(Leak) 및 그에 따른 작업기 및 승강 장치의 자연하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전자식 하강방지밸브는 특정 센서의 출력 신호에 연계해 작업, 주행, 정차 등 그 상황에 맞춰 자동으로 승강 회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자연 하강방지가 구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강방지를 위한 별도의 기구적인 조작이 필요 없으며, 따라서 운전자에게 조작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차체
3 : 승강 제어 장치
4 : 3점 승강 장치
6 : 작업기
30 : 제어부
31 : 센서
32L, 32R : 승강 실린더
34 : 전자식 하강방지밸브
36 : 기계식 승강 밸브 조립체
360 : 상승밸브
362 : 하강속도조절밸브
364 : 하강밸브
365 : 릴리프 밸브
366, 368 : 파일럿 밸브
L1 : 상승회로
L2 : 승강회로
L3 : 하강회로

Claims (6)

  1. 작업차량 후미의 승강 장치를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단동 실린더 구조의 승강 실린더;
    유압 펌프와 상기 승강 실린더 사이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 장치의 승강 구동을 통제하는 기계식 승강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승강 실린더와 승강 밸브 조립체 사이의 승강 회로에 설치되며, 특정 센서의 출력과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전자식 하강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센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한 제어부의 작동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식 하강방지밸브가 상기 승강 회로의 퇴로를 차단하도록 절환되거나 상기 승강 회로의 퇴로를 개방하도록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센서는,
    작업차량의 속도, 시동 온/오프 여부, 주행 여부, 정차 여부, 정비 여부, 작업기 상승 여부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센서는,
    속도 센서, 시동 온/오프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 센서, 변속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변속단 검출 센서, 가속 페달의 변위를 검출 하는 가속 페달 센서, 브레이크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 승강조작레버의 조작 변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 작업기 승강 감지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센서가 출력하는 신호 조합이 설정 신호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제어부의 통제로 전자식 하강방지밸브가 승강 회로의 퇴로를 차단하도록 절환되어 승강 장치의 자연 하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승강 밸브 조립체는,
    상기 유압 펌프와 승강 회로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상승 회로의 중간에 상기 승강 실린더에 대한 유체 공급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상승밸브;
    상기 상승밸브와 연동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와 오일 탱크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하강 회로의 중간에 유체 흐름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하강밸브; 및
    상기 하강 회로 내 유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하강밸브보다 앞선 위치에 하강 회로를 개폐하거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강속도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KR1020220049089A 2022-04-20 2022-04-20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KR20230149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089A KR20230149633A (ko) 2022-04-20 2022-04-20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089A KR20230149633A (ko) 2022-04-20 2022-04-20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633A true KR20230149633A (ko) 2023-10-27

Family

ID=8851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089A KR20230149633A (ko) 2022-04-20 2022-04-20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6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1552A (ja) 2006-09-06 2008-03-21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対地作業車両の作業機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1552A (ja) 2006-09-06 2008-03-21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対地作業車両の作業機昇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3099C (en) Interface system for a towed implement
AU2005201082B2 (en) Hydraulic arrangement
US7337610B2 (en) Hydraulic arrangement
US20110202232A1 (en) Hydraulic Lift System And Control Method
EP2884118A1 (en) Hydraulic supply system
KR20230149633A (ko)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제어 장치
US11725364B2 (en) Hydraulic system of working machine
KR102491222B1 (ko)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US5024140A (en) Hydraulic control mechanism for a hydraulic actuator
US7076896B2 (en) Control for an operating arm of an earthmoving vehicle
KR940001872B1 (ko) 작업차의 승강 장치용 유압회로
JPS5831441Y2 (ja) トラクタ
US7210395B2 (en) System for handling a tool at a vehicle
EP3321515A1 (en) Hydraulic cylinder supply system
JP6258784B2 (ja) トラクタ
WO2022254851A1 (ja) コントロールバルブユニット
JPS623310Y2 (ko)
JP7214447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US20230354733A1 (en) Hydraulic adjustment device
JP3366578B2 (ja) 作業車
JPS6028189Y2 (ja) 農用移動作業車の油圧制御回路
JP4484610B2 (ja) 作業車
EP3464948A1 (en) A power system for a work machine
JPH05164105A (ja) 油圧制御シリンダの油圧回路
JPS6026570Y2 (ja) 農用トラクタの三点ヒッ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