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562A -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562A
KR20230149562A KR1020220048934A KR20220048934A KR20230149562A KR 20230149562 A KR20230149562 A KR 20230149562A KR 1020220048934 A KR1020220048934 A KR 1020220048934A KR 20220048934 A KR20220048934 A KR 20220048934A KR 20230149562 A KR20230149562 A KR 20230149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lergic
allergic respiratory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김기모
김윤희
송광훈
이익수
이주영
정동호
정명아
지건영
편보정
장설
최수산나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48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562A/ko
Publication of KR2023014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5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3Gleditsia (loc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조협 추출물은 비염 유발에 의해 증가된 비강 세척액 내 호산구, 대식세포 및 림프구와 같은 면역세포의 침윤을 억제시키고, 혈청 내 IgE, 히스타민 및 IL-13의 함량을 감소시키며, 재채기 및 코 긁기 증상을 호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에 대한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Gleditsiae Fructus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은 알러지 반응이 관여하는 질환 중 호흡기 질환을 뜻하며, 대표적으로 알러지성 비염, 기관지 천식이 있다.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은 코 점막이 특정 물질에 대하여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러지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알레르겐 또는 항원)이 코 점막에 노출된 후 자극 부위로 비만세포, 호산구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IgE 항체를 매개로 하는 염증세포가 몰려들어 이들이 분비하는 다양한 매개물질에 의하여 염증반응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발작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등의 세 가지 주요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 이 세 가지 증상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을 가지고 있을 때 알러지 비염을 의심할 수 있다. 특징적인 증상 외에도 코 주위 가려움, 두통, 후각 감퇴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합병증으로 중이염, 부비동염, 인후두염 등이 동반될 수 있다.
현재,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은 스테로이드 제제, 항히스타민제, 기관지 확장제 또는 항생제 등이 있다. 스테로이드 제제와 항생제의 경우, 면역반응 및 염증반응 억제를 통하여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기관지 확장제의 경우, 호흡곤란 등의 임상증상 발현 시에 이를 상쇄시킴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면역억압, 골수생성억제 등의 부작용을 비롯한 항생제 내성, 그리고 장기사용시 부작용이 발견되어 치료제로서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들을 극복하고 독성이 적으며, 치료 효과가 탁월한 천연물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조협(Gleditsiae Fructus)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Miquel var. koraiensis Nakai)의 열매를 말린 것으로, 납작하고 약간 구부러졌으며 길이 10~25cm, 너비 20~35mm, 두께 8~14mm이다. 바깥면은 평탄하지 않고 적갈색에서 자적색으로 회백색의 가루가 덮혀 있으며, 닦으면 광택이 나고 양끝은 뾰족하다. 질은 단단하며 흔들면 소리가 나고 3~6개의 황갈색을 띠는 씨가 들어 있다. 열매를 조협이라 하여 가을에 여문 열매를 따서 말린다. 씨를 조협자 또는 아조자라 하여 여문 씨를 증기에 쪄서 말린다. 어린줄기, 잎, 열매, 씨에 함유된 알칼로이드인 트리아칸틴(triacanthine)은 진경, 혈관확장, 호흡중추의 흥분작용, 혈압강하 작용을 한다.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808615호에 '해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7-0000491호에 '곰보배추 추출물, 느릅나무 추출물, 노나무 추출물 및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비염 예방 및 코막힘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조협 추출물이 비염 유발에 의해 증가된 비강 세척액 내 호산구, 대식세포 및 림프구와 같은 면역세포의 침윤을 억제시키고, 혈청 내 IgE, 히스타민 및 IL-13의 함량을 감소시키며, 재채기 및 코 긁기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조협 추출물은 비염 유발에 의해 증가된 비강 세척액 내 호산구, 대식세포 및 림프구와 같은 면역세포의 침윤을 억제시키고, 혈청 내 IgE, 히스타민 및 IL-13의 함량을 감소시키며, 재채기 및 코 긁기 증상을 호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오브알부민(OVA, Ovalbumin) 처리를 통해 알러지성 비염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 투여에 따른 알러지성 비염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동물실험 방법 모식도이다.
도 2는 알러지성 비염 유도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JW146)의 투여에 따른 재채기(A) 및 코 긁기(B) 증상의 감소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NC는 정상군이고, AR은 오브알부민(OVA, Ovalbumin)을 처리한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이며, JW146은 300mg/kg의 조협 추출물 투여군이고, DEX는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투여군이다. ###는 정상군 대비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의 재채기 및 코 긁기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는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 대비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 투여군(JW146) 및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투여군(DEX)의 재채기 및 코 긁기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도 3은 알러지성 비염 유도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JW146)의 투여에 따른 혈청 내 IgE 수치가 감소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NC는 정상군이고, AR은 오브알부민(OVA, Ovalbumin)을 처리한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이며, JW146은 300mg/kg의 조협 추출물 투여군이고, DEX는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투여군이다. ###는 정상군 대비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의 혈청 내 IgE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 및 ***는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 대비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 투여군(JW146) 및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투여군의 혈청 내 IgE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도 4는 알러지성 비염 유도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JW146)의 투여에 따른 혈청 내 히스타민 함량이 감소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NC는 정상군이고, AR은 오브알브민(OVA, Ovalbumin)을 처리한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이며, JW146은 300mg/kg의 조협 추출물 투여군이고, DEX는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투여군이다. ###는 정상군 대비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의 혈청 내 히스타민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 **는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 대비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 투여군(JW146) 및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투여군(DEX)의 혈청 내 히스타민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다.
도 5는 알러지성 비염 유도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JW146)의 투여에 따른 혈청 내 IL-13 함량이 감소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NC는 정상군이고, AR은 오브알브민(OVA, Ovalbumin)을 처리한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이며, JW146은 300mg/kg의 조협 추출물 투여군이고, DEX는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투여군이다. ###는 정상군 대비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의 혈청 내 IL-13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 및 ***는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 대비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 투여군(JW146) 및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투여군의 혈청 내 IL-13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도 6은 알러지성 비염 유도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JW146)의 투여에 따른 비강 세척액 내 호중구(Neutrophils)(A), 호산구(Eosinophils)(B), 대식세포(Macrophages)(C), 림프구(Lymphocyte)(D) 및 총 세포(Total cells)(E) 수가 감소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NC는 정상군이고, AR은 오브알브민(OVA, Ovalbumin)을 처리한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이며, JW146은 300mg/kg의 조협 추출물 투여군이고, DEX는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투여군이다. ###는 정상군 대비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의 비강 세척액 내 호중구, 호산구, 대식세포, 림프구 및 총 세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 ** 및 ***는 알러지성 비염 유도군 대비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 투여군(JW146) 또는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투여군(DEX, Dexamethasone)의 비강 세척액 내 호중구, 호산구, 대식세포, 림프구 및 총 세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며, ***는 p<0.001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알러지성 비염 또는 알러지성 천식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알러지성 비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협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조협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조협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협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하는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체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 음료로 사용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또는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중량부 당 0.01~0.1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또는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은 알러지성 질환의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고, 각 제형에 있어서 의약외품은 다른 성분들을 기타 의약외품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 양은 사용 목적(억제 또는 완화)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증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실험동물
암컷 6주령의 SPF Balb/c 마우스(20g)는 샘타코(Samtako)사에서 공급받았다. 동물은 실험 당일까지 고형사료(항생제 무첨가, 삼양사료 Co.)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온도 22±2℃, 습도 55±15%, 12시간(light-dark cycle)의 환경에서 1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알러지성 비염 모델 및 시료 투여
1주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마우스에게 1주 간격으로 2mg의 수산화알루미늄 (Sigma-Aldrich) 및 50㎍의 오브알부민(OVA; ovoalbumin, Sigma-Aldrich)을 현탁한 200㎕의 PBS를 복강에 주입하여 총 3회(1, 7 및 14일) 감작시켰다(도 1). 첫 번째 오브알부민 복강투여 후 21일부터 27일까지 400㎍의 OVA를 2일 간격으로 총 4회 (Day 21, 23, 25, 27일) 비강 내 투여하였다. 마지막 비강 내 투여를 실시하고 1시간의 휴식기를 거치고 난 후 각 실험동물의 재채기(Sneezing) 및 코긁기(Rubbing) 횟수를 5분 동안 측정하였으며, 28일에 Alfaxan(Jurox Pty Ltd.)을 복강투여하여 마취시킨 후 복대정맥을 통하여 혈액을 채취하였고, 기관지 절개를 실시하여 총 10㎖의 PBS로 비강 세척을 실시하고 비강세척액을 수거하였다.
알러지성 비염 효능 평가에서 양성대조군 덱사메타손(Dexamethasone)과 조협 추출물(300mg/kg)을 OVA 투여 21일부터 27일까지 7일 동안 1일 1회 PBS에 녹여 10㎖/kg의 투여 부피로 경구투여 하였으며, 각 군당 7~10 마리씩 사용하였다.
3. 비강 세척액(Nasal lavage fluid, NLF) 분리 및 염증세포수 측정
각 실험동물의 비강세척액을 수거한 후 원심분리하여 비강 세척액 내 세포를 분리하고, 세포 카운터(Thermo Fisher)를 이용하여 총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염증세포의 감별을 위해 사이토스핀(Cytospin, Hanil사)으로 원심분리 후 Diff-Quik 염색(Sysmex)을 실시하고 현미경을 이용하여 400배 배율에서 각 시료당 4곳을 사진촬영하여 염증세포를 측정하였다. 확인된 염증세포의 비율을 총 세포수에 적용하여 비강 세척액 내 염증세포의 감별계수하였다.
4. 혈청 분석
후대정맥을 통하여 수득한 혈액은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 (3000rpm, 15분)하여 혈청을 얻었다. 혈청 내 OVA-specific IgE의 농도는 LBIS 마우스 IgE ELISA 키트(Fusifil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내 히스타민과 IL-13의 농도는 ELISA 키트(Histamine, Enzo, USA; IL-13, R&D Syste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 조직 병리 검사
비강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위해, 실험동물의 머리를 절제한 후 불필요한 조직구조체를 제거하고 중성완충포르말린에 1주일간 고정하였다. 머리뼈 조직의 탈회를 위해 0.1M EDTA 버퍼(BIOSOLUTION, Korea)에 2주간 고정하였으며, 이후 표준방법을 거쳐 파라핀 블럭을 제작하고, 마이크로톰(Microtome)을 이용하여 조직절편을 제조하였다. 비강조직 내 염증성 변화와 점액분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H&E(Hematoxylin & Eosin) 염색(Sigma-Aldrich) 및 PAS(Periodic-acid Schiff) 염색 (Sigma-Aldrich)을 실시하였고,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강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검경을 실시하였다.
6. 통계처리
모든 결과는 평균±표준편차(SD)로 계산하였고, 각 실험군 간의 비교는 GraphPa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으로 던컨의 다중 비교 테스트(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각 그룹 간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 조협 추출물의 제조
건조 조협(Gleditsia japonica) 1kg을 증류수 10L에 넣고 3시간 동안 100±2℃에서 환류추출(Heating mantle)하여 거름망 필터 후, 테스트 시브(Test Sieve 53㎛ No.270)로 2차 여과하여 조협 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를 동결 건조하였다. 동물 실험에서는 동결 건조된 추출물을 멸균정제수에 녹여 사용하였다. 세포 실험에서는 증류수로 녹인 조협 열수 추출물을 0.22㎕ 필터로 여과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알러지성 비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조협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임상적 증상 변화 확인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을 투여에 따른 알러지성 비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의 알러지 임상적 증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정상군(NC)에 비해 비염 유도군(AR)에서 재채기 및 코긁기 횟수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JW146) 투여군에서는 재채기 및 코들기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3. 알러지성 비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조협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혈청 내 IgE 수치 감소 확인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을 투여에 따른 알러지성 비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의 혈청 내 OVA-특이적 IgE 수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정상군(NC)에 비해 비염 유도군(AR)에서 IgE 수치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JW146) 투여군의 IgE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4 알러지성 비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조협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혈청 내 히스타민(histamine) 함량 감소 확인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을 투여에 따른 알러지성 비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의 혈청 내 히스타민 함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정상군(NC)에 비해 비염 유도군(AR)에서 히스타민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JW146) 투여군의 히스타민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5. 알러지성 비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조협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혈청 내 Th2 사이토카인인 IL-13 함량 감소 확인
알러지성 비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 조협 추출물을 투여한 후 혈청 내 Th2 사이토카인인 IL-13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정상군(NC)에 비해 비염 유도군(AR)에서 혈청 내 IL-13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JW146) 투여군에서 IL-13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6. 알러지성 비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조협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비강 세척액 내 염증세포 수 감소 확인
조협 추출물이 투여된 알러지성 비염 동물 모델의 비강 세척액 내 염증세포 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정상군(NC)에 비해 비염 유도군(AR)에서 비강 세척액(BALF, bronchial alveolar lavage fluid) 내 호중구(Neutrophils)를 비롯한 호산구(Eosinophils), 대식세포(Macrophages), 림프구(Lymphocyte) 및 총 세포(Total cells) 수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조협 추출물(JW146) 투여군은 염증세포 수가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laims (8)

  1.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은 알러지성 비염 또는 알러지성 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협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8.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KR1020220048934A 2022-04-20 2022-04-20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49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934A KR20230149562A (ko) 2022-04-20 2022-04-20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934A KR20230149562A (ko) 2022-04-20 2022-04-20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62A true KR20230149562A (ko) 2023-10-27

Family

ID=8851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934A KR20230149562A (ko) 2022-04-20 2022-04-20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5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17231B (zh) 一种降尿酸、抗痛风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111451B2 (en)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964054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론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WO2022124803A1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6974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101160249B1 (ko) 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7822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337395B1 (ko) 알레르기성 비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000749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49562A (ko) 조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08104A (ko) 한인진 및 울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49563A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4264B1 (ko) 거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49568A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8595B1 (ko) 마치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7261B1 (ko) 고욤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4506B1 (ko) 지실 및 죽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3204363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117770A1 (ko) 유색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441302B1 (ko) 디아세틸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6927A (ko)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6926A (ko) 절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 및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