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538A - 소재 테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테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538A
KR20230149538A KR1020220048860A KR20220048860A KR20230149538A KR 20230149538 A KR20230149538 A KR 20230149538A KR 1020220048860 A KR1020220048860 A KR 1020220048860A KR 20220048860 A KR20220048860 A KR 20220048860A KR 20230149538 A KR20230149538 A KR 20230149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otating
rotating part
outer periphery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형
Original Assignee
김선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형 filed Critical 김선형
Priority to KR102022004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538A/ko
Publication of KR2023014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1/00Methods, apparatus, or devices for covering or wrapping cores by wind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H81/06Covering or wrapping elongated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잡하게 절곡된 소재의 테이핑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프가 회전부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테이프의 크기와 상관 없이 회전부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부가 소재의 복잡하게 절곡된 지점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어, 복잡하게 절곡된 소재의 테이핑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재 테이핑 장치{Material Ta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재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부의 크기를 소형화 하도록 하여 복잡하게 절곡된 소재의 테이핑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자부품과 각종 센서에 의하여 전장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계통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각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케이블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은 손상 방지, 강성 확보, 소음 방지 등을 위하여 절연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테이핑되고 있다.
케이블을 테이핑하는 작업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테이프를 일일이 케이블에 감는 방법이 있다. 수작업으로 테이프를 케이블에 감는 방법은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별도의 테이핑 장치를 이용하여 테이프를 케이블에 자동으로 감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테이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케이블 테이핑 장치가 전선을 테이핑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케이블 테이핑 장치는 본체(2)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기판(3)과, 원통 형상의 축(4)과, 축(4)에 결합되는 드럼기어(5)와, 드럼기어(5)의 측면에 형성되는 테이프홀딩구(6)와, 드럼기어(5)에 서로 대향되도록 치합되는 풀리(8)가 형성된 기어(7,7')와, 풀리(88)에 타이밍벨트(9)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12)와, 전선(15)를 이송시키기 위한 전선이송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축(4)의 일측과 드럼기어(5)의 일측은 각각 절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각각 절개된 축(4)의 일측과 드럼기어(5)의 일측을 통하여 전선(15)을 넣은 후, 테이프홀딩구(6)에 테이프(14)를 홀딩시키고 전선이송장치에 전선(15)를 물린다. 그 후, 전선(15)의 테이핑을 시작할 부위에 테이프(14)의 단부를 붙이고 모터(12)를 구동시킨다. 이때 드럼기어(5)는 전선(15)을 중심으로 그 자리에서 회전하지만 전선이송수단에 의해 전선(15)이 이송되므로 테이프(14)는 일정한 간격으로 전선(15)에 감기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테이프(14)가 드럼기어(5)에 위치된 상태로 드럼기어(5)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복수 회 권취된 테이프의 두께에 따라 드럼기어(5)의 직경이 일정 크기로 커져야 한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전선(15)이 복잡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경우, 전선(15)의 절곡되는 지점에 두꺼운 테이프 또는 대형 드럼기어(5)가 충돌되는 간섭이 발생되므로, 복잡하게 형성된 전선의 테이핑 작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림기어(5)가 회전되면서 테이프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모터(12)는 드림기어(5)와 테이프를 함께 회전시켜야 한다. 그런데 테이프의 하중이 모터(12)의 회전력에 영향을 끼치므로, 테이프의 하중에 비례하여 용량이 큰 모터(12)를 사용해야 하고, 이는 전체 크기를 커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7934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부의 크기를 소형화 하도록 하여 복잡하게 절곡된 소재의 테이핑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전체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프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에 테이핑을 하기 위한 소재가 관통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상기 테이프의 단부가 상기 소재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홀은 상기 회전부를 따라 회전되고, 상기 삽입홀에 관통된 상기 테이프는 상기 삽입홀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소재의 둘레를 테이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점착면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각도에 비례하여 소재의 외주연에 감기게 되고, 상기 회전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비 점착면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 감기게 되고, 상기 회전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비 점착면이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 감기고,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점착면이 소재의 외주연에 감길 때,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 감긴 테이프의 비 점착면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점착면이 소재의 외주연에 감기는 길이만큼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서 슬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의 내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립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 위치되는 상기 슬립롤러의 외주연은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홀의 일측이 상기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의 타측을 향하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 일측에 가이드부가 장착되고,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테이프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경유하면서 진행방향이 변경된 상태로 상기 소재에 부착되고, 테이프가 상기 가이드부를 경유할 때, 테이프의 점착면은 상기 가이드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 일측에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비 점착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회전부로 전달되는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테이프가 회전부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테이프의 크기와 상관 없이 회전부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부가 소재의 복잡하게 절곡된 지점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어, 복잡하게 절곡된 소재의 테이핑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부와 테이프는 상호 이격되므로, 테이프의 하중이 회전부로 전달되지 않아,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제 1 모터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제품의 전체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부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립롤러가 구비되므로, 회전부의 외주연에 감긴 테이프의 제 1 비 점착면은 슬립롤러에 맞닿은 상태로 슬립롤러를 회전시키게 되어, 회전부의 외주연에 감긴 제 1 비 점착면은 회전부의 외주연에서 용이하게 슬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이프가 소재에 테이핑되는 과정에서 테이프의 제 2 점착면에 도포된 점착물질이 가이드축에 들러붙지 않으므로, 테이프의 제 2 점착면의 점착성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테이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케이블 테이핑 장치가 전선을 테이핑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의 회전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의 회전부에 위치된 소재에 테이프의 단부가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가 테이프를 소재에 테이핑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는 소재를 자동으로 테이핑 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0), 이송수단(미도시), 결합부(200), 회전부(300), 회전수단(400), 가이드부(500) 및 장력조절부(600)를 포함한다. 소재는 케이블, 전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대략 넓은 면적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된다. 이송수단(미도시)은 로봇팔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연결되어 소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적절하게 이송시킨다. 또는 이송수단(미도시)은 소재에 연결되어 소재를 적절하게 이송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결합부(20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위치되며 예를 들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200)에 테이프(T)가 결합된다. 테이프(T)는 결합부(200)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 회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200)의 일측에 방향전환롤러(210)가 장착된다. 결합부(200)에 권취된 테이프(T)는 방향전환롤러(210)를 경유하면서 하방으로 안내된다. 즉, 결합부(200)에 권취된 테이프(T)의 단부는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결합부(200)에서 권출된 테이프(T)의 단부가 방향전환롤러(210)를 경유하며 하방으로 안내되는 것이다.
회전부(300)는 결합부(200)와 이격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측에 배치된다. 회전부(300)는 원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부(300)의 외주연 양측에 제 1 플랜지(302) 및 제 2 플랜지(30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부(300)의 외주연 중앙의 일측에 삽입홀(300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200)에서 권취된 테이프(T)가 삽입홀(300a)을 통하여 회전부(300)의 안쪽으로 삽입된다. 그러면 회전부(300)와 결합부(200)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1 점착면(T3)은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회전부(300)와 결합부(200)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1 비 점착면(T1)은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부(300)의 내부에 소재가 관통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측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소재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측 및 회전부(300)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부(300)의 내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립롤러(310)가 장착된다. 슬립롤러(310)는 회전부(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위치되는 슬립롤러(310)의 외주연은 회전부(300)의 외주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슬립롤러(310)는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감기는 테이프(T)가 용이하게 슬립, 즉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수단(400)은 회전부(300)를 회전시키는 것이고, 가이드부(500)는 삽입홀(300a)을 관통한 테이프(T)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은 도 5 및 도 6에서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장력조절부(600)는 회전부(300)와 결합부(200)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1 비 점착면(T1)에 접촉된 상태로 결합부(200)에서 회전부(300)로 전달되는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회전수단(400)과 회전부(300) 사이에 위치되는 조절본체(610) 및 조절본체(6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칙되는 조절롤러(620)를 포함한다. 조절본체(610)의 일측은 회전부(300)의 외주연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조절롤러(620)는 회전부(300)와 결합부(200)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1 비 점착면(T1)에 접촉된다. 그리고 조절롤러(620)가 제 1 비 점착면(T1)을 탄성 가압하는 압력 또는 조절롤러(620)의 마찰력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제 1 비 점착면(T1)이 삽입홀(300a)로 이동되는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이를 통하여 회전부(300)로 전달되는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의 회전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회전수단(400)은 회전부(300)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1 회전풀리(404)와, 제 1 회전풀리(404)를 회전시키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 1 모터(402)와, 회전부(300)의 플랜지(302)와 제 1 회전풀리(404)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회전기어(406)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기어(406)의 일측과 플랜지(302)는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되고, 회전기어(406)의 타측과 제 1 회전풀리(404)는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모터(402)가 회전됨에 따라 제 1 회전풀리(404)가 회전기어(406)를 회전시키고, 회전기어(406)는 플랜지(302)를 회전시켜서 회전부(300)가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회전부(300)와 테이프(T)는 상호 이격되므로, 테이프(T)의 하중이 회전부(300)로 전달되지 않아, 회전부(300)를 회전시키는 제 1 모터(402)는 소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모터(402)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전체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회전수단(410)은 회전부(300)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회전풀리(414)와, 제 2 회전풀리(414)를 회전시키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 2 모터(412)와, 회전부(300)의 플랜지(302)와 제 2 회전풀리(414) 사이를 연결시키는 회전밸트(4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모터(412)가 회전됨에 따라 제 2 회전풀리(414)가 회전밸트(414)를 회전시키고, 회전밸트(414)는 플랜지(302)를 회전시켜서 회전부(300)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의 회전부에 위치된 소재에 테이프의 단부가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500)는 삽입홀(300a)의 일측이 결합부(200)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삽입홀(300a)의 타측을 향하는 회전부(300)의 내주연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이드축(510) 및 연결부(520)를 포함한다.
가이드축(510)은 회전부(300)의 내주연 일측에 회전부(300)의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며 롤러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부(52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회전부(300)의 내주연에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축(510)의 양측에 연결된다. 이때, 가이드축(510)은 연결부(52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삽입홀(300a)을 관통한 테이프(T)의 단부는 가이드축(510)을 경유하면서 진행방향이 변경된 상태로 소재에 부착된다. 그리고 테이프(T)가 가이드부(500)를 경유할 때, 회전부(300)와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2 비 점착면(T2)은 가이드부(500)와 맞닿도록 위치되고, 회전부(300)와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2 점착면(T4)은 가이드부(500)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즉, 제 2 비 점착면(T2)이 가이드축(510)의 외주연에 접촉된 상태로 소재 방향으로 안내되고, 제 2 점착면(T4)은 가이드축(510)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소재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처럼 제 2 점착면(T4)이 가이드축(510)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테이프(T)가 소재에 테이핑되는 과정에서 제 2 점착면(T4)에 도포된 점착물질이 가이드축(510)에 들러붙지 않아, 제 2 점착면(T4)의 점착성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테이핑 장치가 테이프를 소재에 테이핑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도 8의 (a)와 같이, 삽입홀(300a)을 관통한 테이프(T)의 제 2 점착면(T4)의 단부가 소재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수단(400)이 회전부(30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8의 (b)와 같이 회전부(300)가 회전되어, 회전부(300)와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2 점착면(T4)은 회전부(300)가 회전되는 각도에 비례하여 소재의 외주연에 감기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300)와 결합부(200)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1 비 점착면(T1)은 회전부(300)가 회전되는 각도에 비례하여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감기게 된다.
이처럼 회전부(300)와 결합부(200)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1 비 점착면(T1)이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감기고, 회전부(300)와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2 점착면(T4)이 소재의 외주연에 감길 때,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감긴 테이프(T)의 제 1 비 점착면(T1)은 회전부(300)와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T)의 제 2 점착면(T4)이 소재의 외주연에 감기는 길이만큼 회전부(300)의 외주연에서 슬립, 즉 미끄러지게 된다.
즉, 회전부(300)가 회전되면, 삽입홀(300a)이 회전부(300)의 원주를 따라 이동되는 길이만큼 테이프(T)의 제 1 비 점착면(T1)이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접촉됨과 동시에, 테이프(T)의 제 2 점착면(T4)이 소재의 외주연에 접촉되므로, 테이프(T)의 제 2 점착면(T4)이 소재의 외주연에 접촉되는 길이만큼 제 1 비 점착면(T1)이 삽입홀(300a)로 삽입되어야 하므로,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감긴 제 1 비 점착면(T1)이 회전부(300)의 외주연에서 슬립되면서 삽입홀(300a)로 안내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부(300)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립롤러(310)가 구비되므로,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감긴 제 1 비 점착면(T1)은 슬립롤러(310)에 맞닿은 상태로 슬립롤러(310)를 회전시키게 되어,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감긴 제 1 비 점착면(T1)은 회전부(300)의 외주연에서 용이하게 슬립되는 효과가 있다.
이후, 도 8의 (c)와 같이 회전부(300)가 1 회전되면,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제 1 비 점착면(T1)이 1회 감기게 되며, 이후, 회전부(300)가 지속적으로 회전되면, 제 1 비 점착면(T1)은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복수 회 감기게 되고, 제 2 점착면(T4)은 소재의 외주연에 감기면서 테이핑 된다. 물론,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감긴 제 1 비 점착면(T1)은 제 2 점착면(T4)이 소재에 감기는 길이만큼 지속적으로 슬립된다.
이후, 결합부(200)에 권취된 테이프(T)가 모두 권출되어, 결합부(200)에서 더 이상 회전부(300)로 테이프(T)를 제공할 수 없게 되면, 회전부(300)의 외주연에 감겨진 제 1 비 점착면(T1)이 삽입홀(300a)로 삽입되어 테이프(T)가 소재에 계속해서 감기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테이프(T)가 회전부(300)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테이프(T)의 크기와 상관 없이 회전부(300)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부(300)가 소재(T)의 복잡하게 절곡된 지점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어, 복잡하게 절곡된 소재(T)의 테이핑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베이스플레이트 200: 결합부
210: 방향전환롤러 300: 회전부
300a: 삽입홀 302: 플랜지
310: 슬립롤러 400: 회전수단
402: 제 1 모터 404: 제 1 회전풀리
406: 회전기어 410: 회전수단
412: 제 2 모터 414: 제 2 회전풀리
414: 회전밸트 500: 가이드부
510: 가이드축 520: 연결부
600: 장력조절부 610: 조절본체
620: 조절롤러
T: 테이프 T1: 제 1 비 점착면
T2: 제 2 비 점착면 T3: 제 1 점착면
T4: 제 2 점착면

Claims (6)

  1. 테이프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에 테이핑을 하기 위한 소재가 관통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상기 테이프의 단부가 상기 소재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홀은 상기 회전부를 따라 회전되고, 상기 삽입홀에 관통된 상기 테이프는 상기 삽입홀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소재의 둘레를 테이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점착면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각도에 비례하여 소재의 외주연에 감기게 되고, 상기 회전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비 점착면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 감기게 되고,
    상기 회전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비 점착면이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 감기고,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점착면이 소재의 외주연에 감길 때,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 감긴 테이프의 비 점착면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소재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점착면이 소재의 외주연에 감기는 길이만큼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서 슬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내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립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 위치되는 상기 슬립롤러의 외주연은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일측이 상기 결합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의 타측을 향하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 일측에 가이드부가 장착되고,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테이프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경유하면서 진행방향이 변경된 상태로 상기 소재에 부착되고,
    테이프가 상기 가이드부를 경유할 때, 테이프의 점착면은 상기 가이드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 일측에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의 비 점착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회전부로 전달되는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테이핑 장치.
KR1020220048860A 2022-04-20 2022-04-20 소재 테이핑 장치 KR20230149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60A KR20230149538A (ko) 2022-04-20 2022-04-20 소재 테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60A KR20230149538A (ko) 2022-04-20 2022-04-20 소재 테이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38A true KR20230149538A (ko) 2023-10-27

Family

ID=8851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860A KR20230149538A (ko) 2022-04-20 2022-04-20 소재 테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5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346B1 (ko) 1996-01-16 1999-05-15 신재학 전선 테이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346B1 (ko) 1996-01-16 1999-05-15 신재학 전선 테이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5787A (en) Taping machine for wire harness
KR20230149538A (ko) 소재 테이핑 장치
US4470248A (en) Arrangement for winding yarn, strip-material or the like from a supply roll onto a bunch of wires or the like fed through the center hole of the supply roll
JPH0326421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PT97087B (pt) Maquina para a trefilagem de arame rectilinea de anti-deslizamento com sincronizacao entre cabrestantes de extensao tangencial sucessivos
JP3137150B2 (ja) ケーブル巻取装置
KR0179346B1 (ko) 전선 테이핑장치
JPS6131022B2 (ko)
DK145149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t kabel med et ledende kappelag og et apparat til udfoerelse af fremgangsmaaden
JPS61287646A (ja) 長尺物のスプ−ル巻取り方法
KR102477952B1 (ko) 이송장치
JPS6094286A (ja) ウエハ搬送装置
JPH04250924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JP3309183B2 (ja) エンドレスベルト設備
JPH0523322Y2 (ko)
JP3329227B2 (ja) シート材料の搬送装置
JPS6130243A (ja) コイリング装置
JPH0556531A (ja) ケーブルの繰り出し装置
JPH0553688B2 (ko)
JP3354168B2 (ja) 管・ケーブル等の布設具及び管・ケーブル等の布設装置
KR100430877B1 (ko) 철근 콘크리트관 자동 회전장치
JPH0249266Y2 (ko)
JPH11144539A (ja) 線材へのテープ巻き付け装置
KR19980067330A (ko) 전선용 도체의 외주 가압장치
WO2002078027A1 (fr) Dispositif de formation d'electrode sur surface d'extremite de pieces electro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