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748A -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 - Google Patents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748A
KR20230148748A KR1020230043978A KR20230043978A KR20230148748A KR 20230148748 A KR20230148748 A KR 20230148748A KR 1020230043978 A KR1020230043978 A KR 1020230043978A KR 20230043978 A KR20230043978 A KR 20230043978A KR 20230148748 A KR20230148748 A KR 20230148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bustion
support
acoust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타 요시노
노리히코 모토야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74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283Attaching or cooling of fuel injecting means including supports for fuel injectors, stems, or l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34Feeding into different combustion z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having a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 F02C3/06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having a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the compressor comprising only axial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02C7/222Fuel flow conduits, e.g.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28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having fuel-air premix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34Feeding into different combustion zones
    • F23R3/346Feeding into different combustion zones for staged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50Combustion chambers comprising an annular flame tube within an annular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60Support structures; Attaching or moun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0014Reducing thermo-acoustic vibrations by passive means, e.g. by Helmholtz reson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ressure-Spray And Ultrasonic-Wave- Spray Burner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Pre-Mixing And Non-Premixing Gas Burner (AREA)

Abstract

[과제] 연소통과 연료 매니폴드의 내구성을 높인다.
[해결 수단] 연소기는 축선 주위에 통형상을 이루는 연소통과, 상기 연소통 내에, 축선에 대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서 2차 연료를 분사 가능한 2차 연료 노즐과, 상기 연소통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2차 연료를 일시적으로 모아둘 수 있는 연료 공간을 형성하는 연료 매니폴드와, 반경방향으로 상기 연소통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연료 매니폴드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축선에 대한 둘레방향으로 넓어져 있는 지지판과, 상기 연소통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연소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COMBUSTOR AND GAS TURBINE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에 관한 것이다.
가스 터빈은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로 연료를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를 생성하는 연소기와, 연소기로부터의 연소 가스로 구동하는 터빈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소기는,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통(또는 트랜지션 피스)과, 이 연소통 내에 연료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과, 연료 매니폴드를 갖는다. 연소기 축선 주위에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하의 설명의 형편상, 연소기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고, 이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양쪽 중 한쪽측을 기단측, 다른쪽측을 선단측으로 한다. 노즐로서는, 1차 연료 노즐과, 2차 연료 노즐을 갖는다. 1차 연료 노즐은 연소통의 기단측에 배치되고, 연소통 내에 선단측을 향해서 1차 연료를 분사한다. 2차 연료 노즐은 1차 연료 노즐보다 선단측의 위치에서 연소통에 장착되고, 연소통 내에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2차 연료를 분사한다. 연료 매니폴드는 연소기 축선에 대해서 환상의 공간이며, 2차 연료를 일시적으로 모아둘 수 있는 연료 공간을 형성한다. 이 연료 공간의 반경방향 내측의 가장자리는 연소통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매니폴드는 일부가 연소통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 2010-539438 호 공보
연소통의 온도는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고 있을 때, 극히 고온이다. 한편, 연료 매니폴드의 온도는 연소통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고 있을 때, 연료 공간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에 의존하고, 연소통만큼 고온이 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연소통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고 있을 때, 연소통의 온도와 연료 매니폴드의 온도의 온도차는 수백도 이상이 된다. 이 때문에, 연소통과 연료 매니폴드의 접속 부분에는, 극히 높은 응력이 발생하여, 연소통이나 연료 매니폴드의 내구성이 낮아진다.
그래서, 본 개시는 연소통 및 연료 매니폴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으로서의 연소기는,
축선 주위에 통형상을 이루고, 내주측에서 연료가 연소 가능한 연소통과, 상기 연소통 내에, 상기 축선이 연장되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과 기단측 중, 상기 선단측에의 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을 향해서 1차 연료를 분사 가능한 1차 연료 노즐과, 상기 1차 연료 노즐보다 상기 선단측의 위치에서 상기 연소통에 장착되고, 상기 연소통 내에,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반경방향 내측과 반경방향 외측 중 상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서 2차 연료를 분사 가능한 2차 연료 노즐과, 상기 연소통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축선에 대해서 환상을 이루고, 상기 2차 연료를 일시적으로 모아둘 수 있고, 또한 상기 2차 연료 노즐과 연통하고 있는 연료 공간을 형성하는 연료 매니폴드와, 상기 반경방향으로 상기 연소통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연료 매니폴드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축선에 대한 둘레방향으로 넓어져 있는 지지판과, 상기 연소통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연소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를 갖는다. 상기 연료 매니폴드는 상기 지지판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어 있다.
연소통의 온도는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고 있을 때, 극히 고온이다. 한편, 연료 매니폴드의 온도는 연소통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고 있을 때, 연료 공간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에 의존하고, 연소통만큼 고온이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만일, 연소통의 외주면에 직접 연료 매니폴드를 접속하면, 연소통과 연료 매니폴드의 접속 부분에 극히 높은 응력이 발생한다.
본 태양에서는, 연소통과 연료 매니폴드 사이에 지지대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연소통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에 걸친 온도 구배는, 연소통의 외주면에 직접 연료 매니폴드를 접속했을 경우의 온도 구배보다 완만하게 된다. 또한, 본 태양의 지지대는 변형되기 쉬운 형상이다. 이 때문에, 본 태양에서는, 연소통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에 걸쳐서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서, 연소통 및 연료 매니폴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으로서의 가스 터빈은,
상기 일 태양으로서의 연소기와,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연소통 내에서의 연료의 연소에 이용되는 압축 공기를 생성 가능한 압축기와, 상기 연소통 내에서의 연료의 연소로 생성된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 가능한 터빈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서는, 연소통 및 연료 매니폴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의 연소기 주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의 연료 매니폴드 및 제 2 연료 노즐 주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의 연료 매니폴드 및 제 2 연료 노즐 주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의 연소기 주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의 연료 매니폴드 및 제 2 연료 노즐 주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Ⅸ-Ⅸ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연소기의 연료 매니폴드 및 제 2 연료 노즐 주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의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스 터빈의 실시형태
가스 터빈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10)은 외기(A)를 압축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 가능한 압축기(20)와, 연료(F)를 압축 공기 중에서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G)를 생성 가능한 복수의 연소기(40)와, 연소 가스(G)에 의해 구동 가능한 터빈(30)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20)는 로터 축선(Ar)을 중심으로서 회전하는 압축기 로터(21)와, 압축기 로터(21)를 덮는 압축기 케이싱(25)과, 복수의 정익렬(26)을 갖는다. 터빈(30)은 로터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터빈 로터(31)와, 터빈 로터(31)를 덮는 터빈 케이싱(35)과, 복수의 정익렬(36)을 갖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로터 축선(Ar)이 연장되는 방향을 로터 축선 방향(Da), 이 로터 축선 방향(Da)의 양쪽 중 한쪽측을 축선 상류측(Dau), 다른쪽측을 축선 하류측(Dad)으로 한다.
압축기(20)는 터빈(30)에 대해서 축선 상류측(Dau)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 로터(21)와 터빈 로터(31)는 동일 로터 축선(Ar) 상에 위치하고, 서로 접속되어서 가스 터빈 로터(11)를 이룬다. 이 가스 터빈 로터(11)에는, 예를 들면, 발전기(GEN)의 로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스 터빈(10)은 압축기 케이싱(25)과 터빈 케이싱(35)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케이싱(1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간 케이싱(14) 내에는, 압축기(20)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유입한다. 복수의 연소기(40)는 로터 축선(Ar)에 대한 둘레방향으로 나열되고, 중간 케이싱(14)에 장착되어 있다. 압축기 케이싱(25)과 중간 케이싱(14)과 터빈 케이싱(35)은 서로 접속되어서 가스 터빈 케이싱(15)을 이룬다.
압축기 로터(21)는 로터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로터 축선 방향(Da)으로 연장되는 로터축(22)과, 이 로터축(22)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렬(23)을 갖는다. 복수의 동익렬(23)은 로터 축선 방향(Da)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동익렬(23)은 모두 로터 축선(Ar)에 대한 둘레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동익렬(23)의 각 축선 하류측(Dad)에는, 복수의 정익렬(26) 중 어느 하나의 정익렬(26)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정익렬(26)은 압축기 케이싱(25)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각 정익렬(26)은 모두 로터 축선(Ar)에 대한 둘레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정익으로 구성되어 있다.
터빈 로터(31)는 로터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로터 축선 방향(Da)으로 연장되는 로터축(32)과, 이 로터축(32)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렬(33)을 갖는다. 복수의 동익렬(33)은 로터 축선 방향(Da)에 나열되어 있다. 각 동익렬(33)은 모두 로터 축선(Ar)에 대한 둘레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동익렬(33)의 각 축선 상류측(Dau)에는, 복수의 정익렬(36) 중 어느 하나의 정익렬(36)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정익렬(36)은 터빈 케이싱(35)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각 정익렬(36)은 모두 로터 축선(Ar)에 대한 둘레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정익으로 구성되어 있다. 터빈 케이싱(35)의 내주측과 로터축(32)의 외주측 사이의 환상의 공간 중에서, 복수의 정익렬(36) 및 복수의 동익렬(33)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은 연소기(40)로부터의 연소 가스(G)가 흐르는 연소 가스 유로(39)를 형성한다.
연소기(40)에는, 연료 라인(46)이 접속되어 있다. 연소기(40)는 연료 라인(46)으로부터의 연료(F)를, 압축기(20)로부터의 압축 공기 중에서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G)를 생성 가능하다.
연소기의 제 1 실시형태
연소기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40)는 플랜지(41)와, 내통(43)과, 연소통(또는 미통)(44)과, 복수의 1차 연료 배관(47)과, 복수의 1차 연료 노즐(48)과, 2차 연료 배관(51)과, 분기 2차 연료 배관(52)과, 복수의 2차 연료 노즐(53)과, 연료 매니폴드(55)와, 복수의 지지대(57)를 구비한다.
플랜지(41)는 연소기 축선(Ac)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넓어져 있다. 내통(43) 및 연소통(44)은 모두 중간 케이싱(14)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통(43) 및 연소통(44)은 모두 소기 축선(Ac) 주위에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하의 설명의 형편 상, 연소기 축선(이하, 간단히 축선으로 함)(Ac)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선 방향(Dc)으로 한다. 이 축선 방향(Dc)의 양측 중 한쪽측을 선단측(Dct), 다른쪽측을 기단측(Dcb)으로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단측(Dct)은 로터 축선 방향(Da)에 있어서 축선 하류측(Dad)이며, 기단측(Dcb)은 로터 축선 방향(Da)에 대해 축선 상류측(Dau)이다. 또한, 축선(Ac)은 선단측(Dct)을 향함에 따라 로터 축선(Ar)에 가까워지도록, 로터 축선(Ar)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축선(Ac)에 대한 둘레방향을 간단히 둘레방향(Dcc)으로 한다. 또한, 축선(Ac)에 대한 반경방향을 간단히 반경방향(Dr)으로 한다. 이 반경방향(Dr)으로 축선(Ac)에 가까워지는 측을 반경방향 내측(Dri), 이 반경방향 내측(Dri)과는 반대측을 반경방향 외측(Dro)으로 한다.
중간 케이싱(14)에는, 이 중간 케이싱(14) 외부로부터 중간 케이싱(14) 내에 관통하는 연소기 장착 구멍(14h)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41)는 이 연소기 장착 구멍(14h)을 폐색하도록, 중간 케이싱(14)에 볼트(42)로 장착되어 있다. 내통(43)은 플랜지(41)에 장착되어 있다. 이 내통(43)의 내주측에 복수의 1차 연료 노즐(48)이 배치되어 있다. 연소통(44)은 내통(43)의 선단측(Dct)의 부분에, 시일 부재 등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연소통(44)은 중간 케이싱(14)의 내면에 고정된 통 서포트(45) 등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1차 연료 노즐(48)은 모두 축선 방향(Dc)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료를 분사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1차 연료 노즐(48)은 모두 선단측(Dct)에의 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을 향해 1차 연료를 분사 가능하다. 복수의 1차 연료 노즐(48)은 모두 플랜지(41)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1차 연료 노즐(48) 중 하나의 노즐이 파일럿 노즐(48p)이며, 다른 복수의 노즐이 메인 노즐(48m)이다. 파일럿 노즐(48p)은 축선(Ac)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메인 노즐(48m)은 파일럿 노즐(48p)의 주위에서, 둘레방향(Dcc)으로 나열되어 있다.
복수의 1차 연료 배관(47)은 모두 연료 라인(46)으로부터 분기한 배관으로, 플랜지(41)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1차 연료 배관(47) 중 하나의 연료 배관이 파일럿 연료 배관(47p)이며, 다른 복수의 연료 배관이 메인 연료 배관(47m)이다. 파일럿 연료 배관(47p)은 파일럿 노즐(48p)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메인 연료 배관(47m)은 각각 복수의 메인 노즐(48m) 중 어느 하나의 메인 노즐(48m)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2차 연료 노즐(53)은 복수의 1차 연료 노즐(48)보다 선단측(Dct)의 위치에서, 둘레방향(Dcc)으로 나열되어 연소통(44)에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2차 연료 노즐(53)은 모두 연소통(44) 내에 반경방향 내측(Dri)을 향해 2차 연료를 분사 가능하다.
연료 매니폴드(55)는 연소통(44)의 외주측이며, 1차 연료 노즐(48)보다 선단측(Dct)이며 2차 연료 노즐(53)보다 기단측(Dcb)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매니폴드(55)는 축선(Ac)에 대해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료 매니폴드(55)는 축선(Ac)에 대해서 환상을 이루고, 2차 연료를 일시적으로 모아둘 수 있는 연료 공간(56)을 형성한다. 전술한 2차 연료 배관(51)은 이 연료 매니폴드(55)에 접속되어 있다. 이 2차 연료 배관(51)도, 연료 라인(46)으로부터 분기한 배관으로, 플랜지(41)에 고정되어 있다. 연료 매니폴드(55)와 복수의 2차 연료 노즐(53)은 복수의 분기 2차 연료 배관(52)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매니폴드(55)는 연료 공간(56) 내의 2차 연료를 복수의 2차 연료 노즐(53)에 공급 가능하게, 복수의 분기 2차 연료 배관(52)을 거쳐서, 복수의 2차 연료 노즐(53)과 연통하여 있다.
복수의 지지대(5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Dr)으로 연소통(44)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연료 매니폴드(55)를 지지한다. 복수의 지지대(57)는 둘레방향(Dcc)으로 나열되어 있다. 지지대(57)는 연소통(44)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Dro)으로 이격되고, 둘레방향(Dcc)으로 넓어져 있는 지지판(58)과, 연소통(44)에 장착되고, 지지판(58)과 연소통(4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판(58)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부(59)를 갖는다. 복수의 지지 다리부(59)는 모두 둘레방향(Dcc)으로 연장되어 있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복수의 지지 다리부(59) 중 일부의 지지 다리부(59)는 지지판(58)의 기단측(Dcb)의 가장자리에 접속되고, 나머지의 일부의 지지 다리부(59)는 지지판(58)의 선단측(Dct)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일부의 지지 다리부(59)와 나머지의 일부의 지지 다리부(59)는 축선 방향(Dc)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있다. 따라서, 지지판(58)과 연소통(44)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의 연료 매니폴드(55)의 일부는 복수의 지지대(57)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57)의 지지판(58)에 용접 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연소통(44)의 온도는,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고 있을 때, 극히 고온이다. 한편, 연료 매니폴드(55)의 온도는, 연소통(44)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고 있을 때, 연료 공간(56)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에 의존하고, 연소통(44)만큼 고온이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만일, 연소통(44)의 외주면에 직접 연료 매니폴드(55)를 접속하면, 연소통(44)과 연료 매니폴드(55)의 접속 부분에 극히 높은 응력이 발생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통(44)과 연료 매니폴드(55) 사이에 지지대(57)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에 걸친 온도 구배는 연소통(44)의 외주면에 직접 연료 매니폴드(55)를 접속했을 경우의 온도 구배보다 완만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지지대(57)는 변형하기 쉬운 형상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에 걸쳐서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연소통(44) 및 연료 매니폴드(55)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연소기의 제 2 실시형태
연소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는,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40)와 마찬가지로, 플랜지(41)와, 내통(43)과, 연소통(44)과, 복수의 1차 연료 배관(47)과, 복수의 1차 연료 노즐(48)과, 2차 연료 배관(51)과, 분기 2차 연료 배관(52)과, 복수의 2차 연료 노즐(53)과, 연료 매니폴드(55a)를 구비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40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향 감쇠기(60)를 구비한다.
이 음향 감쇠기(60)는 연소통(44)을 형성하는 판의 일부와 공동하여 연소통(44)의 외주측에 음향 공간(62)을 형성하는 음향 커버(61)를 갖는다. 이 음향 공간(62)의 일부를 획정하는, 연소통(44)을 형성하는 판의 일부에는, 연소통(44) 내와 음향 공간(62)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음향 커버(61)는 연소통(44)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Dro)으로 이격되어 있는 천장판(65)과, 천장판(65)과 연소통(44)을 접속하고 있는 한쌍의 측주판(66)을 갖는다. 천장판(65)은 연소통(44)의 외면과 대향하고, 축선(Ac) 주위에 환상을 이루고 있다. 한쌍의 측주판(66)은 축선(Ac) 주위에 환상을 이루고, 축선 방향(Dc)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쌍의 측주판(66) 중 한쪽의 측주판(66)은 천장판(65)의 기단측(Dcb)의 가장자리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측주판(66)은 천장판(65)의 선단측(Dct)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연료 매니폴드(55a)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연료 공간(56a) 내의 2차 연료를 복수의 2차 연료 노즐(53)에 공급 가능하게, 복수의 분기 2차 연료 배관(52)을 거쳐서, 복수의 2차 연료 노즐(53)과 연통하여 있다.
연료 매니폴드(55a)는 이상에서 설명한 음향 커버(61)의 반경방향 외측(Dro)에 배치되고, 이 음향 커버(61)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향 커버(61)는, 연료 매니폴드(55a)에 대한 지지대(57a)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커버(61)의 천장판(65)이 지지대(57a)의 지지판(58a)을 구성하고, 음향 커버(61)의 한쌍의 측주판(66)이 지지대(57a)의 지지 다리부(59a)를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음향 커버(61)가 지지대(57a)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a)에 걸쳐서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서, 연소통(44) 및 연료 매니폴드(55a)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 커버(61)가 지지대(57a)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별도, 지지대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연소기(40a)의 구성부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매니폴드(55a)의 일부가 이 음향 커버(61)의 천장판(65)의 일부를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향 커버(61)의 반경방향 외측(Dro)에 연료 매니폴드(55a)에 마련되는 경우에, 이 음향 커버(61) 및 연료 매니폴드(55a)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연소기의 제 3 실시형태
연소기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40b)는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40, 40a)와 마찬가지로, 플랜지(41)와, 내통(43)과, 연소통(44)과, 복수의 1차 연료 배관(47)과, 복수의 1차 연료 노즐(48)과, 2차 연료 배관(51)과, 분기 2차 연료 배관(52)과, 복수의 2차 연료 노즐(53)과, 연료 매니폴드(55b)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40b)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40a)와 마찬가지로, 음향 감쇠기(60A)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향 감쇠기(60A)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음향 감쇠기(60Aa)와, 제 1 음향 감쇠기(60Aa)의 반경방향 외측(Dro)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음향 감쇠기(60Ab)를 갖는다. 제 1 음향 감쇠기(60Aa)는 헬름홀츠 공명의 원리를 이용하여 소음을 억제하는 공명기에서, 음향 라이너로 불리는 일이 있다. 한편, 제 2 음향 감쇠기(60Ab)는 기주 공명의 원리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 범위의 소음을 억제하는 공명기에서, 음향 댐퍼로 불리는 일이 있다.
제 1 음향 감쇠기(60Aa)는 연소통(44)을 형성하는 판의 일부와 공동하여 연소통(44)의 외주측에 제 1 음향 공간(62a)을 형성하는 제 1 음향 커버(61a)를 갖는다. 제 1 음향 공간(62a)의 일부를 획정하는, 연소통(44)을 형성하는 판의 일부에는, 연소통(44) 내와 제 1 음향 공간(62a)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음향 커버(61a)는 연소통(44)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Dro)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천장판(65a)과, 제 1 천장판(65a)과 연소통(44)을 접속하여 있는 한쌍의 제 1 측주판(66a)을 갖는다. 제 1 천장판(65a)은 연소통(44)의 외면과 대향하고, 축선(Ac) 주위에 환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제 1 천장판(65a)은 제 1 음향 공간(62a)의 반경방향 외측(Dro)의 가장자리를 획정한다. 한쌍의 제 1 측주판(66a)은 축선(Ac) 주위에 환상을 이루고, 축선 방향(Dc)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있다. 한쌍의 제 1 측주판(66a) 중 기단측(Dcb)의 제 1 기단 측주판(66ab)은 제 1 천장판(65a)의 기단측(Dcb)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제 1 측주판(66a) 중 선단측(Dct)의 제 1 선단 측주판(66at)은 제 1 천장판(65a)의 선단측(Dct)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음향 감쇠기(60Ab)는 제 1 천장판(65a)의 일부와 공동하여 제 1 음향 커버(61a)의 반경방향 외측(Dro)에 제 2 음향 공간(62b)을 형성하는 제 2 음향 커버(61b)를 갖는다. 제 2 음향 공간(62b)을 획정하는, 제 1 천장판(65a)의 일부에는, 제 1 음향 공간(62a)과 제 2 음향 공간(62b)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음향 커버(61b)는 제 1 천장판(65a)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Dro)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 2 천장판(65b)과, 제 2 천장판(65b)과 제 1 천장판(65a)을 접속하고 있는 한쌍의 제 2 측주판(66b)을 갖는다. 제 2 천장판(65b)은 제 1 천장판(65a)과 대향하고, 축선(Ac) 주위에 환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제 2 천장판(65b)은 제 2 음향 공간(62b)의 반경방향 외측(Dro)의 가장자리를 획정한다. 한쌍의 제 2 측주판(66b)은 축선(Ac) 주위에 환상을 이루고, 축선 방향(Dc)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있다. 한쌍의 제 2 측주판(66b) 중 기단측(Dcb)의 제 2 기단 측주판(66bb)은 제 2 천장판(65b)의 기단측(Dcb)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제 2 측주판(66b) 중 선단측(Dct)의 제 2 선단 측주판(66bt)은 제 2 천장판(65b)의 선단측(Dct)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연료 매니폴드(55b)는, 연료 공간(56b)이 제 1 천장판(65a)보다 반경방향 외측(Dro)으로 제 2 선단 측주판(66bt)보다 선단측(Dct)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소통(44)의 외주면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b)의 반경방향 외측(Dro)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d1)는, 연소통(44)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2 천장판(65b)의 반경방향 외측(Dro)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d2) 이하이다. 연소기(40b)의 연소통(44)을 포함한 부분은 중간 케이싱(14)에의 조립 시에, 이 중간 케이싱(14)의 연소기 장착 구멍(14h)으로부터 중간 케이싱(14) 내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이 삽입 부분에 있어서의 축선(Ac)에 대한 수직인 단면의 사이즈가, 연소기 장착 구멍(14h)의 사이즈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그래서, 연소통(44)의 외주면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b)의 반경방향 외측(Dro)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d1)를 이상과 같이 제한하여, 연소기(40b)의 중간 케이싱(14)에의 조립성을 확보하고 있다.
연료 매니폴드(55b)는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음향 커버(61a)의 반경방향 외측(Dro)에 배치되고, 이 제 1 음향 커버(61a)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음향 커버(61a)는 연료 매니폴드(55b)에 대한 지지대(57b)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음향 커버(61a)의 제 1 천장판(65a)이 지지대(57b)의 지지판(58b)을 구성하고, 제 1 음향 커버(61a)의 한쌍의 제 1 측주판(66a)이 지지대(57b)의 지지 다리부(59b)를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음향 커버(61a)가 지지대(57b)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이상의 각 실시형태와 같이,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b)에 걸쳐서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서, 연소통(44) 및 연료 매니폴드(55b)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음향 커버(61a)가 지지대(57b)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별도, 지지대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연소기(40b)의 구성부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매니폴드(55b)의 일부가 제 2 음향 커버(61b)의 제 2 선단 측주판(66bt)의 일부와 제 1 음향 커버(61a)의 제 1 천장판(65a)의 일부를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음향 커버(61a)의 반경방향 외측(Dro)이며 제 2 음향 커버(61b)의 선단측(Dct)에 연료 매니폴드(55b)에 마련하는 경우에, 제 1 음향 커버(61a), 제 2 음향 커버(61b) 및 연료 매니폴드(55b)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각종 변형예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40, 40a, 40b)에서는, 지지판(58), 또는 지지판으로서 기능하는 음향 커버(61, 61a)의 천장판(65, 65a)에, 직접,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가 접속되어 있다. 그렇지만, 도 10에 도시되는 연소기(40c)와 같이, 제 1 음향 커버(61a)의 제 1 천장판(65a)의 반경방향 외측(Dro)에 매니폴드 받침부(67)를 마련하고, 이 매니폴드 받침부(67)에 연료 매니폴드(55c)를 접속해도 좋다. 즉, 연료 매니폴드(55c)의 지지대(57c)는 지지판(58b)으로서의 제 1 음향 커버(61a)의 천장판(65a)과, 지지 다리부(59b)로서의 제 1 음향 커버(61a)의 측주판(66a)과, 매니폴드 받침부(67)로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매니폴드 받침부(67)를 마련함으로써,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c)에 걸친 온도 구배는 매니폴드 받침부(67)가 없는 경우의 온도 구배보다 완만하게 된다. 또한, 매니폴드 받침부(67)를 마련함으로써, 매니폴드 받침부(67)가 없는 경우보다, 지지대(57c)가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매니폴드 받침부(67)를 마련함으로써, 매니폴드 받침부(67)가 없는 경우보다,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c)에 걸쳐서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서, 연소통(44) 및 연료 매니폴드(55c)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변형예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대(57b)의 변형예이지만,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대(57),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대(57a)에 관해서도, 매니폴드 받침부(67)를 추가해도 좋다.
이상의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와 2차 연료 노즐(53)을 분기 2차 연료 배관(52)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렇지만, 2차 연료 노즐(53)에 대해서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가 접촉하도록,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를 배치할 수 있으면, 분기 2차 연료 배관(52)을 생략해도 좋다.
또한, 본 개시는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된 내용 및 그 균등물로부터 도출되는 본 발명의 개념적인 사상과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추가, 변경, 치환, 부분적 삭제 등이 가능하다.
부기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기(40, 40a, 40b, 40c)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제 1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 40a, 40b, 40c)는,
축선(Ac) 주위에 통형상을 이루고, 내주측에서 연료가 연소 가능한 연소통(44)과, 상기 연소통(44) 내에, 상기 축선(Ac)이 연장되는 축선 방향(Dc)에 있어서의 선단측(Dct)과 기단측(Dcb) 중 상기 선단측(Dct)에의 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을 향해 1차 연료를 분사 가능한 1차 연료 노즐(48)과, 상기 1차 연료 노즐(48)보다 상기 선단측(Dct)의 위치에서 상기 연소통(44)에 장착되고, 상기 연소통(44) 내에, 상기 축선(Ac)에 대한 반경방향(Dr)에 있어서의 반경방향 내측(Dri)과 반경방향 외측(Dro) 중 상기 반경방향 내측(Dri)을 향해 2차 연료를 분사 가능한 2차 연료 노즐(53)과, 상기 연소통(44)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축선(Ac)에 대해서 환상을 이루고, 상기 2차 연료를 일시적으로 모아둘 수 있고, 또한 상기 2차 연료 노즐(53)과 연통하여 있는 연료 공간(56, 56a, 56b)을 형성하는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와, 상기 반경방향(Dr)으로 상기 연소통(44)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를 지지하는 지지대(57, 57a, 57b, 57c)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57, 57a, 57b, 57c)는 상기 연소통(44)으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으로 이격되고, 상기 축선(Ac)에 대한 둘레방향(Dcc)으로 넓어져 있는 지지판(58, 58a, 58b)과, 상기 연소통(44)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58, 58a, 58b)과 상기 연소통(4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판(58, 58a, 58b)을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59, 59a, 59b)를 갖는다. 상기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는 상기 지지판(58, 58a, 58b)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대(57, 57a, 57b, 57c)에 지지되어 있다.
연소통(44)의 온도는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고 있을 때, 극히 고온이다. 한편,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의 온도는 연소통(44)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고 있을 때, 연료 공간(56, 56a, 56b)에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에 의존하고, 연소통(44)만큼 고온이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만일, 연소통(44)의 외주면에 직접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를 접속하면, 연소통(44)과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의 접속 부분에 극히 높은 응력이 발생한다.
본 태양에서는, 연소통(44)과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 사이에 지지대(57, 57a, 57b, 57c)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에 걸친 온도 구배는, 연소통(44)의 외주면에 직접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를 접속했을 경우의 온도 구배보다 완만하게 된다. 또한, 본 태양의 지지대(57, 57a, 57b, 57c)는 변형되기 쉬운 형상이다. 이 때문에, 본 태양에서는,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에 걸쳐서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서, 연소통(44) 및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2) 제 2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 40a, 40b, 40c)는,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 40a, 40b, 40c)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부(59, 59a, 59b)는 상기 지지판(58, 58a, 58b)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본 태양에서는, 상기 지지판(58, 58a, 58b)과 상기 연소통(4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 다리부(59, 59a, 59b)가 지지판(58, 58a, 58b)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태양에서는, 지지대(57, 57a, 57b, 57c)가 변형되기 쉽고,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에 걸쳐서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3) 제 3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c)는,
상기 제 1 태양 또는 상기 제 2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c)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7c)는 상기 지지판(58b)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에 마련되어 있는 매니폴드 받침부(67)를 갖는다. 상기 연료 매니폴드(55c)는 상기 매니폴드 받침부(67)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대(57c)가 매니폴드 받침부(67)를 가짐으로써,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c)에 걸친 온도 구배는, 매니폴드 받침부(67)가 없는 경우의 온도 구배보다 완만하게 된다. 또한, 지지대(57c)가 매니폴드 받침부(67)를 가짐으로써, 매니폴드 받침부(67)가 없는 경우보다, 지지대(57c)가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지지대(57c)가 매니폴드 받침부(67)를 가짐으로써, 매니폴드 받침부(67)가 없는 경우보다,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c)에 걸쳐서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서, 연소통(44) 및 연료 매니폴드(55c)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4) 제 4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 40a, 40b, 40c)는,
상기 제 1 태양 내지 상기 제 3 태양 중 어느 일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 40a, 40b, 40c)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간(56, 56a, 56b) 내의 상기 2차 연료를 상기 2차 연료 노즐(53)에 보낼 수 있도록, 상기 연료 매니폴드(55, 55a, 55b, 55c)와 상기 2차 연료 노즐(53)을 접속하는 분기 2차 연료 배관(52)을 구비한다.
(5) 제 5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a, 40b, 40c)는,
상기 제 1 형상 내지 상기 제 4 형상 중 어느 일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a, 40b, 40c)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44)의 외주측에 음향 공간(62, 62a)을 형성하는 음향 커버(61, 61a)를 갖는 음향 감쇠기(60, 60Aa)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57a, 57b, 57c)의 상기 지지판(58a, 58b) 및 상기 지지 다리부(59a, 59b)는 상기 음향 커버(61, 61a)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태양에서는, 지지대(57a, 57b, 57c)의 지지판(58a, 58b) 및 지지 다리부(59a, 59b)가 음향 커버(61, 61a)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형상과 같이,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a, 55b, 55c)에 걸쳐서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서, 연소통(44) 및 연료 매니폴드(55a, 55b, 55c)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태양에서는, 음향 커버(61, 61a)가 지지대(57a, 57b, 57c)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별도, 지지대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연소기(40a, 40b, 40c)의 구성부품을 줄일 수 있다.
(6) 제 6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b, 40c)는,
상기 제 5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b, 40c)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감쇠기(60A)는 제 1 음향 감쇠기(60Aa)와, 상기 제 1 음향 감쇠기(60Aa)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감쇠기(60Ab)를 갖는다. 상기 제 1 음향 감쇠기(60Aa)는 상기 연소통(44)을 형성하는 판의 일부와 공동하여 상기 연소통(44)의 외주측에 제 1 음향 공간(62a)을 형성하는 제 1 음향 커버(61a)를 갖는다. 상기 제 1 음향 커버(61a)는 상기 연소통(44)으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으로 멀어져서 상기 둘레방향(Dcc)으로 넓어져서 상기 제 1 음향 공간(62a)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1 천장판(65a)과, 상기 둘레방향(Dcc)으로 넓어져서 상기 제 1 천장판(65a)의 상기 축선 방향(Dc)의 단부와 상기 연소통(44)을 접속하여 상기 제 1 음향 공간(62a)의 상기 축선 방향(Dc)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1 측주판(66a)을 갖는다. 상기 지지대(57b, 57c)의 상기 지지판(58b)은 상기 제 1 천장판(65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57b, 57c)의 상기 지지 다리부(59b)는 상기 제 1 측주판(66a)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태양에서도, 제 5 태양과 마찬가지로, 지지대(57b, 57c)의 지지판(58b) 및 지지 다리부(59b)가 제 1 음향 커버(61a)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5 태양과 마찬가지로, 연소통(44)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b, 55c)에 걸쳐서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서, 연소통(44) 및 연료 매니폴드(55b, 55c)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7) 제 7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b)는,
상기 제 6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b)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향 감쇠기(60Ab)는 상기 제 1 천장판(65a)의 일부와 공동하여 상기 제 1 음향 커버(61a)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에 제 2 음향 공간(62b)을 형성하는 제 2 음향 커버(61b)를 갖는다. 상기 제 2 음향 커버(61b)는 상기 제 1 천장판(65a)으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으로 멀어져서 상기 둘레방향(Dcc)으로 넓어져서 상기 제 2 음향 공간(62b)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2 천장판(65b)과, 상기 둘레방향(Dcc)으로 넓어져서 상기 제 2 천장판(65b)의 상기 축선 방향(Dc)의 단부와 상기 제 1 천장판(65a)을 접속하여 상기 제 2 음향 공간(62b)의 상기 축선 방향(Dc)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2 측주판(66b)을 갖는다. 상기 연소통(44)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연료 매니폴드(55b)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d1)는 상기 연소통(44)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천장판(65b)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d2) 이하이다.
연소기(40b)의 연소통(44)을 포함한 부분은, 가스 터빈의 케이싱(14)에의 조립 시에, 이 케이싱(14)의 연소기 장착 구멍(14h)으로부터 케이싱(14) 내에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본 경우, 이 삽입 부분에 있어서의 축선(Ac)에 대한 수직인 단면의 사이즈가, 연소기 장착 구멍(14h)의 사이즈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그래서, 연소통(44)의 외주면으로부터 연료 매니폴드(55b)의 반경방향 외측(Dro)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d1)를 이상과 같이 제한하여, 연소기(40b)의 케이싱(14)에의 조립성을 확보한다.
(8) 제 8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b)는,
상기 제 7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b)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주판(66a)은 상기 제 1 천장판(65a)의 상기 선단측(Dct)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음향 공간(62a)의 상기 선단측(Dct)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1 선단 측주판(66at)을 갖는다. 상기 제 2 측주판(66b)은 상기 제 2 천장판(65b)의 상기 선단측(Dct)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음향 공간(62b)의 상기 선단측(Dct)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2 선단 측주판(66bt)을 갖는다. 상기 제 2 선단 측주판(66bt)은 상기 제 1 선단 측주판(66at)보다 상기 기단측(Dcb)에 위치한다. 상기 연료 공간(56b)이 상기 제 1 천장판(65a)보다 상기 반경방향 외측(Dro)에서 상기 제 2 선단 측주판(66bt)보다 상기 선단측(Dct)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료 매니폴드(55b)가 배치되어 있다.
본 태양에서는, 제 1 음향 커버(61a)의 제 1 천장판(65a)보다 반경방향 외측(Dro)으로, 또한 제 2 음향 커버(61b)의 제 2 선단 측주판(66bt)보다 선단측(Dct)의 공간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9) 제 9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b)는,
상기 제 8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b)에 있어서, 상기 연료 매니폴드(55b)의 일부는 상기 제 2 선단 측주판(66bt)의 일부와 상기 제 1 천장판(65a)의 일부를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본 태양에서는, 제 1 음향 커버(61a)의 반경방향 외측(Dro)이며 제 2 음향 커버(61b)의 선단측(Dct)에 연료 매니폴드(55b)에 마련하는 경우에, 제 1 음향 커버(61a), 제 2 음향 커버(61b) 및 연료 매니폴드(55b)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10)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0) 제 10 태양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10)은,
상기 제 1 태양 내지 상기 제 9 태양 중 어느 일 태양에 있어서의 연소기(40, 40a, 40b, 40c)와,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연소통(44) 내에서의 연료의 연소에 이용되는 압축 공기를 생성 가능한 압축기(20)와, 상기 연소통(44) 내에서의 연료의 연소로 생성된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 가능한 터빈(30)을 구비한다.
10: 가스 터빈 11: 가스 터빈 로터
14: 중간 케이싱 14h: 연소기 장착 구멍
15: 가스 터빈 케이싱 20: 압축기
21: 압축기 로터 22: 로터축
23: 동익렬 25: 압축기 케이싱
26: 정익렬 30: 터빈
31: 터빈 로터 32: 로터축
33: 동익렬 35: 터빈 케이싱
36: 정익렬 39: 연소 가스 유로
40, 40a, 40b, 40c: 연소기 41: 플랜지
42: 볼트 43: 내통
44: 연소통(또는 미통) 45: 통 서포트
46: 연료 라인 47: 1차 연료 배관
47p: 파일럿 연료 배관 47m: 메인 연료 배관
48: 1차 연료 노즐 48p: 파일럿 노즐
48m: 메인 노즐 51: 2차 연료 배관
52: 분기 2차 연료 배관 53: 2차 연료 노즐
55, 55a, 55b, 55c: 연료 매니폴드
56, 56a, 56b: 연료 공간 57, 57a, 57b, 57c: 지지대
58, 58a, 58b: 지지판 59, 59a, 59b: 지지 다리부
60, 60A: 음향 감쇠기 60Aa: 제 1 음향 감쇠기
60Ab: 제 2 음향 감쇠기 61: 음향 커버(지지대)
61a: 제 1 음향 커버(지지대) 61b: 제 2 음향 커버
62: 음향 공간 62a: 제 1 음향 공간
62b: 제 2 음향 공간 63, 64: 관통 구멍
65: 천장판(지지판) 65a: 제 1 천장판(지지판)
65b: 제 2 천장판 66: 측주판(지지 다리부)
66a: 제 1 측주판(지지 다리부) 66ab: 제 1 기단 측주판
66at: 제 1 선단 측주판 66b: 제 2 측주판
66bb: 제 2 기단 측주판 66bt: 제 2 선단 측주판
67: 매니폴드 받침부 A: 외기
F: 연료 G: 연소 가스
Ar: 로터 축선 Ac: 연소기 축선(또는 간단히 축선)
Da: 로터 축선 방향 Dau: 축선 상류측
Dad: 축선 하류측 Dc: 축선 방향
Dcb: 기단측 Dct: 선단측
Dcc: 둘레방향 Dr: 반경방향
Dri: 반경방향 내측 Dro: 반경방향 외측

Claims (10)

  1. 축선 주위에 통형상을 이루고, 내주측에서 연료가 연소 가능한 연소통과,
    상기 연소통 내에, 상기 축선이 연장되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과 기단측 중 상기 선단측에의 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을 향해 1차 연료를 분사 가능한 1차 연료 노즐과,
    상기 1차 연료 노즐보다 상기 선단측의 위치에서 상기 연소통에 장착되고, 상기 연소통 내에,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반경방향 내측과 반경방향 외측 중 상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2차 연료를 분사 가능한 2차 연료 노즐과,
    상기 연소통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축선에 대해서 환상을 이루고, 상기 2차 연료를 일시적으로 모아둘 수 있고, 또한 상기 2차 연료 노즐과 연통하여 있는 연료 공간을 형성하는 연료 매니폴드와,
    상기 반경방향으로 상기 연소통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연료 매니폴드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축선에 대한 둘레방향으로 넓어져 있는 지지판과, 상기 연소통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연소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를 갖고,
    상기 연료 매니폴드는 상기 지지판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는
    연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는
    연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판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매니폴드 받침부를 갖고,
    상기 연료 매니폴드는 상기 매니폴드 받침부에 접속되어 있는
    연소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간 내의 상기 2차 연료를 상기 2차 연료 노즐에 보낼 수 있도록, 상기 연료 매니폴드와 상기 2차 연료 노즐을 접속하는 분기 2차 연료 배관을 구비하는
    연소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의 외주측에 음향 공간을 형성하는 음향 커버를 갖는 음향 감쇠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음향 커버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연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감쇠기는 제 1 음향 감쇠기와, 상기 제 1 음향 감쇠기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감쇠기를 갖고,
    상기 제 1 음향 감쇠기는 상기 연소통을 형성하는 판의 일부와 공동하여 상기 연소통의 외주측에 제 1 음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음향 커버를 갖고,
    상기 제 1 음향 커버는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외측으로 멀어져서 상기 둘레방향으로 넓어져서 상기 제 1 음향 공간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1 천장판과, 상기 둘레방향으로 넓어져서 상기 제 1 천장판의 상기 축선 방향의 단부와 상기 연소통을 접속하여 상기 제 1 음향 공간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1 측주판을 갖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 1 천장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제 1 측주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연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향 감쇠기는 상기 제 1 천장판의 일부와 공동하여 상기 제 1 음향 커버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에 제 2 음향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음향 커버를 갖고,
    상기 제 2 음향 커버는 상기 제 1 천장판으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외측으로 멀어져서 상기 둘레방향으로 넓어져서 상기 제 2 음향 공간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2 천장판과, 상기 둘레방향으로 넓어져서 상기 제 2 천장판의 상기 축선 방향의 단부와 상기 제 1 천장판을 접속하여 상기 제 2 음향 공간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2 측주판을 갖고,
    상기 연소통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연료 매니폴드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상기 연소통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천장판의 상기 반경방향 외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이하인
    연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주판은 상기 제 1 천장판의 상기 선단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음향 공간의 상기 선단측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1 선단 측주판을 갖고,
    상기 제 2 측주판은 상기 제 2 천장판의 상기 선단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음향 공간의 상기 선단측의 가장자리를 획정하는 제 2 선단 측주판을 갖고,
    상기 제 2 선단 측주판은 상기 제 1 선단 측주판보다 상기 기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료 공간이 상기 제 1 천장판보다 상기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 2 선단 측주판보다 상기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료 매니폴드가 배치되어 있는
    연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매니폴드의 일부는 상기 제 2 선단 측주판의 일부와 상기 제 1 천장판의 일부를 갖고서 형성되어 있는
    연소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연소기와,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연소통 내에서의 연료의 연소에 이용되는 압축 공기를 생성 가능한 압축기와,
    상기 연소통 내에서의 연료의 연소로 생성된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 가능한 터빈을 구비하는
    가스 터빈.
KR1020230043978A 2022-04-18 2023-04-04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 KR202301487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68230 2022-04-18
JP2022068230A JP2023158415A (ja) 2022-04-18 2022-04-18 燃焼器、及びこれ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748A true KR20230148748A (ko) 2023-10-25

Family

ID=8830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978A KR20230148748A (ko) 2022-04-18 2023-04-04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92168B2 (ko)
JP (1) JP2023158415A (ko)
KR (1) KR20230148748A (ko)
CN (1) CN1169069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9438A (ja) 2007-09-14 2010-12-16 シーメンス エナ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次燃料供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7398B2 (en) 2007-09-14 2013-03-05 Siemens Ener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condary injection of fuel
US10132244B2 (en) * 2013-08-30 2018-11-2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uel manifold for a gas turbine engine
EP3060851B1 (en) * 2013-10-24 2019-11-2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ircumferentially and axially staged can combustor for gas turbine engine
EP3438540A1 (en) 2017-07-31 2019-02-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burner including an acoustic damp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9438A (ja) 2007-09-14 2010-12-16 シーメンス エナ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次燃料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58415A (ja) 2023-10-30
US20230332772A1 (en) 2023-10-19
CN116906932A (zh) 2023-10-20
US11892168B2 (en)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892B2 (en) Methods relating to integrating late lean injection into combustion turbine engines
US8484978B2 (en) Fuel nozzle assembly that exhibits a frequency different from a natural operating frequency of a gas turbine engin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5537170B2 (ja) ターボ機械における燃焼不安定性を抑制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215413B2 (en) Bundled tube fuel nozzle with vibration damping
JP2014181894A (ja) ガスタービンの燃焼モジュール用フロースリーブ
JP2011220673A (ja) 燃料ステージングによる燃焼器出口温度プロファイル制御及び関連方法
US10145561B2 (en) Fuel nozzle assembly with resonator
JP2005300145A (ja) 改良した内側固定フランジを有するターボ機械の環状燃焼室
US10221769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gas turbine combustor inner cap and extended resonating tubes
KR20170107382A (ko) 가스 터빈 유동 슬리브 장착
JP4441217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を作動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2204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turbine combustor inner cap and high frequency acoustic dampers
US2018015646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gas turbine combustor inner cap and resonating tubes
US20120055163A1 (en) Fuel injection assembly for use in turbine engines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20230148748A (ko)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
JP2013525737A (ja) バーナ装置及びこの種のバーナの振動減衰方法
US10584610B2 (en) Combustion dynamics mitigation system
US20170343216A1 (en) Fuel Nozzle Assembly with Tube Damping
JP7393262B2 (ja) 燃焼器、及びこれ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
US20220404020A1 (en) Combustor having fuel sweeping structures
US11840963B2 (en) Acoustic attenuator, tube assembly, combustor, gas turb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ube assembly
JP2018048630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流体導管用取り付けアセンブリ
JP2022013796A (ja) 燃焼器の空気流路
US11435080B1 (en) Combustor having fuel sweeping structures
US11629857B2 (en) Combustor having a wake energiz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