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566A - 서빙 트레이 - Google Patents

서빙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566A
KR20230148566A KR1020220047476A KR20220047476A KR20230148566A KR 20230148566 A KR20230148566 A KR 20230148566A KR 1020220047476 A KR1020220047476 A KR 1020220047476A KR 20220047476 A KR20220047476 A KR 20220047476A KR 20230148566 A KR20230148566 A KR 20230148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erving tray
grill
inner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상
Original Assignee
김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상 filed Critical 김현상
Priority to KR102022004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566A/ko
Publication of KR2023014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식당에서 사용되는 서빙 트레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서빙 트레이는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관통홀 둘레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내측 수직부, 음식물을 담은 접시가 올려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수평부, 상기 내측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 연결부, 및 상기 내측 수직부의 외측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서빙 트레이는 필요에 따라 서빙 트레이만을 들어올려 운반하거나 불판이 거치된 불판 거치대와 함께 서빙 트레이를 동시에 들어올려 운반함으로써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서빙 트레이{Serving Tray}
본 발명은 서빙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서빙 트레이만을 들어올려 운반하거나 불판이 거치된 불판 거치대와 함께 서빙 트레이를 동시에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는 서빙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판에 의하여 육류를 즉석에서 구워먹는 즉석구이 전문식당에서는, 테이블의 중앙에 불판 거치대가 설치된다. 불판 거치대에는 불판이 거치된다. 불판의 주위에는 육류를 담은 접시 및 육류와 함께 먹는 반찬, 양념 등을 담은 접시가 배치된다. 이때, 불판, 육류 접시, 반찬 접시 및 양념 접시 등은 별도의 운반도구에 실려 운반되고, 그러한 접시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즉 순차적으로 테이블에 올려진다.
이러한 서빙 과정에서 때때로 일부 반찬 접시 또는 양념 접시가 누락되어 소비자 불만을 야기하기도 하고, 또한 그러한 서빙 과정 자체가 노동집약적이어서 상대적으로 많은 노동력을 요구함으로써 음식점 사업에 대한 채산성을 악화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2128843호(2020. 06. 25. 등록)는 서빙트레이가 거치된 식당테이블을 제안하였다.
상기 종래의 특허발명은 불판과 음식물 용기를 해당 테이블로 한 번에 서빙함으로써 각각 별도로 서빙할 때 발생하는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음식물을 섭취한 후 용이하게 치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음식점에서는 불판은 그대로 둔 채로 음식물 용기가 놓이는 거치대만을 운반하여 거치대 상에 음식물 용기를 새 것으로 교환한 후 다시 거치대 상에 불판을 장착할 필요가 있을 때가 종종 있다. 상기 종래의 특허발명은 그러한 경우에는, 즉 음식물 용기가 놓이는 거치대만을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불판이 안착된 탈락방지구를 거치대 상에서 먼저 제거하여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서빙 트레이만을 들어올려 운반하거나 불판이 거치된 불판 거치대와 함께 서빙 트레이를 동시에 들어올려 운반함으로써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 서빙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빙 트레이는 식당에서 사용되는 서빙 트레이로서,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관통홀 둘레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내측 수직부, 음식물을 담은 접시가 올려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수평부, 상기 내측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 연결부, 및 상기 내측 수직부의 외측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홀에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불판 거치대의 수평 연장부가 상기 내측 수직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때, 상기 손잡이부를 안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직 연결부들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상기 내측 수직부를 들어올리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불판 거치대의 상기 수평 연장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불판 거치대에 거치된 불판과 함께 상기 서빙 트레이를 동시에 운반하는 한편, 상기 손잡이부를 잡지 않을 때에는 상기 손잡이부는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늘어뜨려진 상태여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직 연결부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하고 그래서 상기 서빙 트레이를 들어올릴 때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불판 거치대의 상기 수평 연장부를 지지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서빙 트레이를 상기 불판이 거치된 상기 불판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서빙 트레이만을 단독으로 운반한다.
상기 수평부의 내측 말단에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수직하게 상부로 돌출된 내측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돌출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는 상기 수직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의 외측 말단에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수직하게 상부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를 안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직 연결부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상기 내측 수직부를 들어올릴때 상기 불판 거치대와 마주보는 상기 손잡이부의 부분에는 상기 불판 거치대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한 예로서, 하나의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상기 내측 수직부의 하부 말단부에는 고리 구멍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고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한 쌍의 고리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양 말단으로부터 상기 수평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는 사선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말단으로부터 상기 수평부와 평행하게 바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리 각각에 끼워지는 한 쌍의 고리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를 안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직 연결부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수평부를 잡고 상기 내측 수직부를 들어올릴때 상기 불판 거치대와 마주보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수평부의 부분에는 상기 불판 거치대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손잡이부는 복수개의 고리가 일렬로 연결된 한 쌍의 연결고리부 및 상기 연결고리부들의 일측 말단부에 연결된 손잡이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리부들의 타측 말단부는 상기 내측 수직부의 하부 말단부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빙 트레이는 필요에 따라 서빙 트레이만을 들어올려 운반하거나 불판이 거치된 불판 거치대와 함께 서빙 트레이를 동시에 들어올려 운반함으로써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빙 트레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빙 트레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절단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서빙 트레이에 적용되는 손잡이부의 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서빙 트레이에 적용되는 손잡이부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빙 트레이와 불판 거치대가 배치된 상태에서 서빙 트레이와 불판 거치대를 동시에 들어올리는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빙 트레이와 불판 거치대가 배치된 상태에서 서빙 트레이만을 단독으로 들어올리는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빙 트레이(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서빙 트레이(10)는 불판에 의하여 육류를 즉석에서 구워먹는 즉석구이 전문식당에서, 불판의 주위에 육류를 담은 접시 및 육류와 함께 먹는 반찬, 양념 등을 담은 접시를 한 번의 서빙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서빙 트레이(10)는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관통홀(140)을 가지는 쟁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관통홀(14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빙 트레이(10)는 접시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평부(200)를 포함한다. 수평부(20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200)의 내측 말단에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수직하게 상부로 돌출된 내측 돌출부(110)가 마련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110) 내부에는 관통홀(140)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200)의 외측 말단에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수직하게 상부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110) 및 외측 돌출부(300)는 수평부(200)에 올려진 접시가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구성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높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동일한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돌출부(300)에는 서빙 트레이(10)를 드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310)가 설치될 수 있다.
내측 돌출부(110) 상부에는 관통홀(140)이 형성되도록 관통홀(140) 둘레에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내측 수직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110)와 내측 수직부(12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 연결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수직 연결부(130)는 예를 들어 4개로 형성될 수 있고, 수직 연결부들(130) 사이에는 개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수직부(120)의 외측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한 쌍의 손잡이부(400)가 설치된다. 손잡이부(400)는 내측 수직부(120)의 하부 말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40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이 채용하는 손잡이부(400)의 구체적인 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손잡이부(400)에 대하여, 내측 수직부(120)의 하부 말단부에는 고리 구멍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고리(410)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부(400)는 한 쌍의 고리(410)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수평부(420), 수평부(420)의 양 말단으로부터 수평부(420)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는 사선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부(430) 및 연결부(430)의 양 말단으로부터 상기 수평부와 평행하게 바깥으로 연장되어 고리(410) 각각에 끼워지는 한 쌍의 고리 걸림부(44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40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손잡이부(400)는 한 쌍의 고리(410)에 끼워져서 회전할 수 있다. 손잡이부(400)가 내측 수직부(120)의 바깥쪽에 위치할 때를 기준으로 할 때, 손잡이부(400)의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접촉 돌출부(4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는 2개의 접촉 돌출부(450)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부(400)는 복수개의 고리가 일렬로 연결된 한 쌍의 연결고리부(460) 및 연결고리부들(460)의 일측 말단부에 연결된 손잡이 본체부(470)를 포함한다. 손잡이 본체부(470)는 연결고리부들(460)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연결고리부들(460)의 타측 말단부는 내측 수직부(120)의 하부 말단부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손잡이 본체부(47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 돌출부(45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빙 트레이와 불판 거치대가 배치된 상태에서 서빙 트레이와 불판 거치대를 동시에 들어올리는 사용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빙 트레이와 불판 거치대가 배치된 상태에서 서빙 트레이만을 단독으로 들어올리는 사용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관통홀(140)에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불판 거치대(20)의 수평 연장부(22)가 내측 수직부(1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때, 불판 거치대(20)에는 불판(30)이 안착된다. 불판 거치대(20)는 화로(40)에 의하여 지지되고, 화로(40) 내부에는 숯통(42)이 내장되며, 숯통(42)에는 숯불(44)이 채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식당의 손님은 육류를 직접 구워 먹을 수 있다. 도 6에는 화로(40)가 테이블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테이블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 내부에 화로(4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에 기재한 종래의 특허발명에 개시된 형태의 화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식당의 종업원이 서빙 트레이(10) 및 불판(30)이 장착된 불판 거치대(20)를 함께 들어올려 운반하고자 한다면, 식당 종업원은 손잡이부(400)를 안쪽으로 회전시켜 수직 연결부들(130) 사이에 형성된 개구(132)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400)의 수평부(420)를 잡고 내측 수직부(120)를 들어올린다. 그러면, 손잡이부(400)가 불판 거치대(20)의 수평 연장부(22)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식당의 종업원은 불판 거치대(20)에 거치된 불판(22)과 함께 서빙 트레이(10)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부(400)를 안쪽으로 회전시켜 수직 연결부들(130) 사이에 형성된 개구(132)를 통과시키면 아래쪽 방향으로 향하던 접촉 돌출부(450)가 위쪽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그래서 접촉 돌출부(450)는 불판 거치대(20)의 수평 연장부(22)와 접촉하게 된다. 불판 거치대(20)의 수평 연장부(22)는 숯불(44)의 열기에 의하여 뜨거운 상태인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에서는 접촉 돌출부(450)가 손잡이부(400)의 수평부(420) 또는 손잡이 본체부(470)로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서빙 트레이(10)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식당의 종업원은 불판(30)이 장착된 불판 거치대(20)과 별개로 서빙 트레이(10)만을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를 잡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부(400)는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늘어뜨려진 상태여서 손잡이부(400)는 수직 연결부들(130) 사이에 형성된 개구(132)를 통과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식당 종업원이 서빙 트레이(10)를 들어올리면 손잡이부(400)는 불판 거치대(20)의 수평 연장부(22)를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서빙 트레이(10)는 불판 거치대(20)의 수평 연장부(22)에 걸리지 않고 위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에, 식당 종업원은 서빙 트레이(10)를 불판(30)이 거치된 불판 거치대(20)로부터 분리하여 서빙 트레이(10)만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서빙 트레이(10)는 식당의 테이블에 설치된다. 이에, 테이블에는 서빙 트레이(10)가 안착하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서빙 트레이(10)는 원형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테이블에 마련된 홈에 안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테이블의 홈에는 적당한 개소에 베어링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서빙 트레이(10)가 회전하면, 음식 섭취자는 자신이 원하는 반찬이 반대쪽에 배치된 경우에 서빙 트레이(10)를 적당히 회전시킴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반찬을 쉽게 먹을 수 있어 편리하다.
10: 서빙 트레이 20: 불판 거치대
22: 수평 연장부 30: 불판
40: 화로 42: 숯통
44: 숯불 110: 내측 돌출부
120: 내측 수직부 130: 수직 연결부
132: 개구 140: 관통홀
200: 수평부 300: 외측 돌출부
400: 손잡이부 410: 고리
420: 수평부 430: 연결부
440: 고리 걸림부 450: 접촉 돌출부
460: 연결고리부 470: 손잡이 본체부

Claims (7)

  1. 식당에서 사용되는 서빙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서빙 트레이는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관통홀 둘레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내측 수직부, 음식물을 담은 접시가 올려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수평부, 상기 내측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 연결부, 및 상기 내측 수직부의 외측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에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불판 거치대의 수평 연장부가 상기 내측 수직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때, 상기 손잡이부를 안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직 연결부들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상기 내측 수직부를 들어올리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불판 거치대의 상기 수평 연장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불판 거치대에 거치된 불판과 함께 상기 서빙 트레이를 동시에 운반하는 한편, 상기 손잡이부를 잡지 않을 때에는 상기 손잡이부는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늘어뜨려진 상태여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직 연결부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하고 그래서 상기 서빙 트레이를 들어올릴 때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불판 거치대의 상기 수평 연장부를 지지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서빙 트레이를 상기 불판이 거치된 상기 불판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서빙 트레이만을 단독으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내측 말단에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수직하게 상부로 돌출된 내측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돌출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는 상기 수직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트레이.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외측 말단에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수직하게 상부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트레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안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직 연결부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상기 내측 수직부를 들어올릴때 상기 불판 거치대와 마주보는 상기 손잡이부의 부분에는 상기 불판 거치대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트레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상기 내측 수직부의 하부 말단부에는 고리 구멍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고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한 쌍의 고리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양 말단으로부터 상기 수평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는 사선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말단으로부터 상기 수평부와 평행하게 바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리 각각에 끼워지는 한 쌍의 고리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트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안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직 연결부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수평부를 잡고 상기 내측 수직부를 들어올릴때 상기 불판 거치대와 마주보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수평부의 부분에는 상기 불판 거치대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트레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복수개의 고리가 일렬로 연결된 한 쌍의 연결고리부 및 상기 연결고리부들의 일측 말단부에 연결된 손잡이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리부들의 타측 말단부는 상기 내측 수직부의 하부 말단부에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트레이.
KR1020220047476A 2022-04-18 2022-04-18 서빙 트레이 KR20230148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76A KR20230148566A (ko) 2022-04-18 2022-04-18 서빙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76A KR20230148566A (ko) 2022-04-18 2022-04-18 서빙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566A true KR20230148566A (ko) 2023-10-25

Family

ID=8851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476A KR20230148566A (ko) 2022-04-18 2022-04-18 서빙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5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210B2 (en) Chafing dish with utility handles
CN108065765B (zh) 食物蒸锅与托架系统
US8025007B1 (en) Turkey fryer with vertically stacking cooking racks
CA2804660C (en) Quick attaching chafing dish handle configured for safe chafing dish placement and removal and for nesting chafing dish storage
CN204764979U (zh) 多用途锅
US6196120B1 (en) Steamer insert, steamer assembly and method
US9560937B2 (en) Cooking utensil with flavoring infuser
US20140224810A1 (en) Multi-Functional Flat Lid
KR20210128978A (ko) 서빙트레이가 거치된 식당테이블
US8973490B2 (en) Cook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suppor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8434729B2 (en) Trivet with server lid
KR20230148566A (ko) 서빙 트레이
TWI584765B (zh) 可翻掀式蒸盤
KR200450039Y1 (ko) 찜용 조리 받침대
US20060005714A1 (en) Grill with base assembly
KR102125481B1 (ko) 무쇠팬 조리 기구
US2211261A (en) Berry pie drip pan
KR200406422Y1 (ko) 조리 기구
US20230320514A1 (en) Vacuum-insulated cooking device
CN218186482U (zh) 一种手持的饮料与吃食合一的火锅型容器
KR20240038225A (ko) 조립식 화로대
JP7269040B2 (ja) 鍋セットおよび鍋料理提供システム。
KR20110000010U (ko)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CN210204342U (zh) 端菜装置
CN211155337U (zh) 容器组件和烘烤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