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532A - 층간 소음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532A
KR20230148532A KR1020220047358A KR20220047358A KR20230148532A KR 20230148532 A KR20230148532 A KR 20230148532A KR 1020220047358 A KR1020220047358 A KR 1020220047358A KR 20220047358 A KR20220047358 A KR 20220047358A KR 20230148532 A KR20230148532 A KR 20230148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notification
inter
generations
househo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수
최영락
임정훈
홍성신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비쥬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비쥬드림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532A/ko
Publication of KR20230148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층간 소음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방법은 제1 소음을 수집하는 동작,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인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하는 동작,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상기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는 동작, 상기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상기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대한 알림 제공의 기준이 되는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는 동작과,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INTER-FLOOR NOISE NOTIFICATION AND DEVICE PERFOM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층간 소음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층간 소음은 다세대 주택, 다가구 주택 및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사람의 활동 등으로 인해 발생하여 다른 입주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소음을 의미한다. 층간 소음은 거주자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이웃 주민 간의 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는 층간 소음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을 줄이는 기술로서 건물 시공 시 사용되는 소음 저감 기술 및 소음을 수집하는 센서를 통해 층간 소음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기술 등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가 층간 소음에 대한 알림(예: 층간 소음에 기초한 안전 또는 방범 목적의 알림, 층간 소음 발생 알림, 층간 소음 등)을 제공하고, 거주자의 민감도를 고려한 알람 트리거를 유동적으로 조정할 때, 층간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를 정확히 선별해내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세대의 공간별 영향도에 기초하여 세대의 공간별로 정확한 알림을 제공하고, 층간 소음에 유의미하게 기여한 세대의 공간(예: 거실, 안방, 주방)별로 알람 트리거를 조정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방법은 제1 소음을 수집하는 동작,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인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하는 동작,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상기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는 동작, 상기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상기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는 동작과,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는 하나 이상의 세대의 하나 이상의 공간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진동에 의한 소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소음에 기여한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세대들을 선별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각각 합성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가 설정된 영향도 값보다 큰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반응의 횟수 및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레벨을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반응을 미리 결정한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레벨을 상향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소음의 크기가 상기 조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소음의 크기 및 상기 제2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함께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세대들과 상기 제3 세대의 중첩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소음의 크기에 기초하여 소음 중화 음원을 재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응은 상기 소음 중화 음원이 합성된 제1 소음에 대한 반응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알림 모드를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알림 모드가 방범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소음의 크기의 제1 설정값 초과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침입 가능성을 경고하는 방범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알림 모드가 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소음의 크기가 미리 정한 기간 동안 제2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안전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소음을 수집하고,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인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상기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고, 상기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상기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대한 알림 제공의 기준이 되는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며,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는 하나 이상의 세대의 하나 이상의 공간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진동에 의한 소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소음에 기여한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각각 합성하며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가 설정된 영향도 값보다 큰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응의 횟수 및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레벨을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응을 미리 결정한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레벨을 상향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소음의 크기가 상기 조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세대들과 상기 제3 세대의 중첩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소음의 크기에 기초하여 소음 중화 음원을 재생하고, 상기 반응은 상기 소음 중화 음원이 합성된 제1 소음에 대한 반응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알림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 모드가 방범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소음의 크기의 제1 설정값 초과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침입 가능성을 경고하는 방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모드가 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소음의 크기가 미리 정한 기간 동안 제2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안전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은 층간 소음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층간 소음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 소음 알림 장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소음을 수집하고,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인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상기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고, 상기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상기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대한 알림 제공의 기준이 되는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며,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2b는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의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가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가 소음 중화 음원을 재생하고 소음 중화 음원이 합성된 제1 소음에 대한 제3 세대의 반응에 기초하여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가 특수 알림 모드에서 방범 및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는 도1에 도시된 월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층간 소음 팝업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1에 도시된 입주자용 앱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층간 소음 팝업의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고,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제1 세대들은 층간 소음을 발생시키는 세대이고, 제2 세대들은 제1 세대들 중 층간 소음에 유의미하게 기여한 세대들이며, 제3 세대는 층간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를 의미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공동 주택(예: 다세대 주택, 다가구 주택, 및 아파트)의 층간 소음에 관한 알림을 생성하여 공동 주택 거주자들의 생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공동 주택 거주자들의 주의를 환기시켜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들 중에서 소음에 유의미하게 기여한 세대에만 선별적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소음에 유의미하게 기여한 세대의 공간(예: 거실, 안방, 주방)별로 정확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소음이 수집된 세대의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알림 생성의 기준이 되는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예: 상향 조정, 하향 조정)함으로써,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알림을 생성하고, 알림으로 인한 공동 주택 거주자들 간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제2 세대들과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피해 세대(예: 제3 세대)의 중첩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제1 소음의 크기에 기초하여 소음 중화 음원(예: 백색소음 등)을 재생할 수 있다. 중첩 영역은 제2 세대와 제3 세대 간 맞닿아 있어 소음이 전달될 수 있는 벽면이거나, 맞닿아 있지 않더라도 소음이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의 영역일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제3 세대의 상기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고, 이때 반응은 소음 중화 음원이 합성된 제1 소음에 대한 반응일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제1 소음의 크기가 조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특수한 알림 모드(예: 방범 모드, 안전 모드 등)에서 층간 소음에 기초하여 방범 및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공동 주택의 전 세대의 층간 소음을 분석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분석 결과에 포함된 동시다발적 진동 및 소음에 기초하여 지진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대응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층간 소음이 적은 공동 주택으로 홍보하거나, 층간 소음이 적은 평면구조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10)은 층간 소음을 감지하는 센서(21, 22), 월패드(30), 단지 서버(40), 및 클라우드 서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소음을 감지하는 센서(21, 22)는 공동 주택 내 세대의 거실 및 복도에 위치하여 층간 소음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1, 22)는 세대의 바닥 및 바닥의 벽체 일측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21, 22)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월패드에게 감지한 소음 크기를 전달할 수 있다.
월패드(30)는 세대의 거실 벽에 위치하여, 세대 내의 다양한 정보(예: 층간 소음 정보, 공간의 온도, 공간의 습도, 공간의 밝기 등)에 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들은 월패드를 통해 세대를 제어할 수 있다. 월패드(30)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가 송신한 층간 소음 알림을 디스플레이하여 층간 소음을 일으킨 세대에게 주의를 주거나 경고하고, 특수한 알림 모드(예: 방범 모드, 안전 모드 등)에서 층간 소음에 기초하여 층간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들(예: 제1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방범 및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월패드(30)는 BLE(Bluetooth Low Energy) 게이트웨이(31)를 통하여 센서(21, 22)가 감지한 소음 크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월패드(3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을 통해 단지 서버(40)로 감지한 소음 크기를 전달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월패드(30)에 구현되어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에 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단지 서버(40)는 공동 주택(예: 다세대 주택, 다가구 주택, 및 아파트) 단지를 총괄하여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단지 서버(40)에 구현되어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에 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단지 서버(40)는 월패드로부터 소음 크기를 전달받아 클라우드 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50)는 공동 주택 단지의 외부에 구현된 서버이며, 복수의 공동 주택 단지를 관리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클라우드 서버 (50)에 구현되어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에 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입주자용 앱(60)은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가 송신한 층간 소음 알림을 디스플레이하여 층간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입주자용 앱(60)은 층간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층간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세대의 세대주는 층간 소음에 대하여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에는 입주자용 앱(60) 상의 이에 대응하는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입주자용 앱(60)은 제3 세대의 세대주의 반응 및 반응에 관한 정보(예: 주기, 횟수 등)을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공동 주택(예: 다세대 주택, 다가구 주택, 및 아파트)의 층간 소음에 관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공동 주택 거주자들의 주의를 환기시켜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고 방범 및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등 공동 주택 거주자들의 생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층간 소음인 제1 소음을 수집할 수 있고,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에 기초하여 제1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인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할 수 있다.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는 공동 주택의 하나 이상의 세대의 하나 이상의 공간(예: 거실, 안방, 주방)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에 의한 소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소음에 기여한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에 기저장된 것일 수 있다.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를 획득하는 동작은 도 2a 및 도2b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세대들의 공간(예: 거실, 안방, 주방)별 영향도를 각각 합성하고, 제1 세대들 중에서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가 설정된 영향도 값보다 큰 세대(예: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여, 제2 세대들에게 알림(예: 층간 소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피해 세대(예: 제3 세대)의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을 입주자용 앱(60)으로부터 수신하고,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알림 생성의 기준이 되는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예: 상향 조정,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제2 세대들과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피해 세대(예: 제3 세대)의 중첩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제1 소음의 크기에 기초하여 소음 중화 음원(예: 백색소음 등)을 재생할 수 있다. 중첩 영역은 제2 세대와 제3 세대 간 맞닿아 있어 소음이 전달될 수 있는 벽면이거나, 맞닿아 있지 않더라도 소음이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의 영역일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3 세대의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고, 이때 반응은 소음 중화 음원이 합성된 제1 소음에 대한 반응일 수 있다. 알림 트리거는 제2 세대들에 대한 알림 제공의 기준이 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트리거는 제2 세대들에 설치된 센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2 세대들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수집된 소음을 알림 트리거의 레벨과 비교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가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는 동작은 도 4a 및 4b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의 크기가 조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은 특수한 알림 모드(예: 방범 모드, 안전 모드 등)에서 층간 소음에 기초하여 방범 및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2 세대들에게 알림(예: 층간 소음 알림)을 제공할 때, 제1 소음의 크기 및 제2 세대들 각각의 공간별 영향도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공간별로 정확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 알림은 제2 세대들에 2층 세대 및 3층 세대가 포함될 경우에는 "2층 거실 25%, 2층 안방 15%, 3층 작은방 40%, 3층 안방 20%"와 같은 공간별 영향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은 월패드(30), 입주자용 앱(6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30),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층간 소음인 제1 소음을 수집하여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들(예: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150)의 동작 및/또는 프로세서(15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서(150)에 의해 유발된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통신 모듈(110)로부터 층간 소음인 제1 소음을 수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세대의 공간(예: 거실, 안방, 주방)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에 기초하여 제1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인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에 기초하여 제1 세대들 중에서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제2 세대들과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피해 세대(예: 제3 세대)의 중첩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제1 소음의 크기에 기초하여 소음 중화 음원(예: 백색소음 등)을 재생할 수 있다. 중첩 영역은 제2 세대와 제3 세대 간 맞닿아 있어 소음이 전달될 수 있는 벽면이거나, 맞닿아 있지 않더라도 소음이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의 영역일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제3 세대의 상기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고, 이때 반응은 소음 중화 음원이 합성된 제1 소음에 대한 반응일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의 크기가 조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층간 소음에 유의미하게 기여한 세대들(예: 제2 세대들)에게만 선별적으로 알림(예: 층간 소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특수한 알림 모드(예: 방범 모드, 안전 모드 등)에서 층간 소음에 기초하여 방범 및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알림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알림은 월패드(30), 입주자용 앱(6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층간 소음 알림을 선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2b는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공동 주택의 하나 이상의 세대의 하나 이상의 공간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에 의한 소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소음에 기여한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함으로써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a의 (1)은 하나의 세대(261, 262, 263) 중 하나의 공간(261)에서 진동이 발생한 경우 다른 세대들에서 수집된 층간 소음 크기를 나타낸다. 공간(261)에서 진동이 발생한 경우, 해당 공간의 바로 밑에 위치한 공간(251)에서 가장 큰 층간 소음(50dB)이 수집될 수 있다. 공간(251)의 우측에 위치한 공간(252) 및 공간(251)의 바로 밑에 위치한 공간(241)에서는 공간(25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층간 소음(40dB)이 수집될 수 있다. 진동이 발생한 공간(261)에서 멀리 위치한 공간일수록 공간(261)의 바로 밑에 위치한 공간(251)보다 더 작은 층간 소음이 수집될 수 있다.
도 2a의 (2)는 하나의 세대(261, 262, 263) 중 두 개의 공간(261, 262)에서 진동이 발생한 경우 다른 세대들에서 수집된 층간 소음 크기를 나타낸다. 두개의 공간(261, 262)에서 발생한 진동은 중첩될 수 있고, 두 개의 공간(261, 262)에서 진동이 발생한 경우, 해당 공간의 바로 밑에 각각 위치한 두개의 공간(251, 252)에서 가장 큰 층간 소음(50dB)이 수집될 수 있다. 진동이 발생한 공간(261, 262)에서 멀리 위치한 공간일수록 공간(261, 262)의 바로 밑에 각각 위치한 공간(251, 252)보다 더 작은 층간 소음이 수집될 수 있다.
도 2b의 (1)은 두 개의 세대(261, 262, 263 및 251, 252, 253) 중 두 개의 공간(261, 251)에서 진동이 발생한 경우 다른 세대들에서 수집된 층간 소음 크기를 나타낸다. 두개의 공간(261, 251)에서 발생한 진동은 중첩될 수 있고, 두 개의 공간(261, 251)에서 진동이 발생한 경우, 해당 공간의 바로 밑에 위치한 공간(241)에서 가장 큰 층간 소음(55dB)이 수집될 수 있다. 진동이 발생한 공간(261, 251)에서 멀리 위치한 공간일수록 공간(261, 251)의 바로 밑에 위치한 공간(241)보다 더 작은 층간 소음이 수집될 수 있다.
도 2b의 (2)는 복수의 세대(261, 262, 263 및 251, 252, 253)의 복수의 공간(261, 263, 252, 253)에서 진동이 발생한 경우 다른 세대들에서 수집된 층간 소음 크기를 나타낸다. 복수의 공간(261, 263, 252, 253)에서 발생한 진동은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공간(261, 263, 252, 253)에서 발생한 진동의 크기는 각각 다를 수 있고, 진동이 발생한 공간(261, 263, 252, 253) 바로 밑에 위치한 공간들이 항상 가장 큰 소음이 수집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진동이 발생한 공간(261, 263, 252, 253)에서 멀리 위치한 공간일수록 작은 층간 소음이 수집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공동 주택의 모든 세대의 모든 공간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에 의한 소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소음에 기여한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함으로써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공동 주택의 하나 이상의 세대의 하나 이상의 공간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에 의한 소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소음으로부터 층간 소음 규칙을 찾아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함으로써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간(312)에서 수집된 층간 소음의 공간별 영향도를 확인할 수 있다.
세대(311, 312, 313)보다 위에 위치한 세대들(321, 322, 323 및 331, 332, 333)에서 진동이 발생한 경우, 공간(312)에서 50dB의 층간 소음이 수집될 수 있다. 50dB의 층간 소음에 대한 공간(331)의 영향도는 40%, 공간(333)의 영향도는 20%로서, 세대(331, 332, 333)의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는 60%일 수 있다. 또한, 50dB의 층간 소음에 대한 공간(332)의 영향도는 25%, 공간(323)의 영향도는 15%로서, 세대(331, 332, 333)의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는 60%일 수 있다.
공간(312)의 바로 위에 위치한 공간(322)의 영향도(25%)가 공간(322)보다 멀리 떨어진 공간(331)의 영향도(40%)보다 작을 수 있다. 공간에서 발생한 진동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한 소음의 크기도 상이할 수 있다.
층간 소음 50dB이 수집된 세대(311, 312, 313)가 알림 제공을 위한 영향도 값을 30%로 설정한 경우,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가 30%보다 큰 세대인 세대(321, 322, 323) 및 세대(331, 332, 333)에게 알림(층간 소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층간 소음 50dB이 수집된 세대(311, 312, 313)가 알림 제공을 위한 영향도 값을 50%로 설정한 경우,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가 50%보다 큰 세대인 세대(331, 332, 333)에만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가 50%보다 작은 세대인 세대(321, 322, 323)에게는 알림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층간 소음 50dB이 수집된 세대(311, 312, 313)가 알림 제공을 위한 소음 크기를 45dB로 설정한 경우,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에 기초하여 층간 소음에 기여한 세대들(321, 322, 323 및 331, 332, 333)에게 선별적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층간 소음 50dB이 수집된 세대(311, 312, 313)가 알림 제공을 위한 소음 크기를 55dB로 설정한 경우, 층간 소음에 기여한 세대들(321, 322, 323 및 331, 332, 333) 모두에게 알림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각 세대는 각 세대의 민감도에 따라 알림 제공을 위한 영향도 값, 알림 제공을 위한 소음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가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4a의 (1)은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의 알림 트리커의 레벨이 초기 설정값으로 지정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알림 트리거는 제2 세대들에 설치된 센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2 세대들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수집된 소음을 알림 트리거의 레벨과 비교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의 레벨은 43dB(A)을 기준으로 하고, 경고 레벨은 45dB(A)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레벨은 복수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유형은 주의 레벨 및 경고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의 (2)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가 입주자용 앱(60)으로부터 수신한 제3 세대의 세대주의 제1 소음에 대한 반응을 제1 소음의 그래프 상에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에 대한 반응이 입주자용 앱(60)에 입력된 시점에 기초하여 제1 소음의 그래프 상에 굵은 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반응의 횟수 및 주기에 기초하여 레벨을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반응을 미리 결정한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3 세대의 세대주가 소음에 둔감한 것으로 판단하고 레벨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도 4a의 (3)은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가 수신한 반응에 기초하여 레벨을 상향 조정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의 크기가 조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2 세대들에 층간 소음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여 제2 세대들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가 소음 중화 음원을 재생하고 소음 중화 음원이 합성된 제1 소음에 대한 제3 세대의 반응에 기초하여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제2 세대들과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피해 세대(예: 제3 세대)의 중첩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제1 소음의 크기에 기초하여 소음 중화 음원(예: 백색소음 등)을 재생할 수 있다. 중첩 영역은 제2 세대와 제3 세대 간 맞닿아 있어 소음이 전달될 수 있는 벽면이거나, 맞닿아 있지 않더라도 소음이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값(예: 45dB)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첩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소음 중화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소음 중화 음원이 합성된 제1 소음에 대한 반응에 응답하여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알림 트리거는 제2 세대들에 대한 알림 제공의 기준이 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트리거는 제2 세대들에 설치된 센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2 세대들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수집된 소음을 알림 트리거의 레벨과 비교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가 특수 알림 모드에서 방범 및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특수 알림 모드(예: 안전 모드, 방범 모드)에서 층간 소음에 기초하여 방범 및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1)은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의 알림 모드가 방범 모드인 경우에 층간 소음에 기초하여 방범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알림 모드를 판단하여 알림 모드가 방범 모드인 경우에는 제1 소음의 크기의 제1 설정값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의 크기가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에 응답하여 제1 소음을 발생시킨 제2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외부인의 침입 가능성을 경고하는 방법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세대주가 침입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여 신고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2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방법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2)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의 알림 모드가 안전 모드인 경우에 층간 소음에 기초하여 안전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알림 모드를 판단하여 알림 모드가 안전 모드인 경우에는 제1 소음의 크기가 미리 정한 기간 동안 제2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알림 장치(100)는 제1 소음의 크기가 미리 정한 기간 동안 제2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제2 세대의 세대주 또는 제2 세대의 거주자의 보호자에게 안전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전 알림은 고독사 또는 쇼크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6는 도1에 도시된 월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층간 소음 팝업의 예를 나타내고, 도 7은 도1에 도시된 입주자용 앱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층간 소음 팝업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는 층간 소음 주의 팝업의 예를 나타낼 수 있고, 도 6의 (B)는 층간 소음 경고 팝업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세대(예: 도 3에 도시된 세대(331, 332, 333))가 발생시킨 진동이,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소음의 크기 및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영향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층간 소음 모니터링 장치(100)는 월패드(예: 도 1에 도시된 월패드(30))는 화면(411)을 통해 층간 소음 주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세대(예: 도 3에 도시된 세대(331, 332, 333))가 수신한 층간 소음 주의 알림 횟수가 기설정된 층간 소음 알림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층간 소음 모니터링 장치(100)는 월패드(예: 도 1에 도시된 월패드(30))는 화면(421)을 통해 층간 소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층간 소음 모니터링 장치(100)는 입주자용 앱(예: 도 1에 도시된 입주자용 앱(60))는 화면(501)을 통해 층간 소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층간 소음 모니터링 장치(100)는, 세대(311, 312, 313)가 설정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소음의 크기,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영향도 값, 및 층간 소음 경고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층간 소음 주의 알림 횟수에 기초하여 층간 소음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들 중에서 소음에 유의미하게 기여한 세대에만 선별적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소음에 유의미하게 기여한 세대의 공간(예: 거실, 안방, 주방)별로 정확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반응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제1 소음을 수집하는 동작;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인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하는 동작;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상기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는 동작;
    상기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상기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대한 알림 제공의 기준이 되는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는 동작; 및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는,
    하나 이상의 세대의 하나 이상의 공간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진동에 의한 소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소음에 기여한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함으로써 획득되는, 층간 소음 알림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대들을 선별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각각 합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가 설정된 영향도 값보다 큰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반응의 횟수 및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레벨을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반응을 미리 결정한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레벨을 상향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소음의 크기가 상기 조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소음의 크기 및 상기 제2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함께 제공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대들과 상기 제3 세대의 중첩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소음의 크기에 기초하여 소음 중화 음원을 재생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응은,
    상기 소음 중화 음원이 합성된 제1 소음에 대한 반응인 것인, 층간 소음 알림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알림 모드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알림 모드가 방범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소음의 크기의 제1 설정값 초과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침입 가능성을 경고하는 방범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모드가 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소음의 크기가 미리 정한 기간 동안 제2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안전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방법.
  11.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소음을 수집하고,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인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상기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고,
    상기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상기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대한 알림 제공의 기준이 되는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며,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는,
    하나 이상의 세대의 하나 이상의 공간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진동에 의한 소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소음에 기여한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함으로써 획득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각각 합성하며,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합성된 공간별 영향도가 설정된 영향도 값보다 큰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응의 횟수 및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레벨을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응을 미리 결정한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레벨을 상향 조정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소음의 크기가 상기 조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세대들과 상기 제3 세대의 중첩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소음의 크기에 기초하여 소음 중화 음원을 재생하고,
    상기 반응은,
    상기 소음 중화 음원이 합성된 제1 소음에 대한 반응인 것인, 층간 소음 알림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알림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 모드가 방범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소음의 크기의 제1 설정값 초과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침입 가능성을 경고하는 방범 알림을 제공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모드가 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소음의 크기가 미리 정한 기간 동안 제2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의 세대주들에게 안전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20. 층간 소음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층간 소음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 소음 알림 장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소음을 수집하고,
    세대의 공간별 소음 영향도 분석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음을 발생시킨 세대인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세대들의 공간별 영향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세대들 중에서 상기 제1 소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세대인 제2 세대들을 선별하고,
    상기 제1 소음의 피해를 입은 세대인 제3 세대의 상기 제1 소음에 대응하는 반응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대한 알림 제공의 기준이 되는 알림 트리거의 레벨을 조정하며,
    조정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세대들에 알림을 제공하는,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
KR1020220047358A 2022-04-18 2022-04-18 층간 소음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230148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358A KR20230148532A (ko) 2022-04-18 2022-04-18 층간 소음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358A KR20230148532A (ko) 2022-04-18 2022-04-18 층간 소음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532A true KR20230148532A (ko) 2023-10-25

Family

ID=8851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358A KR20230148532A (ko) 2022-04-18 2022-04-18 층간 소음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5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5210B2 (en) Privacy protection in collective feedforward
TWI442349B (zh) 緊急應變指揮系統及方法
US9736264B2 (en) Personal audio system using processing parameters learned from user feedback
RU26701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слышимости конкретных звуков для пользователя
CN109328374B (zh) 声响再生装置以及声响再生系统
KR102217219B1 (ko)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021591B2 (ja) 騒音警告システム
KR101832337B1 (ko)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20210113947A (ko) 베이핑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5480A (ko) 층간소음경보 시스템
US20150163609A1 (en) Internet protocol addressable public address devices and systems
IL265860A (en) A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ensing inputs that affect a person's working memory load
KR20230148532A (ko) 층간 소음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11080979B2 (en) Alarming system for multi-unit buildings
KR102583870B1 (ko) 세대의 공간별 영향도 기반 층간 소음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08332B1 (ko)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EP3279879B1 (en) Activity amount calculation system, activity amount calculation device, activity amount calcul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532155B1 (en) Real time monitoring of acoustic environments using ultrasound
KR102338294B1 (ko) 사고 방지 장치
JP3238514U (ja) 禁煙スペースの喫煙警報装置
US11145320B2 (en) Privacy protection in collective feedforward
US11450070B2 (en) Alerts of mixed reality devices
EP4148698A1 (en) Pairing with an aspirating smoke detector device
CN117917094A (zh) 移动捕获的音频增强
KR20230070708A (ko) 위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