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219B1 -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219B1
KR102217219B1 KR1020200094975A KR20200094975A KR102217219B1 KR 102217219 B1 KR102217219 B1 KR 102217219B1 KR 1020200094975 A KR1020200094975 A KR 1020200094975A KR 20200094975 A KR20200094975 A KR 20200094975A KR 102217219 B1 KR102217219 B1 KR 102217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xn
matrix
indoor space
emergency situation
encrypt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란헤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란헤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란헤움
Priority to KR102020009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6Matrix or vector computation, e.g. matrix-matrix or matrix-vector multiplication, matrix factoriz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72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using geo-location information, e.g. location data, time, relative position or proximity to other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와 모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서 발생한 긴급 상황을 초기에 통보할 수 있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실내 공간에서 발생한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PPARATUS CAPABLE OF NOTIFYING EMERGENCY ABOUT INDOOR SPA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센서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센서를 이용하여 집안 등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센싱하고, 이를 기초로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파악한 후 원격의 관리자에게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긴급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원격의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실내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으로는 화재, 적재 물건의 낙하, 노인이나 장애인의 갑작스러운 건강 악화, 애완 동물의 건강 이상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긴급 상황들은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화재 같은 경우에는 화재 감지기의 소리나 불에 타는 소리가 발생할 수 있고, 적재 물건이 낙하하는 경우에는 적재 물건의 낙하에 따른 충격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노인이나 장애인의 건강 악화는 신음 소리나 사람이 쓰러지는 소리가 발생할 수 있고, 애완 동물의 건강 이상의 경우에도 애완 동물의 신음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긴급 상황들에는 그에 따른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정의 음향 센서를 실내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따른 음향 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실내 공간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시스템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긴급 상황들은 실내 공간에서 긴급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이 없을 경우에 더 큰 위험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내 공간에 소정의 모션 감지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여 긴급 상황에 따른 음향이 감지되었을 때, 실내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추가로 감지함으로써, 실내 공간 내에서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한 후 이를 관리자 측에 통보할 수 있는 시스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이러한 실내 공간에서의 긴급 상황을 감지 및 판단하는 시스템은 관리자 측으로 실내 공간이 위치하는 장소 정보나 실내 공간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개인 정보 유출과 관련된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긴급 상황을 정확히 판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측에 전달함과 동시에, 개인 정보의 유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와 모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서 발생한 긴급 상황을 관리자 단말로 초기에 통보할 수 있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실내 공간에서 발생한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가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바둑판 형태로 사전 분할되어 있는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는 긴급 상황(Emergency Situation)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 센서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Motion)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음 - 을 갖는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는 상기 실내 공간이 위치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와 상기 실내 공간의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 미리 정해진(predetermined)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를 통해 음향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음향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하고, 음향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을 생성하는 음향 감지 행렬 생성부,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을 생성하는 모션 감지 행렬 생성부, 상기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과 상기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 간의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을 연산함으로써, k2 x n2의 제1 연산 행렬을 생성하는 제1 연산 행렬 생성부 및 상기 제1 연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을 연산한 후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긴급 상황임을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면서, 긴급 상황임을 지시하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가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바둑판 형태로 사전 분할되어 있는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는 긴급 상황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 센서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음 - 을 갖는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실내 공간이 위치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와 상기 실내 공간의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를 통해 음향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음향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하고, 음향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과 상기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 간의 크로네커 곱을 연산함으로써, k2 x n2의 제1 연산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연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을 연산한 후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긴급 상황임을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면서, 긴급 상황임을 지시하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와 모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서 발생한 긴급 상황을 관리자 단말로 초기에 통보할 수 있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실내 공간에서 발생한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는 세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가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바둑판 형태로 사전 분할되어 있는 k x n개의 부분 공간들을 갖는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정보 저장부(111), 음향 감지 행렬 생성부(112), 모션 감지 행렬 생성부(113), 제1 연산 행렬 생성부(114) 및 전송부(11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는 긴급 상황(Emergency Situation)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 센서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Motion)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긴급 상황이란 화재, 적재 물건의 낙하, 노인이나 장애인의 갑작스러운 건강 악화, 애완 동물의 건강 이상 등과 같은 상황을 의미하고, 이때,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이란 화재, 적재 물건의 낙하, 노인이나 장애인의 갑작스러운 건강 악화, 애완 동물의 건강 이상 등과 같은 긴급 상황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사전 지정된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음향 감지 센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감지하도록 설정된 센서를 의미한다.
예컨대, k와 n을 각각 '2'라고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세로 2개, 가로 2개의 바둑판 형태로 사전 분할되어 있는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을 갖는 실내 공간(100)이 존재할 수 있고,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는 음향 감지 센서(141, 142, 143, 144)와 모션 감지 센서(151, 152, 153, 154)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의 정보 저장부(111)에는 실내 공간(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와 실내 공간(100)의 거주자(125)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란 거주자(125)의 이름, 연락처 및 주민등록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정보 저장부(111)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위치 정보(위도, 경도)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
위치 정보 1(37.5481, 126.9258) 식별 정보 1
음향 감지 행렬 생성부(112)는 미리 정해진(predetermined)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를 통해 음향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음향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하고, 음향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을 생성한다.
모션 감지 행렬 생성부(113)는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을 생성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이 존재한다고 하며, 상기 제1 주기를 '10분'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음향 감지 행렬 생성부(112)는 상기 제1 주기인 '10분' 간격으로,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인 '음향 감지 센서 1(141), 음향 감지 센서 2(142), 음향 감지 센서 3(143), 음향 감지 센서 4(144)'를 통해 음향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음향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하고, 음향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한 후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2 x 2의 음향 감지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음향 감지 센서 1(141)', '음향 감지 센서 2(142)' 및 '음향 감지 센서 3(143)'에서 음향이 감지되었다고 하고, '음향 감지 센서 4(144)'에서 음향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하는 경우, 음향 감지 행렬 생성부(112)는 음향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101, 102, 103)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하고, 음향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104)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함으로써,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01
'과 같은 2 x 2의 음향 감지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모션 감지 행렬 생성부(113)는 상기 제1 주기인 '10분' 간격으로,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151, 152, 153, 154)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2 x 2의 모션 감지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만약, '모션 감지 센서 1(151)', '모션 감지 센서 2(152)' 및 '모션 감지 센서 3(153)'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었다고 하고, '모션 감지 센서 4(154)'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하는 경우, 모션 감지 행렬 생성부(113)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101, 102, 103)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104)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함으로써,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02
'과 같은 2 x 2의 모션 감지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연산 행렬 생성부(114)는 상기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과 상기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 간의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을 연산함으로써, k2 x n2의 제1 연산 행렬을 생성한다.
여기서, 크로네커 곱이란 두 행렬의 텐서곱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행렬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m x n의 행렬 M과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은 p x q의 행렬 N이 주어졌다고 하였을 때,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0079891437-pat00003
Figure 112020079891437-pat00004
Figure 112020079891437-pat00005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상기 음향 감지 행렬을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06
'이라고 하고, 상기 모션 감지 행렬을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07
'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제1 연산 행렬 생성부(114)는 상기 음향 감지 행렬과 상기 모션 감지 행렬 간의 크로네커 곱을 상기 수학식 1 내지 3에 따라 연산함으로써, 4 x 4의 제1 연산 행렬인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08
'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115)는 상기 제1 연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을 연산한 후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긴급 상황임을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실내 공간(100)의 위치 정보와 거주자(125)에 대한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하면서, 긴급 상황임을 지시하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유클리드 노름이란 벡터나 행렬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L2 노름으로, 하기의 수학식 4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0079891437-pat00009
상기 수학식 4에서
Figure 112020079891437-pat00010
는 유클리드 노름을 의미하고, xi는 벡터나 행렬에 포함되어 있는 i번째 성분을 의미한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상기 제1 연산 행렬을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11
'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전송부(115)는 상기 제1 연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수학식 4에 따라 '1.732'와 같이 연산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임계치를 '1.5'라고 하는 경우, 전송부(115)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인 '1.732'가 상기 제1 임계치인 '1.5'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실내 공간(100)의 위치 정보인 '위치 정보 1(37.5481, 126.9258)'과 거주자(125)에 대한 식별 정보인 '식별 정보 1'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전송부(115)는 '위치 정보 1(37.5481, 126.9258)'과 '식별 정보 1'을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하면서, 긴급 상황임을 지시하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는 정보 저장부(111)에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을 갖는 실내 공간(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와 실내 공간(100)의 거주자(125)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해 둔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제1 주기 간격으로,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141, 142, 143, 144)를 통해 음향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음향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하고, 음향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한 후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2 x 2의 음향 감지 행렬을 생성하며,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151, 152, 153, 154)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2 x 2의 모션 감지 행렬을 생성하며, 상기 2 x 2의 음향 감지 행렬과 상기 2 x 2의 모션 감지 행렬 간의 크로네커 곱을 연산함으로써, 4 x 4의 제1 연산 행렬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연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을 연산한 후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긴급 상황임을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실내 공간(100)의 위치 정보와 거주자(125)에 대한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하면서, 긴급 상황임을 지시하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130)을 통해서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실내 공간(100)에서 발생한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부(115)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임계치의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비율을 사전 설정된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에 곱하여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를 연산한 후,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마다 관리자 단말(130)로 상기 암호화된 정보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상기 유클리드 노름을 '1.732'라고 하고, 상기 제1 임계치를 '1.5'라고 하며, 상기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를 '5분'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상기 유클리드 노름인 '1.732'는 상기 제1 임계치인 '1.5'를 초과하기 때문에, 전송부(115)는 '1.5'의 '1.732'에 대한 비율인 '0.866'을 상기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인 '5분'에 곱하여 제1 메시지 전송 주기인 '4.33분'을 연산한 후, '4.33분'마다 관리자 단말(130)로 상기 암호화된 정보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큰 값으로 연산되는 경우, 실내 공간(100) 내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메시지 전송 주기를 단축함으로써, 관리자 단말(130)로 상기 암호화된 정보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가 여러 번 반복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부(115)는 테이블 유지부(116), 시드 값 추출부(117), 암호화키 생성부(118) 및 정보 전송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유지부(116)는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를 성분으로 갖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 벡터들과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의사 난수를 생성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시드 값(seed)이 기록되어 있는 시드 값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예컨대, 테이블 유지부(116)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시드 값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위치 벡터들 시드 값
[37.548067 126.925836] 시드 값 1
[37.549498 126.9281093] 시드 값 2
[37.5464214 126.9266953] 시드 값 3
... ...
시드 값 추출부(117)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구성하는 위도와 경도를 기초로 실내 공간(100)의 위치 벡터를 생성하며, 실내 공간(100)의 위치 벡터와 상기 시드 값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 각각 간의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연산한 후 상기 시드 값 테이블로부터 상기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인 위치 벡터에 대응되는 제1 시드 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유클리드 거리란 두 개의 벡터가 존재한다고 하였을 때, 두 벡터 간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기의 수학식 5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0079891437-pat00012
상기 수학식 5에서 D는 유클리드 거리, Ai와 Bi는 두 벡터에 포함되어 있는 i번째 성분들을 의미한다. 보통, 두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가 작을수록 두 벡터는 유사한 벡터라고 볼 수 있고, 두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가 클수록 두 벡터는 비유사한 벡터라고 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시드 값 추출부(117)는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인 '위치 정보 1(37.5481, 126.9258)'과 상기 식별 정보인 '식별 정보 1'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시드 값 추출부(117)는 '위치 정보 1(37.5481, 126.9258)'을 구성하는 위도인 '37.5481'과 경도인 '126.9258'을 기초로 실내 공간(100)의 위치 벡터를 '[37.5481 126.9258]'과 같이 생성하고, 실내 공간(100)의 위치 벡터인 '[37.5481 126.9258]'과 상기 표 2와 같은 상기 시드 값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인 '[37.548067 126.925836], [37.549498 126.9281093], [37.5464214 126.9266953], ...' 각각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상기의 수학식 5에 따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인 '[37.548067 126.925836], [37.549498 126.9281093], [37.5464214 126.9266953], ...' 중 실내 공간(100)의 위치 벡터인 '[37.5481 126.9258]'과의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로 연산된 위치 벡터를 '[37.548067 126.925836]'이라고 가정하면, 시드 값 추출부(117)는 상기 표 2와 같은 상기 시드 값 테이블로부터 상기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로 연산된 위치 벡터인 '[37.548067 126.925836]'에 대응되는 제1 시드 값인 '시드 값 1'을 추출할 수 있다.
암호화키 생성부(118)는 상기 제1 시드 값을 사전 설정된 의사 난수 생성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의사 난수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사전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암호화키를 생성한다.
정보 전송부(119)는 상기 제1 암호화키가 생성되면, 미리 정해진 관리자 공개키로 상기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1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암호화키로 암호화하여 제2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연접(Concatenation)하여 최종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된 정보로서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130)은 메모리 상에 상기 시드 값 테이블, 상기 의사 난수 생성함수, 상기 해시 함수 및 상기 관리자 공개키에 대응되는 관리자 개인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130)은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로부터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복원한 후 상기 위치 정보를 구성하는 위도와 경도를 기초로 실내 공간(100)의 위치 벡터를 생성하고, 실내 공간(100)의 위치 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시드 값 테이블로부터 실내 공간(100)의 위치 벡터와의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인 위치 벡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시드 값을 추출할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시드 값 테이블을 '표 2'라고 하고,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로부터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가 수신되었다고 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130)은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만약, 관리자 단말(130)에 의해 복원된 상기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1(37.5481, 126.9258)'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130)은 상기 위치 정보인 '위치 정보 1(37.5481, 126.9258)'을 구성하는 위도인 '37.5481'과 경도인 '126.9258'을 기초로 실내 공간(100)의 위치 벡터를 '[37.5481 126.9258]'과 같이 생성하고, '[37.5481 126.9258]'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시드 값 테이블인 '표 2'에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인 '[37.548067 126.925836], [37.549498 126.9281093], [37.5464214 126.9266953], ...' 각각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상기의 수학식 5에 따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인 '[37.548067 126.925836], [37.549498 126.9281093], [37.5464214 126.9266953], ...' 중 실내 공간(100)의 위치 벡터인 '[37.5481 126.9258]'과의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로 연산된 위치 벡터를 '[37.548067 126.925836]'이라고 가정하면, 관리자 단말(130)은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시드 값 테이블인 '표 2'로부터 상기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로 연산된 위치 벡터인 '[37.548067 126.925836]'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시드 값인 '시드 값 1'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관리자 단말(130)은 상기 제1 시드 값을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의사 난수 생성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제1 암호화키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암호화키로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복원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복원을 완료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의 복원이 완료되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는 모션 감지 행렬 추가 생성부(120) 및 전원 차단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 감지 행렬 추가 생성부(120)는 거주자(125)가 보유하고 있는 거주자 관리 단말(135)로부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에 대한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시점(상기 제1 시점은 거주자 관리 단말(135)로부터 최초로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된 시점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2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x(x는 2이상의 자연수)회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크기를 갖는 x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을 추가로 생성한다.
전원 차단부(121)는 상기 x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의 합을 연산함으로써, k x n의 제2 연산 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제2 연산 행렬의 맨해튼 노름(Manhattan Norm)을 산출하고, 상기 맨해튼 노름이 실내 공간(100)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치 미만인지 확인하여 상기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의 전원을 차단한다.
여기서, 맨해튼 노름이란 벡터나 행렬의 크기를 나타내는 L1 노름으로, 하기의 수학식 6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0079891437-pat00013
상기 수학식 6에서
Figure 112020079891437-pat00014
은 맨해튼 노름을 의미하고, xi는 벡터나 행렬에 포함되어 있는 i번째 성분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이 존재한다고 하며, 상기 제2 주기를 '5초'라고 하고, 'x=2'라고 가정하자.
이때, 거주자(125)가 보유하고 있는 거주자 관리 단말(135)로부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에 대한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모션 감지 행렬 추가 생성부(120)는 거주자 관리 단말(135)로부터 최초로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된 시점인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 주기인 '5초' 간격으로,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151, 152, 153, 154)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2회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2 x 2개의 부분 공간들(101, 102, 103, 104)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2 x 2의 크기를 갖는 2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5초'동안 '모션 감지 센서 1(151)', '모션 감지 센서 2(152)' 및 '모션 감지 센서 3(153)'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었다고 하고, '모션 감지 센서 4(154)'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하는 경우, 모션 감지 행렬 추가 생성부(120)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101, 102, 103)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104)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함으로써,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15
'과 같은 2 x 2의 모션 감지 행렬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5초'가 지난 시점에서 그 다음 '5초'동안 '모션 감지 센서 1(151)', '모션 감지 센서 2(152)', '모션 감지 센서 3(153)' 및 '모션 감지 센서 4(154)'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었다고 하는 경우, 모션 감지 행렬 추가 생성부(120)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101, 102, 103, 104)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함으로써,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16
'과 같은 2 x 2의 모션 감지 행렬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모션 감지 행렬 추가 생성부(120)에 의해 상기 2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인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17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18
'이 추가로 생성되면, 전원 차단부(121)는 상기 2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의 합을 연산함으로써, 2 x 2의 제2 연산 행렬인 '
Figure 112020079891437-pat00019
'을 생성할 수 있다.
그 이후, 전원 차단부(121)는 상기 제2 연산 행렬의 맨해튼 노름을 상기 수학식 6에 따라 '1'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임계치를 '2'라고 하는 경우, 전원 차단부(121)는 상기 맨해튼 노름인 '1'이 상기 제2 임계치인 '2' 미만인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거주자(125)가 거주자 관리 단말(135)을 통해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실내 공간(100)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에 대한 전원 차단을 허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는 거주자(125)에 의해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되더라도, 실내 공간(100)에서 긴급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의 전원 차단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전원의 차단으로 인해 실내 공간(1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이 방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가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바둑판 형태로 사전 분할되어 있는 k x n개의 부분 공간들(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는 긴급 상황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 센서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음)을 갖는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상기 실내 공간이 위치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와 상기 실내 공간의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를 유지한다.
단계(S220)에서는 미리 정해진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를 통해 음향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음향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하고, 음향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을 생성한다.
단계(S230)에서는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을 생성한다.
단계(S240)에서는 상기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과 상기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 간의 크로네커 곱을 연산함으로써, k2 x n2의 제1 연산 행렬을 생성한다.
단계(S250)에서는 상기 제1 연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을 연산한 후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긴급 상황임을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면서, 긴급 상황임을 지시하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50)에서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임계치의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비율을 사전 설정된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에 곱하여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를 연산한 후,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마다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정보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50)에서는 위도와 경도를 성분으로 갖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 벡터들과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의사 난수를 생성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시드 값이 기록되어 있는 시드 값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구성하는 위도와 경도를 기초로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를 생성하며,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와 상기 시드 값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 각각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연산한 후 상기 시드 값 테이블로부터 상기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인 위치 벡터에 대응되는 제1 시드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드 값을 사전 설정된 의사 난수 생성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의사 난수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사전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암호화키가 생성되면, 미리 정해진 관리자 공개키로 상기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1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암호화키로 암호화하여 제2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연접하여 최종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된 정보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 단말은 메모리 상에 상기 시드 값 테이블, 상기 의사 난수 생성함수, 상기 해시 함수 및 상기 관리자 공개키에 대응되는 관리자 개인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상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로부터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복원한 후 상기 위치 정보를 구성하는 위도와 경도를 기초로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시드 값 테이블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와의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인 위치 벡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시드 값을 추출한 후 상기 제1 시드 값을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의사 난수 생성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제1 암호화키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암호화키로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복원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복원을 완료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의 복원이 완료되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거주자가 보유하고 있는 거주자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에 대한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시점(상기 제1 시점은 상기 거주자 관리 단말로부터 최초로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된 시점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2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x(x는 2이상의 자연수)회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크기를 갖는 x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을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x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의 합을 연산함으로써, k x n의 제2 연산 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제2 연산 행렬의 맨해튼 노름을 산출하고, 상기 맨해튼 노름이 실내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치 미만인지 확인하여 상기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111: 정보 저장부 112: 음향 감지 행렬 생성부
113: 모션 감지 행렬 생성부 114: 제1 연산 행렬 생성부
115: 전송부 116: 테이블 유지부
117: 시드 값 추출부 118: 암호화키 생성부
119: 정보 전송부 120: 모션 감지 행렬 추가 생성부
121: 전원 차단부 125: 거주자
130: 관리자 단말 135: 거주자 관리 단말
100: 실내 공간
101, 102, 103, 104: 2 x 2개의 부분 공간들

Claims (12)

  1. 세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가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바둑판 형태로 사전 분할되어 있는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는 긴급 상황(Emergency Situation)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 센서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Motion)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음 - 을 갖는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이 위치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와 상기 실내 공간의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
    미리 정해진(predetermined)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를 통해 음향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음향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하고, 음향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을 생성하는 음향 감지 행렬 생성부;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을 생성하는 모션 감지 행렬 생성부;
    상기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과 상기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 간의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을 연산함으로써, k2 x n2의 제1 연산 행렬을 생성하는 제1 연산 행렬 생성부; 및
    상기 제1 연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을 연산한 후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긴급 상황임을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면서, 긴급 상황임을 지시하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임계치의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비율을 사전 설정된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에 곱하여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를 연산한 후,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마다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정보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반복 전송하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를 성분으로 갖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 벡터들과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의사 난수를 생성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시드 값(seed)이 기록되어 있는 시드 값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테이블 유지부;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구성하는 위도와 경도를 기초로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를 생성하며,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와 상기 시드 값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 각각 간의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연산한 후 상기 시드 값 테이블로부터 상기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인 위치 벡터에 대응되는 제1 시드 값을 추출하는 시드 값 추출부;
    상기 제1 시드 값을 사전 설정된 의사 난수 생성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의사 난수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사전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암호화키 생성부; 및
    상기 제1 암호화키가 생성되면, 미리 정해진 관리자 공개키로 상기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1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암호화키로 암호화하여 제2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연접(Concatenation)하여 최종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된 정보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메모리 상에 상기 시드 값 테이블, 상기 의사 난수 생성함수, 상기 해시 함수 및 상기 관리자 공개키에 대응되는 관리자 개인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상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로부터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복원한 후 상기 위치 정보를 구성하는 위도와 경도를 기초로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시드 값 테이블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와의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인 위치 벡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시드 값을 추출한 후 상기 제1 시드 값을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의사 난수 생성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제1 암호화키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암호화키로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복원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복원을 완료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의 복원이 완료되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자가 보유하고 있는 거주자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에 대한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거주자 관리 단말로부터 최초로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된 시점임 - 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2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x(x는 2이상의 자연수)회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크기를 갖는 x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을 추가로 생성하는 모션 감지 행렬 추가 생성부; 및
    상기 x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의 합을 연산함으로써, k x n의 제2 연산 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제2 연산 행렬의 맨해튼 노름(Manhattan Norm)을 산출하고, 상기 맨해튼 노름이 실내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치 미만인지 확인하여 상기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6. 세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가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바둑판 형태로 사전 분할되어 있는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는 긴급 상황(Emergency Situation)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 센서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Motion)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음 - 을 갖는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이 위치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와 상기 실내 공간의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predetermined)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 감지 센서를 통해 음향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음향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하고, 음향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k x n의 음향 감지 행렬과 상기 k x n의 모션 감지 행렬 간의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을 연산함으로써, k2 x n2의 제1 연산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연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을 연산한 후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긴급 상황임을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거주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면서, 긴급 상황임을 지시하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임계치의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비율을 사전 설정된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에 곱하여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를 연산한 후,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마다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정보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반복 전송하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를 성분으로 갖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 벡터들과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의사 난수를 생성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시드 값(seed)이 기록되어 있는 시드 값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구성하는 위도와 경도를 기초로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를 생성하며,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와 상기 시드 값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위치 벡터들 각각 간의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연산한 후 상기 시드 값 테이블로부터 상기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인 위치 벡터에 대응되는 제1 시드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드 값을 사전 설정된 의사 난수 생성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의사 난수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사전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암호화키가 생성되면, 미리 정해진 관리자 공개키로 상기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1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암호화키로 암호화하여 제2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연접(Concatenation)하여 최종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된 정보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메모리 상에 상기 시드 값 테이블, 상기 의사 난수 생성함수, 상기 해시 함수 및 상기 관리자 공개키에 대응되는 관리자 개인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상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로부터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최종 암호화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복원한 후 상기 위치 정보를 구성하는 위도와 경도를 기초로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시드 값 테이블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의 위치 벡터와의 유클리드 거리가 최소인 위치 벡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시드 값을 추출한 후 상기 제1 시드 값을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의사 난수 생성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의사 난수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제1 암호화키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암호화키로 상기 제2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복원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복원을 완료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의 복원이 완료되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긴급 상황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자가 보유하고 있는 거주자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에 대한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거주자 관리 단말로부터 최초로 전원 차단 명령이 수신된 시점임 - 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2 주기 간격으로,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x(x는 2이상의 자연수)회 확인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부분 공간에 대해 0의 코드를 할당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 공간에 대해 1의 코드를 할당한 후 상기 k x n개의 부분 공간들 각각에 할당된 코드를 각 부분 공간의 위치에 따른 행렬의 성분으로 지정함으로써, k x n의 크기를 갖는 x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을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x개의 모션 감지 행렬들의 합을 연산함으로써, k x n의 제2 연산 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제2 연산 행렬의 맨해튼 노름(Manhattan Norm)을 산출하고, 상기 맨해튼 노름이 실내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치 미만인지 확인하여 상기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94975A 2020-07-30 2020-07-30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17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975A KR102217219B1 (ko) 2020-07-30 2020-07-30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975A KR102217219B1 (ko) 2020-07-30 2020-07-30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219B1 true KR102217219B1 (ko) 2021-02-18

Family

ID=7468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975A KR102217219B1 (ko) 2020-07-30 2020-07-30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2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69B1 (ko) * 2021-04-12 2021-07-13 (주)한컴인텔리전스 어군 생태계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어군 생태계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38350B1 (ko) * 2021-03-25 2021-12-13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반려동물 액세서리에 삽입된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25132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자격증에 대한 진위여부 검증을 수행하는 자격증 검증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33727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2차원 코드가 인쇄된 결제용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 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카드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53954B1 (ko) * 2022-08-10 2023-07-10 천병현 IoT 기반의 식물 식재가 가능한 스마트 화분 및 동작 방법
KR102614893B1 (ko) * 2022-11-22 2023-12-15 정희섭 다중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330A (ko) * 2011-05-31 2012-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소리 기반 공간지도를 이용한 상황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20133576A (ko) * 2011-05-31 2012-12-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80060588A (ko) * 2016-11-29 2018-06-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데이터 보안이 강화된 전자 서명 장치 및 방법
JP2019057329A (ja) * 2015-09-24 2019-04-11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高速直交射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330A (ko) * 2011-05-31 2012-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소리 기반 공간지도를 이용한 상황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20133576A (ko) * 2011-05-31 2012-12-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019057329A (ja) * 2015-09-24 2019-04-11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高速直交射影
KR20180060588A (ko) * 2016-11-29 2018-06-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데이터 보안이 강화된 전자 서명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132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자격증에 대한 진위여부 검증을 수행하는 자격증 검증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4299B1 (ko) * 2021-03-04 2023-09-06 주식회사 한컴위드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자격증에 대한 진위여부 검증을 수행하는 자격증 검증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338350B1 (ko) * 2021-03-25 2021-12-13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반려동물 액세서리에 삽입된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33727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2차원 코드가 인쇄된 결제용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 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카드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650176B1 (ko) * 2021-03-25 2024-03-21 주식회사 한컴위드 2차원 코드가 인쇄된 결제용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 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카드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276669B1 (ko) * 2021-04-12 2021-07-13 (주)한컴인텔리전스 어군 생태계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어군 생태계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220354A1 (ko) * 2021-04-12 2022-10-20 (주)한컴인텔리전스 어군 생태계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어군 생태계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53954B1 (ko) * 2022-08-10 2023-07-10 천병현 IoT 기반의 식물 식재가 가능한 스마트 화분 및 동작 방법
KR102614893B1 (ko) * 2022-11-22 2023-12-15 정희섭 다중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219B1 (ko)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61636B2 (en) Gunshot detection system anti-tampering protection
US9026571B2 (en) Random number generation failure detection and entropy estimation
KR102233841B1 (ko) 계량 값 분석을 기초로 고장 여부의 판단이 가능한 디지털 수도 계량기 및 그 동작 방법
RU2013130226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снованного на геометрии кодирова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звука
CN109214170A (zh) 经由辅助文件分析进行恶意软件标识
US20240007487A1 (en) Asset Remediation Trend Map Generation and Utilization for Threat Mitigation
CN104299378A (zh) 检测报警情形并使用向移动设备的语音输入向外部系统发送无声警报的方法
US20230418938A1 (en) Attack kill chain generation and utilization for threat analysis
US10599330B2 (en) Challenge generation for verifying users of computing devices
KR102129771B1 (ko) Cctv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영상 내 촬영 대상자의 행위 인식을 수행하는 cctv 관리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5156808A1 (en) Partial snapshots for creating generalized snapshots
KR20140131188A (ko) 저비용으로 사생활 보호 및 관심 강조 기능을 구비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84740A1 (en) Detecting earthquakes through a network of geographically distributed sensors
US114495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gional event based on search engine, and storage medium
JP2015045961A (ja) 情報処理装置、監視カメラ装置、及び映像再生装置
WO2021221256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11569B1 (ko) 무인 매장에서의 출입 고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인 매장 출입 고객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95864B1 (ko) 디지털 트윈 모델을 도출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131678A (ko)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JP666559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346502B1 (ko)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415684A (zh) 威胁检测信息分配系统及方法
JP6053646B2 (ja) 監視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Mohamed et al. Development of Gesture-Based Women Safety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