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488A - 정위 수술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 체결 방법 - Google Patents

정위 수술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 체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488A
KR20230148488A KR1020220047270A KR20220047270A KR20230148488A KR 20230148488 A KR20230148488 A KR 20230148488A KR 1020220047270 A KR1020220047270 A KR 1020220047270A KR 20220047270 A KR20220047270 A KR 20220047270A KR 20230148488 A KR20230148488 A KR 20230148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taxic
stand
stereotactic
pati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현
김병목
윤상열
최혜정
윤영이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488A/ko
Publication of KR2023014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4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1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25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6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specific support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mechanical surface adaptations
    • A61G13/129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mechanical surface adaptations having alignment devices for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사람의 상체가 배치되는 몸 고정부, 상기 몸 고정부의 양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상기 몸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에서 또 다른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연결하여 상기 사람의 상체를 상기 몸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끈 및 상기 몸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머리를 받치는 머리 받침부를 포함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위 수술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 체결 방법{STEREOTACTIC SURGERY SUPPORTER AND METHOD OF HOLDING THE STEREOTACTIC FRA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위 수술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위 프레임을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정위 수술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 외과학의 경향은 최소한의 절개를 통하여 수술하는 것으로, 전산화 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 등 첨단 진단장비를 이용하여 진단하고 개복술 또는 개두술보다는 무형의 칼이라 불리는 레이저나, 방사선 또는 내시경 등을 이용하여 수술하는 것을 선호한다. 특히, 뇌종양, 뇌혈관 수술은 가능하면 전신마취와 피부절개가 없고 후유증이나 합병증이 적은 장점을 가진 정위적 방사선 수술을 선호한다. 정위 수술은 먼저 환자 머리의 4군대에 마취를 해서 정위 프레임을 고정시킨다. 정상적인 환자의 경우에는 정위 프레임을 고정시킬 때 문제가 없지만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앉기가 힘든 환자일 경우에는 정위 프레임을 고정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앉기가 힘든 환자를 위한 누워서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정위 수술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위 수술 받침대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정위 프레임을 씌우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사람의 상체가 배치되는 몸 고정부, 상기 몸 고정부의 양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상기 몸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에서 또 다른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연결하여 상기 사람의 상체를 상기 몸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끈 및 상기 몸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머리를 받치는 머리 받침부를 포함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를 제공한다.
상기 머리 받침부는 침대 밖에서 환자의 머리를 받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머리 받침부의 너비는 상기 몸 고정부의 너비보다 좁지만 환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너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 받침부의 너비는 정위 프레임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어 정위 프레임 고정 시에 환자의 머리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 고정부의 너비는 45 내지 110 cm이고, 상기 몸 고정부의 높이는 65 내지 75 cm일 수 있다. 상기 머리 받침부의 너비는 10 내지 20 cm이고, 상기 머리 받침부의 높이는 20 내지 30 cm일 수 있다.
상기 몸 고정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 받침부와 환자의 머리는 함께 정위 프레임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끈은 벨크로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체를 결속시키기 용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의 끝단에 머리 받침부가 돌출되게 정위 수술 받침대를 배치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정위 수술 받침대 상에 환자의 몸을 눕히는 제2 단계, 상기 환자의 몸을 상기 정위 수술 받침대의 몸 고정부에 고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머리 받침대에 의해 침대 밖으로 돌출된 환자 머리에 정위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을 머리에 고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환자의 상체는 정위 수술 받침대의 몸 고정부에 형성된 구멍을 이용하여 끈으로 묶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정위 프레임은 환자의 머리 4군대에 핀을 꽂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용 침대에 눕힌 상태에서 거동이 불편하거나 앉기가 힘든 환자의 머리에 정위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위 수술 받침대의 도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위 수술 받침대를 이용하여 환자의 머리에 정위 프레임을 씌우는 상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위 수술 받침대를 이용하여 환자의 머리에 정위 프레임을 씌우는 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앉기가 힘든 환자일 경우 누워서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받침대가 필요하다는 발명자의 인식하에, 의료용 침대에 누워서 프레임을 씌울 수 있는 정위 수술 받침대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정위 수술 받침대는 정위 수술 시 의료용 침대에 누워서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정위 수술 받침대는 받침대의 모양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정위 수술 받침대는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모양"은 나사 고정시 위치 제약이 없는 정위 프레임을 의미하며, 나사 고정시 위치 제약이 없는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는 대상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이 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정위 수술 받침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위 수술 받침대의 도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위 수술 받침대를 이용하여 환자의 머리에 정위 프레임을 씌우는 상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정위 수술 받침대를 이용하여 환자의 머리에 정위 프레임을 씌우는 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정위 수술 받침대(10)는 크게 머리 받침부(100) 및 몸 고정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머리 받침부(100)는 침대 밖으로 환자의 머리를 돌출시켜 정위 프레임(20)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환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받치고 정위 프레임(20)이 들어갈 수 있는 너비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머리 받침부(100)의 너비는 몸 고정부(200)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몸 고정부의 너비는 45 내지 110 cm일 수 있고, 높이는 65 내지 75 cm일 수 있다. 머리 받침부의 너비는 10 내지 20 cm일 수 있고, 높이는 20 내지 30 cm일 수 있다. 정위 프레임(20) 고정 시에 머리 받침부(100)와 환자의 머리는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머리 받침부(100)는 얇은 두께이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몸 고정부(200)의 양측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구멍(H1, 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 고정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H1)에서 반대편 일측에 형성된 구멍(H2)으로 끈을 연결하여 환자의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구멍(H1, H2)의 형상은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든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원형, 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을 아니다. 끈은 결속시키기 용이한 소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벨크로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 상기 정위 수술 받침대(10)를 이용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침대에 눕힌 상태에서 정위 프레임(20)을 씌우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의료용 침대의 끝단에 머리 받침부(100)가 돌출되게 정위 수술 받침대(10)를 배치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정위 수술 받침대(10) 상에 환자의 몸을 눕히는 제2 단계, 상기 환자의 상체를 상기 정위 수술 받침대(10)의 몸 고정부(200)에 고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머리 받침대(100)에 의해 침대 밖으로 돌출된 환자 머리에 정위 프레임(20)을 고정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10)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20)을 머리에 고정하는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제1 단계에서, 의료용 침대 상에 정위 수술 받침대(10)를 올려놓을 수 있다. 이 때, 정위 수술 받침대(10)의 머리 받침부(100)는 침대 밖으로 돌출되지만 몸 받침부(200)는 침대 안쪽에 배치시킬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의료용 침대에 올려둔 정위 수술 받침대(10) 상에 환자를 눕힐 수 있다. 환자의 머리는 정위 수술 받침대(10)의 머리 받침부(100)에 위치시키고 환자의 상체는 몸 고정부(20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3 단계에서, 환자의 상체는 정위 수술 받침대(10)의 몸 고정부(200)에 형성된 구멍을 이용하여 끈으로 묶어 고정시킬 수 있다. 환자의 몸과 정위 수술 받침대(10)는 정위 프레임(20)을 고정시키거나 정위 수술 시에도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제4 단계에서, 침대 밖으로 돌출된 정위 수술 받침대(10)의 머리 받침대와 환자의 머리에 정위 프레임(20)을 씌울 수 있다. 정위 프레임(20)은 환자의 머리 4군대에 핀으로 꽂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정위 수술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앉기가 힘든 환자일 경우 누워서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받침대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의료용 침대에 누워서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정위 수술 받침대를 개발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정위 수술 받침대
20 : 정위 프레임
100 : 머리 받침부
200 : 몸 고정부
H1, H2 : 몸 고정부의 구멍

Claims (9)

  1. 사람의 상체가 배치되는 몸 고정부;
    상기 몸 고정부의 양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상기 몸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에서 또 다른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연결하여 상기 사람의 상체를 상기 몸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끈; 및
    상기 몸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머리를 받치는 머리 받침부;를 포함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 고정부의 너비는 45 내지 110 cm이고,
    상기 몸 고정부의 높이는 65 내지 75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부의 너비는 10 내지 20 cm이고,
    상기 머리 받침부의 높이는 20 내지 3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부와 환자의 머리가 함께 정위 프레임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
  7. 의료용 침대의 끝단에 머리 받침부가 돌출되게 정위 수술 받침대를 배치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정위 수술 받침대 상에 환자의 몸을 눕히는 제2 단계;
    상기 환자의 몸을 상기 정위 수술 받침대의 몸 고정부에 고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머리 받침대에 의해 침대 밖으로 돌출된 환자 머리에 정위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을 머리에 고정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환자의 몸은 상기 정위 수술 받침대의 몸 고정부에 형성된 구멍을 이용하여 끈으로 묶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을 머리에 고정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정위 프레임은 환자 머리의 4군대에 핀을 꽂아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수술 받침대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을 머리에 고정하는 방법.
KR1020220047270A 2022-04-18 2022-04-18 정위 수술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 체결 방법 KR20230148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270A KR20230148488A (ko) 2022-04-18 2022-04-18 정위 수술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 체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270A KR20230148488A (ko) 2022-04-18 2022-04-18 정위 수술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 체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488A true KR20230148488A (ko) 2023-10-25

Family

ID=8851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270A KR20230148488A (ko) 2022-04-18 2022-04-18 정위 수술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 체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4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66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body part
KR101474596B1 (ko) 환자 위치 시스템
US5865780A (en) Transportable cervical immobilization device
US6882878B2 (en) Res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imaging procedures
US20230380690A1 (en) Wearable open and adjustable mri head coil
US20150119902A1 (en) Frame for fixation of equipment to the head of a patient during neurological diagnosis, stereotactic imaging, therapy or surgery
US7036169B2 (en) Extremity positioner
RU25257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ммобилизации позвоночника
JP2008504847A (ja) 患者の医療画像撮影を遂行する時に使用する支持システム
US20060173390A1 (en) Immobilizing assembly and methods for use in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JP2011036676A (ja) 医用頭部固定装置及び当該医用頭部固定装置を利用する医用寝台システム
US20140224262A1 (en) Devices for applying tension to a patient shoulder and associated installation method
ES2360827T3 (es) Soporte para sujetar e inmovilizar una parte del cuerpo de un ser vivo durante el tratamiento.
US20120289759A1 (en) Interlocking vacuum cushion
CN210582637U (zh) 手术定位组件及磁共振兼容手术导航系统
KR20230148488A (ko) 정위 수술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정위 프레임 체결 방법
GB2068700A (en) Positioning devices for patients
KR102595940B1 (ko) 정위 수술 프레임용 베개
CN211583972U (zh) 一种医疗重症医学临床用固定装置
US20220409085A1 (en) Comfortable mri receiver coil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ultrasound, diagnostic, therapeutic, and interventional implements
JP7106313B2 (ja) 医用固定具
CN220175132U (zh) 一种儿童患者ct体位固定装置
CN219048561U (zh) 头颅ct扫描头部定位装置
CN220237277U (zh) 介入导管室专用防护头枕及起搏器植入手术专用防护头枕
US20240050769A1 (en) Breast immobiliz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