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928A - 연습용 꽹과리 - Google Patents

연습용 꽹과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928A
KR20230147928A KR1020220046889A KR20220046889A KR20230147928A KR 20230147928 A KR20230147928 A KR 20230147928A KR 1020220046889 A KR1020220046889 A KR 1020220046889A KR 20220046889 A KR20220046889 A KR 20220046889A KR 20230147928 A KR20230147928 A KR 2023014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ractice
gong
hol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123B1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220046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123B1/ko
Publication of KR2023014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는,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외곽에 연결되어, 연주자가 받쳐들 수 있는 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진동판에 위치하여, 상기 연주자가 연주 시 타격하는 부분인 타격부 및 상기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며, 상기 진동을 줄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감쇄홀이 형성된 진동 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습용 꽹과리{KKWAENGGWARI FOR PRACTICE}
본 발명은 연습용 꽹과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꽹과리는 농악이나 무속 음악 등에서 다양한 장단의 음악을 주도하는 금속 타악기이다. 꽹과리는 ‘꽹매기',‘깽매기’,‘괴’,‘광쇠’,‘꽝쇠’,‘깽쇠’,‘소금’,‘소쟁’등의 여러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데, 이런 이름들은 모두 소리를 내는 작은 쇠라는 뜻으로 사용된 이름들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소금’이나 ‘소쟁’이라는 명칭은 꽹과리와 여러모로 닮은 악기인 징을 ‘대금’또는 ‘대장’이라는 명칭으로 부른 것에서 비롯되었다.
날카롭고 야무진 소리를 내는 꽹과리는 농악대를 이끄는 수장 노릇을 한다. 농악대의 꽹과리는 잽이의 역할을 따라 상쇠와 부쇠, 종쇠로 구분하며, 음양(陰陽)의 조화를 고려해 음색이 부드럽고 낮은 암꽹과리와 음색이 강하고 높은 수꽹과리로 차이를 둔다. 이 중에서 상쇠는 수꽹과리를 치며, 상쇠의 꽹과리 소리는 농악대원들에게 가락의 변화와 진을 짜나가는 방향과 순서, 그리고 개인의 기량을 펼치는 구정 놀이의 차례를 지정해 준다. 또한 오늘날 사물놀이는 농악을 작은 규모로 편성하고 무대화하여 앉은 반으로 편성한 것이다. 여기에 대표적인 악기로서 꽹과리는 장구·북·징과 함께 섬세하고 생동감 넘치는 리듬 변화를 주도하는 악기로 더욱 유명하다.
꽹과리 연주 시에 꽹과리의 금속의 떨림이 없는 상태에서 타격을 주어야 최고의 소리를 낼 수 있다. 이에 꽹과리 타격 후 꽹과리의 후면을 중지나 약지로 접지하여 꽹과리의 떨림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꽹과리의 경우, 소리가 크고 날카로워 방음시설이 갖추어진 연습실 이외의 공간에서는 연습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초보자의 경우 꽹과리의 진동을 조절하기 어렵고, 특히, 연주자의 시선에서 꽹과리의 떨림을 조절하기 위한 손이 보이지가 않아 연주에 익숙해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582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3911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감쇄부를 포함하여 꽹과리 연주 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연습용 꽹과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주자가 연주 시 손을 볼 수 있는 진동 조절부를 포함하여 초보자도 용이하게 꽹과리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는 연습용 꽹과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외곽에 연결되어, 연주자가 받쳐들 수 있는 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진동판에 위치하며, 상기 연주자가 연주시 타격하는 부분인 타격부 및 상기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며, 상기 진동을 줄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감쇄홀이 형성된 진동 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판은, 연주시 상기 연주자의 중지, 약지 및 소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연주자가 상기 진동을 조절할 수 있는 진동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 조절부는 상기 연주자가 자신의 손을 확인할 수 있는 진동 조절홀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조절홀은 상기 진동 감쇄홀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상기 진동 감쇄홀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 감쇄홀의 직경은, 1 내지 10mm일 수 있다.
상기 진동 감쇄부는, 상기 진동판 전체 면적의 30% 이상의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타격부와 상기 진동 감쇄부는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진동 조절부는 V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진동 조절홀의 직경은 3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진동 조절홀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상기 진동 조절홀 또는 상기 진동 감쇄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차단 부재는, 상기 진동 조절홀 또는 상기 진동 감쇄홀에 삽입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 조절홀 또는 상기 진동 감쇄홀의 외부로 돌출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은, 상기 진동 조절홀 또는 상기 진동 감쇄홀의 직경과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진동 조절홀 또는 상기 진동 감쇄홀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는 진동 감쇄부를 포함하여 꽹과리 연주 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연주자가 연주 시 손을 볼 수 있는 진동 조절부를 포함하여 초보자도 용이하게 꽹과리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의 연주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습용 꽹과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자른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13은 진동 차단 부재가 진동 조절홀 및 진동 감쇄홀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의 연주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는 진동판(100), 테두리(200) 및 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습용 꽹과리(10)는 진동판(100)에 후술하는 진동 감쇄부(130)가 형성되어 기존의 꽹과리에 비해 연주 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연습용 꽹과리(1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습용 꽹과리(10)의 연주 방식을 알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연주자는 연습용 꽹과리(10)를 타격 후 진동을 유지하기 위해 검지만을 테두리(200)에 걸쳐 연습용 꽹과리(10)를 파지할 수 있다. 즉, 연주자의 중지, 약지 및 소지의 일면이 진동판(100)에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연주자는 연습용 꽹과리(10)를 다시 타격하고자 할 때, 진동을 없앤 후 타격해야 흔들림 없는 연주음을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연습용 꽹과리(10)를 다시 타격하기 전에 중지, 약지 및 소지의 일면을 진동 조절부(120)에 접촉시켜 진동을 없앨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동판(100)은 타격부(110), 진동 조절부(120) 및 진동 감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100)은 진동이 발생하는 금속판일 수 있다. 진동판(100)은 단면을 잘랐을 때 중앙을 기준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일정한 비율로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진동판(100)은 지름이 20 내지 25cm 정도인 판일 수 있다.
진동판(100)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비교적 울림이 적고 단음이 나며 지나친 공명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판(100)의 두께가 얇을 경우 울림이 많고 잡음이 생기며 멀리까지 소리가 퍼질 수 있다. 진동판(100)은 구리와 아연 또는 주석이 6:4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된 합금인 놋쇠로 제작될 수 있다. 진동판(100)은 구리의 합금비율이 높으면 맑은 소리가 날 수 있다. 진동판(100)은 구리의 합금 비율이 낮거나 납이 섞여 있으면 낮고 탁한 소리가 나며 공명이 적어 오래가지 않을 수 있다. 진동판(100)에는 필요에 따라 금이나 은을 섞을 수 있다.
다만, 진동판(100)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타격부(110)는 진동판(100)에 위치하며, 연주자가 연주 시 직접 채로 타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타격부(110)는 진동판(100)의 중앙과 테두리(200) 사이에 위치하여 진동판(100)에서 타격시 진동이 많이 생기고 공명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진동판(100)의 중앙은 동일한 재질의 판이 두껍게 형성된 바, 타격시 진동이 적고 연주음이 널리 퍼지지 않을 수 있다. 타격부(110)는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 지는 바, 연주자는 원하는 음높이, 음색 및 음량에 따라 타격부(110) 내에서 타격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진동 조절부(120)는 연주시 연주자의 중지, 약지 및 소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연주자가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진동 조절부(120)는 연주자가 연습용 꽹과리(10)를 파지하였을 때 연주자의 중지, 약지 및 소지에 대응되는 위치인 진동판(100)의 중앙부에서 테두리(200)를 향한 방사상의 일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진동 감쇄부(130)는 진동판(100)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며, 진동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진동 감쇄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쇄부(130)는 복수의 진동 감쇄홀(131)이 형성된 부분이므로, 타격으로 발생한 진동판(100)의 진동이 진동 감쇄부(130)를 거치며 감쇄될 수 있다.
진동 감쇄부(130)는 진동판(100) 전체 면적의 30% 이상의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진동 감쇄부(130)가 차지하는 면적이 진동판(100) 전체 면적의 30% 미만이라면, 진동판(100) 타격에 따른 진동이 충분히 전달되어 기존의 꽹과리에 비해 소음 저감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방음 시설이 갖춰진 연습실 이외의 공간에서도 소음 문제없이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할 때 진동 감쇄부(130)는 진동판(100) 전체 면적의 30% 이상의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진동 감쇄부(130)는 진동판 전체 면적의 40% 이상의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진동 감쇄부(130)는 타격부(110)를 제외한 면적에 위치할 수 있다. 진동 감쇄부(130)가 타격부(110)에도 형성되어 있다면, 연주자의 타격부(110) 타격으로 인한 진동이 제대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진동 감쇄부(130)에 후술하는 진동 감쇄홀(131)이 형성된 바, 연주자가 타격시 타격 면적이 고르지 않아 실제 꽹과리의 타격음과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습용 꽹과리(10)의 연습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다만, 연습용 꽹과리(10)의 연주 음량을 최대로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타격부(110)에도 진동 감쇄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진동 감쇄부(130)는 진동판(100)의 하부에 중심각이 180도가 넘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도 2 참조). 진동 감쇄부(130)를 제외한 타격부(110)는 진동판(100)의 상부에 중심각이 180도가 안되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진동 감쇄홀(131)은 진동판(100)의 진동을 줄이기 위해 형성된 복수의 홀(Hole)로 연습용 꽹과리(10)의 음량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진동 감쇄홀(131)은 진동판(100)의 일정 면적에 분산되어 배치된 바, 진동판(100)의 타격으로 인한 진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습용 꽹과리(10)는 진동 감쇄홀(131)이 구비되지 않은 기존의 꽹과리에 비해 적은 음량으로 동일한 연주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바, 방음 시설이 구비된 연습실이 아닌 공간에서도 연습할 수 있다.
진동 감쇄홀(131)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진동 감쇄홀(131)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바, 진동판(100)의 전반에 걸쳐 동일한 정도로 진동이 감쇄할 수 있다. 진동판(100)의 전면적에 걸쳐 진동이 감쇄되는 정도가 다르다면 연습용 꽹과리(10)의 연주음이 기존의 꽹과리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습용 꽹과리(10)는 기존의 꽹과리의 음색을 최대한 살리면서 음량만을 줄이기 위해 진동 감쇄홀(131)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은 1 내지 10mm일 수 있다.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이 1mm 미만이라면, 진동 감쇄홀(131)이 지나치게 작아 진동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습용 꽹과리(10)의 소음 저감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이 10mm 초과한다면, 진동 감쇄홀(131)이 지나치게 커 타격부(110)의 타격으로 발생한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고 차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연주자가 연습용 꽹과리(10)의 타격으로 인한 음을 제대로 들을 수 없어 연습용 꽹과리(10)의 연습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은 1 내지 10mm일 수 있다. 다만, 가정집과 같이 소음을 최소화하여 연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은 10mm를 초과할 수 있다.
테두리(200)는 진동판(100)의 외곽에 연결되어, 연주자가 받쳐들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테두리(200)는 연주자가 연주 시 왼손 검지로 받쳐드는 부분일 수 있다. 테두리(200)는 진동판(100)의 외곽에 형성된 측벽 형상일 수 있다. 테두리(200)가 진동판(100)의 외곽에 측벽 형상으로 형성된 바, 진동판(100)의 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자가 손을 진동판(100)의 후면에 손을 넣어 소리의 여운, 크기 및 울림을 조절할 수 있다.
테두리(200)는 받침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210)는 테두리(200) 중 후술하는 끈(300)의 인근에 연주자가 손을 넣어 받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테두리(200)의 상단에 위치한 받침부(210)의 안쪽에 연주자는 왼손 검지를 받쳐 연습용 꽹과리(10)를 들 수 있다. 다만, 연습용 꽹과리(10)의 음색이나 음량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연주자의 왼손 검지는 진동판(100)에 닿지 않을 수 있다.
테두리(200)는 구리와 아연 또는 주석이 6:4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된 합금인 놋쇠로 제작될 수 있다. 테두리(200)는 구리의 합금비율이 높으면 맑은 소리가 날 수 있다. 테두리(200)는 구리의 합금 비율이 낮거나 납이 섞여 있으면 낮고 탁한 소리가 나며 공명이 적어 오래가지 않을 수 있다. 테두리(200)에는 필요에 따라 금이나 은을 섞을 수 있다.
다만, 테두리(200)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끈(300)은 테두리(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줄로, 연주자가 잡아 보다 안정적으로 연습용 꽹과리(10)를 들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끈(300)은 테두리(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연주자는 연습용 꽹과리(10)를 연주 시 끈(300)에 왼손 엄지를 감고 검지를 테두리(200)의 받침부(210)에 받쳐 든 상태에서 진동판(100)을 채(미도시)로 타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는 진동 감쇄홀(131)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감쇄홀(131)은 진동판(100)의 일정면적을 차지하며 뚫려있을 수 있다. 진동 감쇄홀(131)은 진동판(100)의 타격부(110)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진동 감쇄홀(131)은 중심각이 180도 내지 270도인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진동 감쇄홀(131)은 중심각이 90도 이내인 부채꼴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 감쇄홀(131)은 진동 감쇄부(130)에서의 진동을 모두 차단하는 바, 소음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연습용 꽹과리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자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는 진동 조절부(12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조절부(120)는 진동 조절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조절부(120)는 왼손 잡이와 오른손 잡이를 모두 고려하여 V자 형상일 수 있다(도 4 참조). 진동 조절부(120)는 연주자가 연습용 꽹과리(10)를 오른손으로 들 경우와 왼손으로 들 경우에 연주자의 중지, 약지 및 소지가 위치하는 위치가 다른 바 이를 고려하여 V자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조절부(120)는 연주자가 연습용 꽹과리(10)를 연주시 중지, 약지 및 소지의 일면을 진동 조절부(120)에 접촉시켜 진동판(100)의 진동을 멈출 수 있다. 진동 조절부(120)의 조절로 인해 연주자는 연습용 꽹과리(10)를 타격 후 잔진동을 없앤 후 다시 타격하여 보다 깔끔한 연주음을 낼 수 있다.
진동 조절홀(121)은 연주자가 자신의 손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D1)을 지닌 홀일 수 있다. 진동 조절홀(121)은 진동 조절홀(121)로 투과되는 빛을 통해 연주자가 자신의 손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연주 시 타격으로 인한 진동판(100)의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진동 감쇄홀(131)과 기능이 다를 수 있다.
진동 조절홀(121)은 연주자가 자신의 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 바, 단지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D2) 보다 큰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은 3 내지 15mm일 수 있다.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이 3mm 미만이라면,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이 지나치게 작아 연주자가 자신의 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을 수 있다.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이 15mm 초과한다면, 진동 조절홀(121)이 지나치게 커 타격부(110)의 타격으로 발생한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고 차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연주자가 연습용 꽹과리(10)의 타격으로 인한 음을 제대로 들을 수 없어 연습용 꽹과리(10)의 연습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은 3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4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는 진동 감쇄부(13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감쇄부(13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진동 감쇄부(130)는 진동판(100)의 약 50%의 면적을 채우는 반원 형상의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 감쇄부(130)가 형성되어, 진동 감쇄부(130)가 형성된 곳과 그렇지 않은 타격부(110)를 구분할 수 있다.
연주자의 손이 타격부(110) 바로 뒤에 위치하는 연습용 꽹과리(10)의 특성 상 진동 감쇄홀(131)이 형성되지 않은 타격부(110)는 연주자의 손을 타격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타격부(110)는 기존의 꽹과리와 동일한 바, 꽹과리의 음색을 유지하며 진동 감쇄홀(131)에 의해 음량만을 줄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진동 감쇄부(130)는 진동판(100)의 중앙부에 위치한 원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 감쇄부(130)가 형성되어, 진동 감쇄부(130)가 형성된 곳과 그렇지 않은 타격부(110)를 구분할 수 있다.
연습용 꽹과리(10)는 주로 진동판(100)의 중앙부보다 외곽에서 타격이 이루어 지는 바, 상기와 같은 진동 감쇄부(130)의 형상은 넓은 타격부(110)를 확보하는 동시에 진동 감쇄부(130) 영역도 확보할 수 있다. 진동 감쇄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타격부(110)를 통해 타격으로 인한 진동이 전달되는 바, 기존의 꽹과리의 음색을 유지할 수 있다. 연습용 꽹과리(10)의 전면적에 고루 진동이 전달되는 바, 기존의 꽹과리와 음색이 가장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연주자의 손이 타격부(110) 바로 뒤에 위치하는 연습용 꽹과리(10)의 특성 상 진동 감쇄홀(131)이 형성되지 않은 타격부(110)는 연주자의 손을 타격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타격부(110)는 기존의 꽹과리와 동일한 바, 꽹과리의 음색을 유지하며 진동 감쇄홀(131)에 의해 음량만을 줄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진동 감쇄부(130)는 진동판(100)의 전면적에 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 감쇄부(130)가 형성된 경우, 기존의 꽹과리에 비해 연주 시에 발생하는 연주 소음을 가장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은 연습용 꽹과리(10)는 소음에 민감한 가정집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연습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5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는 진동 조절홀(121)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조절홀(121)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진동 조절홀(121)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별형상 및 이들의 조합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0과 같은 연습용 꽹과리(10)는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장식적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진동 조절홀(121)의 다양한 형상이 연습용 꽹과리(10)의 음색을 해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동판(10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 및 13은 진동 차단 부재가 진동 조절홀 및 진동 감쇄홀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6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는 진동 차단 부재(140, 150)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꽹과리(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용 꽹과리(10)는 진동 차단 부재(140, 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차단 부재(140, 150)는 제1 진동 차단 부재(140) 및 제2 진동 차단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차단 부재(140, 150)는 진동 조절홀(121) 또는 진동 감쇄홀(131)에 끼움 결합되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진동 차단 부재(140, 150)는 기둥(141, 151) 및 헤드(142, 1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 차단 부재(140, 150)는 헤드(142, 152)보다 좁은 진동 조절홀(121) 또는 진동 감쇄홀(13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니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차단 부재(140, 150)는 천연고무, 실리콘 및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진동 차단 부재(140, 15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진동 차단 부재(140)는 제1 기둥(141) 및 제1 헤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 차단 부재(140)는 진동 조절홀(121)에 끼움 결합되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기둥(141)은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과 동일한 너비(W1)를 가질 수 있다. 제1 기둥(141)의 너비(W1)가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보다 크다면, 탈착이 필요한 제1 진동 차단 부재(140)의 끼움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제1 기둥(141)의 너비(W1)가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보다 작다면, 제1 진동 차단 부재(140)가 결합 시 진동 조절홀(121)의 외곽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진동 차단 부재(140)와 진동판(100)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진동 차단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둥(141)의 너비(W1)는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과 동일한 너비(W1)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기둥(141)의 높이(H3)는 진동 조절홀(121)의 높이(H1)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기둥(141)의 높이(H3)가 진동 조절홀(121)의 높이(H1)보다 작다면, 탈착이 필요한 제1 진동 차단 부재(140)의 끼움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제1 기둥(141)의 높이(H3)가 진동 조절홀(121)의 높이(H1)보다 크다면, 제1 진동 차단 부재(140)가 결합 시 진동판(100)의 상하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진동 차단 부재(140)와 진동판(100)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진동 차단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둥(141)의 높이(H3)는 진동 조절홀(121)의 높이(H1)와 동일한 높이(H3)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헤드(142)는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보다 큰 너비(W2)를 가질 수 있다. 제1 헤드(142)의 너비(W2)가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보다 작을 경우, 제1 진동 차단 부재(140)가 결합된 후에도 연습용 꽹과리(10)의 연습에 따른 충격 및 움직임에 의해 쉽게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헤드(142)는 진동 조절홀(121)의 직경(D1)보다 큰 너비(W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진동 차단 부재(150)는 제2 기둥(151) 및 제2 헤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동 차단 부재(150)는 진동 감쇄홀(131)에 끼움 결합되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기둥(151)은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D2)과 동일한 너비(W3)를 가질 수 있다. 제2 기둥(151)의 너비(W3)가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D2)보다 크다면, 탈착이 필요한 제2 진동 차단 부재(150)의 끼움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제2 기둥(151)의 너비(W3)가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D2)보다 작다면, 제2 진동 차단 부재(150)가 결합 시 진동 감쇄홀(131)의 외곽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진동 차단 부재(150)와 진동판(100)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진동 차단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둥(151)의 너비(W3)는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D2)과 동일한 너비(W3)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기둥(151)의 높이(H4)는 진동 감쇄홀(131)의 높이(H2)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기둥(151)의 높이(H4)가 진동 감쇄홀(131)의 높이(H2)보다 작다면, 탈착이 필요한 제2 진동 차단 부재(150)의 끼움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제2 기둥(151)의 높이(H4)가 진동 감쇄홀(131)의 높이(H2)보다 크다면, 제2 진동 차단 부재(150)가 결합 시 진동판(100)의 상하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진동 차단 부재(150)와 진동판(100)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진동 차단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둥(151)의 높이(H4)는 진동 감쇄홀(131)의 높이(H2)와 동일한 높이(H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헤드(152)는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D2)보다 큰 너비(W4)를 가질 수 있다. 제2 헤드(152)의 너비(W4)가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D2)보다 작을 경우, 제2 진동 차단 부재(150)가 결합된 후에도 연습용 꽹과리(10)의 연습에 따른 충격 및 움직임에 의해 쉽게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헤드(152)는 진동 감쇄홀(131)의 직경(D2)보다 큰 너비(W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연습용 꽹과리
100 진동판
110 타격부
120 진동 조절부
130 진동 감쇄부
140 제1 진동 차단 부재
150 제2 진동 차단 부재
200 테두리
210 받침부
300 끈

Claims (13)

  1.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외곽에 연결되어, 연주자가 받쳐들 수 있는 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진동판에 위치하며, 상기 연주자가 연주시 타격하는 부분인 타격부 및
    상기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며, 상기 진동을 줄이기 위한 적어도하나 이상의 진동 감쇄홀이 형성된 진동 감쇄부를 포함하는, 연습용 꽹과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연주시 상기 연주자의 중지, 약지 및 소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연주자가 상기 진동을 조절할 수 있는 진동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 조절부는 상기 연주자가 자신의 손을 확인할 수 있는 진동 조절홀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조절홀은 상기 진동 감쇄홀보다 직경이 큰, 연습용 꽹과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쇄홀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연습용 꽹과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쇄홀의 직경은, 1 내지 10mm인, 연습용 꽹과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쇄부는,
    상기 진동판 전체 면적의 30%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는, 연습용 꽹과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와 상기 진동 감쇄부는 겹치지 않는, 연습용 꽹과리.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조절부는 V자 형상인, 연습용 꽹과리.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조절홀의 직경은 3 내지 15mm인, 연습용 꽹과리.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조절홀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형상을 지닌, 연습용 꽹과리.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조절홀 또는 상기 진동 감쇄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습용 꽹과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차단 부재는,
    상기 진동 조절홀 또는 상기 진동 감쇄홀에 삽입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 조절홀 또는 상기 진동 감쇄홀의 외부로 돌출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연습용 꽹과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진동 조절홀 또는 상기 진동 감쇄홀의 직경과 동일한 너비를 가지는, 연습용 꽹과리.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진동 조절홀 또는 상기 진동 감쇄홀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연습용 꽹과리.
KR1020220046889A 2022-04-15 2022-04-15 연습용 꽹과리 KR102655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889A KR102655123B1 (ko) 2022-04-15 2022-04-15 연습용 꽹과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889A KR102655123B1 (ko) 2022-04-15 2022-04-15 연습용 꽹과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928A true KR20230147928A (ko) 2023-10-24
KR102655123B1 KR102655123B1 (ko) 2024-04-04

Family

ID=8851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889A KR102655123B1 (ko) 2022-04-15 2022-04-15 연습용 꽹과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1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4459A (ja) * 1997-12-24 1999-07-09 Korg Inc 消音シンバル、電気シンバル及び消音ハイハットシンバル
KR200285826Y1 (ko) 2002-05-17 2002-08-14 이청림 다양한 음의 발생이 가능한 농악용 금속제 타악기
KR20170123911A (ko) 2016-04-29 2017-11-09 주식회사 디엠에스 꽹과리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꽹과리를 이용한 조명 장치 제조 방법
KR20170133988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고씨공방 파지가 용이한 꽹과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4459A (ja) * 1997-12-24 1999-07-09 Korg Inc 消音シンバル、電気シンバル及び消音ハイハットシンバル
KR200285826Y1 (ko) 2002-05-17 2002-08-14 이청림 다양한 음의 발생이 가능한 농악용 금속제 타악기
KR20170123911A (ko) 2016-04-29 2017-11-09 주식회사 디엠에스 꽹과리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꽹과리를 이용한 조명 장치 제조 방법
KR20170133988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고씨공방 파지가 용이한 꽹과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123B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0138B2 (en) Rattle system for cajon
Engle Drum dream girl: How one girl's courage changed music
US2221234A (en) Pick for stringed instruments
US3027794A (en) Musical device
KR102655123B1 (ko) 연습용 꽹과리
CN111402840A (zh) 用于户外安装的音调乐器
US5986196A (en) Impact pad for a drum head
US5922980A (en) Sound muffling device for cymbal practice
US20140069255A1 (en) Percussion device
US6310277B1 (en) Tonal cymbal
CN208126855U (zh) 一种设置金属保护边框的哑鼓
US7001238B1 (en) Clapping apparatus
US7408103B2 (en) Cymbal muting system
JP3173661U (ja) ショーケース楽器
RU113400U1 (ru) Перкусс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Guettler Bows, strings, and bowing
US3779126A (en) Percussion instrument
JP4506921B2 (ja) 打楽器用打面体
JP2016148695A (ja) 複合楽器およびそのシステム
CN104835481A (zh) 一种打槌及打琴
JP3167234U (ja) ハンドベル構造
CN111402838B (en) Percussion instrument for outdoor installation
JP2005084662A (ja) トライアングルの吊り下げ支持具
JP3211420U (ja) 弦楽器の駒
RU2484541C1 (ru) Музыкальный самозвучащий инструмент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