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874A -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874A
KR20230147874A KR1020220046760A KR20220046760A KR20230147874A KR 20230147874 A KR20230147874 A KR 20230147874A KR 1020220046760 A KR1020220046760 A KR 1020220046760A KR 20220046760 A KR20220046760 A KR 20220046760A KR 20230147874 A KR20230147874 A KR 20230147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cross
vehicle
cross bar
cross frame
c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치윤
권순헌
정주연
유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7874A/ko
Publication of KR2023014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8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2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ventilation channels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2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fro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칵핏모듈에 마련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부가 각각 차체에 결합되며, 공조덕트 기능을 수행하는 카울크로스 프레임; 공조장치에서 공조된 공기가 카울크로스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 및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공조된 공기를 차량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 {COWL CROSS BAR FOR VEHICLE AND COCKPIT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휘어짐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차체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골격을 제공하는 동시에 공조덕트의 역할을 수행하여 별도의 공조덕트 없이 차량 내부의 공기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와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칵핏모듈은 카울크로스바, 공조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울크로스바는 차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골격을 제공하며, 공조덕트는 공조장치에서 배출된 공조된 공기가 차량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제공한다.
종래의 칵핏모듈은 차량의 카울크로스바와 공조덕트가 각각 다른 재질로 제작되었으며, 분리되어 별도로 제조되어 차량에 장착되었다.
이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어진 카울크로스바와 공조덕트는 칵핏에서 큰 부피와 무게를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고, 이로 인해 차량 실내의 공간활용성 측면에서 제약이 발생하였다.
또한, 각각 별개의 공정에 따라 제작되게 되므로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불리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3-0026262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공조덕트의 결합 없이 공조덕트의 기능을 겸하는 카울크로스바를 통해 칵핏 내부의 부피 및 중량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미래 모빌리티 환경의 다양한 칵핏에 대응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은, 차량의 칵핏모듈에 마련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부가 각각 차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중공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공조덕트 기능을 수행하는 카울크로스 프레임; 카울크로스 프레임에 형성되며 차량의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조장치에서 공조된 공기가 카울크로스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 및 카울크로스 프레임에서 실내공간을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며, 관통된 홀 형상으로써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공조된 공기를 차량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한다.
이 때, 카울크로스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카울크로스 프레임은 3D 프린팅 공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카울크로스 프레임은 전방부가 차체와 결합될 수 있다.
카울크로스 프레임은 내부공간이 격벽으로 구분되어 복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유로 각각의 입구가 유입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출구가 토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양측단에 차량의 좌석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양측단에 차량의 천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중앙에 차량의 좌석“‡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중앙에 차량의 천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중앙에 차량의 천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전방부에 차량의 전면유리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에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방향으로 카울크로스 프레임 내부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유입부에 설치되어 유입부를 개폐함으로써 공조장치로부터 카울크로스 프레임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조절하는 개폐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울크로스바가 구비된 칵핏모듈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패널 형상이며, 카울크로스바가 결합되는 칵핏 베이스 멤버;를 포함한다.
칵핏 베이스 멤버의 상부에 결합되어 카울크로스바를 칵핏 베이스 멤버와 함께 둘러싸는 칵핏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칵핏멤버는 디스플레이 또는 컨트롤러 또는 공조벤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에 따르면, 공조 덕트의 별도 제작이나 결합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칵핏의 중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종래의 칵핏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던 공조덕트와 카울크로스바가 일체화됨에 따라 부피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중량과 부피의 제약을 벗어나 다양한 모빌리티의 칵핏에 대응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한 원가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울크로스바가 칵핏 베이스 멤버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칵핏멤버가 카울크로스바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공조된 공기가 배출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울크로스바가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울크로스바가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울크로스바가 칵핏 베이스 멤버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칵핏멤버가 카울크로스바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공조된 공기가 배출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울크로스바가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울크로스바가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울크로스바가 칵핏 베이스 멤버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크로스바는 차량의 칵핏모듈에 마련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부가 각각 차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중공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공조덕트 기능을 수행하는 카울크로스 프레임(110); 카울크로스 프레임에 형성되며, 차량의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조장치에서 공조된 공기가 카울크로스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130); 및 카울크로스 프레임에서 실내공간을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며, 관통된 홀 형상으로써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공조된 공기를 차량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토출구(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크로스바는 차량의 좌우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부가 차체에 결합되어 전통적인 카울크로스바 본연의 기능인 외부충격으로 인한 차량의 비틀림이나 휘어짐을 방지하고 차체의 내구성을 높여준다.
뿐만 아니라, 공조장치(400)와 연결되어 공조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조덕트의 역할까지 수행하여 별도의 공조덕트의 결합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칵핏 모듈의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은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중공구조로 형성되어 카울크로스바(100)의 내부 공간이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울크로스바(100)는 차체의 강성을 유지하고 기타 샤시 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종래의 기능과, 이에 더하여 공조덕트로서의 기능을 한번에 수행함으로써 칵핏 내부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공간을 더 확보하고, 다양한 차종에 따른 다양한 칵핏 설계에 있어 설계 자유도를 제공한다.
한편, 카울크로스바의 유입부(130)는 공조장치(400)에서 공조된 공기가 카울크로스바(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의 일단에 형성되며, 공조덕트(40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유입부를 통해 카울크로스바 내부공간은 외부와 연통되고, 이를 통해 공조장치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카울크로스바 내부로 도입한다.
그리고 카울크로스바의 토출구(120)는 카울크로스바(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에서 실내공간을 향하는 표면에 관통된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이를 통해 카울크로스바로 기존의 공조덕트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카울크로스바(100)가 카울크로스 프레임(110), 유입부(130), 토출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공기조화를 위한 공조덕트가 칵핏모듈에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어지고, 이를 통해 전체 칵핏모듈의 중량과 부피를 절감할 수 있다.
칵핏모듈의 중량과 부피가 절감됨에 따라 차량의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모빌리티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피 및 중량 절감 효과를 통해 차량이 동일한 연료 또는 충전으로도 더 많은 거리를 운행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환경규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조덕트를 별도로 생산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칵핏모듈과 나아가 칵핏모듈이 장착되는 차량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단면구조를 가짐에 따라 차량의 골격으로써 외부충격에 저항하여 차량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강성을 갖는 재질로서,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절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의 특성에 따라 종래 카울크로스바의 주된 재질이던 스틸에 비해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경량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은 3D 프린팅 공법으로 성형될 수 있는데, 3D 프린터로 적층 제조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부에 강성보강구조로서 웹(web) 형상으로 짜인 리브 등을 자유롭게 설계하여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카울크로스바(100)는 칵핏 베이스 멤버(200)의 상단에 결합되게 되는데, 칵핏 베이스 멤버(200)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패널 형상을 가지며, 카울크로스바(100)와 칵핏 베이스 멤버(200)의 결합은 카울크로스바(100)가 칵핏 베이스 멤버(200)의 상부에 마운팅되는 탑 마운팅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은 양단부 뿐만 아니라, 유입부 측에 위치하는 전방부도 차체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좌우방향의 충격에 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으로의 충격에도 저항하여 차량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칵핏멤버(300)가 카울크로스바(100)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칵핏모듈은 칵핏 베이스 멤버(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카울크로스바(100)를 칵핏 베이스 멤버(200)와 함께 둘러싸는 칵핏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칵핏멤버(300)에는 경로안내, 엔터테인먼트 제공, 주행정보 제공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301), 디스플레이 등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러, 풍량 및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조벤트(302) 등 운행의 편의를 위한 각종 장비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울크로스바(100)의 구조로 인해 공조덕트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절약하여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칵핏멤버(300)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칵핏멤버(300)에 설치될 수 있는 장비들의 중량적, 부피적 제약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공조된 공기가 배출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토출구(120)는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의 양측단에 차량의 좌석방향(12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좌석에 착석한 승객에게 공조된 공기를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출구(120)는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의 양측단에 차량의 천장방향(12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실내의 공기순환을 촉진하여 차량 내부의 공기조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토출구(120)는 카울크로스 양측단 뿐만 아니라 중앙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중앙부에서 차량의 좌석방향(123), 차량의 루프방향(124)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차량의 루프방향으로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차량의 유리창 등에 발생한 서리를 제거하는 디프로스터(defroster)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토출구(120)는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에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방향으로 카울크로스 프레임 내부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내로의 공기 전달과 공기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신속하게 목적하는 실내 공기 상태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간별로 공기의 흐름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울크로스바가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크로스바의 카울크로스 멤버(110)는 중공의 구조를 지녀 내부공간에 공조덕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유로(112)가 형성된다. 유입부(130)를 통해 공조장치(400)와 연결되며, 공조장치(400)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의 유로(112)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유로(112)를 지나 토출구(120)로 배출되어 차량의 실내공간에 도달하게 된다.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을 구분하는 격벽(111)이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의 유로(112)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유로(112)는 각각 공조장치(400)의 채널에 대해 채널별로 대응될 수 있다.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112)는 각각의 입구가 유입부(130)에 연결되고, 각각의 출구가 토출구(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울크로스바(100)가 공조장치(400)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제공받아 차량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공조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의 유로(112)가 복수로 구분되어 형성되며, 각각 별개의 토출구(120)로 배출됨에 따라 차량 실내의 위치별로 배출되는 공기의 질과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울크로스바가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유입부(130)는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공조장치(400)와 연결된다. 유입부(130)에는 개폐장치(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조장치(400)에서 공조된 공기가 카울크로스 프레임(110)의 유로(112)로 이동할 때 유로(112)별로 공기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개폐장치는 모드 도어(mode door)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드 도어(MODE DOOR)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자유롭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에 따르면, 공조 덕트의 별도 제작이나 결합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칵핏의 중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종래의 칵핏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던 공조덕트와 카울크로스바가 일체화됨에 따라 부피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중량과 부피의 제약을 벗어나 다양한 모빌리티의 칵핏에 대응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한 원가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카울크로스바
110 : 카울크로스 프레임
120 : 토출구
130 : 유입부
200 : 칵핏 베이스 멤버
300 : 칵핏멤버

Claims (16)

  1. 차량의 칵핏모듈에 마련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부가 각각 차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중공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공조덕트 기능을 수행하는 카울크로스 프레임;
    카울크로스 프레임에 형성되며, 차량의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조장치에서 공조된 공기가 카울크로스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 및
    카울크로스 프레임에서 실내공간을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며, 관통된 홀 형상으로써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공조된 공기를 차량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카울크로스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카울크로스 프레임은 3D 프린팅 공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카울크로스 프레임은 전방부가 차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카울크로스 프레임은 내부공간이 격벽으로 구분되어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유로 각각의 입구가 유입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출구가 토출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7. 청구항 1에 있어서,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양측단에서 차량의 좌석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8. 청구항 1에 있어서,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양측단에서 차량의 루프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9. 청구항 1에 있어서,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중앙에서 차량의 좌석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의 중앙에서 차량의 루프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토출구는 카울크로스 프레임에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방향으로 카울크로스 프레임 내부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입부에 설치되어 유입부를 개폐함으로써 공조장치로부터 카울크로스 프레임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조절하는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카울크로스 프레임은 내부공간이 격벽으로 구분되어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고, 개폐장치는 각각의 유로 입구에 매칭되는 복수의 도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14. 청구항 1의 카울크로스바가 구비된 칵핏모듈로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패널 형상이며, 카울크로스바가 결합되는 칵핏 베이스 멤버;를 포함하는 카울크로스바가 구비된 칵핏모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칵핏 베이스 멤버의 상부에 결합되어 카울크로스바를 칵핏 베이스 멤버와 함께 둘러싸는 칵핏멤버;를 더 포함하는 카울크로스바가 구비된 칵핏모듈.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칵핏멤버에는 디스플레이 또는 컨트롤러 또는 공조벤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크로스바가 구비된 칵핏모듈.
KR1020220046760A 2022-04-15 2022-04-15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 KR20230147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760A KR20230147874A (ko) 2022-04-15 2022-04-15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760A KR20230147874A (ko) 2022-04-15 2022-04-15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874A true KR20230147874A (ko) 2023-10-24

Family

ID=8851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760A KR20230147874A (ko) 2022-04-15 2022-04-15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78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262A (ko) 2011-09-05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울크로스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262A (ko) 2011-09-05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울크로스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41463B (zh) 机动车辆
JP2006505439A (ja) 自動車のシャシ及び/又は支持構造
CN211281182U (zh) 具有出风结构的车辆立柱和车辆
US4365826A (en) Steering column supporting structure for motor vehicle
US3289564A (en) Air-conditioning devices for automobile vehicles
JP2007050802A (ja) 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US10137761B2 (en) Integrated roof bow and HVAC duct with a headliner providing a close-out wall of the duct
CN112478004A (zh) 具有后扰流板和增大后扰流板气动效率的气动元件的汽车
CN112478003A (zh) 具有后扰流板和调节后扰流板作用的可动偏转板的汽车
KR20230147874A (ko)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및 이를 구비한 칵핏모듈
US7217185B2 (en) Ventilating system
US4805522A (en) Cross member structure for automobile
JP4246162B2 (ja) キャビンのダクト構造
US11912342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reversing driver's and passenger's sides in a truck cab
JP2008183996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
JPH11348602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デフロスタ構造
KR101178411B1 (ko) 자동차용 디프로스팅 시스템
JP2010006314A (ja) 自動車の換気構造
JP4442149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211280550U (zh) 车辆空调控制机构及车辆空调系统
JP4246163B2 (ja) キャビンのダクト構造
JPH0569861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CN211280551U (zh) 车内出风结构
JPH11334415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019127248A (ja) 車両用空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