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828A -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828A
KR20230147828A KR1020220046656A KR20220046656A KR20230147828A KR 20230147828 A KR20230147828 A KR 20230147828A KR 1020220046656 A KR1020220046656 A KR 1020220046656A KR 20220046656 A KR20220046656 A KR 20220046656A KR 20230147828 A KR20230147828 A KR 2023014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cosmetic composition
moisturizing effect
oi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탁
조대웅
Original Assignee
(주) 셀리버리 리빙앤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셀리버리 리빙앤헬스 filed Critical (주) 셀리버리 리빙앤헬스
Priority to KR1020220046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7828A/ko
Publication of KR2023014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8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3Free of surfac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용성 고분자, 보습제, 고급 알코올, 킬레이트제, 비휘발성 오일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용성 고분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아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부타다이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아 피부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용성 고분자가 함유되어 반고형의 제형을 나타내기 때문에 보습효과 우수하며 끈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SEMI-SOLID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은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아 피부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용성 고분자가 함유되어 반고형의 제형을 나타내기 때문에 보습효과 우수하며 끈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를 온도, 자외선 및 물리적, 화학적인 외부 환경 등으로 부터 보호하는 막(Barrier)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피부는 최상층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및 피하 조직 등의 3개의 층으로 구분하는데, 그 중 표피는 인체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피는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그리고 각질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로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고 적당한 수분을 보유하는 각질층은 각질세포와 세포간 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을 하여 피부장벽을 구성한다.
각질층의 피부장벽은 세라마이드,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로 구성되어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억제하고, 경표피 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에는 고농도로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를 돕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수분과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피부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
한편, 사람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피부가 건조해지는 경향이 관찰되는데, 이를 생리적으로 보면, 각질층의 탈락 시간이 길어지거나 표피세포의 지질 합성능력이 저하되고, 피부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피부의 건조경향은 연령 증가에 따른 피부 장벽기능의 형성능력 저하 및 과다 각질 형성으로 인한 것으로, 표피세포에서 정상적인 분화과정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장벽의 강화를 유도하여 피부 수분 유지 기능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피부 수분 유지 기능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환경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부 보습이 필수적으로, 종래에는 보습제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휴맥턴트(Humectant)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폐쇄 보습제(Occlusive Moisturizer)를 사용하여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는 방식이 행하여져 왔다. 휴맥턴트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솔비톨, 2-피롤리돈-5-카르본산나트륨 등의 물질이 있는데, 피부에 도포 시 끈적임이 심하거나 눅눅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폐쇄 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 성분이나 필수 지방산 및 지질 복합체 등이 있는데, 유화 제형의 안정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투명한 젤 상의 제품을 제조하는데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고형 또는 반고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 수형 및 유성 성분으로 구성된 제형이 일반적인데, 유중 수형 또는 유성 조성으로 유성 성분에 고융점 왁스를 사용하여 경도를 부여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종래의 이러한 기술들은 유화제를 사용하여 제형의 안정도를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기름지고 답답한 사용감에 대한 불호가 높아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1154772호(2012.06.01.) 한국특허등록 제10-1338518호(2013.12.02.)
본 발명의 목적은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아 피부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용성 고분자가 함유되어 반고형의 제형을 나타내기 때문에 보습효과 우수하며 끈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용성 고분자, 보습제, 고급 알코올, 킬레이트제, 비휘발성 오일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용성 고분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아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부타다이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용성 고분자 0.1 내지 3 중량%, 보습제 30 내지 70 중량%, 고급 알코올 5 내지 10 중량%, 킬레이트제 0.01 내지 0.03 중량%, 비휘발성 오일 8 내지 12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급 알코올은 탄소수가 12 내지 22개인 지방족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급 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휘발성 오일은 탄소수가 12 내지 15인 알킬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아 피부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용성 고분자가 함유되어 반고형의 제형을 나타내기 때문에 보습효과 우수하며 끈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용성 고분자, 보습제, 고급 알코올, 킬레이트제, 비휘발성 오일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며, 유용성 고분자 0.1 내지 3 중량%, 보습제 30 내지 70 중량%, 고급 알코올 5 내지 10 중량%, 킬레이트제 0.01 내지 0.03 중량%, 비휘발성 오일 8 내지 12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용성 고분자는 0.1 내지 3 중량%가 함유되며, 본 발명에 따른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이 반고형의 제형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표면에 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우수한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유용성 고분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아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부타다이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용성 고분자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반고형의 제형으로 형성되지 못하며, 상기 유용성 고분자의 함량이 3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보습제나 비휘발성 오일 등의 함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보습효과나 부드러운 사용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30 내지 70 중량%가 함유되며,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끈적임이 증가하고,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고급 알코올은 5 내지 10 중량%가 함유되며, 안정제와 용제의 역할을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반고형의 제형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고급 알코올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가 저하되며, 상기 고급 알코올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화장료 조성물이 반고형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상기 고급 알코올은 탄소수가 12 내지 22개인 지방족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킬레이트제(Clating agent)는 0.01 내지 0.03 중량%가 함유되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 성분은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디소듐-EDTA, 트리소듐-EDTA, 테트라소듐-EDTA, 및 디포타슘-EDTA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0.03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피부자극을 증가시키거나, 상대적으로, 유용성 고분자 및 보습제 등의 함량이 줄어들어 보습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오일은 8 내지 12 중량%가 함유되며, 탄소수가 12 내지 15인 알킬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지는데, 피부부연화제의 역할을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끈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휘발성 오일의 함량이 8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비휘발성 오일의 함량이 12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유용성 고분자 및 보습제 등의 함량이 줄어들어 보습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방부제 및 향료 등이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방부제나 향료의 성분 및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및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유용성 고분자(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아이소프렌코폴리머) 0.5 중량%, 보습제(글리세린) 70 중량%, 고급 알코올(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이 1:1:1의 중량부로 혼합) 15 중량%, 킬레이트제(디소듐-EDTA) 0.02 중량%, 비휘발성 오일(탄소수가 12 내지 15인 알킬벤조에이트) 1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교반기가 구비된 혼합장치에 투입하고 15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하여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보습제 50 중량%를 사용하여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보습제 30 중량%를 사용하여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1.5 중량%, 보습제(글리세린) 50 중량%, 고급 알코올(세틸알코올) 5 중량%, 킬레이트제(디소듐-EDTA) 0.02 중량%, 비휘발성 오일(탄소수가 12 내지 15인 알킬벤조에이트) 1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교반기가 구비된 혼합장치에 투입하고 15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80명을 무작위로 20명씩 그룹으로 형성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1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도록 한 후에, 4주 후의 표피 수분양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를 Corneometer CM 820(Corage +Khazaka, Germany)로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보습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동일한 양의 보습제를 사용한 실시예 2와 비교예 1을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이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아 피부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용성 고분자가 함유되어 반고형의 제형을 나타내기 때문에 보습효과 우수하며 끈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낸다.

Claims (6)

  1. 유용성 고분자, 보습제, 고급 알코올, 킬레이트제, 비휘발성 오일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용성 고분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아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부타다이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용성 고분자 0.1 내지 3 중량%, 보습제 30 내지 70 중량%, 고급 알코올 5 내지 10 중량%, 킬레이트제 0.01 내지 0.03 중량%, 비휘발성 오일 8 내지 12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탄소수가 12 내지 22개인 지방족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오일은 탄소수가 12 내지 15인 알킬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46656A 2022-04-15 2022-04-15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7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656A KR20230147828A (ko) 2022-04-15 2022-04-15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656A KR20230147828A (ko) 2022-04-15 2022-04-15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828A true KR20230147828A (ko) 2023-10-24

Family

ID=8851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656A KR20230147828A (ko) 2022-04-15 2022-04-15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78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72B1 (ko) 2004-04-01 2012-06-18 (주)아모레퍼시픽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101338518B1 (ko) 2011-11-08 2013-12-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72B1 (ko) 2004-04-01 2012-06-18 (주)아모레퍼시픽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101338518B1 (ko) 2011-11-08 2013-12-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3863B2 (ja) (ポリ)グリセロールの少なくとも2つの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および化粧品におけるその使用
US6346256B1 (en) Stable O/W/O emulsion and its use as a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KR101367608B1 (ko)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6582709B1 (en) Cream composition comprising Dead Sea Mud
JP6313961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US6509024B2 (en) Composition in the form of water-in-oil emulsion and its cosmetic uses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HU230156B1 (hu) Hagymakivonatot és zsírolajat tartalmazó szer előállítása károsodott bőrszövet, különösen sebhelyek ellátására, megelőzésére vagy kezelésére
DE69917858T2 (de) Verwendung eines Silicongummis zur Stabilisierung von Ascorbinsäure und neue Zusammensetzungen, die diese Komponenten enthalten
PL189774B1 (pl) Przeciwpotowa kompozycja kosmetyczna w postaci kremu lub kompozycji na kulce
KR101370328B1 (ko) 사용감과 보습력이 우수한 지용성 물질을 담지한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US6066326A (en) Use of a polydimethylsiloxane containing glucoside groups as a moisturizing agent in a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KR100912242B1 (ko) 레시친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보습제 조성물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EP3681460B1 (en) Stabilized emulsions with acidic agents
KR101737397B1 (ko)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2918A (ko)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5578A (ko) 피부 각질 박리용 배니싱 크림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47828A (ko)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JP5141942B2 (ja) 皮膚用化粧料
DE60125781T2 (de)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zusammenzetung mit verbesserter feuchtigkeit, enthaltend ein vernetzendes polysiloxan
JP3130969B2 (ja) 皮膚化粧料
KR20200001146A (ko) 저자극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182975B2 (ja) ジェル状皮膚化粧料
KR20130000433A (ko) 유화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