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586A -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586A
KR20230147586A KR1020230136624A KR20230136624A KR20230147586A KR 20230147586 A KR20230147586 A KR 20230147586A KR 1020230136624 A KR1020230136624 A KR 1020230136624A KR 20230136624 A KR20230136624 A KR 20230136624A KR 20230147586 A KR20230147586 A KR 20230147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cket
data
base st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1680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9090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ublication of KR2023014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58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지원하는 V2X 통신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구성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상기 단말에 구성하는 단계, V2X 통신에서 사용되는 송신 자원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V2X 구성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V2X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자원풀을 구성하는 단계, 및 모드(mode)에 따라 상기 V2X 통신에서 사용되는 자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V2X 통신은 운전 중 도로 인프라 및 다른 차량과 통신하면서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V2X는 차량들 간의 LTE(Long Term Evolution)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V(vehicle-to-vehicle), 차량과 개인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 간의 LTE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P(vehicle-to-pedestrian), 차량과 도로변의 유닛/네트워크 간의 LTE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I/N(vehicle-to-infrastructure/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변의 유닛(roadside unit, RSU)은 기지국 또는 고정된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교통 인프라 구조 독립체(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ntit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속도 알림(speed notification)을 전송하는 독립체일 수 있다.
한편, 자율주행, 자동차 원격제어 등과 같은 V2X를 지원하기 위한 5G 시스템의 성능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LTE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구체적 기술들에 대하여 논의 중에 있다. 따라서, 고신뢰도를 요구하는 차량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중복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의 자원 제어 방식과 이에 대응하는 단말의 동작에 대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 통신(Vehicle to everything: 이하 V2X라 함)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V2X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신 신뢰도 향상을 위한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V2X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또는 차량 또는 단말이 V2X에 사용되는 자원을 제어하는 경우, V2X의 통신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각 차량 또는 단말의 데이터(패킷)를 중복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차량 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무선 통신 수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지원하는 V2X 통신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구성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상기 단말에 구성하는 단계, V2X 통신에서 사용되는 송신 자원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V2X 구성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V2X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자원풀을 구성하는 단계, 및 모드(mode)에 따라 상기 V2X 통신에서 사용되는 자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모드는 상기 V2X 통신에서 사용되는 자원을 상기 기지국이 제어하는 모드(모드 3) 및 상기 단말이 제어하는 모드(모드 4)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는 상기 단말 단위로 적용되거나 또는 반송파 단위로 적용되고, 상기 모드가 상기 반송파 단위로 적용되는 경우, 각 반송파별로 구분된 송신 자원풀에 관한 정보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드가 상기 단말 단위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 구성된 모든 반송파에 대해 동일한 모드가 적용되고, 상기 단말에 추가적으로 구성 가능한 반송파에 대해 상기 모드 4의 적용이 허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드 4의 적용이 허용되는지에 관한 지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V2X 통신에서 동일한 패킷을 중복으로 전송하는 방식(이하 패킷 중복 전송)을 허용 또는 비허용함을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단말에 구성된 반송파들에 대해 서로 다른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지연 시간 내에서 상기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단말에 구성된 반송파들에 대해 모드 3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함을 나타내는 MAC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에게 각 차량 또는 단말들이 고신뢰 차량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해당 상황에 맞게 기지국 또는 단말이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효율적으로 고신뢰 차량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례에 따른 V2X에서 고려되는 링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다른 예에 따른 V2X에서 고려되는 링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기지국(eNB)이 다수의 차량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이다.
도 4b는 단말(UE, RSU)이 다수의 차량에게 사이드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나리오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나리오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 구성을 위한 RRC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 구성을 위한 RRC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 구성을 위한 RRC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a는 하나의 PDCP 엔터티(entity) 가 2개 이상의 RLC 엔터티들 및 논리채널들과 연관성을 가지는 PDCP 데이터 중복 방식을 지원하는 RB(resource block)들에 대한 개념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0b는 일반적인 무선 베어러의 구성과 같이 하나의 PDCP 엔터티 및 하나의 RLC 엔터티로 구성되는 개념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에서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MAC PDU(protocol data unit) 포맷을 나타낸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에서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례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례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을 본 발명의 내용과 함께 예시적인 도면과 실시 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망 구조는 E-UMTS(Evolv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시스템 등을 포함하거나, 5세대 이동통신망, NR(new radi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 기지국(BS: Base Station, 11)과 단말(UE: User Equipment, 12)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단말간(D2D: device to device)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하 단말은 스마트폰 등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단말 장치의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D2D 통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 기지국(11)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에게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커버리지는 사이트(site)라는 용어로도 표현될 수 있다. 사이트(site)는 섹터라 부를 수 있는 다수의 영역들(15a, 15b, 15c)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트에 포함되는 섹터 각각은 서로 다른 식별자를 기반으로 식별될 수 있다. 각각의 섹터(15a, 15b, 15c)는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으로 해석될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 eNodeB), 가내 기지국(HeNodeB: Home eNodeB), 릴레이(relay), 원격 무선 헤드(RRH: Remote Radio Head)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단말(12)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기지국(11)은 해당 기지국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크기에 따라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기지국이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 기지국의 커버리지 또는 기지국을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에는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고자 한다.
V2X는 V2V, V2P 및 V2I/N을 일컫는 말로써 각각은 LTE와 같은 무선 통신과 연계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V2V (vehicle-to-vehicle) : 운송수단들 사이의 LTE 기반 통신을 커버
- V2P (vehicle-to-pedestrian) : 개인(예를 들어, 보행자, 자전거, 운전자 또는 승객이 휴대하는 휴대폰 단말)에 의해 운송되는 운송수단 및 장치 사이의 LTE 기반 통신을 커버
- V2I/N (vehicle-to-infrastructure/network) : 운송수단 및 도로변 유닛/네트워크 사이의 LTE 기반 통신을 커버함, 도로변 유닛(RSU)은 기지국 또는 고정된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운송 인프라구조 독립체임(예를 들어, 속도 알림을 전송하는 독립체). 이 중 D2D 통신 링크인 PC5 기반의 V2V 동작을 위해서는 현재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고려되고 있다.
Aspect No. Case No. Note
Aspect 1
(operation bands used as test points for evaluation)
Case 1A For Case 1A, 6HGz is used. For Case 1B, 2GHz is used. Case 1B may not be need to be specifically simulated for all scenarios.
Case 1B
Aspect 2
(eNB deployment consideration including possibility of network contr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dition to apply any preconfigured radio parameters)
Case 2A UE autonomous resource allocation, at least mode 2, based on semi-statically network-configured/pre-configured radio parameters including no eNB coverage case.
Case 2B



eNBs providing more UE specific or/and more dynamic resource allocation including Mode 1 compared to case 2A.

Aspect 3
Case 3A UEs communicating over PC5 across a single carrier.
Case 3B UEs communicating over PC5 across multiple carriers.

Aspect 4

Case 4A Single operator operation
Case 4B A set of PC5 operation carrier(s) is shared by UEs subscribed to different operators. This means that UEs belonging to different operators may transmit on the same carrier.
Case 4C Each operator is allocated with a different carrier. This means that a UE transmits only on the carrier allocated to the operator which it belongs to.
Case 4D No operator operation
Aspect 5
(Co-existing with Uu)
Case 5A Dedicated carrier for V2x. There is no uplink (Uu) traffic on the PC5 operation carrier.
Case 5B V2x carrier is shared with Uu.
PC5 링크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 정의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무선접속계층에서 사이드링크(SL: Sidelink)라 정의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는 차량통신을 위한 차량과 차량간의 직접통신을 위한 무선접속계층에서의 링크를 의미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어의 의미를 정리하며 다음과 같다.
D2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ProSe: (Device to Device) Proximity Services
V2X: Vehicle to X(everything)
V2V: Vehicle to Vehicle
V2P : Vehicle to Pedestrian
V2I/N: Vehicle to Infrastructure/Network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RSU: Road Side Unit
SL: Sidelink
SCI: Sidelink Control Information
PSSCH: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BCH: 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CCH: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DCH: 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DCP: Packet data com
RLC: Radio link Control
MAC: Media Access Control
도 2는 일례에 따른 V2X에서 고려되는 링크를 도시한 것이다.도 2를 참조하면, V2X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은 D2D(ProSe)에 정의된 단말(UE)과 단말(UE) 간의 링크인 PC5 링크만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예에 따른 V2X에서 고려되는 링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V2X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eNodeB)과 단말(UE)간, 또는 무선 접속망(E-UTRAN)과 단말(UE) 간의 링크인 Uu 링크만을 지원할 수도 있다. Uu 링크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인 상향링크(Uplink, UL)와 기지국이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인 하향링크(Downlink, D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또 다른 예에 따른 V2X에서 고려되는 링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UE) 형태로 RSU(Road Side Unit)를 포함하여 상기 PC5 링크와 Uu 링크 모두를 고려할 수도 있다. 도 4a는 기지국(eNB)가 다수의 차량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이고, 도 4b는 단말(UE, RSU)이 다수의 차량에게 사이드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이다.
D2D 통신이란 단말 간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D2D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D2D 통신은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 이하 ProSe) 또는 ProSe-D2D 통신이라는 표현으로 대치될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한 상기 ProSe라는 용어의 사용은, 단말 간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의미가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근접 기반 서비스의 의미가 부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D2D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 또는 커버리지 외(out-of-coverage)에 있는 단말 간의 통신을 위한 발견(discovery) 절차와, 단말 간의 제어 데이터 및/또는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 절차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D2D 통신에 기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을 전송 단말(Tx UE)이라 하고, D2D 통신에 기반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을 수신 단말(Rx UE)이라 한다. 전송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discovery signal)를 전송할 수 있고, 수신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 단말과 수신 단말은 각자의 역할이 바뀔 수도 있다. 전송 단말에 의해 전송된 신호는 둘 이상의 수신 단말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D2D 통신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용 주파수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서의 D2D 통신은 공공 안전(public safety), 교통망 서비스, 초저지연(Ultra-low latency) 서비스, 상업적 목적의 서비스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교통망 전용 주파수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해당 주파수를 통한 D2D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여부와 관계없이 교통망 통신 및 교통안전 등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근접한 거리의 단말들이 D2D 통신을 수행하면 기지국의 부하는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서로 근접한 단말들이 D2D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들은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므로 단말의 송신 전력의 소모 및 전송 지연(latency)이 감소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는 기존의 셀룰러 기반의 통신과 D2D 통신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는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2D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기지국 커버리지) 내(In-coverage)에 위치한 단말 간의 통신,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위치한 단말 간의 통신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과 네트워크 커버리지 위에 위치한 단말 간의 통신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D2D 통신을 위해서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사이드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스케줄링(scheduling)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은 각각 단말 내 버퍼에 사이드링크로 전송될 데이터(D2D 데이터)의 양이 얼마나 존재하는지를 버퍼상태보고(BSR: Buffer State Report)를 통해 기지국에 알릴 수 있다. 사이트링크에 대한 BSR은 WAN(Wide Area Network)에 대한 BSR과 구별하기 위하여, SL BSR(Sidelink BSR) 또는 ProSe(Proximity Service) BSR이라 불릴 수 있다. D2D와 유사하지만 SL와 서비스 차원에서 구분하기 위해 V2X를 위한 D2D에 특화된 BSR을 별도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V2X BSR로 불리울 수도 있다.
기지국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제1 단말(UE1)로 D2D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D2D 자원 할당 정보는 제1 단말과 다른 단말사이의 D2D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송신 자원 및/또는 수신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D2D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은 제1 단말이 송신하는 D2D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D2D 데이터가 전송될 D2D 자원 할당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UE1)과 제2 단말(UE2), 제3 단말(UE3) 및/또는 제4 단말(UE4)은 D2D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 제3 단말 및/또는 제4 단말은 제1 단말의 D2D 통신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단말, 제3 단말 및/또는 제4 단말은 제1 단말의 D2D 통신 자원에 대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제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2D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2 단말 제3 단말 및/또는 제4 단말과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받기 위하여 제1 단말 내 버퍼에 D2D 데이터의 양이 얼만큼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SL BSR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나리오이다.
도 5에서는 제1 단말(V2X UE1) 및 제2 단말(V2X UE2)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가정하자. 즉,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은 차량통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기지국(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은 UL 데이터 송신 및 DL 데이터 수신을 통해 차량통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제3 단말 및 제4 단말이 위치하고 있으며, 제1 단말 및 제2 단말과 단말간 통신이 불가능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3 단말(V2X UE3) 및 제4 단말(V2X UE4) 은 차량통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제1 단말 및 제2단말과 서로 주고받을 수 없다. 단말은 물리적으로 신호가 도달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한 다른 단말, 기지국, 서버 등과의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제4 단말이 차량통신 서비스 또는 상용 서비스 등의 이유로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필요하며, D2D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범위 내에 존재하는 UE 타입의 RSU와 D2D 통신이 가능한 경우, UE타입의 RSU가 중계 역할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제4 단말은 간접 경로를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도 3의 위쪽 도면과 같이 UE타입의 RSU가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여 제 4단말이 SL를 통해 상기 UE 타입의 RSU에게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UE 타입의 RSU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UL 전송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상기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한다. 상기 제4 단말의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들이 Uu 인터페이스의 하향링크를 통해 수신한다.
제4 단말을 포함하는 UE 타입의 RSU과 D2D통신이 가능하고 네트워크 서비스 범위 밖에 존재하는 단말들은 상기 UE 타입의 RSU를 통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에게 제4 단말의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나리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4 단말(V2X UE4)이 UE 타입의 RSU에게 전달한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는 제4 단말과 단말간 통신이 불가능한 위치에 존재하나 UE타입의 RSU과 D2D통신이 가능하고 네트워크 서비스 범위 밖에 존재하는 단말들에게도 직접 전달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V2X 서비스는 지연시간에 민감하기 때문에 상기 전달을 위해 우선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다시 UE타입 RSU로 전달되는 동안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줄여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UE타입 RSU는 상기 제4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Uu 인터페이스(LTE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달하기 위한 준비뿐만 아니라, SL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준비도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UE타입 RSU가 SL 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제어받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4 단말로부터 수신한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는 LTE 측 BSR에 포함할 데이터로 취급됨과 동시에 SL BSR에 포함할 데이터로 취급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4 단말로부터 수신한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LTE 측 RB(radio bearer) 내 PDCP/RLC 계층에 전달함과 동시에 SL 측 RB 내 PDCP/RLC 계층에도 동일한 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SL 측 RB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PPPP(ProSe Priority per Packet)은 상기 수신된 패킷의 우선순위를 그대로 유지하며 상기 수신된 패킷의 우선순위에 매핑되는 SL측 R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UE타입 RSU는 상기 우선순위를 지원하는 새로운 RB를 스스로 구성하여 상기 패킷을 전송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D2D에서의 자원 제어 방식에 관하여 설명된다.
D2D 자원제어 방식에는 2가지 모드가 있다. 모드 3은 기지국에 의한 D2D 자원제어 방식이고, 모드 4는 단말에 의한 D2D 자원제어 방식이다. 본 발명에 따를 때, 모드를 지칭하는 번호는 자유롭게 취사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번호에 의해 구별되는 어떠한 실시예도 포함한다.
모드 3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표 3과 같은 V2X 전용 구성정보를 전송하며, 이를 위해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에서의 시그널링 절차(예를 들어, RRC 연결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정보의 종류 설명





SL-V-RNTI
1) 기지국과 단말간 무선 인터페이스인 Uu 링크를 통해 무선자원할당을 진행한다. 이 때 사용되는 물리계층 채널은 PDCCH이고 상기 PDCCH 내에 포함된 DCI를 통해 사이드링크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를 제공한다.
2) 이 때,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할당을 위한 DCI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DCI가 해당 단말에 대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단말에게 할당하는 ID이다. 여기서 SL-V-RNTI는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통신과 구별하여 차량통신에 한정하여 적용할 수 있는 ID를 의미한다.








송신 자원풀 정보
송신 자원풀 정보는 다음의 세부정보를 포함한다.
1) 전체 반송파(carrier)를 구성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중 해당 송신 자원풀에 포함되는 자원에 대한 정보
A. 이 정보는 비트맵 형태로 상기 송신 자원풀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길이 40을 가지는 비트맵내에 ‘1’로 표시된 비트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은 해당 송신 자원풀에 포함되며 ‘0’으로 표시된 비트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은 해당 송신 자원풀에 포함되지 않는다.
B. 상기 비트맵은 전체 프레임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적용된다. 일 예로 하나의 프레임이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총 1024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시스템의 경우, 총 1024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길이 40을 가지는 비트맵은 상기 전체 프레임에 256번 반복되어 적용될 수 있다(40x256=10240).
C. 또한, 주파수 자원은 서브채널 형태로 몇 개의 RB(resource block)가 포함되는지에 대한 정보로 표시된다.

2) 송신 자원풀이 적용되는 지역(zone)에 대한 ID 정보
A. 각 지역 ID마다 서로 다른 셀 내 지역을 나타내며 각 지역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각 지역은 도로의 일부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각 지역은 GPS와 같은 지리적 위치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우선순위 정보
1) 각 무선 베어러와 대응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이 속하는 논리채널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포함되는 우선순위 값을 1 내지 8의 값 중에서 최대 4개까지 포함할 수 있다.
2) 이는 PPPP (priority per prose pecket)가 총 8개의 서로 다른 우선순위 값으로 구분되며 각 PPPP에 대응하는 우선순위 값을 1 내지 8의 값에 대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 발생으로 인해 새로운 논리채널 생성 시 상기 논리채널이 어떠한 논리채널그룹에 포함될지 여부를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PPPP를 기준으로 대응하는 우선순위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3) 상기 우선순위는 우선순위 값이 낮을수록 높을 수 있다.
4) 상기 논리채널그룹은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사이드링크에 대한 BSR를 구성할 때 버퍼상태를 보고하는 기본단위이다.



MCS 정보
1) 차량통신 사이드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L1(layer 1, 물리계층)에서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는 MCS 값이다.
2) 기지국이 단말에게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L1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인 DCI 5 시리즈를 통한 동적 및 SPS 자원할당 시 MCS 값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만일 상기 MCS 값이 제공되는 경우, RRC 시그널링으로 제공된 상기 MCS 정보는 무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드 4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서, 모드 4에서 기지국은 모드 3과 유사하게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표 3과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모드 4에서 RRC IDLE 모드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차량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라 한다)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이 스스로 송신 자원풀을 구성할 수도 있다.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 블록은 일 예로 표 4의 SIB21일 수 있다. 표 4의 SIB21은 V2X 사이드링크 통신에 관한 여러가지 구성 정보(이하 V2X 공용 구성정보(V2X-ConfigCommon)라 한다)를 포함한다.
-- ASN1START

SystemInformationBlockType21-r14 ::= SEQUENCE {
sl-V2X-ConfigCommon-r14 SL-V2X-ConfigCommon-r14 OPTIONAL, -- Need OR
lateNonCriticalExtension OCTET STRING OPTIONAL,
...
}

SL-V2X-ConfigCommon-r14 ::= SEQUENCE {
v2x-CommRxPool-r14 SL-CommRxPoolListV2X-r14 OPTIONAL, -- Need OR
v2x-CommTxPoolNormalCommon-r14 SL-CommTxPoolListV2X-r14 OPTIONAL, -- Need OR
p2x-CommTxPoolNormalCommon-r14 SL-CommTxPoolListV2X-r14 OPTIONAL, -- Need OR
v2x-CommTxPoolExceptional-r14 SL-CommResourcePoolV2X-r14 OPTIONAL, -- Need OR
v2x-SyncConfig-r14 SL-SyncConfigListV2X-r14 OPTIONAL, -- Need OR
v2x-InterFreqInfoList-r14 SL-InterFreqInfoListV2X-r14 OPTIONAL, -- Need OR
v2x-ResourceSelectionConfig-r14 SL-CommTxPoolSensingConfig-r14 OPTIONAL, -- Need OR
zoneConfig-r14 SL-ZoneConfig-r14 OPTIONAL, -- Need OR
typeTxSync-r14 SL-TypeTxSync-r14 OPTIONAL, -- Need OR
thresSL-TxPrioritization-r14 SL-Priority-r13 OPTIONAL, -- Need OR
anchorCarrierFreqList-r14 SL-AnchorCarrierFreqList-V2X-r14 OPTIONAL, -- Need OR
offsetDFN-r14 INTEGER (0..1000) OPTIONAL, -- Need OR
cbr-CommonTxConfigList-r14 SL-CBR-CommonTxConfigList-r14 OPTIONAL -- Need OR
}

-- ASN1STOP
모드 4를 위한 송신 자원풀에 대한 세부구성정보는 모드 3를 위한 송신자원풀에 대한 세부구성정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4에서는 송신 자원풀 정보가 리스트 형태(SL-CommTxPoolListV2X)로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시 기지국은 모드 4로 동작 가능한 새로운 송신 자원풀을 구성하거나 기존에 구성한 송신 자원풀들 중 일부를 해제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송신 자원풀 내에 자원들 중 실제 V2X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할 일부의 자원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단말이 이러한 선택을 하는데 기준이 되는 기준 파라미터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만일 기지국이 기준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지 않거나, 단말이 RRC IDLE 모드이거나, 또는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경우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기준 파라미터 정보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단말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자원풀 내 자원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준 파라미터 정보 또는 단말에 저장된 파라미터 정보는 송신 자원풀 내의 자원을 선택할 때 필요한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의 RSRP (referece signal received power)를 기반으로 하는 기준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SRP는 V2X 시스템에서 신호의 에너지 레벨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사이드링크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 CA)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V2X 단말이 i) 사이드링크로 사용가능한 반송파 또는 서빙셀(즉, SIB을 통해 V2X 서비스가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자원풀 정보 또는 수신 자원풀 정보를 제공하는 반송파 또는 서빙셀)이 적어도 2개 이상임을 확인하고, ii) 상기 확인된 반송파 또는 서빙셀들을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경우, 해당 V2X 단말은 사이드링크 CA를 지원한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V2X 단말이 i) 사이드링크로 사용가능한 서빙셀이 적어도 2개 이상이고, ii) 각 서빙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V2X 반송파 구성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며, iii) 상기 확인된 서빙셀들을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경우, 해당 V2X 단말은 사이드링크 CA를 지원한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모드 3/모드 4의 D2D 자원제어 방식은 사이드링크 CA를 고려하지 않은 채 설계되었기 때문에 단말 기준으로 모드를 구분하면 족하였다. 그러나 사이드링크 CA에서는 다수의 반송파 또는 서빙셀이 사이드링크의 신호 송수신으로 사용됨을 전제로 하므로, 사이드링크 CA에서 모드를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방법이 요구된다.
I. 사이드링크 CA 운용 방법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CA는 단말 뿐만 아니라 다수의 반송파 또는 서빙셀이 고려되므로 단말 단위로 모드가 구성되거나, 각 서빙셀 단위로 모드가 구성될 수 있다.
1. 단말 단위로 모드 3 또는 모드 4를 구성하는 제1 실시예
단말 단위로 모드가 구성된다는 것은, 단말에 다수의 서빙셀이 구성된 경우 해당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 대하여 동일한 모드가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빙셀 1번과 2번이 구성된 V2X 단말에 모드 3이 구성된 경우, 서빙셀 1번과 2번에는 모드 3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서빙셀로서 구성된 주파수 대역 이외의 서빙셀(또는 반송파)에서, V2X를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할 수 없다. 즉, 단말 스스로가 추가적으로 사용(또는 동작) 가능한 타 반송파가 존재하더라도, 상기 타 반송파가 단말에 구성되지 않으면 단말은 상기 타 반송파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정보 등을 기반으로 모드 4로 동작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사이드링크 CA를 지원하는 단말이 동작 가능한 반송파의 집합 a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반송파의 집합 b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단말은 집합 b의 반송파에서만 V2X를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 구성을 위한 RRC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를 구성하기 위해, 기지국은 표 3과 같은 V2X 전용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700). RRC 메시지에는 단말 단위의 모드 정보가 포함된다.
일례로서, 기지국은 송신 자원풀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의 모드에 따라 기지국이 송신 자원풀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단말이 모드 3으로 구성된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송신자원 풀 정보만을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로써, 패킷 중복 전송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용이하도록 V2X 통신에 대한 공통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의 송신 자원풀 정보는 단말이 구성한 모든 서빙셀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또는, 기지국은 각 서빙셀마다 구분된 송신 자원풀 정보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서빙셀에 대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량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자원풀마다 해당 송신 자원풀이 적용되는(또는 매핑되는) 서빙셀을 지시하기 위해, 기지국은 현재 단말이 구성한 셀 인덱스 값 정보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셀 인덱스 값은 0 내지 31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단말이 모드 4로 구성된 경우, 기지국은 송신자원 풀 리스트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로써, 패킷 중복 전송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용이하도록 V2X 통신에 대한 공통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 자원풀 리스트는 단말이 구성한 모든 서빙셀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또는, 기지국은 각 서빙셀마다 구분된 송신 자원풀 리스트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서빙셀에 대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량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자원풀 리스트마다 현재 단말이 구성한 셀 인덱스 값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모드 3으로 구성된 단말을 위해 하나의 SL-V-RNTI만을 할당한다.
또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하나의 우선순위 정보 및 MCS 정보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로 전송한다.
단계 S700에 의해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RRC 메시지에 포함된 세부구성정보(모드 정보, 송신 자원풀 정보 등)에 기반하여 모드를 설정하고, 송신 자원풀를 구성한다(S705).
RRC 구성을 성공적으로 종료하면, 단말은 RRC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710).
2. 단말 단위로 모드 3 또는 모드 4를 구성하는 제2 실시예
단말 단위로 모드가 구성된다는 것은, 단말에 다수의 서빙셀이 구성된 경우 해당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 대하여 동일한 모드가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빙셀 1번과 2번이 구성된 V2X 단말에 모드 3이 구성된 경우, 서빙셀 1번과 2번에는 모드 3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기지국은 단말 단위로 모드 3 또는 모드 4를 구성할 수 있고, 서빙셀의 구성여부에 따라 모드는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서빙셀로서 구성된 주파수 대역 이외의 서빙셀(또는 반송파)에서, 일정 조건에 따라 V2X를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다.
일례로서, 단말 스스로가 추가적으로 사용(또는 동작) 가능한 타 반송파가 존재할 경우, 상기 타 반송파가 단말에 구성되지 않았더라도 상기 타 반송파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정보 등을 기반으로 모드 4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이드링크 CA를 지원하는 단말이 동작 가능한 반송파의 집합 a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반송파의 집합 b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단말은 집합 b에 속하지 않고 집합 a에 속하는 반송파에서 V2X를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RRC IDLE 모드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과 같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의 단말 동작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단말이 V2X 송수신 동작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반송파에서 기지국이 SIB21 등과 같은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 내의 송신 및 수신 자원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송수신 자원풀을 통해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상기 주파수 대역이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아님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대역이 V2X 송수신 동작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확인한 경우(즉, GPS 시스템과 같이 단말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통해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 V2X 송수신 동작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임을 유심(USIM) 칩과 같이 단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확인한 경우), 단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송수신 자원풀 정보를 통해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 스스로가 추가적으로 사용(또는 동작) 가능한 타 반송파가 존재할 경우, 단말이 상기 타 반송파에서 모드 4의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기지국은 상기 지시자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기지국은 상기 지시자를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에 포함시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자는 RRC 연결 모드 단말에게 상기 타 반송파에 대해 모드 4의 동작을 허용 또는 허용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 구성을 위한 RRC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를 구성하기 위해, 기지국은 표 3과 같은 V2X 전용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800). RRC 메시지에는 단말 단위의 모드 정보가 포함된다.
일례로서, 기지국은 송신 자원풀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의 모드에 따라 기지국이 송신 자원풀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단말이 모드 3으로 구성된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송신자원 풀 정보만을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로써, 패킷 중복 전송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용이하도록 V2X 통신에 대한 공통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의 송신 자원풀 정보는 단말이 구성한 모든 서빙셀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또는, 기지국은 각 서빙셀마다 구분된 송신 자원풀 정보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서빙셀에 대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량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자원풀마다 해당 송신 자원풀이 적용되는(또는 매핑되는) 서빙셀을 지시하기 위해, 기지국은 현재 단말이 구성한 셀 인덱스 값 정보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셀 인덱스 값은 0 내지 31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단말이 모드 4로 구성된 경우, 기지국은 송신자원 풀 리스트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로써, 패킷 중복 전송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용이하도록 V2X 통신에 대한 공통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 자원풀 리스트는 단말이 구성한 모든 서빙셀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또는, 기지국은 각 서빙셀마다 구분된 송신 자원풀 리스트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서빙셀에 대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량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자원풀 리스트마다 현재 단말이 구성한 셀 인덱스 값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모드 3으로 구성된 단말을 위해 하나의 SL-V-RNTI만을 할당한다.
또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하나의 우선순위 정보 및 MCS 정보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로 전송한다.
단계 S800에 의해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RRC 메시지에 포함된 세부구성정보(모드 정보, 송신 자원풀 정보 등)에 기반하여 모드를 설정하고, 송신 자원풀를 구성한다(S805).
RRC 구성을 성공적으로 종료하면, 단말은 RRC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810).
한편, 만약 단말이 RRC IDLE 모드인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상기 타 반송파에서 모드 4의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에 포함시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815). 여기서, 상기 지시자는 RRC 연결 모드 단말에게 상기 타 반송파에 대해 모드 4의 동작을 허용 또는 허용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에는 V2X 공용 구성정보(예를 들어 송수신 풀자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스스로가 추가적으로 사용(또는 동작) 가능한 타 반송파가 존재할 경우, 상기 타 반송파를 구성하고, 상기 타 반송파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820).
3. 서빙셀 단위로 모드 3 또는 모드 4를 구성하는 제3 실시예
서빙셀 단위로 모드가 구성된다는 것은, 단말에 다수의 서빙셀이 구성된 경우 해당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D2D 자원제어 방식(즉, 모드)이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V2X 단말에 서빙셀 1번과 2번이 구성된 경우, 서빙셀 1번에는 모드 3이 적용되고 서빙셀 2번에는 모드 4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 구성을 위한 RRC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를 구성하기 위해, 기지국은 표 3과 같은 V2X 전용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900). RRC 메시지에는 서빙셀 단위의 모드 정보가 포함된다.
기지국이 RRC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어느 서빙셀이 모드 3으로 구성된 경우, 기지국은 RRC 메시지에 셀 인덱스 또는 서빙셀 인덱스를 포함시킨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 값은 0 내지 31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RRC 메시지에 상기 어느 서빙셀에 대한 송신 자원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기지국이 RRC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단말 스스로가 추가적으로 사용(또는 동작) 가능한 타 반송파가 존재할 경우 단말이 상기 타 반송파에서 모드 4의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기 지시자를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에 포함시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자는 RRC 연결 모드 단말에게 상기 타 반송파에 대해 모드 4의 동작을 허용 또는 허용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시자를 수신한 단말은, 추가적으로 사용(또는 동작) 가능한 타 반송파가 존재할 경우 상기 타 반송파에서 모드 4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이 RRC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로서, 어느 서빙셀이 모드 4로 구성된 경우, 기지국은 상기 모드 4로 구성된 서빙셀에 대한 송신 자원풀 리스트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구성되지 않은 다른 반송파에서는, 그 다른 반송파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수신된 송수신 자원 풀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모드 3으로 구성된 서빙셀들에만 적용되는 공통의(또는 하나의) SL-V-RNTI만을 할당한다.
또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하나의 우선순위 정보 및 MCS 정보를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로 전송한다.
단계 S900에 의해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RRC 메시지에 포함된 구성정보(모드 정보, 송신 자원풀 정보 등)에 기반하여 서빙셀별로 모드를 구성하고, 서빙셀별로 송신 자원풀을 구성한다(9805).
RRC 구성을 성공적으로 종료하면, 단말은 RRC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910).
기지국은 단말에 구성되지 않은 다른 반송파에 관한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다른 반송파에 대한 V2X 공용 구성정보(예를 들어 송수신 자원 풀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915).
단말 스스로가 상기 다른 반송파를 추가적으로 사용(또는 동작) 가능할 경우, 상기 다른 반송파를 구성하고, 상기 다른 반송파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S920).
II. 사이드링크 CA에서의 패킷 중복 전송 방법
이하에서는 사이드링크 CA를 지원하는 V2X 시스템에서, 패킷 중복(packet duplication) 전송을 위한 자원운용 방법에 관하여 설명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HARQ 및 ARQ와 같은 재전송 방식이다. 이 방식은 수신단에서 데이터 수신의 오류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송신단으로 해당 데이터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구하는 정보(예를들어 NACK)을 보내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다시 전송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데이터 패킷이 겪는 무선채널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시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수신단에서 수신한 해당 정보신호의 에너지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서술한 ARQ/HARQ 방식은 최초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패킷 데이터의 수신성공을 위해 부가적인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완료 시점이 늦어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만일 특정 서비스의 QoS가 매우 적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경우, ARQ/HARQ 방식으로 이를 만족시키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QoS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이버시티 이득과 복수의 패킷 수신을 통한 수신 에너지 증가 효과를 지연시간 증가없이 확보하기 위해 패킷 중복 전송 방식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패킷 중복 전송 방식은 단일 기지국 내 복수의 셀과 송수신을 진행할 수 있는 반송파 정합(Carrier Aggregation)을 사용할 수 있거나, 이중연결(dual connectivity)와 같이 서로 다른 두개의 기지국과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적용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한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시나리오에서, 고신뢰 저지연 QoS를 요구하는 새로운 V2X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이드링크에 적합한 패킷 중복 전송 및 운용 방식이 필요하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을 위한 2가지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하나의 PDCP 엔터티(entity) 가 2개 이상의 RLC 엔터티들 및 논리채널들과 연관성을 가지는 PDCP 데이터 중복 방식을 지원하는 RB(resource block)들에 대한 개념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각 RB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반송파 또는 서빙셀에 존재한다. 송신 단말은 데이터 패킷이 SDAP 계층 또는 IP 계층과 같은 상위계층에서 PDCP 엔터티로 수신되면 상기 PDCP 엔터티에서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의 PDCP PDU (packet data unit) 형태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은 상기 PDCP 엔터티과 연결관계를 가지는 각각 서로 다른 RLC 엔터티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는 MAC 계층으로 서로 다른 논리채널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논리채널들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MAC 계층에서 각 논리채널마다 항상 서로 다른 서빙셀을 통해 전송되도록 각 서빙셀에 대한 자원할당정보를 기반으로 서로 구분하여 MAC PDU를 구성하여 서로 다른 SL 전송이 가능한 서빙셀 또는 반송파를 통해 전송한다. 수신단에서는 상기 데이터들을 PDCP 엔터티까지 전달하고 상기 PDCP 엔터티는 데이터 수신 후 각 데이터 패킷에 대한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인 시퀀스 넘버(SN, sequence number) 등을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이 중복 전송된 것임을 인지하고 성공적으로 수신된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폐기한다.
도 10b는 일반적인 무선 베어러의 구성과 같이 하나의 PDCP 엔터티 및 하나의 RLC 엔터티로 구성되는 개념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MAC 계층에서 데이터 중복 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경우 적어도 같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SL 자원할당을 서로 다른 서빙셀 또는 반송파에 받아야 한다. 이 경우, MAC 계층은 특정 논리채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중복전송하기 위해 동일한 MAC PDU를 중복 구성하고 이를 서로 다른 SL 전송이 가능한 서빙셀 또는 반송파를 통해 전송한다. 수신단에서는 MAC PDU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RLC 엔터티로 전달한다. RLC 또는 PDCP 엔터티에서 도 10a와 같이 SN을 통해 중복성 체크를 진행하여 성공적으로 수신된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폐기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도 10a 및 10b에서 설명된 패킷 중복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RSU 및 차량통신을 위한 단말들이 기지국의 제어를 받는 모드 3과 단말 스스로 동작하는 모드 4로 구분하고, 각 경우에 대한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게시한다.
1. 단말이 모드 3으로 동작하는 경우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제1 실시예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에서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를 단말1로 전송한다. RRC 시그널링 절차는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되는 서빙셀(또는 반송파)들이 서로 다른 모드로 구성되는 경우(예를 들어, 제1 서빙셀은 모드 3이고 제2 서빙셀은 모드 4인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은 여러 루트를 통해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서, 기지국은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를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S1100). 예컨대, 단계 S1100은 단말에 2 이상의 서빙셀(또는 반송파)가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서빙셀(또는 반송파) 중 모드 4로 구성된 서빙셀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계 S1100은 RRC IDLE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S1105). 예컨대, 단계 S1105는 단말에 2 이상의 서빙셀(또는 반송파)가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서빙셀(또는 반송파) 중 모드 3으로 구성된 서빙셀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계 S1105은 RRC 연결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패킷 중복 전송의 허용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allow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패킷 중복 전송의 허용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허용 또는 비허용을 1비트로서 지시할 수 있다(allow indicator=1 or 0). 즉, 기지국은 모드 3의 단말1이 V2X 패킷 중복 전송 방식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RRC 메시지로서 지시할 수 있다.
만약, 사이드링크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i.e. allow indicator=1),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는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는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서빙셀을 지시하는 허용 셀 지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허용 셀 지시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서빙셀에 대하여 패킷 중복 전송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1의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시 발생하는 무선자원의 부하증가를 기지국이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서빙셀에 대하여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는 패킷 중복 전송이 불가한 반송파 또는 서빙셀에 대한 정보로 정의될 수도 있다. 특별한 허용 셀 지시정보가 없는 경우, 사이드링크 전송이 가능한 모든 반송파 또는 서빙셀에 대하여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것으로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규약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는 CBR(channel busy rate) 값을 포함할 수 있다. CBR 값은 0 내지 1 사이의 값, 예를 들어 0.1, 0.2, 0.3 ... 0.9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CBR 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단말1은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반송파(또는 서빙셀)에 관하여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한다. 여기서, CBR 값은 사이드링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r) 값과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 오프셋 값을 적용한 최종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정의된다.
상기 RSSI 값이 높다라는 의미는 해당 채널을 통해 다른 단말들이 신호를 전송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해당 채널이 또 다른 단말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의미가 되며 이는 단말1이 해당 패킷을 전송함에 있어서 신호간 간섭으로 인해 수신 신뢰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 함으로써 상기 수신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로써 상기 CBR 값의 임계치는 CBR 값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단말1은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반송파(또는 서빙셀)에 관하여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한다. 상기 임계치는 전송할 패킷이 요구하는 신뢰도 대비 채널의 RSSI 값이 그다지 높지 않다고 판단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이 경우는 해당 채널을 통해 굳이 패킷 중복 전송을 하지 않아도 해당 패킷의 수신 신뢰도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이다.
또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로써 상기 CBR 값의 임계치는 동시에 2개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는 채널의 RSSI 값이 높아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해당 반송파(또는 서빙셀) 채널의 사용이 높다고 판단되는 상황에 대응하는 앞서 설명한 CBR 값이 특정 임계치 이하를 위한 '최고 임계치'와, 또 다른 하나는 채널의 RSSI 값이 매우 낮아 해당 채널을 통해 굳이 패킷 중복 전송을 하지 않아도 해당 패킷의 수신 신뢰도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최저 임계치'로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최저 임계치 이상, 최고 임계치 이하인 CBR 값으로 상기 활성화 조건을 정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는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PPPP(priority per prose packet)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1이 사이드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중에서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PPPP값을 단말1로 제공한다. PPPP 값은 총 8개(1 내지 8의 자연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단말1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상기 PPPP 값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단말1은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하지 않는다. 반면, 단말1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상기 PPPP 값에 해당하는 경우, 단말1은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한다. 기지국은 각 PPPP 값에 해당하는 QoS를 단말1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QoS는 LCG(logical channel group)과 PPPP 간 매핑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단말1이 ProSe 서버에 등록할 때, ProSe 서비스를 관장하는 서버가 각 PPPP에 해당하는 QoS 값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로서의 상기 PPPP 값 대신 해당 패킷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새로운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PPP 값은 해당 패킷의 최소요구 신뢰도, 최소요구 지연시간, 서비스 타입 등 다양한 QoS 관련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하지만 상기 새로운 파라미터는 패킷의 최소요구 신뢰도만을 고려하거나, 지연시간을 추가로 고려한 파라미터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PPPP 값이라도 서로 다른 새로운 파라미터 값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PPPP 값이라도 서로 같은 새로운 파라미터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새로운 파라미터는 '패킷 신뢰도 파라미터'라 불리울 수 있다. 0 내지 7까지의 8단계로 구분되는 값을 가지거나, 0 내지 15까지의 16단계로 구분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단계 S1100 또는 S1105에 의해 각각 시스템 정보 또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1은 시스템 정보 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된 구성정보(모드 정보, 송신 자원풀 정보,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 등)에 기반하여 모드를 설정하고, 송신 자원풀을 구성한다(S1110).
또한, 단말1 스스로가 상기 다른 반송파를 추가적으로 사용(또는 동작) 가능할 경우, 상기 다른 반송파를 구성할 수 있다(S1115).
RRC 재구성을 성공적으로 종료하면, 단말1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120).
단말1은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상기 활성화 조건을 기반으로 패킷 중복 전송이 가능한 서빙셀 또는 반송파를 선택 또는 활성화한다(S1125). 여기서,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되는 서빙셀(또는 반송파)들이 둘 이상일 때, 이들 서빙셀(또는 반송파)들은 동일한 모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되는 서빙셀(또는 반송파)들이 서로 다른 모드로 구성된 경우(예를 들어, 제1 서빙셀은 모드 3이고 제2 서빙셀은 모드 4인 경우), 단말1은 제1 서빙셀에 대해 자원할당을 받기 위해 V2X BSR을 기지국에 전송하고(S1130), 기지국으로부터 자원할당 정보를 수신한다(S1140).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단말1로부터 상기 패킷 중복 활성화 MAC 데이터(S1135) 또는 패킷 중복 전송 관련 SL(또는 V2X) BSR(S1130)를 수신하게 되면 항상 패킷 중복 활성화를 고려하여 사이드링크 CA로 송신이 가능한 서로 다른 서빙셀에 대하여 동일한 시점에 존재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또는 PSSCH 전송 구간에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단말1의 패킷 중복 전송에 대한 최종 결정은 자원할당을 결정할 수 있는 기지국이다.
단말1은 모드 3에 관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모드 4의 서빙셀(또는 모드 4로 동작 가능한 반송파) 내 송신 자원풀 내 무선자원 중에서 상기 모드 3의 서빙셀의 전송시점과 동일한 무선자원을 선택하여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서로 다른 모드의 서빙셀들(또는 반송파들)의 송신 자원풀들의 적어도 일부의 자원이 서로 동일한 시점의 서브프레임 또는 TTI 또는 PSSCH 전송 구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단말1은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TTI 또는 PSSCH 전송 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시간 구간은 미리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V2X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허용되는 지연시간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시간 구간은 각 PPPP마다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시간 구간은 각 단말에 대해 고정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각 V2X 서비스의 최대 허용 지연시간과 데이터 부하량 등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 구간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각 단말에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시간 구간은 각 PPPP마다 고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V2X 서비스의 최대 허용 지연시간만을 고려하여 고정적인 시간 구간이 결정되고, 이에 대한 정보는 단말1의 V2X 사전정보 (preconfigured information)에 포함되며 단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다른 예로서,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되는 서빙셀(또는 반송파)들이 모두 모드 3으로 구성되는 경우, 단말1은 현재 SL BSR로 계산될 데이터 중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로 인해 증가되는 데이터 양 만큼 추가하여 BS 값을 계산한다. 즉,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는 SL(V2X) BSR 전송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S1130).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될 수 있는 PPPP에 대응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 LC)들은 동일한 LCG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기지국이 제공한 우선순위 기준). 다만, 상기 SL(V2X) BSR은 단말1이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를 고려하여 트리거되었음을 식별하기 위해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패킷 중복 전송 관련 SL(V2X) BSR의 LCID들이 정의될 수 있다. 이는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와는 무관하게 트리거되는 일반적인 SL(V2X) BSR을 나타내는 LCID와 구별된다.
일 측면에서, 패킷 중복 전송 관련 LCID는 각 SL(V2X) BSR을 나타내는 LCID마다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 5와 같이 일반적인 SL(V2X) BSR은 LCID 값이 '10111' 이지만 패킷 중복 전송 관련 SL(V2X) BSR의 LCID 값은 '10011'일 수 있다.
Index LCID values
00000 CCCH
00001-01010 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01011 CCCH
01011 CCCH
01100-10001 Reserved
10010 Packet Duplication Truncated Sidelink BSR
10011 Packet Duplication Sidelink BSR
10100 Recommended bit rate query
10101 SPS Confirmation
10110 Truncated Sidelink BSR
10111 Sidelink BSR
11000 Dual Connectivity Power Headroom Report
11001 Extended Power Headroom Report
11010 Power Headroom Report
11011 C-RNTI
11100 Truncated BSR
11101 Short BSR
11110 Long BSR
11111 Padding
다른 측면에서, 모든 버퍼 내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Truncated SL(V2X) BSR은 LCID 값이 표 5와 같이 '10110'이지만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Truncated SL(V2X) BSR의 LCID 값은 '10010'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만일 단말이 패킷 중복 전송을 비활성화한 경우, 단말은 일반적인 SL(V2X) BSR / 일반적인 Truncated SL(V2X) BSR을 지시하는 LCID를 이용하여 SL BSR을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되는 서빙셀(또는 반송파)들이 모두 모드 3으로 구성되는 경우, 단말1은 자체적으로 결정한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 정보(또는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라고도 함)를 MAC 데이터 형태(이하 패킷 중복 활성화 MAC 데이터 또는 패킷 중복 비활성화 MAC 데이터 또는 패킷 중복 활성화/비활성화 MAC 데이터라 한다)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135). 패킷 중복 활성화 MAC 데이터는 도 12와 같은 MAC PDU(protocol data unit) 포맷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 중복 활성화 MAC 데이터는 특정 LCID에 대응하는 MAC CE 또는 MAC SDU일 수 있다. 패킷 중복 활성화 MAC 데이터를 위한 페이로드(payload)는 구성되지 않고 LCID를 포함한 서브헤더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단말이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한 경우, 상기 특정 LCID 값은 패킷 중복 활성화 MAC 데이터를 나타내는 값으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LCID 값은 5비트 또는 6비트가 될 수 있다. 이는 V2X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따라 서로 다른 LCID 길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특정 LCID가 5비트인 경우, 일 예로 LCID 값은 UL MAC PDU 내 서브헤더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서 '10011'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정 LCID가 6비트인 경우, 일 예로 LCID 값은 UL MAC PDU 내 서브헤더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서 '110011'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단말이 패킷 중복 전송을 비활성화한 경우, 상기 특정 LCID 값은 패킷 중복 비활성화 MAC 데이터를 나타내는 값으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LCID 값은 5비트 또는 6비트가 될 수 있다. 상기 특정 LCID가 5비트인 경우, 일 예로 LCID 값은 UL MAC PDU 내 서브헤더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서 '10010'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정 LCID가 6비트인 경우, 일 예로 LCID 값은 UL MAC PDU 내 서브헤더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서 '110010'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1에서, 기지국이 단말1로부터 상기 패킷 중복 활성화 MAC 데이터(S1135) 또는 패킷 중복 전송 관련 SL(또는 V2X) BSR(S1130)를 수신하면, 기지국은 단말1이 사이드링크 CA로 송신이 가능한 서로 다른 서빙셀에 대하여 동일한 시점에 존재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또는 PSSCH 전송 구간에 무선자원을 할당한다(S1140).
단말1은 S1140에서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단말2에게 SL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한다(S1145).
2. 단말이 모드 4로 동작하는 경우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제2 실시예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CA에서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를 단말1로 전송한다(S1300).
모드 4로 동작하는 단말들도 2가지 RRC 상태, 즉 RRC 연결 상태와 RRC IDLE 상태로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에게 전송되는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가 RRC 상태에 따라 다른 메시지 포맷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서, 기지국은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를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S1300). 이때 단말1은 RRC IDLE 상태에 속할 수 있다.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는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 이외에도 모드 정보, 송신 자원풀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1은 RRC 연결 상태에 속할 수 있다. RRC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일 수 있다. RRC 메시지는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 이외에도 모드 정보, 송신 자원풀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패킷 중복 전송의 허용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allow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패킷 중복 전송의 허용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허용 또는 비허용을 1비트로서 지시할 수 있다(allow indicator=1 or 0). 즉, 기지국은 모드 4의 단말1이 V2X 패킷 중복 전송 방식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RRC 메시지로서 지시할 수 있다.
만약, 사이드링크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i.e. allow indicator=1),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는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는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서빙셀을 지시하는 허용 셀 지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허용 셀 지시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서빙셀에 대하여 패킷 중복 전송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1의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시 발생하는 무선자원의 부하증가를 기지국이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서빙셀에 대하여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는 패킷 중복 전송이 불가한 반송파 또는 서빙셀에 대한 정보로 정의될 수도 있다. 특별한 허용 셀 지시정보가 없는 경우, 사이드링크 전송이 가능한 모든 반송파 또는 서빙셀에 대하여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규약할 수 있다.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가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는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반송파 또는 서빙셀상에서의 패킷 중복 전송 허용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는 CBR(channel busy rate) 값을 포함할 수 있다. CBR 값은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반송파(또는 서빙셀)마다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CBR 값은 0 내지 1 사이의 값, 예를 들어 0.1, 0.2, 0.3 ... 0.9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CBR 값이 임계치 이하인 반송파(또는 서빙셀)은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반송파 또는 서빙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CBR 값은 사이드링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r) 값과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 오프셋 값을 적용한 최종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정의된다. 한편, CBR 값이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는 자기가 전송되는 반송파 또는 서빙셀상에 대한 CBR 값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SSI 값이 높다라는 의미는 해당 채널을 통해 다른 단말들이 신호를 전송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해당 채널이 또 다른 단말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의미가 되며 이는 단말1이 해당 패킷을 전송함에 있어서 신호간 간섭으로 인해 수신 신뢰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 함으로써 상기 수신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로써 상기 CBR 값의 임계치는 CBR 값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단말1은 패킷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반송파(또는 서빙셀)에 관하여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한다. 상기 임계치는 전송할 패킷이 요구하는 신뢰도 대비 채널의 RSSI 값이 그다지 높지 않다고 판단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이 경우는 해당 채널을 통해 굳이 패킷 중복 전송을 하지 않아도 해당 패킷의 수신 신뢰도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이다.
또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로써 상기 CBR 값의 임계치는 동시에 2개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는 채널의 RSSI 값이 높아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해당 반송파(또는 서빙셀) 채널의 사용이 높다고 판단되는 상황에 대응하는 앞서 설명한 CBR 값이 특정 임계치 이하를 위한 '최고 임계치'와, 또 다른 하나는 채널의 RSSI 값이 매우 낮아 해당 채널을 통해 굳이 패킷 중복 전송을 하지 않아도 해당 패킷의 수신 신뢰도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최저 임계치'로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최저 임계치 이상, 최고 임계치 이하인 CBR 값으로 상기 활성화 조건을 정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는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PPPP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1이 사이드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중에서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PPPP값을 단말1로 제공한다. PPPP 값은 총 8개(1 내지 8의 자연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단말1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상기 PPPP 값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단말1은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하지 않는다. 반면, 단말1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상기 PPPP 값에 해당하는 경우, 단말1은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한다. 한편, PPPP 값이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는 자기가 전송되는 반송파 또는 서빙셀상에 대한 PPPP 값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화 조건에 관한 정보로서의 상기 PPPP 값 대신 해당 패킷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새로운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PPP 값은 해당 패킷의 최소요구 신뢰도, 최소요구 지연시간, 서비스 타입 등 다양한 QoS 관련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하지만 상기 새로운 파라미터는 패킷의 최소요구 신뢰도만을 고려하거나, 지연시간을 추가로 고려한 파라미터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PPPP 값이라도 서로 다른 새로운 파라미터 값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PPPP 값이라도 서로 같은 새로운 파라미터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새로운 파라미터는 '패킷 신뢰도 파라미터'라 불리울 수 있다. 0 내지 7까지의 8단계로 구분되는 값을 가지거나, 0 내지 15까지의 16단계로 구분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단계 S1300에서 단말1이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를 수신한 이후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단말1이 패킷 중복 전송을 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및/또는 서빙셀이 적어도 2개 이상인 경우, 단말1은 해당 주파수 대역 및/또는 서빙셀을 추가적으로 구성하고(S1305), 패킷 중복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패킷 중복 전송을 활성화할 수 있다(S1310). 예를 들어, 단말1은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를 결정하게 되면 단말1은 모드 4인 서빙셀, 또는 모드 4로 동작 가능한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송파, 또는 모드 4로 설정된 서빙셀 하나와 모드 4로 동작 가능한 반송파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1은 단계 S1300의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로부터 획득한 각 서빙셀 또는 반송파 내 송신 자원풀 정보를 기반으로, 패킷 중복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선택한다.
패킷 중복 전송을 위해 선택 가능한 무선자원은, 서빙셀 또는 반송파들간에 동일한 시점의 서브프레임 또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또는 PSSCH 전송 구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만약 서로 다른 모드의 서빙셀들(또는 반송파들)의 송신 자원풀들의 적어도 일부의 자원이 서로 동일한 시점의 서브프레임 또는 TTI 또는 PSSCH 전송 구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단말1은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TTI 또는 PSSCH 전송 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중복 전송이 허용되는 시간 구간은 미리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V2X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허용되는 지연시간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시간 구간은 각 PPPP마다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시간 구간은 각 단말에 대해 고정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각 V2X 서비스의 최대 허용 지연시간과 데이터 부하량 등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 구간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각 단말에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시간 구간은 각 PPPP마다 고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V2X 서비스의 최대 허용 지연시간만을 고려하여 고정적인 시간 구간이 결정되고, 이에 대한 정보는 단말1의 V2X 사전정보 (preconfigured information)에 포함되며 단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단말1은 단말2에게 SL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한다(S1315).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례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V2X 전용 구성정보 또는 V2X 공용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400). V2X 전용 구성정보 또는 V2X 공용 구성정보는 본 명세서의 도 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된 V2X 전용 구성정보와 V2X 공용 구성정보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기능 및 구성을 가지고, 단말과 기지국간에 송신 및 수신되는 정보이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V2X 전용 구성정보 또는 V2X 공용 구성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제공하는 V2X 반송파 또는 서빙셀을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이 제공하는 V2X 반송파 또는 서빙셀 이외에도 사용 가능한 반송파 또는 서빙셀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405).
단말은 본 명세서의 "II. 사이드링크 CA에서의 패킷 중복 전송 방법"에서 게시된 모든 실시예들 각각 또는 이들의 모든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동시에 송신 및/또는 수신이 가능한 반송파 또는 서빙셀을 구성한다(S1410).
단말은 명세서의 "II. 사이드링크 CA에서의 패킷 중복 전송 방법"에서 게시된 모든 실시예들 각각 또는 이들의 모든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사이드링크 패킷 중복 전송 활성화 여부를 확인한다(S1415).
단말은 본 명세서의 I과 II절에서 게시된 모든 실시예들 각각 또는 이들의 모든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정해지는 사이드링크 CA 및/또는 사이드링크 CA에서의 패킷 중복 전송 절차와 운용 방법에 따라서, 사이드링크를 통해 V2X 패킷을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420).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례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V2X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반송파 또는 서빙셀을 통해 V2X 공용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1500). V2X 공용 구성정보는 본 명세서의 도 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된 V2X 공용 구성정보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기능 및 구성을 가지고, 단말과 기지국간에 송신 및 수신되는 정보이다.
기지국은 V2X 전용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1505). V2X 전용 구성정보는 본 명세서의 도 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된 V2X 전용 구성정보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기능 및 구성을 가지고, 단말과 기지국간에 송신 및 수신되는 정보이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V2X 데이터에 대한 BSR을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1510).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V2X 반송파 또는 서빙셀 중 모드 3으로 구성된 반송파 또는 서빙셀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1515).
기지국은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1520).
기지국은 모드 3으로 구성된 서빙셀 또는 반송파 중에서, 2개의 서빙셀 또는 반송파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1525).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1600)은 프로세서(1610), 메모리(1625) 및 RF부(16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610)는 다시 메시지 처리부(1612), V2X 제어부(161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6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10)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단말의 모든 동작을 구현하며, 도 1 내지 도 15에 따른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와 데이터의 생성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1625)는 프로세서(16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6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시지 처리부(1612), V2X 제어부(1614)의 동작은 모두 프로세서(1610)의 동작에 속한다.
RF부(1620)는 프로세서(16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부(1620)는 기지국(1650)으로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지국(1650)으로부터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RF부(1620)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 RRC 메시지, MAC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F부(1620)는 V2X 전용 구성정보 또는 V2X 공용 구성정보를 기지국(16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V2X 전용 구성정보 또는 V2X 공용 구성정보는 본 명세서의 도 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된 V2X 전용 구성정보와 V2X 공용 구성정보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기능 및 구성을 가진다.
메시지 처리부(1612)는 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 RRC 메시지, MAC 데이터를 복원 및/또는 복호하여 V2X 제어부(1614)에 정보를 전달한다. 또는 메시지 처리부(1612)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바와 같이 단말(1600)에서 기지국(1650)으로 전송되는 모든 RRC 메시지 또는 MAC 데이터를 생성하여 RF부(1620)로 보내고, RF부(1620)는 RRC 메시지 또는 MAC 데이터를 기지국(165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처리부(1612)는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 정보를 생성하여 RF부(1620)으로 보내고, RF부(1620)는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 정보를 기지국(1650)으로 전송한다.
V2X 제어부(1614)는 전달받은 정보에 기반하여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단말(1600)의 V2X 관련 모든 동작을 제어 및 수행한다.
예를 들어, V2X 제어부(1614)는 기지국(1650)으로부터 수신된 V2X 전용 구성정보 또는 V2X 공용 구성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1650)이 제공하는 V2X 반송파 또는 서빙셀을 확인한다. 그리고, V2X 제어부(1614)는 기지국(1650)이 제공하는 V2X 반송파 또는 서빙셀 이외에도 사용 가능한 반송파 또는 서빙셀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V2X 제어부(1614)는 본 명세서의 "II. 사이드링크 CA에서의 패킷 중복 전송 방법"에서 게시된 모든 실시예들 각각 또는 이들의 모든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동시에 송신 및/또는 수신이 가능한 반송파 또는 서빙셀을 구성한다. V2X 제어부(1614)는 본 명세서의 "II. 사이드링크 CA에서의 패킷 중복 전송 방법"에서 게시된 모든 실시예들 각각 또는 이들의 모든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사이드링크 패킷 중복 전송 활성화 여부를 확인한다. V2X 제어부(1614)는 본 명세서의 I과 II절에서 게시된 모든 실시예들 각각 또는 이들의 모든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정해지는 사이드링크 CA 및/또는 사이드링크 CA에서의 패킷 중복 전송 절차와 운용 방법에 따라서, 사이드링크를 통해 V2X 패킷을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기지국(1650)은 메모리(1655), 프로세서(1660) 및 RF부(166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660)는 다시 메시지 구성부(1662) 및 V2X 제어부(166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60)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지국의 모든 동작을 구현하며, 도 1 내지 도 15에 따른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와 데이터의 생성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1655)는 프로세서(166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66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시지 구성부(1662), V2X 제어부(1664)의 동작은 모두 프로세서(1660)의 동작에 속한다.
RF부(1665)는 프로세서(166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부(1665)는 단말(1600)로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단말(1600)으로부터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의 동작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장치 간 패킷 중복 전송(packet duplication transmission)과 관련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무선장치간 논리 채널 그룹과 패킷 신뢰도 파라미터 간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 신뢰도 파라미터는 상기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와 관련되고 복수의 설정된 값 중에서 선택된 값을 지시하고,
    제2 무선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결정하고,
    상기 패킷 신뢰도 파라미터와 관련된 상기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데이터 중복(data duplicates)으로 복제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을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의 다른 논리 채널들에 매핑하고, 및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무선 사용자 장치로 직접 통신을 통하여 상기 다른 논리 채널들에 매핑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을 전송하되,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이 매핑된 상기 다른 논리 채널들 각각은 다른 캐리어에 연관되고, 상기 다른 캐리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패킷 중복 전송이 허여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선택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의 동작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를 위한 복수의 캐리어들을 구성하고,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장치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전송 자원 풀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을 전송하는 경우, 제1 논리 채널과 관련된 제1 캐리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의 제1 중복을 전송하고, 및
    제2 논리 채널과 관련된 제2 캐리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의 제2 중복을 전송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패킷 중복이 허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빙 셀들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의 동작은:
    상기 패킷 중복이 허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빙 셀들을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논리 채널들에 매핑되는 복수의 데이터 중복을 전송하기 위한 서빙 셀들을 결정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은 복수의 중복된 패킷 데이터 집합 프로토콜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패킷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의 동작은:
    PDCP 엔티티(entity)로부터 다른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들로 상기 복수의 중복된 PDCP 패킷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하되, 상기 다른 RLC 엔티티들은 상기 MAC 계층의 상기 다른 논리 채널들과 관련된,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들은 동일한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와 관련된,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정된 값 중에서 선택된 값은 정수 값들의 범위 중 하나인,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논리 채널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들과 관련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들은 상기 패킷 신뢰도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10.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지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의 동작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장치 간 패킷 중복 전송(packet duplication transmission)과 관련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논리 채널 그룹과 패킷 신뢰도 파라미터 간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 신뢰도 파라미터는 무선 장치 간 상기 패킷 중복 전송의 활성화와 관련되고 복수의 설정된 값 중에서 선택된 값을 지시하고,
    제2 무선 사용자 장치로부터 직접 통신을 통하여, 다른 논리 채널들에 매핑된 복수의 데이터 중복(data duplicates)을 수신하고,
    상기 다른 논리 채널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을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은 동일한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와 관련되고,
    상기 동일한 시퀀스 넘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 중 하나를 저장하고, 및
    상기 저장 후,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 중 남은 데이터 중복을 버리되(discarding),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이 매핑된 상기 다른 논리 채널들 각각은 다른 캐리어에 연관되고, 상기 다른 캐리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패킷 중복 전송이 허여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선택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의 동작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를 위한 복수의 캐리어들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을 수신하는 경우, 제1 논리 채널과 관련된 제1 캐리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의 제1 중복을 수신하고, 및 제2 논리 채널과 관련된 제2 캐리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의 제2 중복을 수신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패킷 중복이 허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빙 셀들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의 동작은:
    상기 패킷 중복이 허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빙 셀들을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논리 채널들에 매핑되는 복수의 데이터 중복을 수신하는 서빙 셀들을 결정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복은 복수의 중복된 패킷 데이터 집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패킷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의 동작은:
    PDCP 엔티티(entity)에 의해서 다른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들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중복된 PDCP 패킷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되, 상기 다른 RLC 엔티티들은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의 다른 논리 채널들과 관련된,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논리 채널들 각각은 논리 채널 그룹들과 관련되고, 상기 논리 채널 그룹들은 상기 패킷 신뢰도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제1 무선 사용자 장치.
KR1020230136624A 2017-11-17 2023-10-13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475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778 2017-11-17
KR20170153778 2017-11-17
KR1020180016808A KR102590907B1 (ko) 2017-11-17 2018-02-12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808A Division KR102590907B1 (ko) 2017-11-17 2018-02-12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586A true KR20230147586A (ko) 2023-10-23

Family

ID=6653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624A KR20230147586A (ko) 2017-11-17 2023-10-13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902866B2 (ko)
KR (1) KR20230147586A (ko)
WO (1) WO2019098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2288B2 (en) * 2017-11-29 2021-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3742766A4 (en) * 2018-02-09 2020-12-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PROCESS AND APPARATUS
WO2019160321A1 (en) * 2018-02-13 2019-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uplicated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45153B2 (en) * 2018-02-15 2021-03-0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assisted scheduling for packet duplication in vehicle-based sidelink communication
CN108260163B (zh) * 2018-03-28 2023-03-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
CN110351684A (zh) * 2018-04-04 2019-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及其装置和系统
WO2020029215A1 (en) * 2018-08-10 2020-02-13 Chongqing University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buffer status report
US11304092B2 (en) 2018-09-12 2022-04-12 Ofinno, Llc Session packet duplication control
US11399304B2 (en) 2018-09-28 2022-07-26 Ofinno, Llc Packet duplication by core network
US10716167B2 (en) * 2018-11-29 2020-07-14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Cellular network coverage using a vehicle-based data transmission extender
CN111328154B (zh) * 2018-12-14 2022-03-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控制连接管理方法及终端
CN111836390B (zh) * 2019-07-19 2022-03-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发送方法、终端及控制节点
CN111800238B (zh) * 2019-07-22 2023-06-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载波聚合参数配置方法、设备及系统
CN112399641A (zh) * 2019-08-13 2021-02-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直接通信接口重复传输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4391291A (zh) * 2019-10-17 2022-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20210282119A1 (en) * 2020-03-04 2021-09-09 Qualcomm Incorporated Group data transmissions for multi-link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R112022015576A2 (pt) * 2020-03-05 2022-09-27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s realizados por um dispositivo de transmissão, de retransmissão e de destino e para transmitir e receber um pacote, programa de computador,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e, dispositivos de transmissão, de retransmissão e de destino
TWI747229B (zh) * 2020-04-06 2021-11-21 智易科技股份有限公司 通訊系統及其資料傳輸方法與基站
US11277735B1 (en) 2020-09-08 2022-03-15 T-Mobile Innovations Llc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layer control for wireless user equipment
US20220377823A1 (en) * 2021-05-20 2022-11-24 Qualcomm Incorporated Path management with direct device communication
US20230397170A1 (en) * 2022-06-03 2023-12-07 Qualcomm Incorporated Duplicating sidelink transmissions for sidelink carrier aggreg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082B2 (en) 2002-09-30 2008-07-29 Lucent Technologies Inc. Sequence number schemes for acceptance/rejection of duplicated packets in a packet-based data network
US8473818B2 (en) 2009-10-12 2013-06-2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Reliable communications in on-chip networks
US10292196B2 (en) * 2013-12-23 2019-05-14 Apple Inc. Radio link control duplication for carrier aggregation
US10841833B2 (en) * 2016-10-12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Streamlined user plane headers for high data rates
CN109937587B (zh) * 2017-03-10 2022-06-14 株式会社Kt 缓冲区状态报告传输方法及其设备
US10805836B2 (en) * 2017-05-05 2020-10-13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duplication at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entity
US11363569B2 (en) * 2017-06-15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gical channel mapping with packet duplication
CN111418243B (zh) * 2017-09-28 2023-0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在直通链路通信中执行载波聚合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02866B2 (en) 2024-02-13
US20240179501A1 (en) 2024-05-30
US20190158993A1 (en) 2019-05-23
WO2019098781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47586A (ko)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445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US11641599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50937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same
EP3634071B1 (en) Channel access priority class selection
JP2019516293A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をlteマスターueと共にグループ化する手順
US1054804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2102118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
US10939455B2 (en) Method for allocating priorities to a logical channel group implicitly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8291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
KR102590907B1 (ko)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731737A (zh) 通信系统、通信终端及基站
KR10250935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202002289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d2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27288A (ko)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신을 위한 자원 요청 방법 및 장치
KR20160093393A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절단된 버퍼상태보고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441301B1 (ko) 차량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12773A (ko)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WO2024069430A1 (en) Beam indication to configure network-controlled repeater for access link
KR20170112737A (ko)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준영구적 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