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410A -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 Google Patents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410A
KR20230147410A KR1020220046398A KR20220046398A KR20230147410A KR 20230147410 A KR20230147410 A KR 20230147410A KR 1020220046398 A KR1020220046398 A KR 1020220046398A KR 20220046398 A KR20220046398 A KR 20220046398A KR 20230147410 A KR20230147410 A KR 20230147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pattern
feed line
radiator
fe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304B1 (ko
Inventor
곽병화
허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04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304B1/ko
Priority to PCT/KR2023/003388 priority patent/WO2023200121A1/ko
Publication of KR2023014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시된다. 개시된 안테나는 기판; 기판 전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급전 선로 및 제2 급전 선로; 상기 제1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2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 제2 방사체; 상기 제1 급전 선로를 둘러싸고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지 패턴;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2 급전 선로를 둘러싸며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지 패턴; 상기 제1 접지 패턴의 제2 접지 패턴의 제1 종단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상기 제2 접지 패턴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선로를 포함한다. 개시된 안테나는 전류 흐름을 개선하여 방사 패턴과 정재파비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협소한 사이즈로 광대역 특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방사 패턴을 방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MIMO Antenna Where Standing Wave Ratio Characteristic is Improved}
본 발명은 MIMO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동통신 초기 단계에서 건물 내부의 통신은 실외의 중계기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이 경우, 건물의 벽에 의해 발생하는 높은 신호 손실 때문에 양질의 서비스 제공이 어려웠다. 특히 쇼핑센터, 빌딩, 경기장 등의 실내 통신 환경에서 발생하는 높은 트래픽 용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건물 내부에서의 통신 품질이 계속해서 문제가 되면서 실내 통신 환경에서 발생하는 높은 트래픽 용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통신 음영 지역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중계기가 사용된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신호의 감쇄 현상이 심화되고 투과에 취약하기 때문에 중계기의 의존성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계기들은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에 협소한 구조를 가지며 중계기용 안테나 역시 협소한 구조를 가진다. 협소한 안테나로는 광대역 특성을 확보하면서 양호한 정재파비 특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특히, 저하된 정재파비 특성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류 흐름을 개선하여 방사 패턴과 정재파비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MIMO 안테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협소한 사이즈로 광대역 특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방사 패턴을 방사할 수 있는 MIMO 안테나를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 기판 전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급전 선로 및 제2 급전 선로; 상기 제1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2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 제2 방사체; 상기 제1 급전 선로를 둘러싸고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지 패턴;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2 급전 선로를 둘러싸며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지 패턴; 상기 제1 접지 패턴의 제2 접지 패턴의 제1 종단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상기 제2 접지 패턴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선로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MIMO 안테나는 상기 제1 접지 패턴의 제1 종단부로부터 상기 제1 접지 패턴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 패턴 및 상기 제2 접지 패턴의 제1 종단부로부터 상기 제2 접지 패턴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 패턴을 더 포함한다.
상기 MIMO 안테나는 상기 제1 돌출 패턴과 상기 제2 돌출 패턴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선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선로 및 제2 연결 선로에 의해 전기적 루프가 형성된다.
상기 MIMO 안테나는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λ/2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 소자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판 후면에는 상기 제1 급전 선로와 제1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1 급전점 및 상기 제2 급전 선로와 제2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2 급전점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판; 기판 전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급전 선로 및 제2 급전 선로; 상기 제1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2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 제2 방사체; 상기 제1 급전 선로를 둘러싸고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지 패턴;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2 급전 선로를 둘러싸며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지 패턴; 상기 제1 접지 패턴의 제2 접지 패턴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선로; 및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상기 제2 접지 패턴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연결 서로에 비해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전류 흐름을 개선하여 방사 패턴과 정재파비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협소한 사이즈로 광대역 특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방사 패턴을 방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제1 레퍼런스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1 레퍼런스 안테나의 S11 파라미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의 S11 파라미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제2 레퍼런스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2 레퍼런스 안테나의 S11 파라미터를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는 기판(210),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제1 급전 선로(240), 제2 급전 선로(250), 제1 접지 패턴(260), 제2 접지 패턴(270), 제1 돌출 패턴(410), 제2 돌출 패턴(420) 및 제1 연결 선로(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기판(210)상에 형성되며, 기판(210)의 전면 및 후면에 금속 패턴의 형태로 형성된다. 기판(210)은 유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재질이 기판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는 두 개의 방사체(220, 230)를 포함하고, 각 방사체(220, 230)에 대응하여 제1 급전 선로(240) 및 제2 급전 선로(250)가 형성된다. 제1 급전 선로(240)는 제1 방사체(220)에 급전 신호를 제공하고, 제2 급전 선로(250)는 제2 방사체(230)에 급전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두 개의 방사체(220, 230)에서 신호가 방사되는 MIMO 안테나이며, 각 방사체(220, 230)로는 독립적으로 급전 신호가 제공되고 각 방사체(220, 230)는 독립적으로 신호를 수신한다.
제1 방사체(220) 및 제2 방사체(230)는 기판(210)의 전면에서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방사체(220) 및 제2 방사체(230)는 각각 제1 급전 선로(240) 및 제2 급전 선로(250)와의 접점을 기준으로 상하 비대칭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방사체(220) 및 제2 방사체(230)는 각각 제1 급전 선로(240) 및 제2 금전 선로(250)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의 면적이 하부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제1 방사체(220) 및 제2 방사체(230)는 다양한 도전체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210)상에 패터닝될 수 있다.
제1 방사체(220) 및 제2 방사체(230) 각각은 제1 급전 선로(240) 및 제2 급전 선로(250)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으며, 제1 급전 선로(240) 및 제2 급전 선로(250)는 기판(210)의 후면에 형성된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급전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사체(220) 및 제2 방사체(230)는 연결 소자(221)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소자(221)는 급전 선로를 기준으로 비대칭의 크기를 가지는 제1 방사체(220) 및 제2 방사체(230)에서 면적이 큰 부분을 서로 연결한다.
연결 소자(221)는 일예로 λ/2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연결 소자(221)는 제1 방사체(220)와 제2 방사체(230)간의 격리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두 개의 방사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두 개의 방사체(220, 230)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MIMO 안테나이기에 방사체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방사체(220)와 제2 방사체(230)를 연결하는 연결 소자(221)가 λ/2의 길이를 가질 때 2개의 방사체(220, 230)간 전류 경로가 서로 차단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소자(221)로 인해 인접한 두 개의 방사체(220, 230)가 λ/4 이하의 간격으로 배치되더라도 양호한 격리도 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안테나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양호한 방사 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기판(210) 전면에는 제1 방사체(220)에 인접하는 제1 접지 패턴(260) 및 제2 방사체(230)에 인접하는 제2 접지 패턴(270)이 형성된다. 제1 접지 패턴(260) 및 제2 접지 패턴(270)은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접지 패턴(260)은 제1 급전 선로(240)를 둘러싸면서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제2 접지 패턴(270)은 제2 급전 선로(250)를 둘러싸면서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 접지 패턴(260)과 제2 접지 패턴(270)은 서로 이격되며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지 패턴(260)은 제1 급전 선로(240)를 둘러싸면서 제1 급전 선로(240)가 CPW 방식으로 급전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접지 패턴(270)은 제2 급전 선로(250)를 둘러싸면서 제2 급전 선로가 CPW 방식으로 급전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방사체(220, 230) 사이에 두 개의 접지 패턴을 위치시키고, 연결 소자(221)를 통해 MIMO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방사체간 간섭을 억제하여 격리도 특성을 향상시킨다.
제1 접지 패턴(260)과 제2 접지 패턴(270)은 부분적으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접지 패턴(260)과 제2 접지 패턴(270)의 폭은 요구되는 임피던스 매칭 특성에 기초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지 패턴(260)과 제2 접지 패턴(270)의 제1 종단과 인접한 영역에는 제1 접지 패턴(260)과 제2 접지 패턴(270)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선로(400)가 형성된다. 제1 연결 선로(400)에 의해 제1 접지 패턴(260)과 제2 접지 패턴(27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접지 패턴(260)과 제2 접지 패턴(270) 사이에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종단은 연결 선로(221)와 인접한 종단을 의미하고 제1 종단은 제2 종단과 반대편의 종단을 의미한다.
제1 접지 패턴(260)의 제1 종단으로부터 제1 접지 패턴(26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 패턴(410)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접지 패턴(270)의 제1 종단으로부터 제2 접지 패턴(27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 패턴(420)이 형성된다. 제1 돌출 패턴(410)과 제2 돌출 패턴(420)은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돌출 패턴(410)과 제2 돌출 패턴(420)의 종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선로(430)가 형성된다. 제2 연결 선로(430)는 제1 연결 선로(400)와 함께 제1 접지 패턴(260)과 제2 접지 패턴(2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연결 선로(400)와 제2 연결 선로(43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연결 선로(400), 제1 돌출 패턴(410), 제2 돌출 패턴(420) 및 제2 연결 선로에 의해 루프(L)가 정의되며, 루프(L)로 인해 형성되는 전류 경로는 본 발명의 MIMO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MIMO 안테나는 기판(210)에 패터닝되는 소형 사이즈의 안테나이나 광대역 특성을 방사하는 안테나이다. 기판(210)에 패터닝되는 박막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될 때 특히 저주파 대역에서 높은 정재파비를 가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높은 정재파비를 가지게 될 경우 급전 선로로 방사될 신호가 다시 급전 선로로 반사되는 비율이 높아져 방사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연결 선로(400, 430)를 연결하고, 두 개의 연결 선로에 의해 정의되는 루프를 통해 새로운 전류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전류 흐름을 개선하고 정재파비를 개선시킨다.
한편, 도 1에는 제1 돌출 패턴(410) 및 제2 돌출 패턴(420)의 종단에 제2 연결 선로(430)가 연결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2 연결 선로(430)는 두 개의 접지 패턴(260, 270)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돌출 패턴(410, 42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2 연결 선로(430)는 제1 연결 선로(400)에 비해 하부에 위치하며 제1 연결 선로(400), 두 개의 접지 패턴 및 제2 연결 선로(430)에 의해 루프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에는 두 개의 급전점(510, 520)이 형성된다. 두 개의 급전점(510, 520)은 각각 제1 급전 선로(240) 및 제2 급전 선로(250)의 종단과 기판의 비아홀을 통해 연결된다. 제1 급전점(510)은 제1 급전 선로(240)의 종단과 비아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급전점(520)은 제2 급전 선로(250)의 종단과 비아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전점(510)은 외부의 급전 선로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외부의 급전 선로는 동축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급전점(520) 역시 외부의 급전 선로와 결합된다.
제1 급전점(510)과 제2 급전점(520)에 급전되는 신호는 동일한 신호일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신호가 급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제1 레퍼런스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제1 레퍼런스 안테나는 본 발명의 제1 연결 선로(400) 및 제2 연결 선로(430)가 생략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상이하며, 방사체, 접지 패턴, 연결 소자의 구조 자체는 본 발명과 동일하다.
도 3과 같이 연결 선로가 생략될 때, 제1 접지 패턴과 제2 접지 패턴은 기판상에서 연결되지 아니한다. 도 3과 같은 구조의 제1 레퍼런스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 자체는 확보할 수 있으나 양호한 임피던스 매칭 특성을 가지지 않으며 특히 저주파 대역에서 높은 정재파비로 인해 임피던스 매칭 특성이 저하된다.
도 4는 제1 레퍼런스 안테나의 S11 파라미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의 S11 파라미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레퍼런스 안테나의 방사 대역 중 저주파 대역의 S11 파라미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도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 대역 중 저주파 대역의 S11 파라미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레퍼런스 안테나는 높은 정재파비로 인해 S11이 전반적으로 높은 값을 가지며 임피던스 매칭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낮은 정재파비를 가지기에 S11이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가지며 도 4에 비해 양호한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제2 레퍼런스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제2 레퍼런스 안테나는 하나의 연결 선로(600)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결 선로(600)가 접지 패턴의 종단부가 아닌 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레퍼런스 안테나와 같이 연결 선로를 접지 패턴의 중단부에 연결할 때 제1 접지 패턴과 제2 접지 패턴은 기판상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접지 패턴의 중단부에 하나의 연결 선로(600)만 연결될 경우 정재파비를 낮춰 양호한 임피던스 매칭을 형성할 수는 없다.
하나의 연결 선로만 형성될 경우 본 발명과 같이 두 개의 돌출 패턴과 제2 연결 선로에 의해 정의되는 루프가 형성되지 아니하며, 중단부에 형성되는 연결 선로만으로는 전류 흐름의 개선을 도모할 수 없다.
도 7은 제2 레퍼런스 안테나의 S11 파라미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의 그래프도 제2 레퍼런스 안테나의 방사 대역 중 저주파 대역의 S11 파라미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레퍼런스 안테나는 저주파 대역에서 S11 파라미터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지며 양호한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접지 패턴의 종단부에 두 개의 연결 선로를 배치함으로써 루프를 형성할 때 저주파 대역에서 정재파비를 낮추어 양호한 임피던스 매칭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기판;
    기판 전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급전 선로 및 제2 급전 선로;
    상기 제1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2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 제2 방사체;
    상기 제1 급전 선로를 둘러싸고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지 패턴;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2 급전 선로를 둘러싸며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지 패턴;
    상기 제1 접지 패턴의 제2 접지 패턴의 제1 종단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상기 제2 접지 패턴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 패턴의 제1 종단부로부터 상기 제1 접지 패턴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 패턴 및 상기 제2 접지 패턴의 제1 종단부로부터 상기 제2 접지 패턴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패턴과 상기 제2 돌출 패턴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선로 및 제2 연결 선로에 의해 전기적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λ/2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MIMO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후면에는 상기 제1 급전 선로와 제1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1 급전점 및 상기 제2 급전 선로와 제2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2 급전점이 형성되는 전방향 MIMO 안테나.
  7. 기판;
    기판 전면에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급전 선로 및 제2 급전 선로;
    상기 제1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2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 제2 방사체;
    상기 제1 급전 선로를 둘러싸고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지 패턴;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2 급전 선로를 둘러싸며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지 패턴;
    상기 제1 접지 패턴의 제2 접지 패턴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선로; 및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상기 제2 접지 패턴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연결 서로에 비해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선로 및 상기 제2 연결 선로에 의해 전기적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선로 및 상기 제2 연결 선로는 상기 제1 접지 패턴의 제2 접지 패턴의 제1 종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λ/2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MIMO 안테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후면에는 상기 제1 급전 선로와 제1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1 급전점 및 상기 제2 급전 선로와 제2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2 급전점이 형성되는 전방향 MIMO 안테나.



KR1020220046398A 2022-04-14 2022-04-14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KR10264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398A KR102641304B1 (ko) 2022-04-14 2022-04-14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PCT/KR2023/003388 WO2023200121A1 (ko) 2022-04-14 2023-03-14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398A KR102641304B1 (ko) 2022-04-14 2022-04-14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410A true KR20230147410A (ko) 2023-10-23
KR102641304B1 KR102641304B1 (ko) 2024-02-27

Family

ID=8832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398A KR102641304B1 (ko) 2022-04-14 2022-04-14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1304B1 (ko)
WO (1) WO202320012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832A (ko) * 2011-04-06 2012-10-1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60061770A (ko) * 2014-11-24 2016-06-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 내장형 안테나 모듈
KR102093204B1 (ko) * 2018-11-19 2020-03-2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격리도 개선 구조를 갖는 광대역 mimo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792A (ko) * 2010-05-03 2011-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모 안테나 장치
KR101166090B1 (ko) * 2010-10-12 2012-07-2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다중 대역 mimo안테나
KR101252244B1 (ko) * 2011-09-02 2013-04-0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다중 안테나
US20220384955A1 (en) * 2019-11-22 2022-12-01 Lg Electronics Inc. Antenna system mounted on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832A (ko) * 2011-04-06 2012-10-1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60061770A (ko) * 2014-11-24 2016-06-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 내장형 안테나 모듈
KR102093204B1 (ko) * 2018-11-19 2020-03-2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격리도 개선 구조를 갖는 광대역 mimo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0121A1 (ko) 2023-10-19
KR102641304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4134B2 (en) MIMO antenna having parasitic elements
CN113748572B (zh) 具有成角度馈电柄的辐射元件和包括该辐射元件的基站天线
US6906677B2 (en) Antenna, antenna device, and radio equipment
KR100842082B1 (ko) 추가 그라운드를 갖는 안테나
KR102501224B1 (ko) 전방향 mimo 안테나
KR101750336B1 (ko) 다중대역 기지국 안테나
CA2270302A1 (en) High efficiency printed antennas
CN109830802B (zh) 一种毫米波双极化贴片天线
WO2021197399A1 (zh) 一种天线及终端
CN113193360A (zh) 基于电磁耦合抵消的自解耦mimo天线
Kim et al. High isolation internal dual-band planar inverted-F antenna diversity system with band-notched slots for MIMO terminals
US1199069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ntenna configuration method
US8228254B2 (en) Miniaturized antenna element and array
JPH07202562A (ja) プリントダイポールアンテナ
KR20100106878A (ko) 씨피에스 급전 선로를 구비하는 야기-우다 안테나
KR102093204B1 (ko) 격리도 개선 구조를 갖는 광대역 mimo 안테나
KR102108684B1 (ko) Mimo 안테나 모듈
KR102641304B1 (ko)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KR100586938B1 (ko) 내장형 다이버시티 안테나
Karbalaee et al. Designing Yagi-Uda antenna fed by microstrip line and simulated by HFSS
WO2018119946A1 (zh) 多输入多输出天线系统及移动终端
KR20100055742A (ko) 다중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장치
JP2017098835A (ja) アンテナ装置
TWI842333B (zh) 複合天線結構及通訊裝置
KR100911480B1 (ko)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통신 중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