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832A -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832A
KR20120113832A KR1020110031452A KR20110031452A KR20120113832A KR 20120113832 A KR20120113832 A KR 20120113832A KR 1020110031452 A KR1020110031452 A KR 1020110031452A KR 20110031452 A KR20110031452 A KR 20110031452A KR 20120113832 A KR20120113832 A KR 20120113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ne
antenna
edge
fe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강상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1003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3832A/ko
Publication of KR2012011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01Q9/27Spiral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 일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급전 선로; 일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급전 선로와 이격 형성된 제 2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을 갖는 제 1 방사체; 상기 제 2 급전 선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을 갖는 제 2 방사체; 상기 제 1 급전 선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급전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는 브릿지 선로; 및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는 공통 접지부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방사체 사이의 격리도가 향상되어 성능의 열화가 방지되면서 안테나의 체적도 소형화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L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른 안테나와의 간섭을 억제하여 안테나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만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에 따라 하나의 단말기로도 여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다중 대역 단말기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통신의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소자는 안테나인데, 안테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다중 대역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안테나가 다중 대역을 지원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이중 대역 이상을 지원하는 광대역 안테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기술이 아니더라도,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대역을 서비스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그 성능의 열화를 유발하므로, 각 안테나들을 최대한 이격시켜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점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소형화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수의 안테나를 결합하게 되면 상술한 문제점이 더욱 악화된다.
특히, 최근에는 4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된 LTE(Long Term Evolution) 안테나까지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면서, 단말기 내부에 안테나를 실장할 공간은 더욱 부족해 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PCB(10)의 하단에 GSM, DCS, PCS, WCDMA 등을 지원하는 메인 안테나(11)를 결합하고, 메인 PCB(10)의 상단에 LTE 대역의 MIMO 안테나(12)를 결합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단부는 리시버나 이어잭 모듈 같은 주변 기구물이 설치되어야 할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MIMO 안테나(12)를 메인 PCB(10)의 상단에 설치하는 것은 실장 공간 문제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계에 제약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1과 같은 구조에 따르면, 메인 PCB(10)의 측부에만 GPS, 블루투스, WiFi 등을 지원하는 서브 안테나(13)를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하면, 안테나들(11, 12, 13) 사이의 간섭에 의해 각 안테나들의 성능이 모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MIMO 안테나, 메인 안테나, 및 서브 안테나를 모두 포함하면서도 이들 사이의 격리도를 높이고, 성능의 열화를 방지하는 MIMO 안테나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방사체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키면서 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내장형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내장형 안테나, 메인 안테나, 및 서브 안테나를 모두 포함하면서도 안테나의 성능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 일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급전 선로; 일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급전 선로와 이격 형성된 제 2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을 갖는 제 1 방사체; 상기 제 2 급전 선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을 갖는 제 2 방사체; 상기 제 1 급전 선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급전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는 브릿지 선로; 및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는 공통 접지부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접지부는, 일단이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된 제 1 접지 선로; 일단이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 1 접지 선로와 이격 형성된 제 2 접지 선로; 및 상기 제 1 접지 선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접지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을 따라 형성된 공통 접지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체는 스파이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형 안테나는 MIMO 안테나 또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PCB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 PCB의 일단에 결합되는 메인 안테나; 상기 메인 PCB의 일측에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 형상의 기판을 구비하는 내장형 안테나; 및 상기 메인 PCB의 타측과 타단이 만나는 꼭지점 부근에 결합되는 서브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내장형 안테나는, 일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급전 선로; 일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급전 선로와 이격 형성된 제 2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을 갖는 제 1 방사체; 상기 제 2 급전 선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을 갖는 제 2 방사체; 상기 제 1 급전 선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급전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는 브릿지 선로; 및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는 공통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접지부는, 일단이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된 제 1 접지 선로; 일단이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 1 접지 선로와 이격 형성된 제 2 접지 선로; 및 상기 제 1 접지 선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접지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을 따라 형성된 공통 접지 선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방사체 사이의 격리도가 향상되어 성능의 열화가 방지되면서 안테나의 체적도 소형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내장형 안테나, 메인 안테나, 및 서브 안테나를 모두 포함하면서도 안테나의 성능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하좌우의 기준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기하학적 표현 또는 수학적 표현은 이상적으로 엄밀한 평행 또는 수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구성 가능한 범위의 실질적인 평행 또는 수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100)는 기판(150)과 기판(150)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급전선로(111), 제 2 급전 선로(121), 제 1 방사체(110), 제 2 방사체(120), 브릿지 선로(130), 공통 접지부(112, 122, 140)로 구성된다.
기판(150)은 전도성을 띠지 않는 유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안테나 성능의 변화를 위해 자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1 급전선로(111), 제 2 급전 선로(121), 제 1 방사체(110), 제 2 방사체(120), 브릿지 선로(130), 공통 접지부(112, 122, 14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한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고, 에칭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LDS(Laser Direct Structuring) 또는 PDS(Print Direct Structuring) 공법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내장형 안테나(100)를 PCB(Printed Circuit Board) 구조로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급전 선로(111)는 일단이 기판(150)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기판(150)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기판(15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 1 급전 선로(111)의 일단은 메인 PCB(400)에 형성된 제 1 급전부(161)와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 급전 선로(121)는 일단이 기판(150)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기판(150)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기판(150)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 1 급전 선로(111)와 이격 형성된다.
제 1 방사체(110)는 제 1 급전 선로(11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1 방사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113a, 113b, 113c, 113d)을 갖는데, 제 1 방사체(110)가 제 1 급전 선로(11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후 1차 절곡점(113a)에서 절곡된 후, 2차 절곡점(113b), 3차 절곡점(113c), 및 4차 절곡점(113d)에서 차례대로 절곡된다. 이처럼, 제 1 방사체(110)는 절곡되는 구조를 띠므로 방사체 선로의 길이를 확장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방사체(120)는 제 2 급전 선로(12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2 방사체(120)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123a, 123b, 123c, 123d)을 갖는데, 제 2 방사체(120)가 제 2 급전 선로(12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후 1차 절곡점(123a)에서 절곡된 후, 2차 절곡점(123b), 3차 절곡점(123c), 및 4차 절곡점(123d)에서 차례대로 절곡된다. 제 2 방사체(120)는 제 1 방사체(110)와 함께 MIMO 안테나 또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로서 동작하기 위해 제 1 방사체(110)와 대칭이 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제 1 급전 선로(111)로 전달된 신호는 제 1 방사체(110)를 통해 방사되고, 제 2 급전 선로(121)로 전달된 신호는 제 2 방사체(120)를 통해 방사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내장형 안테나(100)에 형성된 2개의 방사체가 인접하여 형성되면 방사체 상호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 1 급전 선로(111)의 타단과 제 2 급전 선로(121)의 타단을 연결하는 브릿지 선로(130)가 기판(150)의 일면에 형성된다. 브릿지 선로(130)는 제 1 급전 선로(111)를 통해 제 2 방사체(120) 쪽으로 흐르는 전류와, 제 2 급전 선로(121)를 통해 제 1 방사체(110) 쪽으로 흐르는 전류를 상이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서로 상쇄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브릿지 선로(130)로부터 기판(150)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는 공통 접지부(112, 122, 140)를 더 포함하여 제 1 방사체(110)와 제 2 방사체(120) 사이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공통 접지부(112, 122, 140)는 메인 PCB(400)의 접지와 접속된다. 제 1 급전 선로(111)를 통해 제 2 방사체(120) 쪽으로 흐르는 전류는 브릿지 선로(130)의 일부를 통과한 후 공통 접지부(112, 122, 140) 쪽으로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제 1 급전 선로(111)로 들어온 신호가 제 2 방사체(120)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미미하다. 물론, 제 2 급전 선로(111)를 통해 제 1 방사체(110) 쪽으로 흐르는 전류도 브릿지 선로(130)의 일부를 통과한 후 공통 접지부(112, 122, 140)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제 2 급전 선로(121)로 들어온 신호가 제 1 방사체(110)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해 진다. 이로써 내장형 안테나에 포함된 2개의 방사체 사이에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공통 접지부(112, 122, 140)는 단 하나의 전도성 선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제 1 방사체(110) 및 제 2 방사체(120) 사이의 간섭 억제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제 1 접지 선로(112), 제 2 접지 선로(122), 공통 접지 선로(1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접지 선로(112)는 일단이 브릿지 선로(130)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기판(150)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된다.
제 2 접지 선로(122)는 일단이 브릿지 선로(130)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기판(150)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되, 제 1 접지 선로(112)와 이격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 1 접지 선로(112)와 제 2 접지 선로(122)는 제 1 급전 선로(111)와 제 2 급전 선로(121) 사이에 형성되되, 하나의 단일 선로를 형성하지 않고 2개의 선로로 나뉘어지도록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공통 접지 선로(140)는 제 1 접지 선로(112)의 타단과 제 2 접지 선로(122)의 타단을 연결하고, 기판(150)의 가장자리 일측을 따라 형성된다. 공통 접지 선로(140)는 메인 PCB(400)의 접지와 접속되는데, 공통 접지 선로(140)가 형성되는 위치가 기판(150)의 가장자리이므로 메인 PCB(400)와의 접속이 보다 용이해진다. 다시 말해, 제 1 접지 선로(112)와 제 2 접지 선로(122)를 각각 메인 PCB(400)의 접지와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을 각각 연결해야 하지만, 공통 접지 선로(140)를 형성함으로써 접속이 보다 용이해진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제 1 및 제 2 방사체(110, 120)는 스파이럴 형상일 수 있다. 제 1 방사체(110)와 제 2 방사체(120)에 형성된 절곡점(113, 123)에 의해 스파이럴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내장형 안테나(100)는 MIMO 안테나 또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로서 동적할 수 있다. 내장형 안테나(100)가 MIMO 안테나인 경우 LTE(Long Term Evolution) 대역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LTE 13 대역에서 동작하는 MIMO 안테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PCB(400)를 포함하고, 메인 안테나(200), 내장형 안테나(100), 서브 안테나(300)를 포함한다.
메인 안테나(200)는 메인 PCB(400)의 일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메인 PCB(400)의 일단이라는 표현은 메인 PCB(400)의 길이 방향 일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단 또는 하단이 될 수 있다. 메인 안테나(200)는 메인 안테나 급전부(210)와 접속되어 메인 PCB(400)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한다.
내장형 안테나(100)는 메인 PCB(400)의 일측에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 형상의 기판을 구비한다. 메인 PCB(400)의 일측이라는 표현은 메인 PCB(400)의 길이 방향 측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좌측 또는 우측이 될 수 있다. 내장형 안테나(10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 형상을 띠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도록 폭이 좁고 긴 형태의 직사각형 구조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내장형 안테나(100)는 제 1 방사체(110)와 제 2 방사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 1 방사체(110) 및 제 2 방사체(120)는 각각 제 1 급전부(161) 및 제 2 급전부(162)와 접속되어 메인 PCB(400)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 안테나(300)는 메인 PCB(400)의 타측과 타단이 만나는 꼭지점 부근에 결합된다. 여기서, 메인 PCB(400)의 타측이라는 표현은 내장형 안테나(100)가 결합된 일측의 반대편을 의미한다. 또한, 메인 PCB(400)의 타단이라는 표현은 메인 안테나(200)가 결합된 일단의 반대편을 의미한다. 서브 안테나(300)는 서브 안테나 급전부(310)와 접속되어 메인 PCB(400)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메인 안테나(200), 내장형 안테나(100), 서브 안테나(300)는 서로 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리시버나 이어잭 모듈 같은 주변 기구물이 설치되어야 할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계상 자유도가 높아진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내장형 안테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일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내장형 안테나
110: 제 1 방사체
111: 제 1 급전 선로 112: 제 1 접지 선로 113: 절곡점
120: 제 2 방사체
121: 제 2 급전 선로 122: 제 2 접지 선로 123: 절곡점
130: 브릿지 선로
140: 공통 접지 선로
150: 기판
161: 제 1 급전부 162: 제 2 급전부
200: 메인 안테나 210: 메인 안테나 급전부
300: 서브 안테나 310: 서브 안테나 급전부
400: 메인 PCB

Claims (7)

  1. 기판;
    일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급전 선로;
    일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급전 선로와 이격 형성된 제 2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을 갖는 제 1 방사체;
    상기 제 2 급전 선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을 갖는 제 2 방사체;
    상기 제 1 급전 선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급전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는 브릿지 선로; 및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는 공통 접지부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접지부는,
    일단이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된 제 1 접지 선로;
    일단이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 1 접지 선로와 이격 형성된 제 2 접지 선로; 및
    상기 제 1 접지 선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접지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을 따라 형성된 공통 접지 선로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체는 스파이럴 형상인 내장형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안테나는 MIMO 안테나 또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
  5. 메인 PCB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 PCB의 일단에 결합되는 메인 안테나;
    상기 메인 PCB의 일측에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 형상의 기판을 구비하는 내장형 안테나; 및
    상기 메인 PCB의 타측과 타단이 만나는 꼭지점 부근에 결합되는 서브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안테나는,
    일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급전 선로;
    일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일면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급전 선로와 이격 형성된 제 2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을 갖는 제 1 방사체;
    상기 제 2 급전 선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점을 갖는 제 2 방사체;
    상기 제 1 급전 선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급전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는 브릿지 선로; 및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는 공통 접지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접지부는,
    일단이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된 제 1 접지 선로;
    일단이 상기 브릿지 선로로부터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 1 접지 선로와 이격 형성된 제 2 접지 선로; 및
    상기 제 1 접지 선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접지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일측을 따라 형성된 공통 접지 선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10031452A 2011-04-06 2011-04-06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113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452A KR20120113832A (ko) 2011-04-06 2011-04-06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452A KR20120113832A (ko) 2011-04-06 2011-04-06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832A true KR20120113832A (ko) 2012-10-16

Family

ID=4728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452A KR20120113832A (ko) 2011-04-06 2011-04-06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38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6954A (zh) * 2019-01-23 2019-05-21 同济大学 柔性甚高频rfid标签天线及其调整方法
WO2023033493A1 (ko) * 2021-09-06 2023-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47410A (ko) * 2022-04-14 2023-10-2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6954A (zh) * 2019-01-23 2019-05-21 同济大学 柔性甚高频rfid标签天线及其调整方法
WO2023033493A1 (ko) * 2021-09-06 2023-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47410A (ko) * 2022-04-14 2023-10-2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정재파비 특성이 개선된 mimo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17452B (zh) 一种新型lte终端天线
US9337547B2 (en) Internal antenna having wideband characteristic
CN102099962B (zh) 天线结构
WO2010073421A1 (ja) 携帯無線機
EP2381529B1 (en) Communications structures including antennas with separate antenna branches coupled to feed and ground conductors
JP2012160951A (ja) 多共振アンテナ装置とこのアンテナ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CN103178325A (zh) 松耦合无线电天线设备和方法
CN103151601A (zh) 一种底边槽耦合天线
US2011012819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plit multi-band antenna having a single rf feed node
JP2014533474A (ja) マルチモードブロードバンド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ワイヤレス端末
US9337549B2 (en) Antenna module
JP2013528024A (ja) 改善されたアンテナ性能を有するモバイル通信装置
WO2011116707A1 (zh) 移动通信天线设备及移动通信终端设备
US8760357B2 (en) Wideband single resonance antenna
US20110043415A1 (en) Dual-band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WO2010090573A1 (en) Antenna
TWI517501B (zh) 多頻天線及應用該多頻天線之無線通訊裝置
KR20120113832A (ko)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120056797A1 (en) Frequency-tunable antenna
US8035566B2 (en) Multi-band antenna
KR101173015B1 (ko) 특정주파수대역의 격리도를 개선한 미모/다이버시티 안테나
KR101144421B1 (ko) Mimo를 이용한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US20110156960A1 (en) Antenna module
US837889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ulti-band antenna that extends between side surfaces thereof
US20120139794A1 (en) Multi-band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