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371A -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371A
KR20230147371A KR1020220046298A KR20220046298A KR20230147371A KR 20230147371 A KR20230147371 A KR 20230147371A KR 1020220046298 A KR1020220046298 A KR 1020220046298A KR 20220046298 A KR20220046298 A KR 20220046298A KR 20230147371 A KR20230147371 A KR 20230147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uide
machine tool
transport member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2004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7371A/ko
Publication of KR2023014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16Foldable coverings, e.g. bel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제2 가이드부가 제1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3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제3 가이드부가 제2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커버유닛과 가이드유닛의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하며,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가 커버유닛과 가이드유닛의 간섭없이 최대한 가까이 접근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가공편의성을 향상하고,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Slide cover device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드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유닛과 가이드유닛을 통해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 사이의 접근거리를 최소화할 뿐만아니라 커버유닛과 가이드유닛의 조립과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가공방법에 따라 크게 터닝센터(TURNING CENTER)와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터닝센터는 공작물이 회전하고, 머시닝센터는 공구가 회전하면서 공작물의 가공이 수행된다.
이중 터닝센터는 다수의 공구를 장착하고 가공과정에서 필요한 공구를 인덱싱(INDEXING)하는 터렛과 같은 공구대를 구비한다.
터닝센터와 같은 공작기계는 복잡한 형상의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하나의 베드 상에 복수 개의 이송체를 가진다.
최근에는 동일한 베드의 양 쪽에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개의 스핀들과, 이 스핀들 사이의 베드에 설치되어 양쪽 스핀들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터렛을 구비한 터닝센터가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크로스 슬라이드(cross slide)란 선반 혹은 터닝센터(turning center)와 같은 공작기계에서 공구를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가공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 터렛과 같은 공구대가 부착된다.
이러한 공작기계는 좌우의 이송체인 스핀들과 가운데 터렛 사이에는 슬라이드 커버가 설치되어 공작물 가공 중에 발생하는 가공 칩이나 절삭유가 하부에 설치된 볼스크류나 가이드웨이와 같은 구동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라이드커버는 통상 다단으로 접철 가능한 형태의 텔레스코픽 형태(Telescopic type)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커버의 처음과 마지막 커버의 양단은 각각 스핀들과 터렛과 같은 이송체에 고정된다.
즉, 도 1과 같이 베드(2)에는 베드의 수평방향(X축방향)을 따라 터렛이 안착되는 크로스 슬라이드 등이 설치될 수 있는 제1 이송부(3)인 새들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베드에 설치되고, 스핀들이 설치될 수 있는 제2 이송부(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이송부와 나란하게 베드에 설치된다. 제 1, 2, 3, 4 커버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이들이 가이드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양단이 서로 다른 이송부에 고정된 슬라이드커버는 양 쪽의 이송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 텔레스코픽 형태로 슬라이드커버가 펼쳐지기도 하고 접혀지기도 하면서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부에 칩이나 절삭유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라이드커버는 양단이 각각의 이송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슬라이드커버가 접혀진 폭 만큼 양쪽 이송체 간에 접근이 불가능한 최소한의 거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양쪽 이송부가 각각 공작물 또는 공구를 장착하고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공 동작을 할 때, 양쪽 이송체 사이에 슬라이드커버가 접혀진 폭 만큼 공작물의 가공범위에 한계가 발생한다.
또한, 이와 같이 이송체 사이에 슬라이드커버가 접혀진 폭이 존재함으로 인해 공작기계의 외형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크로스 슬라이드는 이송부하와 가공부하를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 확보가 요구되며, 정밀 가공을 위해 크로스 슬라이드의 구성품들의 단품 가공 정도나 조립 정도 또한 특정 수준이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85606호에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를 개시한다. 해당 특허문헌에서 두 개의 이송부 사이의 근접거리를 최소화하고, 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제2 커버(6)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9)가 제1 이송부의 접철커버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제1 이송부의 좌측과 중간 부분을 모두 분해해야 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고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제3 가이드(10)가 2개의 레일로 분리되어 조립해야 하고, 제2 가이드의 위치를 셋팅하기 위해 별도의 치구가 필요하여 제2 가이드의 조립과 설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포스트(11)가 슬라이드 이동시에 제3 가이드를 벗어나서 레일 충돌이 발생하여 장비를 손상시키고 안전사고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포스트의 반복적인 수평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반복적인 충격에 의해 내구성과 강성이 저하되고 공작기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8560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10666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3-00301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제2 가이드부가 제1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3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제3 가이드부가 제2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커버유닛과 가이드유닛의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하며,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가 커버유닛과 가이드유닛의 간섭없이 최대한 가까이 접근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가공편의성을 향상하고,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베드; 상기 베드에 수평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이송체; 상기 베드에 상기 제1 이송체와 독립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이송체; 높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제2 커버부, 제3 커버부, 및 제4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송체와 상기 제2 이송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체와 상기 제2 이송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이송체 또는 상기 제2 이송체와 선택적으로 중첩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베드를 커버하는 커버유닛; 및 제1 가이드부, 제2 가이드부, 제3 가이드부, 및 제4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유닛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제2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제3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2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2 커버부의 폭에 대응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레일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상기 제1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제1 이송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가이드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하여 높이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레일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상기 제2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2 이송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수평방향 선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충돌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상기 스토퍼부의 선단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바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체에 배치되는 안착부와 인접한 상기 가이드바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상기 제1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이송체의 좌측에서 상기 베드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체의 좌측에 상기 제1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다단접철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상기 제2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이송체의 우측에서 상기 베드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2 이송체의 우측에 상기 제2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을 따라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다단접철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제2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제2 가이드부가 제1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3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제3 가이드부가 제2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별도의 조립 치구 없이 정위치에 커버유닛과 가이드유닛의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커버유닛이나 가이드유닛의 유지보수 시에 기존과 달리 장비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만 분해하여 수리와 보수가 가능함에 따라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가 서로 근접할 때에 커버유닛과 가이드유닛의 간섭없이 최대한 가까이 접근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가공영역을 확대하여 가공편의성과 가공생산성을 향상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가공영역이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의 근접시에 간섭을 배제하여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며 슬라이드 커버장치를 통해 베드의 내부로 절삭유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작기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하고, 슬라이드 커버장치이 강성과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커버가 일부 제거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에서 제2 가이드가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제3 가이드와 포스트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 제1 이송체가 수평방향 우측으로 최대한 이송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에서 제2 이송체가 수평방향 좌측으로 최대한 이송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4에서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4에서 B-B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제3 커버부와 제4 커버부가 제거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제2 가이드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제3 가이드부와 가이드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 제1 이송체가 수평방향 우측으로 최대한 이송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4에서 제2 이송체가 수평방향 좌측으로 최대한 이송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4에서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4에서 B-B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제3 커버부와 제4 커버부가 제거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제2 가이드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제3 가이드부와 가이드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 즉 도 1 및 도 4 내지 도 9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이란 수평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 즉 도 1 및 도 4 내지 도 9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하며, "높이방향"이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상하방향, 즉 도 1 및 도 4 내지 도 9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상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1 및 도 4 내지 도 9에서 Z축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하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1 및 도 4 내지 도 9에서 Z축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길이"란 수평방향의 길이를 의미하고, "폭"이란 높이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내부(내측)"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 즉 도 1 내지 도 9에서 안쪽을 의미하고, "외부(외측)"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서 먼쪽, 즉 도 1 내지 도 9에서 바깥쪽을 의미한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20)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20)는 베드(100), 제1 이송체(200), 제2 이송체(300), 커버유닛(400), 가이드유닛(500), 제1 다단접철커버(700), 및/또는 제2 다단접철커버(800)를 포함한다.
베드(10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지면 또는 베이스에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베드는 Z축 상에서 Z축과 소정의 기울기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송체(200)는 베드에 수평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 이송체는 새들로 형성되어 크로스슬라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이송체의 일부에는 제2 이송체의 좌측 측면에 고정되어 제2 이송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커버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부가 형성된다.
제2 이송체(300)는 베드에 제1 이송체와 독립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는 제어부의 CNC 제어를 통해 공작물의 가공 상태에 따라 서로 인접하거나 멀어지게 독립적으로 이동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이송체의 일부에는 제1 이송체의 우측 측면에 고정되어 제1 이송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3 커버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제 2관통부가 형성된다.
커버유닛(400)은 높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커버부(410), 제2 커버부(420), 제3 커버부(430), 및 제4 커버부(440)를 구비한다.
커버유닛(400)은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1 이송체 또는 제2 이송체와 선택적으로 중첩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베드를 커버한다.
즉, 제1 커버부와 제3 커버부는 제1 커버부와 제3 커버부의 좌측 끝단이 제 1 이송체의 우측 단면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제1 커버부와 제3 커버부는 제1 이송체와 연동되어 제2 이송체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커버부와 제3 커버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가 수평방향으로 가장 먼 거리로 이격되었을 때 제1 커버부와 제3 커버부의 우측 끝단이 제2 이송체의 좌측 단면을 이탈하지 않는 수평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커버유닛(400)의 제1 커버부와 제3 커버부는 각각 제1단 커버와 제2 단커버로 구비하고, 이들 제1단 커버와 제2단 커버는 베드의 수평방향으로 텔레스코픽 형태로 겹쳐져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부와 제4 커버부는 우측 끝단이 제2 이송체의 좌측 단면에 고정되어 제2 이송체와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제1 이송체의 하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커버부와 제4 커버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가 가장 먼 거리로 이격되었을 때 제2 커버부와 제4 커버부의의 좌측 끝단이 제1 이송체의 우측 단면을 이탈하지 않는 길이를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커버유닛의 제2 커버부와 제4 커버부는 다단이 아닌 단일의 하나의 커버로 형성된다.
가이드유닛(500)은 제1 가이드부(510), 제2 가이드부(520), 제3 가이드부(530), 및 제4 가이드부(540)를 구비하고, 커버유닛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유닛의 제1 가이드부는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2 가이드부는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며, 제3 가이드부는 제3 커버부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4 가이드부는 제4 커버부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부(410)는 베드의 앞쪽 상부 면과 전면을 덮는 형태로 가운데 부분이 절곡된 형태이다. 또한, 제1 커버부는 베드의 전방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1 가이드부(510) 상에서 안내되는 구조이다.
제4 커버부의 하부에는 제4 커버부를 지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4 가이드부와 이러한 가이드부를 안내하기 위해 제4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베드 상에는 수평방향으로 제4 가이드부를 안내하는 그루브가 형성된다.
제1 다단접철커버(700)가 제1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제1 이송체의 좌측에서 베드를 커버하기 위해 제1 이송체의 좌측에 제1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접철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 다단접철커버(800)가 제2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제2 이송체의 우측에서 베드를 커버하기 위해 제2 이송체의 우측에 제2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을 따라 접철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베드를 수평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베드에 설치된 이송장비 등을 보호하여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공작기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커버유닛의 제1, 2, 3, 4 커버부가 제1 이송체 또는 제2 이송체와 선택적으로 중첩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이송체가 수평방향으로 가장 우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이송체가 제2 이송체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우측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제1 이송체에 좌측 선단에 결합된 제1 커버부와 제3 커버부 중에서 제1 커버부는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이송체의 상부로 중첩되고, 제3 커버부는 제3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이송체의 제2 관통부로 삽입되어 중첩된다. 또한, 제1 다단접철커버는 최대한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단접철커버는 최대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이송체가 수평방향으로 가장 좌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이송체가 제1 이송체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제2 이송체에 우측 선단에 결합된 제2 커버부와 제4 커버부 중에서 제4 커버부는 제4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이송체의 하부로 중첩되고, 제2 커버부는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이송체의 제2 관통부로 삽입되어 중첩된다. 또한, 제2 다단접철커버는 최대한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단접철커버는 최대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가이드유닛의 제2 가이드부는 제2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제1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가이드부는 제1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3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제2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종래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와 달리 별도의 조립 치구 없이 정위치에 커버유닛과 가이드유닛의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커버유닛이나 가이드유닛의 유지보수 시에 기존과 달리 장비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만 분해하여 수리와 보수가 가능함에 따라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체 또는 제2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제1 이송체와 제2 이송체의 최대 근접시에 간섭을 배제하여 가공영역을 확대하여 가공생산성을 향상하고,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 도 7, 및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20)의 가이드유닛의 제2 가이드부(520)는 베이스부(521), 제1 레일부(522), 및 결합부(52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521)는 제1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베이스부는 제1 이송체의 수평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베이스부는 제2 가이드부의 다른 구성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 레일부(522)는 베이스부에 제2 커버부의 폭에 대응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제1 레일부는 베이스부의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폭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결합부(523)는 베이스부의 하부에 제1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베이스부를 제1 이송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가이드부는 제1 레일부와 결합부가 베이스부에 모듈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정확한 위치를 셋팅하기 위한 별도의 치구가 없어도 조립과 설치가 가능하여 조립과 설치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일부가 제1 다단접철커버가 아닌 베이스부에 모듈 형태로 결합되어 조립이나 유지보수 시에 제1 이송체 좌측의 하우징과 제1 이송체의 하우징까지 분해하지 않고도 유지보수가 가능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할 수 있다.
도 4,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20)의 가이드유닛의 제3 가이드부(530)는 지지부(531), 제2 레일부(532), 체결부(533), 스토퍼부(534), 및 댐퍼부(535)를 포함한다.
지지부(531)는 제2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지지부는 제2 이송체의 수평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지지부는 제3 가이드부의 다른 구성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 레일부(532)는 가이드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하여 높이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제3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제2 레일부는 지지부의 일부에서 가이드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폭만큼 이격되게 지지부에 배치되어 제3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체결부(533)는 지지부의 하부에 제2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지지부를 제2 이송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시킨다.
스토퍼부(534)는 지지부의 수평방향 선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충돌을 방지한다.
즉, 스토퍼부는 제1 이송체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제2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바가 반복적인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중에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수평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하여 장비에 충돌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토퍼부는 지지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반복적인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한 충격이나 피로강도가 제2 레일부에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제2 레일부의 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고, 손상된 경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토퍼부는 지지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강판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어 반복적인 진동과 비정상적인 충돌시에 내구성과 강성을 유지하여 손상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댐퍼부(535)는 스토퍼부의 선단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다.
즉, 댐퍼부는 스토퍼부의 선단의 절곡된 부분에서 가이드바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 동선상에 배치되어 가이드바의 비정상적인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충돌시에 충격을 완화하여 제3 가이드부의 손상이나 파손을 최소화하고 진동을 감소하여 가공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제3 가이드부는 제2 레일부, 체결부, 스토퍼부가 지지부에 모듈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정확한 위치를 셋팅하기 위한 별도의 치구가 없어도 조립과 설치가 가능하고, 유지보수 시에 제3 가이드부 또는 스토퍼부만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조립과 설치 및 유지보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가이드바(600)는 가이드바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시에 가이드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이송체에 배치되는 안착부(620)와 인접한 가이드바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6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이송체의 이동에 따라 제3 커버부가 수평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할 때에 가이드바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안착부를 지나 이탈되거나 제2 레일부를 지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이드바를 포함한 다른 부품이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공작기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의 가이드바 아노다이징 코팅된 사각 프레임을 사용하고 제2 레일부는 MC나일론으로 설계하여 소형화를 도모하고, 반복된 슬라이딩 이동에도 마찰이나 소음과 진동을 감소하여 가공정밀도를 향상하며, 제작 비용과 제작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는 제2 가이드부의 결합부를 제1 이송체에 결합하거나 제3 가드부의 체결부를 제2 이송체에 연결할 때에 접시볼트(900) 사용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간편하게 연결시킴에 따라 제2 가이드부와 제3 가이드부의 조립위치를 간편하게 셋팅하고 정확한 위치선정이 가능하여 조립시간과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공작기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하며,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20 : 슬라이드 커버장치
100 : 베드
200 : 제1 이송체
300 : 제2 이송체
400 : 커버유닛
500 : 가이드유닛
600 : 가이드바
620 : 안착부
700 : 제1 다단커버
800 : 제2 다단커버
900 : 접시볼트

Claims (8)

  1. 베드;
    상기 베드에 수평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이송체;
    상기 베드에 상기 제1 이송체와 독립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이송체;
    높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제2 커버부, 제3 커버부, 및 제4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송체와 상기 제2 이송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체와 상기 제2 이송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이송체 또는 상기 제2 이송체와 선택적으로 중첩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베드를 커버하는 커버유닛; 및
    제1 가이드부, 제2 가이드부, 제3 가이드부, 및 제4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유닛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제2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이송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제3 커버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2 이송체에 모듈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2 커버부의 폭에 대응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레일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상기 제1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제1 이송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가이드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하여 높이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레일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상기 제2 이송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2 이송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수평방향 선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충돌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상기 스토퍼부의 선단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바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체에 배치되는 안착부와 인접한 상기 가이드바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이송체의 좌측에서 상기 베드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체의 좌측에 상기 제1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다단접철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이송체의 우측에서 상기 베드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2 이송체의 우측에 상기 제2 이송체의 수평방향 이동을 따라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다단접철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KR1020220046298A 2022-04-14 2022-04-14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KR20230147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298A KR20230147371A (ko) 2022-04-14 2022-04-14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298A KR20230147371A (ko) 2022-04-14 2022-04-14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371A true KR20230147371A (ko) 2023-10-23

Family

ID=8850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298A KR20230147371A (ko) 2022-04-14 2022-04-14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737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153A (ko) 2001-10-08 2003-04-1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Y축 cnc선반의 x축 슬라이딩 커버구조
KR20190085606A (ko) 2018-01-11 2019-07-1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슬라이드커버 장치
KR20200106667A (ko) 2019-03-05 2020-09-15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슬라이딩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153A (ko) 2001-10-08 2003-04-1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Y축 cnc선반의 x축 슬라이딩 커버구조
KR20190085606A (ko) 2018-01-11 2019-07-1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슬라이드커버 장치
KR20200106667A (ko) 2019-03-05 2020-09-15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슬라이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4638A1 (en) Flexible multi-table device
US7129441B2 (en) Nozzle change magazine for laser beam machine
EP2463055A1 (en) Ram guiding apparatus of machine tool
EP1525946B1 (en) Horizontal machining center
EP1795298A1 (de) Werkzeugmaschine mit Beladeeinrichtung
US20220097186A1 (en) Multifunctional machining center
KR20230147371A (ko) 공작기계의 슬라이드 커버장치
KR20190113285A (ko) 툴 매거진 장치
US20140338496A1 (en) Telescopic-cover fixture
KR101443145B1 (ko) 공작물 장착용 척
KR101801202B1 (ko) 다축 머시닝 센터
KR200488176Y1 (ko) 공작기계
KR20200127540A (ko) 공작기계
KR20190085606A (ko) 공작기계의 슬라이드커버 장치
KR102562141B1 (ko) 공작기계
KR101957057B1 (ko) 공작기계
KR20230157018A (ko) 공작기계의 추가 이송체 설치장치
KR100441223B1 (ko) 수직 머시닝 센터
KR101544908B1 (ko) 공작물 장착용 척
KR20210125705A (ko) 공작기계의 베드 연결 구조
KR102370771B1 (ko) 공작기계의 캐리지 장치
CN102369084B (zh) 具备护栅的机床
KR20220124863A (ko) 공작기계의 atc 도어장치
CN217290739U (zh) 一种多功能滑轨倒角机
KR20150072321A (ko) 공작물 장착용 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