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908B1 - 공작물 장착용 척 - Google Patents

공작물 장착용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908B1
KR101544908B1 KR1020140008401A KR20140008401A KR101544908B1 KR 101544908 B1 KR101544908 B1 KR 101544908B1 KR 1020140008401 A KR1020140008401 A KR 1020140008401A KR 20140008401 A KR20140008401 A KR 20140008401A KR 101544908 B1 KR101544908 B1 KR 101544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ortion
horizontal
reinforcing
shape
horizontal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051A (ko
Inventor
박명녀
윤용선
Original Assignee
칸워크홀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칸워크홀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칸워크홀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9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2/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composed of metals, alloys or metal matrices
    • B23B2222/0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34Jaws
    • B23B2231/341Jaws with hard inserts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은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에 관한 것으로, 좌측 보강부와 우측 보강부를 연결할 수 있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이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결국,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작물 장착용 척{A Chuck for clamping machine work}
본 발명은 공작물 장착용 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가 감소된 공작물 장착용 척의 슬라이딩부에 포함되는 보강부에 관한 것이다.
공작물을 기계적으로 가공하는 공작기계들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선반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선반은 수동으로 작동되는 범용선반(수동 선반)과, 자동으로 작동되는 수치제어 선반 및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CNC 선반으로 불려지는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은 범용선반에 컨트롤러(controller)를 장착한 공작기계로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각종 부품을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은 자동으로 기계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인 컨트롤러와 기계장치인 기계본체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컨트롤러는 CNC 시스템 프로그램, PLC 프로그램 등에 의해 기계본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기계본체는 범용선반의 구조와 유사하게 주축대(head stock), 척(chuck), 공구대(tool post), 심압대(tail stock), 베드(bed), 왕복대, 이송장치, 유압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선반용 척은 주축 단부에 설치되어 가공대상물을 파지하는 것으로, 보통척, 공압척, 유압척, 콜릿척(collet chuck), 마그네틱척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보통 3개 또는 4개의 죠(jaw)가 각각 또는 연동되어 이동되면서 가공대상물을 파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척의 대부분은 기계구조용 합금강 또는 기계구조용 탄소강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기계구조용 합금강 및 탄소강은 비중이 7.77 정도로, 재료가 무겁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장비(공작기계)도 커지게 되고, 사용 전력도 늘어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의 트랜드인 고속 가공이라는 면에 있어서도, 무거운 재질의 척은 장비 모터에 걸리는 관성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88477호에서 "공작물 장착용 척"을 출원한 바 있으며, 상기 한국특허출원은 슬라이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강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보강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의 강도 또는 강성을 보강할 수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88477호를 개량하여, 새로운 구조의 보강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척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공작물 장착용 척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형태를 변경하여, 제조가 용이한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은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부채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의 철(凸)부와 복수개의 요(凹)부를 포함하는 톱니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측 보강부; 및 상기 좌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우측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보강부는 좌측 제1보강부 및 좌측 제2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보강부는 우측 제1보강부 및 우측 제2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제1보강부는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는 상기 좌측 제2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는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1보강부는 우측 제1수평보강부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는 상기 우측 제2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는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를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측 제2보강부는 좌측 제1수직보강부이고, 상기 우측 제2보강부는 우측 제1수직보강부이며,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의 타측은 좌측 제2수직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의 타측은 우측 제2수직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와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정 공간을 더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핀부를 더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 또는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지지핀부를 더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홀 및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홀과 체결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핀을 더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측 제2보강부는 좌측 수직보강부이고, 상기 우측 제2보강부는 우측 수직보강부이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 및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 및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우측 보강부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구조용 합금강 및 탄소강 보다 비중이 낮은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척바디를 구성함으로써, 경량의 척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척의 무게가 감소한 만큼 그에 따른 장비(공작기계)의 크기와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비에 가하는 부하 및 하중이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장비의 수명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강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보강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의 강도 또는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이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결국,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측 보강부와 우측 보강부를 연결할 수 있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의 위치가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이스 죠의 지지부의 슬라이딩이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공작물 장착용 척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겹합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와 베이스 죠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와 베이스 죠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3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4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5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f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6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겹합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a의 사시도에서는 후술하는 척을 1개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1b의 평면도에서는 척이 3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종래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100)은 선반의 주축(미도시) 일정 단부에 설치되어 가공대상물을 파지한 상태로 주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100)은 선반의 주축 일정 단부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척바디(200), 상기 척바디(200) 상에 다수개가 설치되고 척바디(200)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 죠(300)를 포함한다.
상기 척바디(200)는 공작물 장착용 척(100)의 기본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범용선반(수동 선반), 수치제어 선반 또는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의 주축(도시되지 않음) 단부에 설치되어 주축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척바디(200)는 상기 베이스 죠(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210)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부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는 상기 베이스 죠는 적어도 1개 이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죠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부(210)는 후술하는 베이스 죠(300)의 지지부(330)를 지지하면서, 상기 베이스 죠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211)는 상기 가이드부의 제1측에 위치하는 제1슬라이딩부(211a) 및 상기 가이드부의 제2측에 위치하는 제2슬라이딩부(21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베이스 죠(300)의 제1지지부(330a)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211a)에 접촉하고, 베이스 죠(300)의 제2지지부(330b)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211b)에 접촉하면서, 상기 베이스 죠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죠(300)는 척바디(200)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탑 죠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척바디(200)의 가이드부(2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죠(300)는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310), 상기 몸체부의 일정영역에 위치하고, T-너트(미도시)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320)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몸체부의 제1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330a) 및 상기 몸체부의 제2측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330b)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죠(300)의 제1지지부(330a)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211a)에 접촉하고, 베이스 죠(300)의 제2지지부(330b)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211b)에 접촉하면서, 상기 베이스 죠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 죠(300)는 공압 또는 유압이나 스크롤과 같은 기계적 연동구성의 개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210)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범용선반(수동 선반), 수치제어 선반 및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 등의 분야에서 이미 공지기술에 해당되는 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베이스 죠(300)는 탑 죠를 반경방향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송하는 것으로써, 범용선반(수동 선반), 수치제어 선반 및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 등의 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척바디(200)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 60계열 또는 알루미늄 70계열 또는 AC4C계열일 수 있다.
일반적인 척의 대부분은 기계구조용 합금강 또는 기계구조용 탄소강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기계구조용 합금강 및 탄소강은 비중이 7.77 정도로, 재료가 무겁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장비(공작기계)도 커지게 되고, 사용 전력도 늘어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기계구조용 합금강 및 탄소강 보다 비중이 낮은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척바디를 구성함으로써, 경량의 척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척의 무게가 감소한 만큼 그에 따른 장비(공작기계)의 크기와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비에 가하는 부하 및 하중이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장비의 수명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항공기 부품 등과 같은 난삭성 특수 소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고속가공을 필요로 하는데, 고속 가공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회전하고자 하는 물체의 무게에 해당하므로,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척바디를 구성함으로써, 고속 가공이 용이한 경량의 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계구조용 합금강 및 탄소강의 절삭성보다는 알루미늄 합금의 절삭성이 더 우수하기 때문에 척의 생산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공작물 장착용 척(100)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강부(40, 50)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척바디(200)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척바디는 경량의 척을 구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경우, 강도 또는 강성이 낮아, 마모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100)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정 영역에 보강부(40, 50)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의 강도 또는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211)는 베이스 죠의 이동에 있어서, 척바디 부분 중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부분으로, 상기 보강부를 포함함으로써, 베이스 죠의 이동에 따라 작용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부(40, 50)는 강도 또는 강성의 보강을 위해, 일반적인 척의 재질인 스테인리스강, 기계구조용 합금강 또는 기계구조용 탄소강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종래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40, 50)는 좌측 보강부(40) 및 우측 보강부(5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를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 죠의 지지부와의 접촉을 고려한 것이다.
즉, 지지부가 슬라이딩부에 접촉함에 있어서, 지지부의 하면, 상면 및 측면의 제3점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제3점에서의 접촉에 따른 마모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보강부를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강부를 개량하여, 새로운 구조의 보강부를 제안하고자 하며, 상기 보강부의 형태를 변경하여, 제조가 용이한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와 베이스 죠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 및 베이스 죠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종래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는 일측 보강부(400) 및 상기 일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타측 보강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은 좌측일 수 있으며, 상기 타측은 우측일 수 있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일측을 좌측으로, 상기 타측을 우측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좌/우의 용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좌측 보강부(400)는 제1보강부(410, 430) 및 제2보강부(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강부 및 상기 제2부강부는 각각 내측면 및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410, 4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보강부(4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보강부는 제1수평보강부(410) 및 제2수평보강부(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평보강부(410)는 상기 제2보강부, 즉, 수직보강부(4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수평보강부(430)는 상기 수직보강부(4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보강부(400)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보강부(400)는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1수평보강부, 수직보강부 및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보강부(4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보강부(400)는 부채꼴의 형상(440)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우측 보강부(500)는 제1보강부(510, 530) 및 제2보강부(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강부 및 상기 제2부강부는 각각 내측면 및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510, 5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보강부(5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보강부는 제1수평보강부(510) 및 제2수평보강부(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평보강부(510)는 상기 제2보강부, 즉, 수직보강부(5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수평보강부(530)는 상기 수직보강부(5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측 보강부(500)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우측 보강부(500)는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1수평보강부, 수직보강부 및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보강부(5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우측 보강부(500)는 부채꼴의 형상(540)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죠(1300)는 상술한 도 1a의 척바디의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죠(1300)는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1310), 상기 몸체부의 일정영역에 위치하고, T-너트(미도시)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1320)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330)는 상기 몸체부의 제1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1330a) 및 상기 몸체부의 제2측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1330b)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죠(1300)의 제1지지부(1330a)는 도 1a에서와 같은 제1슬라이딩부에 접촉하고, 베이스 죠(1300)의 제2지지부(1330b)는 도 1a에서와 같은 제2슬라이딩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베이스 죠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강부(400, 500)를 포함하고 있다.
결국, 상기 베이스 죠(1300)의 제1지지부(1330a)는 도 2a에서와 같은 좌측 보강부(400)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베이스 죠(1300)의 제2지지부(1330b)는 도 2a에서와 같은 우측 보강부(500)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베이스 죠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400, 500)는 각각의 보강부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1수평보강부, 수직보강부 및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보강부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부채꼴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보강부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가 부채꼴의 형상인 것은 상기 베이스 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이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을 변형하고자 하는 경우, 그 변형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각각의 척바디의 형상을 제조하여야 할 것이고, 이 경우, 각각의 척바디의 형상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몰드 또는 금형 등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을 변형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을 변형하기 위하여, 각각의 척바디 형상을 변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이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와 베이스 죠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 및 베이스 죠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는 일측 보강부(800) 및 상기 일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타측 보강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은 좌측일 수 있으며, 상기 타측은 우측일 수 있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일측을 좌측으로, 상기 타측을 우측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좌/우의 용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좌측 보강부(800)는 제1보강부(810, 830) 및 제2보강부(8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강부 및 상기 제2부강부는 각각 내측면 및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810, 8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보강부(8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보강부는 제1수평보강부(810) 및 제2수평보강부(8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평보강부(810)는 상기 제2보강부, 즉, 수직보강부(8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수평보강부(830)는 상기 수직보강부(8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보강부(800)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보강부(800)는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1수평보강부, 수직보강부 및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보강부(8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보강부(800)는 복수개의 철(凸)부(840)와 복수개의 요(凹)부(850)를 포함하는 톱니형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우측 보강부(900)는 제1보강부(910, 930) 및 제2보강부(9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강부 및 상기 제2부강부는 각각 내측면 및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910, 9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보강부(9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보강부는 제1수평보강부(910) 및 제2수평보강부(9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평보강부(910)는 상기 제2보강부, 즉, 수직보강부(9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수평보강부(930)는 상기 수직보강부(9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측 보강부(900)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우측 보강부(900)는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1수평보강부, 수직보강부 및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보강부(5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우측 보강부(900)는 복수개의 철(凸)부(940)와 복수개의 요(凹)부(950)를 포함하는 톱니형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죠(2300)는 상술한 도 1a의 척바디의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죠(2300)는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2310), 상기 몸체부의 일정영역에 위치하고, T-너트(미도시)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2320)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330, 23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330, 2340)는 상기 몸체부의 제1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2340) 및 상기 몸체부의 제2측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2330)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2340)는 도 1a에서와 같은 제1슬라이딩부에 접촉하고, 제2지지부(2330)는 도 1a에서와 같은 제2슬라이딩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베이스 죠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강부(800, 90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결국, 상기 베이스 죠(2300)의 제1지지부(2340)는 도 3a에서와 같은 좌측 보강부(800)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베이스 죠(2300)의 제2지지부(2330)는 도 3a에서와 같은 우측 보강부(900)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베이스 죠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죠(2300)의 제1지지부(2340)는 복수개의 철(凸)부(2340a)와 복수개의 요(凹)부(2340b)를 포함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죠(2300)의 제2지지부(2330)는 복수개의 철(凸)부(2330a)와 복수개의 요(凹)부(2330b)를 포함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이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도 2 및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의 좌측 보강부와 대략 "ㄷ" 자 형태의 우측 보강부가 대칭인 상태로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를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의 경우, 상기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쉽지않아, 공작물 장착용 척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를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공작물 장착용 척의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를 제조한다.
이후에, 상기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를 일정 금형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척바디의 재질인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용융재를 상기 금형의 내부로 주입함으로써, 상기 도 1a와 같은 공작물 장착용 척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형은 도 1a와 같은 척바디 형상을 제조할 수 있는 금형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좌측 보강부 및 상기 우측 보강부는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 죠의 지지부가 슬라이딩 할 수 있어야 하므로,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의 위치가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는 이들의 위치가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마주보는 각도에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베이스 죠의 지지부의 슬라이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를 금형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이후, 금형의 내부에 척바디 재질의 용융재를 주입함에 있어서, 상기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쉽지않기 때문에, 이들 보강부의 마주보는 각도에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베이스 죠의 지지부의 슬라이딩이 어렵게 되어, 공작물 장착용 척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보강부의 변형예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3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4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5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f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6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제1변형예 내지 제6변형예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공적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를 참조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변형예는 상호간 서로 참조될 수 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1변형예는 일측 보강부(1400) 및 상기 일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타측 보강부(1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일측 보강부(1400)는 좌측 보강부로, 상기 타측 보강부(1500)은 우측 보강부로 명칭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좌측 및 상기 우측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좌측 보강부(1400)은 좌측 제1보강부(1410, 1430) 및 좌측 제2보강부(1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보강부(1410, 14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2보강부(14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 제1보강부는 좌측 제1수평보강부(1410)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1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1410)는 상기 좌측 제2보강부, 즉, 좌측 수직보강부(14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1430)는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14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좌측 보강부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좌측 제1수평보강부, 좌측 수직보강부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보강부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보강부(1400)는 부채꼴의 형상(144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보강부(1500)은 우측 제1보강부(1510, 1530) 및 우측 제2보강부(1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보강부(1510, 15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2보강부(15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측 제1보강부는 우측 제1수평보강부(1510)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1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1510)는 상기 우측 제2보강부, 즉, 우측 수직보강부(15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1530)는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15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우측 보강부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우측 제1수평보강부, 우측 수직보강부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우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보강부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우측 보강부(1500)는 부채꼴의 형상(1540)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1변형예는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1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1510)를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14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좌측 보강부(1400)와 상기 우측 보강부(1500)을 연결할 수 있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1450)를 포함함으로써,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의 위치가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의 마주보는 각도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베이스 죠의 지지부의 슬라이딩이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작물 장착용 척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1변형예는 일측 보강부(2400) 및 상기 일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타측 보강부(2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일측 보강부(2400)는 좌측 보강부로, 상기 타측 보강부(2500)은 우측 보강부로 명칭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좌측 및 상기 우측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좌측 보강부(2400)은 좌측 제1보강부(2410, 2430) 및 좌측 제2보강부(2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보강부(2410, 24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2보강부(24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 제1보강부는 좌측 제1수평보강부(2410)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2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2410)는 상기 좌측 제2보강부, 즉, 좌측 수직보강부(24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2430)는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24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보강부(2500)은 우측 제1보강부(2510, 2530) 및 우측 제2보강부(2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보강부(2510, 25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2보강부(25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측 제1보강부는 우측 제1수평보강부(2510)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2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2510)는 상기 우측 제2보강부, 즉, 우측 수직보강부(25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2530)는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25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2변형예는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2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2510)를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2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1변형예는 제1수평보강부(2410, 2510), 제1수직보강부(2420, 2520), 제2수평보강부(2430, 2530) 및 제2수직보강부(2460, 256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변형예와 비교하여, 제1변형예의 수직보강부를 제1수직보강부로 명칭시,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2430)의 타측은 좌측 제2수직보강부(246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2530)의 타측은 우측 제2수직보강부(256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2440, 2540은 각 보강부의 내측면의 부채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3변형예는 일측 보강부(3400) 및 상기 일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타측 보강부(3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일측 보강부(3400)는 좌측 보강부로, 상기 타측 보강부(3500)은 우측 보강부로 명칭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좌측 및 상기 우측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좌측 보강부(3400)은 좌측 제1보강부(3410, 3430) 및 좌측 제2보강부(3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보강부(3410, 34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2보강부(34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 제1보강부는 좌측 제1수평보강부(3410)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3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3410)는 상기 좌측 제2보강부, 즉, 좌측 수직보강부(34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3430)는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34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좌측 제1수평보강부, 좌측 수직보강부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보강부(3500)은 우측 제1보강부(3510, 3530) 및 우측 제2보강부(3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보강부(3510, 35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2보강부(35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측 제1보강부는 우측 제1수평보강부(3510)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3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3510)는 상기 우측 제2보강부, 즉, 우측 수직보강부(35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3530)는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35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우측 제1수평보강부, 우측 수직보강부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우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3변형예는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3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3510)를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3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3변형예는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3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3510)와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34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정 공간(36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변형예와 비교하여, 제1변형예의 경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와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우측 제1수평보강부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으나, 제3변형예의 경우,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3440)가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3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3510) 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일정 공간(3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베이스 죠의 형상을 고려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술한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베이스 죠(300)의 지지부(330)의 하부에 일정 부분 돌출된 형태의 베이스 죠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죠의 일정 부분 돌출된 형태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기 위하여,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3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3510)와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34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정 공간(36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일정 공간(3600)에 상기 베이스 죠의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일정 부분 돌출된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3440, 3540은 각 보강부의 내측면의 부채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4변형예는 일측 보강부(4400) 및 상기 일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타측 보강부(4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일측 보강부(4400)는 좌측 보강부로, 상기 타측 보강부(4500)은 우측 보강부로 명칭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좌측 및 상기 우측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좌측 보강부(4400)은 좌측 제1보강부(4410, 4430) 및 좌측 제2보강부(4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보강부(4410, 44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2보강부(44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 제1보강부는 좌측 제1수평보강부(4410)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4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4410)는 상기 좌측 제2보강부, 즉, 좌측 수직보강부(44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4430)는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44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좌측 제1수평보강부, 좌측 수직보강부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보강부(4500)은 우측 제1보강부(4510, 4530) 및 우측 제2보강부(4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보강부(4510, 45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2보강부(45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측 제1보강부는 우측 제1수평보강부(4510)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4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4510)는 상기 우측 제2보강부, 즉, 우측 수직보강부(45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4530)는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45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우측 제1수평보강부, 우측 수직보강부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우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4변형예는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4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4510)를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4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4변형예는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4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4510)와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4450)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정 공간(4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4변형예는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445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핀부(47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4440)를 통해, 좌측 보강부 및 우측 보강부의 위치가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은 상기 좌측 보강부 및 상기 우측 보강부는 이들이 하나의 셋트로 구성되어, 이들 셋트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셋트들의 구성들도 각각의 배치관계가 중요하며, 이들 셋트들의 배치에 관한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445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핀부(470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지지핀부(4700)의 배치를 통해, 상기 각각의 셋트들의 배치관계를 정확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4440, 4540은 각 보강부의 내측면의 부채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5변형예는 일측 보강부(5400) 및 상기 일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타측 보강부(5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일측 보강부(5400)는 좌측 보강부로, 상기 타측 보강부(5500)은 우측 보강부로 명칭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좌측 및 상기 우측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좌측 보강부(5400)은 좌측 제1보강부(5410, 5430) 및 좌측 제2보강부(5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보강부(5410, 54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2보강부(54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 제1보강부는 좌측 제1수평보강부(5410)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5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5410)는 상기 좌측 제2보강부, 즉, 좌측 수직보강부(54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5430)는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54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좌측 제1수평보강부, 좌측 수직보강부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보강부(5500)은 우측 제1보강부(5510, 5530) 및 우측 제2보강부(5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보강부(5510, 55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2보강부(55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측 제1보강부는 우측 제1수평보강부(5510)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5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5510)는 상기 우측 제2보강부, 즉, 우측 수직보강부(55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5530)는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55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우측 제1수평보강부, 우측 수직보강부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우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5변형예는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5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5510)를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5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5변형예는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5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5510)와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54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정 공간(5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5변형예는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545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지지핀부(56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핀부(5650)는 상기 도 4d에서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4e에서와 같이,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5450)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일체화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5변형예는 상기 제1지지핀부(5650)와 함께, 이와 동일한 목적으로, 상기 제1수평보강부(5410, 551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지지핀부(5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e에서는 상기 제2지지핀부(5700)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1지지핀부(5650)와 동일하게 상기 제1수평보강부(5410, 5510)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일체화된 구성일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5440, 5540은 각 보강부의 내측면의 부채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6변형예는 일측 보강부(6400) 및 상기 일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타측 보강부(6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일측 보강부(6400)는 좌측 보강부로, 상기 타측 보강부(6500)은 우측 보강부로 명칭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좌측 및 상기 우측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좌측 보강부(6400)은 좌측 제1보강부(6410, 6430) 및 좌측 제2보강부(6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보강부(6410, 64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2보강부(64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 제1보강부는 좌측 제1수평보강부(6410)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6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6410)는 상기 좌측 제2보강부, 즉, 좌측 수직보강부(64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6430)는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64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좌측 제1수평보강부, 좌측 수직보강부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보강부(6500)은 우측 제1보강부(6510, 6530) 및 우측 제2보강부(6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보강부(6510, 6530)는 수평보강부일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2보강부(6520)는 수직보강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측 제1보강부는 우측 제1수평보강부(6510)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6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6510)는 상기 우측 제2보강부, 즉, 우측 수직보강부(65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6530)는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65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우측 제1수평보강부, 우측 수직보강부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우측 보강부는 대략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6변형예는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6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6510)를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6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6변형예는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6410)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6510)와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6450)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정 공간(6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6변형예는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6450)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홀(66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제6변형예는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홀(6610)과 체결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핀(67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도 4d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4변형예에서는,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445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핀부(4700)을 포함할 수 있었으나, 이와는 달리, 즉,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와 상기 지지핀이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제6변형예에서는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6450)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홀(6610)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홀(6610)과 체결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핀(6700)을 포함함으로써, 제4변형예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홀(6610)과 체결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핀(6700)은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6450)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는, 상기 체결핀(6700)이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6450)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체결핀(6700)이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6450)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6450)의 상면으로 돌출된 체결핀에 금형의 일정 부분이 삽입되어, 금형과 상기 보강부를 고정시킴으로써, 주물 작업시 보강부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의 경우도, 상기 도 4a 내지 도 4f의 제1변형예 내지 제6변형예로의 적용이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공작물 장착용 척 200 : 척바디
210 : 가이드부 211 : 슬라이딩부
300 : 베이스 죠 310 : 몸체부
320 : 결합부 330 : 지지부
400, 500 : 보강부 410, 510 : 제1수평보강부
420, 520 : 수직보강부 430, 530 : 제2수평보강부

Claims (10)

  1. 척바디; 및 상기 척바디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 죠를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에 있어서,
    상기 척바디는 상기 베이스 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죠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은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고,
    상기 보강부는,
    좌측 보강부; 및 상기 좌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우측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보강부는 좌측 제1보강부 및 좌측 제2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보강부는 우측 제1보강부 및 우측 제2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제1보강부는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는 상기 좌측 제2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는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1보강부는 우측 제1수평보강부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는 상기 우측 제2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는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를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핀부를 더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부채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의 철(凸)부와 복수개의 요(凹)부를 포함하는 톱니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2보강부는 좌측 제1수직보강부이고, 상기 우측 제2보강부는 우측 제1수직보강부이며,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의 타측은 좌측 제2수직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의 타측은 우측 제2수직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와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정 공간을 더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
  7. 삭제
  8. 척바디; 및 상기 척바디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 죠를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에 있어서,
    상기 척바디는 상기 베이스 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죠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은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고,
    상기 보강부는,
    좌측 보강부; 및 상기 좌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우측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보강부는 좌측 제1보강부 및 좌측 제2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보강부는 우측 제1보강부 및 우측 제2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제1보강부는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는 상기 좌측 제2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는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1보강부는 우측 제1수평보강부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는 상기 우측 제2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는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를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 또는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지지핀부를 더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
  9. 척바디; 및 상기 척바디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 죠를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에 있어서,
    상기 척바디는 상기 베이스 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죠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의 형상은 베이스죠의 지지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고,
    상기 보강부는,
    좌측 보강부; 및 상기 좌측 보강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우측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보강부는 좌측 제1보강부 및 좌측 제2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보강부는 우측 제1보강부 및 우측 제2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제1보강부는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좌측 제2수평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는 상기 좌측 제2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는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제1보강부는 우측 제1수평보강부 및 우측 제2수평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는 상기 우측 제2보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는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 및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를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보강부 연결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홀 및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홀과 체결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체결핀을 더 포함하는 공작물 장착용 척.
  10. 제 1 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2보강부는 좌측 수직보강부이고, 상기 우측 제2보강부는 우측 수직보강부이며,
    상기 좌측 제1수평보강부, 상기 좌측 수직보강부 및 상기 좌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좌측 보강부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우측 제1수평보강부, 상기 우측 수직보강부 및 상기 우측 제2수평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상기 우측 보강부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는 공작물 장착용 척.
KR1020140008401A 2014-01-23 2014-01-23 공작물 장착용 척 KR101544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401A KR101544908B1 (ko) 2014-01-23 2014-01-23 공작물 장착용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401A KR101544908B1 (ko) 2014-01-23 2014-01-23 공작물 장착용 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51A KR20150088051A (ko) 2015-07-31
KR101544908B1 true KR101544908B1 (ko) 2015-08-17

Family

ID=5387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401A KR101544908B1 (ko) 2014-01-23 2014-01-23 공작물 장착용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9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550472A1 (sv) * 2015-04-21 2016-09-27 Karl Ragnar Svensson Bo Chuck arran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7871A (ja) * 2010-03-03 2011-09-15 Kitagawa Iron Works Co Ltd チャックの作動体構造
KR101248997B1 (ko) * 2012-08-13 2013-04-02 칸워크홀딩 주식회사 공작물 장착용 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7871A (ja) * 2010-03-03 2011-09-15 Kitagawa Iron Works Co Ltd チャックの作動体構造
KR101248997B1 (ko) * 2012-08-13 2013-04-02 칸워크홀딩 주식회사 공작물 장착용 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51A (ko)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997B1 (ko) 공작물 장착용 척
US9272338B2 (en) Machine tool
US20190009380A1 (en) Flexible multi-table device
KR102335713B1 (ko) 공작 기계
US7506565B2 (en) Lathe
US20220105596A1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KR101544908B1 (ko) 공작물 장착용 척
KR101443145B1 (ko) 공작물 장착용 척
US20220097186A1 (en) Multifunctional machining center
KR20140056980A (ko) 정밀부품 가공용 씨엔씨 선반용 척
KR20150072321A (ko) 공작물 장착용 척
KR101451914B1 (ko) 공작물 장착용 척의 보강부
KR20160001434A (ko) 공작물 장착용 척
KR101544909B1 (ko) 공작물 장착용 척
KR101558501B1 (ko) 공작기계용 높이가변형 죠오 어셈블리
US20180029136A1 (en) Machine tool
KR101544910B1 (ko) 공작물 장착용 척
CN202701763U (zh) 数控锪端面机床
KR102185506B1 (ko) 공작 기계
JP2009208168A (ja) 生産ライン
EP3822020B1 (en) Cnc machining center
KR102595165B1 (ko) 터닝센터의 크로스 슬라이드
KR101481157B1 (ko) 무게를 감소시킨 척의 방음 방진용 커버가 형성된 척바디
CN207888285U (zh) 一种夹具
CN203459950U (zh) 一种铝件加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