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114A - 라벨링 기계 - Google Patents

라벨링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114A
KR20230147114A KR1020237030539A KR20237030539A KR20230147114A KR 20230147114 A KR20230147114 A KR 20230147114A KR 1020237030539 A KR1020237030539 A KR 1020237030539A KR 20237030539 A KR20237030539 A KR 20237030539A KR 20230147114 A KR20230147114 A KR 20230147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drum
adhesive
area
rib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카도 바디니
Original Assignee
피.이. 라벨러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이. 라벨러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피.이. 라벨러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3014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1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0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 B65C9/22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wetting, e.g. by applying liquid glue or a liquid to a dry glue coating
    • B65C9/2247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wetting, e.g. by applying liquid glue or a liquid to a dry glue coating using liquid rollers or bands
    • B65C9/2256Applying the liquid on the label
    • B65C9/226Applying the liquid on the label discretely, i.e. several points or strips or interrupted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4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 B65C3/1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03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 B65C9/181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and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 B65C9/1819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and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the suction means being a vacuum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03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 B65C9/181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and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 B65C9/1826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and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the suction means being a movable vacuum arm or pad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링 기계에 관한 것으로, 이 라벨링 기계는 라벨링될 용기(3)를 진행 경로를 따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2), 복수의 라벨(8a)이 연속적으로 인쇄되어 있는 연속적인 라벨 리본(8)을 풀기 위한 풀기 어셈블리(7)가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링 스테이션(6), 및 주변에 러너(12)가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드럼(10)을 포함하고, 그 러너는 드럼(10)의 측면에 대해 볼록하게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부분(13)을 가지며, 이 릴리프 부분은 접촉으로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과 결합할 수 있다.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에 접착제를 바르기 위한 스프레딩 롤러(14)가,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접착제 임프린트(15)를 라벨(8a)의 선두 및 후미 가장자리에 가하기 위해 드럼(10)의 측방에 배치되며, 라벨은 러너(12)의 릴리프 부분(13) 상에 있고, 러너(12) 중의 적어도 하나는 스프레딩 롤러(14)를 위해 규정된 적어도 하나의 받침 영역(17)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윤곽 부분(16)을 가지며, 윤곽 부분(16) 상에 있는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의 일부분에, 접착제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15b)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임프린트(15)를 스프레딩 롤러(14)에 의해 가하기 위해, 받침 영역은 윤곽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영역(18)에 대해 드럼(10)의 측면으로부터 더 큰 정도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라벨링 기계
본 발명은 라벨링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라벨이 연속적으로 인쇄되어 있는 릴(reel)로부터 취해지는 연속적인 라벨 리본을 절단하여 얻어지는 라벨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용기 상에 가할 수 있는 라벨링 기계가 알려져 있다.
전형적으로, 라벨링 기계에서, 라벨링될 용기는, 일반적으로 회전 캐러셀(carousel)로 구성되는 운반 수단에 의해 전진 경로를 따라 운반되며, 그 회전 캐러셀에는 개별적인 용기를 위한 복수의 지지부가 제공되어 있고, 그 지지부는 용기 자체가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용기의 진행 경로를 따라, 풀기 어셈블리가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링 스테이션이 또한 제공되어 있고, 풀기 어셈블리는 라벨 리본의 릴로부터 라벨 을 취출하고 선택적으로 그 라벨 리본을 장력 조절 수단에 통과시키며 그리고 라벨 리본을 절단 드럼에 공급하며, 그 절단 드럼의 주변 영역에는, 한 라벨과 다음 라벨 사이에서 라벨 리본을 절단할 수 있는 블레이드가 제공되어 있다.
절단 드럼을 떠날 때, 이렇게 절단된 개별 라벨은 전달 드럼에 접촉하고, 이 전달 드럼은, 캐러셀에 의해 운반되어 전달 드럼 앞에 점진적으로 주어지는 용기에 개별 라벨을 부착되게 한다.
특히, 라벨은 전달 드럼의 외측면의 대응 섹터에서 전달 드럼에 부착되도록 배치된다.
라벨 리본에 미리 가해진 접착제가 없는 경우, 라벨링 기계에는, 전달 드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접착제 스프레딩 롤러로 구성될 수 있는 접착 유닛이 제공되며, 라벨이 전달 드럼에 의해 취해져, 캐러셀에 의해 운반된 각각의 용기에 부착되기 전에, 스프레딩 롤러는 각 라벨의 선두 또는 전방 및 후미 가장자리에서 접착제 층을 가하게 된다.
특히, 접착 유닛이 스프레딩 롤러로 구성되는 경우, 전달 드럼의 다양한 섹터의 단부에는, 전달 드럼의 주 측면에 대해 볼록하게 있는 2개의 접착제 결합 영역이 있으며, 이 결합 영역은 러너라고 하는 각각의 블럭으로 규정되며, 라벨의 선두 및 후미 가장자리는 그 블럭 상에 안착되도록 설계되며, 그래서 라벨이 스프레딩 롤러 앞을 지날 때 스프레딩 롤러가 라벨에 일정량의 접착제를 가하며, 이 접착제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인 연속적인 스트립의 형태로 되어 있는 단지 2개의 접착제 임프린트 또는 영역을 형성하도록 분포되며, 그 스트립은 라벨 리본의 길이 방향 연장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다.
라벨의 선두 및 후미 가장자리 상에 이러한 형상의 접착제 임프린트를 생성하기 위해, 러너는 생성되는 접착제 임프린트에 대해 대응적으로 성형된 릴리프 부분을 제공하도록 성형되며, 그래서 이러한 릴리프 부분은 실질적으로 전달 드럼의 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로 구성되며, 이 리브는 그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전달 드럼의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또한 대응하는 러너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그의 최외측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외측으로 볼록하고 연속적인 접촉면을 가지며, 스프레딩 롤러로부터 접착제 임프린트를 받을 라벨의 측면이 그 접촉면에 안착된다.
라벨이 스프레딩 롤러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벨은, 전달 드럼의 측면과 러너 자체 모두에 제공되는, 공기 흡입 수단에 연결되는 구멍에 의해 전달 드럼의 측면과 러너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라벨링 기계의 작동 중에, 분리된 개별적인 라벨이 전달 드럼에 부착되기 때문에, 전달 드럼이 접착제로 더럽혀질 수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로 인해, 기계에 대한 필요한 청결화를 수행하기 위해 그 기계를 가동 중단시켜야 한다.
또한, 전달 드럼이 그의 주변 영역 주위에 분산되어 있는 절단 장치를 포함하는 라벨링 기계가 있으며, 그 절단 장치는 한 라벨과 다음 라벨 사이의 분리 부분에서 라벨 리본의 절단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그의 측면에서, 라벨이 대응하는 병에 부착되게 하기 위해 절단 후에 제공된 라벨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 드럼은 더 적절하게는 "절단 및 전달 드럼"이라고 한다.
이러한 유형의 기계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기계에서, 스프레딩 롤러에 의해 라벨에 접착제가 가해진 후에 라벨의 절단을 수행하기 위해 절단 장치가 활성화되며, 그래서, 스프레딩 롤러가 접착제로 전달 드럼의 측면을 더럽힐 가능성이 회피된다.
특히, 동일한 출원인 명의의 라벨링 기계가 WO2018/114618에 알려져 있는데, 이 라벨링 기계에서, 풀기 어셈블리가 라벨 리본을 전달 드럼에 직접 공급하고, 이 경우 전달 드럼에는, 전달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각각의 러너 바로 뒤의 위치에 배치되는 절단 장치가 제공되어 있고, 각 절단 장치는, 전달 드럼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대응하는 흡입 챔버에 수용되는 각각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며, 그 흡입 챔버는 전달 드럼의 측면에 개방되어 있고 공기 흡입 수단에 연결되며, 그 공기 흡입 수단은 라벨링 리본을 챔버 안으로 블레이드에 접촉하게 내측으로 끌어 당겨 그 라벨링 리본이 절단된다.
이 라벨링 기계에는 제어 수단이 더 제공되고, 이 제어 수단은 전달 드럼의 회전 중에 풀기 어셈블리에 의한 전달 드럼에 대한 라벨 리본의 공급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하여, 스프레딩 롤러가 라벨 리본의 두 연속적인 라벨의 선두 가장자리와 후미 가장자리에 각각의 접착제 임프린트를 가할 수 있게 하거나(그 두 연속적인 라벨은 스프레딩 롤러의 앞을 지나는 러너에 배치됨), 또는 절단 장치가 두 연속적인 라벨 사이에서 라벨 리본의 절단을 수행하기 위해, 라벨 리본의 공급 속도가 전달 드럼의 주변 속도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기계 작동 단계, 및 스프레딩 롤러가 접착제를 가했을 때 두 연속적인 라벨의 후미 가장자리와 선두 가장자리가 배치된 러너의 바로 뒤에서, 스프레딩 롤러가 이전에 접착제를 가한 두 연속적인 라벨 사이의 분리 부분에 절단 장치를 위치시키도록 라벨 리본에 대한 전달 드럼의 미끄러짐을 허용하기 위해 또는 라벨 리본의 절단을 수행한 절단 장치의 활성화 후에, 절단된 라벨을 라벨 리본의 나머지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전달 드럼에 대한 라벨 리본의 공급 속도가 대신에 라벨의 전달 속도 보다 느려지는 기계 작동 단계를 결정한다.
위에서 설명한 기계는 스프레딩 롤러에 의해 라벨에 전달되는 접착제의 양을 가능한 한 제한하여 기계의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널리 퍼져 있다.
현재 널리 인식되고 있는 또 다른 필요성은, 빈 용기가 환경에 분산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세척 및 살균 후에 용기가 새로운 라벨로 재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용기에 가해진 라벨이 그 용기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현재 라벨링 기계의 일 문제는, 외측면에 마루부와 골부로 형성된 윤곽을 갖는 용기에도 라벨을 정확하게 가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유형의 용기에서, 라벨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직사각형 접착제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접착제 임프린트(라벨의 가장자리에 가해짐)를 갖는 라벨이 또한 용기의 외면에 존재하는 골부에도 부착되어 물결형 패턴을 갖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라벨을 읽기 어렵게 하기 때문에 인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용기의 마루부에 존재하는 접착제로 충분하기 때문에, 용기의 골부에서 접착제 임프린트에 존재하는 접착제는 라벨을 용기에 부착하는 데에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 접착제는 낭비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러너가 계속 릴리프 부분을 가지며 이 릴리프 부분은, 여전히, 접착제를 받도록 되어 있는 라벨의 일부분을 위한 평평하고 연속적인 접촉 표면을 갖는 라벨링 기계가 제안되었는데, 하지만, 이 라벨링 기계에서, 스프레딩 롤러의 측면은 매끄럽지 않고, 다른 부분 보다 볼록하게 되어 있는 일부 부분으로 윤곽화되어 있고, 그래서, 전형적으로 전통적인 기계에서 일어나는 것처럼 단순한 연속적인 접착제 스트립으로 구성된 접착제 임프린트가 아닌, 접착제를 갖는 영역 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없는 영역을 포함하는 접착제 임프린트를 라벨에 가할 수 있으며, 접착제가 없는 영역은, 라벨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그리고/또는 라벨이 가해질 용기의 외측면에 존재하는 골부에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이 해결책은, 위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하고 라벨에 원치 않는 주름을 만들지 않는 데에 유효하지만, 스프레딩 롤러를 제공할 때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해결책은, 스프레딩 롤러를 교체하지 않는 한 라벨의 포맷을 변경할 가능성을 허용하지 않으며, 그러나 스프레딩 롤러의 교체는 상당한 작업적인 어려움 및 긴 기계 가동 중단 시간을 수반한다.
본 발명의 목표는, 위에서 언급된 점들 중의 하나 이상에서 공지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라벨링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접착제를 낭비하지 않고 라벨의 포맷에 적합한 접착제 임프린트를 라벨에 가할 수 있게 하는 라벨링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벨 주름의 위험 없이 용기의 형상에 맞는 접착체 임프린트를 라벨에 가할 수 있게 하는 라벨링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벨의 포맷의 변경에 빠르고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라벨링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면에서 제공하기가 간단한 라벨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동시에 안전성과 신뢰성을 광범위하게 보장할 수 있는 라벨링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해결책에 대한 대안적인 방식으로 배경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전히 경제적인 관점에서도 경쟁력이 있도록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라벨링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더 명백하게 될 이러한 목표와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선택적으로 종속 청구항의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이 제공되는 청구항 1에 따른 라벨링 기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기계의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그 실시 형태는 비제한적 예를 위해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절단 및 전달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드럼의 러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러너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일련의 작동 단계를 위에서 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드럼 상의 러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접착제 임프린트의 예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기계는 진행 경로를 따라 라벨링될 용기(3)의 컨베이어(2)를 포함한다.
컨베이어(2)는 예를 들어 회전 캐러셀(carousel)(4)로 구성되며, 이 캐러셀은, 그의 주변 영역에서, 용기(3)가 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각각의 개별적 용기(3)를 지지하기 위한 팬(pan)(5)을 가지며, 이 팬도 회전한다.
용기(3)의 진행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라벨링 스테이션(6)이 있으며, 이는 풀림 어셈블리(7)를 가지며, 이 풀기 어셈블리는, 예컨대, 한쌍의 역회전 연행 롤러(7a, 7b)로 구성되며, 이들 롤러에 의해, 복수의 라벨(8a, 8b)이 연속적으로 인쇄되어 있는 연속적인 라벨 리본(8)이 릴(reel)(나타나 있지 않음)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편리하게도, 풀기 어셈블리(7)에 의해 릴로부터 취출된 라벨 리본(8)은,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라벨 리본(8)을 곧게 하고 그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9)를 통과하게 된다.
라벨링 스테이션(6)은 적어도 하나의 드럼(10)을 더 포함하며, 이 드럼은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 8b)을 그 드럼의 측면(10a)에 부착하여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를 위해,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드럼(10)의 측면(10a)에는,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 8b)을 드럼(10)에 부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진공원(나타나 있지 않음)에 연결되는 흡입 구멍(11)이 있다.
주변에서, 드럼(10)에는 러너(12)가 더 제공되어 있고, 이 러너는 드럼(10)의 축선 주위에 서로 각도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각의 러너(12)는, 드럼(10)의 측면(10a)에 대해 볼록하게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릴리프 부분(13)을 가지며, 이 릴리프 부분은 접촉을 통해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 8b)과 결합한다.
편리하게도, 러너(12)에 대한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 8b)의 부착을 보장하기 위해, 러너(12)에도 규정된 흡입 포트(11)가 있다.
드럼(10)의 측방에는 접착제 스프레딩 롤러(1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롤러는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 8b)에 접착제를 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러너(12)는, 그의 릴리프 부분(13)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접착제를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규정하며, 이 영역은 스프레딩 롤러(14)와 대향하도록 설계되며, 그래서, 러너(12)가 스프레딩 롤러(14)의 앞을 지날 때, 스프레딩 롤러(14)는, 러너(12)의 릴리프 부분(13)과 접촉하는 라벨(8a, 8b)의 선두 및 후미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접착제 임프린트(15)를 가할 수 있어, 후속적으로 라벨(8a, 8b)을 각각의 용기(3)에 부착할 수 있다.
러너(12) 중의 적어도 하나는, 실질적으로 접착제를 가하기 위한 영역에서, 스프레딩 롤러(14)를 위해 규정된 적어도 하나의 받침 영역(17)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윤곽 부분(16)을 가지며, 이는 윤곽 부분(16)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영역(18)에 대해, 드럼(10)의 측면(10a)으로부터 더 큰 정도로 돌출하며, 따라서 그 다른 영역은 스프레딩 롤러(14)와 접촉하지 않으며, 그래서 스프레딩 롤러(14)는, 대신에 영역(18)에 위치되는 부분이 아닌 받침 영역(17)에 위치되는 라벨 리본(8) 또는 라벨(8a, 8b)의 부분에 접착제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레딩 롤러(14)는, 윤곽 부분(16)과 접촉하는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 8b)의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임프린트(15)를 가할 수 있으며, 그 임프린트는, 윤곽 부분(16)의 받침 영역(17)에 의해 달성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15a) 뿐만 아니라, 러너(12)의 윤곽 부분(16)의 영역(18)에 제공되는 부분에서, 접착제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15b)을 갖는다.
스프레딩 롤러(14)에 의해 만들어진 접착제 임프린트(15)에 접착제가 없는 영역(15b)의 존재는, 용기의 내용물이 소비된 후에 그 용기(3)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일단 가해지면, 라벨(8a, 8b)을 용기(3)로부터 더 쉽게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추가로, 스프레딩 롤러(14)에 의해 라벨(8a, 8b)에 전달되는 접착제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드럼(10)의 각각의 러너(12)는 적어도 하나의 윤곽 부분(16)을 갖는다.
예를 들어, 윤곽 부분(16)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바람직하게는 특정한 외향 볼록을 나타내는 받침 영역(17)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받침 영역은 윤곽 부분(16)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드럼(10)의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윤곽 부분은 또한 받침 영역(17)에 대해 드럼의 측면(10a)으로부터 더 적은 정도로 돌출하는 영역(1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영역은 윤곽 부분(16)의 주변 영역에 위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윤곽 부분(16)으로, 실제로,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태의 접착제를 갖는 단일 영역(15a)에 의해 주로 구성되는 라벨(8a, 8b) 상에 접착제 임프린트(15)를 증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단일 영역, 그의 주변 영역에서 접착제가 없는 한 영역(15b)을 제외하고, 라벨(8a, 8b)의 횡방향 연장의 대부분에 영향을 주며, 접착제가 없는 영역은 접착제를 갖는 영역(15a)으로 형성된 스트립의 일종의 잃어버린 코너 또는 부분을 생성할 수 있어, 접착제 임프린트(15)의 접착제가 없는 영역(15b)이 위치되어 있는 라벨의 단부 플랩을 들어 올리는 것으로 시작하여 용기(3)에서 라벨을 ?어내어 라벨(8a, 8b)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윤곽 부분(16)은 또한 복수의 받침 영역(17)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받침 영역은 받침 영역(17)에 대해 드럼(10)의 측면으로부터 더 작은 정도로 돌출하는 영역(18)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위치되며, 그래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접착제가 없는 영역(15b)을 사이에 두고 있는, 접착제를 갖는 다수의 영역(15a)으로 형성되는 접착제 임프린트(15)를 형성할 수 있어, 접착제 임프린트(15)의 일부 지점에만, 특히 더 큰 유지력이 필요한 지점에만 라벨(8a, 8b)을 부착할 수 있고, 필요가 없는 다른 영역에는 부착하지 않으며, 그래서 상당한 접착제 절약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3)의 외부 표면이 마루부와 골부로 윤곽화되면, 받침 영역(17)은, 접착제 임프린트(15)에 제공되는 접착제를 갖는 영역(15a)이 마루부에 배치되고 용기에 있는 골부에는 배치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실제로, 받침 영역 또는 영역들(17)은 윤곽 부분(16)에 규정된 각각의 융기 부분에 의해 구성되는 반면, 영역 또는 영역들(18)은 다시 윤곽 부분(16)에 규정된 각각의 중공부에 의해 구성된다.
이제 도면에 도시된 실시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드럼(10)은 풀기 어셈블리(7)에 의해 라벨 리본(8)을 직접 공급 받고 그의 주변부를 따라 분산된 복수의 절단 장치(19)를 가지며, 이 절단 장치는 명령에 따라 활성화되어 한 라벨(8a, 8b)과 다음 라벨 사이에서 라벨 리본(8)의 절단을 수행할 수 있음을 주목할 수 있다.
편리하게도, 그러한 절단 장치(19)는, 2개의 접착제 임프린트(15)가 스프레딩 롤러(14)에 의해 가해진 후에 라벨 리본(8)을 따라 2개의 연속적인 라벨(8a, 8b) 사이의 분리 부분에서 라벨 리본(8)의 절단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한 접착제 임프린트는 "8a"로 도 6, 7 및 8에 나타나 있는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2개의 연속하는 라벨 중 하나의 후미 가장자리에 있고, 다른 접착제 임프린트는 라벨 리본(8)의 진행 방향으로 이전 라벨의 바로 뒤에 있는 다른 라벨(8b)의 선두 가장자리에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러너(12)는 적어도 2개의 릴리프 부분(13)을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그 릴리프 부분은 라벨 리본(8)의 두 연속적인 라벨(8a, 8b)의 후미 가장자리 및 선두 가장자리를 접촉으로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각각의 러너(12) 상의 두 릴리프 부분(13)은 접착제를 가하기 위한 각각의 영역을 규정하고, 이들 영역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윤곽 영역(16)을 포함한다.
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윤곽 영역(16)을 포함하는 릴리프 부분(13)은, 적어도, 라벨(8a, 8b)의 후미 가장자리를 접촉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이며, 그래서 후미 가장자리가 라벨(8a, 8b)의 선두 가장자리와 겹친 상태에서 라벨(8a, 8b)이 용기(3) 상에 가해지면, 접착제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15b)을 갖는 접착제 임프린트(15)가 라벨의 후미 가장자리에 존재함으로써, 그 라벨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며, 접착제가 없는 영역은 당김으로 라벨의 제거를 허용한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러너(12) 상의 각각의 릴리프 부분(13)이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윤곽 부분(16)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러너(12)의 2개의 릴리프 부분(13)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접착제 임프린트(15)의 예가 도 9, 10 및 11에 나타나 있다.
특히, 도 9는 러너(12)에 의해, 라벨(8a)의 후미 가장자리 및 라벨(8a)에 연속하는 라벨(8b)의 선두 가장자리에서 라벨 리본(8) 상에 제공될 수 있는 한 쌍의 접착제 임프린트(15)를 나타내고, 그 러너는, 윤곽 부분(16)을 갖는 제 1 릴리프 부분(13)을 가지며, 그 윤곽 부분은, 라벨(8a)의 후미 가장자리에, 라벨(8a)에 대해 횡으로 있는 스트립으로 접착제를 갖는 영역(15a)을 갖는 접착제 임프린트(15)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접착제가 없는 영역(15b), 라벨(8b) 쪽을 향하는 측에 있는 코너에는 없으며, 러너는 또한 공지된 기술에 따라 구성되는 제 2 릴리프 부분(13)을 가지며, 따라서 이 릴리프 부분은, 라벨(8b)의 선두 가장자리에서, 라벨(8b)에 대해 횡으로 있는 직사각형 스트립으로 접착제를 갖는 영역(15a)으로 본질적으로 완전히 구성되는 접착제 임프린트(15)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직사각형 스트립은 거의 라벨(8b)의 전체 횡방향 연장을 따라 연장된다.
다르게, 도 10은 2개의 릴리프 부분(13)을 갖는 러너(12)에 의해 라벨 리본(8)에 제공될 수 있는 한 쌍의 접착제 임프린트(15)를 나타내며, 두 릴리프 부분은 각각의 윤곽 부분(16)을 가지며, 이 윤곽 부분은 2개의 연속적인 라벨(8a, 8b)의 선두 가장자리와 후미 가장자리에서, 스프레딩 롤러(14)의 앞을 라벨이 지난 후에, 접착제를 갖는 다수의 국부적인 영역(15a)을 포함하는 접착제 임프린트(15)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 국부적인 영역은 라벨 리본(8)의 연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또한 라벨(8a, 8b)에 대해 횡방향으로, 접착제가 없는 영역(15b)을 사이에 두고 있다.
도 11은 러너(12)에 의해 두 연속적인 라벨(8a, 8b)의 후미 가장자리와 선두 가장자리에서 라벨 리본(8) 상에 제공된 접착제 임프린트(15)를 나타내며, 그 러너의 두 릴리프 부분(13)에는 각각의 윤곽 부분(16)이 제공되어 있고, 라벨(8a)의 후미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접착제 임프린트(15)는 라벨(8a)에 대해 횡으로 있는 스트립으로 접착제를 갖는 연속적인 영역(15a)으로 구성되지만, 접착제가 없는 영역(15b)으로 구성되는 코너는 없고, 라벨(8b)의 선두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접착제 임프린트(15)는, 라벨(8b)에 대해 횡방향으로, 접착제가 없는 영역(15b)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접착제를 갖는 다수의 국부적인 영역(15a)으로 구성된다.
다시 도면에 도시된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 드럼(10)의 각각의 러너(12)는, 드럼(10)의 회전 방향으로, 대응하는 러너(12) 바로 뒤의 위치에 배치되는 각각의 절단 장치(19)와 관련되어 있다.
편리하게는, 이 경우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제공되며, 이 제어 수단은 예컨대 전자 제어 유닛(30)으로 구성되며, 이 전자 제어 유닛은, 드럼 자체의 주변 속도에 대해, 풀기 어셈블리(7)에 의해 드럼(10)에 대한 라벨 리본(8)의 공급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라벨 리본(8)을 풀기 위한 풀기 어셈블리(7)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고, 그래서 라벨 리본(8) 상에서의 드럼(10)의 측면의 미끄러짐을 얻도록 라벨 리본(8)이 풀기 어셈블리(7)에 의해 드럼(10)에 공급되는 속도 보다 드럼(10)의 주변 속도가 더 빠른 기계 작동 단계, 및 다르게, 드럼(10)에 대한 라벨 리본(8)의 공급 속도가 드럼(10)의 주변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계 작동 단계를 갖는다.
특히, 제어 수단은, 라벨 리본(8)의 두 연속적인 라벨(8a, 8b)의 후미 가장자리와 선두 가장자리가 러너와 접촉한 상태에서 러너(12)가 스프레딩 롤러(14)의 앞을 지나간 직후에 풀기 어셈블리(7)에 의한 드럼(10)에 대한 라벨 리본(8)의 공급 숙도를 느리게 하도록 명령할 수 있고, 스프레딩 롤러(14)에 의해 2개의 접착제 임프린트(15)가 각각 가해지고, 한 접착제 임프린트는 러너(12)와 접촉하는 위에서 언급된 2개의 연속적인 라벨(8a, 8b)의 후미 가장자리에 가해지고 다른 접착제 임프린트는 선두 가장자리에 가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벨 리본(8) 상에서의 드럼(10)의 결과적인 미끄러짐에 의해, 라벨 리본(8)이 연신되어, 라벨 리본이 러너(12)의 윤곽 부분(16)에 부착된 후에, 라벨 리본(8)이 주름질 수 있는 상황이 회피되며, 또한 그 미끄러짐에 의해, 접착제 임프린트(15)를 받은 2개의 연속적인 라벨(8a, 8b) 사이의 분리 부분에서, 스프레딩 롤러(14)가 접착제 임프린트(15)를 가한 러너(12) 바로 뒤에 절단 장치(19)가 보내질 수 있으며, 그리하여 라벨 리본(8)의 절단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라벨 리본(8)의 진행 방향으로 다른 라벨(8b)에 앞서는 라벨(8a)이 라벨 리본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절단 후, 라벨(8a)이, 라벨 리본(8)에서 분리되면, 흡입 구멍(11)에 의해 드럼(10)의 측면(10a)에 부착되도록 유지되며, 그래서 드럼(10)은 그 라벨을 캐러셀(4)에 도달하는 대응하는 용기(3)에 부착되도록 보낼 수 있다.
대응하는 절단 장치(19)에 의해 라벨 리본(8)이 절단되는 순간에, 제어 수단은 드럼(10)의 주변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라벨 리본(8)을 드럼(10)에 공급하도록 풀기 어셈블리(7)에 명령하며, 그래서 라벨 리본(8)의 이동과 절단 장치(19)의 이동 사이의 실질적인 동기화 상태에서 라벨 리본(8)의 절단이 일어날 수 있다.
라벨 리본(8)의 절단을 수행한 후, 제어 수단은 드럼(10)에 대한 라벨 리본(8)의 공급 속도를 드럼(10)의 주변 속도에 대해 느리게 하는 명령을 할 수 있고, 그래서, 드럼(10)은 라벨 리본(8)을 끌어, 라벨 리본(8)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의 절단 후 얻어진 라벨(8a)을 당길 수 있다.
유리하게는,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절단 장치(19)는 절단 챔버(21) 내부에 배치되는 각각의 블레이드(20)를 포함하고, 그 절단 챔버는 드럼(10)의 측면(10a) 상으로 개방되어 있고, 예를 들어, 드럼(10)의 흡입 구멍(11)에 연결되는 동일한 진공원으로 구성되는 흡입 수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래서 절단 장치(19)와 대향하는 라벨 리본(8)의 일부분을 대응하는 절단 챔버(21) 안으로 내측으로 끌어 당겨 블레이드(20)에 접촉시킬 수 있어, 라벨 리본의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 기계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상황으로부터 시작하여, 스프레딩 롤러(14)가 그와 접촉하는 라벨 리본(8)의 일부분 상에 2개의 접착제 임프린트(15)를 가할 수 있도록, 러너(12)(라벨 리본(8)의 두 연속적인 라벨(8a, 8b)의 후미 가장자리와 선두 가장자리는 그 러너의 릴리프 부분(13)과 각각 접촉함)가 스프레딩 롤러(14)의 앞을 지나가고 있을 때, 풀기 어셈블리(7)는, 드럼(10)의 주변 속도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속도로 라벨 리본(8)을 드럼(10)에 공급하며, 두 접착제 임프린트 중의 하나는 라벨 리본(8)의 전진 방향으로 라벨(8b)에 앞서는 라벨(8a)의 후미 가장자리에 있고, 다른 접착제 임프린트는 라벨(8b)의 후미 가장자리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너(12)에 존재하는 흡입 구멍(11)은 편리하게 진공원에의 연결을 통해 활성화되어, 라벨 리본(8)이 러너(12)의 릴리프 부분(13)에 완벽하게 부착되어, 러너(12)에 존재하는 흡입 구멍(11)에 의해 가해지는 릴리프 부분(13) 쪽으로의 끌어당김 작용에 의해 그의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일단 접착제 임프린트(15)가 라벨(8a, 8b)의 후미 가장자리 및 선두 가장자리에 가해지면, 라벨 리본(8)을 드럼(10)의 주변 속도 보다 느린 속도로 드럼(10)에 공급하도록 제어 수단의 명령을 따라, 라벨 리본(8)을 풀기 위한 풀기 어셈블리(7)가 작동되는 상황에 도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드럼(10)은 라벨 리본(8)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어서, 라벨 리본(8)을 연신시키고, 라벨 리본(8)이 러너(12)에 부착된 후에 그 라벨 리본이 원래의 형상을 취하게 하며, 그래서 라벨 리본이 러너(12)의 윤곽 부분들 또는 부분(16)에 부착된 후에 주름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상황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이전 단계에서 스프레딩 롤러(14)의 앞에 있었던 러너(12)의 바로 뒤의(드럼(10)의 회전 방향으로) 절단 장치(19)를, 접착제 임프린트(15)가 가해진 2개의 라벨(8a, 8b) 사이의 분리 부분에 보낸다.
라벨 리본(8) 상에서 드럼(10)이 미끄러지는 동안, 러너(12)에 있는 흡입 구멍(11)의 적어도 한 부분은, 진공원에 대한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편리하게 비활성화되어, 라벨 리본(8)에서 주름이 남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도 8은 접착제 임프린트(15)를 받은 라벨(8a, 8b)의 선두 및 후미 가장자리가 접촉한 러너(12) 바로 뒤에 있는 절단 장치(19)가 대응하는 블레이드(20)로 라벨(8a, 8b) 사이의 분리 부분에 도달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라벨 리본(8)은 드럼(10)의 주변 속도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속도로 풀기 어셈블리(7)에 의해 다시 공급되고, 라벨(8a, 8b) 사이의 분리 영역에 있는 절단 장치(19)의 절단 챔버(21)가 흡입 수단에 연결되어 있어, 라벨 리본(8)을 절단 챔버(21) 안으로 내측으로 끌어 당겨 대응하는 블레이드(20)에 접촉하게 밀어 라벨 리본(8)을 절단하고, 라벨(8a)이 그 라벨 리본으로부터 분리된다.
라벨(8a)의 절단 후, 제어 수단은, 풀기 어셈블리(7)에 의해, 드럼(10)의 주변 속도에 대해 드럼(10)에 대한 라벨 리본(8)의 공급 속도의 다른 감속을 명령하여, 라벨 리본(8)의 나머지 부분에서 절단된 라벨(8a)을 빼내고, 드럼(10)의 회전 방향으로 라벨(8a)이 접착제를 받은 러너 뒤에서 다음 러너(12)를 라벨(8b)과 라벨 리본(8)을 따라 그 라벨 바로 다음에 있는 라벨 사이의 분리 부분에 위치시키며, 그래서 라벨 리본(8)의 공급 속도를 드럼(10)의 주변 속도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값으로 되돌려 작동 사이클을 재개할 수 있고, 라벨 리본(8)에서 절단된 라벨(8a)은 드럼(10)에 의해, 컨베이어(2)에 의해 운반된 각각의 용기(3)에 전달될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은, 공지 기술과 관련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로 그리고 라벨링의 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라벨에 가해지는 접착제의 사용과 소비의 유효한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라벨링 기계를 제공함으로써 의도된 목표 및 목적을 완전히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렇게 고안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속하는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고, 모든 세부 사항은 기술적으로 동등한 다른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특정 용도와 양립 가능하다면, 사용되는 재료뿐만 아니라 수반되는 형상 및 치수는 요구 사항 및 최신 기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이탈리아 특허 출원 번호 102021000004100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임의의 청구항에 언급된 기술적 특징 뒤에 참조 부호가 있는 경우, 그 참조 부호는 청구 범위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만 포함되었으며 따라서 그러한 참조 부호는 예로서 그러한 참조 부호로 식별되는 각 요소의 해석에 어떠한 한정적인 영향도 주지 않는다.

Claims (7)

  1. 라벨링 기계로서, 라벨링될 용기(3)를 진행 경로를 따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2), 상기 진행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라벨(8a)이 연속적으로 인쇄되어 있는 연속적인 라벨 리본(8)을 풀기 위한 풀기 어셈블리(7)가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링 스테이션(6), 및 상기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을 그의 측면에의 부착으로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주변에 러너(12)가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드럼(10)을 포함하고, 그 러너는 드럼(10)의 측면에 대해 볼록하게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부분(13)을 가지며, 이 릴리프 부분은 접촉으로 상기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과 결합할 수 있고,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에 접착제를 바르기 위한 스프레딩 롤러(14)가,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접착제 임프린트(15)를 라벨(8a)의 선두 및 후미 가장자리에 가하기 위해 상기 드럼(10)의 측방에 배치되며, 라벨은 러너(12)의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부분(13)과 접촉하며,
    상기 러너(12)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프레딩 롤러(14)를 위해 규정된 적어도 하나의 받침 영역(17)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윤곽 부분(16)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윤곽 부분(16)과 접촉하는 라벨 리본(8) 및/또는 라벨(8a)의 일부분에, 접착제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15b)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임프린트(15)를 상기 스프레딩 롤러(14)에 의해 가하기 위해, 상기 받침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윤곽 부분(16)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영역(18)에 대해 상기 드럼(10)의 측면으로부터 더 큰 정도로 돌출되어 있는, 라벨링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1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윤곽 부분(16)을 갖는, 라벨링 기계.
  3. 제 1 항 및 제 2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윤곽 부분(16)은, 이 윤곽 부분(16)의 주변 영역에 위치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받침 영역(17) 및 이 받침 영역(17)에 대해 상기 드럼(10)의 측면으로부터 더 작은 정도로 돌출하는 영역(18)을 포함하는, 라벨링 기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부분(16)은, 상기 받침 영역(17)에 대해 상기 드럼(10)의 측면으로부터 더 작은 정도로 돌출하는 영역(18)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위치되는 복수의 받침 영역(17)을 포함하는, 라벨링 기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12)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릴리프 부분(13)을 포함하고, 릴리프 부분은 라벨 리본(8)의 두 연속적인 라벨(8a)의 후미 가장자리와 선두 가장자리를 접촉으로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릴리프 부분(13)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윤곽 영역(16)을 포함하는, 라벨링 기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윤곽 영역(16)을 포함하는 릴리프 부분(13)은 라벨(8a)의 후미 가장자리를 접촉으로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는, 라벨링 기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부분(13)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윤곽 영역(16)을 포함하는, 라벨링 기계.
KR1020237030539A 2021-02-23 2022-02-18 라벨링 기계 KR20230147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02100004100 2021-02-23
IT102021000004100 2021-02-23
PCT/EP2022/054135 WO2022179957A1 (en) 2021-02-23 2022-02-18 Label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114A true KR20230147114A (ko) 2023-10-20

Family

ID=7585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539A KR20230147114A (ko) 2021-02-23 2022-02-18 라벨링 기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298022A1 (ko)
JP (1) JP2024507263A (ko)
KR (1) KR20230147114A (ko)
CN (1) CN116917208A (ko)
CA (1) CA3206535A1 (ko)
MX (1) MX2023009837A (ko)
WO (1) WO20221799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128413A1 (it) 2016-12-20 2018-06-20 Pe Labellers Spa Macchina e procedimento per l'etichettatura di contenitori.
IT201900006581A1 (it) * 2019-05-07 2020-11-07 Sacmi Verona Spa Procedimento per l'etichettatura di contenitori riutilizzabili e relativa macchina etichettat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8022A1 (en) 2024-01-03
WO2022179957A1 (en) 2022-09-01
JP2024507263A (ja) 2024-02-16
MX2023009837A (es) 2023-09-04
CA3206535A1 (en) 2022-09-01
CN116917208A (zh)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4623B2 (ja) ラベル、その貼付装置およびラベルの形成方法
JP7300391B2 (ja) 容器にラベルを貼付する為の装置及び方法
US8540003B2 (en) Labeling apparatus
EP0637547B1 (en) Printing system for labels
AU731306B2 (en) Adhesive station and labeling machine
JP5390172B2 (ja) 台紙なしラベル連続体および台紙なしラベル連続体の作製方法
EP1876102B1 (en) Labelling apparatus
US20150203234A1 (en) Label dispenser
JPH0339894B2 (ko)
AU768562B2 (en) Device for applying labels
CN105636871A (zh) 贴标装置
KR20230147114A (ko) 라벨링 기계
WO2006111316A1 (en) Machine for applying continuous-film labels with pre- applied adhesive to bottles
US20240132244A1 (en) Labeling machine
JP2001151214A (ja) ラベル貼付機のラベル移送装置およびラベル移送方法
JP7108837B2 (ja) ラベル装置及びラベル方法
JP4493768B2 (ja) ラベル貼付機のラベル移送装置およびラベル移送方法
JP6381342B2 (ja) ラベル貼付装置
US11981474B2 (en) Machine and method for labeling containers
JP2016166039A (ja) ラベル貼着装置およびラベル貼着方法
JP2006117283A (ja) タックラベラー
JP2015034051A (ja) ラベル発行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