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780A - 자동 승강 설비 - Google Patents

자동 승강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780A
KR20230146780A KR1020220045601A KR20220045601A KR20230146780A KR 20230146780 A KR20230146780 A KR 20230146780A KR 1020220045601 A KR1020220045601 A KR 1020220045601A KR 20220045601 A KR20220045601 A KR 20220045601A KR 20230146780 A KR20230146780 A KR 20230146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ogie
lifting equipment
automatic lifting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문
Original Assignee
이장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문 filed Critical 이장문
Priority to KR102022004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780A/ko
Publication of KR2023014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78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1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 B66B7/042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with rollers,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축물에서 구름마찰 방식의 자가 구동으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위아래로 나르는 자동 승강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건축물의 하층부터 상층으로 연이어지며 각기 층에서 승하차를 위한 탑승구가 구비되는 수직 통로 상에서 바닥에 배터리가 내장되고 제어반으로부터 전달되는 층 선택 버튼 신호에 의하여 오르내리는 케이지를 이용해 선택 층으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으로 나르도록 한 자동 승강 설비로써, 수직 통로 상에 병렬 배치되는 한 쌍의 궤도들과 대차 및 그 대차의 양측 벽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액추에이터들, 그리고 액추에이터들과 축핀을 이용하여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궤도를 비스듬하게 가로 건너 설치되고 궤도를 중앙에 두고 좌우 측으로 배치되어 동축 상에서 내장된 서보 모터를 이용해 자가 구동하는 바퀴들이 구비되는 한 쌍의 현가 유닛들을 포함하여서, 제어반에서 층 선택 버튼 신호가 주어지면 서보 모터가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으로 구동하여 바퀴들이 궤도들 주벽을 구름마찰 방식으로 타고 오르내리며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에 자가 구동으로 나르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승강 설비{automatic lifting equipment}
본 발명은 고층 건축물에서 동력을 사용하여 방문객이나 거주자 또는 화물을 위아래로 나르는 자동 승강 설비에 관한 것이다.
자동 승강 설비는 고층의 건축물에서 방문객이나 거주자 등의 탑승자 또는 화물을 상하로 나르는 편의 시설물로써, 그러한 자동 승강설비는 건축물의 소정 위치에 하층부터 상층으로 연이어지며 각기 층에서 승하차를 위한 탑승구가 구비되어 그 내벽 상하 전장 길이에 걸쳐 가이드레일이 구비는 수직 통로와, 이 수직 통로 내의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타고 제어반의 제어신호로 구동하는 권양기를 이용해 오르내리게 하면서 방문자나 거주자 또는 화물을 선택 층으로 나르는 케이지로 이루고 있다.
이러한 자동 승강 설비는 대략 건축물의 수직 통로 상부에 기계실을 마련하여 케이지의 오르내림을 위한 권양기와 제어반이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반과 케이지 사이에서의 전원 공급을 위한 플렉시블한 케이블 등 승강 운행 시설물들이 설치되며, 그리고 수직 통로의 일측에는 케이지와 연동하는 밸런스 웨이트가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등의 부대시설물이 구비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권양기를 이용한 자동 승강 설비는 로프의 감고 풀림에 의한 기구적인 간접 운전 방식으로 이루고 있는데, 이때 승강 설비의 정속 운행이나 위치 제어가 정밀하지 못한 문제와 부대시설물들에 의해 승강 설비의 부피는 물론 구조적으로 복잡해지는 문제, 그리고 승강 설비의 운전 유지 및 관리 비용이 높아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승강 설비의 케이지가 권양기 없이 오르내리게 한 직접 구동 방식의 자가 구동형 자동 승강 설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자가 구동형 자동 승강 설비는 건축물의 수직 통로 높이 전장에 좌우 한 쌍의 랙 레일들을 병설하고, 케이지 양벽의 상하 측에는 각 랙 레일과 각기 대응하며 동축상에 모터가 구비되는 피니언들을 구비하여서, 사용자의 층 선택 버튼 신호가 주어지면 그 신호로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피니언이 랙 레일을 타고 오르내리는 승강력으로 케이지가 건축물의 선택 층으로 이동하여 탑승자를 나르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자가 구동형 자동 승강 설비에서는 랙 레일과 피니언에서의 치열 맞물림으로 물리적 마찰이 커 에너지 효율 저하 문제와 마찰에 의한 운행 소음, 그리고 물리적인 치열의 맞물림에서 필연적으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고속 운전 시에서는 탑승감은 물론 주행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따르고 있다.
또 이러한 물리적 치열 맞물림 방식으로 승강 운행하는 승강 설비에서는 부품의 노화 문제와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22576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건축물의 수직 통로 상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축되는 궤도를 설치하고, 이 궤도에 서보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구름마찰 방식으로 타고 오르내리는 바퀴들에 의한 직접 구동 방식으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에 나르게 함으로서, 승강 설비의 운행 소음 저감 효과와 승차감이 우수함과 아울러 에너지 효율을 높이어 승강 설비의 운전 비용 절감과 유지 및 관리가 우수한 자동 승강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궤도 길이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제동턱을 이용한 턱걸림 제동력과 대차의 지속적 하강에 반작용하는 복원력을 이용해 궤도에 구름마찰 방식으로 타고 오르내리는 바퀴들에서의 밀착력이 협력하여 대차를 확고히 1,2차적으로 비상 정지되게 함으로서, 승강 설비의 운전 제어가 안정되고 확고한 제동력으로 설비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는 자동 승강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궤도를 타고 오르내리는 상하 측 각 바퀴들 동축 상에 대차의 자중 하강력으로 감김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였다 풀리려는 힘을 동력으로 활용한 태엽 방식의 보조 모터를 이용하여 서보 모터에 힘을 보태게 함으로서, 승강 설비의 운전 소비 전력을 절감 시킬 수 있는 자동 승강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층 건축물에서 구름마찰 방식의 자가 구동으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위아래로 나르는 자동 승강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건축물의 하층부터 상층으로 연이어지며 각기 층에서 승하차를 위한 탑승구가 구비되는 수직 통로 상에서 바닥에 배터리가 내장되고 제어반으로부터 전달되는 층 선택 버튼 신호에 의하여 오르내리는 케이지를 이용해 선택 층으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으로 나르도록 한 자동 승강 설비로써, 수직 통로 상에 병렬 배치되는 한 쌍의 궤도들과 대차 및 그 대차의 양측 벽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액추에이터들, 그리고 액추에이터들과 축핀을 이용하여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궤도를 비스듬하게 가로 건너 설치되고 궤도를 중앙에 두고 좌우 측으로 배치되어 동축 상에서 내장된 서보 모터를 이용해 자가 구동하는 바퀴들이 구비되는 한 쌍의 현가 유닛들을 포함하여서, 제어반에서 층 선택 버튼 신호가 주어지면 서보 모터가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으로 구동하여 바퀴들이 궤도들 주벽을 구름마찰 방식으로 타고 오르내리며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에 자가 구동으로 나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승강 설비는 건축물의 수직 통로 상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궤도를 설치하고, 이 궤도를 이용해 케이지가 탑재되는 대차 양측에 구비되는 바퀴들이 구름마찰 방식으로 타고 오르내리는 자가 구동으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에 나르게 함으로서, 승강 설비의 운행 소음 저감과 승차감을 높임과 아울러 에너지 효율을 높이어 승강 설비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승강 설비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경량화하여 고속 운행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설비의 대차 비상 정지 시 대차 양측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의 제동 돌기와 궤도의 제동턱 관계에서의 턱걸림 제동력과 그 제동 상태에서 대차의 지속적 하강에 반작용하는 액추에이터의 복원력을 이용해 궤도 양 주벽에 구름마찰 방식으로 타고 오르내리는 바퀴에서 발생하는 강제적이고 점차 높아지는 밀착력이 협력하여 대차를 확고히 1,2차적으로 비상 정지되게 함으로서, 승강 설비의 운전이 안정되고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가 유닛의 상하 측 각 바퀴 동축 상에 대차의 자중 하강력을 이용한 감김으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였다 풀리려는 힘을 동력으로 활용하여 서보 모터에 의해 자가 구동하는 대차의 상승 운행에 힘을 보태는 태엽 방식의 보조 모터가 구비되어서, 승강 설비의 운전 효율을 높이고 소비전력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 승강 설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 승강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평면도.
도 3의 (a)(b)는 본 발명 자동 승강 설비의 승강 운행 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로서,
(a)는 대차가 최고 상승 위치에 도달됨과 아울러 배터리에 충전원이 공급되 고 있는 모습이고,
(b)는 대차의 자중에 의한 하강 시 정속 이상의 이상 운행 발생 시 궤도에 구비된 제동턱에 액추에이터의 제동 돌기 턱걸림으로 대차가 비상 정지되 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 자동 승강 설비에서 이상 운행 비상 정지 시 대차의 지속적 하강에 반작용하는 액추에이터의 복원력에 의해 대차의 현가 유닛 상하 측 바퀴들이 궤도와의 점차적으로 밀착력을 높이어 액추에이터 제동력과 협력해 대차가 제동되는 것을 보여 주는 설명도이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2은 본 발명 자동 승강 설비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고층 건축물에서 자가 구동력으로 방문객이나 거주자 등의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으로 나르는 자동 승강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동 승강 설비는 대략 고층 건축물의 적합한 위치에 하층부터 상층으로 연이어지는 수직 통로(10)를 구비하고, 건축물의 각 층에서 수직 통로(10)와 연결되어 탑승자 또는 화물의 승하차를 위한 탑승구들(12), 그리고 수직 통로(10) 상에서 배터리가 바닥에 내장된 케이지를 제어반으로부터 전달되는 층 선택 버튼 신호에 의해 자가 구동력으로 오르내리게 하면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으로 나르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것이고, 본 발명에서의 핵심적인 기술은 자동 승강 설비의 운행 시 물리적 마찰을 줄이어 에너지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운행 소음 저감 및 탑승감을 높일 수 있게 한 승강 설비의 구조 혁신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 통로(10) 좌우 양측 높이 방향 전장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축되는 한 쌍의 궤도들(20)이 병렬로 배치된다. 이때 궤도(20)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게 될 것이다.
그리고 수직 통로(10)에 구비되는 궤도들(20)을 타고 구름마찰 방식으로 오르내리며 탑승자 또는 화물을 나르는 수송체를 갖는다.
수송체는 크게 나누어 대차(30)와 케이지(40)로 이루고 있다.
먼저 대차(30)는 대략 바닥(32)과 지붕(34), 그리고 이들 바닥(32)과 지붕(34)을 결합하는 양측 벽들(36)로 구성된다. 이때 대차(30)의 바닥(32)에는 중량의 배터리(BT)가 내장되어 대차(30)의 자중을 합한 무게를 이용해 승강 설비의 하강이 무동력으로 이루게 된다.
또 대차(30) 내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각층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도어(DR)가 구비되는 케이지(40)가 내장 방식으로 탑재되는데, 이때 대차(30)와 케이지(40) 사이, 즉 바닥(32) 상에서 완충재가 개재되어 운행 및 정지 시 케이지(40)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감소되게 하고 있다.
또한 대차(30)의 양 측벽(36) 각기에는 대차(30) 높이 방향 위쪽 부위에서 궤도(20) 어느 일측에 인접되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액추에이터들(50)이 구비된다. 이때 액추에이터(50)는 유압이나 스프링의 팽창 에너지를 이용한 작동기이다.
이러한 액추에이터(50)는 대차(30)의 양측 벽(36) 각기에 일체로 결합되는 실린더형의 고정부(52)와 이 고정부(52) 내외로 들락날락하는 자유단 피스톤형의 가동부(54)로 이루고, 이들 고정부(52)와 가동부(54) 사이에는 유압이나 스프링 팽창력 등의 탄력 구조가 개재되어 대차(30)의 하강에 반작용력과 대차(30)의 비상 정지 충격 흡수 기능를 겸하게 한다.
또 대차(30)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액추에이터들(50)에는 그들 각기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수직 통로(10) 상에서 대차(30)의 오르내림이 궤도들(20)과 구름마찰을 이용해 직접 구동, 즉 승강 설비를 자가 구동 방식으로 이루게 하는 현가 유닛(60)이 설치될 것이다.
현가 유닛(60)은 액추에이터들(50) 각기의 고정부(52) 하단과 축핀(52a)을 이용하여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궤도(20)를 비스듬하게 가로 건너 설치되는 차대(62)와, 이 차대(62)의 상ㆍ하 측에는 궤도(20)를 중앙에 두고 좌우측으로 배치되어 동축 상에서 내장된 서보 모터(SM)를 이용해 자가 구동하는 바퀴들(64,66))이 구비된다. 이때 대차(30) 양측으로 설치되는 현가 유닛(60)의 차대(62) 상하 측 바퀴들(64,66)은 짝이되는 측과 대차(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동축 상에서 설치되고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재 등의 타이어로 이루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자동 승강 설비는 제어반에서의 층 선택 버튼 신호가 주어지면 서보 모터(SM)가 배터리(BT)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으로 구동하여 그 동축 상에 구비되는 상하 측 바퀴들(64,66)이 궤도들(20)의 주벽을 타고 오르내리는 것으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에 나르게 될 것이다. 이때 상하 측 바퀴들(64,66)을 구동시키는 각 서보 모터들(SM)은 서로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수직 통로(10)에 구비되는 궤도들(20)은 대차(30) 전후방의 무게 중심에서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 대차(30) 무게가 전방으로 편중, 즉 대차(30)의 전방 치우침에 의해 현가 유닛(60) 바퀴들(64,66)이 궤도(20)양측 주벽을 타고 구름마찰 방식의 오르내림을 위한 밀착력이 유지되게 하고 있다.
또 궤도들(20) 각기에는 그 주벽의 전장 길이 방향 동일 수직선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승강 설비에서의 정속 이상의 이상 운행 발생 시 턱걸림으로 대차(30)를 비상 정지시키는 제동턱들(20a)이 구비된다.
또한 액추에이터(50)의 가동부(54) 상단에는 승강 설비의 이상 운행 발생 신호를 받아 별도의 공급 전원으로 작동하는 스텝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한 제자리 회전으로 궤도(20)의 제동턱들(20a) 열 내외로 들락날락하며 그 제동턱(20a)과 걸리거나 풀리는 제동 돌기(56)를 구비하여서, 승강 설비의 정속 이상의 이상 운행 발생 시 제동턱(20a)과의 걸림으로 대차(30)의 비상 정지를 이루게 한다.
또한 액추에이터(50)의 축핀(52a)은 현가 유닛(60)의 차대(62) 길이 방향 중앙에서 위쪽으로 치우친 편심된 위치를 가지어 액추에이터(50)를 이용한 승강 설비의 이상 운행 비상 정지 시 대차(30)의 지속적 하강에 반작용하는 액추에이터(50)에서의 복원력에 의해 현가 유닛(60)의 상하 측 바퀴들(64,66)이 좌우 양측에서 동시적으로 궤도(20)와 점차 밀착력을 높이어 액추에이터(50)에서의 턱걸림에 의한 제동력과 협력해 대차(30)의 제동력을 얻게 하고 있다.
또한 현가 유닛(60)의 상하 측에 구비되는 바퀴들(64,66)은 대차(30)의 상하 측 바닥(32)과 지붕(34) 각기에서 구비되는 탄성 스프링 방식의 가압 유닛(38)에 의해 궤도(20)와의 밀착 상태가 확고하게 유지되게 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현가 유닛(60)의 상하 측 각 바퀴(64,66) 동축 상에는 대차(30)의 자중 하강력을 이용한 감김으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였다 풀리려는 힘을 동력으로 활용하여 서보 모터(SM)에 의해 자가 구동하는 대차(30)의 상승 운행에 힘을 보태는 태엽 방식의 보조 모터(SBM)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차(30)의 바닥(32) 또는 지붕(34) 각기와 수직 통로(10) 상하 측 사이에는 대차(30)의 최고ㆍ최저 승하강 완료 위치에서의 정차 시 배터리(BT)에 충전원 공급을 위한 암수 결합ㆍ분리 방식의 접속 기구(CT)가 구비된다.
도 3의 (a)(b)를 참조하여 본 발명 자동 승강 설비의 승강 운행 과정을 설명하겠다.
도 3의 (a)는 대차(30)가 수직 통로(10)의 최고 상승 위치에 도달되어 정차됨과 아울러, 대차(30)와 수직 통로(10) 천정 사이에서 구비되는 접속 기구(CT)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해 대차(30) 바닥(32)에 내장된 배터리(BT)가 충전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3의 (b)는 대차(30)가 수직 통로(10) 최고 상승 위치에 있다 아래 층에서의 층 선택 버튼 신호가 주어져 대차(30)가 동력 없이 도면에서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 즉 자중에 의한 무동력으로 하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때 대차(30)의 하강 중에서 정속 이상의 이상 운행 발생 시 궤도(20)에 구비된 제동턱(20a)에 액추에이터(50) 제동 돌기(56)의 턱걸림으로 대차(30)가 비상 정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승강 설비의 비상 정지 과정을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차(30)의 정속 운행 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액추에이터(50)의 제동 돌기(56)가 궤도(20)의 제동턱들(20a) 열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다.
그리고 자동 승강 설비 운행 중 대차(30)의 하강 속도가 정속 이상의 과속, 즉 이상 운행 발생 시 그 이상 운행 발생 신호를 제어반으로부터 받아 액추에이터(50)의 제동 돌기(56)가 도 2에서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해 궤도(20)의 전장 길이 동일 수직선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동턱들(20a)의 열 내으로 위치되어 대차(30)의 하강 시 첫번째 만나는 제동턱(20a)과 턱걸림으로 대차(30)가 1차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액추에이터(50)의 가동부(54)는 궤도(20) 제동턱(20a)과의 턱걸림으로 그 위치가 고정되고 고정부(52)는 대차(30)와 함께 하강하면서 팽창성 탄력 구조에서의 완충 작용으로 비상 정지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대차(30)의 제동턱(20a)을 이용한 액추에이터(50) 제동 돌기(56)의 턱걸림에 의한 1차적인 정지 시 그 대차(30)의 지속적 하강에 반작용하는 액추에이터(50) 고정부(52)에서의 복원력, 다시 설명하면 대차(30)에 부가 설치되는 액추에이터(50)의 고정부(52)와 축핀(20a)으로 편심 결합된 현가 유닛(60)의 차대(62) 상하 측 바퀴들(64,66) 각기가 액추에이터(50)의 반작용력에 의해 도 4에서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며 그들 중앙에 구비되는 궤도(20)의 양 주벽과 점차적으로 밀착력이 높아지게 하여 액추에이터(50) 제동 돌기(56)의 턱걸림에 의한 제동력과 협력해 대차(30)를 2차적으로 확고히 제동시키게 될 것이다.
본 발명 자동 승강 설비는 제어반에서의 층 선택 버튼 신호가 주어지면 서보 모터(SM)가 배터리(BT)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으로 구동하여 대차(30) 현가 유닛(60)들의 바퀴들(64,66)이 궤도들(20) 주벽을 구름마찰 방식으로 타고 오르내리는 것으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에 나르게 함으로서, 승강 설비의 구조 간소화와 경량화는 물론 고속 운행에 적합함과 아울러 운행 소음 저감 및 승차감을 높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어 승강 설비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수직 통로 12: 탑승구
20: 궤도 20a: 제동턱
30: 대차 32: 바닥 34: 지붕 36: 벽 38: 가압 유닛
40: 케이지
50: 액추에이터 52: 고정부 52a: 축핀
54: 가동부 56: 제동 돌기
60: 현가 유닛 62: 차대 64,66: 바퀴
SM: 서보 모터 SBN: 보조 모터 CT: 접속 기구

Claims (8)

  1. 건축물의 하층부터 상층으로 연이어지며 각기 층에서 승하차를 위한 탑승구가 구비되는 수직 통로 상에서 바닥에 배터리가 내장되고 제어반으로부터 전달되는 층 선택 버튼 신호에 의하여 오르내리는 케이지를 이용해 선택 층으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으로 나르도록 한 자동 승강 설비로써,
    상기 수직 통로 좌우 양측 높이 방향 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축되어 병렬 배치되는 한 쌍의 궤도들;
    바닥과 지붕, 그리고 이들 사이를 결합하는 양측 벽들로 이뤄 상기 케이지가 탑재되는 대차;
    상기 대차의 양측 벽에 고정부와 가동부로 이뤄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액추에이터들; 및
    상기 액추에이터들 각기의 고정부와 축핀을 이용하여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궤도를 비스듬하게 가로 건너 설치되고 상하 측에는 상기 궤도를 중앙에 두고 좌우 측으로 배치되어 동축 상에서 내장된 서보 모터를 이용해 자가 구동하는 바퀴들이 구비되는 한 쌍의 현가 유닛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반에서 층 선택 버튼 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서보 모터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으로 구동하여 상기 현가 유닛들의 바퀴들이 상기 궤도들 주벽을 구름마찰 방식으로 타고 오르내리는 것으로 탑승자 또는 화물을 선택층에 자가 구동으로 나르도록 한 자동 승강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는 상기의 수직 통로 상에서 상기 대차 전후방의 무게 중심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 자동 승강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들 각기에는 그 주벽에 등간격으로 승강 설비에서의 정속 이상의 이상 운행 발생 시 턱걸림으로 상기 대차를 비상 정지시키는 제동턱들이 구비된 자동 승강 설비.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가동부 상단에는 승강 설비의 이상 운행 발생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제자리 회전의 들락날락으로 상기 제동턱과 걸리거나 풀리며 승강 설비의 정속 이상의 이상 운행 발생 시 상기 제동턱과의 걸림으로 상기 대차의 비상 정지를 이루게 하는 제동 돌기를 갖는 자동 승강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축핀은 현가 유닛의 중앙에서 위쪽으로 치우친 위치를 가지어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승강 설비의 이상 운행 비상 정지 시 상기 대차의 지속적 하강에 반작용하는 액추에이터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현가 유닛의 상하 측 바퀴들이 상기 궤도와 점차적으로 밀착력을 높이어 상기 액추에이터 제동력과 협력해 상기 대차를 중복적으로 제동되게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자동 승강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유닛의 상하 측에 구비되는 바퀴들은 상기 대차 상하 측 각기에서 구비되는 가압 유닛에 의해 상기 궤도와 밀착 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자동 승강 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유닛의 상하 측 각 바퀴 동축 상에는 상기 대차의 자중 하강력을 이용한 감김으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였다 풀리려는 힘을 동력으로 활용하여 상기 서보 모터에 의한 상기 대차의 상승 운행 시 힘을 보태는 태엽 방식의 보조 모터를 더 포함하는 자동 승강 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지붕 또는 바닥 각기에는 상기 대차의 최고ㆍ최저 승하강 완료 위치에서의 정차 시 상기 배터리에 충전원 공급을 위한 암수 결합ㆍ분리 방식의 접속 기구가 구비된 자동 승강 설비.
KR1020220045601A 2022-04-13 2022-04-13 자동 승강 설비 KR20230146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01A KR20230146780A (ko) 2022-04-13 2022-04-13 자동 승강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01A KR20230146780A (ko) 2022-04-13 2022-04-13 자동 승강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780A true KR20230146780A (ko) 2023-10-20

Family

ID=8851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601A KR20230146780A (ko) 2022-04-13 2022-04-13 자동 승강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67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576B1 (ko) 2019-12-09 2021-11-04 이종희 폐쇄형 자가 구동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576B1 (ko) 2019-12-09 2021-11-04 이종희 폐쇄형 자가 구동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2161B (zh) 一种智能多轿厢电梯
JP7395199B2 (ja) エレベータ用の運行システム及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運行システム
US6848544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evacuation of lift passengers
CN112311099A (zh) 用于无随行电缆电梯的供电系统及多轿厢电梯系统
CN105084170A (zh) 楼道吊杆座椅电梯
KR20230146780A (ko) 자동 승강 설비
CN212953695U (zh) 一种电梯缓冲器机械部件
CN219362904U (zh) 一种电梯防坠落机构
CN207418077U (zh) 机械式升降逃生装置和电梯
CN213011420U (zh) 一种高速电梯的紧急制动装置
CN211034793U (zh) 一种电梯停电应急平层装置
CN210944387U (zh) 一种防坠落安全直行电梯
CN211998357U (zh) 一种适用于叠墅的电梯
CN114344746A (zh) 一种用于高楼火灾救生系统的制动控制装置
CN207046628U (zh) 一种底置式断绳保护装置
CN113979261A (zh) 一种自锁保护型电梯升降机
KR101791857B1 (ko) 엘리베이터용 하부체대구조
CN211004063U (zh) 别墅专用电梯
CN214527475U (zh) 无机房锁梯装置
CN212425053U (zh) 一种电梯紧急缓冲保护机构
CN220201242U (zh) 一种用于塔机的安全逃生梯
CN210340000U (zh) 一种曳引电梯底座
CN116750608B (zh) 一种多级防护制动升降机系统
CN220054143U (zh) 一种升降式便携登机梯
CN213415936U (zh) 一种环保曳引式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