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343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343A
KR20230146343A KR1020220045243A KR20220045243A KR20230146343A KR 20230146343 A KR20230146343 A KR 20230146343A KR 1020220045243 A KR1020220045243 A KR 1020220045243A KR 20220045243 A KR20220045243 A KR 20220045243A KR 20230146343 A KR20230146343 A KR 20230146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isposed
rotation axis
groove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343A/ko
Priority to US18/131,985 priority patent/US20230324076A1/en
Priority to CN202310372654.6A priority patent/CN116906984A/zh
Priority to EP23167297.3A priority patent/EP4261465A1/en
Priority to PCT/KR2023/004829 priority patent/WO2023200207A1/ko
Publication of KR20230146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이 형성되는 베이스패널과,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렛을 하측으로 배치되는 인렛그릴과,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패널에서 이동하거나 회전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렛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의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흡입패널의 상기 제1회전축의 상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구에 필터가 장착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쾌적도 향상을 위해, 실내공간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제공하거나, 필터링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환경에 따라 바닥에 설치하는 방식, 벽에 거는 방식, 천장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필터 등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서는 천장의 높이에서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에 배치되는 복수의 구조물을 분리하는 경우, 각각의 구성을 개별적으로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물 중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물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체구조물을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문헌 KR2022-0023197A에서는, 승강그릴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공기조화기의 인렛그릴을 분리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복수의 구조물이 추가되므로, 공간적 또는 비용적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문헌에서 개시되는 구조에서는, 필터 등을 교체하기 위해, 반드시 흡입그릴 등의 구조물을 공기조화기의 전체구조에서 함께 분리해야는 구조로 여전히 전체구조물이 분리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인렛그릴이나 필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인렛그릴을 분리하지 않고도, 공기조화기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를 분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기조화기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이 형성되는 베이스패널과,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렛을 하측으로 배치되는 인렛그릴과,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패널에서 이동하거나 회전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렛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의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흡입패널의 상기 제1회전축의 상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필터의 제2회전축은, 인렛그릴이 회전하는 제1회전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필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인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보다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인렛그릴이 회전한 상태에서, 제2회전축이 이동하여 제1필터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제1필터의 제2회전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는, 전방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져, 제1필터가 후방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에는, 상기 제1필터의 제2회전축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도록 하측으로 패인 축홈이 형성되어, 제1필터의 제2회전축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축홈은, 상기 제1회전축보다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제1회전축보다 후방에서 제1필터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에는, 상기 제1필터의 제2회전축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범프가 배치되어, 인렛그릴의 제2회전축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은, 전방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슬라이딩그루브와, 상기 제1슬라이딩그루브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축소되는 제1밴딩그루브와, 성가 제1밴딩그루브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확장되고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개구홈부를 포함하여, 제2회전축은 제1슬라이딩그루브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1밴딩그루브를 통해 후방이동이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개구홈부를 통해 베이스패널로부터 제1필터가 분리될 수 있다.
제1필터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망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내부로 공기유동홀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부에서 배치되고 상기 필터망의 배치를 지지하는 이너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축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제1필터가 상기 베이스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필터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후크는 상기 축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인렛그릴은, 상기 인렛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배치시키는 그릴홀더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패널에 고정시키는 패널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홀더는, 상기 제1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샤프트의 회전으로 커버플레이트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그릴홀더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수직리브와, 상기 제1수직리브의 상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리브, 상기 수평리브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수직리브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인렛의 전방에서 상기 그릴홀더가 안착되는 그릴걸이가 배치되어, 인렛그릴이 베이스패널에 걸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그릴걸이는, 상기 샤프트가 안착되는 바텀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샤프트의 타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에는 상기 제2수직리브가 관통하는 리브홈이 형성되어, 제2스포터는 제2수직리브의 이동을 허용하고, 샤프트의 후방이동은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리브 또는 제2수직리브의 길이는 상기 제2스토퍼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인렛그릴이 베이스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리브가 제2스토퍼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패널 또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측에서 이동하거나 회전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필터를 더 포함하여, 제1필터 상측에 제3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제2필터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회전축은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회전축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인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3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보다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필터는 인렛그릴이 회전하는 위치보다 후방으로 이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회전축은 상기 제2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보다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필터는 제1필터가 회전하는 위치보다 후방으로 이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가 장착되는 필터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양 측벽에는 상기 제2필터의 상기 제3회전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그루브가 형성되어, 제2필터는 제1필터의 상측에서 제2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그루브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그루브와, 상기 제2슬라이딩그루브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밴딩된 형태를 가지는 제2밴딩그루브을 포함하여, 제2필터는 제2슬라이딩그루브를 통해 이동하거나 제2밴딩그루브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제1필터의 제2회전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은, 전방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슬라이딩그루브와, 상기 제1슬라이딩그루브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축소되는 제1밴딩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그루브의 후방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그루브의 후방단부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제2필터는 제1필터가 회전하는 영역보다 후방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 상측에 배치되는 탈취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취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2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딩그루브의 후방단부는, 상기 탈취필터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제2필터가 제2슬라이딩그루브의 후방단부에서 회전할 때, 탈취필터가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인렛그릴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필터의 회전축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필터의 슬라이딩 및 회전으로 통해, 필터를 베이스패널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인렛그릴 상측에 배치되는 제1필터가 슬라이딩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인렛그릴이 회전된 상태에서 제1필터를 이동 및 회전시켜 베이스패널에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다. 이는, 인렛그릴을 베이스패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제1필터를 분리나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인렛그릴 상측에 배치되는 제1필터와 제2필터 각각의 회전축이 이동하는 영역 및 범위가 달라 제1필터가 베이스패널에 걸린 상태에서 제2필터를 이동 및 회전하여, 베이스패널의 상측으로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인렛그릴이나 제1필터를 베이스패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제2필터를 분리나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제2필터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탈취필터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제1필터나 제2필터가 베이스패널에 걸린상태에서 탈취필터만을 별도로 분리나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X’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Y-Y’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필터하우징이 추가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그릴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그릴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필터의 필터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인렛그릴,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베이스패널과 필터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인렛그릴의 배치가 변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제1필터의 배치가 변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제2필터의 배치가 변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열교환기(12)와 팬(14)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인렛(22)과 아웃렛(24)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20), 베이스패널(2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인렛(22)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인렛그릴(80), 베이스패널(20)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인렛(22)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필터(10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베이스패널(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필터하우징(60)과, 필터하우징(60)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필터(130)와, 제2필터(130)의 상측에서 필터하우징(60)에 배치되는 탈취필터(16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팬(14) 또는 열교환기(12)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개구된 구조를 가진다.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는 열교환기(1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14)이 배치된다.
베이스패널(20)은 케이스(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베이스패널(20)에는 케이스(10)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22)과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아웃렛(24)이 형성된다. 인렛(22)은 아웃렛(24)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20)에는, 아웃렛(24)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56)이 배치된다.
베이스패널(20)에는 인렛(22)이 형성되는 하측으로 배치되는 인렛그릴(80)이 배치된다. 인렛그릴(80)은 베이스패널(20)에 형성되는 인렛(22)보다 크게 형성된다. 베이스패널(20)에는 인렛그릴(80)이 장착되는 그릴장착부(52)가 형성된다. 그릴장착부(52)는 인렛(22)의 좌우측으로 배치되고, 인렛그릴(8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릴장착부(52)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인렛그릴(80)의 가이드돌기(94)가 삽입되는 가이드돌기홈(54)이 형성된다.
베이스패널(20)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인렛그릴(80)의 그릴홀더(90)가 장착되는 그릴걸이(26)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릴걸이(26)는 인렛(22)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릴걸이(26)는, 그릴홀더(90)가 안착되는 바텀플레이트(28)와, 그릴홀더(90)의 일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30)와, 그릴홀더(90)의 타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32)를 포함한다. 바텀플레이트(28)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그릴홀더(90)의 샤프트(92)가 배치된다. 제1스토퍼(30)는 샤프트(92)의 전방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스토퍼(32)는 샤프트(92)의 후방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스토퍼(32)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그릴홀더(90)의 제1수직리브(90a)가 관통하는 리브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20)은, 인렛(22)의 좌우측 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이너측벽(34)을 포함한다. 이너측벽(34)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필터(100)의 축돌기(122)가 삽입되는 제1가이드그루브(36)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그루브(36)은 이너측벽(34)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가이드그루브(36)의 후방부에는 축돌기(122)가 삽입되는 개구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8)는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축돌기(122)는 제1가이드그루브(36)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개구부(38)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개구부(38)를 통해 제1가이드그루브(36)으로 삽입된 축돌기(122)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그루브(36)은 제1필터(100)가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되도록 축돌기(122)를 위치시키는 전방단부(40)와, 제1필터(100)가 베이스패널(20)에서 장착이 해제될 때 제1필터(100)의 배치를 유지되도록 축돌기(122)를 위치시키는 축홈(42)과, 축홈(42)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필터(100)의 축돌기(122)의 이동을 제한하는 범프(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필터(100)가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된다는 의미는, 제1필터(100)가 베이스패널(20)의 인렛(22)으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배치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축돌기(122)가 전방단부(40)에 배치될 때, 제1필터(100)가 제1위치(P21)로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축돌기(122)가 축홈(42)에 배치될 때, 제1필터(100)가 제2위치(P22)로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가이드그루브(36)은, 전방단부(40)에서 축홈(42)으로 갈수록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하측라인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필터(100)가 베이스패널(20)로부터 장착해제될 때, 축돌기(122)는 제1위치(P21)에서 제2위치(P22)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제1위치(P21)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축돌기(122)는 범프(44)에 의해 제2위치(P22)에서 배치가 유지될 수 있다.
제1가이드그루브(36)은 전방단부(40)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슬라이딩그루브(46)와, 제1슬라이딩그루브(46)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축소되는 제1밴딩그루브(48)와 제1밴딩그루브(48)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확장되고 하측에 개구부(38)가 형성되는 개구홈부(50)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딩그루브(46)는 상단부의 높낮이는 유지되면서, 하단부의 높낮이가 변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그루브(46)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단부의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밴딩그루브(48)는 상단부의 높낮이는 유지되면서, 하단부의 높낮이가 변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밴딩그루브(48)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단부의 높이가 높아지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축홈(42)은, 그릴걸이(26)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그루브(36)의 전방단부(40)는 그릴걸이(2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20)에는 인렛그릴(80)의 그릴후크(96)가 삽입되는 제1후크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베이스패널(20)에는 제1필터(100)의 필터후크(126)가 삽입되는 제2후크홈(미도시)이 형성된다.
필터하우징(60)은, 베이스패널(2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하우징(60)은 제2필터(130)와 탈취필터(160)를 베이스패널(20) 상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필터하우징(60)은 베이스패널(20)의 인렛(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60)은 제2필터(130) 또는 탈취필터(16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필터하우징(60)의 대략 사각틀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제2필터(130)와 탈취필터(160)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60)의 양 측벽(62)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필터(130)의 고정돌기(148)가 삽입되는 제2가이드그루브(64)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가이드그루브(64)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그루브(64)의 후방단부에는 고정돌기(148)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개구된 삽입홀(6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그루브(64)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그루브(68)과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밴딩된 형태를 가지는 제2밴딩그루브(72)을 포함한다. 삽입홀(66)은 제2밴딩그루브(72)의 후방으로 배치된다.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은, 지면 또는 천장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밴딩그루브(72)은,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후방단부에서 연장되고, 고정돌기(148)의 후방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60)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그루브(64)은 베이스패널(2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그루브(3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를 참조하면, 제2밴딩그루브(72)은 베이스패널(20)의 제1가이드그루브(36)에 형성되는 범프(44)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후방단부(70)는, 축홈(42)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후방단부(70)는, 제1슬라이딩그루브(46)의 후방단부(46a)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필터하우징(60)에는 제2필터(130)가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필터하우징(60)의 양 측벽(62)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너돌기(74)가 배치된다. 이너돌기(74)는 필터하우징(60)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제2필터(130)가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될 때, 이하에서 설명할 제2필터(130)의 후크바디(154)는 이너돌기(74)에 걸려 배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필터(130)가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될 때, 제2필터(130)의 제2버튼홀(146)에 이너돌기(74)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필터(130)가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된 상태란, 제2필터(130)의 필터핸들(138, 140)에 이너돌기(74)가 걸려 제2필터(130)의 배치가 유지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2필터(130)는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전방단부(69)로 배치되거나,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후방단부(70)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전방단부(69)에 고정돌기(148)가 위치할 때, 제2필터(130)가 제1위치(P31)로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후방단부(70)에 고정돌기(148)가 위치할 때, 제2필터(130)가 제2위치(P32)로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필터(130)는 제1위치(P31)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제2밴딩그루브(72)에 의해 제2위치(P32)에서의 배치가 유지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60)에는, 탈취필터(160)가 장착되는 필터장착부(76)가 배치된다. 필터장착부(76)는 필터하우징(60)의 제2가이드그루브(64)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장착부(76)는 필터하우징(60)의 제2가이드그루브(64)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필터장착부(76)는 필터하우징(60)의 제2가이드그루브(64)의 제2슬라이딩그루브(68)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필터(130)의 고정돌기(148)가 제2위치(P32)에 배치된 상태에서 탈취필터(160)를 필터하우징(6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60)은 베이스패널(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패널(20)의 이너측벽(34)에 제1가이드그루브(36)와 제2가이드그루브(64)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렛그릴(80)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인렛그릴(80)의 상(U), 하(D), 좌(Le), 우(Ri), 전(F), 후(R)의 방향설정은, 인렛그릴(80)이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인렛그릴(80)이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된 상태란, 도 14와 같이, 인렛그릴(80)이 인렛(22)을 커버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인렛그릴(80)이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된 상태란, 이하에서 설명하는 인렛그릴(80)의 그릴후크(96)가 베이스패널(20)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인렛그릴(8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리브(84)와 복수의 제1리브(84) 각각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리브(86)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리브(84) 사이에는 인렛(22)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홀(88)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리브(84)는 전방 상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흡입홀(88)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복수의 제1리브(84)에 의해 전방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리브(84)가 서로 이격된 간격은 복수의 제2리브(86)가 서로 이격된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인렛그릴(80)은, 인렛(22)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흡입홀(88)이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82)와, 커버플레이트(82)의 일측에 배치되고 커버플레이트(82)를 베이스패널(20)의 일측에 배치시키는 그릴홀더(90)와, 베이스패널(20)로부터 회동하는 커버플레이트(8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94)와, 커버플레이트(82)를 베이스패널(20)에 고정시키는 그릴후크(96)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82)는 복수의 제1리브(84)와 복수의 제2리브(8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릴홀더(90)는 커버플레이트(82)의 전방단부에 배치된다. 그릴홀더(90)는 베이스패널(20)의 그릴걸이(26)에 배치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인렛그릴(80)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그릴홀더(90)를 포함한다.
그릴홀더(90)는 커버플레이트(8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릴홀더(90)는 측방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릴홀더(90)의 단부에는 인렛그릴(8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92)가 배치된다. 샤프트(9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샤프트(92)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인렛그릴(80)이 회전하는 제1회전축(A1)이 형성된다.
그릴홀더(90)는 인렛그릴(80)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수직리브(90a), 제1수직리브(90a)의 상단부에서 절곡되어 인렛그릴(8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리브(90b), 수평리브(90b)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리브(90c), 및 제2수직리브(90c)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92)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릴홀더(90)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제1수직리브(90a), 한 쌍의 수평리브(90b), 및 한 쌍의 제2수직리브(90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수직리브(90c) 각각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9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수직리브(90a) 또는 제2수직리브(90c)의 길이(l1)는 수평리브(90b)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1수직리브(90a) 또는 제2수직리브(90c)의 길이(l1)는 베이스패널(20)에 형성되는 제2스토퍼(32)의 길이(l3, 도 5참조)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92)는 베이스패널(2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92)는 베이스패널(2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92)는 베이스패널(20)에 형성되는 그릴걸이(26)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인렛그릴(80)은 커버플레이트(82)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94)를 포함한다. 가이드돌기(94)는, 그릴홀더(90)보다 인렛그릴(80)의 좌우측 외곽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가이드돌기(94)는 인렛그릴(80)이 회전할 때, 인렛그릴(8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렛그릴(80)은 인렛그릴(80)이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그릴후크(96)를 포함한다. 그릴후크(96)는 그릴홀더(90)에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그릴후크(96)는 인렛그릴(80)의 후방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인렛그릴(80)에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그릴후크(9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그릴후크(96)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제1필터(100)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필터(100)의 상(U), 하(D), 좌(Le), 우(Ri), 전(F), 후(R)의 방향설정은, 제1필터(100)가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제1필터(100)가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된 상태란, 도 14와 같이, 제1필터(100)가 인렛(22)에 배치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필터(100)가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된 상태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필터(100)의 필터후크(126)가 베이스패널(20)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제1필터(100)가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된 상태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필터(100)의 축돌기(122)가 베이스패널(20)에 형성된 제1가이드그루브(36)의 전방단부(40)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제1필터(100)는, 필터프레임(102)과 필터망(128, 도 14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100)는, 인렛그릴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프리필터일 수 있다.
필터프레임(102)은 내부로 공기유동홀(104)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106), 외곽프레임(106)의 내부에서 배치되고 필터망(128)의 배치를 지지하는 이너프레임(116), 외곽프레임(106)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필터(100)가 회전하는 축을 형성하는 축돌기(122), 제1필터(100)가 베이스패널(2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필터후크(126)를 포함한다.
제1필터(100)는 베이스패널(20)에 형성되는 인렛(22)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인렛(22)을 통과하는 공기를 제1필터(100)를 통과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102)은 인렛(22)에 배치되도록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프레임(102)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112)과, 한 쌍의 측벽(112) 각각의 전방단부에 배치되는 전방벽(108)과, 한 쌍의 측벽(112) 각각의 후방단부에 배치되는 후방벽(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벽(112) 각각의 전방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축돌기(122)가 배치된다. 여기서, 외측방향이란, 한 쌍의 측벽(112) 각각의 외주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벽(112) 각각의 내주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필터망(128)의 배치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1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프레임(116)은 외곽프레임(106)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너프레임(116)은 외곽프레임(106)의 내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이너프레임(116) 각각은 일측에서 전방벽(108)에 연결되고, 타측에서 후방벽(110)에 연결된다. 복수의 이너프레임(116) 각각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바(118), 프레임바(118)에 배치되는 필터망(128)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필터망고정리브(120)를 포함한다. 필터망고정리브(120)는 지지리브(114)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필터망고정리브(120)는, 필터프레임(102)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망(128)이 전후방향으로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유지시킬 수 있다.
축돌기(122)는 베이스패널(20)의 제1가이드그루브(36)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필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축돌기(122)는 제1필터(100)가 회전하는 회전축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축돌기(122)는 전방벽(108)의 양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축돌기(122)는, 베이스패널(2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그루브(36)의 개구부(38)로 삽입된다. 축돌기(122)는 베이스패널(2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그루브(36)의 전방단부(40)나 축홈(42)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후크(126)는 제1필터(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필터후크(126)는 필터프레임(102)의 후방벽(11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필터후크(126)는 후방벽(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필터후크(126)는 후방벽(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이격플레이트(124)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후크(126)는 이격플레이트(124)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터후크(126)는 베이스패널(20)의 제2후크홈에 삽입되어, 제1필터(100)의 배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필터망(128)은 필터프레임(102)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렛(22)으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 제거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필터(130)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필터(130)의 상(U), 하(D), 좌(Le), 우(Ri), 전(F), 후(R)의 방향설정은, 제2필터(130)가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제2필터(130)가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된 상태란, 도 14와 같이, 제2필터(130)가 인렛(22)에 배치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2필터(130)가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된 상태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필터(130)가 제1필터(100)의 상측에서 제1필터(100)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제2필터(130)는 제1필터(100)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전기집진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제2필터(130)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바디(132), 필터바디(132)의 일측에 배치되고, 필터바디(132)의 배치를 필터하우징(60)에 고정하는 제1필터핸들(138), 필터바디(132)의 타측에 배치되고 필터바디(132)의 배치를 필터하우징(60)에 고정하는 제2필터핸들(140)을 포함한다.
제1필터핸들(138)과 제2필터핸들(140) 사이에는 복수의 필터바디(132)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바디(132)는, 외관을 형성하고, 필터바디의 높이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개구된 필터케이스(134)와, 필터케이스(134) 내부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고,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36)을 포함한다.
제2필터(130)는 제1필터핸들(138)과 제2필터핸들(140)을 포함한다. 제1필터핸들(138)과 제2필터핸들(140)은 좌우방향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필터핸들(138)과 제2필터핸들(140) 각각은, 필터바디(132)와 연결되는 핸들커버(142)와, 핸들커버(142)의 일측에 배치되고 필터하우징(60)에 걸리는 고정돌기(148)와, 핸들커버(142)를 필터하우징(60)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필터버튼(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돌기(148)는 핸들커버(142)의 전방에 배치되고, 필터버튼(150)은 핸들커버(14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커버(142)에는, 핸들커버(142)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필터버튼(150)의 일부구성을 노출시키는 제1버튼홀(144)과 핸들커버(142)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필터버튼(150)의 다른 구성을 노출시키는 제2버튼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버튼홀(144)에는 필터버튼(150)의 프레스바디(15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버튼홀(146)에는 필터버튼(150)의 후크바디(154)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스바디(152)와 후크바디(154)는 일체로 형성되어, 동일하게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프레스바디(152)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후크바디(154)의 배치도 프레스바디(152)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버튼(150)은, 프레스바디(152)로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프레스바디(152)의 배치를 복원시키는 탄성바디(미도시)를 포함한다.
프레스바디(152)에 별도의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탄성바디에 의해 프레스바디(152)와 후크바디(154)의 배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탄성바디는 핸들커버(142)의 내측에 배치되고, 프레스바디(152)와 후크바디(154)의 배치를 일정하기 유지시킬 수 있다. 탄성바디만이 프레스바디(152)에 힘을 가할 때, 후크바디(154)는 필터하우징(60)의 일측에 걸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돌기(74)의 상측으로 후크바디(154)가 배치되어, 제2필터(130)는 필터하우징(60) 내측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등이 프레스바디(152)를 가압하는 경우, 후크바디(154)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프레스바디(152)가 탄성바디의 탄성력에 반대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후크바디(154)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프레스바디(152)가 탄성바디의 탄성력에 반대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이너돌기(74)의 상측으로 후크바디(154)가 배치되지 않아, 제2필터(130)의 일측이 필터하우징(60)으로부터 고정해제될 수 있다.
제2필터(13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돌기(148)를 기준으로 필터하우징(60)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로울 수 있다.
제2필터(130)는 필터바디(132)와, 제1필터핸들(138)과 제2필터핸들(14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필터바디(132)는, 제1필터핸들(138)과 제2필터핸들(140) 각각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필터바디(132)의 양측에 고정돌기(148)가 형성되고, 필터하우징(60)에 고정되는 필터버튼(15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와 필터케이스(134)는 제1필터핸들(138)과 제2필터핸들(140) 각각의 핸들커버(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케이스(134)의 양측에 고정돌기(148)가 형성되고, 필터하우징(60)에 고정되는 필터버튼(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배치가 변경되는 인렛그릴(80), 제1필터(100), 및 제2필터(130)를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렛그릴(80), 제1필터(100), 및 제2필터(130) 각각은 베이스패널(20) 또는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렛그릴(80)은 인렛(22)의 하측에서 인렛(22)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렛그릴(80)은 그릴후크(96)가 베이스패널(20)의 제1후크홈에 장착된 인렛그릴(80)의 제1위치(P11)로 배치될 수 있다.
인렛그릴(80)의 제1위치(P11)에서, 인렛그릴(80)의 샤프트(92)는 제2스토퍼(32)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그릴(80)의 제1위치(P11)에서, 인렛그릴(80)의 그릴후크(96)는 베이스패널(20)의 제1후크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인렛그릴(80)의 제1위치(P11)에서, 인렛그릴(80)은 대략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필터(100)는 인렛(22)을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100)는 필터후크(126)가 베이스패널(20)의 제2후크홈에 삽입되는 제1필터(100)의 제1위치(P21)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100)의 제1위치(P21)에서, 제1필터(100)의 축돌기(122)는 제1가이드그루브(36)의 전방단부(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100)의 제1위치(P21)에서 제1필터(100)의 필터후크(126)는 베이스패널(20)의 제2후크홈에 삽입될 수 있다. 제1필터(100)가 제1위치(P21)로 배치될 때, 인렛(22)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1필터(100)를 거쳐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1필터(100)의 제1위치(P21)에서, 제1필터(100)는 대략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필터(130)는, 인렛(22)을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130)는 필터버튼(150)의 후크바디(154)가 필터하우징(60)의 이너돌기(74) 상측으로 배치되는 제2필터(130)의 제1위치(P31)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130)의 제1위치(P31)에서, 제2필터(130)의 고정돌기(148)는, 제2가이드그루브(64)의 전방단부(69)에 배치된다. 제2필터(130)의 제1위치(P31)에서, 제2필터(130)의 후크바디(154)에 의해 제2필터(130)가 필터하우징(6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필터(130)는, 제1위치(P31)에서 인렛(22)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2필터(130)의 제1위치(P31)에서, 제2필터(130)는 대략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렛그릴(80), 제1필터(100), 및 제2필터(130) 각각은 베이스패널(20) 또는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스(10) 내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인렛그릴(80), 제1필터(100), 및 제2필터(130)를 순차적으로 거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필터(100), 및 제2필터(130) 각각은 베이스패널(20) 또는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되고, 인렛그릴(80)은 베이스패널(20)에 걸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인렛그릴(80)이 베이스패널(20)에 걸린상태란, 인렛그릴(80)의 그릴후크(96)가 베이스패널(20)의 제1후크홈에서 분리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필터(100)와 제2필터(130)의 배치는 도 14와 동일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인렛그릴(80)의 그릴홀더(90)는, 그릴후크(96)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인렛그릴(80)은 그릴후크(96)가 베이스패널(20)의 제1후크홈로부터 분리된 인렛그릴(80)의 제2위치(P12)로 배치될 수 있다.
인렛그릴(80)의 제2위치(P12)에서, 인렛그릴(80)의 샤프트(92)는 제2스토퍼(32)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인렛그릴(80)은 제1위치(P11)에서 제2위치(P12)로 변경될 때, 제1회전축(A1)을 따라 형성되는 샤프트(92)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렛그릴(80)의 제2위치(P12)에서, 인렛그릴(80)의 그릴후크(96)는 베이스패널(20)의 제1후크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인렛그릴(80)의 제2위치(P12)에서, 인렛그릴(80)은 제1가이드그루브(36)의 축홈(4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인렛그릴(80)의 제2위치(P12)에서, 인렛그릴(80)은 대략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필터(130)는 베이스패널(20) 또는 필터하우징(60)에 장착되고, 제1필터(100)와 인렛그릴(80)은 베이스패널(20)에 걸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필터(100)이 베이스패널(20)에 걸린상태란, 제1필터(100)의 필터후크(126)가 베이스패널(20)의 제1후크홈에서 분리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필터(130)의 배치는 도 15와 동일하다. 도 16을 참조하면, 인렛그릴(80)의 배치는 도 15와 동일하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필터(100)의 축돌기(122)는, 필터후크(126)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제1필터(100)는 필터후크(126)가 베이스패널(20)의 제2후크홈로부터 분리된 제1필터(100)의 제2위치(P22)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100)의 제2위치(P22)에서, 제1필터(100)의 축돌기(122)는 제1가이드그루브(36)의 축홈(4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100)의 제2위치(P22)에서, 제1필터(100)의 축돌기(122)는 제1슬라이딩그루브(46)의 후방단부(46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필터(100)가 제1위치(P11)에서 제2위치(P12)로 변경될 때, 제2회전축(A2)을 형성하는 축돌기(122)가 제1가이드그루브(36)의 전방단부(40)에서 축홈(4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필터(100)가 제1위치(P21)에서 제2위치(P22)로 변경될 때, 제2회전축(A2)을 형성하는 축돌기(122)가 제1슬라이딩그루브(46)의 전방단부(40)에서 후방단부(46a)로 이동할 수 있다.
제1필터(100)의 제2위치(P22)에서, 제1필터(100)의 필터후크(126)는 베이스패널(20)의 제2후크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필터(100)의 제2위치(P22)에서, 제1필터(100)는, 인렛그릴(8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렛그릴(80)과 제1필터(100) 각각이 베이스패널(20)에 걸린상태로 유지되더라도, 인렛그릴(80)과 제1필터(100)의 배치간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1필터(100)의 제2위치(P22)에서, 제1필터(100)는 대략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인렛그릴(80), 제1필터(100), 및 제2필터(130) 각각은 베이스패널(20) 또는 필터하우징(60)에 걸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필터(130)이 베이스패널(20) 또는 필터하우징(60)에 걸린상태란, 제2필터(130)의 후크바디(154)가 필터하우징(60)의 이너돌기(74)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7를 참조하면, 인렛그릴(80)과 제1필터(100)의 배치는 도 16과 동일하다.
도 17를 참조하면, 제2필터(130)의 고정돌기(148)는, 필터버튼(15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제1필터(100)는 필터버튼(150)이 필터하우징(60)의 이너돌기(74)로부터 제2필터(130)의 제2위치(P32)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130)의 제2위치(P32)에서, 제2필터(130)의 고정돌기(148)는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후방단부(7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130)의 제2위치(P32)에서, 제2필터(130)의 고정돌기(148)는 제2밴딩그루브(7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필터(130)가 제1위치(P31)에서 제2위치(P32)로 변경될 때, 제3회전축(A3)을 형성하는 고정돌기(148)가 제2가이드그루브(64)의 전방단부(69)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필터(130)가 제1위치(P31)에서 제2위치(P32)로 변경될 때, 제3회전축(A3)을 형성하는 고정돌기(148)가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전방단부(69)에서 후방단부(7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필터(130)의 제2위치(P32)에서, 제2필터(130)의 필터버튼(150)는 베이스패널(20)의 제2후크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필터(130)의 제2위치(P32)에서, 제2필터(130)는, 제1필터(100)나 인렛그릴(8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렛그릴(80), 제1필터(100), 및 제2필터(130) 각각이 베이스패널(20)나 필터하우징(60)에 걸린상태로 유지되더라도, 인렛그릴(80), 제1필터(100), 및 제2필터(130)의 배치간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2필터(130)의 제2위치(P32)에서, 제2필터(130)는 대략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필터(130)의 제2위치(P32)에서, 제2필터(130)와 필터하우징(60)의 후방벽(63) 사이의 이격간격(l4)은, 탈취필터(160)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160l)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필터하우징(60)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그루브(68)의 후방단부(70)로부터 필터하우징(60)의 후방벽(63) 사이의 이격간격(l5)은, 탈취필터(160)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160l)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케이스 20 : 베이스패널
22 : 인렛 24 : 아웃렛
26 : 패널걸이 36 : 제1가이드그루브
46 : 제1슬라이딩그루브 48 : 제1밴딩그루브
60 : 필터하우징 64 : 제2가이드그루브
68 : 제2슬라이딩그루브 72 : 제2밴딩그루브
74 : 이너돌기 80 : 인렛그릴
88 : 흡입홀 90 : 패널홀더
92 : 샤프트 100 : 제1필터
102 : 필터프레임 122 : 축돌기
130 : 제2필터 132 : 필터바디
138 : 제1필터핸들 140 : 제2필터핸들
148 : 고정돌기 150 : 필터버튼
160 : 탈취필터

Claims (22)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이 형성되는 베이스패널;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렛을 하측으로 배치되는 인렛그릴;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패널에서 이동하거나 회전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렛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의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인렛그릴의 상기 제1회전축의 상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인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보다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제1필터의 제2회전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는, 전방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에는, 상기 제1필터의 제2회전축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도록 하측으로 패인 축홈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홈은, 상기 제1회전축보다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에는, 상기 제1필터의 제2회전축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범프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은, 전방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슬라이딩그루브와, 상기 제1슬라이딩그루브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축소되는 제1밴딩그루브와, 성가 제1밴딩그루브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확장되고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개구홈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제1필터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망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내부로 공기유동홀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부에서 배치되고 상기 필터망의 배치를 지지하는 이너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축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제1필터가 상기 베이스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필터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후크는 상기 축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그릴은,
    상기 인렛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배치시키는 그릴홀더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패널에 고정시키는 패널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홀더는, 상기 제1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홀더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수직리브와, 상기 제1수직리브의 상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리브, 상기 수평리브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수직리브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인렛의 전방에서 상기 그릴홀더가 안착되는 그릴걸이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걸이는,
    상기 샤프트가 안착되는 바텀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샤프트의 타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에는 상기 제2수직리브가 관통하는 리브홈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리브 또는 제2수직리브의 길이는 상기 제2스토퍼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3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패널 또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측에서 이동하거나 회전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필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축은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회전축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인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3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보다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축은 상기 제2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보다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가 장착되는 필터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양 측벽에는 상기 제2필터의 상기 제3회전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그루브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그루브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그루브와, 상기 제2슬라이딩그루브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밴딩된 형태를 가지는 제2밴딩그루브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제1필터의 제2회전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그루브은, 전방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슬라이딩그루브와, 상기 제1슬라이딩그루브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홈이 형성되는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축소되는 제1밴딩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그루브의 후방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그루브의 후방단부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 상측에 배치되는 탈취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취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딩그루브의 후방단부는, 상기 탈취필터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20045243A 2022-04-12 2022-04-12 공기조화기 KR20230146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243A KR20230146343A (ko) 2022-04-12 2022-04-12 공기조화기
US18/131,985 US20230324076A1 (en) 2022-04-12 2023-04-07 Air conditioner
CN202310372654.6A CN116906984A (zh) 2022-04-12 2023-04-10 空调机
EP23167297.3A EP4261465A1 (en) 2022-04-12 2023-04-11 Air conditioner
PCT/KR2023/004829 WO2023200207A1 (ko) 2022-04-12 2023-04-1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243A KR20230146343A (ko) 2022-04-12 2022-04-1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343A true KR20230146343A (ko) 2023-10-19

Family

ID=8600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243A KR20230146343A (ko) 2022-04-12 2022-04-1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24076A1 (ko)
EP (1) EP4261465A1 (ko)
KR (1) KR20230146343A (ko)
CN (1) CN116906984A (ko)
WO (1) WO20232002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496B2 (ja) * 1990-11-29 2000-03-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清浄機
US5679121A (en) * 1994-12-10 1997-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filter attachment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JP2006023029A (ja) * 2004-07-08 2006-01-26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KR101506740B1 (ko) * 2008-10-21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702169B1 (ko) * 2013-10-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5169389A (ja) * 2014-03-07 2015-09-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2550630B1 (ko) * 2016-07-15 202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66274B1 (ko) * 2017-04-28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7195740B2 (ja) * 2018-02-05 2022-12-26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
IT201800010687A1 (it) * 2018-11-29 2020-05-29 Aermec Spa Ventilconvettore
KR102396560B1 (ko) 2020-08-20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06984A (zh) 2023-10-20
EP4261465A1 (en) 2023-10-18
WO2023200207A1 (ko) 2023-10-19
US20230324076A1 (en)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326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702169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5100445A (en) Air register filter/cover
KR101706812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110109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7271170A (ja) 空気調和機
KR101392322B1 (ko) 공기조화기
KR101392313B1 (ko) 공기조화기
CN215765438U (zh) 空调的室内机
CN212618769U (zh) 换热器组件和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20230146343A (ko) 공기조화기
CN211476094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216546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4500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5063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3019952U (zh) 空调器
CN211601065U (zh) 吊顶空调过滤网、吊顶空调面板及吊顶空调
KR20180002978U (ko) 소형 공기청정기
KR101384158B1 (ko) 공기조화기
KR101362317B1 (ko) 공기조화기
KR1012598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3448B1 (ko) 공기조화기
CN213747036U (zh) 空气处理装置和具有其的空调器
EP4242535A1 (en) Air conditioner
CN214501589U (zh) 空气净化装置和空调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