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273A -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 Google Patents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273A
KR20230146273A KR1020220045040A KR20220045040A KR20230146273A KR 20230146273 A KR20230146273 A KR 20230146273A KR 1020220045040 A KR1020220045040 A KR 1020220045040A KR 20220045040 A KR20220045040 A KR 20220045040A KR 20230146273 A KR20230146273 A KR 20230146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loth
static
antistatic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위니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273A/ko
Publication of KR2023014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being filled with a heat carrier
    • A61F2007/0269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being filled with a heat carrier with separable compartments, e.g. reconne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61F2007/036Fuels
    • A61F2007/038Carbon or charcoal, e.g. ac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소 등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어야 하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한,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Heating products with antistatic function}
본 발명은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주유소 등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어야 하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한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핫팩(hot pack)은 일정한 형상을 갖는 주머니에 활성탄, 철분, 흡습제, 염류, 물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외부 공기와 접촉 시 산화과정을 통해 스스로 발열하여 열을 발산하도록 하는 발열용품이다.
핫팩은, 가볍게 몸을 녹일 수 있는 일용품으로서 많은 사람에게 사용되고 있다. 일회용 핫팩은, 의복에 넣어서 사용하는 것이 주를 이루며, 그 외에 등이나 발에 붙이는 타입의 것, 구두 중에 넣어서 사용하는 것, 머플러와 같이 목에 감아서 붙이는 것 등, 다양한 타입의 상품이 시판되고 있다.
종래에는,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등을 포함하는 발열제와 금속 충격 부재를 구비한 액체형 핫팩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액체형 핫팩은 수회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지속 시간이 2시간 정도로 짧다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철분, 활성탄, 흡습제, 염류, 물 등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발열제를 부직포 파우치 형태의 봉지재 내부에 충진하고, 봉지재를 접합하여 제조한 고체형 핫팩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고체형 핫팩은 포장지를 뜯는 순간, 외부 공기가 핫팩의 봉지재에 존재하는 미세 구멍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산소 및 수소가 발열제의 철분과 산화 작용하여 발열이 유도되어 보온 및 찜질 등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핫팩은 내부의 분말 간에 마찰이 일어나 정전기를 발생할 수 있으며, 얇은 봉지재를 거쳐 외부로 스파크가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봉지재는 부직포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주머니 등에서 마찰을 통해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역시 외부로 스파크가 일어나게 하는 요인이 된다.
한편, 주유소 등 화재 발생우려가 있는 지점에서는 정전기 발생이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특히, 휘발유와 같이 휘발성 성질을 갖는 유류를 주유하는 경우에는 발생되는 정전기만으로도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근래에는 주유기에 정전기 방지를 위한 구성을 마련하고 있지만, 정전기 방지에 여전히 불안함이 남아 있는 실정이다. 주유소뿐만 아니라, 화학물품 취급 장소, 인화성 물질 보관 장소, 화약 저장고, 군용무기 격납고 등 화기 엄금 지역에서는 정전기에 대하여 특별히 관리 하기 때문에, 발열용품을 이용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해당 지점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은 추운 환경에도 발열용품을 소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발열용품에 발열분말 간의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발열용품을 수납하는 옷주머니와의 마찰에도 정전기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대전방지 기능이 포함되어야 주요소, 화학물품 취급 장소, 인화성 물질 보관 장소, 화약 저장고, 군용무기 격납고 등 화기 엄금 지역에서도 사용이 원활해진다. 그러나, 아직까지 핫팩 등 발열용품에 대한 정전기 차단을 시도한 사례는 없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71689호(2018년06월27일공고),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해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된 핫팩의 제조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유소 등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어야 하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한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핫팩 등의 발열용품 소비처를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발열포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대전방지포와; 상기 발열포수용공간에 수용되며, 발열분말수용공간을 갖는 발열포; 및, 상기 발열분말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열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포의 발열포수용공간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대전방지포 내부의 발열포를 교체사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끈, 단추, 벨크로 또는 지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방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포는 발열포 내부의 발열분말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의 외부유출을 차단하며,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도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은 주유소 등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어야 하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발열분말 간의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발열용품을 수납하는 옷주머니와의 마찰에도 정전기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화재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핫팩 등의 발열용품 소비처를 정전기 발생 문제로 인해 제한되었던 주요소, 화학물품 취급 장소, 인화성 물질 보관 장소, 화약 저장고, 군용무기 격납고 등 화기엄금지역으로 늘리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의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의 사용예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예컨데, 수지는 소나무나 전나무로부터 얻은 수액을 일컫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의 사시도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의 절개사시도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의 단면도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의 사용예시도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은 내부에 발열포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대전방지포(100)와; 상기 발열포수용공간(110)에 수용되며, 발열분말수용공간(210)을 갖는 발열포(200); 및, 상기 발열분말수용공간(210)에 수용되는 발열분말(P)을 포함한다.
주로 겨울철에 발생하는 정전기는 의류와 시트 등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기 쉬우며, 전위차에 의하여 스파크 불꽃을 발생시킨다.
상기 정전기의 순간전압은 15,000 ~ 20,000볼트(V)로, 이는 전기라이터, 가스레인지 등의 점화장치 스파크와 동일한 수준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전기는 휘발유 등의 유증기를 점화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주유소 직원들은 방전복을 입거나 정전기 방지용 스프레이를 옷에 뿌려 정전기 발생을 방지한다.
또는, 주유원이 없는 셀프주유소에서 주유하기 전에 반드시 정전기 방전패드를 접촉한 후에 주유를 하여야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은 대전방지포(100)를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대전방지 기능을 가지며, 내부에 발열포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일종의 주머니와 같은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어느 한 면이 개방되는 주머니 형태이며,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직사각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전방지포(100)의 형태를 직사각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실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발열포(200) 내부의 발열분말(P)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의 외부유출을 차단하며,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도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내부의 발열분말(P)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기의 외부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0.5 ~ 10.0mm의 두께인 것이 적절하다.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외부 물체와의 접촉 및 마찰에도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도록, 외표면에 요철이 없이 평평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대전방지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대전방지포(100)는 폴리올레핀계 섬유와 아크릴 섬유를 혼방하여 제조된 대전방지 부직포일 수도 있다.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폴리올레핀 섬유와 아크릴 섬유가 각각 30:70 ~ 80:20의 중량비로 혼방된 것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원료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 있다.
아크릴 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섬유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대전방지포(100)는, 폴리올레핀 섬유와 아크릴 섬유는 30:70 ~ 80:20의 중량비로 혼방한 대전방지 부직포에 대전방지 성분을 분사한 것일 수도 있다.
대전방지 부직포에 대전방지 성분을 분사·건조하는 경우, 대전방지포(100)의 대전방지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대전방지 성분은 발열분말(P) 간의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발열용품을 수납하는 옷주머니와의 마찰에도 정전기 발생하지 않도록, 대전방지포(100)의 외표면과, 발열포수용공간(110)의 측벽에 각각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대전방지 성분은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대전방지제, 양이온성 대전방지제, 비이온 대전방지제, 유기 규소 대전방지제, 전도성 무기물질 등이 있다.
음이온성 대전방지제는 알킬설포네이트 및 설페이트 증이 있고, 양이온성 대전방지제는 주로 4급 암모늄염 등이 있다.
비이온 대전방지제는 주로 지방산 폴리올과 지방 알코올 등이 있다.
유기 규소 대전방지제는 실록산이 있으며,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유기 실리콘 오일과 같은 설폰산이 있다.
전도성 무기물질로는 나노미터 카본 블랙 등이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포(100) 재질의 일 예시일 뿐, 상기와 같은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열분말(P) 간의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발열용품을 수납하는 옷주머니와의 마찰에도 정전기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모든 대전방지 재질이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포(100)의 재질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대전방지포(100)에는 발열포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
상기 대전방지포(100)의 일측에는 발열포수용공간(110)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개폐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20)는 끈, 단추, 벨크로 또는 지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방식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만, 개폐부재(120)의 개폐방식을 끈, 단추, 벨크로 또는 지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대전방지포(100)의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방식은 모두 개폐부재(120)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개폐부재(120)를 통해 대전방지포(100) 내부의 발열포(200)를 교체사용 할 수 있다.
발열포(200)는 영구히 발열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므로, 발열포(200)의 발열기능이 다하면 개폐부재(120)를 이용해 대전방지포(100)의 발열포수용공간(110)을 개방하고, 발열포(200)를 교체한 다음, 개폐부재(120)를 이용해 대전방지포(100)의 발열포수용공간(110)을 다시 폐쇄한다.
상기 발열포(200)는 대전방지포(100)의 발열포수용공간(110)에 수용되며, 내부에는 발열분말수용공간(210)을 갖는다.
상기 발열포(200)는 교체·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발열포(200)의 재질이 대전방지 기능을 할 필요는 없다.
정전기를 차단하는 기능은 대전방지포(100)가 수행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상기 발열포(200)의 재질은 값이 저렴한 재질을 채택하여, 생산단가를 높이지 않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발열포(200)의 재질은 일반적인 부직포 재질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발열포(200)의 내부에는 발열분말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분말수용공간(210)에는 발열분말(P)이 수용된다.
상기 발열분말수용공간(210)은 발열분말(P)이 유출되지 않도록 전 방향이 폐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분말(P)은 활성탄, 철분, 흡습제, 염류, 물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외부 공기와 접촉 시 스스로 발열하여 열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분말(P)의 활성탄은 발열분말(P)의 발열시간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다.
상기 활성탄은 넓은 비표면적 제공하여 공기 중에 수소 및 산소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철분이 수소, 산소 및 철분과 산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촉진제의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상기 활성탄은 발열을 촉진하여 발열분말(P)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발열분말(P)의 활성탄은 톱밥, 경질 목재, 우드팰릿, 우드칩, 야자박 등을 탄화시켜 제조한 활성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발열분말(P)에 0.1 ~ 9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열분말(P)의 철분은 공기 중의 수소 및 산소와 산화 반응하여 열을 발산시키는 발열성 성분으로, 입자 또는 섬유상 철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분말(P)의 철분은 철분(iron powder), 주철분(cast iron powder), 수분사 철분(water atomized iron powder), 전해 철분(electrolytic iron powd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철분과 더불어, 아연(Zn),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구리(Cu), 니켈(Ni), 셀레늄(Se) 또는 주석(Sn)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혼합금속분말로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철분 내지 혼합금속분말은 발열분말(P)에 0.1 ~ 9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열분말(P)의 흡습제는 물을 흡수하여 과립형 입자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흡습제에 포함된 물이 철분과 배합된 순간부터 산소와 함께 반응하여 철분을 산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 발열분말(P)의 발열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흡습제는 발열분말(P)에 0.1 ~ 9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열분말(P)의 염류는 철분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열분말(P)은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염화칼륨, 염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류는 발열분말(P)에 0.1 ~ 9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열분말(P)의 물은 염류와 함께 철분의 산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가지고, 증류수, 수돗물, 탈이온수, 멸균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은 발열분말(P)에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열포(200)는 비닐 등의 포장 상태에서는 외부 공기가 차단되어 발열분말(P)이 안정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발열분말(P)을 내포한 발열포(200)가 외부로 노출되면 발열포(200) 사이로 공기가 발열분말(P) 내로 유입되면서 비활성 상태인 철분과 수분이 반응하여 활성화된다. 이때, 활성화된 철이 산화되면서 발열 반응이 일어나 일정시간 동안 따뜻한 온도가 유지된다.
한편, 발열분말(P)에 포함되는 염류는 철분이 녹스는데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발열분말(P)에 포함되는 활성탄은 외부 공기를 빠른 속도로 흡수하여 철분과 공기와 반응하는 것을 촉진한다.
또한, 흡습제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철분, 공기와 함께 반응하여 열 발생과 더불어 녹 생성을 빠르게 하는 주요 성분으로 이용된다.
이때, 발열분말(P) 간의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발열분말(P)에 상술하였던 대전방지제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열분말(P)에 대전방지제 성분이 포함될 경우에는, 활성탄, 철분, 흡습제, 염류 및 대전방지제 성분이 각각 0.1 ~ 9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물은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의 사용예시도로, 대전방지포(100)의 발열포수용공간(110)으로 발열포(200)를 집어넣거나 꺼내는 것을 표현한다.
우선, 대전방지포(100)의 개폐부재(120)를 이용하여, 대전방지포(100)의 발열포수용공간(110) 일측을 개방한다.
그 다음, 개방된 발열포수용공간(110)에 발열포(200)를 잘 흔들고 집어넣는다. 그리고, 대전방지포(100)의 개폐부재(120)를 이용하여, 대전방지포(100)의 발열포수용공간(110) 일측을 다시 폐쇄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발열포(200)가 수용된 대전방지포(100)로부터 발생하는 온열효과를 이용한다.
발열포(200)의 발열기능이 다하면, 대전방지포(100)의 개폐부재(120)를 이용하여, 대전방지포(100)의 발열포수용공간(110) 일측을 개방하고, 새로운 발열포(200)를 잘 흔들고 집어넣은 다음, 개폐부재(120)를 이용하여 대전방지포(100)의 발열포수용공간(110) 일측을 다시 폐쇄하고 계속 이어서 사용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어야 하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발열분말 간의 마찰로 발생하는 정전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발열용품을 수납하는 옷주머니와의 마찰에도 정전기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화재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전기 발생 문제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었던 주요소, 화학물품 취급 장소, 인화성 물질 보관 장소, 화약 저장고, 군용무기 격납고 등에 대하여, 발열용품의 사용처를 늘리는 신규한 발열용품으로써,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을 발명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대전방지포
110: 발열포수용공간
120: 개폐부재
200: 발열포
210: 발열분말수용공간
P: 발열분말

Claims (5)

  1. 내부에 발열포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대전방지포와;
    상기 발열포수용공간에 수용되며, 발열분말수용공간을 갖는 발열포; 및,
    상기 발열분말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열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포의 발열포수용공간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대전방지포 내부의 발열포를 교체사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끈, 단추, 벨크로 또는 지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방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포는 발열포 내부의 발열분말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의 외부유출을 차단하며,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도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KR1020220045040A 2022-04-12 2022-04-12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KR20230146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040A KR20230146273A (ko) 2022-04-12 2022-04-12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040A KR20230146273A (ko) 2022-04-12 2022-04-12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273A true KR20230146273A (ko) 2023-10-19

Family

ID=8850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040A KR20230146273A (ko) 2022-04-12 2022-04-12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62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89B1 (ko) 2017-07-18 2018-06-27 주식회사 핫앤핫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해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된 핫팩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89B1 (ko) 2017-07-18 2018-06-27 주식회사 핫앤핫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해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된 핫팩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1401C (en) Self-contained personal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warming
US4366804A (en) Warming device for generating heat by controlled exothermic oxidation of iron powder
JPS60174455A (ja) 屈曲性電気化学加熱具
JP2015536436A (ja) 電解質パッドを備えた酸素活性式携帯型ヒータ
PT1751249T (pt) Composições autovaporizantes, artigos que compreendem tais composições e métodos de preparação de tais composições
KR20230146273A (ko)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용품
CN106025401A (zh) 一种二次电池
KR20240071686A (ko)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발열팩
JP2014012817A (ja) 発熱剤
KR20200120194A (ko) 리튬배터리용소화약제자동공급함
IL130552A0 (en) A thermal pack hav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heat cells
WO2019028183A1 (en) CONFIGURATIONS, DESIGNS AND APPLICATIONS OF OXYGEN ACTIVATED POROUS HEATING DEVICE
JP4811897B2 (ja) 燻煙殺虫剤及びこれを用いた燻煙方法
KR200395433Y1 (ko) 보냉조끼용 아이스팩 주머니
EP1782773A1 (en) Compressed wet exothermal composition, exothermal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ressed wet exothermal composition
JP2009028392A (ja) 化粧用パフ
KR102301108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보냉가방
US20230344074A1 (en) Apparatus for suppressing a battery fire
KR20220153352A (ko) 소방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CN207979018U (zh) 一种消防用耐高温防护服
KR20220076221A (ko) 기화열을 이용하여 쾌적함을 향상시킨 냉감의류
JP4630682B2 (ja) 消火剤、消火器ならびに難燃剤、防炎シート、難燃繊維
US20080125841A1 (en) Device for providing instant cooling, particularly for treating parts of the human body or items in general
US2610985A (en) Acceleration of vaporization of chlorine in a battery
US298175A (en) Galvanic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