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249A -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 Google Patents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249A
KR20230146249A KR1020220044988A KR20220044988A KR20230146249A KR 20230146249 A KR20230146249 A KR 20230146249A KR 1020220044988 A KR1020220044988 A KR 1020220044988A KR 20220044988 A KR20220044988 A KR 20220044988A KR 20230146249 A KR20230146249 A KR 20230146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fixing part
handle
hoo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874B1 (ko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이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수 filed Critical 이길수
Priority to KR102022004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874B1/ko
Publication of KR2023014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04Socket, tang, or like fixings with detachable or separate socket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08Socket, tang, or like fixings with dovetail or other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도구유닛과 손잡이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하나의 손잡이에 다양한 도구유닛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는, 작용점이 위치하는 도구부와, 상기 도구부로부터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도구유닛과,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는 손잡이몸체와, 상기 손잡이몸체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부와 후크결합하는 후크고정부와, 상기 손잡이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고정부를 당겨 상기 고정부를 상기 손잡이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손잡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Handle with tool detachable}
본 발명은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구유닛과 손잡이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하나의 손잡이에 다양한 도구유닛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에 관한 것이다.
도구는 어떤 일을 할 때 사용하는 연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구는 사람이 손쉽게 파지하고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도구에는 손잡이가 달려있으며, 보통 도구와 손잡이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손잡이와 도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여러 개의 도구를 보관할 때 부피가 커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식칼의 경우 여러 종류의 칼날을 사용하기 위해 종류별로 칼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으며, 각각의 칼날과 손잡이가 합쳐져 있어 보관 시 부피가 커지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칼날 자체는 얇은 판 형상으로 보관이 유리하지만, 각각의 칼날에 부착된 손잡이로 인해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손잡이와 칼날을 분리하여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있었다. 하지만, 손잡이와 칼날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여 부피가 더 커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손잡이와 칼날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여 칼질을 할 때 칼날이 흔들리는 문제와 안전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칼날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손잡이뿐만 아니라, 칼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도구들에 모두 호환 가능한 손잡이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2887호(2013.11.1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구유닛과 손잡이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하나의 손잡이에 다양한 도구유닛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는, 작용점이 위치하는 도구부와, 상기 도구부로부터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도구유닛, 및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는 손잡이몸체와, 상기 손잡이몸체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부와 후크결합하는 후크고정부와, 상기 손잡이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고정부를 당겨 상기 고정부를 상기 손잡이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손잡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고정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제1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를 당겨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일측부가 상기 삽입홈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일측부와 대향하는 타측부가 만입 또는 돌출되어 제1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고정부는 상기 제1 후크부에 후크결합되는 제2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를 상기 삽입홈의 내측벽에 밀착시키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겨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몸체 내측에 상기 후크고정부가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2후크부가 상기 제1 후크부를 상기 삽입홈의 내측벽으로 밀착시키며 당기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구유닛은 납작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구부 일측에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기 도구부와 상기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도구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1 후크부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고정부는 상기 제2 후크부와 대향하는 타측이 확장되어 확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모듈에 상기 확장부를 수용하며 상기 확장부의 상기 제1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확장부가 내부에서 회전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확장부와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의 양면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고정부가 상기 고정부를 당겨 상기 삽입홈에 쐐기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모듈은, 일측에 상기 후크고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몸체를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고정블록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손잡이몸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고정블록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구유닛은 납작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구부 일측에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기 도구부와 상기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도구부, 상기 고정부, 상기 제1 후크부, 상기 후크고정부 및 상기 고정블록은 동일 두께로 형성되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조절나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나사와 나사결합하는 너트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몸체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홈과, 상기 후크고정부가 이동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고정블록이 이동하는 이동홈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어 파지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손잡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커버 중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고정부 중 적어도 일부가 투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도구들을 하나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용이하게 보관하고 휴대할 수 있다. 특히, 도구를 손잡이에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간편히 나사를 돌려서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크 방식으로 도구를 손잡이에 고정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디자인 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도구유닛 장착 모습을 도시한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에 다양한 도구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1)는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는 도구유닛(100)과, 이러한 도구유닛(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구유닛(100)을 파지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유닛(20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구유닛(100)이 손잡이유닛(200)에 삽입 및 결합되는 방향을 제1 방향(x)으로 지칭하고, 제1 방향(x)과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y)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1)는, 작용점이 위치하는 도구부(110)와, 도구부(110)로부터 연장된 고정부(120)를 포함하는 도구유닛(100), 및 일측에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고정부(120)를 수용하는 손잡이몸체(210)와, 손잡이몸체(210) 내측에 수용되어 고정부(120)와 후크결합하는 후크고정부(220)와, 손잡이몸체(210)에 설치되며 후크고정부(220)를 당겨 고정부(120)를 손잡이몸체(210)에 고정하는 고정모듈(230)을 포함한다.
도구유닛(100)은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의 일종으로, 어느 한 지점에서 물체에 힘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도구유닛(100)은 인간의 신체적 능력을 돕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연장일 수 있으며, 칼, 망치, 톱, 낫 등과 같은 연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도구유닛(100)을 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극히 일 부분의 예시일 뿐, 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도구들도 충분히 대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도구유닛(100)은 크게 물체에 힘을 가하는 작용점이 위치하는 도구부(110)와, 도구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손잡이유닛(200)에 고정되는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도구부(110)는 물체와 접하며 힘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도구부(110)는 물체에 힘을 가하는 경우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강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구부(110)는 물체에 힘을 가할 때 물체와 접하는 지점에 작용점이 위치할 수 있으며, 물체에 최소한의 힘으로 최대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해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구부(110)는 납작한 금속판 형상으로 일측에 절단날(111)이 형성된 칼날 형상일 수 있다. 도구부(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치, 톱 등의 다른 형상으로도 충분히 대체가 가능하다. 도구부(110)는 사람이 직접 파지하는 경우 다칠 위험이 있어 별도의 손잡이유닛(200)을 필요로한다. 따라서, 도구부(110)의 일측에는 손잡이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12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부(120)는 도구부(1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도구부(110)를 손잡이유닛(2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고정부(120)는 도구유닛(100)이 손잡이유닛(200)에 삽입되는 방향인 제1 방향(x)을 향해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가 손잡이유닛(2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고정부(120)가 삽입홈(211)에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고정부(120)는 도구부(110)와 동일 평면을 이루며 일체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고정부(120)는 도구부(110)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납작한 금속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구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120)는 제1 방향(x)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방향(x)의 끝단부가 뾰족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120)는 도구부(110)의 일측에서 사각형의 납작한 금속판 형상으로 연장되다 점차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끝단에는 삼각형의 납작한 금속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20)의 쐐기형상의 끝단부는 후술하여 설명할 손잡이유닛(200)의 삽입홈(211)의 형상과 맞물리게 형성되어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부(120)와 삽입홈(211)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부(120)는 손잡이유닛(200)의 삽입홈(211)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고정부(120)는 제1 방향(x)과 수직한 측면 중 일측부가 일직선을 이루며 삽입홈(211)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타측부가 점차 일측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끝단부가 뾰족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120)의 타측부에는 만입 또는 돌출되는 후크 형상의 제1 후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크부(121)는 고정부(120)의 일 구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만입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120)를 손잡이유닛(200)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고정부(220)와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후크고정부(220)는 제1 후크부(121)와 후크결합하여 고정부(120)를 손잡이유닛(2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 후크부(121)는 고정부(120)의 타측면에 후크 형상의 고리를 형성하여, 후술하여 설명할 후크고정부(220)의 제2 후크부(221)와 후크결합을 할 수 있다. 제1 후크부(121)는 고정부(1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두께의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크부(121)는 고정부(120) 끝단의 쐐기 형상과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120) 끝단의 쐐기는 제1 방향(x)을 향해 돌출되고, 일 구간의 제1 후크부(121)는 제2 방향(y)을 향해 만입되거나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120)는 먼저 끝단부가 삽입홈(2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이후 제1 후크부(121)가 후크고정부(220)와 맞물리며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0)는 연장되는 길이 방향의 일 구간에서 제2 방향(y)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22)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고정부(120)의 제1 후크부(121)의 전단에서 제2 방향(y)을 향해 돌출되어, 도구유닛(1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부(120)는 걸림돌기(122)가 돌출된 구간에서는 제2 방향(y)의 길이가 삽입홈(211)의 제2 방향(y)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걸림돌기(122)가 손잡이유닛(200)의 외측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부(120)는 제1 방향(x)을 따라 걸림돌기(122) 이후의 구간이 손잡이유닛(200)의 삽입홈(211)에 삽입 및 고정되며, 걸림돌기(122)는 손잡이유닛(200)의 외측 단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유닛(200)은 도구유닛(100)이 삽입되는 측면에 걸림돌기(122) 형상에 대응되는 만입홈이 형성되어, 만입홈에 걸림돌기(122)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122)는 손잡이유닛(200)의 만입홈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손잡이유닛(200)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어 일체감있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122)는 손잡이유닛(200)과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절단날(111)을 이용해 칼질하는 경우 도구유닛(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고정부(120)는 손잡이유닛(200)의 손잡이몸체(210)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삽입홈(211)은 손잡이몸체(210)의 도구유닛(100)이 삽입되는 측면에 형성된다.
손잡이유닛(200)은 도구유닛(100)의 고정부(120)와 결합되어 도구유닛(100)을 손에 쥐고 사용하기 위한 그립(GRIP)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손잡이유닛(200)은 크게 고정부(120)를 수용하는 손잡이몸체(210)와, 손잡이몸체(210) 내측에서 고정부(120)를 손잡이몸체(210)에 고정하는 후크고정부(220)와, 후크고정부(220)를 손잡이몸체(210)에 고정하는 고정모듈(230)을 포함한다.
먼저, 손잡이몸체(210)는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211)으로 고정부(120)를 수용하고 결합하여, 도구유닛(100)과 손잡이유닛(200)의 결합을 매개하는 기능을 한다. 손잡이몸체(210)는 고정부(120)와 동일한 두께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고정부(120)를 수용하는 가이드판(214)과, 가이드판(214)의 관통된 양면을 덮어 사용자에게 그립(GRIP)을 제공하는 한 쌍의 손잡이커버(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판(214)은 손잡이몸체(21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한 쌍의 손잡이커버(215)는 가이드판(214)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판(214)은 일 구간이 관통 형성된 금속판 형상으로, 손잡이몸체(21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고정부(120), 후크고정부(220), 고정모듈(230) 등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판(214)은 제1 방향(x)을 향해 순차적으로 고정부(120)를 수용하는 삽입홈(211), 후크고정부(220)를 수용하는 가이드홈(212), 고정모듈(230)을 수용하는 이동홈(213)이 각각 관통형성된다. 이때, 삽입홈(211)과 가이드홈(212) 및 이동홈(213)은 서로 이어지도록 연통 형성되어, 고정부(120), 후크고정부(220), 고정모듈(230) 구성이 모두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홈(211)은 가이드판(214)의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도구유닛(100)의 고정부(120)가 삽입되어 끼움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삽입홈(211)은 고정부(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방향(x)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즉, 고정부(120)의 쐐기 형상에 대응되도록 고정부(120)가 삽입되는 구간 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11)은 고정부(120)의 일측부와 맞닿는 면은 직선형상이고, 고정부(120)의 제1 후크부(121)가 형성된 타측부에 대응되는 면은 제1 방향(x)을 향해 점차 면적이 작아지는 삼각 홈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홈(212)은 가이드판(214)의 일 구간에서 제1 방향(x)을 따라 경사지게 관통된 형상으로, 후크고정부(220)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홈(212)은 전술하여 설명한 삽입홈(211)의 타측부와 연통된다. 가이드홈(212)은 후크고정부(220)의 일 구간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후크고정부(220)는 'Z'형상으로 형성되는 갈고리 형상으로 고정부(120)의 제1 후크부(121)과 결합되어 고정부(120)를 손잡이몸체(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홈(212)은 이러한 후크고정부(220)의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22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후크고정부(220)은 경자지게 연장된 연장부(223)가 경사진 가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1 후크부(121)와 제2 후크부(221)의 결합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홈(212)은 후크고정부(220)의 연장부(223)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212a)을 포함하여, 후크고정부(220)가 가이드홈(212)에 삽입된 상태로 경사면(212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후크고정부(220)는 가이드홈(212)의 경사면(212a)을 따라 이동하며, 제2 후크부(221)를 이용해 제1 후크부(121)를 경사진 방향으로 가압하며 고정부(120)를 삽입홈(211)의 내측벽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212)의 경사면(212a)은 일직선 형상의 경사면이거나, 곡선 형상의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이드홈(212)은 일측의 삽입홈(211)과 연통되고 타측의 이동홈(213)과 연통될 수 있다.
이동홈(213)은 고정모듈(230)을 수용하여, 고정모듈(230)의 제1 방향(x)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모듈(230)은 전술한 후크고정부(220)의 끝단을 고정한 상태로 손잡이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성으로, 후크고정부(220)를 손잡이몸체(2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이동홈(213)은 고정모듈(23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가이드홈(212)과 연통되도록 가이드판(214)의 일 구간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동홈(213)은 고정모듈(230)을 제1 방향(x)을 따라 가이드하기 위해, 양단의 내측벽이 제1 방향(x)과 평행한 직선 형상일 수 있다.
한편, 후크고정부(220)는 손잡이몸체(210)의 내측에 위치하여 도구유닛(100)을 손잡이유닛(2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후크고정부(220)는 가이드홈(212)에 삽입되어 삽입홈(211)으로 삽입되는 고정부(120)를 제1 방향(x)으로 당겨 고정할 수 있다. 특히, 후크고정부(220)는 고정부(120)의 제1 후크부(121)와 맞물리는 형상의 제2 후크부(221)를 포함하여, 제2 후크부(221)를 제1 후크부(121)에 걸어 제1 방향(x)으로 당겨서 고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후크고정부(220)는 가이드홈(212)의 경사면(21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이동 방향에 따라 고정부(120)를 경사진 방향을 향해 가압하여 삽입홈(211)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후크고정부(220)는 제1 방향(x)을 향해 순차적으로, 제1 후크부(121)와 맞물려 고정하는 제2 후크부(221)와, 제2 후크부(221)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223)와, 연장부(223)의 끝단에서 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부(222)를 포함한다. 제2 후크부(221)와, 연장부(223)와, 확장부(22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고정부(120) 및 가이드판(214)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고정부(220)는 일측의 제2 후크부(221)가 제1 후크부(121)에 맞물리고, 타측의 확장부(222)가 제1 방향(x)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고정모듈(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고정부(220)는 확장부(222)가 고정모듈(230)과 함께 제1 방향(x)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2 후크부(221)도 확장부(222)와 함께 제1 방향(x)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후크고정부(220)는 제2 후크부(221)와 확장부(222) 사이의 연장부(223)가 경사지게 연장되어, 확장부(222)의 제1 방향(x) 왕복 이동 시 제2 후크부(221)는 경사면(212a)의 경사 방향을 따라 제2 방향(y) 및 제1 방향(x)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경사면(212a)의 경사 방향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수직한 제1 방향(x)과 수평한 제2 방향(y) 사이의 경사진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2 후크부(221)는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 후크부(121)를 경사진 방향을 향해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경사면(212a)은 평평한 형상 또는 굴곡진 형상 모두 가능하여, 제2 후크부(221)의 이동 방향 및 가압 방향은 경사면(212a)의 형상 또는 각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후크고정부(220)의 확장부(222)는 제2 후크부(221)의 타측에 위치하여 고정모듈(230)과 함께 제1 방향(x)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확장부(222)는 연장부(223) 보다 확장된 면적을 갖는 형상으로, 고정모듈(230)의 수용홈(231)에 삽입되어 고정모듈(230)의 슬라이딩 이동을 후크고정부(220)와 매개하는 기능을 한다. 확장부(222)는 고정모듈(230)에 관통 형성된 수용홈(23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확장부(222)와 수용홈(231)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어, 확장부(222)가 수용홈(231) 내측에서 회전하며 제2 후크부(221)를 제1 후크부(121) 측으로 회전하며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후크고정부(220)의 작동 모습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고정모듈(230)은 후크고정부(220)를 제1 방향(x)으로 당겨 고정부(120)를 손잡이몸체(210)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모듈(230)은 확장부(222)와 결합된 상태로 제1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후크고정부(220)를 제1 방향(x)으로 당길 수 있다. 고정모듈(230)은 손잡이몸체(21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특히, 손잡이몸체(210)의 내측의 이동홈(2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동홈(213)은 후크고정부(220)가 수용되는 가이드홈(212)과 연통되며, 손잡이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경로로 고정모듈(230)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모듈(230)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도구유닛(100)을 손잡이유닛(200)에 고정하거나, 풀어주어 도구유닛(100)과 손잡이유닛(200)을 분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모듈(230)은 제1 후크부(121)와 제2 후크부(221)가 맞물리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제2 후크부(22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모듈(230)은 손잡이몸체(210)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조절나사(233)와, 조절나사(233)와 나사결합되어 조절나사(233)의 회전에 따라 손잡이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고정블록(23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232)은 후크고정부(220) 타단의 확장부(222)를 고정하고 손잡이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블록(232)은 수용홈(231)이 관통 형성된 금속판 형상일 수 있으며, 양단부가 손잡이몸체(2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록(232)은 양단부가 이동홈(213)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홈(213)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고정블록(232)은 가이드판(214) 및 후크고정부(22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서로 동일 평면으로 이루며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다만, 고정블록(232)의 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장부(222)를 수용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두께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블록(232)은 조절나사(233)와 나사결합되어, 조절나사(233)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고정블록(232)과 조절나사(233)가 나사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절나사(233)를 돌려 고정블록(23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고정블록(232)과 조절나사(233) 사이에 별도의 너트블록(235)을 위치시켜, 조절나사(233)가 회전하면 너트블록(235)이 직선 이동하고, 너트블록(235)에 결합된 고정블록(232)이 직선 이동하는 구조로 예시하였다. 너트블록(235)은 중공 관 형상으로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나사(233)와 나사결합을 하고, 외측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고정블록(232)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너트블록(235)은 조절나사(233)의 회전에 다라 고정블록(232)과 함께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다만, 고정모듈(23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절나사(233)와 고정블록(232)이 직접 나사결합되는 구조로도 충분히 변형 가능하다.
조절나사(233)는 고정모듈(230)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구유닛(100)과 손잡이유닛(200)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조절나사(233)는 손잡이몸체(210)의 일 구간을 관통하여,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손잡이몸체(210)의 이동홈(213)에 삽입된다. 특히, 조절나사(233)는 제1 방향(x)의 외측으로 헤드 부분이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조절나사(233)는 헤드 부분이 도구유닛(100)이 삽입되는 측면의 반대면에서 손잡이몸체(2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조절나사(233)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이 편리하도록 별도의 조절부재(234)가 헤드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절부재(234)는 조절나사(233)의 헤드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전술하여 설명한 도구유닛(100), 후크고정부(220), 고정블록(232), 가이드판(214)은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동일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결합되었을 때 넓은 면적을 갖는 양면 또한 동일 평면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도구유닛(100), 후크고정부(220), 고정블록(232), 가이드판(214)이 결합되었을 때, 양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이커버(215)와 맞닿는 면이 모두 동일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너트블록(235)과 조절나사(233)는 가이드판(214)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너트블록(235) 및 조절나사(233)와 중첩되는 구간은 손잡이커버(215)의 내측면에 만입 형성된 만입홈(216)에 수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손잡이커버(215)는 가이드판(214)의 관통된 양면을 덮어주어, 후크고정부(220) 및 고정모듈(230)가 가이드판(2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218)는 손잡이커버(215)와 가이드판(214) 사이에 개재되고 특히 고정부(120)가 삽입되는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218)는 고정부(120)가 삽입홈(211)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부(120)와 접하며 마찰력을 높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218)는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손잡이커버(215)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손잡이커버(215) 중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커버(215)에는 투명창(217)이 형성되어, 제1 후크부(121)와 제2 후크부(221)의 결합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투명창(217)은 손잡이커버(215)의 일 구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시창으로, 도구유닛(100)과 손잡이유닛(200)의 결합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투명창(217)은 제1 후크부(121)와 제2 후크부(221)과 중첩되는 구간이라면 얼마든지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절나사(233)를 회전시키며 제2 후크부(221)의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 직관적으로 결합 상태를 나타내 줄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주어 디자인 적으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도구유닛 장착 모습을 도시한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구유닛을 손잡이유닛에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구유닛을 손잡이유닛에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120)는 삽입홈(211)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도구유닛(100)의 고정부(120)는 삽입홈(211)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되며, 양단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22)가 손잡이몸체(210)과 맞물리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211)은 고정부(120)의 쐐기 형상의 끝단부와 맞물리도록 만입된 홈이 형성되어 고정부(120)의 끝단부 또한 고정할 수 있다. 즉, 도구유닛(100)을 삽입홈(211)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각각 걸림돌기(122)와 고정부(120) 끝단에서 맞물리며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후크고정부(220)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모듈(230)에 의해 도구유닛(100) 방향으로 상승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후크고정부(220)는 고정부(120)의 제1 후크부(121)와 중첩되지 않는 상태로, 도구유닛(100)을 삽입하거나 빼내어도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고정부(120)는 일직선 형상의 일측부가 삽입홈(211)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후크고정부(220)의 일측부가 삽입홈(211)의 타측면에 밀찰된 상태일 수 있다. 즉, 고정부(120)와 후크고정부(220)는 서로 마주하며 각각의 제1 후크부(121)와 제2 후크부(221)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고정블록(232)은 후크고정부(220)를 도구유(100) 측으로 밀어내는 상태로, 확장부(222)와 수용홈(231)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도구유닛(100)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구유닛(100)은 손잡이유닛(200)의 삽입홈(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고정부(220)에 의해 손잡이유닛(20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구유닛(100)이 각각 걸림돌기(122)와 쐐기형상의 고정부 끝단에서 고정된 상태로, 조절나사(233)를 회전시켜 후크고정부(220)로 고정부(120)를 가압 및 고정할 수 있다. 조절나사(233)가 회전하면, 조절나사(233)와 나사결합된 너트블록(235)이 이동하며 함께 고정블록(232)도 하강한다. 이때, 조절나사(233)는 위치가 변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며, 너트블록(235)과 고정블록(232)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고정블록(232)이 제1 방향(x)으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블록(232)의 일측에 고정된 확장부(222)도 함께 제1 방향(x)으로 이동한다. 이때, 후크고정부(220)가 경사면(212a)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어 제2 후크부(221)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동하며 제1 후크부(121)와 맞물려 결합된다. 이후, 조절나사(233)를 더 돌리게 되면 후크고정부(220)의 확장부(222)가 수용홈(231)에서 제2 후크부(221)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확장부(222)가 회전하며 후크고정부(220) 또한 함꼐 회전하여 제1 후크부(121)를 경사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에 다양한 도구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1)는 다양한 종류의 도구유닛(100, 100-1, 100-2)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망치와 같은 도구유닛(100-1)을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유닛(2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톱과 같은 도구유닛(100-2)을 손잡이유닛(2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정원을 가꾸거나 농사에 사용되는 낫 또는 막대기와 같은 도구 등 손잡이유닛(20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구라면 얼마든지 활용할 수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100, 100-1, 100-2: 도구유닛 110: 도구부
111: 절단날 120: 고정부
121: 제1 후크부 122: 걸림돌기
200: 손잡이유닛 210: 손잡이몸체
211: 삽입홈 212: 가이드홈
212a: 경사면 213: 이동홈
214: 가이드판 215: 손잡이커버
216: 만입홈 217: 투명창
218: 탄성지지부 220: 후크고정부
221: 제2 후크부 222: 확장부
223: 연장부 230: 고정모듈
231: 수용홈 232: 고정블록
233: 조절나사 234: 조절부재
235: 너트블록
x: 제1 방향 y: 제2 방향

Claims (14)

  1. 작용점이 위치하는 도구부와,
    상기 도구부로부터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도구유닛; 및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는 손잡이몸체와,
    상기 손잡이몸체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부와 후크결합하는 후크고정부와,
    상기 손잡이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고정부를 당겨 상기 고정부를 상기 손잡이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손잡이 유닛을 포함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고정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제1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를 당겨 고정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부가 상기 삽입홈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일측부와 대향하는 타측부가 만입 또는 돌출되어 제1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고정부는 상기 제1 후크부에 후크결합되는 제2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를 상기 삽입홈의 내측벽에 밀착시키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겨 고정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몸체 내측에 상기 후크고정부가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2후크부가 상기 제1 후크부를 상기 삽입홈의 내측벽으로 밀착시키며 당기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몸체 내측에 상기 후크고정부가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2후크부가 상기 제1 후크부를 상기 삽입홈의 내측벽으로 밀착시키며 당기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고정부는 상기 제2 후크부와 대향하는 타측이 확장되어 확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모듈에 상기 확장부를 수용하며 상기 확장부의 상기 제1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확장부가 내부에서 회전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확장부와 유격이 형성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의 양면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고정부가 상기 고정부를 당겨 상기 삽입홈에 쐐기고정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은,
    일측에 상기 후크고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몸체를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고정블록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손잡이몸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고정블록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유닛은 납작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구부 일측에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기 도구부와 상기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도구부, 상기 고정부, 상기 제1 후크부, 상기 후크고정부 및 상기 고정블록은 동일 두께로 형성되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유닛은 납작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구부 일측에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기 도구부와 상기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도구부, 상기 고정부, 상기 제1 후크부, 상기 후크고정부 및 상기 고정블록은 동일 두께로 형성되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몸체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홈과, 상기 후크고정부가 이동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고정블록이 이동하는 이동홈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어 파지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손잡이커버를 포함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커버 중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고정부 중 적어도 일부가 투시되는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KR1020220044988A 2022-04-12 2022-04-12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KR102601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988A KR102601874B1 (ko) 2022-04-12 2022-04-12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988A KR102601874B1 (ko) 2022-04-12 2022-04-12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249A true KR20230146249A (ko) 2023-10-19
KR102601874B1 KR102601874B1 (ko) 2023-11-14

Family

ID=8850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988A KR102601874B1 (ko) 2022-04-12 2022-04-12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8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928A (ja) * 1997-05-28 1998-12-15 Arusu Corp Kk 替え刃式切断用工具
KR20020089258A (ko) * 2002-10-30 2002-11-29 최용태 가위
KR20120139924A (ko) * 2011-06-20 2012-12-28 손원호 빠지지 않는 손잡이의 줄
KR20130122887A (ko) 2012-05-01 2013-11-11 이준규 탈부착이 용이한 주방용 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928A (ja) * 1997-05-28 1998-12-15 Arusu Corp Kk 替え刃式切断用工具
KR20020089258A (ko) * 2002-10-30 2002-11-29 최용태 가위
KR20120139924A (ko) * 2011-06-20 2012-12-28 손원호 빠지지 않는 손잡이의 줄
KR20130122887A (ko) 2012-05-01 2013-11-11 이준규 탈부착이 용이한 주방용 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874B1 (ko)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5006B2 (en) Adjustable lancet device and method
US7621931B2 (en) Adjustable lancet device and method
AU2005203761B2 (en) Slide Assembly Device for a Snap-Off Blade Utility Knife
JP5189655B2 (ja) 配置方向ガイド付きのダーマトーム
US6401605B1 (en) Device for dicing garlic
JP3987030B2 (ja) 爪切り
FR2863861A1 (fr) Instrument chirurgical de type declipseuse pour implant rachidien.
US20120011723A1 (en) Nail Clipper with Reusable Handles and Disposable Blades
US20090100679A1 (en) Shaving apparatus and methods
AU2005233163A1 (en) Utility knife for glaziers
KR102601874B1 (ko) 도구유닛이 분리 가능한 손잡이도구
US9291178B2 (en) Bracket assembly and retaining device for collapsible stand
US5632188A (en) Ergopunch
GB2255932A (en) Collapsible hand saw
US4640274A (en) Surgical needle extractor having a disposable chuck, a chuck and a handle
US5695229A (en) Interchangable shovel/scraper
US20030228200A1 (en) Circle cutting accessory for a powered rotary hand tool
US7310880B2 (en) Saber saw with an adjusting device for a saber saw guide
CN215384298U (zh) 手术持针钳
KR101845293B1 (ko) 안전 커터
US7290468B1 (en) Socket adapter having positioning effect
US20090205670A1 (en) Device and Cutting Tool for Removing Skin
US20050166405A1 (en) Cutting tool
KR20000022659A (ko)
US20130014392A1 (en) Cutting tool with adjustable cutting an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