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125A -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125A
KR20230145125A KR1020237030606A KR20237030606A KR20230145125A KR 20230145125 A KR20230145125 A KR 20230145125A KR 1020237030606 A KR1020237030606 A KR 1020237030606A KR 20237030606 A KR20237030606 A KR 20237030606A KR 20230145125 A KR20230145125 A KR 2023014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urbine
spark plug
combustor
abnormality
igni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유키 고지마
스스무 세키네
고조 도야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14Testing gas-turbine engines or jet-propuls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6Starting; Ignition
    • F02C7/264Ignition
    • F02C7/266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80Diagno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은,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와,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후퇴한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점화 플러그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진단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
본 개시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원은, 2021년 3월 19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 출원 2021-04535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가스 터빈의 연소기에서는, 점화 플러그를 이용하여 연료의 착화가 행하여진다.
특허문헌 1에는, 연소통 내의 위치와 연소통 밖의 위치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된 점화 플러그를 구비한 가스 터빈 연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연소기에서는, 연소통 내의 위치에 점화 플러그가 있을 때에 그 점화 플러그로 점화 불꽃을 발생시켜, 연소기에 공급된 연료에 착화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18051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소통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된 점화 플러그에서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 점화 플러그가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점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없게 되면, 연료에 착화할 수 없어, 가스 터빈을 적절하게 기동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기동 실패의 원인이 불명이면, 가스 터빈의 재기동 및 착화 실패를 쓸데없이 반복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는,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의 이상을 적절하게 검지 가능한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은,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와,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후퇴한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점화 플러그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진단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는, 연료를 분출하기 위한 연료 노즐과, 상기 연료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연료에 점화하도록 구성된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와,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상술한 이상 검지 시스템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은, 상술한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생성되는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터빈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은,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와,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후퇴한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점화 플러그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검출 스텝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의 이상을 적절하게 검지 가능한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상 진단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삽입 지령 신호 및 점화 플러그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의 타임 차트의 일례이다.
도 5는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단 장치에 의한 출력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고, 단순한 설명의 예에 불과하다.
(가스 터빈의 구성)
도 1은 몇몇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상 검지 시스템에 의한 진단 대상의 연소기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상 검지 시스템에 의한 진단 대상의 연소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터빈(1)은, 압축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압축기(2)와, 압축 공기 및 연료를 이용하여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연소기(4)와,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된 터빈(6)을 구비한다. 발전용의 가스 터빈(1)의 경우, 터빈(6)에는 도시하지 않은 발전기가 연결된다.
압축기(2)는, 압축기 차실(10) 측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 날개(16)와, 고정 날개(16)에 대하여 번갈아 배열되도록 로터(8)에 마련된 복수의 이동 날개(18)를 포함한다. 압축기(2)에는, 공기 흡입구(12)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보내지도록 되어 있고, 이 공기는, 복수의 고정 날개(16) 및 복수의 이동 날개(18)를 통과하여 압축됨으로써 고온 고압의 압축 공기가 된다.
연소기(4)에는, 연료와, 압축기(2)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그 연소기(4)에 있어서 연료가 연소되어, 터빈(6)의 작동 유체인 연소 가스가 생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터빈(1)은, 케이싱(20) 내에 로터(8)(로터 축선 C)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된 연소기(4)를 갖는다.
터빈(6)은, 터빈 차실(22)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 가스 통로(28)를 갖고, 그 연소 가스 통로(28)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 날개(24) 및 이동 날개(26)를 포함한다. 고정 날개(24)는 터빈 차실(22) 측에 고정되어 있고, 로터(8)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 날개(24)가 고정 날개 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동 날개(26)는 로터(8)에 마련되어 있고, 로터(8)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이동 날개(26)가 이동 날개 열을 구성하고 있다. 고정 날개 열과 이동 날개 열은, 로터(8)의 축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
터빈(6)에서는, 연소 가스 통로(28)에 흘러든 연소기(4)로부터의 연소 가스가 복수의 고정 날개(24) 및 복수의 이동 날개(26)를 통과함으로써 로터(8)가 로터 축선 C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것에 의해, 로터(8)에 연결된 발전기가 구동되어 전력이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터빈(6)을 구동한 후의 연소 가스는, 배기실(30)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복수의 연소기(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0)(도 1 참조) 내에 마련되는 연소통(40)과, 연소통(40) 내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노즐(32)(연료 노즐) 및 제 2 노즐(36)(연료 노즐)과, 점화 장치(50)를 포함한다.
제 1 노즐(32) 및 제 2 노즐(36)은, 각각, 연소 포트(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연료가 공급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연소통(40) 내에 연료를 분출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노즐(32) 및 제 2 노즐(36)의 주위에는 선회기(swirler)(34, 38)가 마련되어 있고, 압축기(2)(도 1 참조)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선회기(34, 38)를 거쳐서 연소통(40) 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노즐(32) 및 제 2 노즐(36)로부터 분출된 연료와, 선회기(34, 38)를 거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통(40) 내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형성된다.
점화 장치(50)는, 제 1 노즐(32) 및/또는 제 2 노즐(36)로부터 분출되는 연료를 포함하는 혼합기에 착화하도록 구성된다. 점화 장치(50)는, 점화 플러그(52)와, 점화 플러그(5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53)와, 구동부(53)에 의한 점화 플러그(5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8)를 포함한다.
점화 플러그(52)는, 불꽃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선단부(52a)를 갖는다. 점화 플러그(52)는, 구동부(53)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의해, 점화 플러그(5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소통(40) 내의 삽입 위치(102)와, 연소통(40)으로부터 후퇴한 퇴피 위치(101)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점화 플러그(52)의 축 방향은, 연소통(40)의 축 방향(제 1 노즐(32) 또는 제 2 노즐(36)의 축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다.
삽입 위치(102)는, 적어도 점화 플러그(52)의 선단부(52a)가 연소통(4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점화 플러그(52)의 특정한 위치이다. 점화 플러그(52)가 삽입 위치(102)에 있을 때에 점화 플러그(52)의 선단부(52a)에 불꽃이 발생되고, 그 불꽃에 의해 연소통(40) 내의 혼합기에 착화하도록 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삽입 위치(102)는, 점화 플러그(52)가 연소통(40)의 내부에 가장 삽입된 위치이다. 전형적으로는, 퇴피 위치는, 점화 플러그(52)가 연소통(40)으로부터 가장 후퇴한 위치이다. 점화 플러그(52)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점화 플러그(52)의 선단부(52a)는 연소통(40)의 밖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구동부(53)는, 삽입 위치(102)와 퇴피 위치(101)의 사이에서 점화 플러그(5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부(53)는, 공기압에 의해 점화 플러그(52)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구동부(53)는, 점화 플러그(5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실린더(58)와, 점화 플러그(52)에 연결됨과 아울러, 실린더(58)의 축 방향을 따라 실린더(58) 내에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54)을 포함한다. 실린더(58)의 내벽면과, 피스톤(54)에 의해, 점화 플러그(52) 측의 제 1 실(60)과, 그 반대쪽의 제 2 실(62)이 형성된다. 또, 실린더(58)는, 연소기(4)의 케이싱(20) 등의 정지부에 지지된다.
구동부(53)는, 실린더(58)에 공급하는 공기가 저류되는 공기원(72)과, 공기원(72)과 실린더(58)의 사이에 마련되는 공기 라인(74)과, 공기 라인(74)에 마련되는 공기 밸브(76)를 포함한다. 공기원(72)으로부터의 공기가, 공기 라인(74)을 통해서, 실린더(58)의 제 2 실(62)에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공기 밸브(76)에 의해 제 2 실(62)로의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부(53)는, 실린더(58)의 축 방향으로 제 1 실(60)로부터 제 2 실(62)로 향하는 방향으로 피스톤(54)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59)를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59)는, 제 1 실(60)에 마련된 용수철이다.
제어부(78)는, 가스 터빈(1)의 착화의 타이밍에, 점화 플러그(52)를 삽입 위치(102)에 위치시키기 위한 삽입 지령 신호를 점화 장치(50)에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밸브(76)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삽입 지령 신호가 제어부(78)로부터 공기 밸브(76)에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점화 장치(50)는,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동작한다. 점화 플러그(52)는, 통상, 퇴피 위치(101)에 위치한다. 점화 플러그(52)가 퇴피 위치(101)에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78)로부터 삽입 지령 신호가 송출되면, 삽입 지령 신호에 의해 공기 밸브(76)의 개방도가 조절되고, 실린더(58)의 제 2 실(62)에, 공기원(72)으로부터의 공기가 공기 라인(74)을 통해서 공급된다. 피스톤(54)에 작용하는 제 2 실의 공기압이 가압 부재(59)의 가압력을 이겨내고, 피스톤(54)이 제 2 실(62)로부터 제 1 실(60)로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 이때, 제 1 실(60) 내의 공기는, 도시하지 않은 방출부(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점화 플러그(52)가 퇴피 위치(101)로부터 삽입 위치(102)로 이동한다.
한편, 점화 플러그(52)가 삽입 위치(102)에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78)로부터의 삽입 지령 신호의 송출이 정지되면, 공기 밸브(76)가 닫히고, 공기원(72)으로부터 제 2 실(62)로의 공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피스톤(54)에 작용하는 가압 부재(59)의 가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제 1 실(60)로부터 제 2 실(62)로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 이때, 제 2 실(62) 내의 공기는, 도시하지 않은 방출부(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점화 플러그(52)가 삽입 위치(102)로부터 퇴피 위치(101)로 이동한다.
(이상 검지 시스템의 구성)
도 3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상 진단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 검지 시스템(100)은, 점화 플러그(52)가 삽입 위치(102)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70)와, 센서(7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50)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진단부(86)를 포함하는 진단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70)는, 장착부(66)를 통해서 실린더(58)에 지지된다. 또한, 센서(70)에 대향하도록, 점화 플러그(52)와 함께 점화 플러그(52)의 축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가동부(68)가 마련된다. 도 2에 나타내는 가동부(68)는, 점화 플러그(52)의 반대쪽에서 피스톤(54)에 연결되는 로드(56)에 장착되는 플랜지이다.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센서(70)는, 점화 플러그(52)가 삽입 위치(102)에 있는지 여부만을 검출 가능한 센서이다. 이 경우, 센서(70)는, 점화 플러그(52)가 삽입 위치(102)에 있을 때에만, ON 신호를 진단 장치(80)에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센서(70)는 접촉식의 센서(예컨대 리미트 센서)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센서(70)는, 센서(70)와 가동부(68)가 접촉하였을 때에, 상술한 ON 신호를 진단 장치(80)에 송출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혹은, 센서(70)는, 비접촉식의 센서(예컨대 와전류식 센서)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센서(70)는, 센서(70)와 가동부(68)가 소정의 거리까지 접근하였을 때에, 상술한 ON 신호를 진단 장치(80)에 송출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센서(70)는, 점화 플러그(52)의 이동 방향(점화 플러그(52)의 축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점화 플러그(52)의 변위량을 검출 가능한 센서이다. 이 경우, 센서(70)는, 점화 플러그(5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센서(70)와 가동부(68)의 사이의 거리 L을 검출하고, 검출된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진단 장치(80)에 송출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진단 장치(80)는, 센서(70)로부터의 점화 플러그(52)의 위치에 관한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 및/또는, 제어부(78)로부터의 삽입 지령 신호를 받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단 장치(80)는, 진단부(86)에 더하여, 삽입 시간 산출부(82), 삽입량 산출부(84), 또는 출력부(88) 중 적어도 1개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삽입 시간 산출부(82)는, 센서(7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퇴피 위치(101)에 있는 점화 플러그(52)의 삽입이 개시되고 나서 점화 플러그(52)가 삽입 위치(102)에 도달할 때까지의 삽입 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점화 장치(50)에 있어서, 실린더(58)의 고착이나 공기압 저하 등의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점화 플러그(52)의 삽입 개시로부터 삽입 완료까지에 걸리는 삽입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점화 플러그(52)의 삽입 시간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50)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삽입 시간 산출부(82)는, 제어부(78)로부터의 삽입 개시 신호를 받은 시각 t1(도 4 참조)로부터, 센서(70)가 삽입 위치(102)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은 시각 t2(도 4 참조)까지의 시간의 길이 TI를, 상술한 삽입 시간으로서 산출하더라도 좋다. 또, 도 4는 진단 장치(80)가 받는 삽입 지령 신호 및 점화 플러그(52)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의 타임 차트의 일례이다. 점화 플러그(52)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에 대하여, OFF는 점화 플러그(52)가 퇴피 위치(101)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ON은 점화 플러그(52)가 삽입 위치(102)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삽입량 산출부(84)는, 센서(7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점화 플러그(52)의 삽입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점화 장치(50)에 있어서, 실린더(58)의 고착이나 공기압 저하 등의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점화 플러그(52)의 삽입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점화 플러그(52)의 삽입량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50)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삽입량 산출부(84)는, 제어부(78)로부터의 삽입 개시 신호를 받은 시점 이후의 센서(70)와 가동부(68)의 사이의 거리 L(도 2 참조)에 기초하여, 제어부(78)로부터의 삽입 개시 신호를 받은 시점에 있어서의 상술한 거리 L과, 그 거리 L의 극소치(센서(70)와 가동부(68)가 가장 접근하였을 때의 거리 L)의 차분을, 점화 플러그(52)의 삽입량으로서 산출하더라도 좋다.
진단부(86)는, 삽입 시간 산출부(82)에 의해 산출된 삽입 시간, 또는, 삽입량 산출부(84)에 의해 산출된 삽입량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50)의 이상을 진단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출력부(88)는, 진단부(86)에 의한 진단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혹은, 출력부(88)는, 진단부(86)에 의해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출력부(88)는, 진단부(86)에 의한 진단 결과 또는 상술한 경보를 시각 정보 또는 청각 정보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등)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진단 장치(80)는, 프로세서(CPU 등), 기억 장치(메모리 디바이스; RAM 등), 보조 기억부 및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한 계산기를 포함한다. 진단 장치(8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센서(70) 및/또는 제어부(78)로부터의 신호를 받도록 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이와 같이 하여 받은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는, 기억 장치에 전개되는 프로그램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각 기능부(진단부(86), 삽입 시간 산출부(82), 삽입량 산출부(84) 또는 출력부(88))의 기능이 실현된다.
진단 장치(80)에서의 처리 내용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된다. 프로그램은, 보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더라도 좋다. 프로그램 실행 때에는, 이들 프로그램은 기억 장치에 전개된다. 프로세서는, 기억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연소통(40)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된 점화 플러그(52)에서는, 어떠한 요인(예컨대, 실린더(58)에 있어서의 고착이나, 실린더(58)로의 공기압 부족 또는 공기 공급 계통의 고장 등)에 의해 점화 플러그(52)가 연소통(40) 내의 삽입 위치(102)(점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없게 되면, 연료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연료에 착화할 수 없어, 가스 터빈(1)을 적절하게 기동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기동 실패의 원인이 불명이면, 가스 터빈(1)의 재기동 및 착화 실패를 쓸데없이 반복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상 검지 시스템(100)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52)가 연소통(40) 내의 삽입 위치(102)에 있는지 여부를 센서(70)에 의해 검출 가능하므로,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50)의 이상 진단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점화 장치(50)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라도, 가스 터빈(1)의 기동 중 또는 기동 전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가스 터빈(1)의 신속한 기동이 가능하게 된다.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진단부(86)는, 가스 터빈(1)의 기동 중이면서 연소기(4)에 있어서의 연료로의 착화 전에, 센서(7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50)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가스 터빈(1)의 기동 중이면서 연소기(4)에 있어서의 착화 전에 점화 장치(50)의 이상 진단을 하는 것에 의해, 가스 터빈(1)의 기동을 할 수 없었을 때에 그 원인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착화 실패에 따른 가스 터빈(1)의 쓸데없는 재기동의 횟수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흐름)
이하, 점화 장치(50)를 포함하는 연소기(4)의 이상 검지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도 7, 도 8은 각각,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1)용 연소기(4)의 이상 검지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이하에 있어서, 상술한 진단 장치(80)를 포함하는 이상 검지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을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을 실행하더라도 좋고, 혹은,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수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동으로 행하더라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센서(70)로서, 점화 플러그(52)가 삽입 위치(102)에 있는지 여부만을 검출 가능한 센서, 또는, 점화 플러그(52)의 변위량을 검출 가능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가스 터빈(1)의 기동 중이면서 연소기(4)에 있어서의 착화 전에, 제어부(78)로부터 점화 플러그(52)의 삽입 지령 신호가 송출된다. 이와 같이 송출된 삽입 지령 신호는, 진단 장치(80) 및 점화 장치(50)에 의해 수취된다(S102). 또, 삽입 지령 신호가 송출되기 직전까지, 점화 플러그(52)는 퇴피 위치(101)에 위치하고 있다.
스텝 S102에서 삽입 지령 신호를 받으면, 점화 장치(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여, 점화 플러그(52)가 퇴피 위치(101)로부터 삽입 위치(102)로 이동한다. 점화 플러그(52)가 삽입 위치(102)에 있는 것을 센서(70)가 검출하면, 이 검출 신호가 진단 장치(80)에 보내진다(S104).
삽입 시간 산출부(82)는, 스텝 S102에서 받은 삽입 지령 신호 및 스텝 S104에서 받은 센서(7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점화 플러그(52)의 삽입 시간 TI(도 4 참조)를 산출한다(S106).
다음으로, 진단부(86)는, 스텝 S106에서 산출된 삽입 시간 TI와 임계치를 비교한다(S108). 스텝 S108에서의 비교의 결과, 삽입 시간 TI가 임계치 이하일 때(S108에서 No), 진단부(86)는, 점화 장치(50)에 이상은 없다고 판정한다(S109). 한편, 스텝 S108에서의 비교의 결과, 삽입 시간 TI가 임계치보다 클 때(S108에서 Yes), 진단부(86)는,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한다(S110).
다음으로, 출력부(88)는, 스텝 S108~S110에서 얻어진 결과를 출력한다(S114). 스텝 S108~S110에서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스텝 S114에 있어서, 출력부(88)는, 경보를 출력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수순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스텝 S109)에는, 가스 터빈(1)의 기동을 완료시킨다. 한편, 상술한 수순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스텝 S110)에는, 가스 터빈(1)의 기동 수순을 정지하고, 점화 장치(50)의 점검을 행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을 없애고 나서, 가스 터빈(1)의 기동 수순을 다시 개시한다.
또, 진단 장치(80)는, 스텝 S106에서 삽입 시간을 산출할 때마다, 산출한 삽입 시간을 기억부(외부 기억 장치나 내부 기억 장치)에 축적하더라도 좋다. 출력부(88)는, 기억부에 축적된 삽입 시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6 참조)를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출력부(88)는, 스텝 S106에서 산출된 삽입 시간과 함께, 스텝 S108에서 이용하는 임계치 TIth(도 6 참조)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도 6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출력부(88)(진단 장치(80))에 의한 출력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과거에 산출된 삽입 시간의 시간 변화를 그래프로서 표현함으로써, 삽입 시간의 변화 경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삽입 시간이 임계치를 넘는 시기를 예측할 수 있어, 연소기(4)의 메인터넌스 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센서(70)로서, 점화 플러그(52)의 변위량을 검출 가능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S202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스텝 S102와 마찬가지로, 제어부(78)로부터의 삽입 지령 신호를 진단 장치(80) 및 점화 장치(50)가 받는다(S102).
스텝 S202에서 삽입 지령 신호를 받으면, 점화 장치(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여, 점화 플러그(52)가 퇴피 위치(101)로부터 삽입 위치(102)로 이동한다. 점화 플러그(52)의 변위량을 센서(70)가 검출하면, 이 검출 신호가 진단 장치(80)에 보내진다(S204).
삽입량 산출부(84)는, 스텝 S202에서 받은 삽입 지령 신호 및 스텝 S204에서 받은 센서(7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점화 플러그(52)의 삽입량을 산출한다(S206).
다음으로, 진단부(86)는, 스텝 S206에서 산출된 삽입량과 임계치를 비교한다(S208). 스텝 S208에서의 비교의 결과, 삽입량이 임계치 이상일 때(S208에서 No), 진단부(86)는, 점화 장치(50)에 이상은 없다고 판정한다(S209). 한편, 스텝 S208에서의 비교의 결과, 삽입량이 임계치보다 작을 때(S208에서 Yes), 진단부(86)는,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한다(S210).
다음으로, 출력부(88)는, 스텝 S208~S210에서 얻어진 결과를 출력한다(S214). 스텝 S208~S210에서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스텝 S214에 있어서, 출력부(88)는, 경보를 출력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수순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스텝 S209)에는, 가스 터빈(1)의 기동을 완료시킨다. 한편, 상술한 수순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스텝 S210)에는, 가스 터빈(1)의 기동 수순을 정지하고, 점화 장치(50)의 점검을 행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을 없애고 나서, 가스 터빈(1)의 기동 수순을 다시 개시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다.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동일한 변형예를 행하더라도 좋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진단 장치(80)에 있어서, 카운터(i)에 1을 설정한다(S301).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텝 S102~S106과 동일한 수순으로, 스텝 S302~S306을 행하여, 점화 플러그(52)의 삽입 시간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진단부(86)는, 스텝 S306에서 산출된 삽입 시간 TI와 임계치를 비교한다(S308). 스텝 S308에서의 비교의 결과, 삽입 시간 TI가 임계치 이하일 때(S308에서 No), 진단부(86)는, 점화 장치(50)에 이상은 없다고 판정하고(S309), 다음의 스텝 S314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308에서의 비교의 결과, 삽입 시간 TI가 임계치보다 클 때(S308에서 Yes이면서 S310에서 Yes), 점화 장치(50)에 이상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출력부(88)에 의해 경보를 출력함과 아울러(S316), 카운터(i)를 가산하여(S318), 스텝 S302~S308의 수순을 반복한다.
2회째의 스텝 S308에서의 비교의 결과, 삽입 시간 TI가 임계치 이하일 때(S308에서 No), 진단부(86)는, 점화 장치(50)에 이상은 없다고 판정하고(S309), 다음의 스텝 S314로 진행한다. 한편, 2회째의 스텝 S308에서의 비교의 결과, 삽입 시간 TI가 임계치보다 클 때(S308에서 Yes이면서 S310에서 NO), 진단부(86)는,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고(S312), 다음의 스텝 S314로 진행한다.
스텝 S314에서는, 도 5에 있어서의 스텝 S114와 마찬가지로, 출력부(88)는, 스텝 S308~S312에서 얻어진 결과를 출력한다(S314). 스텝 S308~S312에서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스텝 S314에 있어서, 출력부(88)는, 경보를 출력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수순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스텝 S309)에는, 가스 터빈(1)의 기동을 완료시킨다. 한편, 상술한 수순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스텝 S312)에는, 가스 터빈(1)의 기동 수순을 정지하고, 점화 장치(50)의 점검을 행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을 없애고 나서, 가스 터빈(1)의 기동 수순을 다시 개시한다.
점화 플러그(52)가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는 경우라도, 다시 동일한 동작을 시도하여 봄으로써, 점화 플러그(52)가 적절하게 동작하는 경우도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따르면, 점화 장치(50)에 이상이 있다고 일단 판정된 경우라도, 다시, 센서(70)에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점화 장치(50)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하였으므로, 점화 장치(50)의 이상 판정에 따른 가스 터빈의 기동 정지 횟수 또는 정지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용은, 예컨대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1)용의 연소기(4)의 이상 검지 시스템(100)은,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연소통(40) 내의 삽입 위치(102)와,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후퇴한 퇴피 위치(101)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점화 플러그(52)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70)와,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50)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진단부(86)를 구비한다.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가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므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점화 장치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라도, 가스 터빈의 기동 중 또는 기동 전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가스 터빈의 신속한 기동이 가능하게 된다.
(2)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시스템은,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퇴피 위치에 있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삽입이 개시되고 나서 상기 점화 플러그가 상기 삽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삽입 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삽입 시간 산출부(84)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삽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자들의 발견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점화 플러그의 삽입 개시로부터 삽입 완료까지에 걸리는 삽입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2)의 구성에 따르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점화 플러그의 삽입 개시로부터 삽입 완료까지에 걸리는 삽입 시간을 산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산출된 삽입 시간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을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다.
(3)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삽입 시간이 임계치보다 클 때에, 상기 점화 장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3)의 구성에 따르면, 센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산출되는 삽입 시간과 임계치의 비교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을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다.
(4)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시스템은,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플러그의 삽입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삽입량 산출부(84)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삽입량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자들의 발견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점화 플러그의 삽입 개시로부터 삽입 완료까지에 필요한 삽입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4)의 구성에 따르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점화 플러그의 삽입량을 산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산출된 삽입량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을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다.
(5)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삽입량이 임계치보다 작을 때에, 상기 점화 장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5)의 구성에 따르면, 센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산출되는 삽입량과 임계치의 비교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을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다.
(6)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점화 플러그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만을 검출 가능한 센서이다.
상기 (6)의 구성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가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만을 검출 가능한 센서를 이용하도록 하였으므로,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행할 수 있다.
(7)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점화 플러그의 변위량을 검출 가능한 센서이다.
상기 (7)의 구성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의 변위량을 검출 가능한 센서를 이용하도록 하였으므로, 점화 플러그의 위치를 정량적으로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점화 장치의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어,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보다 상세하게 행할 수 있다.
(8)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시스템은, 상기 진단부에 의해 상기 점화 장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88)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경보가 출력된 후, 다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다.
점화 플러그가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는 경우라도, 다시 동일한 동작을 시도하여 봄으로써, 점화 플러그가 적절하게 동작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8)의 구성에 따르면, 점화 장치에 이상이 있다고 일단 판정된 경우라도, 다시, 센서에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하였으므로, 점화 장치의 이상 판정에 따른 가스 터빈의 기동 정지 횟수 또는 정지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9) 몇몇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연소기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의 기동 중이면서 상기 연소기에 있어서의 착화 전에,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9)의 구성에 따르면, 가스 터빈의 기동 중이면서 연소기에 있어서의 착화 전에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하였으므로, 가스 터빈의 기동을 할 수 없었을 때에 그 원인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착화 실패에 따른 가스 터빈의 쓸데없는 재기동의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4)는, 연료를 분출하기 위한 연료 노즐(32, 36)과, 상기 연료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연료에 점화하도록 구성된 점화 플러그(52)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50)와,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상 검지 시스템(100)을 구비한다.
상기 (10)의 구성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가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므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점화 장치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라도, 가스 터빈의 기동 중 또는 기동 전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가스 터빈의 신속한 기동이 가능하게 된다.
(11)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1)은, 상기 (10)에 기재된 연소기(4)와, 상기 연소기에서 생성되는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터빈(6)을 구비한다.
상기 (11)의 구성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가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므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점화 장치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라도, 가스 터빈의 기동 중 또는 기동 전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가스 터빈의 신속한 기동이 가능하게 된다.
(12)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은,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와,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후퇴한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점화 플러그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S104, S204, S304)과, 상기 검출 스텝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는 스텝(S108~S110, S208~S210, S308~S312)을 구비한다.
상기 (12)의 방법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가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하였으므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점화 장치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라도, 가스 터빈의 기동 중 또는 기동 전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가스 터빈의 신속한 기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일은 없고, 상술한 실시형태에 변형을 가한 형태나, 이들 형태를 적당하게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와 같은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또는,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을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갖고 상대적으로 변위한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동일", "동일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일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또는,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을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각형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형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 부분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고 하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이 아니다.
1: 가스 터빈
2: 압축기
4: 연소기
6: 터빈
8: 로터
10: 압축기 차실
12: 공기 흡입구
16: 고정 날개
18: 이동 날개
20: 케이싱
22: 터빈 차실
24: 고정 날개
26: 이동 날개
28: 연소 가스 통로
30: 배기실
32: 제 1 노즐
34: 선회기
36: 제 2 노즐
38: 선회기
40: 연소통
50: 점화 장치
52: 점화 플러그
52a: 선단부
53: 구동부
54: 피스톤
56: 로드
58: 실린더
59: 가압 부재
60: 제 1 실
62: 제 2 실
66: 장착부
68: 가동부
70: 센서
72: 공기원
74: 공기 라인
76: 공기 밸브
78: 제어부
80: 진단 장치
82: 삽입 시간 산출부
84: 삽입량 산출부
86: 진단부
88: 출력부
100: 이상 검지 시스템
101: 퇴피 위치
102: 삽입 위치
C: 로터 축선

Claims (12)

  1.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의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와,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후퇴한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점화 플러그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진단부
    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퇴피 위치에 있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삽입이 개시되고 나서 상기 점화 플러그가 상기 삽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삽입 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삽입 시간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삽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삽입 시간이 임계치보다 클 때에, 상기 점화 장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플러그의 삽입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삽입량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삽입량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삽입량이 임계치보다 작을 때에, 상기 점화 장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점화 플러그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만을 검출 가능한 센서인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점화 플러그의 변위량을 검출 가능한 센서인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에 의해 상기 점화 장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경보가 출력된 후, 다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연소기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의 기동 중이면서 상기 연소기에 있어서의 착화 전에,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10. 연료를 분출하기 위한 연료 노즐과,
    상기 연료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연료에 점화하도록 구성된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와,
    상기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도록 구성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상 검지 시스템
    을 구비하는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
  11. 청구항 10에 기재된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생성되는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터빈
    을 구비하는 가스 터빈.
  12.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연소통 내의 삽입 위치와, 상기 연소통으로부터 후퇴한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점화 플러그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검출 스텝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점화 장치의 이상 진단을 하는 스텝
    을 구비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
KR1020237030606A 2021-03-19 2022-03-11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 KR202301451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5354 2021-03-19
JP2021045354 2021-03-19
PCT/JP2022/010821 WO2022196552A1 (ja) 2021-03-19 2022-03-11 ガスタービン用燃焼器の異常検知システム、ガスタービン用の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並びにガスタービン用燃焼器の異常検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125A true KR20230145125A (ko) 2023-10-17

Family

ID=8332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606A KR20230145125A (ko) 2021-03-19 2022-03-11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33771A1 (ko)
JP (1) JP7399346B2 (ko)
KR (1) KR20230145125A (ko)
CN (1) CN116981885A (ko)
DE (1) DE112022000623T5 (ko)
WO (1) WO202219655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051A (ja) 1998-07-07 2000-01-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点火方法と該点火方法に用いる点火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436A (ja) * 1990-06-18 1992-02-19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点火装置
JP6011875B2 (ja) * 2013-07-08 2016-10-19 Smc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の異常検出システム
JP6879285B2 (ja) 2018-11-20 2021-06-02 オムロン株式会社 異常検知装置、異常検知方法、および異常検知システム
JP7342557B2 (ja) 2019-09-19 2023-09-12 コクヨ株式会社 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051A (ja) 1998-07-07 2000-01-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点火方法と該点火方法に用いる点火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33771A1 (en) 2024-04-25
JPWO2022196552A1 (ko) 2022-09-22
CN116981885A (zh) 2023-10-31
DE112022000623T5 (de) 2023-11-09
WO2022196552A1 (ja) 2022-09-22
JP7399346B2 (ja)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4930B2 (ja) 内燃機関の燃焼室内への水噴射を診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02079629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diagnostic et de controle de la combustion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4663017B2 (ja) 点火用流体燃料噴射装置のための検査方法
US20150322863A1 (en) Localized Ignition Diagnostics
JP4906884B2 (ja)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CN106644451B (zh) 车用排气辅助制动阀的性能检测设备及其工作方法
US8564276B2 (en) Method and measurement device for determining a condition of an electric igniter of a gas turbine burner and an ignition device for a gas turbine burner
KR20230145125A (ko)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시스템, 가스 터빈용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용 연소기의 이상 검지 방법
US6474935B1 (en) Optical stall precursor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on axial flow compressors
CN106687676B (zh) 用于起动双燃料发动机的方法
WO2003060303A1 (en) A gas turbine apparatus and a starting method thereof
JP4823103B2 (ja) ガスエンジン及びこれの失火発生時運転方法
CN105971737A (zh) 一种提高冲压发动机点火成功率的时序控制方法
EP2339706A1 (en) Apparatus and assembly for a spark plug
JP2009133284A (ja) 内燃機関の燃焼診断方法および燃焼診断装置
JP7369069B2 (ja) ガスタービンの着火検知方法及び着火検知装置、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32407A (ja) 内燃機関の燃焼診断方法及びその装置
CN111855221A (zh) 一种燃气轮机燃烧状态监测方法及系统
JP4119575B2 (ja) ガスタービンの火炎検出装置
US10570846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40230757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apparatu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method
CN114264697B (zh) 一种火花塞陶瓷体缺陷在线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2469944A (zh) 燃气涡轮燃烧部段中的声学逆燃检测
ITMI20001041A1 (it) Procedimento atto all'esercizio di un sistema di alimentazione del carburante.
EP0956439B1 (en) A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mbustion sensor feedback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