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950A - 다층 자성 시트 - Google Patents

다층 자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950A
KR20230144950A KR1020230043542A KR20230043542A KR20230144950A KR 20230144950 A KR20230144950 A KR 20230144950A KR 1020230043542 A KR1020230043542 A KR 1020230043542A KR 20230043542 A KR20230043542 A KR 20230043542A KR 20230144950 A KR20230144950 A KR 20230144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gnetic
magnetic thin
sheet
magnet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오 구리야마
고오헤이 미야노
유이치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테리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테리아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테리아루
Publication of KR2023014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95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ke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3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showing low dimensional magnetism, i.e. spin rearrangements due to a restriction of dimensions, e.g. showing giant magnetoresistivity
    • H01F1/0045Zero dimensional, e.g. nanoparticles, soft nanoparticles for medical/biological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3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containing nanocrystallites, e.g. obtained by annea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6Preventing or reducing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1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01F41/0226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from amorphous ribb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8Magnetic, para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08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based on Fe/N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공정수가 많아지기 어려운 다층 자성 시트를 제공한다.
짧은 변과 긴 변을 갖는 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자성 박대가 상기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층(310)과, 복수의 자성 박대가 상기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제1 층(310)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배치된 제2 층(320)과, 복수의 자성 박대가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제1 층(310)에 있어서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된 제3 층(330)을, 적어도 각 1층 구비하고, 제1 층(310)에 있어서의 긴 변의 위치와, 제3 층(330)에 있어서의 긴 변의 위치가,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0.5㎜ 이상 이격되어 있다.

Description

다층 자성 시트{MULTI-LAYER MAGNETIC SHEET}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2차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비접촉 충전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다층 자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근년, 급전측과 수전측의 양쪽에 전송 코일을 마련하고,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전력 전송에 의해 충전하는 비접촉 충전이 주목받고 있다. 비접촉 충전에 있어서, 급전 장치의 1차 전송 코일에 발생한 자속은 급전 장치와 수전 장치의 하우징을 통해 수전 장치의 2차 전송 코일에 기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급전이 행해진다.
비접촉 충전은, 예를 들어 태블릿형 정보 단말기나, 뮤직 플레이어나,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대하여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비접촉 충전은, 상술한 것 이외의 전자 기기나, 전기 자동차나, 드론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또한, 포크리프트,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등의 운반차, 철도, 노면 전차 등에도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비접촉 충전에 있어서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전송 코일에 있어서의 급전 장치와 수전 장치의 접촉면과는 반대측에, 코일 요크로서 자성 시트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자성 시트에는, 충전 시에 있어서의 자속의 누설을 방지하는 자기 실드재로서의 역할이나, 충전 중에 코일에서 발생한 자속을 환류시키는 요크 부재로서의 역할 등이 있다.
상술한 자성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특허문헌 1 내지 3에는, Q값의 향상 또는 와전류손의 저감을 목적으로 한, 자성 시트에 포함되는 박판형 자성체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 등(이하 '자성 박대'라고도 표기함)을 복수로 분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와 비교하여,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비접촉 충전의 경우,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근접해서 배치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비교적 넓은 간격이 있는 상태에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전자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에서 전송하는 전력도 비교적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1차 코일에 흘리는 전류도 비교적 커지고,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자속도 비교적 크게 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비교적 커지고,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에 사용하고 있던 자성 시트에서는 크기가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속이 비교적 커지기 때문에, 자속이 다른 기기로 누설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성 시트에 포함되는 자성 박대는 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자성 박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폭은,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비접촉 충전에는 좁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복수의 자성 박대를 판 형상으로 배열함과 함께, 판 형상으로 배열한 복수의 자성 박대를 또한 두께 방향으로 중첩시키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4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자성 박대가 배치되는 면의 폭도 넓게 하기 쉽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12830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15-505166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20-2356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19-522355호 공보
특허문헌 4에 기재된 기술은, 단층의 자성 박대를 적층하는 방법이다.
특허문헌 4에서는, 복수개의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 시트가 m×n의 행렬 구조로 배열된 형태가 개시되고, 특허문헌 4의 도 10에서는, 복수개의 분할 시트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는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비접촉 충전용 자성 시트에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용 자성 시트에 비하여, 보다 다층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고, 가로 방향으로도 배열하여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 다층 자성 시트의 구성을 검토할 때, 특허문헌 4에 개시된 다른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도 하나의 수단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성 박대를 가로로 배열하고, 세로로 적층할 때, 자성 박대를 다른 방향으로 배열해 보았다. 그 개념도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은 평면도이며, 최상부의 층에는 세로 방향으로 긴 복수의 자성 박대(901)가 나란히 배치되고, 그 하층에는 방향을 바꾸어 복수의 자성 박대(902)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시작(試作)한바, 기대하는 특성을 얻지는 못하였다.
본 개시는, 자성 박대를 다층으로 적층하고, 자성 박대의 방향을 바꾸어 적층한 다층 자성 시트이며, 자기 특성이 양호한 다층 자성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도 13에 도시한 다층 자성 시트에 있어서, 기대하는 특성을 얻지 못한다는 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자성 박대(901) 및 자성 박대(902)를 다른 방향으로 적층했을 때, 도 13의 동그라미 G로 나타낸 부분에 착안하였다. 이 동그라미 G로 나타낸 부분은, 자성 박대의 간격이 생기는 부분이며, 그 자성 박대의 간격이, 적층 방향으로 연속해서 생기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자성 박대의 간격('자기갭'이라고도 함)이 적층 방향으로 연속해서 생긴 경우, 다층 자성 시트의 투자율의 저하, 및 Q값의 저하가 생기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에, 자성 박대의 적층 방향으로 자기갭이 연속해서 형성되지 않는 구성을 검토하고, 본 개시의 구성을 발명하였다.
본 개시의 형태에 관한 다층 자성 시트는, 짧은 변과 긴 변을 갖는 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자성 박대가 상기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층과,
상기 복수의 자성 박대가 상기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2 층이며, 상기 제2 층에 있어서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제1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배치된 제2 층과,
상기 복수의 자성 박대가 상기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3 층이며, 상기 제3 층에 있어서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제1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된 제3 층을, 적어도 각 1층 구비하는 다층 자성 시트이며,
상기 제1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의 위치와, 상기 제3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의 위치가, 상기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0.5㎜ 이상 이격되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형태에 관한 다층 자성 시트는, 상기 복수의 자성 박대가 상기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4 층이며, 상기 제4 층에 있어서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제2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된 제4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의 위치와, 상기 제4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의 위치가, 상기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0.5㎜ 이상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다층 자성 시트에 의하면, 자성 박대의 적층 방향으로 연속하는 자기갭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다층 자성 시트에 있어서의 자기 특성의 악화를 방지하여, 투자율이 높고, Q값이 높은 다층 자성 시트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층 자성 시트에 의하면, 자성 박대의 적층 방향으로 연속하는 자기갭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자기 특성을 구비하는 다층 자성 시트가 얻어진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의한 다층 자성 시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다층 자성 시트에 있어서의 제1 층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며, 도 2의 (B)는, 다층 자성 시트에 있어서의 제2 층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다층 자성 시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다층 자성 시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다층 자성 시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다층 자성 시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자성 시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1 권출 롤로부터 공급되는 적층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권출 롤로부터 공급되고, 수지 시트가 박리된 적층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권출 롤로부터 공급되는 자성 박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첩부 롤에 의해, 자성 박대가 점착층에 접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크랙 롤에 의해 자성 박대에 크랙이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다층 자성 시트(4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다층 자성 시트(400)는, 비접촉 방식의 충전 기기에 사용된다. 충전 기기의 급전 장치에 사용되어도 되고, 수전 장치에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층 자성 시트(400)가 스마트폰 등의 정보 처리 기기나 전자 기기보다도 소비 전력이 큰 기기에 대한 비접촉 충전에 사용되는 예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다층 자성 시트(400)가 자동차 등의 이동체에 대한 비접촉 충전에 사용되는 예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또한, 다층 자성 시트(400)는, 정보 처리 기기나 전자 기기 등의 비접촉 충전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포크리프트, AGV 등의 운반차, 철도, 노면 전차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다층 자성 시트(400)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다층 자성 시트(400)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다층 자성 시트(400)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띠형으로 형성된 자성 박대(300)가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 층이 다층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층 자성 시트(400)에는, 하기하는 제1 층(310), 제2 층(320) 및 제3 층(330)을 각각 1층 이상 구비하고 있다.
제1 층(310)은,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변과 긴 변을 갖는 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자성 박대(300)를 갖고 있다. 복수의 자성 박대(300)는, 긴 변(300L)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층(320)은,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변과 긴 변을 갖는 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자성 박대(300)를 갖고 있다. 복수의 자성 박대(300)는, 긴 변(300L)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층(320)에서는,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이, 제1 층(310)에 있어서의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3 층(3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변과 긴 변을 갖는 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자성 박대(300)를 갖고 있다. 복수의 자성 박대(300)는, 긴 변(300L)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3 층(330)에서는,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제1 층(310)(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냄)에 있어서의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층(310)에 있어서의 긴 변(300L)의 위치와 제3 층(330)에 있어서의 긴 변(300L)의 위치가,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0.5㎜ 이상 이격되어 있다. 이 이격된 거리를 D로 나타낸다. 또한, 제1 층(310)과 제3 층(330)의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서는 제1 층(310)과 제3 층(330) 사이에 제2 층(320)을 구비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다층 자성 시트(400)는, 하기하는 제4 층(340)을 1층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4 층(3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변과 긴 변을 갖는 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자성 박대(300)를 갖고 있다. 복수의 자성 박대(300)는,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4 층(340)에서는,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이, 제2 층(320)(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냄)에 있어서의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층(320)에 있어서의 긴 변(300L)의 위치와 제4 층(340)에 있어서의 긴 변(300L)의 위치가,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0.5㎜ 이상 이격되어 있다. 이 이격된 거리를 D로 나타낸다.
이 제1 층(310), 제2 층(320) 및 제3 층(330)을 각각 1층 이상 구비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자성 박대(300)의 적층 방향으로 연속하는 자기갭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층(310), 제2 층(320), 제3 층(330) 및 제4 층(340)을 각각 1층 이상 구비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자성 박대(300)의 적층 방향으로 연속하는 자기갭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층(310)으로부터 제3 층(330)을 배열하는 순번, 또는 제1 층(310)으로부터 제4 층(340)을 배열하는 순번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각각의 사용하는 층수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두께 방향은, 제1 층(310), 제2 층(320), 제3 층(330)이 적층된 방향이라고도 표기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 자성 시트(400)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판형 또는 시트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1 층(310), 제2 층(320), 제3 층(330), 및 제4 층(340)을 구성하는 복수의 자성 박대(300)는 긴 변(300L)을 인접시켜 배치되고, 짧은 변(300S)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짧은 변(300S)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자성 박대(300)의 간격은, 0㎜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층을 구성하는 자성 박대(300)는, 짧은 변(300S)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2 이상 20 이하의 수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0 이상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의 자성 박대(300)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예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1개의 자성 박대(300)가 배치되어 있는 예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또한,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자성 박대(300)가 배치되는 수는 1개보다 많아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 박대(300)에 있어서의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의 길이 L이 100㎜ 이상 1000㎜ 이하의 범위이며, 짧은 변(300S)이 연장되는 방향의 폭 Wr이 10㎜ 이상 100㎜ 이하의 범위인 예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또한, 자성 박대(300)에 있어서의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의 길이 L이 상술한 범위 이외여도 되고, 짧은 변(300S)이 연장되는 방향의 폭 Wr이 상술한 범위 이외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층 자성 시트(400)에 있어서의 길이 L이 100㎜ 이상 1000㎜ 이하의 범위이며, 폭 Ws가 100㎜ 이상 1000㎜ 이하의 범위인 예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여기서, 길이 L은, 다층 자성 시트(400)를 구성하는 제1 층(310)에 있어서의 자성 박대(300)의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이며, 폭 Ws는, 제1 층(310)에 있어서의 자성 박대(300)의 짧은 변(300S)이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이다. 또한, 다층 자성 시트(400)에 있어서의 길이 L이 상술한 범위 이외여도 되고, 폭 Ws가 상술한 범위 이외여도 된다.
본 개시의 다층 자성 시트(400)는, 예를 들어 제1 층(310)과 제3 층(330)과 같이, 긴 변(300L)의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자성 박대(300)를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동일 치수의 자성 박대(300)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경우, 다층 자성 시트(400)의 단부면측에서, 자성 박대(300)의 단부면이 맞춰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자성 박대(300)의 단부면이 맞춰지지 않는 상태여도 된다.
또한, 치수(폭 방향의 치수)가 다른 자성 박대(300)를 사용하고, 다층 자성 시트(400)의 단부면측에서, 자성 박대(300)의 단부면이 맞춰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 자성 시트(400)는, 단면에서 볼 때 제1 층(310) 내지 제3 층(330)을 두께 방향으로 중첩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다층 자성 시트(400)는, 제1 층(310) 내지 제4 층(340)을 두께 방향으로 중첩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제1 층(310) 내지 제4 층(340) 이외의 구성의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6에 도시한 다층 자성 시트(400)에는, 수지 시트(1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적층 단부(401) 또는 제2 적층 단부(402)에는 상기 수지 시트(15)가 적층되지 않아도 된다. 자성 박대(300)가 노출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제1 적층 단부(401) 또는 제2 적층 단부(402)에, 아몰퍼스 합금 박대, 또는 나노 결정 합금 박대, 혹은 다른 자성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수지 시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외층재를 첩부해도 된다.
다층 자성 시트(400)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자성 박대의 수는, 합계로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자성 박대의 수의 상한은, 특별히 설정하지는 않는다. 필요한 수를 적층하면 된다. 예를 들어, 2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 층(310) 및 제2 층(320)은, 제1 층(310)의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과, 제2 층(320)의 긴 변(300L)이 연장되는 방향이 교차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교차하는 각도가 90±1도가 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또한, 제1 층(310) 및 제4 층(340) 사이, 제3 층(330) 및 제2 층(320) 사이, 제3 층(330) 및 제4 층(340) 사이도 마찬가지로 교차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교차하는 각도가 90±1도가 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자성 박대(300)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합금 조성이 Fe기 또는 Co기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고, 나노 결정 합금 또는 아몰퍼스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성 박대(300)는, 특히 나노 결정 합금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박대(이하, '나노 결정 합금 박대'라고도 표기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 결정 합금 박대로서는, 나노 결정화가 가능한 비정질 합금 박대에 나노 결정화의 열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나노 결정 합금 박대를 사용할 수 있다. 나노 결정화의 열처리 시, 나노 결정화가 가능한 비정질 합금 박대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나노 결정화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몰퍼스 합금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박대를 아몰퍼스 합금 박대, 또는 비정질 합금 박대라고도 표기한다.
나노 결정 합금 박대는, 다음의 일반식에 의해 표시되는 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Fe1-aMa)100-x-y-z-α-β-γCuxSiyBzM'αM"βXγ(원자%)
상기 일반식 중에서, M은 Co 및/또는 Ni이며, M'는 Nb, Mo, Ta, Ti, Zr, Hf, V, Cr, Mn 및 W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이며, M"는 Al, 백금족 원소, Sc, 희토류 원소, Zn, Sn 및 R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이며, X는 C, Ge, P, Ga, Sb, In, Be 및 A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이며, a, x, y, z, α, β 및 γ는 각각 0≤a≤0.5, 0.1≤x≤3, 0≤y≤30, 0≤z≤25, 5≤y+z≤30, 0≤α≤20, 0≤β≤20 및 0≤γ≤20을 충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에 있어서, a, x, y, z, α, β 및 γ는, 각각 0≤a≤ 0.1, 0.7≤x≤ 1.3, 12≤y≤17, 5≤z≤10, 1.5≤α≤5, 0≤β≤1 및 0≤γ≤1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 박대(300)가, Fe-Cu-Nb-Si-B계의 나노 결정 합금인 박대(히타치 긴조쿠사제 FT-3)의 예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또한, 자성 박대(300)는, 상기 일반식에 의해 표시되는 다른 조성을 갖는 나노 결정 합금 박대여도 되고, 아몰퍼스 합금 박대여도 된다.
자성 박대(300)가 나노 결정 합금 박대인 경우에는, 자성 박대(300)가 아몰퍼스 합금 박대인 경우보다도 기계적으로 무르다. 자성 박대(300)가 나노 결정 합금 박대인 경우에는, 자성 박대(300)에 직접 외력을 부여하여 크랙(21)을 형성할 때에, 작은 외력으로 크랙(21)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성 박대(300)가 나노 결정 합금 박대인 경우에는, 자성 박대(300)의 표면에 요철을 실질적으로 형성하지 않고 크랙(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자성 박대(300)의 평면 상태를 양호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자성 박대(300)와 점착층(10)을 접합한 후에 발생하는 자성 박대(300)의 형상의 경시 변화가 작아진다. 자성 박대(300)에 있어서의 자기 특성의 경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자성 박대(300)로서는, 예를 들어 롤 급랭에 의해 제조된 두께가 100㎛ 이하의 합금 박대를 사용할 수 있다. 자성 박대(300)의 두께는,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또한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25㎛ 이하가 바람직하며, 특히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가 얇으면 자성 박대(300)의 취급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자성 박대(300)의 두께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0㎛ 이상이 바람직하다.
다층 자성 시트(400)에 있어서, 각 자성 박대(300)는 적층하여 서로 접착된다.
본 개시의 다층 자성 시트(400)에 있어서, 자성 박대(300)로서, 자성 박대(300)의 한 면에 점착층(10)이 형성된 후술하는 자성 시트(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자성 시트(100)는 점착층(10)을 구비하고, 다른 자성 박대(300)와의 접착이 가능하며, 자성 박대(300)를 적층하고, 접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2는, 자성 시트(100)의 구조를 설명하는 폭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자성 시트(100)는,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자성 박대(300)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자성 시트(1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층의 점착층(10)와, 1층의 수지 시트(15)와, 1층의 자성 박대(300)가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자성 박대(300)를 적층할 때, 자성 시트(100)로부터 수지 시트(15)를 박리하고, 점착층(10)에 다른 자성 박대를 접착시킨다.
점착층(10)은 자성 박대(300)가 첩부되는 부재이다. 또한 점착층(10)은 긴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 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막형의 부재이다. 점착층(10)에는, 지지체(11)와, 점착제(12)가 주로 마련되어 있다.
지지체(11)는, 긴 형상으로 형성된 띠형의 막 부재, 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막 부재이다. 지지체(11)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12)는, 지지체(11)에 있어서의 제1 면(11A) 및 제2 면(11B)에 막형 또는 층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점착제(12)는, 예를 들어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의 접착제, 실리콘계의 접착제, 우레탄계의 접착제,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등의, 공지된 접착제를 점착제(12)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의 접착제는, 내열성, 내습성이 우수하고, 또한, 접착 가능한 재질도 폭넓기 때문에, 점착제(12)로서 바람직하다.
점착제(12)는, 지지체(11)의 제1 면(11A) 및 제2 면(11B)에, 층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체(11)의 제1 면(11A) 및 제2 면(11B)의 전체면에 점착제(12)가 마련된 예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자성 박대(300)는, 자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긴 형상의 띠형으로 형성된 박대이다. 자성 박대(300)에는 크랙(21)이 형성되어 있다. 자성 박대(300)는, 크랙(21)에 의해 복수의 소편(22)으로 분할되어 있다. 다시 말해, 자성 박대(300)는 복수의 소편(22)을 포함한다. 크랙(21)이란, 자성 박대(300)에 형성되는 자기적인 갭을 가리키며, 예를 들어 자성 박대(300)의 깨짐 및/또는 균열이 포함된다.
자성 박대(300)에 크랙(21)을 형성함으로써, 다층 자성 시트(400)를 인덕터용 자성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Q값의 향상을 도모하기 쉬워진다. 또한, 다층 자성 시트(400)를 자기 실드용 자성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성 박대(300)의 전류로를 분단하여 와전류손을 저감시키기 쉬워진다.
자성 박대(300)는, 점착층(10)의 점착제(12)에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착층(10)의 제1 면(11A)에 마련된 점착제(12)에 자성 박대(300)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자성 박대(300)와 점착층(10)은 다음 식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2㎜≤(폭 A-폭 B)≤3㎜
폭 A는, 점착층(10)에 관한 치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층(10)에 있어서의 자성 박대(300)가 접착되는 점착제(12)가 마련된 영역에 관한 치수이다. 폭 B는, 자성 박대(300)에 관한 치수이다. 또한, 점착제(12)가 점착층(10)의 지지체(11)의 전체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폭 A는, 점착층(10) 또는 지지체(11)에 관한 치수이다.
여기서, (폭 A-폭 B)의 하한은, 0.5㎜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A-폭 B)의 상한은, 2.5㎜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성 박대(300)와 점착층(10)은, 별도의 다음 식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간극 a 및, 0㎜<간극 b
본 개시의 자성 시트(100)에서는, 점착층(10)에 있어서의 점착제(12)가 마련된 점착층(10)의 폭 A가, 자성 박대(300)의 폭 B보다도 넓어진다. 점착층(10)에 자성 박대(300)를 첩부할 때에, 점착층(10)이나 자성 박대(300)에 사행이 발생하여도, 자성 박대(300)의 전체면에 점착층(10)의 점착제(12)가 배치되기 쉬워진다.
폭 A에서 폭 B를 뺀 값을 0.2㎜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착층(10)에 자성 박대(300)를 첩부할 때에, 자성 박대(300)에 점착제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의 발생을 방지하기 쉽다. 폭 A에서 폭 B를 뺀 값을 3㎜ 이하로 함으로써, 자성 시트(100)에 있어서의 자성 박대(300)로서 배치했을 때, 자성 박대(300) 사이의 간격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이에 의해, 자성 시트(100)를 병렬하여 배열했을 때에, 자성 박대(300) 사이의 간격(자기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간극 a 및 간극 b는, 점착층(10)의 단부로부터 자성 박대(300)의 단부까지의 거리이다. 구체적으로는 간극 a는, 점착층(10)의 제1 점착층 단부(10X)로부터, 자성 박대(300)의 제1 박대 단부(20X)까지의 거리이다. 간극 b는, 점착층(10)의 제2 점착층 단부(10Y)로부터, 자성 박대(300)의 제2 박대 단부(20Y)까지의 거리이다.
제1 박대 단부(20X)는, 자성 박대(300)에 있어서의 제1 점착층 단부(10X)와 동일한 측의 단부이다. 제2 점착층 단부(10Y)는, 점착층(10)의 제1 점착층 단부(10X)와 반대측의 단부이다. 제2 박대 단부(20Y)는, 자성 박대(300)에 있어서의 제2 점착층 단부(10Y)와 동일한 측의 단부이다.
폭 A, 폭 B, 간극 a 및 간극 b는, 자성 박대(30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이다. 자성 박대(300)의 길이 방향과, 점착층(10)의 길이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 박대(300)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20,000m인 예에 적용시켜, 본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자성 시트(100)의 제작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점착층(10) 또는 지지체(11)에 관한 치수인 폭 A가 32㎜이며, 자성 박대(300)에 관한 치수인 폭 B가 30㎜이며, 폭 A-폭 B는 2㎜인 예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수지 시트(15)는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 막형의 부재이며, 보호 필름, 릴리스 필름 또는 라이너라고도 표기되는 부재이다. 수지 시트(15)는, 자성 박대(300)나 다층 자성 시트(400)의 보호에 사용되는 부재이다.
수지 시트(15)는, 자성 박대(300)에 의도치 않은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후술하는 크랙(21)(또는 복수의 크랙(21)끼리를 그물눈형으로 연결하는 크랙)이 불필요하게 늘어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자성 박대(300)의 소편(22)이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이나, 자성 박대(300)가 녹스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수지 시트(15)는, 다층 자성 시트(400)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할 때에 불필요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불필요한 변형으로서는, 표면의 요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지 시트(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층(10)과 함께 적층되어도 되고, 단체로 적층되어도 된다.
수지 시트(15)는,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 막형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력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 부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15)가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 부재이면, 수지 시트(15)의 탄성력에 의해, 자성 박대(300)의 표면에 있어서의 요철의 발생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자성 박대(300)의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여도, 수지 시트(15)의 탄성력에 의해, 자성 박대(300)의 요철이 평탄해지기 쉽다. 자성 박대(300)의 평면 상태를 요철이 적은 양호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층 자성 시트(400)에 있어서의 자기 특성의 경시 변화를 작게 하기 쉽다.
수지 시트(15)는, 인장 탄성률의 하한이 0.1GPa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의 인장 탄성률이 0.1GPa 이상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기 쉽다. 인장 탄성률의 하한은 0.5GPa가 바람직하고, 1.0GPa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의 인장 탄성률의 상한은 10G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GPa를 초과하면, 후술하는 크랙(21)을 형성할 때, 합금 박대의 변형을 억제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인장 탄성률의 상한은 9GPa가 바람직하고, 8GPa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15)는, 수지 시트(15)의 두께가 1㎛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15)의 두께가 증가하면, 다층 자성 시트(400)가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다층 자성 시트(400)를 곡면 또는 굴곡면을 따라 배치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수지 시트(15)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수지 시트(15)의 변형이 용이해진다. 수지 시트(15)의 취급이 어려워져서, 수지 시트(15)에 의한 자성 박대(300)를 지지하는 기능을 충분히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수지 시트(15)가 보호 필름인 경우에는, 수지 시트(15)의 강도가 약해져서, 자성 박대(300) 등을 보호하는 기능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다.
수지 시트(15)는,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 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내열성 및 유전 손실의 관점에서, 폴리아미드 및 폴리이미드가 수지 시트(15)를 형성하는 수지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도 7은, 자성 시트(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자성 시트(10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다층 자성 시트(400)의 자성 박대(300)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자성 시트(100)는, 도 7에 도시한 제조 장치(500)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제조 장치(500)에는, 제조 공정의 상류부터 하류를 향하여, 제1 권출 롤(510)과, 제1 권취 롤(520)과, 제2 권출 롤(530)과, 첩부 롤(540)과, 크랙 롤(550)과, 평탄화 롤(560)과, 제3 권취 롤(570)이 주로 마련되어 있다. 제조 장치(500)에는, 복수의 유도 롤(580)이 더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유도 롤(580)은 기재하지 않은 위치에도 필요에 따라 배치할 수 있다.
도 8은, 제1 권출 롤(510)로부터 공급되는 적층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제1 권출 롤(510)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층(10)의 제1 면(11A) 및 제2 면(11B)에 수지 시트(15)가 적층된 적층체가 권취되어 있다. 제1 면(11A)에 배치된 수지 시트(15)는 보호 시트이며, 제2 면(11B)에 배치된 수지 시트(15)는 라이너라고도 표기한다. 제1 면(11A)에 배치된 수지 시트(15)는, 제2 면(11B)에 배치된 수지 시트(15)보다도 두께가 얇은 시트이다.
도 9는, 제1 권출 롤(510)로부터 공급되고, 수지 시트(15)가 박리된 적층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제1 권출 롤(510)로부터 권출된 적층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면(11A)에 배치된 수지 시트(15)가 박리된다. 박리된 수지 시트(1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취 롤(520)에 권취된다.
도 10은, 제2 권출 롤(530)로부터 공급되는 자성 박대(3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제1 면(11A)에 배치된 수지 시트(15)가 박리된 적층체는, 복수의 유도 롤(580)에 의해, 첩부 롤(540)로 유도된다. 첩부 롤(540)에는, 또한 제2 권출 롤(530)로부터 권출된 자성 박대(300)가 유도되어 있다. 첩부 롤(540)로 유도되는 자성 박대(300)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랙(21)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제2 권출 롤(530)로부터 권출되는 자성 박대(3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자성 박대(300)가 나노 결정 합금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성 박대(300)는, 합금 용탕을 급랭하여, 나노 결정화가 가능한 아몰퍼스 합금 박대를 얻는 공정과, 이 아몰퍼스 합금 박대를 결정화 개시 온도 이상에서 열처리하여 미세한 결정립을 형성시키는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상술한 급랭은, 회전하는 냉각 롤 위에 용탕을 토출하여 급랭 응고시키는 단 롤법에 의해 행해진다. 자성 박대(300)는 냉각 롤의 회전 방향을 따른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긴 형상을 갖는다. 자성 박대(30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20,000m를 들 수 있다.
상술한 열처리의 온도는, 합금 조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450℃ 이상이다. 미세한 결정립은, 예를 들어 Si 등이 고용된 체심 입방 격자 구조의 Fe이다. 이 미세한 결정립의 분석은, X선 회절 및 투과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나노 결정 합금에 있어서는, 나노 결정 합금의 적어도 50체적%가, 최대 치수로 측정한 입경의 평균이 100nm 이하인 미세한 결정립으로 점유된다. 또한, 나노 결정 합금 중에서 미세 결정립 이외의 부분은 주로 비정질이다. 미세 결정립의 비율은 실질적으로 100체적%여도 된다.
도 11은, 첩부 롤(540)에 의해, 자성 박대(300)가 점착층(10)에 접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첩부 롤(54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시트(15)가 박리된 적층체에 자성 박대(300)를 압박해서 접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롤 사이에, 적층체와 자성 박대(300)를 유도하고, 2개의 롤을 사용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층(10)의 제1 면(11A)에 자성 박대(300)를 압박해서 접착된다.
자성 박대(300)는, 점착층(10)과 폭 방향에 있어서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중심이 이격되어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0㎜<간극 a, 및 0㎜<간극 b의 관계(도 12 참조)를 충족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자성 박대(300)가 접착된 적층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첩부 롤(540)로부터 크랙 롤(550)로 유도된다.
도 12는, 크랙 롤(550)에 의해 자성 박대(300)에 크랙(21)이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크랙 롤(550)은, 점착층(10)에 접착된 자성 박대(300)에 크랙(21)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롤 사이에, 자성 박대(300)가 접착된 적층체를 유도하고, 2개의 롤 중 돌기가 마련된 롤을 자성 박대(300)에 압박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랙(21)을 형성한다.
2개의 롤 중 돌기가 마련되지 않은 롤은, 수지 시트(15)가 박리된 적층체측에 배치되어 있다. 크랙(21)이 형성된 자성 박대(300)에는 복수의 소편(22)이 포함된다. 복수의 소편(22)은, 점착층(10)에 접착된다.
여기서, 크랙 롤(5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크랙 롤(550)은, 복수의 볼록형 부재를 둘레면에 배치한 롤이다. 크랙 롤(550)의 볼록형 부재의 단부의 선단은 평탄, 송곳형, 중앙이 우묵하게 들어가는 역송곳형, 또는 통형이어도 된다. 복수의 볼록형 부재는, 규칙적으로 배치되어도 되고, 불규칙하게 배치되어도 된다.
긴 자성 박대(300)를 크랙 롤(550)에 압박하거나, 또는 긴 자성 박대(300)를 2개의 크랙 롤(550)의 사이에 통과시키거나 함으로써, 자성 박대(300)에 크랙(21)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자성 박대(300)의 표면의 복수 개소에 크랙 롤(550)의 볼록형 부재가 압박되고, 자성 박대(300)에 복수의 크랙(21)이 형성된다.
크랙 롤(550)을 사용한 크랙의 형성에서는, 또한, 복수의 크랙(21)끼리를 그물눈형으로 연결하는 크랙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자성 박대(300)에 크랙 롤(550)을 압박해서 복수의 크랙(21)을 형성한 후, 상기 복수의 크랙(21)끼리를 그물눈형으로 연결하는 크랙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크랙 롤(550)을 사용하여 자성 박대(300)에 직접 외력을 부여하여 크랙(21)을 형성한 후, 자성 박대(300)를 만곡하거나, 권취하거나 하는 등의 수단에 의해 제2 외력을 부여하여, 복수의 크랙(21)끼리를 그물눈형으로 연결하는 크랙을 형성해도 된다. 크랙(21)끼리를 연결하는 크랙(크랙끼리를 연결하는 자기적인 갭)은, 크랙(21)을 취성 파괴 및/또는 균열 파괴의 기점으로 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크랙(21)끼리를 그물눈형으로 연결하는 크랙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2 외력을 부여하지 않아도 된다. 제2 외력을 부여하지 않은 경우에는, 복수의 크랙(21)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크랙(21)끼리를 그물눈형으로 연결하는 크랙이 형성된다.
크랙 롤(550)로부터 평탄화 롤(560)로 유도된 적층체는, 평탄화 롤(560)에 의해 평탄화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평탄화 롤(560)은 정형 롤이라고도 표기한다.
구체적으로는, 평탄화 롤(560)에 있어서의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롤 사이에 적층체가 유도되고, 적층체가 2개의 롤러 사이에 끼워져서 압박된다. 이에 의해, 크랙(21)이 형성된 자성 박대(300)의 표면이 평탄화된다.
평탄화 처리가 행해진 후의 적층체가 자성 시트(100)가 된다. 자성 시트(100)는, 유도 롤(580)을 경유하여 제3 권취 롤(570)로 유도된다. 자성 시트(100)는, 제3 권취 롤(570)에 권취된다.
제3 권취 롤(570)로 권취하는 방법 이외에, 원하는 길이로 절단해도 된다.
제3 권취 롤(570)로 권취된 자성 시트(10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자성 박대(300)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권취를 행하지 않고, 절단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 자성 시트(100)를 도 1 내지 6에서 도시한 자성 박대(300)로서 사용함으로써, 적층하는 자성 박대(300)(자성 시트(100)) 사이의 접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자성 박대(300)를 단독으로 취급하는 것보다, 자성 시트(100)로서 취급하는 쪽이,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자성 박대(300)로서 나노 결정 합금 박대를 사용하는 경우, 나노 결정 합금 박대는 취성을 갖고 있어, 나노 결정 합금 박대를 단독으로 취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개시의 자성 시트(100)를 도 1 내지 도 6의 자성 박대(300)로서 사용한 경우, 자성 박대(300)보다 폭이 넓은 수지층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자성 박대(300) 사이의 자기갭이 커지는 경향이 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자성 박대(300) 사이의 자기갭에 의한 특성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이며, 자성 시트를 도 1 내지 도 6의 자성 박대(300)로서 사용하여도, 투자율이 높고, Q값이 높은 다층 자성 시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다층 자성 시트(400)에 의하면, 자성 박대(300)의 적층 방향으로 자기갭이 연속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다층 자성 시트(400)에 있어서의 자기 특성의 악화를 방지하기 쉽다. 이에 의해, 투자율이 높고, Q값이 높은 다층 자성 시트가 얻어진다.
다층 자성 시트(400)의 폭을 100㎜ 이상 1000㎜ 이하, 길이를 100㎜ 이상 1000㎜ 이하로 함으로써, 다층 자성 시트(400)를 원하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자성 박대(300)를 아몰퍼스 합금 박대, 또는 나노 결정 합금 박대로 함으로써, 자성 박대(300)를 연자성 박대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합금을 사용하여 자성 박대(300)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성 박대(300)에 복수의 소편(22)을 포함시킴으로써, 다층 자성 시트(400)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다층 자성 시트(400)를 인덕터용 자성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Q값의 향상을 도모하기 쉬워진다. 또한, 다층 자성 시트(400)를 자기 실드용 자성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성 박대(300)의 전류로를 분단하여 와전류손을 저감시키기 쉬워진다.
자성 박대(300)의 한 면에 점착층(10)을 마련함으로써, 인접하는 자성 박대(300)를 점착층(10)에 의해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체(11)의 제1 면(11A)에 마련된 점착제(12)가, 인접하는 자성 박대(300)의 한쪽에 접착되고, 제2 면(11B)에 마련된 점착제(12)가 인접하는 자성 박대(300)의 다른 쪽에 접착된다.
제1 적층 단부(401) 또는 제2 적층 단부(402)에 수지 시트(15)를 마련함으로써, 제조된 다층 자성 시트(400)를 보호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제조한 후의 다층 자성 시트(400)를 반송할 때에, 점착층(10)이나 자성 박대(3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또한, 제1 적층 단부(401) 또는 제2 적층 단부(402)에, 아몰퍼스 합금 박대, 또는, 나노 결정 합금 박대, 혹은 다른 자성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수지 시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외층재를 첩부해도 된다.
점착층(10)에 있어서의 점착제(12)가 마련된 영역의 폭 A가, 자성 박대(300)의 폭 B보다도 넓어진다. 점착층(10)에 자성 박대(300)를 첩부할 때에, 점착층(10)이나 자성 박대(300)에 사행이 발생하여도, 자성 박대(300)의 전체면에 점착층(10)의 점착제(12)가 배치되기 쉬워진다.
폭 A에서 폭 B를 뺀 값을 0.2㎜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착층(10)에 자성 박대(300)를 첩부할 때에, 자성 박대(300)에 점착제(12)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의 발생을 방지하기 쉽다. 폭 A에서 폭 B를 뺀 값을 3㎜ 이하로 함으로써, 자성 시트(100)에 있어서의 자성 박대(30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관한 다층 자성 시트(400)는, 유도 소자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10: 점착층
11: 지지체
11A: 제1 면
11B: 제2 면
12: 점착제
22: 소편
300: 자성 박대
300L: 긴 변
300S: 짧은 변
310: 제1 층
320: 제2 층
330: 제3 층
340: 제4 층
400: 다층 자성 시트
401: 제1 적층 단부
402: 제2 적층 단부

Claims (8)

  1. 짧은 변과 긴 변을 갖는 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자성 박대가 상기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층과,
    상기 복수의 자성 박대가 상기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2 층이며, 상기 제2 층에 있어서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제1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배치된 제2 층과,
    상기 복수의 자성 박대가 상기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3 층이며, 상기 제3 층에 있어서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제1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된 제3 층을, 적어도 각 1층 구비하는 다층 자성 시트이며,
    상기 제1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의 위치와, 상기 제3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의 위치가, 상기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0.5㎜ 이상 이격되어 있는, 다층 자성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성 박대가 상기 긴 변이 인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4 층이며, 상기 제4 층에 있어서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제2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된 제4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의 위치와, 상기 제4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긴 변의 위치가, 상기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0.5㎜ 이상 이격되어 있는, 다층 자성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자성 시트의 폭이 100㎜ 이상 1000㎜ 이하, 길이가 100㎜ 이상 1000㎜ 이하인, 다층 자성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박대가 아몰퍼스 합금 박대, 또는 나노 결정 합금 박대인, 다층 자성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박대는 나노 결정 합금 박대이며, 복수의 소편을 포함하고 있는, 다층 자성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박대의 한 면에는, 띠형으로 형성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있어서의 제1 면 및 제2 면에 마련된 점착제를 갖는 점착층이 마련된, 다층 자성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에 있어서의 치수이며, 상기 점착층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치수를 폭 A,
    상기 자성 박대에 있어서의 치수이며, 상기 자성 박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치수를 폭 B로 한 경우에,
    0.2㎜≤(폭 A-폭 B)≤3㎜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다층 자성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박대가 적층된 방향에 있어서,
    제1 적층 단부의 상기 자성 박대, 또는 상기 제1 적층 단부와 반대측의 제2 적층 단부의 상기 자성 박대에는,
    띠형으로 형성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있어서의 제1 면 및 제2 면에 마련된 점착제를 갖는 점착층과,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 막형 부재이며, 상기 점착층에 접착된 수지 시트가 마련되어 있는, 다층 자성 시트.
KR1020230043542A 2022-04-08 2023-04-03 다층 자성 시트 KR20230144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64700 2022-04-08
JP2022064700A JP2023155004A (ja) 2022-04-08 2022-04-08 多層磁性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950A true KR20230144950A (ko) 2023-10-17

Family

ID=8823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542A KR20230144950A (ko) 2022-04-08 2023-04-03 다층 자성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26639A1 (ko)
JP (1) JP2023155004A (ko)
KR (1) KR20230144950A (ko)
CN (1) CN11689544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2830A (ja) 2006-10-30 2008-05-15 Toshiba Corp 磁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5505166A (ja) 2011-12-21 2015-02-16 アモセン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Amosense Co., Ltd. 無線充電器用磁場遮蔽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無線充電器用受信装置
JP2019522355A (ja) 2016-05-31 2019-08-08 アモセン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Amosense Co., Ltd. 磁気遮蔽用ハイブリッドメタルシート及びこれを含む無線電力伝送モジュール
WO2020235642A1 (ja) 2019-05-21 2020-11-26 日立金属株式会社 合金薄帯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合金薄帯積層体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2830A (ja) 2006-10-30 2008-05-15 Toshiba Corp 磁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5505166A (ja) 2011-12-21 2015-02-16 アモセン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Amosense Co., Ltd. 無線充電器用磁場遮蔽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無線充電器用受信装置
JP2019522355A (ja) 2016-05-31 2019-08-08 アモセン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Amosense Co., Ltd. 磁気遮蔽用ハイブリッドメタルシート及びこれを含む無線電力伝送モジュール
WO2020235642A1 (ja) 2019-05-21 2020-11-26 日立金属株式会社 合金薄帯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合金薄帯積層体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95446A (zh) 2023-10-17
US20230326639A1 (en) 2023-10-12
JP2023155004A (ja)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9376B2 (ja) 合金薄帯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合金薄帯積層体の製造装置
KR20230144950A (ko) 다층 자성 시트
KR20230144951A (ko) 다층 자성 시트
US20230321950A1 (en) Multilayer magnetic sheet
EP4254442A1 (en) Multilayer magnetic sheet
EP4254448A1 (en) Multilayer magnetic sheet
KR20230142337A (ko) 자성 시트, 다층 자성 시트, 및 자성 시트의 제조 방법
EP4254439A1 (en) Magnetic sheet, wound magnetic sheet, and multilayer magnetic sheet
JP2023152668A (ja) 多層磁性シート
EP4390986A1 (en) Sheet-like magnetic member
JP2023145331A (ja) 多層磁性シート
CN116825500A (zh) 多层磁性片
CN116895458A (zh) 多层磁性片
WO2024024958A1 (ja) シート状磁性部材
WO2023190886A1 (ja) ナノ結晶合金薄帯及び磁性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