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915A - 원격진단 제공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진단 제공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915A
KR20230144915A KR1020220080328A KR20220080328A KR20230144915A KR 20230144915 A KR20230144915 A KR 20230144915A KR 1020220080328 A KR1020220080328 A KR 1020220080328A KR 20220080328 A KR20220080328 A KR 20220080328A KR 20230144915 A KR20230144915 A KR 20230144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user terminal
user
exp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ublication of KR2023014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42Data-driven trans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r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개시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 전문가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고,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국가에 위치한 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와 관련된 식별정보, 생체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가 서비스 위치 테이블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서비스 위치 테이블은 위치정보에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대응시킨 것이고, 제 1 모드는 서버가 전문가로부터 판독정보를 획득하는 모드이며, 제 2 모드는 서버가 룰베이스 및 기계학습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판독정보를 획득하는 모드이다.

Description

원격진단 제공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SYSTEM FOR PROVIDING REMOTE DIAGNOSIS AND OPERATION METHODE THEREOF}
본 개시는 원격진단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문가의 의견이 법률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원격진단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다.
심질환이 있는 환자는 심장의 이상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심장 전기신호인 심전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진단 및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일반 병원에서는 병원을 내원한 환자에 대해 약 2, 3분 정도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심전도 검사 당시에 이상 심전도가 나타나야 정확한 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심장의 이상 신호는 언제 발생할 지 알 수 없으므로 이러한 검사를 통해서 정확한 진단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심전계를 부착하고 24시간 동안 심장에서 발생하는 심전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심전계를 부착하고 있다 하더라도, 심전도를 해석하지 않는다면,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또한, 진단장치가 룰베이스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심전도로부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 정확도고 높지 않아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상황이다.
선행문헌 : 한국 특허공개문헌 2014-0063100 A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목적들 중 하나는 법률적인 문제 없이 생체 정보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판독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 전문가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고,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국가에 위치한 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와 관련된 식별정보, 생체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가 서비스 위치 테이블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서비스 위치 테이블은 위치정보에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대응시킨 것이고, 제 1 모드는 서버가 전문가로부터 판독정보를 획득하는 모드이며, 제 2 모드는 서버가 룰베이스 및 기계학습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판독정보를 획득하는 모드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서버가 진단요청정보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고유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서버가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전문가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전문가단말기로부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판독정보를 고유코드와 함께 수신하는 단계, 고유코드에 기초하여 서버가 판독정보를 진단요청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와 관련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판독정보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단말기와 관련된 식별정보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단말기와 관련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서버가 판독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한 경우, 서버가 진단요청정보에 대한 진단상태정보를 진단 전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및 판독정보를 수신한 경우, 서버가 진단상태정보를 진단 완료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 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서버가 진단상태정보를 전문가진단불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진단상태정보가 전문가진단불가 상태인 경우, 서버가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체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서버가 판독정보를 진단요청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더 포함하는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음성정보의 언어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언어정보에 대응되는 STT(SPEECH TO TEX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및 텍스트 정보를 미리 정해진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전문가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텍스트 정보 및 번역된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문가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단말기가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 및 생체정보를 획득한 때의 사용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서버가 생체정보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하는 진단요청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생체정보 관련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서버가 사용자단말기의 계정에 보상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사용자의 자세는 앉은 자세, 선자세, 및 누운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판독정보는, 판독시간, 판독내용, 심전도 그래프, 심박수, 및 심전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은 사용자가 지구상의 어디에 있든 사용자는 문제없이 생체 정보의 판독결과를 받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 따르면 인류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독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 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서버(110), 사용자단말기(120), 및 전문가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제공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는 같은 지역(102)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이라는 국가의 경계에 의해 구분되거나 법이 적용되는 범위에 의해 구분되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다른 지역이라는 것은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서로 다른 법이 적용되는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는 같은 국가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단말기(120)가 위치한 지역(101)은 서버(110)가 위치한 지역(102)과 다를 수 있다. 하나의 지역은 원격진료가 허용되지 않는 곳이며, 다른 지역은 원격진료가 허용되는 곳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가 같은 지역에 있고, 사용자단말기(120)는 다른 지역에 있으므로,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서버(110)가 제공하는 판독정보가 사용자단말기(120)가 위치한 지역(101)에서 합법적인지 여부만 판단하면 될 수 있다.
도 1은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가 같은 지역에 있고, 사용자단말기(120)는 서버(110)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실시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단말기(120),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는 모두 서로 다른 지역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 및 서버(110)는 같은 지역에 있고, 전문가단말기(130)만 다른 지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가 모두 같은 지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120),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 중 적어도 하나가 같은 지역에 있다는 것이 같은 위치에 있다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기(120),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 중 적어도 하나가 같은 지역에 있더라도,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에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의 요청에 따라 의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의 요청이 없더라도 의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 및 전문가단말기(13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 및 전문가단말기(130)는 서버(110)를 통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 및 전문가단말기(130)는 서로 직접 통신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PC, 태블릿, 스마트폰, 웨어러블디바이스 및 마사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는 PC, 태블릿,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 및 전문가단말기(130)는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나뉘는 것일 뿐, 하드웨어적으로 다르지 않을 수도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의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단말기(120)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의 서비스 가입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2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120)의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단말기(12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사용자단말기(120)의 식별정보, 사용자의 나이, 성별, 거주국가, 및 사용자단말기(120)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전문가단말기(130)의 서비스 가입을 통하여 전문가단말기(1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전문가단말기(1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전문가단말기(13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의 데이터베이스는 전문가단말기(130)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의 가입 절차와 전문가단말기(130)의 가입 절차는 다를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는 의사, 간호사 및 한의사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 및 서버(110) 중 적어도 하나는 전문가단말기(130)를 사용하는 전문가의 전문가 라이센스를 인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문가 라이스의 진위여부를 확인한 후에 전문가단말기(130)에 대한 정보를 전문가단말기(1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에 대한 정보는 전문가의 식별정보, 전문가단말기(130)의 식별정보, 전문가가 보유한 라이센스의 종류, 진료과목, 실적점수, 현재진료가능여부, 라이선스를 발급한 국가, 및 전문가단말기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정보제공시스템(100)에 포함된 서버(110), 사용자단말기(120) 및 전문가단말기(130)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10), 사용자단말기(120) 및 전문가단말기(130) 중 적어도 하나는 메모리(220)를 포함하지 않고 프로세서(210)만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 라인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110), 사용자단말기(120) 및 전문가단말기(130)의 각 부품은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서버(110), 사용자단말기(120) 및 전문가단말기(13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 생체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정보를 미리 정해진 국가에 위치한 서버(110)로 송신하는 단계(311)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국가에 위치한 상기 서버(110)가 사용자단말기(12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 생체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311)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는 사용자단말기(120)의 식별정보,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는 사용자단말기(12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홍채 정보, 지문정보, 공인된 기관에서 발급된 인증코드, 및 아이디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QR코드 및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생체정보는 혈압, 심전도, 뇌파, 중 HRV(Heart Rate Variability)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는 생체정보 측정 전용 디바이스, 마사지 장치,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측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국가, 사용자의 주소, GPS정보, 및 외부IP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획득되거나, 사용자단말기(120)의 센서에 의하여 획득되거나, 사용자단말기(120)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의 위치정보와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의 위치정보와 같을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가 진단요청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한 경우, 서버(110)는 진단요청정보에 대한 진단상태정보를 진단 전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진단요청정보를 수신 후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게시판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진단상태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송신한 정보가 정상적으로 송신되었으며, 진단 전 상태임을 사용자단말기(12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서버(110)는 진단요청정보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고유코드를 생성하는 단계(312)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312)는 단계(313)의 이전에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되거나,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고유코드는 복수의 진단요청정보의 수신시간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 고유코드는 진단요청정보의 수신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고유코드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고유코드는 수신시간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부여되는 것이 아니고, 진단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고유코드는 암호화되어 있어서, 전문가단말기(130)가 별도의 복호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지 않고는 고유코드의 정보를 확인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10)와 전문가단말기(130) 사이의 통신라인에서 고유코드가 유출되더라도 개인정보의 유출 가능성은 낮을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진단요청정보 대신에 고유코드 만을 저장하여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의 식별정보,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고유코드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를 고유코드로 대체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서버(110)는 고유코드를 사용자단말기(120)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추후 판독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유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서버(110)는 고유코드를 생체정보와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시스템(100)의 보안이 높아질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313)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위치정보에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대응시킨 미리 정해진 서비스 위치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110)는 서비스 위치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서비스 위치 테이블은 정보제공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하여 수정가능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서버(110)가 전문가로부터 판독정보를 획득하는 모드이다. 전문가는 의사, 간호사, 한의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드에 따르면, 서버(110)는 전문가단말기(130)로부터 판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판독정보는 전문가가 입력한 의견, 및 질병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모드는 서버(110)가 룰베이스 및 기계학습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판독정보를 획득하는 모드일 수 있다.
서비스 위치 테이블은 원격의 전문가가 진료행위를 하는 것이 합법인 위치와 불법인 위치를 정리한 테이블일 수 있다. 원격의 전문가가 진료행위를 하는 것이 합법인 위치정보인 경우, 서비스 위치 테이블에서 해당 위치정보는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원격의 전문가가 진료행위를 하는 것이 불법인 위치정보인 경우, 서비스 위치 테이블에서 해당 위치정보는 제 2 모드와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서비스 위치 테이블에 기초하여 전문가의 판독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정보제공시스템(100)이 제공하는 판독정보가 합법적인 곳에만 전문가의 판독정보가 사용자단말기(12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지역의 리스트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서버(110)는 제 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지역의 리스트 및 제 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지역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판독정보에 전문가로부터 진단이 포함되지 않는 제 2 모드를 선택하는 이유는 법적인 문제 때문일 수도 있고, 계약 상 서비스 제공국가가 아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제 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지역의 리스트에 포함되거나, 제 2 모드를 선택할 수 없는 지역의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서버(110)는 제 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제 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지역의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거나, 제 2 모드를 선택할 수 없는 지역의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제 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지역의 리스트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지역의 리스트는 정보제공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하여 수정가능할 수 있다.
제 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서버(110)는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전문가단말기(130)로 송신하는 단계(314)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전문가단말기(130)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전문가단말기(130)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130)에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리스트에 포함된 전문가단말기들에 순차적으로 하나의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1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선택된 전문가단말기(130)에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전문가단말기(130)로 송신하는 단계(314)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버(110)가 전문가단말기(130)를 선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서버(110)는 전문가단말기(130)의 데이터베이스에 진료과목, 실적점수, 진료가능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문가단말기(13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진료과목은 전문가단말기(130)를 사용하는 전문가가 진료가능한 과목을 의미할 수 있다. 실적점수는 전문가가 진단에 참여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전문가가 진단에 참여를 많이 할수록 실적점수는 높을 수 있다. 실적점수는 추후 전문가에게 수당을 지급할 때, 근거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다. 서버(110)는 실적점수에 기초하여 수당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버(110)는 실적점수를 미리 정해진 지급테이블 및 지급함수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하여 수당을 결정할 수 있다. 진료가능여부 정보는 전문가가 현재 진료가능한 상태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진료가능여부 정보는 현재 전문가가 휴가 중인지 여부, 현재 전문가가 근무 중인지 여부, 현재 전문가가 다른 업무 중인지 여부, 및 현재 전문가가 재직중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생체정보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410)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생체정보는 생체정보의 종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110)는 생체정보에 포함된 생체정보의 종류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10)는 생체정보의 단위에 기초하여 생체정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10)는 생체정보의 수치의 범위에 기초하여 생체정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10)는 생체정보의 종류에 대응되는 진료과목을 선택하는 단계(420)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생체정보의 종류와 진료과목을 대응시킨 생체정보진료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생체정보의 종류는 적어도 하나의 진료과목에 대응될 수 있다. 서버(110)는 생체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진료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110)는 진료가능여부 정보가 진료가능을 나타내면서, 선택된 진료과목에 대응되고, 실적점수가 가장 낮은 전문가단말기(130)를 선택하는 단계(430)를 수행할 수 있다. 실적점수가 동일하다면, 서버(110)는 동일한 실적점수를 가지는 전문가단말기(130)들 중 랜덤으로 전문가단말기(130)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10)는 다른 조건을 이용하여 전문가단말기(13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진료가능여부 정보가 진료가능을 나타내면서, 선택된 진료과목에 대응되고, 실적점수가 가장 높은 전문가단말기(130)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진료가능여부 정보가 진료가능을 나타내면서, 선택된 진료과목에 대응되는 전문가단말기(130)를 선택하는 단계(430)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조건을 만족하는 전문가단말기들 중 랜덤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130)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선택된 전문가단말기(130)로 송신하는 단계(314)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130)로 송신하는 단계(314)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서버(110)가 전문가단말기(130)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문가단말기(130)는 전문가의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110)로부터 진단이 필요한 생체정보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는 전문가의 입력에 기초하여 판독결과를 입력할 생체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전문가단말기(130)가 선택한 생체정보 및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고유코드를 송신하는 단계(314)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문가단말기(130)는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판독정보를 고유코드와 함께 서버(110)로 송신하는 단계(315)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전문가단말기(130)로부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판독정보를 상기 고유코드와 함께 수신하는 단계(315)를 수행할 수 있다.
전문가는 전문가단말기(130)에 표시된 생체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는 생체정보에 기초한 판독정보를 전문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는 전문가로부터 수신한 판독정보를 고유코드와 함께 서버(110_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315)에서 전문가단말기(130)가 서버(110)로 송신하는 고유코드는 단계(314)에서 서버(110)가 전문가단말기(130)에 송신하는 고유코드와 동일할 수 있다. 판독결과는 심전도 그래프(530)를 포함할 수 있다. 심전도 그래프(530)에는 판독결과에 영향을 미친 영역(531)이 표시될 수 있다. 판독결과에 영향을 미친 영역(531)은 전문가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생체정보 중 무엇이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까운 전문가에게 찾아가서 판독결과를 보여주고,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빠르게 알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가 전문가로부터 수신하는 판독정보는, 판독시간(510), 판독내용(520), 심전도 그래프(530), 심박수(540), 및 심전도 특성(5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판독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독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전문가단말기(130)에 입력된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리포트를 나타낼 수 있다.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리포트에는 판독정보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 5와 함께 판독정보를 설명한다.
판독시간(510)은 생체정보가 촬영된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판독시간(510)은 전문가가 생체정보를 판독완료한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판독시간(510)은 전문가가 생체정보를 판독하는데 걸린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생체정보를 판독하는데 걸린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서버(110)는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다른 전문가단말기(13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복수의 전문가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판독정보들의 다수결로 최종 판독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복수의 전문가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판독정보들 중 과반수를 획득한 의견을 최종 판독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문가조차도 판단이 어려운 생체정보에 대하여 다수의 전문가가 판독에 참여하도록 하여 정보제공시스템(100)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판독내용(520)은 전문가가 입력한 의견, 및 질병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는 판독내용(520)을 결정하기 위한 텍스트박스, 체크박스, 드롭다운목록, 및 팝업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판독내용(520)은 전문가가 입력한 의견, 및 질병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텍스트, 숫자, 및 체크표시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심전도 그래프(530)는 심전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심전도 그래프(530)는 생체정보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심전도 그래프(530)에는 판독결과에 영향을 미친 영역(531)이 표시될 수 있다. 판독결과에 영향을 미친 영역(531)은 전문가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생체정보 중 무엇이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까운 전문가에게 찾아가서 판독결과를 보여주고,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빠르게 알 수 있다.
심박수(540)는 분당 심박수를 의미할 수 있다. 심박수(540)는 생체정보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심전도 특성(550)은 QRS, QTS, PR를 포함할 수 있다. 심전도 특성(550)은 생체정보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서버(110) 및 전문가단말기(130) 중 적어도 하나는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심전도 특성(550)을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고유코드에 기초하여 서버(110)는 판독정보를 진단요청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316)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진단요청정보와 함께 판독정보를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사용자는 자신이 송신한 진단요청정보에 대응하는 판독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판독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판독정보를 획득한 경우, 서버(110)는 진단상태정보를 진단 완료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의 요청에 따라 진단상태정보를 사용자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진단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20)를 통하여 진단상태정보가 진단 완료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로부터 판독정보를 수신할 것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는 단계(317)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판독정보요청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하는 단계(317)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판독정보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317)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는 사용자단말기(120)의 식별정보,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식별정보 대신 고유코드를 서버(11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317)에서 사용자단말기(120)가 송신하는 식별정보는 단계(311)에서 사용자단말기(120)가 서버(110)에 송신한 진단요청정보의 식별정보와 그 내용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단계(317)에서 사용자단말기(120)가 송신하는 고유코드는 서버(110)가 사용자단말기(120)의 식별정보,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한 후 사용자단말기(120)에 송신한 고유코드와 그 내용이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가 판독정보요청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하는 것은 판독정보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과정일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 및 고유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 및 고유코드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판독정보를 사용자단말기(120)로 송신하는 단계(318)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 및 고유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 및 고유코드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것은 생체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열람할 자격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서버(110)는 판독정보를 사용자단말기(120)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판독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단계(317)의 판독정보의 다운로드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110)는 판독정보를 사용자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독정보를 인증받은 사용자에게만 송신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313)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서버(110)는 진단상태정보를 전문가진단불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제 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지역의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거나, 제 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지역의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서버(110)는 제 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진단상태정보가 전문가진단불가 상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체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은 룰베이스 판독 알고리즘이거나, 판독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전문가의 판독정보와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의 판독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전문가의 판독정보는 생체정보에 따른 이상 유무, 질병의 유무, 및 질병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의 판독정보는 생체정보에 따른 이상 유무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전문가의 판독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의 판독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의 판독정보가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에 가까운 병원에 내원할 것을 권장하거나, 병원단말기에 사용자단말기(120)의 소유자가 위급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의 판독정보를 진단요청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316)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정보제공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간 증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제 2 모드를 선택한 경우라도 서버(110)는 단계(314) 내지 단계(316)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판독정보 사용자단말기(120)에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서버(110)는 단계(317) 및 단계(318)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서버(110)는 제 3 자 서버로 판독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제 3 자 서버로 판독정보와 함께 사용자단말기(120)와 관련된 식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제 3 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판독정보를 제 3 자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제 3 자 서버로부터의 요청정보 없이도 제 3 자 서버로 판독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 3 자 서버는 사용자단말기(120)와 동일한 지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 3 자 서버는 사용자단말기(120)와 동일한 법률이 적용되는 지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3 자 서버는 해당 지역의 병원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제 3 자 서버는 해당 지역의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제 3 자 서버에 판독정보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317)를 수행하고, 제 3 자 서버는 판독정보를 사용자단말기(120)에 송신하는 단계(318)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의 진단요청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311)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61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더 포함하는 진단요청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하는 단계(61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의 불편한 증상을 녹음하여 음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정보는 60초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데이터의 과도한 송수신에 의한 서비스 제공의 지체를 막고, 사용자가 자신의 증상의 핵심만을 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성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어려운 사용자에 대해서는 음성정보 대신 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음성정보의 언어정보를 선택하는 단계(620)를 수행할 수 있다. 언어정보는 음성정보가 어떠한 언어로 되어 있는지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잇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카타르인 경우, 음성정보의 언어정보가 아랍어가 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언어정보를 대응시킨 언어정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110)는 언어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언어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단요청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언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진단요청정보에 포함된 언어정보에 기초하여 언어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언어정보에 대응되는 STT(SPEECH TO TEX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63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들의 음성정보는 텍스트로 변환될 수 있다. 텍스트로 변환되는 경우, 정보의 크기는 더 적어질 수 있으며, 언어 변환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들 중에는 텍스트를 보내는 것을 어려워할 수도 있으나, 본 개시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음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음성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어려운 사용자에 대해서는 음성정보 대신 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텍스트 정보를 미리 정해진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640)를 수행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국가의 언어는 전문가단말기(130)를 사용하는 전문가가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가 한국에 있는 경우, 미리 정해진 국가의 언어는 한국어 및 영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국가의 언어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언어에 따라 번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언어가 있을 수 있으며, 번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언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110)는 텍스트 정보를 예비 언어로 번역하여 예비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역시 획득할 수 있다. 예비 언어는 주요 언어로써, 중국어, 영어, 스페인어 및 힌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음성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감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음성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감정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은 감정획득기계학습모델 및 룰베이스 감정획득모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110)는 누적하여 저장된 음성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감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누적하여 저장된 음성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감정정보 및 생체신호의 상관관계를 생체신호보정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판독결과가 동일한 감정정보 및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감정정보가 평이하지 않은 상태인 때의 생체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인 때의 생체신호를 출력으로 하여 생체신호보정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110)는 역전파와 순전파를 통하여 생체신호보정기계학습모델의 가중치들을 업데이트하여 생체신호보정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감정정보가 평이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은 기쁨, 분노, 슬픔, 즐거움, 사랑, 증오, 욕망 중 적어도 하나가 우위에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라는 것은 기쁨, 분노, 슬픔, 즐거움, 사랑, 증오, 욕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하나가 우위에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110)가 획득한 생체신호보정기계학습모델은 감정정보가 평이하지 않은 상태인 때의 생체신호를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인 때의 생체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서버(110)는 음성정보가 평이한 상태가 아닌 경우, 생체신호보정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평이한 상태의 생체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변환된 생체신호 및 원래의 생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문가단말기(130)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판독 기계학습모델 및 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판독 알고리즘에 변환된 생체신호를 적용하여 판독결과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인 때의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인 때의 생체신호의 피크값, 주기, 심전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인 때의 대표 피크값, 대표 주기, 대표 심전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대표 피크값, 대표 주기, 대표 심전도 특성은 각각 피크값, 주기, 심전도 특성의 평균, 중간값 및 최대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서버(110)는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가 아닌 때의 생체신호의 피크값, 주기, 및 심전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가 아닌 때의 생체신호의 대표 피크값, 대표 주기, 및 대표 심전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인 때의 대표 피크값, 대표 주기, 대표 심전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 및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가 아닌 때의 생체신호의 대표 피크값, 대표 주기, 및 대표 심전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차분값을 보정값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 및 음성정보를 획득하고,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한 감정정보가 평이한 상태가 아닌 경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보정된 생체정보를 전문가단말기(130)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판독 기계학습모델 및 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판독 알고리즘에 보정된 생체신호를 적용하여 판독결과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3의 생체정보 및 고유코드를 전문가단말기(130)로 송신하는 단계(314)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텍스트 정보, 감정정보, 및 번역된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문가단말기(130)로 송신하는 단계(650)를 수행할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를 이용하는 전문가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텍스트 정보, 감정정보, 및 번역된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판독정보를 전문가단말기(130)에 입력할 수 있다. 전문가단말기(130)는 판독정보 및 고유코드를 서버(110)로 송신하는 단계(315)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의 진단요청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하는 단계(311)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20)는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 및 생체정보를 획득한 때의 사용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710)를 수행할 수 있다.
생체정보 관련 정보는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 생체정보를 획득한 때의 사용자의 자세 및 생체정보를 획득한 때의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은 특정 시각일 수 있다. 즉, 날짜, 시, 분, 및 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은 생체정보의 획득을 시작한 시각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획득이 완료된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은 사용자단말기(120)가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은 시간의 범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의 범위는 한밤 중 새벽, 오전, 오후, 저녁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의 범위는 식후, 식전, 운동 후, 운동 전, 샤워 전, 및 샤워 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 및 사용자단말기(120)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을 시간의 복수의 시간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정보를 획득한 때의 사용자의 자세는 앉은 자세, 선자세, 및 누운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를 획득한 때의 사용자의 자세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의 날씨 정보를 날씨정보제공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IP주소, GPS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날씨정보제공시스템으로부터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에서의 날씨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생체정보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진단요청정보를 사용자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72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기(120)는 생체정보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하는 진단요청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하는 단계(720)를 수행할 수 있다. 생체정보 관련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의 계정에 보상정보(910)를 부여하는 단계(730)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생체정보 관련 정보를 더 획득하여 생체정보와 관련된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생체정보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생체정보 및 생체정보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 생체정보를 획득한 때의 사용자의 자세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 때의 날씨 중 적어도 하나와 생체정보의 상관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본 개시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생체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도출하기 위한 룰베이스 및 기계학습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정확한 판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20)는 판독정보요청정보를 서버(110)에 송신하기 직전에 미리 정해진 메시지를 화면(810)을 표시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국가에 따라 미리 정해진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는 선택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로부터 버튼(820)을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판독정보요청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버(110)는 사용자단말기(120)의 계정에 보상정보(910)를 부여하는 단계(73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서버(110)로부터 사용자의 계정에 부여된 보상정보(9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미리 정해진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된 보상정보(9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는 미리 정해진 아이콘들 중 사용자가 획득하지 못한 보상정보(910)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획득하지 못한 보상정보(910)를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가 보상정보(910)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는 상품정보(92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품정보(920)를 확인하고 필요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사용자단말기(120)에 표시된 버튼(930)을 터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20)는 서버(110)로 진단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311)의 이전에 화면(100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화면(1000)에 사용자단말기(120) 및 외부의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한 생체정보(10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음성정보를 획득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체크박스(102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음성정보가 획득된 경우, 사용자단말기(120)는 음성정보가 포함된 진단요청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하는 단계(61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판독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 및 진단요청정보를 송신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의 화면(1000)은 결제관련 표시 영역(1030)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관련 표시 영역(1030)은 진단요청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결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는 "송신"버튼(104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로부터 "송신"버튼(104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20)는 수신인을 선택하는 화면, 수신서버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국가에 서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시스템(100)은 다양한 서비스주체에 의하여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보낼 서버 및 서비스주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버 및 서비스주체 중 적어도 하나에 진단요청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단말기(120)는 수신인을 선택하는 화면, 수신서버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20)는 서버(110)로 진단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311)의 이전에 화면(110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서버(110)로부터 사용자의 계정에 부여된 보상정보(11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생체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외부의 장치를 선택하는 버튼(1121)을 표시할 수 있다. 버튼(1121)을 누르는 경우, 사용자단말기(120)는 생체정보를 획득한 외부의 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는 생체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버튼(1122)을 표시할 수 있다. 버튼(1122)을 누르는 경우, 사용자단말기(120)는 생체정보를 획득한 외부의 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생체정보를 획득한 후 화면(1101)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20)는 생체정보(113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는 "송신"버튼(114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는 정보를 보낼 서버 및 서비스주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1150)을 표시할 수 있다. 버튼(115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보낼 서버 및 서비스주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버 및 서비스주체 중 적어도 하나에 진단요청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20)는 서버(110)로 진단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311)의 이후에 화면(120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20)에 표시된 화면(1200)에 기초하여 자신의 진단요청정보가 정상적으로 서버(110)에 송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추후 판독정보가 서버(110)에 입력된 이후, 사용자단말기(120)는 서버(110)에 의하여 화면(81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버튼(820)을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단말기(120)는 판독정보요청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20)는 서버(110)로부터 판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한 전문가와 사용자를 이어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의료서비스가 발달한 나라에 위치한 전문가가 상대적으로 의료서비스가 발달하지 않은 나래에 위치한 사용자를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가 사용자의 국가에 방문하지 않고도 사용자를 도울 수 있으므로, 전문가가 특정 국가에 가는데 소요되는 자원이 줄어들고 위험성도 줄어들 수 있다. 반면 혜택을 받는 사용자는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인류의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8)

  1. 사용자단말기, 전문가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국가에 위치한 상기 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관련된 식별정보, 생체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서비스 위치 테이블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위치 테이블은 상기 위치정보에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대응시킨 것이고,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서버가 전문가로부터 판독정보를 획득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서버가 룰베이스 및 기계학습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판독정보를 획득하는 모드인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진단요청정보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고유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전문가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전문가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판독정보를 상기 고유코드와 함께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유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판독정보를 상기 진단요청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와 관련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판독정보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관련된 식별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관련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판독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진단요청정보에 대한 진단상태정보를 진단 전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및
    판독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진단상태정보를 진단 완료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진단상태정보를 전문가진단불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진단상태정보가 상기 전문가진단불가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가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정보에 대한 상기 판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판독정보를 상기 진단요청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의 언어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언어정보에 대응되는 STT(SPEECH TO TEX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미리 정해진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번역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전문가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번역된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문가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생체정보를 획득한 시각 및 상기 생체정보를 획득한 때의 사용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생체정보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진단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 관련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계정에 보상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는 앉은 자세, 선자세, 및 누운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정보는, 판독시간, 판독내용, 심전도 그래프, 심박수, 및 심전도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20080328A 2022-04-08 2022-06-30 원격진단 제공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301449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43956 2022-04-08
KR1020220043956 2022-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915A true KR20230144915A (ko) 2023-10-17

Family

ID=8855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328A KR20230144915A (ko) 2022-04-08 2022-06-30 원격진단 제공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9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664B1 (ko)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JP7300795B2 (ja) ユーザおよび装置との合成インタラクション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Fiske et al. The double-edged sword of digital self-care: Physician perspectives from Northern Germany
US201902797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expert-trained data model
US6278999B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personal health digitizers
US201703230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diagnostics
KR102237449B1 (ko) 환자 진단 학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1141425B1 (ko)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WO2015037281A1 (ja) 疲労・ストレス検診システム
US20110046971A1 (en) Remote healthcare method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 and reporting self-perceived health status
WO2013136611A1 (ja) 生体情報表示方法、生体情報表示画像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4049345A (ja) 医療情報提供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Chiu An investigation of the questions posted on medical consultation websites
KR102287081B1 (ko)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US20210335491A1 (en) Predictive adaptive intelligent diagnostics and treatment
Austin et al. Finding peace in clinical settings: a narrative review of concept and practice
KR20190061826A (ko)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공황장애 치료를 위한 복합 생체 정보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4915A (ko) 원격진단 제공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8690768B2 (en) Patient operable data collection system
US202201253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at-home peripheral arterial tonometry
US20110264468A1 (en) Patient administration system comprising intelligent interface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medical data
Krey et al. Wearable technology in healthcare
JP2003263497A (ja) 医療情報提供方法および装置
WO2023007593A1 (ja) 情報収集方法、情報収集装置、および携帯端末の情報共有方法
JP2019212264A (ja) 診療支援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