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148A - 방사소자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사소자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4148A KR20230144148A KR1020220042829A KR20220042829A KR20230144148A KR 20230144148 A KR20230144148 A KR 20230144148A KR 1020220042829 A KR1020220042829 A KR 1020220042829A KR 20220042829 A KR20220042829 A KR 20220042829A KR 20230144148 A KR20230144148 A KR 202301441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un
- radiation
- element structure
- radiating
- radiating el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판에 배치되는 방사소자 구조체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유전체부 및 사방대칭 구조로 상기 유전체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방사암 및 포함하는 방사부; 및 상기 반사판과 상기 방사부를 연결하는 발룬바디, 상기 발룬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방사부를 급전하는 급전선로 및 상기 발룬바디의 하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방사소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나 중계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테나는 소형화 및 경량화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대역을 커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할 수 있는 Multi Band 안테나가 보급되고 있다.
Massive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기술이다. 송신기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기에서는 적절한 신호처리를 이용해 송신 데이터들을 구분해 내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기법이다.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동시에 증가시킴에 따라 채널 용량이 증가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다중 대역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 고대역(High Band) 방사소자 및 저대역(Low Band) 방사소자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안테나의 방사(radiation)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중 대역 안테나에서 복수의 방사소자 상호간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이중편파 안테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방사소자의 방사 성능, 방사 특성, 형태, 사이즈, 제조 방식, 설계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안테나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는 방사소자의 형상과 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다중 대역의 안테나에서 복수의 방사소자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안테나의 제조 공정상 연결 부위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판에 배치되는 방사소자 구조체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유전체부 및 사방대칭 구조로 상기 유전체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방사암 및 포함하는 방사부; 및 상기 반사판과 상기 방사부를 연결하는 발룬바디, 상기 발룬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방사부를 급전하는 급전선로 및 상기 발룬바디의 하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사소자 구조체는 방사소자의 형상과 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안정적으로 하고 안테나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사소자 구조체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제조 공정상 연결 부위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안테나의 구조적 안정성이 증가하고 안테나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방사암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를 z 축의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발룬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방사암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를 z 축의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발룬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방사소자 구조체(radiation element structure, 1)는 방사부(radiator unit, 11), 제1 발룬부(first balun unit, 12) 및 제2 발룬부(second balun unit, 13)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안테나는 방사소자 구조체(1) 및 반사판(reflector, 1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부(11)는 복수의 방사암(radiation arm, 111), 복수의 서브 그라운드(sub ground, 112) 및 방사판(radiation plate, 113)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방사암(111)은 사방대칭 구조로 방사판(113)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방사암(111)은 동일 평면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전체적으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사암(111a)을 기준으로 제2 방사암(111b)은 제1 방사암(111a)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3 방사암(111c)은 제2 방사암(111b)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4 방사암(111d)은 제3 방사암(111c)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사암(111a) 및 제3 방사암(111c)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사암(111a) 및 제3 방사암(111c)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은 도 1의 y축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사암(111b) 및 제4 방사암(111d)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사암(111b) 및 제4 방사암(111d)은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은 도 1의 x축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복수의 서브 그라운드(112)는 방사판(113)의 일면에 배치되되, 인접한 방사암(111)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사암(111a) 및 제2 방사암(111b) 사이에는 제1 서브 그라운드(112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사암(111b) 및 제3 방사암(111c) 사이에는 제2 서브 그라운드(112b)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방사암(111c) 및 제4 방사암(111d) 사이에는 제3 서브 그라운드(112c)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방사암(111d) 및 제1 방사암(111a) 사이에는 제4 서브 그라운드(112d)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그라운드(112)는 직각삼각형 형상을 하고, 직각 부분이 방사판(113)의 중심에 모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그라운드(112)의 직각 부분 단부에는 각각 제1 삽입홈(1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홈(1121)에는 후술할 발룬부(12, 13)가 삽입될 수 있다.
서브 그라운드(112)는 직각삼각형 형상을 할 수 있으나, 직각을 마주하는 빗변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그라운드(112)는 계단 형상을 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서브 그라운드(112)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 그라운드(112)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된 형태를 함으로써, 방사부(11)가 다른 대역에 주는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사판(113)은 복수의 방사암(111) 및 복수의 서브 그라운드(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방사판(113)은 사방대칭 구조로 형성되고, 복수의 방사암(111) 및 복수의 서브 그라운드(112)가 모두 일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사판(113)은 유전체, 예컨대,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사판(113)은 복수의 제1 홈(1132)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판(113)에 복수의 제1 홈(1132)을 형성함으로써, 방사부(11)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방사부(11)의 유전율을 조절함으로써, 방사소자 구조체(1)의 방사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사판(113)을 플라스틱 재질로 만듬으로써, 본 개시의 방사소자 구조체(1)는 소재 및 형상의 자유도가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PCB(예를 들면, FR4 재질)로 제작된 소자와는 다르게 금속(예를 들면, 방사암)이 존재하는 부분도 유전체 제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방사판(113)은 복수의 제2 삽입홈(1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홈(1131)은 방사판(113)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홈(1131)은 서브 그라운드(112)의 제1 삽입홈(1121)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발룬부(12, 13)가 삽입될 수 있다.
발룬부(12, 13)는 제1 발룬부(12) 및 제2 발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룬부(12) 및 제2 발룬부(13)와 관련하여 공통되는 특징은 함께 설명한다. 발룬부(12, 13)는 방사부(11)를 반사판(14)과 연결할 수 있다. 발룬부(12, 13)는 방사부(11)와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룬부(12, 13)는 반사판(14)과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룬부(12, 13)는 유전체, 예컨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룬부(12, 13)는 복수의 제2 홈(1211, 1311)을 포함할 수 있다. 발룬부(12, 13)에 복수의 제2 홈(1211, 1311)을 형성함으로써, 발룬부(12, 13)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발룬부(12, 13)의 유전율을 조절함으로써, 방사소자 구조체(1)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요구되는 방사 또는 수신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발룬부(12, 13)를 플라스틱 재질로 만듬으로써, 본 개시의 방사소자 구조체(1)는 소재 및 형상의 자유도가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PCB로 제작된 소자와는 다르게 금속(예를 들면, 급전선로)이 존재하는 부분도 유전체 제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발룬부(12, 13)는 발룬바디(balun body, 121, 131), 급전선로(first feed line, 122, 132), 그라운드(first ground, 123, 133) 및 연결포트(connect port, 124, 134)를 포함할 수 있다.
발룬바디(121, 131)는 제2 홈(1211, 1311), 제1 돌출부(1212, 1312), 연결부(1213, 1313) 및 슬릿(1214, 1314)를 포함할 수 있다. 발룬바디(121, 13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발룬바디(121, 131), 제2 홈(1211, 1311), 제1 돌출부(1212, 1312), 연결부(1213, 1313) 및 슬릿(1214, 131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12, 1312)는 발룬바디(121, 131)의 z 축 방향의 일단(방사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12, 1312)는 방사판(113)의 제2 삽입홈(1131) 및 서브 그라운드(112)의 제1 삽입홈(112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12, 1312)는 제2 삽입홈(1131) 및 제1 삽입홈(112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발룬부(12, 13)와 방사부(11)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213, 1313)는 발룬바디(121, 131)의 z 축 방향의 타단(반사판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3, 1313)는 반사판(14)의 제3 삽입홈(141)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1213, 1313)는 제3 삽입홈(141)에 삽입되어, 발룬부(12, 13)와 반사판(14)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발룬부(12)는 제1 발룬바디(121)를 포함하고, 제1 발룬바디(121)는 제1 슬릿(1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룬부(13)는 제2 발룬바디(131)를 포함하고, 제2 발룬바디(131)는 제2 슬릿(1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룬부(12) 및 제2 발룬부(13)는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슬릿(1214)은 제1 발룬부(12)의 하단부(반사판 방향)에 형성되고, 제2 슬릿(1314)은 제2 발룬부(13)의 상단(방사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1214)이 제2 슬릿(1314)에 삽입됨으로써, 제1 발룬부(12) 및 제2 발룬부(13)는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발룬부(12)는 방사부(11)에 수직으로 결합하되, 제1 발룬부(12)의 너비방향이 제3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방향은 제1 방사암(111a) 및 제2 방사암(111b) 사이의 각도를 등분하는 선에 평행한 방향이다.
제2 발룬부(13)는 방사부(11)에 수직으로 결합하되, 제2 발룬부(13)의 너비방향이 제3 방향에 수직한 제4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방향은 제2 방사암(11b) 및 제3 방사암(111c) 사이의 각도를 등분하는 선에 평행한 방향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발룬부(12) 및 제2 발룬부(13)의 너비방향은 방사암(111)의 길이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일 수 있다.
급전선로(122, 132)는 발룬바디(121, 13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면은 발룬바디(121, 131)의 양면 중 급전선로(122, 132)가 배치되는 방향을 말한다. 급전선로(122, 132)는 발룬바디(121, 131)의 상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방사암(111)을 급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전선로(122, 132)는 복수의 방사암(111)을 커플링 방식으로 급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급전선로(122, 132)는 복수의 방사암(111)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복수의 방사암(111)은 급전선로(122, 132)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발룬부(12)는 제1 급전선로(122)를 포함하고, 제2 발룬부(13)는 제2 급전선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전선로(122)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급전선로(122)는 제1 발룬부(12)의 길이방향(z 축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제3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제1 발룬부(12)의 길이방향(z 축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급전선로(132)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급전선로(132)는 제2 발룬부(13)의 길이방향(z 축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제4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제2 발룬부(13)의 길이방향(z 축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제1 급전선로(122) 및 제2 급전선로(132)는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급전선로(122) 및 제2 급전선로(132)는 각각 별도의 신호원으로부터 급전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급전선로(122)는 제1 연결포트(124)를 이용하여 급전신호를 수신하고, 제2 급전선로(132)는 제2 연결포트(134)를 이용하여 급전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급전선로(122) 및 제2 급전선로(132)에 입력되는 급전은 동축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연결포트(124, 134)는 필터(filter),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전원 공급부(power supply unit) 등이 구비된 RF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전선로(122)는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제1 급전선로(122)는 제1 방사암(111a) 및 제2 방사암(111b)을 공통적으로 급전하고, 제3 방사암(111c) 및 제4 방사암(111d)을 공통적으로 급전할 수 있다. 제2 급전선로(132)는 제4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제2 급전선로(132)는 제2 방사암(111b) 및 제3 방사암(111c)을 공통적으로 급전하고, 제1 방사암(111a) 및 제4 방사암(111d)을 공통적으로 급전할 수 있다. 제1 급전선로(122) 및 제2 급전선로(132)는 복수의 방사암(111)을 커패시턴스(capacitance) 커플링 방식으로 급전할 수 있다.
그라운드(123, 133)는 절곡부(1231, 1331) 및 제2 돌출부(1232, 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232, 1332)는 그라운드(123, 133)의 z 축 방향 일단(방사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32, 1332)는 방사판(113)의 제2 삽입홈(1131) 및 서브 그라운드(112)의 제1 삽입홈(112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12, 1312)는 제2 삽입홈(1131) 및 제1 삽입홈(112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발룬부(12, 13)와 방사부(11)를 연결할 수 있다.
그라운드(123, 133)는 서브 그라운드(112)와 솔더링(soldering)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12, 1312)의 단부는 서브 그라운드(112)와 솔더링 방식으로 연결되어, 발룬부(12, 13)와 방사부(11)를 연결할 수 있다.
절곡부(1231, 1331)는 그라운드(123, 133)의 z 축 방향 타단(반사판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231, 1331)는 그라운드(123, 133)의 타단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231, 1331)는 반사판(14)과 평행하게 구부러질(bending) 수 있다.
그라운드(123, 133)가 반사판(14)과 평행한 절곡부(1231, 1331)를 포함함으로써, 본 개시의 방사소자 구조체(1)는 발룬부(12, 13) 및 반사판(14)을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절곡부(1231, 1331)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PCB로 제작된 소자와 다르게 추가적인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발룬부(12, 13) 및 반사판(14)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방사소자 구조체(1)는 공정상 연결 부위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증가하고, 대량 생산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발룬부(12, 13) 및 반사판(14)의 연결은 직접 연결 및/또는 커플링 연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상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방사암(111)은 각각 단차(1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암(111)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는 폭이 일정하지 않은 단차(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암(111)의 길이방향은, 방사판(113)의 중심에서 각각의 방사암(111)의 단부(1112)를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즉, 방사암(111)은 폭(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다단 구조일 수 있다. 방사암(111)을 다단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방사부(11)가 다른 대역에 주는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각각의 방사암(111)의 길이는 사용 주파수 파장()의 1/4 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축 상에 있는 두 방사암의 총 길이는 1/2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에 위치한 제1 방사암(111a) 및 제3 방사암(111c)의 길이의 합은 1/2 이고, 제2 방향에 위치한 제2 방사암(111b) 및 제4 방사암(111d)의 길이의 합은 1/2 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방사암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방사암(111)의 단부(1112)는 절곡될 수 있다. 단부(1112)는 z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단부(1112)는 z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되, 반사판(14) 방향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다만, 단부(1112)의 절곡 방향 및 각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방사암(111)의 단부(1112)가 절곡됨으로써, 방사암(111)의 길이가 짧아지고, 결과적으로 방사부(11)가 다른 대역에 주는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사암(111)의 단부(1112)를 절곡시킴으로써, 기존의 PCB로 제작된 소자와 다르게 추가적인 부품 없이 방사부(11)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를 z 축의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 구조체의 발룬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발룬부(12, 13)의 그라운드(123, 133)는 각각 제1 그라운드(123a, 133a) 및 제2 그라운드(123b, 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라운드(123a, 133a) 및 제2 그라운드(123b, 133b)는 모두 발룬부(12, 13)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면은, 급전선로(122, 132)가 배치되지 않는 발룬바디(121, 131)의 타면을 말한다.
제1 그라운드(123a, 133a)는 발룬부(12, 13)의 하면에 배치되되, 절곡부(1231, 1331)가 발룬부(12, 13)의 상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반면, 제2 그라운드(123b, 133b)는 발룬부(12, 13)의 하면에 배치되되, 절곡부(1231, 1331)가 발룬부(12, 13)의 하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1 발룬부(12)의 각각의 절곡부(1231)는 제3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되,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발룬부(13)의 각각의 절곡부(1331)는 제4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되,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룬부(12, 13) 및 반사판(14) 연결 시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방사소자 구조체
11: 방사부
12: 제1 발룬부
13: 제2 발룬부
14: 반사판
11: 방사부
12: 제1 발룬부
13: 제2 발룬부
14: 반사판
Claims (20)
- 반사판에 배치되는 방사소자 구조체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유전체부 및 사방대칭 구조로 상기 유전체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방사암 및 포함하는 방사부; 및
상기 반사판과 상기 방사부를 연결하는 발룬바디, 상기 발룬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방사부를 급전하는 급전선로 및 상기 발룬바디의 하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방사암은 동일 평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사암은 상기 제1 방사암에 수직하고,
상기 제3 방사암은 상기 제2 방사암에 수직하고,
상기 제4 방사암은 상기 제3 방사암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방사암은,
일단이 상기 반사판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방사암은,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인접한 상기 방사암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그라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그라운드는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그라운드는,
계단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룬부는,
제1 급전선로를 구비하는 제1 발룬부 및 상기 제1 발룬부와 수직으로 교차하고 제2 급전선로를 구비하는 제2 발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룬부 및 제2 발룬부의 너비방향은,
상기 방사암의 길이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선로 및 상기 제2 급전선로는,
서로 다른 신호원으로부터 급전신호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선로는,
상기 제1 방사암 및 상기 제1 방사암과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제2 방사암을 공통적으로 급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선로는,
상기 제2 방사암 및 상기 제2 방사암과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제3 방사암을 공통적으로 급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는,
일단에 z 축 방향을 돌출되는 돌출부 및 타단에 상기 반사판과 평행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서브 그라운드와 솔더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반사판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룬바디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발룬부는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 구조체. - 반사판;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유전체부, 사방대칭 구조로 상기 유전체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방사암 및 인접한 상기 방사암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방사부; 및
상기 반사판과 상기 방사부를 연결하는 발룬바디, 상기 발룬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방사부를 급전하는 급전선로 및 상기 발룬바디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서브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방사암은,
일단이 상기 반사판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룬부는,
제1 급전선로를 구비하는 제1 발룬부 및 상기 제1 발룬부와 수직으로 교차하고 제2 급전선로를 구비하는 제2 발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2829A KR20230144148A (ko) | 2022-04-06 | 2022-04-06 | 방사소자 구조체 |
PCT/KR2023/004108 WO2023195674A1 (ko) | 2022-04-06 | 2023-03-28 | 방사소자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2829A KR20230144148A (ko) | 2022-04-06 | 2022-04-06 | 방사소자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4148A true KR20230144148A (ko) | 2023-10-16 |
Family
ID=8824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2829A KR20230144148A (ko) | 2022-04-06 | 2022-04-06 | 방사소자 구조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44148A (ko) |
WO (1) | WO2023195674A1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5749B1 (ko) * | 2008-04-02 | 2008-10-28 | 주식회사 감마누 | 광대역 이중편파 평면형 다이폴 안테나 |
JP5309193B2 (ja) * | 2011-07-19 | 2013-10-09 | 電気興業株式会社 | 偏波ダイバーシチアレイアンテナ装置 |
CN104821427B (zh) * | 2015-04-22 | 2018-02-23 | 董玉良 | 间接耦合天线单元 |
US20170062952A1 (en) * | 2015-09-02 | 2017-03-02 | Ace Antenna Company Inc. | Dual band, multi column antenna array for wireless network |
KR102125803B1 (ko) * | 2019-05-10 | 2020-06-23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불요 공진 억제 기능을 가지는 기지국 안테나 방사체 |
KR20220042829A (ko) | 2020-09-28 | 2022-04-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태핑 장치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
-
2022
- 2022-04-06 KR KR1020220042829A patent/KR20230144148A/ko unknown
-
2023
- 2023-03-28 WO PCT/KR2023/004108 patent/WO2023195674A1/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95674A1 (ko) | 2023-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44109B2 (en) | Multi-polarization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antenna | |
US8441408B2 (en) | Miniaturize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tenna | |
JP4664213B2 (ja) | アンテナ装置 | |
US6906677B2 (en) | Antenna, antenna device, and radio equipment | |
US9160065B2 (en) | Substrate embedded antenna and antenna array constituted thereby | |
KR102652776B1 (ko) | 저손실 플러그 연결 배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플러그 연결 배열체를 갖는 시스템 | |
US20060119532A1 (en) | Circular polarized helical radiation element and its array antenna operable in TX/RX band | |
US11114770B2 (en) |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 |
JP2007151115A (ja) | モノポールアンテナ、及びそれを含むmimoアンテナ | |
CN107134633B (zh) | 天线和包括该天线的天线模块 | |
CN109728413B (zh) | 天线结构及终端 | |
KR20020033582A (ko) | 안테나 및 이것을 이용한 전파송수신장치, 및 안테나의제조방법 | |
KR20110086776A (ko) | 다중대역 무지향성 안테나 | |
CN114361779B (zh) | 天线装置与低频透波振子 | |
US7180461B2 (en) | Wideband omnidirectional antenna | |
CN210692766U (zh) | 一种超短波多频带复合全向天线 | |
CN113826281A (zh) | 双频双极化天线 | |
US11404788B1 (en) | Surface mount antenna elements for use in an antenna array | |
CN115775971A (zh) | 一种基于多模谐振的双频宽带高增益印刷全向天线 | |
CN110247182B (zh) | 辐射件及天线 | |
CN111478037A (zh) | 一种s波段小型化超宽带全向辐射垂直极化天线 | |
KR20230144148A (ko) | 방사소자 구조체 | |
CN111416198A (zh) | 具有偶极天线与环形天线的天线装置 | |
US20220173529A1 (en) | Quad 5g nr mimo antenna array with slanted formation | |
US20230395998A1 (en) | A dual-polarized radiator arrangement for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and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comprising at least one dual-polarized radiator arrang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