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954A - 휠체어용의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용의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954A
KR20230143954A KR1020230044665A KR20230044665A KR20230143954A KR 20230143954 A KR20230143954 A KR 20230143954A KR 1020230044665 A KR1020230044665 A KR 1020230044665A KR 20230044665 A KR20230044665 A KR 20230044665A KR 20230143954 A KR20230143954 A KR 20230143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ushion
base member
seat cushion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산 엘 윌슨
커티스 엘 랜디
Original Assignee
수프라코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7/714,395 external-priority patent/US20220226174A1/en
Application filed by 수프라코르, 인크. filed Critical 수프라코르,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14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9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5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rotating the whole seat around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4/00Producing articles with hollow walls
    • B29D24/002Producing articles with hollow walls formed with structures, e.g. cores placed between two plates or sheets, e.g. partially filled
    • B29D24/005Producing articles with hollow walls formed with structures, e.g. cores placed between two plates or sheets, e.g. partially filled the structure having joined ribs, e.g. honeycom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1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1/00Upholst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의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는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함께 접합되는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상부, 중간 및 하부 층으로 형성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탄성 쿠션 부재, 및 하부 층에서의 포켓으로 제거 가능하게 삽입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패드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는 쿠션 부재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쿠션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한 평행 배치와 비평행 배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쿠션 부재가 평행 배치될 때 포켓의 개방 단부는 베이스 부재와 대면한다.

Description

휠체어용의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AN ADJUSTABLE ANATOMICAL SUPPORT AND SEAT CUSHION APPARATUS FOR WHEELCHAIRS}
관련 출원(들)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9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시리얼 제16/583,251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고, 2018년 9월 28일에 출원된 62/736,452의 선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원에 전부 원용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휠체어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골반 및 척추 정렬 문제를 개선하는 데 사용하도록 된 해부학적 지지 쿠션에 관한 것이다.
경증 질병이나 단순한 다리 뼈 부상 등으로 고통받는 보행 불능 환자는 일반적으로 특수 목적의 휠체어 쿠션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환자가 골반 경사 문제, 전방 골반 틸트 문제, 후방 및/또는 골반 틸트 문제, 또는 골반 회전 문제를 나타내는 골반 또는 척추 관련 이상을 수반하는 심각한 자세 손상 또는 신체 상태로 고통받는 장기 치료(LTC) 사례에서, 특별히 구성된 쿠션 또는 다른 신체 위치 설정, 배향 또는 지지 수단의 사용이 요구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필요성을 다루고 이런 환경에서 사용되는 휠체어 쿠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서 LTC 치료사에 의해 지정, 처방 및/또는 사용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휠체어 쿠션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다음은 본 개시가 지향하는 일부 자세 이상, LTC 치료사가 표준 휠체어 및 쿠션 수단을 사용하는 동안 환자 고통 경감을 제공하려고 시도했거나 실제로 제공한 방법에 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LTC: 장기 치료
척추전만증: 요추 부위에서 척추의 비정상적인 전방 만곡되어, 구부러진 자세를 유발함
척추후만증: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그 결과 등 위쪽이 부풀어 오름. 척추측만증: 척추의 비정상적인 측면 만곡됨.
경사진: 주어진 선 또는 면에 대해 수직도 아니고 평행도 아닌; 비스듬한; 경사진. (고형물의) 밑면의 평면에 수직인 축이 없음. 주어진 직선 또는 코스에서 벗어남.
경사: 경사진 상태. 자궁경부: 자궁경관이나 목 또는 이와 관련됨. 요추: 요부(들) 또는 이와 관련됨.
요부: 가늑골과 관골 사이에 있는, 척추 양측의 인체 또는 네 발 짐승의 부분(들). 흉부: 공동을 포함하고, 심장, 폐 등이 위치하는, 갈비뼈, 흉골, 및 특정 척추골에 의해 둘러싸인, 목과 복부 사이에 있는 인간과 고등 척추동물의 몸통 부분; 가슴. 척추: 등골 또는 등골뼈; 등뼈.
천골: 요추와 꼬리뼈 부위 사이에 2개 이상의 척추뼈가 융합된 뼈로, 인간의 경우 일반적으로 5개의 융합된 척추뼈로 구성되며 골반의 후벽을 형성함. ELR: 발받침 올리기
STFH: 시트에서 바닥까지 높이 MWC: 수동 휠체어 IT: 좌골 결절
PSIS: 후장 골극 ASIS: 상전장골극 LE: 하지
UE: 상지 ROM: 동작 범위
ADLs: 일상 생활 활동 PPT: 후방 골반 틸트
최적의 자세 - 도면 중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됨
정중선의 골반.
동일한 높이에서의 ASIS & PSIS: 골반 틸트 없음.
동일한 높이에서의 L ASIS & R ASIS: 경사 없음. 동일한 깊이에서의 L ASIS & R ASIS: 회전 없음.
균형을 이루고 똑바른 척추, 회전 없음, 측면 만곡 없음.
경추와 요추의 정상적인 전만과 흉추의 정상적인 후만은 원하는 "S" 모양을 만듦. 머리는 약간의 전방/측면 굴곡 또는 회전만으로 기능적으로 직립한다.
골반 경사(PELVIC OBLIQUITY) - 도면 중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됨
이러한 이상이 있는 환자에서, 골반은 L 또는 R ASIS가 다른 것보다 더 높게 위치하여, 한쪽 고관절을 들어올리게 된다. 골반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 높아지면, 흉추는 더 높은 쪽에서 멀리 만곡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척추 측만증을 일으킨다. 사람이 귀를 그 또는 그녀의 어깨에 떨어뜨리는 것처럼 목이 옆으로 구부러질 것이다. 측면 굴곡은 일반적으로 고관절이 더 높은 쪽을 향할 것이다. 압력 재분배는 변형이 고정되어 있든 유연하든 치료사의 지원 목표이다.
유연성이 있는 경우: 하측을 보강하여 골반을 평형하게 함
고정된 경우: 변형을 수용함. 높은 쪽을 "채우고" 낮은 쪽 IT를 담금으로써 압력으로부터 뼈 돌출부를 보호함.
전방 골반 틸트(ANTERIOR PELVIC TILT)- 도면 중 일반적으로 도 4에 도시됨
이러한 이상이 있는 환자에서, 골반은 ASIS가 PSIS보다 높게 위치하여 천골의 앉은 자세를 만드는 후방 골반 틸트를 초래한다. 요추와 경추의 과도한 흉부 전만증으로 인해 환자는 의자의 슬링 백 위로 그 또는 그녀의 등을 과신전시켜서, 그 또는 그녀는 의자를 뒤로 기울일 위험에 놓이게 된다.
경추의 과도한 전만은 목의 과신전을 유발하고 시선을 위로 향하게 한다. 이러한 이상이 있는 경우, 목표는 일반적으로 최적의 골반 및 척추 안정성과 압력 재분배를 위해 시트 표면과의 접촉을 최대화하는 쿠션 및 등 지지대를 활용하는 것이다. 안정성이 목표이므로,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충분한 높이의 등받이가 사용된다.
시트 표면에서 어깨 상단까지 측정이 이루어진다. 척추의 곡률에 맞게 성형 가능한 등받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후방 골반 틸트(POSTERIOR PELVIC TILT) - 도면 중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됨
이러한 이상으로, 골반은 ASIS가 PSIS보다 높게 위치하여서, 천골의 앉은 자세를 만드는 후방 골반 틸트를 초래한다. 과도한 흉부 후만증은 "C"자 모양의 척추를 만들고, 경추 전만증을 "평평"해지게 하며 요추 전만증을 "평평"해지게 함.
경추의 감소된 전만증은 전방 목 굽힘을 유발하고 바닥/무릎에 대해 아래쪽으로 시선을 향하게 한다. 내측 및 외측 윤곽이 있는 쿠션은 종종 LE 정렬 및 골반 안정성을 촉진하는데 사용된다. 적절한 쿠션 깊이를 사용하여 환자가 무릎 뒤의 압력을 줄이려고 할 때 환자가 앞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시트와 쿠션의 해먹킹(hammocking)을 방지하고 골반이 후방 골반 틸트로 무너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강성의 인서트가 자주 사용된다.
유연성이 있는 경우: 점점 가늘어지는 내전근이 있는 쿠션을 사용하여 전자에 하중을 가하여, 레지던트의 가장 중립적인 정렬에서 골반을 안정화할 수 있다.
유연성이 있는 경우: 반추력 요소가 있는 쿠션을 사용하여 골반이 앞으로 미끄러져 후방 골반 틸트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고정된 경우: 환자의 모양에 맞는 침지식 쿠션을 사용하여 최대 압력 재분배를 촉진하여, 최대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고정된 경우: 휠체어의 고정된 틸트와 함께 시트-등받이 각도를 벌리는 것은 종종 환자의 ROM 제한을 일치시키고 앞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데 사용된다.
간략히 설명하면, 본 개시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휠체어 시트 쿠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함께 접합되는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상부 층, 중간 층 및 하부 층으로 형성된 탄성 쿠션 부재, 및 하부 층 내 포켓으로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는 쿠션 부재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쿠션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한 평행 배치와 비평행 배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쿠션 부재가 평행 배치될 때 포켓의 개방 단부는 베이스 부재를 대면한다.
본 개시는 또한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휠체어 시트 쿠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성 열가소성 허니콤 시트 쿠션 부재 및 시트 쿠션 부재가 놓이는 평면 베이스를 형성하고 피봇을 중심으로 접혀서 거기에 맞물려 놓일 때 변형되는 피봇식 부착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는 또한 더 강성인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되고 베이스 부재와 위에 놓인 시트 쿠션 부재 사이에 배치된 것은 사용자 및/또는 LTC 치료사가 설치할 수 있고, 맞물릴 때 쿠션 부재를 변형시키도록 작동하는 규정된 크기와 형상의 골반 경사 요소, 포멜(pommel) 요소 및/또는 웨지 요소 등이다.
일단 패드 및/또는 경사, 포멜 및/또는 웨지 요소가 위치 설정되고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면, 쿠션 부재는 회전되어 베이스 부재와 맞물린다. 경사, 포멜 및/또는 웨지 요소는 쿠션 부재를 변형시킨다. 조립체는 그것의 패브릭 커버로 삽입되고, 닫힘 지퍼 등이 오므려지고 쿠션 장치는 사용할 준비가 된다. 패드는 사용자의 좌골 뼈를 보호하기 위해서 쿠션 부재의 후방 중심부에 제공된다.
본 개시의 중요한 장점은, 장치 구성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가 개선된 압력 완화, 안정성, 압축 영구 변형 저항성, 내구성 및 낮은 유지 보수 특성을 갖는 이방성 재료라는 점이다.
본 개시의 다른 장점은, 특정 사용자를 위해 쿠션 장치를 맞출 때, LTC 치료사는 사용자를 위해 쿠션 장치를 맞추고 개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매우 다양한 미리 형성된 성형 요소 및 쿠션 위치에서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장점은, 단일 크기 및 형태의 쿠션이 특정 휠체어 사용자의 특정 요구 사항을 지원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선택가능한 다양한 미리 형성된 성형 요소와 일치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장점은, 해부학적 지지 장치가 장치 사용자의 땀 제거 및 냉각을 허용하도록 통기성이 있는 천공 코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개시의 다른 장점은, 상이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코어 설계 및/또는 상이한 열가소성 허니콤 코어 설계의 다중 패널을 이용하여 개선된 해부학적 지지 장치의 설계 유연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장점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코어가 빠르게 건조되고 쉽게 소독 및 살균되는 재활용 가능한 재료로 제작된다는 점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자세 이상을 가진 사용자/환자의 특정 해부학적 지지 요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매우 다양한 휠체어 사용자 착석 위치, 사용자 해부학 구조 및 장애에 일치, 지지 및/또는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쿠션 패널 및 복수의 선택가능한 삽입물을 포함하는 개선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자세 이상을 가진 휠체어 사용자에게 골반 및 몸통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개선된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세 이상을 가진 휠체어 사용자를 위해 일상 생활의 기능적 활동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를 보호하고 상처를 예방하거나 및/또는 자세 이상을 가진 휠체어 사용자가 겪는 기존 상처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한 개선된 해부학적 지지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 목적은 자세 이상을 가진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편안함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지지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자세 이상을 가진 휠체어 사용자에 의한 원치 않는 골격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세 이상 진행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지지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냉각을 허용하도록 통기성이 있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폼, 유체 또는 비용을 추가하거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다른 수단과 같은 패딩 요소를 도입할 필요 없이 소정의 원하는 쿠셔닝 및 안정화 특성을 생성하도록 맞추어질 수 있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빠르게 건조되고 화학적 세척, 마이크로파 처리, 세제 세척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쉽게 소독 및 살균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된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다양한 도면에 포함되고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에 당업자에게 확실히 명백해질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의 구성 및 방식은 그 추가 목적 및 이점과 함께 첨부 도면과 관련한 하기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며,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지 않고,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식별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개선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가 위에 배치된 표준 휠체어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표준 휠체어에서 똑바로 앉아 있는 최적의 자세를 취한 환자를 보여주는 양식화된 측 입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해부학적 지지 및 쿠션 장치를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는 상태의 일 예를 보여주기 위해서 골반 경사 이상을 나타내는 환자, 및 도 1에 도시된 휠체어의 3-3 선을 따라서 본 양식화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쿠션 장치를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는 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기 위해서 전방 골반 틸트 이상을 나타내고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표준 휠체어에 앉아 있는 환자를 보여주는 양식화된 측 입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쿠션 장치를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는 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기 위해서 후방 골반 틸트 이상을 나타내고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표준 휠체어에 앉아 있는 환자를 보여주는 양식화된 측 입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쿠션 장치를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는 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기 위해서 골반 회전 이상을 나타내고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표준 휠체어에 앉아 있는 환자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7은 개방 구성의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쿠션 조립체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양식화된 쓰리 쿼터 도면이고; 사용자 지지 쿠션 부재, 피봇식 부착 베이스 부재, 및 일련의 경사 요소, 포멜 요소 및 웨지 요소 전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부재에 배치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경사 요소, 포멜 요소, 및 웨지 요소의 일반화된 예를 3차원 사시도로 보여준다.
도 11은 쿠션 조립체 상의 적절한 로케이션에 또는 커버에 형성된 포켓에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의 좌골 패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쿠션 조립체를 수용 및 포함하기 위한 지퍼가 달린 커버 엔벨로프를 개방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양식화된 쓰리 쿼터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반대이고 상부 후면측에서 본, 개방 구성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지지 쿠션 부재 및 피봇식 부착 베이스 부재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양식화된 쓰리 쿼터 사시도이다.
도 14는 개방 구성으로 도시된 도 13의 쿠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폐쇄 구성으로 도시된 도 13의 쿠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폐쇄 구성으로 도시된 도 13의 쿠션 조립체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지퍼가 달린 쿠션 조립체 커버에 에워싸인 도 13의 폐쇄 쿠션 조립체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사용자 지지 쿠션 부재 및 피봇식 부착 베이스 부재의 대안적 실시예의 측 입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사용자 지지 쿠션 부재 및 피봇식 부착 베이스 부재의 사시도이고, 3개의 좌골 패드가 그로부터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20은 도 18의 사용자 지지 쿠션 부재 및 피봇식 부착 베이스 부재의 사시도이고, 좌골 패드 중 하나가 부착되어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위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패브릭 커버(30)에 에워싸인 조절 가능하면서 제거 가능한 개선된 해부학적 지지 쿠션 조립체(12)가 상부에 배치되지만 변형 없이 도시된 종래의 휠체어(10)를 도시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것처럼, 쿠션 조립체(12)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코어 패널로 구성된다. 또한, 쿠션 장치는 특히 휠체어 용도에 매우 적합하지만, 쿠션 장치 또는 그 유사체는 다양한 다른 해부학적 지지 용도(예로, 매트리스, 자동차 및 항공기 좌석, 팔걸이 등)에 사용될 수도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도 2는 표준 휠체어에 앉았을 때 최적의 사용자 자세를 보여주도록 제공된다.
도 3 내지 도 6은 골반 경사, 전방 골반 틸트, 후방 골반 틸트 및 골반 회전으로서 식별된 비정상적인 자세 상태를 각각 보여주도록 제공되고; 이들 모두 본 개시의 사용을 통햐여 지원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7은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휠체어에 사용될 수 있고, 쿠션 부재(14) 및 하나 이상의 변형 요소(20, 22, 24) 상부에 맞물려 놓이도록 피봇 또는 힌지 수단(18)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상부 쿠션 부재(14)가 놓일 평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피봇식 부착 베이스 부재(16)(쿠션 변형 요소(20, 24, 26)로 채워짐) 및 다층 탄성 열가소성 허니콤 쿠션 부재(14)를 포함하는 시트 쿠션 조립체(12)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피봇 수단(18)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상부 쿠션 부재(14) 및 베이스 부재(16)의 메이팅 후방 에지(15, 17)를 따라 배치된 열 압착 형성된 비드 라인이다. 베이스 부재(16)는 바람직하게 보다 강성인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으로 만들어진다.
베이스 부재(16) 상에 위치되고 베이스 부재와 위에 놓인 쿠션 부재(1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은 사용자 및/또는 LTC 치료사가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골반 경사 요소(20)(도 8), 포멜 요소(22)(도 9) 및/또는 웨지 요소(24)(도 10)이고, 이들 전부 특정 형상 및 크기의 쿠션 변형 요소(특정 사용자의 상태를 다루는 LTC 치료사에 의해 규정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고, 맞물릴 때 특정 방식으로 쿠션 부재(14)의 지지 능력을 변형하거나 조절하도록 작동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파선(25)에 의해 제안된 대로, 부가적 포켓은 사용자/환자의 특정한 특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쿠션 부재(14)를 더 변형시키도록 포켓에 삽입될 수도 있는 다른 쿠션 조절 요소(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해 쿠션 부재(14)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단 경사, 포멜 및/또는 웨지 요소 등이 베이스 부재(16)(및 포켓(25)으로 삽입된 다른 요소일 수 있음) 상에 위치되어 부착되면, 쿠션 부재(14)는 피봇 또는 힌지 수단(18)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여 맞물리고 이에 의해 변형될 수 있고, 조립체는 그러면 도 12에 도시된 보호 커버(30)로 삽입될 준비가 되어 있다. 쿠션 "변형"은 쿠션의 연성(softness) 또는 탄성 및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해부학적 조절 정도에 따라 더 잘 보이거나 덜 보일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커버(30)는 바람직하게 적합한 패브릭 재료로 제조되고, 상부 쉘형 부분(26) 및 메이팅 바닥 플랩 부분(2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쿠션 조립체(12)가 완전히 조립되면, 조립체는 커버(30)의 바닥 플랩 부분(27)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 쉘형 부분(26)은 그것의 접힘선(29)을 중심으로 쿠션 조립체(12)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폐쇄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그 후, 쉘형 부분(26)의 하부 에지 주위에 배치된 상부 지퍼 부분(31)을 바닥 플랩 부분(27)의 노출된 주변 둘레에 배치된 하부 지퍼 부분(33)과 맞물리게 지퍼를 잠금으로써 커버(30)의 폐쇄가 완료될 수 있다. 이 점에서, 완전히 조립된 쿠션 장치는 사용을 위해 사용자/환자의 휠체어에 배치될 준비가 되어 있다.
일부 경우에, (바람직하게 특정 연성 또는 강성의 다른 작은 허니콤 패드 형태로 구현되고 일반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좌골 패드(23)의 사용은 또한 사용자/환자의 꼬리뼈(좌골 뼈)를 보호하기 위해서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적절하게 구성된 좌골 패드(23)는 사용자/환자의 좌골 뼈를 보호하기 위해서 커버(30)의 상부 쉘 부분(26)의 후방 중심 부분에 제공된 포켓(34)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퍼 기능부(32) 등은 쿠션 조립체에 사용된 다양한 변형 요소의 개수 및/또는 크기를 수용하는데 요구되는 커버 크기의 조절을 허용(확장 또는 수축)하기 위해 커버(30)에 제공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도 13에서, 출원인의 이전 미국 특허 제5,617,595호에 개시되고 본원에 참고로 완전히 포함된 다층 쿠션 부재는 14로 나타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쿠션 부재(14)는 전술한 대로 하부 플랩 또는 베이스 부재(16)를 포함하도록 수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는 쿠션 부재의 후면을 따라 열압착 접합에 의해 플랩 에지(17)의 부착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서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플랩 에지는 그렇지 않으면 상부 쿠션 부재(14)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3은 다층 허니콤 시트 쿠션(14)을 가지는 조절 가능한 휠체어 시트 쿠션 조립체(12)의 특정 실시예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다층 허니콤 시트 쿠션(14)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의 다중 패널 또는 층을 사용해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쿠션 부재(14)는 함께 접합된 3개의 층 또는 패널(40, 42, 44)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패널(40, 42, 44)은, 더 무거울 수 있는 게이지 재료의 페이싱 시트가 열압착 접합된 플라스틱 재료의 함께 접합되고 확장된 스트립 또는 리본으로 바람직하게 만들어진 허니콤형 코어를 포함한다. 도시된 쿠션 부재(14)는 X, Y 및 Z 축을 따라 미리 정해진 굽힘 정도를 가지는 이방성 3차원 구조이다. 각각의 셀은, 부분적으로, 스트립 또는 리본의 일반적으로 4개의 S 자형 벽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은 인접한 스트립에 접합되고 인접한 셀에 의해 공유된다. 게다가, 각각의 셀은 2개의 인접한 셀과 이중 두께 벽 세그먼트를 공유한다. 또한, 본 출원인의 통합된 선행 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이, 46으로 나타낸, 스트립 및 페이싱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천공되어서 쿠션이 통기성이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신체의 땀 제거 및 냉각을 허용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더욱이, 쿠션을 제조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건조가 빠르며, 쉽게 소독되고 살균될 수 있다.
쿠션 부재(14)는 높은 인열 및 인장 강도를 가지고 탄성이 높으며, 최적의 압축 하중과 충격 흡수 또는 뒤틀림 특성을 가지지만, 매우 경량이다. 엘라스토머 재료, 허니콤 셀 구성, 코어 두께 및 페이싱 재료 변수의 선택된 조합은 특정 용도에 필요한 패널의 연성 또는 경도, 탄성 회복률 및 강성 또는 굽힘 특징을 결정할 것이다. 페이싱 재료는 열가소성 우레탄, 폼, EVA, 고무, 네오프렌, 엘라스토머 함침 섬유 및 다양한 패브릭 등을 포함한 매우 다양한 필름으로 선택될 수 있다. 출원인의 쿠션 부재(14)에 구현된 유형의 쿠션을 제조하도록 본 개시에서 이용되는 유형의 허니콤 쿠션의 제조 및 제작은 본 출원인의 선행 미국 특허 제5,039,567호에 설명되고; 그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명시적으로 원용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전술한 대로, 베이스 부재(16)는 바람직하게 보다 강성의 허니콤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비교적 얇은 시트로 만들어지고, 쿠션 부재(14)의 후방에,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최후단을 따라 힌지 연결되는 후방 에지(17)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16)와 쿠션 부재(14) 사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벨크로 또는 다른 "후프 및 루프 재료" 등과 같은 적합한 수단에 의해 미리 정의된 로케이션을 갖는 베이스 부재(16)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것은 쿠션 조립체의 사용자 지지 특성을 정의하기 위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쿠션 변형 요소이다. 쿠션 변형 요소는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대로 일련의 규정된 크기와 형상의 골반 경사 요소(20), 포멜 요소(22) 및/또는 웨지 요소(24)로 설명될 수 있다.
이 요소들은, 위에 놓인 탄성 쿠션 부재(14)의 지지 특성을 변형 또는 변경하여 쿠션 조립체에 의해 지지되는 사용자의 골격 구성요소를 올리거나, 내리거나, 정렬하거나, 배향하거나 다르게 조절하여 골반 및 몸통 안정성을 제공하고, ADL 중 사용자의 편안함과 기능을 극대화하며,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고 상처를 예방하며, 기존 상처 치유를 지원하고, 쿠션 표면에서 사용자의 원치 않는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자세 이상을 교정하거나 수용하고/하거나 자세 이상 진행을 방지하거나 중재하도록 사용자 및/또는 보조 치료사 또는 임상의에 의해서 위로 향하는 베이스 부재 표면에서 선택, 위치되고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 요소는 쿠션 부재가 지지 맞물리게 낮아질 때 (아래로 접힐 때) 쿠션 부재(14)를 변형시키도록 되어 있다. 미리 형성된 경사 요소(20), 포멜 요소(22) 및/또는 웨지 요소(24)는 위에 놓인 쿠션 부재(14)의 원하는 맞춤형 변형 또는 조절을 제공하도록 주의깊게 선택되고 위치되어서 조립체가 폐쇄되거나 접힌 구성으로 접힐 때 쿠션은 차례로 사용자의 지지 필요성을 제공한다.
일단 접히면, 쿠션 조립체(12)는 쿠션 조립체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주변 지퍼 수단 등을 제공하여서 쿠션 조립체를 단단히 수용하고 그것을 폐쇄되고 기능적인 구성으로 유지하는, 일반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에워싸는 패브릭 커버(30)로 삽입된다. 위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커버(30)는 또한 부가적 좌골 패드, 포멜 또는 웨지 등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 및/또는 외부 포켓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 개방 및 폐쇄 구성에서의 전술한 쿠션 조립체(12)의 측면도가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서, 여러 개의 밑에 있는 요소에 의한 쿠션 부재(14)의 뒤틀림을 강조하도록 다소 과장된 관점에서 정면도가 도시된다.
도 17에서, 완전히 조립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의 부분 절개 측면도가 도시되고 패브릭 커버(30) 내에 배치된 쿠션 조립체(12)를 더 보여준다. 폐쇄 지퍼(31, 33)는 커버의 하부 에지의 세 면 주위에 제공되고, 필요한 경우, 더 크거나 더 작은 쿠션 변형 요소의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제2 내측에 배치된 확장 지퍼 및 초과 재료 기능부(32)가 제안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3에 도시된 쿠션 부재(14)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각각의 패널(40, 44)은 일반적으로 그것의 하부면으로부터 그것의 상부면까지 균일한 높이를 가지고; 패널(40, 44)의 높이는 상이할 수 있고 각각은 균일한 높이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한 대로, 중간 패널(42)은 그것의 하부면으로부터 그것의 상부면까지 달라지는 높이를 갖는다. 상부 패널(40)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제1 경도를 가지고, 중간 패널(42)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제2 경도를 가지며, 하부 패널(44)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제3 경도를 갖는다. 상부 패널(40)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중간 패널(42)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보다 연질이고, 중간 패널(42)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하부 패널(44)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보다 연질이다. 즉, 하부 패널(44)은 중간 패널(42)보다 더 강성이고, 중간 패널(42)은 상부 패널(40)보다 더 강성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휠체어 시트 쿠션 조립체(12) 상단에 앉을 때, 사용자 엉덩이는 중간 또는 하부 패널(42, 44) 내에서보다 상부 패널(40) 내에서 더 쉽게 가라앉는다.
포켓(48)은 쿠션 부재(14)의 후방 중심부에 형성된다. 포켓(48)은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까지 하부 패널(44)을 통하여 완전히 연장되어서 중간 패널(42)의 하부면의 부분(50)이 쿠션 부재(14)의 하부면에서 볼 때 노출된다. 포켓(48)은 하부 패널(40)에 의해 형성된 측벽(56), 및 중간 패널(42)의 하부면의 부분(50)에 의해 형성된 상부벽을 갖는다. 포켓(52)은 포켓(48)으로부터, 중간 패널(42)을 통하여 그것의 하부면으로부터 그것의 상부면까지 연장되어서 상부 패널(40)의 하부면의 부분(54)은 쿠션 부재(14)의 하부면에서 볼 때 노출된다. 포켓(52)은 중간 패널(42)에 의해 형성된 측벽(58)을 가지고 본원에서 설명한 대로 중간 패널(42)의 하부면의 일부분 및 상부 패널(44)의 하부면의 부분(54)에 의해 형성된 상부벽에 의해 더 형성될 수 있다. 포켓(48, 52)은 피봇 또는 힌지 수단(18)에 가깝지만 이격되어 있고, 적어도 하부 패널(44)의 섹션(60)에 의해 피봇 또는 힌지 수단(18)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패널(42)은 섹션(60)에서 상부 및 하부 패널(40, 44) 사이에 제공되지 않아서 상부 및 하부 패널(40, 44)은 함께 직접 고정되지만, 중간 패널(42) 층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대로, 각각의 포켓(48, 52)은 일반적으로 반원형이지만, 다른 형상이 제공될 수 있다. 포켓(52)은 포켓(48)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패널(42)은 일반적으로 균일한 높이를 가지는 제1 부분(62), 및 제1 부분(62)으로부터 포켓(52)의 측벽(58)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높이를 갖는 제2 부분(64)을 갖는다. 제1 부분(62)은 일반적으로 평면 하부면을 정의하고 중간 패널(42)의 에지로부터 제2 부분(64)까지 연장된다. 제1 부분(62)의 하부면의 일부분은 포켓(48)에서 노출되고 포켓(48)의 상부 벽을 형성한다. 제2 부분(64)은 포켓(52)의 측벽(58)을 둘러싸고 측벽(58)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2 부분(62)의 하부면은 포켓(48)에서 노출된다.
포켓(48)은 사용자/환자의 좌골 뼈에 첫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빈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좌골 패드(66, 68, 70)는 조절 가능한 휠체어 시트 쿠션 조립체(12)의 느낌을 변경하고 사용자/환자의 좌골 뼈를 보호하도록 포켓(48) 내에 안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좌골 패드(66, 68, 70)는 포켓(52)을 덮는다. 도시된 대로, 다른 경도의 3개의 좌골 패드(66, 68, 70)가 제공된다. 좌골 패드(66)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제1 경도를 가지고, 좌골 패드(68)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제2 경도를 가지며, 좌골 패드(70)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제3 경도를 갖는다. 제2 좌골 패드(68)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제1 좌골 패드(66)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보다 단단하고, 제3 좌골 패드(70)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는 제2 좌골 패드(68)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허니콤 재료보다 단단하다. 즉, 제3 좌골 패드(70)는 제2 좌골 패드(68)보다 강성이고, 제2 좌골 패드(68)는 제1 좌골 패드(66)보다 강성이다. 각각의 좌골 패드(66, 68, 70)는, 좌골 패드(66, 68, 70)가 포켓(48) 내에 꼭 맞도록 포켓(48)의 벽의 형상을 반영하는 주변 형상 및 대향한 평면 측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좌골 패드(66, 68, 70) 중 단 하나가 포켓(48)으로 삽입될 때, 포켓(48)은 높이 방향으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도록 각각의 좌골 패드(66, 68, 70)는 포켓(48)의 높이보다 작은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높이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좌골 패드(66, 68, 70) 전부 포켓(48)으로 삽입될 때, 포켓(48)은 높이 방향으로 완전히 채워진다. 좌골 패드 중 2개가 내부에 삽입될 때 포켓(48)이 높이 방향으로 채워지거나 좌골 패드 중 3개가 내부에 삽입될 때 포켓(48)이 높이 방향으로 채워지도록 좌골 패드(66, 68, 70)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좌골 패드(66, 68, 70)는 동일한 높이 또는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쿠션 부재(14) 상부에 맞물려 놓이도록 피봇 또는 힌지 수단(18)을 중심으로 (쿠션 변형 요소(20, 24, 26)로 채워질 수 있는) 베이스 부재(16)에 시트 쿠션(14)이 접혀질 때, 포켓(48, 52)은 베이스 부재(16)의 상부면과 대면한다. 변형 요소(20, 22, 24)는 바람직하게 포켓(48, 52) 하부에 위치되지 않는다. 좌골 패드(66, 68, 70)는 시트 쿠션(14)과 베이스 부재(16) 사이에 끼어서 좌골 패드(66, 68, 70)를 제자리에 고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16)는 임의의 패널(40, 42, 44)의 경도보다 더 단단한 경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16)는 하부 패널(44)의 경도와 동일한 경도를 갖는다.
사용자/환자의 엉덩이에 대한 느낌은, 좌골 패드(66, 68, 70) 중 어느 것도 포켓(48)으로 삽입되지 않았는지, 1개, 2개 또는 3개가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게다가, 동일한 경도의 좌골 패드 중 2개 이상이 포켓(48)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적어도 초기 삽입(들)시, 좌골 패드(66, 68, 70)는 포켓(52)으로 진입하지 않고/채우지 않는다. 사용자/환자의 좌골 뼈가 그 위에 위치될 때, 사용자/환자의 좌골 뼈는 포켓(52)으로 이동하여 보호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위에서 개시되었지만, 상기 개시내용을 읽은 후에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그의 수많은 변경 및 수정이 의심 없이 명백해질 것이라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해부학적 지지 쿠션은, 다중 패널을 가지고 천공 및 비천공 코어 패널의 다양한 조합으로, 그리고 코어 벽 및/또는 페이스 시트 천공부를 가지고 임의의 적절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개수 및/또는 홀 크기는 원하는 댐핑, 세척 및 살균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맞추어진다. 게다가, 변형 요소가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고 쿠션 부재와 변형 맞물린 후에 결합 관계로 여러 구성요소를 유지하기 위해 개시된 열압착 비드 및 폐쇄형 커버 이외의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청구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9)

  1. 휠체어용의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로서: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상부 층,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중간 층, 및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하부 층으로 형성된 탄성 쿠션 부재로서, 상기 층들은 함께 접합되고, 상기 상부 층은 상기 중간 층보다 연질이고, 상기 중간 층은 상기 하부 층보다 연질이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힌지에서 쿠션 부재의 대응하는 에지에 피봇 부착된 에지를 가지고,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비평행 배치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평행 배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평행 배치될 때 상기 하부 층 아래에 배치되고, 포켓이 상기 하부 층에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평행 배치될 때 상기 베이스 부재와 대면한 개방 단부를 가지는, 상기 탄성 쿠션 부재; 및
    상기 쿠션 부재의 포켓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로서, 상기 패드는 상기 쿠션 부재의 상기 포켓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상기 패드
    를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는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로 형성되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상기 쿠션 부재의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층들보다 더 강성인,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1 패드 및 제2 패드가 제공되고,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2 패드보다 연질인,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제1 패드, 제2 패드 및 제3 패드가 제공되고,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2 패드보다 연질이고,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제3 패드보다 연질인,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3개 패드가 전부 상기 포켓 내에 안착되면 상기 포켓은 채워지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1 패드, 제2 패드 및 제3 패드가 제공되고,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2 패드보다 연질이고,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제3 패드보다 연질인,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3개 패드가 전부 상기 포켓 내에 안착되면 상기 포켓은 채워지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에 형성된 포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켓들은 서로를 향해 개방되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에 형성된 포켓은 상기 하부 층에 형성된 포켓보다 작은,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상기 쿠션 부재의 열가소성 허니콤 재료의 층들보다 더 강성인,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가 평행하게 배치될 때 상기 쿠션 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주위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쿠션 부재, 상기 패드, 및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커버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쿠션 부재, 상기 패드, 및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커버 내에 폐쇄되게 에워쌀 수 있도록 구성된 폐쇄부를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에 대체로 대면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쿠션 변형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션 변형 요소는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비평행 배치로부터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평행 배치로 회전될 때 상기 하부 층과 맞물려 변형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션 변형 요소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제거 가능한,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가 평행하게 배치될 때 상기 쿠션 부재, 상기 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션 변형 요소,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주위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열압착 형성되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힌지에 근접하지만 이격되어 있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에 형성된 포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켓들은 서로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중간 층에 형성된 포켓은 상기 하부 층에 형성된 포켓보다 작은,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가 상기 하부 층에 형성된 포켓으로 삽입될 때 상기 중간 층에 형성된 포켓은 채워지지 않는,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KR1020230044665A 2022-04-06 2023-04-05 휠체어용의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KR20230143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14,395 US20220226174A1 (en) 2018-09-25 2022-04-06 Adjustable anatomical support and seat cusion apparatus for wheeling chairs
US17/714,395 2022-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954A true KR20230143954A (ko) 2023-10-13

Family

ID=8598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665A KR20230143954A (ko) 2022-04-06 2023-04-05 휠체어용의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57101A1 (ko)
JP (1) JP2023154419A (ko)
KR (1) KR20230143954A (ko)
AU (1) AU2023201853A1 (ko)
CA (1) CA3194867A1 (ko)
TW (1) TW202402257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7595A (en) 1989-12-04 1997-04-08 Supracor Systems Corporation Contoured seat cushion comprised of honeycomb cores
US5039567A (en) 1989-12-04 1991-08-13 Supracor Systems, Inc. Resilient panel having anisotropic flexing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390384A (en) * 1993-08-13 1995-02-21 Jay Medical Ltd. Self-adjusting seating system
US6625830B2 (en) * 2001-10-02 2003-09-30 Neal Lampel Wheelchair cushion
US11369532B2 (en) * 2018-09-25 2022-06-28 Supracor, Inc. Adjustable anatomical support and seat cushion apparatus for wheelchai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402257A (zh) 2024-01-16
EP4257101A1 (en) 2023-10-11
CA3194867A1 (en) 2023-10-06
AU2023201853A1 (en) 2023-10-26
JP2023154419A (ja)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6516A (en) Contoured aircraft and car seat
US6264279B1 (en) Therapeutic sling seat
CA2197313C (en) Spinal support system for seating
US5857749A (en) Wheelchair seat assembly with contoured seat pan and cushion and method
US11369532B2 (en) Adjustable anatomical support and seat cushion apparatus for wheelchairs
CN115666329A (zh) 翻身辅助垫及翻身辅助床垫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KR20230143954A (ko) 휠체어용의 조절 가능한 해부학적 지지 및 시트 쿠션 장치
US20220226174A1 (en) Adjustable anatomical support and seat cusion apparatus for wheeling chairs
WO2020201805A2 (en) An adjustable wheelchair seat cushion apparatus
JP3211111U (ja) 立体格子状クッション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JP2008110096A (ja) 福祉用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着座部
JP3241681U (ja) 背当てクッション
RU223202U1 (ru) Подушка для инвалидной коляски
TWM520362U (zh) 脊柱復健用矯正輔助結構裝置
KR102088842B1 (ko) 다기능 허리베개
JP2002126036A (ja) 骨盤押圧具